KR101831935B1 -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 Google Patents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935B1
KR101831935B1 KR1020170119503A KR20170119503A KR101831935B1 KR 101831935 B1 KR101831935 B1 KR 101831935B1 KR 1020170119503 A KR1020170119503 A KR 1020170119503A KR 20170119503 A KR20170119503 A KR 20170119503A KR 101831935 B1 KR101831935 B1 KR 10183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filtering
ne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회경
Original Assignee
양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회경 filed Critical 양회경
Priority to KR102017011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9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rack having a built-in filtering means storage cabinet provided with an air circulation function, comprising: a main body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torage units for storing shoes; an air condition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unit to circulate air inside the main bod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verall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which a second storage unit is provided on a lower end of the first storage unit of the main body unit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provided on the second storage uni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n effect of hygienically preserv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by eliminating an odor discharged by the shoe housed in the shoe rack with the hermetically sealed filtering means incorporated therein.

Description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WITH FILTERING MEANS

본 발명은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순환방식 내부 공기 순환을 통해 수납되는 신발에 대한 살균, 소독 및 탈취 등을 절감된 에너지로 수행할 수 있는 신발수납장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torage cabinet for sterilizing, disinfecting, and deodorizing shoe housed in a natural circulation system through internal air circulation. will be.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은 신발의 정리 정돈이나 보관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다수의 신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북수의 수납공간을 다단으로 마련한다. 이러한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은 다양한 재질과 크기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통상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은 그 밀폐된 구조로 인하여 외부와의 통기성이 좋지 못하여 세균 및 땀에 의한 악취를 머금게 된다. 때문에,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여닫이 개폐 시에 이러한 악취를 대량으로 배출하게 되어,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주변환경이 비위생적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탈취수단을 마련하는 기술들도 일부 개시되었으나, 탈취수단의 지속적인 운용을 위해서 큰 에너지가 소모되어 유지, 보수에 필요한 비용이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shoe storage box with the filtering means is widely used for organizing and storing shoes, and a multi-stage storage space for the North water is provided so that a large number of shoes can be placed inside. The shoe storage box having such a filtering means is equipp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sizes. However, since the airtightness of the shoe luggage compartment with the filtering means incorporated therein is poor due to the airtight structure, the odor caused by bacteria and perspiration is adversely affected. Therefor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hoe in the shoe storage enclosure containing the filtering means, such a bad odor is discharged in a large amount, which gives the user an unpleasant feeling and mak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nsanitary.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some technologies for providing deodorizing means have been disclo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energy is consumed for continuous operation of the deodorizing means, and the cost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repair is greatly increased.

따라서,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provide a shoe storage enclosure with hygienic and efficient filtering mean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585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5853

본 발명은, 자연 순환방식 내부 공기 순환을 통해 수납되는 신발에 대한 살균, 소독 및 탈취 등을 절감된 에너지로 수행할 수 있는 신발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storage cabinet capable of sterilizing, disinfecting, and deodorizing shoes stored through natural circulation.

본 발명은,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으로서, 신발을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부가 다수 구비된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유닛; 상기 공기순환 기능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수납부 하단부 상에 제2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유닛은 상기 제2 수납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storage cabinet having a filtering means provided with an air circulation function, the shoe comprising: a main body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usings for housing shoes; An air condition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unit for circulating air inside the mai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verall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function, wherein a second storage portion is provided on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provided on the second storage portion, And a filter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air of the shoe.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shoe cabinet incorporating the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밀폐된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에 수납된 신발에 의하여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주변환경을 위생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preserv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ygienically by removing the odor emitted by the shoes stored in the shoe storage cabinet with the closed filtering means

둘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을 자연 순환방식으로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신발의 살균, 소독 및 탈취 등을 절감된 에너지로 수행할 수 있다.Second, the shoes can be sterilized, disinfected, and deodorized by circulating the air through a natural circulation manner in a shoe cabinet having a filtering means incorporated t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b 내지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5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a shoe storage cabinet with the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FIG.
FIGS. 6 to 9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shoe storage cabinets incorporating the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FIG.
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0B to 10D are views showing a part of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B are views showing a part of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B is a view showing a part of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B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the air conditio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cabinet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5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a shoe storage enclosure with the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FIG. FIGS. 6 to 9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shoe storage box with the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FIG.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100)은 본체유닛(110), 공조유닛(120), 제어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공조유닛(120)은 산소발생부(121), 히팅부(122), 송풍부(123), UV살균부(124), 오존살균부(125), 온도계(126), 회로피간(127) 등을 포함한다.1 to 9, a shoe storage cabinet 100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includes a main body unit 110, an air conditioning unit 120, and a control unit 130.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includes an oxygen generating unit 121, a heating unit 122, a blowing unit 123, a UV sterilizing unit 124, an ozone sterilizing unit 125, a thermometer 126, And the like.

상기 본체유닛(110)은 신발을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부(S1)가 다단으로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 구비된다. 상기 본체유닛(110)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형상과 크기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된다.The main body unit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receiving portions S1 for storing shoe,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multiple stages. The shape and size of the main unit 110 are not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applied.

상기 각 제1 수납부(S1) 상에는 엘이디소독부(111)와, 신발의 수납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수납인지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납인지부(112)의 감지정보에 기반하여 수납되는 신발을 소독한다.On each of the first storage units S1, there is provided an LED disinfection unit 111 and a storage unit 112 for sensing the storage of shoes and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The disinfecting unit disinfects the shoes stored on the basis of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112.

상기 수납인지부(112)는 거치부(1121), 하중감지부(1122), 여닫이감지부(1123)를 포함하며, 본체유닛(110)은 상기 제1 수납부(S1)의 수납공간 개폐를 위한 여닫이문(1124)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1121)는 상기 신발이 거치되는 부분이며, 상기 하중감지부(1122)는 상기 거치구에 가해지는 상기 신발의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감지정보를 생성한다.The storage unit 112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121, a load sensing portion 1122 and a hinge sensing portion 1123. The main body unit 11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S1 And a hinged door 1124 is provided. 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1121 is a portion where the shoe is mounted, and the load sensing portion 1122 senses a load of the shoe applied to the mounting portion to generate load sensing information.

상기 여닫이감지부(1123)는 상기 여닫이문(1124)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여닫이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유닛(130)은 상기 하중감지정보 및 상기 여닫이감지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엘이디소독부(111)를 작동시킨다.The hinge sensing unit 1123 senses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of the hinge door 1124 to generate hinge sens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the hinge sen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oad sensing information and the hinge sensing information, The sterilizing unit 111 is operated.

상기 본체유닛(110)의 하단부 상에는 제2 수납부(S2)가 구비된다. 상기 공조유닛(120)은 상기 제2 수납부(S2)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닛(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상기 본체유닛(110)은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하여 내부가 연통되는 제1 연통배관부(113) 및 제2 연통배관부(114)가 일정한 구조로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제1 연통배관부(113) 및 상 기 제2 연통배관부(114)는 설정된 길이와 소정의 구조로 상기 본체유닛(110) 상에 연통되도록 구비된다.The second housing part S2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unit 110. [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is provided on the second housing S2 so as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unit 110. [ The main body unit 110 has a first communication piping 113 and a second communication piping 114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or air circulation therein.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portion 114 ar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on the main body unit 11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structure.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유닛(110)의 상기 제1 연통배관부(113) 상에는 순환되는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4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140)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망구조물(141)과 상기 망구조물(141)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유닛(110) 상에서의 상기 내부 공기의 순환 유속을 제한하는 세라믹 구조물(142)(예: 세라믹 볼형상체 등)를 포함하여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9, a filter 140 for filtering internal air circulated is provid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113 of the main body unit 110. The filter 140 includes a net structure 141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ceramic structure 142 placed on the net structure 141 to limit a circulating flow rate of the inside air on the main unit 110, (E.g., a ceramic ball-shaped body or the like).

여기서 상기 세라믹 구조물(142)는 상기 망구조물(141)에 안착되되, 상기 망구조물(141) 상에는 공극이 존재하곡 있는 상태이다. 때문에, 상기 내부 공기의 순환 유속에 따른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공극 사이로 상기 내부 공기가 상기 공극으로 유출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탈취 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ceramic structure 142 is seated on the net structure 141, and voids are present on the net structure 141. Therefore, when the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circulating flow rate of the internal air is increased, the internal air flows out to the gap between the gaps.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deodorize the shoe storage enclosure with the filtering means incorporated therein.

상기 필터(140)는 상기 제1 연통배관부(113)는 물론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 상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lter 14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communication piping 114 as well as the first communication piping 113 in a similar manner.

상기 공조유닛(120)은 상기 본체유닛(1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닛(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조유닛(120)은 상기 제2 수납부(S2)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어, 상기 본체유닛(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unit 110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unit 110. More specifically,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is housed on the second housing S2 in a sliding manner, thereby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main unit 110. As shown in FIG.

상기 공조유닛(120)은 측면부 상에 소정의 제1 슬라이딩부재(S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수납부(S2)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제2 슬라이딩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first sliding member SL1 on a side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sliding member (not shown) for guiding the first sliding portion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S2, .

상기 공조유닛(120)은 상기 제1 연통배관부(113) 및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조유닛(120)은 상기 제1 연통배관부(113) 및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에 각각 대응하여 연통되는 제1 배관연결부(128) 및 제2 배관연결부(129)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닛(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다.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circulates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unit 1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iping 1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ing 114. More specifically,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piping connection part 128 and a second piping connection part 129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ip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ing part 114, respectively, So as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unit 110.

상기 제1 배관연결부(128) 및 상기 제2 배관연결부(129)는 상기 제2 수납부(S2)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조유닛(120)이 상기 제2 수납부(S2)에 수납 시에 상기 제1 연통배관부(113) 및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와 각각 맞닿아 연통된다.The first piping connection part 128 and the second piping connection part 129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S2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part S2,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portion 11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예컨대, 상기 공조유닛(120)은 상기 제1 배관연결부(128)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110)으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2 배관연결부(129)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110)의 공기를 회수한다. 물론 상기 제1 배관연결부(128)와 상기 제2 배관연결부(129)의 역할은 상호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supplies air to the main body unit 110 through the first piping connection part 128 and recovers air of the main body unit 110 through the second piping connection part 129 do. Of course, the roles of the first piping connection part 128 and the second piping connection part 129 may be changed.

상기 공조유닛(120)의 상기 산소발생부(121)는 내부에서 산소를 발생시켜 내부 공기와 함께 발생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공조유닛(120)의 상기 히팅부(122)는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히팅시킨다.The oxygen generating unit 121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generates oxygen therein to supply oxygen generated together with the internal air. The heating portion 122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heat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portion 114.

상기 공조유닛(120)의 상기 송풍부(123)는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송풍시킨다. 상기 공조유닛(120)의 상기 UV살균부(124)는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UV살균시킨다. 상기 공조유닛(120)의 상기 오존살균부(125)는 상기 제2 연통배관부(11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오존으로 살균시킨다.The air flow-in part (123)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blows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part (114). The UV sterilizing unit 124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UV sterilize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unit 114. The ozone sterilizing unit 125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120 sterilize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unit 114 with ozone.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b 내지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enclosure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0B to 10D are views showing a part of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echnical features.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200)은 상기 제1 배관연결부(228) 및 상기 제2 배관연결부(229)가 상기 공조유닛(220)으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유동되도록 구비되며, 상면부 둘레부 상에 각각 소정의 플랜지부(P1, P2)가 형성된다.10A to 10D, the shoe storage box 200 with the filtering means installed therei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pipe connection portion 228 and the second pipe connection portion 229 are separa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unit 220 And predetermined flange portions P1 and P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제1 배관연결부(228) 및 상기 제2 배관연결부(229)는 상기 플랜지부(P1, P2)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자성(magnetism)을 가지는데, 이를 위하여 예컨대 각각 제1 자성수단(228m, 129m)이 내장된다. The first pipe connection 228 and the second pipe connection 229 have at least a part of the magnetism including the flange portions P1 and P2.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first magnetic means 228m , 129m) are built in.

즉, 상기 공조유닛(220)이 상기 제2 수납부(S2)에 수납되면, 상기 제1 배관연결부(228) 및 상기 제2 배관연결부(229)는 상기 자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연통배관부(213) 및 상기 제2 연통배관부(214)와 자성 결속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air conditioning unit 22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part S2, the first pipe connection part 228 and the second pipe connection part 229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2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ing (214).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연통배관부(213) 및 상기 제2 연통배관부(214) 상에도 소정의 플랜지부(P3, P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P3, P4)에는 제2 자성수단(213m, 114m)이 각각 구비된다.Similarly, predetermined flange portions P3 and P4 are also form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213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e portion 214, respectively. The flange portions P3 and P4 are provided with second magnetic means 213m and 114m, respectively.

상기 제1 배관연결부(228) 및 상기 제2 배관연결부(229)는 둘레부가 상하방향 간에 주름관 형태로 접철되어 상기 자성 결속 시에 상방으로 일정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자성수단 및 상기 제2 자성수단은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상호 간에 동일하거나 반대되는 극의 자성이 발생되거나, 자성 차제가 제거되는 자성수단(예 : 전자석 등)으로 구비된다.The first pipe connection part 228 and the second pipe connection part 229 are fold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betwee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re uniformly extended upward in the magnetic binding. Here, the first magnetic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means are provided with magnetic means (for example, an electromagnet or the like) in which magnetic forces of the same or opposite polarities are generated or removed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power supply.

상기 제2 수납공간(S2) 상 또는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곳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구비된다. 상기 공조유닛(220)의 수납여부를 감지하는 수납감지부가 구비된다.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is provided on the second storage space S2 or any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 storage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air conditioning unit 220 is stored or not is provided.

상기 제어유닛(230)은 상기 수납감지부를 통해 상기 공조유닛(220)이 상기 제2 수납공간 상에 수납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를 전제로,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상기 자성수단들(213m, 114m, 128m, 129m) 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조유닛(220)이 상기 제2 수납공간 상에 탈거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킨다.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magnetic means 213m, 114m, and 114m via the power supply unit on the premise that the air conditioning unit 220 is detected as being stored on the second storage space through the storage sensing unit, 128m, and 129m, respectively. Also, when the air conditioning unit 220 is detected as being detached on the second storage space,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is stopped.

한편, 상기 제1 배관연결부(228) 및 상기 제2 배관연결부(229)는 상방과 하방간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수납공간(S2)의 외부에는 상기 공조유닛(220)이 상기 제2 수납부(S2) 상으로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배관연결부(228) 및 상기 제2 배관연결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부(c)가 구비된다.Meanwhile, the first pipe connection part 228 and the second pipe connection part 229 are provided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e first pipe connection portion 228 and the second pipe connection portion are pressurized in the process of housing the air conditioning unit 220 on the second storage portion S2 outside the second storage space S2 And a pressing protrusion (c) is provid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enclosure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B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echnical features.

도 11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300)은 상기 본체유닛(310)의 상기 제1 연통배관부(313) 상에는 순환되는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링모듈(35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필터링모듈(350)은, 본체부(351), 망형상체(352), 유동모듈(353), 서브 망형상체(354)를 포함한다.11 to 12B, the shoe storage box 300 having the filtering means incorporated therein is provided with a first filtering module (not shown) for filtering the circulated air inside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313 of the main body unit 310 350 are provided. The first filtering module 350 includes a body portion 351, a meshed body 352, a flow module 353, and a sub-meshed body 354.

상기 본체부(351)는 소정의 형상으로서 내부에 일정한 수용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망형상체(352)는 상기 본체부(351) 일방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망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 망형상체(354)는 상기 본체부(351) 타방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망구조로 형성된다. The body portion 35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therein. The meshed body 35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51 and has a net structure having at least a part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sub-trunk-like body 35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351, and has at least a part of a network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상기 유동모듈(353)은 상기 본체부(351)의 상기 서브 망형상체(354)타방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망형상체(352)의 상기 망구조물(341) 표면에 안착되도록 유동된다.The flow module 353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trunk body 354 of the body portion 351 and flows to be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net structure 341 of the net-like body 352.

상기 유동모듈(353)은 실린더부(3531), 피스톤부(353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3531)는 상기 본체부(351)의 상기 일방에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부(3532)는 일단부에는 세라믹 볼(SB)이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부(3531)로부터 상기 망형상체(352) 상에 안착되도록 진퇴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flow module 353 includes a cylinder portion 3531 and a piston portion 3532. The cylinder portion 3531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51 at one side thereof. The piston portion 3532 is provided at one end with a ceramic ball SB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so as to be seated on the meshed body 352 from the cylinder portion 3531.

상기 세라믹 볼(SB)은 상기 망형상체(352)의 상기 망구조에 안착되는 영역에 소정의 안착홈(G)이 형성되어, 상기 망형상체(352) 상에 안착 시 상기 망구조에 형합되도록 안착된다.The ceramic ball SB has a predetermined seating groove G formed in a region of the meshed body 352 that is seated in the mesh structure so that the ball ST can be seated on the meshes 352, do.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1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cabinet having a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B is a view showing a part of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echnical features.

도 13a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400)은 상기 본체유닛(410)의 상기 제1 연통배관부(413) 상에 상기 제1 필터링모듈(450)의 하방에 위치되어 순화되는 내부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제2 필터링모듈(460)이 구비된다.13A to 13B, the shoe storage box 400 with the filtering means is disposed below the first filtering module 450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413 of the main body unit 410, A second filtering module 460 is provided for filtering the inside air to be purified.

상기 제2 필터링 모듈(460)은, 제2 본체부(461), 제2 망형상체(462), 제2 유동모듈(463), 제2 서브망형상체(464)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2 필터링 모듈(460)은 전술한 제1 필터링모듈(450)의 구성과 유사 또는 동일하다.The second filtering module 460 includes a second body 461, a second mesh body 462, a second flow module 463, and a second sub-meshed body 464. The second filtering module 460 is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first filtering module 450 described above.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1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appearance of a shoe storage enclosure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B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of a shoe storage box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echnical features.

도 14a 내지 도 14b를 참조하면,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500)은 하우징모듈(HM)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모듈(HM)은 상기 제1 연통배관부(513)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필터링모듈(550) 및 상기 제2 필터링모듈(560)을 내부에서 길이방향 상으로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링모듈(550)과 상기 제2 필터링모듈(560)이 길이방향 상에서 상호 유동된다.14A to 14B, the shoe storage 500 with the filtering means incorporated therein includes a housing module HM. The housing module HM is provid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513 and accommodates the first filtering module 550 and the second filtering module 5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the first filtering module 550 and the second filtering module 560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하우징모듈(HM)은 상방에 망구조로 형성되는 상방 망형상체(HM1)가 구비되며 하방에는 망구조로 형성되는 하방 망형상체(HM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필터링 모듈(550)은 상기 하우징모듈(HM)에 제1 가이드부재(GD1)에 의하여 결속된다.The housing module HM is provided with a top meshing body HM1 formed in a net structure on the upper side and a downward meshing body HM2 formed in a net structure on the lower side.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module HM by the first guide member GD1.

상기 제1 가이드부재(GD1)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모듈(HM) 상에 내장되어 길이방향 상에서 모터 또는 기타 구동력에 기반하는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필터링모듈(550)상에 결속된다.One end of the first guide member GD1 is housed on the housing module HM so that the first guide member GD1 can move up and down based on a motor or other driv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상기 제2 필터링모듈(560)은 상기 하우징모듈(HM)에 제2 가이드부재(GD2)에 의하여 결속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재(GD2)도 상기 제1 가이드부재(GD1)와 유사 도는 동일한 방식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second filtering module 560 is coupled to the housing module HM by a second guide member GD2 and the second guide member GD2 is coupled to the housing module HM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guide member GD1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망형상체(552)의 테두리부 및 상기 제2 망형상체(562)의 테두리부는 상호간에 동일 또는 상이한 극성의 자성이 발생하도록 구비되거나, 테두리부가 아닌 상기 제1 망형상체(552)와 상기 제2 망형상체(562)에서 상호간에 동일 도는 상이한 극성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Here, the rims of the meshes 552 and the rims of the second meshes 56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polarities of magnetism, or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meshes 552 and the second meshes So that the same polarity is generated between the second net-shaped bodies 562.

따라서, 상기 제1 필터링모듈(550)과 상기 제2 필터링모듈(560)은 상기 제1 가이드부재(GD1)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GD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모듈(HM) 상에서 대향된 채 상호간을 향하여 근접하거나 상호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 유동을 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filtering module 550 and the second filtering module 560 are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housing module HM via the first guide member GD1 and the second guide member GD2, Or sequentially away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망형상체(551)와 상기 제2 망형상체(562)에는 상호 간에 반탄력을 가지도록 동일한 극의 자성이 발휘되도록 하면, 상기 제1 필터링모듈(550)과 상기 제2 필터링모듈(560)은 상호간에 대칭형으로 대응되는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st filtering module 550 and the second filtering module 5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magnetism of the same polarity is exerted on the meshed body 551 and the second meshed body 562 so as to have anti- Up and down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ymmetrical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210, 310, 410, 510 : 본체유닛
111, 211, 311, 411, 511 : 엘이디소독부
112, 212, 312, 412, 512 : 수납인지부
1121, 2121, 3121, 4121, 5121 : 거치부
1122, 2122, 3122, 4122, 5122 : 하중감지부
1123, 2123, 3123, 4123, 5123 : 여닫이감지부
1124, 2124, 3124, 4124, 5124 : 여닫이문
113, 213, 313, 413, 513 : 제1 연통배관부
114, 214, 314, 414, 514 : 제2 연통배관부
120, 220, 320, 420, 520 : 공조유닛
121, 221, 321, 421, 521 : 산소발생부
122, 222, 322, 422, 522 : 히팅부
123, 223, 323, 423, 523 : 송풍부
124, 224, 324, 424, 524 : UV살균부
125, 225, 325, 425, 525 : 오존살균부
128, 228, 328, 428, 528 : 제1 배관연결부
129, 229, 329, 429, 529 : 제2 배관연결부
130, 230, 330, 420, 530 : 제어유닛
140, 240, 340, 440, 540 : 필터
141, 241, 341, 441, 541 : 망구조물
142, 242, 342, 442, 542 : 세라믹 구조물
350, 450, 550 : 제1 필터링모듈
351, 451, 551 : 본체부
352, 452, 552 : 망형상체
353, 453, 553 : 유동모듈
354, 454, 554 : 서브 망형상체
110, 210, 310, 410, 510:
111, 211, 311, 411, 511:
112, 212, 312, 412, 512:
1121, 2121, 3121, 4121, 5121:
1122, 2122, 3122, 4122, 5122:
1123, 2123, 3123, 4123, 5123:
1124, 2124, 3124, 4124, 5124:
113, 213, 313, 413, 513: a first communication piping section
114, 214, 314, 414, 514: a second communication piping section
120, 220, 320, 420, 520: air conditioning unit
121, 221, 321, 421, 521:
122, 222, 322, 422, 522:
123, 223, 323, 423, 523:
124, 224, 324, 424, 524: UV sterilizer
125, 225, 325, 425, 525: Ozone sterilizer
128, 228, 328, 428, 528:
129, 229, 329, 429, 529: Second piping connection
130, 230, 330, 420, 530:
140, 240, 340, 440, 540: filter
141, 241, 341, 441, 541:
142, 242, 342, 442, 542: Ceramic structures
350, 450, 550: first filtering module
351, 451, 551:
352, 452, 552:
353, 453, 553: flow module
354, 454, 554: Sub-

Claims (9)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으로서,
신발을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부가 다수 구비된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유닛; 상기 공기순환 기능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수납부 하단부 상에 제2 수납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유닛은 상기 제2 수납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상기 본체유닛은 내부가 연통되는 제1 연통배관부 및 제2 연통배관부가 구비되며, 상기 공조유닛은 상기 제1 연통배관부 및 상기 제2 연통배관부를 통해 상기 본체유닛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연통배관부 상에는 순환되는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망구조물과, 상기 망구조물 상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유닛 상에서의 상기 내부 공기의 순환 유속을 제한하는 세라믹 볼형상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연통배관부 상에는 순환되는 내부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1 필터링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필터링모듈은,
소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방에 구비되며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망구조로 형성되는 망형상체와, 상기 본체부의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망형상체의 상기 망구조 표면에 안착되도록 유동되는 다수의 유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일방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망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모듈은,
상기 일방에 구비되는 실린더부와, 일단부에는 세라믹 볼이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상기 망형상체 상에 안착되도록 진퇴 유동되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 볼은 상기 망형상체의 상기 망구조에 안착되는 영역에 소정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망형상체 상에 안착 시 상기 망구조에 형합되도록 안착되는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
A shoe storage cabinet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provided with an air circulation function,
A main body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housings for housing shoes; An air condition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unit for circulating air inside the mai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verall control of the air circulation function,
Wherein the second storage por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is provided on the second storage portion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unit, A first communication piping sec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piping section, and the air conditioning unit circulates air inside the main body unit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iping sec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iping section,
A filter for filtering internal air circulated is provid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of the main body unit,
The filter includes:
And a ceramic ball-shaped body resting on the net structure and restricting a circulating flow rate of the inside air on the main body unit,
A first filtering module for filtering internal air circulated is provid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of the main body unit,
Wherein the first filtering module comprise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mesh body to be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net structure; A flow module,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to a net structure,
The flow module comprises:
And a piston portion having a ceramic ball at one end and flowing back and forth from the cylinder portion to be seated on the meshed body, wherein the ceramic ball is seated on the mesh structure of the mesh body And a filtering means which is seated on the net-like structure so as to be fitted to the net structure when the net-shaped body is seated on the net-like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연통배관부 상에는 상기 제1 필터링모듈의 하방에 위치되어 순화되는 내부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제2 필터링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필터링모듈은,
소정의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일방에 구비되며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망구조로 형성되는 제2 망형상체와,
상기 제2 본체부의 타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망형상체의 상기 망구조 표면에 안착되도록 유동되는 다수의 제2 유동모듈을 포함하는 제2 필터링모듈을 포함하는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filtering module dispos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of the main body unit for filtering internal air located under the first filtering module to be purified,
Wherein the second filtering module comprises:
A second main body portion,
A second net-shaped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and formed of a mesh structure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second filtering modu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part and adapted to flow on the surface of the net structure of the second net-like body so as to be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net structure of the second net-like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의 상기 일방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망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은,
상기 일방에 구비되는 제2 실린더부와,
일단부에는 제2 세라믹 볼이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부로부터 상기 제2 망형상체 상에 안착되도록 진퇴 유동되는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art is formed in a net structure,
Wherein the second flow module comprises:
A second cylinder portion provided on the one side,
And a filtering means including a second piston portion having a second ceramic ball at its one end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 be seated from the second cylinder portion on the second net-like bod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배관부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필터링모듈 및 상기 제2 필터링모듈을 길이방향 상으로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제1 필터링모듈과 상기 제2 필터링모듈이 길이방향 상에서 상호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하우징모듈을 더 포함하는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filtering module and the second filtering module are dispos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pip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llow the first filtering module and the second filtering module to mutually f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hoe cabinet incorporating filtering means,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modu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방에 망구조로 형성되는 망형상체가 구비되며 하방에는 망구조로 형성되는 하방 망형상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필터링모듈은 상기 하우징모듈과 제1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결속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모듈 상에 내장되어 길이방향 상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타측이 상기 제1 필터링 모둘 상에 결속되고,
상기 제2 필터링모듈은 상기 하우징모듈과 제2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결속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모듈 상에 내장되어 길이방향 상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타측이 상기 제2 필터링 모둘 상에 결속되는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us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net-like body formed in a net structure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side net-shaped body formed in a net structure on a lower side,
The first filtering module is bound by the housing module and the first guide member,
Wherein the first guide member is installed on the housing module so that one side thereof is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bound on the first filtering module,
Wherein the second filtering module is coupled by the housing module and the second guide member,
Wherein the second guide member is built on the housing module so that the second guide member can be lifted and low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bound to the second filtering modul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망형상체 및 상기 제2 망형상체는 상호간에 상이한 극의 자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필터링 수단이 내장된 신발 수납장.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sh-like body and the second mesh-shaped body have filtering means provided therein to have mutually different polarities of magnetism.
KR1020170119503A 2017-09-18 2017-09-18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KR101831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03A KR101831935B1 (en) 2017-09-18 2017-09-18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03A KR101831935B1 (en) 2017-09-18 2017-09-18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935B1 true KR101831935B1 (en) 2018-04-04

Family

ID=6197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03A KR101831935B1 (en) 2017-09-18 2017-09-18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93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048A (en) * 1999-03-04 2000-09-12 Yoshiyuki Ogushi Filter for exhaust gas and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this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048A (en) * 1999-03-04 2000-09-12 Yoshiyuki Ogushi Filter for exhaust gas and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this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48B1 (en) Fixture furniture with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KR100998278B1 (en) Books sterilizer
KR101834131B1 (en) Shoes cabinet having air conditioning means
KR20100041060A (en) Uv sterilizer of cosmetic applicator
KR101350354B1 (en) Box with sterilizing function
KR101831935B1 (en) Shoes cabinet having filter means
KR101727202B1 (en) Movable drawer having sterilizer
KR101834132B1 (en) Shoes cabinet having ventilation means
KR200388257Y1 (en) Hygiene care storage
JP2014028143A (en) Device for sterilizing pillow or other articles stored in device
JP3231686U (en) Sterilizer
CN213477783U (en) Operating room capable of self-disinfecting
KR20210156127A (en) Apparatus for uv sterilizing spoon and chopstick with function of theft prevention
JP5532226B2 (en) Boots keeper
KR200400759Y1 (en) Sanitary Shoes Cabinet that hav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KR200329200Y1 (en) shoes the preservable hygiene
JP3740044B2 (en) Storage with sterilizing and deodorizing functions
KR20010001592U (en) A footwear cabinet
CN216907723U (en) Foot bath device sterilization functional assembly and foot bath device
CN209950689U (en) Wardrobe with sterilization and odor removal functions
CN211130207U (en) Special locker in laboratory of function of disinfecting in area
CN213507688U (en) Disinfection drying device that disinfects
KR200167056Y1 (en) Structure of shoe cabinet
KR20090038497A (en) The sterilization method & system which use optical fiber and uv led
CN209950725U (en) Intelligent locker of function of disinfecting in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