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796B1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 Google Patent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796B1
KR101831796B1 KR1020160136740A KR20160136740A KR101831796B1 KR 101831796 B1 KR101831796 B1 KR 101831796B1 KR 1020160136740 A KR1020160136740 A KR 1020160136740A KR 20160136740 A KR20160136740 A KR 20160136740A KR 101831796 B1 KR101831796 B1 KR 101831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support frame
striking
groov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riority to KR102016013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7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to manufacture a battery terminal plate,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vity per unit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material preparation step of cutting a drawn metal material (1) to a predetermined length, rounding four corners of the cut metal material (1), and transferring the metal material (1) to a first forming support frame (10); a primary processing step of forming front and rear central grooves (82, 83) on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faced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1), respectively; a secondary process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84)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1), forming a central hole (81) in a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central grooves (82, 83) to be penetrated, and forming a circular protrusion (85)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hole (8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terial (1); a third processing step of extending and rimming a cut surface of the central hole (81) formed in the material (1) by a predetermined radius; and a material discharge step of discharging the material (1) to the outside from a secondary forming surround frame (40).

Description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plat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태양전지, 전동공구 등에 적용되는 중대형 리튬이온 2차 전지용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이용하여 재료를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 성형 가공에 따른 재료 및 가공장치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킬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재료의 성형 가공 중 발생되는 버(Burr)의 제거 및 다듬질을 위한 별도 공정을 생략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특히, 길이가 긴 형태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시에 버(Burr)로 제거되는 재료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for a middle- or large-siz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a plug-in hybrid vehicle, a solar batter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per unit time by minimizing the movement path of the material and th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case of molding the material, and to remove the burr generated during molding of the material, A manufacturing method of a battery terminal plate capable of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by omitting a separate process, and in particular, reducing the loss of material removed by a burr in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having a long length will be.

환경규제가 엄격해짐에 따라 자동차 시장의 미래 경쟁력은 환경자동차 개발에 달려있다. 이미 1990년대부터 달구어지기 시작한 환경자동차에 대한 관심은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라는 이름으로 제일 먼저 상용화되어 개발되었다. 더욱이, 최근 고유가 및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어,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시장이 매년 60% 이상의 고성장을 이루고 있고, 앞으로도 친환경차의 시장 구매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As environmental regulations become more stringent, future competitiveness in the automotive market depends on environmental automobile development. The interest in environmental vehicles, which have already begun to warm since the 1990s, was first commercialized under the name Hybrid car. Moreover, due to recent high oil pric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vehicles has been amplified. The Hybrid Electric Vehicle (HEV) market is experiencing high growth of over 60% annually. .

"잡종, 혼혈"이라는 Hybrid의 뜻처럼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함께 장착한 복합차량으로서, 전기모터로 시동을 건 이후 일정한 속도가 붙을 때까지의 저속주행은 전기모터가 맡고 가속 시에는 엔진이 가동되고 전기모터가 보조동력으로 작동되어 가속성을 증가시키고, 감속할 때에는 자동차가 가던 힘으로 발전기를 돌려 차량의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전환되어 배터리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의 힘으로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전용)도 개발된 상태이다.Hybrid cars like Hybrid, which means "Hybrid, Mixed", are hybrid vehicles equipped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Electric motors take charge of running at a low speed until a constant speed is applied after starting with an electric motor. When the engine is started and the electric motor is operated as an auxiliary power to increase the acceleration, and when the electric motor is decelerated, the generator is turned by the force of the vehicle, so that the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and stored in the battery. Also, an electric vehicle (dedicated) for driving the motor by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has been developed.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에 발생되는 전기분해를 통해 전기를 얻어 충전하는 전지이다. 즉,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에 양극(구리)과 음극(알루미늄)의 2개의 전극이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잠겨 있는 장치인 리튬이온 2차 전지이다. 이때, 변형이 일어나는 물질은 전극일(활물질) 수도 있고, 용액의 성분일 수도 있으며, 용액 속으로 용해될 수도 있다. 전류(즉 전자)는 음극으로 들어가고, 용액 속에 있는 양전하를 띠고 있는 물질은 이 전극으로 이동, 전자와 결합하여 중성인 원소 또는 분자로 된다. 용액에서 음전하를 띠고 있는 성분은 양극으로 이동해 전자를 잃고 중성인 원소나 분자로 바뀐다. 만약 변화되는 물질이 전극이면 일반적으로 전극이 전자를 잃고 용액 속으로 용해되는 반응이 일어난다. 여기서, 상기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은 배터리의 캔(하우징) 개방부를 차단하는 캡 플레이트에 나사부 고정되는 터미널에 레이저 용접되어 캔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은 일측 면에 양 전극이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단자가 동일체로 마련되고, 타측 면에는 너트와 결합되어 캔에 고정시키는 한편, 외부의 전선과 연결되는 단부를 제공하는 나사부가 동일체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양 전극과 터미널의 연결단자 부분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A battery mounted on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is a battery that charges electricity by electrolysis generated i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That is, it i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n which two electrodes, positive electrode (copper) and negative electrode (aluminum), are immersed in a solution containing positive and negative ions. At this time, the material to be deformed may be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mponent of a solution, or dissolved in a solution. The current (ie, electrons) enters the cathode, and a substance that is positively charged in the solution moves to this electrode, and bonds with electrons to become a neutral element or molecule. The negatively charged components in the solution migrate to the anode, lose electrons and turn into neutral atoms or molecules. If the material to be changed is an electrode, a reaction generally occurs in which the electrode loses electrons and dissolves into the solution. Here,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laser welded to the terminal fixed to the cap plate which blocks the opening of the battery (housing), and are accommodated in the can. At this time,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both electrodes are fixed and fix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ut to fix the terminal to the can, and the screw portion for providing an end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e do. At this time,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s of the electrodes and the terminals are coupled through laser welding.

상기와 같은 배터리 터미널은 별도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에 조립되어 사용되어지는데, 종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으로는 부피체로 이루어진 피가공재료를 여러 개의 프레스기로 옮겨가면서 다수 번의 단조 가공을 통해 기본적인 형태로 성형한 가공 후,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트리밍가공), 표면을 가공하여 마무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피가공재료를 여러 개의 단조 장치로 옮겨가면서 가공을 하게 되므로, 피가공재료는 물론, 가공장치의 이동경로가 길어져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있다.The battery terminal is assembled to a separate battery terminal plate. In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a workpiece made of a volumetric material is transferred to a plurality of presses and molded into a basic shape through a plurality of forging processes. After one machining, cut off unnecessary parts (trimming), finish the surface by machining.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ha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is low due to a long travel path of a working material as well as a working material, since the working material is transferred while being transferred to a plurality of forging devices.

이에, 본원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240452호(발명의 명칭:'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서는, 다수의 가압금형이 하나의 고정블럭에 고정설치되고, 필요한 단조 가공에 따라 고정금형에 대응되는 각 가압금형을 상기 고정블럭의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금형의 대향 위치로 이동시킨 후, 피가공재료를 가압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피가공재료 및 가공장치의 성형가공에 따른 이동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Accordingly,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1240452, entitled "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 invented by the present inventor and patented, a plurality of press molds are fixedly mounted on one fixed block, , The pressing molds corresponding to the stationary mold are moved to the opposed positions of the stationary mol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tationary block, and then the press-working material is press-formed. The movement path can be minimized,

상기와 같은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의 경우,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얻어진 피가공재료를 작업자가 다시 별도 장치로 마련되는 베이스 및 좌, 우 양 클램프로 고정시킨 후, 드릴작업을 통해 중앙에 통공되게 센터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드릴작업 후, 다시 피가공재료의 일측면에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에 요구되는 안착홈(배터리 상측면에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돌기가 구비되며, 그에 대응하여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됨) 등을 가공함과 함께 소정두께로 형성시키기 위해 별도의 커터를 이용한 가공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의 경우,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 후의 별도 마무리 가공 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길이가 긴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제거되는 재료의 양이 많아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as described above, the work material obtained through the forg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steps is fixed to the base and the left and right clamps provided separately by the operator, A center hole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therewith, and after the drilling operation, on one side of the material to be machined, a seating groove required on the battery terminal p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is provided a seating projection for seat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And a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terminal plate), and a work is performed using a separate cutter to form the battery terminal plate in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the separate finishing step after the forging is complicated and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which lowers the productivity.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material remov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reases, which increases manufacturing cost.

등록특허 제10-1240452호(발명의 명칭:'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Patent No. 10-1240452 (entitled "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terminal plat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재료를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 성형 가공에 따른 재료 및 가공장치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킬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a movement path of a material and a machining apparatus during a molding process, In addition,

재료의 성형 가공 중 발생되는 버(Burr)의 제거 및 다듬질을 위한 별도 공정을 생략하여 가공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길이가 긴 형태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경우에, 다량의 버(Burr) 제거로 버려지는 재료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다.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machining process by omitting a separate process for removing and finishing the burrs generat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material an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having a long shape ,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discarded by the removal of a large amount of burrs.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발 가공된 금속 재료(1)를 이용하여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를 제조하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발 가공된 금속 재료(1)를 소정길이 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금속 재료(1)의 네 모서리를 라운딩되게 성형한 후,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1차 타격부(20)를 이용해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된 상기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전방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 측으로 타격하여, 상기 재료(1)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형성시키는 1차 가공단계;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대향 위치로 상측 이동하고,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전방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에 안착된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이송받아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위치로 하측 이동하고, 이송받은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 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타격하여 상기 재료(1) 타측면에 다수의 안착홈(84)을 형성시키고, 상기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제거하면서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의 위치에 통공되게 센터공(81)을 형성시키며, 재료(1)의 타측면에 상기 센터공(81)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형돌기(85)를 형성시키는 2차 가공단계; 상기 2차 가공단계 후,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상측 이동하고,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재료(1)에 형성된 센터공(81)의 절단면을 소정반경 확장시키면서 다듬는 3차 가공단계; 상기 3차 타격부(50)의 타격 후,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서 상기 재료(1)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재료배출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terminal plate (80) for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by a plurality of steps of forging using a metal material (1) 80), a metal material (1)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four corners of the cut metal material (1) are rounded to form a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The material (1) transferred to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by using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And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opposite side of the material 1, respectively, by hitting the side of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in front of the molding support frame 10 Primary processing step; After the primary machining step,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moves upward and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moves upward to the opposed position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10, The material 1 placed in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in the front of the mold 10 is transferred to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by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The transferred material 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nd struck to form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84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The center hole 81 is formed at the positions of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while removing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A second machining step of forming a circular protrusion 85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hole 81 on the other side; After the secondary processing step,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moves upward to move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upward to the opposed position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ing frame 40, (50) strikes the material (1) placed on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to trim the cutting surface of the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material (1) by a predetermined radius; And a material discharging step of discharging the material (1) to the outside from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fter the striking of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 ≪ / RTI >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 타격부(20)는,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21)가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은, 전방에 소정깊이로 1차 재료 가이드홈(11)이 구비되며, 상기 1차 재료 가이드홈(11)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21)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후방 중앙홈 성형로드(12)가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 가공단계에서,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 측으로 재료(1)를 타격하는 경우, 상기 1차 타격부(20)의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21) 및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후방 중앙홈 성형로드(12)가 재료(1)를 가압하여 상기 재료(1)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형성시킬 수 있고,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striking portion 20 includes a front central groove forming rod 21 protruding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 Is provided with a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ront direction, and at a side of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at a position facing the front central groove forming rod (21) Wherein the shaping rod 12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rimary striking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side of the primary shaping support frame 10 1, the front central groove forming rod 21 of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and the rear central groove forming rod 12 of the primary forming supporting frame 10 are pressed against the material 1, A front central groove 82 and a rear central groove 83 can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opposite side of the material 1, respectiv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타격부(30)는, 길이방향으로 2차 로드 이동홀(3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로드 이동홀(3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타격로드(32)가 구비되며,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4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소정깊이로 2차 재료 가이드홈(43)이 구비되며,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의 내측면에는 센터공 펀칭홀(44)이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공 펀칭홀(44)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둘레에는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42)가 상기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센터공 펀칭홀(44)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형돌기 성형홈(45)이 구비되고,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 상기 2차 타격부(30)의 2차 타격로드(32)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상기 1차 재료 가이드홈(11)에 안착된 재료(1)의 전방 중앙홈(8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에서 분리 이탈시키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 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타격하며, 상기 2차 타격로드(32)가 상기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관통하여 상기 센터공 펀칭홀(44)을 따라 전진이동하면서 센터공(81)을 통공 형성시키고,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소정거리 돌출된 다수의 상기 안착홈 성형로드를 통해 상기 재료(1)의 타측면에 다수의 안착홈(84)을 형성시키며, 상기 원형돌기 성형홈(45)으로 상기 재료(1)의 일부가 밀려들어가 재료(1)의 타측면에 원형돌기(85)를 형성될 수 있으며,Preferably,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has a secondary rod moving hole (31)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ovable along the secondary rod moving hole (31)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 forming rod moving holes 41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nd a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A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is formed at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A seating groove forming rod 42 is provided movably along the seating groove forming rod moving hole 41 and a circular groove forming groove 45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ary striking rod (32) of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is moved in the secondary staging step by the first striking rod (32) of the primary striking support frame (1) is separated from and separated from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ront central groove (82) of the material (1) And the secondary striking rod 32 passes through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to be pushed to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f the center hole punching The center hole 81 is formed through the hole 44 while advancing along the hole 44 and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through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 forming rods protruding from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art of the material 1 may be pushed into the circular protrusion forming groove 45 and a circular protrusion 85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 타격부(50)는, 길이방향으로 3차 로드 이동홀(5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3차 로드 이동홀(5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3차 타격로드(52)가 구비되며, 상기 3차 가공단계에서,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안착된 상기 재료(1)를 상기 3차 타격부(50)가 타격하면서 상기 3차 타격로드(52)가 상기 센터공(81)을 관통하며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센터공(81) 주변 절단면을 매끄럽게 가공함과 동시에 소정반경 확장시키며, 상기 재료배출단계에서,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안착된 상기 재료(1)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42)가 상기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41)을 따라 상기 재료(1) 측으로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서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has a third rod-moving hole 51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ovable in the third rod- (3)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is provided with a striking rod (52), and the material (1) seat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The third striking rod 52 moves forward through the center hole 81 to smoothly cut the cut surface around the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secondary machining step and to expand the predetermined radius , The material (1) seat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is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 molding The rod 42 advances toward the material 1 along the seating groove forming rod moving hole 41 and is mov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ut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재료준비단계에서, 네 모서리가 라운딩 성형된 금속 재료(1)를 성형된 순서대로 상기 금속 재료(1)의 측면 방향으로 자동 재료 공급부(70)에 서로 적층 구비시키고, 상기 자동 재료 공급부(70)에 측면 방향으로 서로 적층 구비된 상기 금속 재료들 중 최하부 측에 위치하는 금속 재료(1)를, 재료 이송부(9)를 통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할 수 있다.Further, in the material preparation step, the metallic material (1) having four rounded corners is laminated on the automatic material supply part (70)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1) The metal material 1 positioned on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metal materials laminat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first molding support frame 10 can be transferred to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through the material transferring section 9.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재료를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 성형 가공에 따른 재료 및 가공장치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킬수 있음과 함께,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ith,

재료의 성형 가공 중 발생되는 버(Burr)의 제거 및 다듬질을 위한 별도 공정을 생략하여 가공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길이가 긴 형태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단조 공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단면 사각형 형상으로 인발 가공된 금속 재료를 길이가 긴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길이에 맞춰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자동재료공급부에 측면으로 서로 적층시키고, 상기 자동재료공급부를 통해 재료의 측면방향으로 단조 장치에 공급하여, 종래 금속 재료의 종방향으로 단조 가공함에 따라 배터러 터미널 플레이트의 길이에 비례하여 발생하던 다량의 버(Burr) 제거를 생략할 수 있어 재료손실을 줄일 수 있고, 생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process for removing and finishing the burr generated dur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material,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fabrication process, and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having a long shape by the forging process The metal material drawn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long battery terminal plate and then laminated to each other laterally on the automatic material supply unit, And thus it is possible to omit the removal of a large amount of burr which is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battery heater terminal plate as a result of forging the metal materi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ntional metal material, The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
도 2a, 도 2b 및,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발된 금속재료의 네 모서리를 라운딩 성형하는 재료준비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3은 재료준비단계를 통해 네 모서리가 라운딩 성형된 다수의 금속재료들을 자동재료공급부에 옆면 방향으로 서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최하부 측에 위치하는 금속재료를, 재료 이송부를 이용해 1차 성형지지틀로 이송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 타격부 및 1차 성형지지틀을 이용해 재료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전방 중앙홈 및 후방 중앙홈을 형성시키는 1차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5는 1차 가공단계 후, 1차 타격부가 후퇴 및 상측 이동하면서 2차 타격부가 1차 성형지지틀의 전방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6은 2차 가공단계에서, 2차 타격부가 재료 이송을 위해 1차 성형지지틀 측으로 전진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7은 2차 가공단계에서, 2차 타격부가 1차 성형지지틀의 재료를 2차 성형지지틀 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2차 성형지지틀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8은 2차 가공단계에서, 2차 타격부가 재료를 2차 성형지지틀 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타격하여 다수의 안착홈 및 원형돌기를 형성시키고, 전방 중앙홈 및 후방 중앙홈의 위치를 펀칭하여 센터공을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9는 2차 가공단계 후, 3차 타격부가 2차 성형지지틀 전방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10은 3차 가공단계에서, 3차 타격부가 2차 성형지지틀에 놓인 재료를 타격 펀칭하여 재료에 형성된 센터공을 소정반경 확장시키면서 절단면을 다듬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11은 3차 가공단계 후, 재료를 배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공정단계를 거치면서 재료가 성형 변화되어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1 is a process block diagram showing a step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2B and 2C are cross-sectional process drawings showing a material preparation step for round-molding four corners of a drawn metal material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rounded by four corners are stacked on the automatic material supply unit side by side in the material preparation step, Fi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in which a primary striking part and a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are used to form a front central groove and a rear central groove, Fig.
5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iagram showing that the secondary striking part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primary forming supporting frame while the primary striking part moves backward and upward after the primary working step;
6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rawing showing that the secondary striking part is moved forward to the primary forming support frame side for material transfer in the secondary processing step;
Fig. 7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rawing showing that, in the secondary working step, the secondary striking part moves forward of the secondary forming supporting frame to transfer the material of the primary forming supporting frame to the secondary forming supporting frame;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 the secondary processing step, the secondary striking portion transfers the material to the side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and simultaneously strikes to form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and circular protrusions, punching the positions of the front central groove and the rear central groove 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center hole is formed;
Fig. 9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iagram showing that the third striking part moves to the front of the secondary forming support frame after the second machining step; Fig.
Fig. 10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rawing showing that, in the third machining step, the third striking portion strikes and punches the material placed in the secondary forming support frame to trim the cut surface while expanding the center hole formed in the material by a predetermined radius;
11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rawing showing the material being discharged after the third machining step; And
FIG. 12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material in a battery termina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각 장치들은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의 유압 또는 공압변화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의 단부에 고정되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된 것이나, 이러한 고정연결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devices described below is fixed to an end portion of a piston reciprocating linearly by a hydraulic or pneumatic pressure change of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so as to perform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However, such a fixed connection structure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이고, 도 2a, 도 2b 및,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발된 금속재료(1)의 네 모서리를 라운딩 성형하는 재료준비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며, 도 3은 재료준비단계를 통해 네 모서리가 라운딩 성형된 다수의 금속재료들을 자동재료공급부(70)에 옆면 방향으로 서로 적층시킨 상태에서, 최하부 측에 위치하는 금속재료(1)를, 재료 이송부(9)를 이용해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FIG. 1 is a process block diagram showing a step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2b and 2c show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iagram showing a material preparation step for rounding the four corners of the drawn metal material 1, Fig. 3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rawing showing a step of preparing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round- And the metal material 1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is transferred to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by using the material transferring section 9 in a state where the metal material 1 is stacked on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 타격부(20) 및 1차 성형지지틀(10)을 이용해 재료(1)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형성시키는 1차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고, 도 5는 1차 가공단계 후, 1차 타격부(20)가 후퇴 및 상측 이동하면서 2차 타격부(30)가 1차 성형지지틀(10)의 전방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며, 도 6은 2차 가공단계에서, 2차 타격부(30)가 재료 이송을 위해 1차 성형지지틀(10) 측으로 전진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다.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striking part 20 and a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10 are used to form a front side and a back side of a material 1, 5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iagram showing a primary machining step for forming the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moves backward and upward, 6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iagram showing that the portion 30 is moved to the front side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process view showing that the secondary striking portion 30 is a primary molding support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mold is advanced and moved toward the mold 10 side.

또한, 도 7은 2차 가공단계에서, 2차 타격부(30)가 1차 성형지지틀(10)의 재료(1)를 2차 성형지지틀(40) 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2차 성형지지틀(4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고, 도 8은 2차 가공단계에서, 2차 타격부(30)가 재료(1)를 2차 성형지지틀(40) 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타격하여 다수의 안착홈(84) 및 원형돌기(85)를 형성시키고,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의 위치를 펀칭하여 센터공(81)을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고, 도 9는 2차 가공단계 후, 3차 타격부(50)가 2차 성형지지틀(40) 전방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며, 도 10은 3차 가공단계에서, 3차 타격부(50)가 2차 성형지지틀(40)에 놓인 재료(1)를 타격 펀칭하여 재료(1)에 형성된 센터공(81)을 소정반경 확장시키면서 절단면을 다듬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고, 도 11은 3차 가공단계 후, 재료(1)를 배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공정단계를 거치면서 재료(1)가 성형 변화되어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moves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in order to transfer the material 1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to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Fig. 8 is a cross-sectional process view showing that the secondary striking unit 30 moves the material 1 to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84 and circular protrusions 85 are formed and the center hole 81 is formed by punching the positions of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9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iagram showing that the third striking part 50 moves to the front side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fter the second machining step,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third striking part 50 strikes the cut surface while striking and punching the material 1 placed on the secondary forming support frame 40 to expand the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material 1 by a predetermined radius FIG. 11 is a cross-sectional process diagram showing discharging of the material 1 after the third processing step,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aterial 1 undergoes molding change while passing through the mol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발 가공된 금속 재료(1)를 이용하여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를 제조하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크게, 제조 생산할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길이에 맞춰 소정길이로 재료(1)를 절단 성형하는 재료준비단계, 재료(1)의 일측 및 타측의 양측면에 각각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형성시키는 1차 가공단계, 상기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의 위치에 센터공(81)을 통공되게 형성하고 다수의 안착홈(84) 및 원형돌기(85)를 형성하는 2차 가공단계, 상기 센터공(81)을 소정반경으로 확장시키면서 절단면을 다듬는 3차 가공단계 및, 성형가공 완성된 재료(1)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재료배출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1,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by using a metal material 1 having a rectangular cross-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material for cutting a material 1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a battery terminal plate 80 to be manufactured and produced; A center machining step of forming a front center groove 82 and a rear center groove 83 on both sid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a center hole 81 in the position of the front center groove 82 and the rear center groove 83, A third machining step of machining the cut surface while expanding the center hole 81 to a predetermined radius, and a second machining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84 and circular protrusions 85, (1) to the outside It is formed by including a material discharge step.

상기 재료준비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생산하고자 하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단면 형상 및 가공공정을 고려해, 소정두께의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발 가공한 금속 재료(1)를 절단 이송부(2)를 이용해 생산할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길이에 맞춰 소정길이 만큼 절단하여 라운딩 지지틀(6)로 이송한다. 상기 라운딩 지지틀(6)의 전방에 위치한 라운딩 타격부(3)는 재료(1)를 타격하여, 라운딩 타격부(3)의 성형홀(5) 내부에 위치한 타격로드(4)에 닿을때까지 상기 성형홀(5)로 재료(1)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라운딩 지지틀(6)의 지지로드(7)사이에 놓여 상기 지지로드(7)를 지지로드 이동홀(8)을 따라 내측으로 밀어내고, 이 과정에서 상기 타격로드(4) 및 지지로드(7)의 각 단부 좌, 우에 형성된 라운딩 틀(도시되지는 않음)에 밀착된 재료(1)의 네 모서리가 라운딩 성형되며, 라운딩 성형된 후, 상기 성형홀(6)에서 이탈된 재료(1)를, 상기 지지로드(7)가 지지로드 이동홀(8)을 따라 외측으로 전진이동하면서, 라운딩 지지틀(6)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material preparation step is a step of cutting the metal material 1 that has been drawn and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to be manufactured and produced Is cut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to be produced by using the transferring unit (2) and transferred to the rounding support frame (6). The rounding striking part 3 located at the front of the rounding support frame 6 strikes the material 1 until it touches the striking rod 4 located inside the molding hole 5 of the rounding striking part 3 The material 1 is inserted into the molding hole 5 and is placed between the support rods 7 of the round support frame 6 to push the support rods 7 inward along the support rod movement holes 8 The four corners of the material 1 adhered to the rounding molds (not shown)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each of the impact rod 4 and the support rod 7 are subjected to rounding molding in this process, The material 1 separated from the molding hole 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ounding supporting frame 6 while the supporting rod 7 is moved forward along the supporting rod moving hole 8 do.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준비단계를 통해 네 모서리가 라운딩 성형된 금속 재료(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순서대로 재료(1)의 측면 방향으로 자동재료 공급부(70)에 서로 적층 구비시키고, 상기 자동 재료 공급부(70)에 측면 방향으로 서로 적층 구비된 상기 금속 재료들 중 최하부 측에 위치하는 금속 재료(1)를, 재료 이송부(9)를 통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시켜 종래 재료의 종방향 타격 대신 횡방향 타격을 통해 단조 가공가능하도록 하고, 재료(1)의 횡방향 타격의 단조가공을 통해 종방향 타격에 따른 버(burr)의 발생과 이를 제거하는 버 제거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버 제거에 따른 재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the metal material 1 having four corners rounded through the material preparation step is transferred to the automatic material supply unit 7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terial 1 in the order of molding, as shown in Fig. 3 And the metal material (1) positioned at the lowermost one of the metal materials laminated on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automatic material supply unit (70) is transferred through the material transfer unit (9) (10) so that forg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lateral striking instead of the longitudinal striking of the conventional material, and the occurrence of burrs due to the longitudinal striking through forging of the lateral striking of the material (1) It is possible to omit the deburring step to be removed and prevent the material loss due to burr removal.

상기 1차 가공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정블럭(60)에 고정결합되는 1차 타격부(20), 2차 타격부(30) 및 3차 타격부(50)는 고정블럭(60)의 상,하 이동으로 다같이 함께 상,하 이동하게 되며, 고정블럭(60)의 상측 이동으로 1차 타격부(20), 2차 타격부(30) 및 3차 타격부(50)도 함께 상측 이동하게 된다. 1차 성형지지틀(10)의 전방에 위치하던 1차 타격부(20)가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 측으로 타격하고, 타격시 상기 1차 타격부(20)의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21) 및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후방 중앙홈 성형로드(12)가 각각 재료(1)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을 가압하여상기 재료(1)의 일측면에는 전방 중앙홈(82)을 형성시키고, 그 대향하는 배면에는 후방 중앙홈(83)을 형성시키게 된다.4, the primary striking portion 20, the secondary striking portion 30, and the tertiary striking portion 50, which are fixedly coupled to one fixed block 60,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block 60 are moved upwardly and downwardly together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of the fixed block 60. The upward movement of the fixed block 60 causes the primary striking portion 20, the secondary striking portion 30, (50) are also moved upward. The primary striking portion 2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strikes the material 1 toward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The front center groove forming rod 21 of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and the rear central groove forming rod 12 of the primary forming supporting frame 10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of the material 1 and the other side So that a front central groove 8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terial 1 and a rear central groove 83 is formed on the opposite rear surface.

상기 2차 가공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전방에 위치하고, 도 6, 도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타격부(30)의 2차 타격로드(32)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에 안착된 재료(1)의 전방 중앙홈(8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에서 분리 이탈시키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 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타격하며, 상기 2차 타격로드(32)가 2차 로드 이동홀(31)을 따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상기 센터공 펀칭홀(44)의 내부까지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의 사이 재료를 따내고 연통시켜 센터공(81)을 통공 형성시키고,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소정거리 돌출된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42)를 통해 상기 재료(1)의 타측면에 다수의 안착홈(84)을 가압 형성시키며, 2차 재료 가이드홈(43)의 일측에 구비되는 원형돌기 성형홈(45)으로 상기 재료(1)의 일부가 밀려 들어가 재료(1)의 타측면에 원형돌기(85)를 형성시키게 된다.5, after the primary striking unit 20 is moved upward, the secondary striking unit 30 is moved in the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6, 7, and 8, the secondary striking rod 32 of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is moved forward to the side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Is inserted into the front central groove (82) of the material (1) that is seated in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The secondary striking rod 32 is detached from the mold 10 and transported to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side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nd strikes the secondary striking rod 32, 31 to the inside of the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of the secondary forming support frame 40 to draw the material between the front center groove 82 and the rear center groove 83 an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enter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84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through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 forming rods 42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s 43 A part of the material 1 is pushed into the circular protrusion forming groove 4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and circular protrusions 85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

상기 3차 가공단계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가공단계 후,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상측 이동하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안착된 상기 재료(1)를 상기 3차 타격부(50)가 타격하면서 상기 3차 타격로드(52)가 3차 로드 이동홀(51)을 따라 전진이동하여 상기 센터공(81)을 관통하여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센터공(81) 주변 절단면을 매끄럽게 다듬질함과 동시에 소정반경 확장 가공시키게 된다.9 and 10, after the secondary machining step,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moves upward, and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is supported by the secondary molding part 30, The material 3 moved upward to the opposed position of the frame 40 and the material 1 plac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is struck by the striking part 50 The third striking rod 52 advances along the third rod moving hole 51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hole 81 to smoothly cut the cut surface around the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secondary machining step At the same time, a predetermined radius expansion processing is performed.

상기 재료배출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 가공단계 후,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안착된 상기 재료(1)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42)가 상기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41)을 따라 상기 재료(1) 측으로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서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시키며, 최종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를 마치게 된다.The material discharging step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material 1 seat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fter the third processing step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 forming rods 42 of the car forming support frame 40 are moved forward along the seating groove forming rod moving holes 41 toward the material 1 side and are push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And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은,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재료(1)를 성형 가공하는 경우에 성형 가공에 따른 재료(1) 및 가공장치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킬수 있음과 함께,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terial 1 is molded through a plurality of forging processes, the material 1 and the moving path of the processing apparatus The production amount per unit time can be minimized,

재료(1)의 성형 가공 중 발생되는 버(Burr)의 제거 및 다듬질을 위한 별도 공정을 생략하여 가공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길이가 긴 형태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를 단조 공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인발 가공된 재료(1)를 생산할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길이에 맞춰 절단하고, 절단된 재료들을 상기 자동 재료 공급부(70)에 측면으로 적층시킨 후, 상기 재료 이송부(9)의 이송을 통한 횡방향 타격의 단조가공이 가능하여, 종래 재료의 종방향 타격에 따른 버(burr)의 발생과 이를 제거하는 버 제거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고, 버 제거에 따른 다량의 재료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process for removing and finishing the burr generated during the forming process of the material 1,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fabrication process, and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Is cut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battery terminal plate 80 to produce the drawn material 1 and the cut materials are laterally stacked on the automatic material supply unit 70, It is possible to perform forging of the transverse direction through the transfer of the material transferring portion 9 so that the burr due to the longitudinal striking of the conventional material and the burr removing step for removing the burr can be omit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amount of material loss from occurring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roduction cost.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금속 재료 2 : 절단 이송부
3 : 라운딩 타격부 4 : 라운딩 타격로드
5 : 라운딩 성형홀 6 : 라운딩 지지틀
7 : 라운딩 지지로드 8 : 라운딩 지지로드 이동홀
9 : 재료 이송부
10 : 1차 성형지지틀 11 : 1차 재료 가이드홈
12 : 후방 중앙홈 성형로드
20 : 1차 타격부 21 :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
30 : 2차 타격부 31 : 2차 로드 이동홀
32 : 2차 타격로드
40 : 2차 성형지지틀 41 :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
42 : 안착홈 성형로드 43 : 2차 재료 가이드홈
44 : 센터공 펀칭홀 45 : 원형돌기 성형홈
50 : 3차 타격부 51 : 3차 로드 이동홀
52 : 3차 타격로드
60 : 고정블럭
70 : 자동 재료 공급부 80 :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
81 : 센터공 82 : 전방 중앙홈
83 : 후방 중앙홈 84 : 안착홈
85 : 원형돌기
1: metal material 2: cutting feed portion
3: rounding striking part 4: rounding striking rod
5: rounding molding hole 6: rounding supporting frame
7: rounding supporting rod 8: rounding supporting rod moving hole
9: Material transfer part
10: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11: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2: rear central groove forming rod
20: primary striking portion 21: front central groove forming rod
30: secondary striking part 31: secondary rod moving hole
32: 2nd striking rod
40: secondary molding supporting frame 41: seating groove forming rod moving hole
42: seating groove forming rod 43: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4: center hole punching hole 45: circular protrusion forming groove
50: tertiary striking part 51: tertiary rod moving hole
52: 3rd striking rod
60: fixed block
70: Automatic material supply unit 80: Battery terminal plate
81: center hole 82: front center groove
83: rear central groove 84: seat groove
85: circular protrusion

Claims (5)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발 가공된 금속 재료(1)를 이용하여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를 제조하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인발 가공된 금속 재료(1)를 소정길이 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금속 재료(1)의 네 모서리를 라운딩되게 성형한 후,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하는 재료준비단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1차 타격부(20)를 이용해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된 상기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전방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 측으로 타격하여, 상기 재료(1)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형성시키는 1차 가공단계;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대향 위치로 상측 이동하고,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전방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에 안착된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이송받아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위치로 하측 이동하고, 이송받은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 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타격하여 상기 재료(1) 타측면에 다수의 안착홈(84)을 형성시키고, 상기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제거하면서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의 위치에 통공되게 센터공(81)을 형성시키며, 재료(1)의 타측면에 상기 센터공(81)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형돌기(85)를 형성시키는 2차 가공단계;
상기 2차 가공단계 후,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상측 이동하고,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재료(1)에 형성된 센터공(81)의 절단면을 소정반경 확장시키면서 다듬는 3차 가공단계;
상기 3차 타격부(50)의 타격 후,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서 상기 재료(1)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재료배출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1차 타격부(20)는,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21)가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은, 전방에 소정깊이로 1차 재료 가이드홈(11)이 구비되며, 상기 1차 재료 가이드홈(11)의 일측에는 상기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21)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후방 중앙홈 성형로드(12)가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1차 가공단계에서,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재료 가이드홈(11) 측으로 재료(1)를 타격하는 경우, 상기 1차 타격부(20)의 전방 중앙홈 성형로드(21) 및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후방 중앙홈 성형로드(12)가 재료(1)를 가압하여 상기 재료(1)의 일측면 및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형성시키고,
상기 2차 타격부(30)는, 길이방향으로 2차 로드 이동홀(3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로드 이동홀(3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타격로드(32)가 구비되며,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4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소정깊이로 2차 재료 가이드홈(43)이 구비되며,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의 내측면에는 센터공 펀칭홀(44)이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센터공 펀칭홀(44)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둘레에는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42)가 상기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센터공 펀칭홀(44)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형돌기 성형홈(45)이 구비되고,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 상기 2차 타격부(30)의 2차 타격로드(32)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상기 1차 재료 가이드홈(11)에 안착된 재료(1)의 전방 중앙홈(82)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에서 분리 이탈시키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 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타격하며, 상기 2차 타격로드(32)가 상기 전방 중앙홈(82) 및 후방 중앙홈(83)을 관통하여 상기 센터공 펀칭홀(44)을 따라 전진이동하면서 센터공(81)을 통공 형성시키고,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소정거리 돌출된 다수의 상기 안착홈 성형로드를 통해 상기 재료(1)의 타측면에 다수의 안착홈(84)을 형성시키며, 상기 원형돌기 성형홈(45)으로 상기 재료(1)의 일부가 밀려들어가 재료(1)의 타측면에 원형돌기(8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for manufacturing a battery terminal plate (80) by a plurality of steps of forging using a metal material (1)
A material preparing step of cutting a metal material 1 drawn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shaping four corners of the cut metal material 1 to be rounded and then transferring the rounded metal material 1 to a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
The material (1) transferred to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by using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And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opposite side of the material 1, respectively, by hitting the side of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in front of the molding support frame 10 Primary processing step;
After the primary machining step,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moves upward and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moves upward to the opposed position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10, The material 1 placed in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in the front of the mold 10 is transferred to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by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The transferred material 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nd struck to form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84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The center hole 81 is formed at the positions of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while removing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A second machining step of forming a circular protrusion 85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hole 81 on the other side;
After the secondary processing step,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moves upward to move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upward to the opposed position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ing frame 40, (50) strikes the material (1) placed on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to trim the cutting surface of the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material (1) by a predetermined radius;
And a material discharging step of discharging the material (1) to the outside from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fter the striking of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has a front central groove forming rod (21)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is provided with a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ront side thereof an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with the front central groove forming rod 21 A rear central groove forming rod 12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primary processing step, when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strikes the material 1 toward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side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10, the primary striking part 20 and the rear central groove forming rods 12 of the primary forming support frame 10 press the material 1 so that one side of the material 1 and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ridge- A front central groove 82 and a rear central groove 83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respectively,
The secondary striking portion 30 has a secondary rod moving hole 31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ary striking rod 32 movable along the secondary rod moving hole 31 Respectively,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has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 forming rod moving holes 41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orward direction, A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 forming rods 42 are formed around the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A circular protrusion forming groove 45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ary striking rod 32 of the secondary striking part 30 is pressed against the material 1 placed in the primary material guide groove 11 of the primary molding supporting frame 10 The material 1 is detached from the primary molding support frame 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ront central groove 82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nd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And the secondary striking rod 32 passes through the front central groove 82 and the rear central groove 83 and moves forward along the center hole punching hole 44, A plurality of seating grooves 84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through a plurality of the seating groove forming rods protr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Wherein a part of the material (1) is pushed into the circular protrusion forming groove (45) to form a circular protrusion (85) on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1) The method of the board plate (8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타격부(50)는, 길이방향으로 3차 로드 이동홀(5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3차 로드 이동홀(5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3차 타격로드(52)가 구비되며,
상기 3차 가공단계에서,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안착된 상기 재료(1)를 상기 3차 타격부(50)가 타격하면서 상기 3차 타격로드(52)가 상기 센터공(81)을 관통하며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가공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센터공(81) 주변 절단면을 매끄럽게 가공함과 동시에 소정반경 확장시키며,
상기 재료배출단계에서,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 안착된 상기 재료(1)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다수의 안착홈 성형로드(42)가 상기 안착홈 성형로드 이동홀(41)을 따라 상기 재료(1) 측으로 전진이동하면서 상기 2차 재료 가이드홈(43)에서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80)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includes a tertiary striking rod 52 which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able along the tertiary rod moving hole 51 Respectively,
The material 1 plac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is struck by the tertiary striking part 50 while the primary striking rod 50 is struck, (52)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hole (81) and moves forward to smoothly cut a cut surface around the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secondary machining step, and to enlarge a predetermined radius,
In the material discharging step, the material (1) seated in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of the secondary molding support frame (40) is pressed against the plurality of seating groove forming rods (42) moves forward from the secondary material guide groove (43) toward the material (1) side along the seating groove forming rod moving hole (41)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

삭제delete
KR1020160136740A 2016-10-20 2016-10-2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KR101831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740A KR101831796B1 (en) 2016-10-20 2016-10-2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740A KR101831796B1 (en) 2016-10-20 2016-10-2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796B1 true KR101831796B1 (en) 2018-02-23

Family

ID=6138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740A KR101831796B1 (en) 2016-10-20 2016-10-2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7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911A (en) 2022-03-15 2023-09-22 최두선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911A (en) 2022-03-15 2023-09-22 최두선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451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Rivet Type Battery Terminal Plate
KR10124045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KR101779464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KR101857096B1 (en) A Manufacturing Device of a Cell Poleplate
KR101285094B1 (en) A notch pressing device for crash box in vehicles
CN203972619U (en) A kind of automobile reinforcing plate integrated mould
KR101691937B1 (en) A Manufacturing Device of a Cell Poleplate
CN107234174A (en) The forming process of automobile longitudinal girder
KR101831796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CN107931427B (en) Punching and blanking progressive die for automobile driving rear axle oil baffle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reof
KR101381893B1 (en) Molding apparatus for processed goods
KR101488328B1 (en) Molding apparatus for processed goods
KR10124045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KR102646893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KR102535285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Rivet Type Battery Terminal Plate
CN109351863B (en) Automobile driving rear axle brake dust cover composite die and composite process
CN215279366U (en) Lithium battery accessory processing device
CN204770081U (en) Automatic blank equipment
KR101804973B1 (en) Battery electrode plate groove machining tool for electric vehicles
CN214078841U (en) Stamping tool for motor special-shaped shaft
CN114700404B (en) Stamping forming device for VDA module battery shell and stamping forming method thereof
CN220177986U (en) Automobile rear longitudinal beam stamping die
KR101323642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battery terminal plate
CN212682210U (en) Take buffer gear's car seat support stamping device
CN210139014U (en) Improved foot cu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