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344B1 -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344B1
KR101831344B1 KR1020170112437A KR20170112437A KR101831344B1 KR 101831344 B1 KR101831344 B1 KR 101831344B1 KR 1020170112437 A KR1020170112437 A KR 1020170112437A KR 20170112437 A KR20170112437 A KR 20170112437A KR 101831344 B1 KR101831344 B1 KR 10183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ewage
disposed
underground
f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찬
박병찬
박도운
김호영
Original Assignee
(주)마스엑스
박우찬
박병찬
박도운
김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스엑스, 박우찬, 박병찬, 박도운, 김호영 filed Critical (주)마스엑스
Priority to KR102017011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의 처리를 위해 마련되되 지하에 매설되게 시공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으로서,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 터널; 상기 하수 유입 터널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속의 돌, 모래, 부유물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 침사지; 상호 나란하게 다수 개로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 침사지를 통해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하수를 일정 시간 가둔 침전 작용을 통해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최초 침전지;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의 전처리 침사지와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로 유입되는 하수를 분배해서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로 공급하는 제1 분배 터널;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최초 침전지를 통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하수에 대해 실질적인 생물학적 처리를 진행하는 다수의 생물반응조;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 사이에서 상기 제1 분배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터널;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가 완료된 하수에 대하여 최종 침전 작용을 진행하여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내는 다수의 최종 침전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사이에서 상기 제1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터널;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사여과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와 상기 사여과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측의 하수를 모아서 상기 사여과지로 공급하는 제2 분배 터널; 상기 사여과지의 공정 후단부에 연결되며, 하천으로 방류하기에 적합한 수질로 만들어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여과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하 대피 터널; 및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하 대피 터널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진입 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는 모두 동굴의 형태로 마련되는 최초 침전지 동굴, 생물반응조 동굴, 최종 침전지 동굴 및 사여과지 동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Underground sewage disposal systems}
본 발명은,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처리를 위한 일련의 장치와 설비를 지하로 구축함으로써 지상의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이나 언덕처럼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지역에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공장에서 배출하는 하수는 현탁성, 콜로이드성, 용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그 상태로 자연 수역에 방류하면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수계 전염병을 전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 하수를 인위적으로 물리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정화해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하수 처리(sewage disposal)라 한다.
하수 처리는 대규모 시설이기 때문에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며, 주로 가정용 하수를 처리한다. 하수 처리는 크게, 1차 하수 처리, 2차 하수 처리, 3차 하수 처리, 오니 처리, 처분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들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1차 하수 처리는 선발에 의한 협잡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2차 하수 처리는 미생물 산화에 의한 용해성 유기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활성오니법). 그리고 3차 하수 처리는 활성탄, 응집침전 등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잔존미량유기물, 질소, 인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오니 처리는 오니의 감량을 목적으로 소화, 탈수, 소각 등을 시행하는 과정이다. 최종적으로 오니는 매립하여 처분하지만 최근에는 부식시켜 비료로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는 곳도 있다. 하수를 3차 처리까지 하면 중수도(잡용수도)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수 처리를 위한 장치 혹은 일련의 시스템을 소위, 하수 처리시스템이라 한다.
하수 처리시스템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대규모 설비로서 지자체의 공공기관에서 관리한다. 물론, 개인사업장의 경우, 소규모의 하수 처리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축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통상의 하수 처리시스템은 해당 지역 내의 모든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적절하게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장치 혹은 설비가 위치별로 구축되기 위한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대다수의 하수 처리시스템은 지상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하수 처리시스템을 지상에 구축하게 되면 지상 공간을 활용할 수 없음은 물론 산이나 언덕처럼 지상에 하수 처리시스템을 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시공 장소에 제약이 따른다는 점에서 이를 지하화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4-070193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221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1980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043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 처리를 위한 일련의 장치와 설비를 지하로 구축함으로써 지상의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이나 언덕처럼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지역에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수의 처리를 위해 마련되되 지하에 매설되게 시공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으로서,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 터널; 상기 하수 유입 터널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속의 돌, 모래, 부유물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 침사지; 상호 나란하게 다수 개로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 침사지를 통해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하수를 일정 시간 가둔 침전 작용을 통해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최초 침전지;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의 전처리 침사지와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로 유입되는 하수를 분배해서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로 공급하는 제1 분배 터널;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최초 침전지를 통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하수에 대해 실질적인 생물학적 처리를 진행하는 다수의 생물반응조;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 사이에서 상기 제1 분배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터널;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생물학적 처리가 완료된 하수에 대하여 최종 침전 작용을 진행하여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내는 다수의 최종 침전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사이에서 상기 제1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터널;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사여과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와 상기 사여과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측의 하수를 모아서 상기 사여과지로 공급하는 제2 분배 터널; 상기 사여과지의 공정 후단부에 연결되며, 하천으로 방류하기에 적합한 수질로 만들어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여과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하 대피 터널; 및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하 대피 터널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진입 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는 모두 동굴의 형태로 마련되는 최초 침전지 동굴, 생물반응조 동굴, 최종 침전지 동굴 및 사여과지 동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생물반응조는, 유기물을 이용해서 상기 하수에 남아 있는 질소를 일부 제거하는 슬러지 탈질조; 미생물을 통해 상기 하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시키는 혐기조; 상기 최종 침전지에서 하수 처리된 물을 일부 섞어서 질소의 감소량을 최대로 하는 한편 하수 처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무산소조; 및 상기 하수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통해 유기물이 합성되고 분해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작용으로 오염 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포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탈질조, 상기 혐기조,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포기조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1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2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3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4 화재여부 감지기; 및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진입 터널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및 상기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5 화재여부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하수의 처리를 위해 마련되되 지하에 매설되게 시공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으로서,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 터널; 상기 하수 유입 터널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속의 돌, 모래, 부유물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 침사지; 동일한 구조로써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다수 개로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 침사지를 통해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하수를 일정 시간 가둔 침전 작용을 통해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 내지 제4 최초 침전지;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의 전처리 침사지와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로 유입되는 하수를 분배해서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로 공급하는 제1 분배 터널;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최초 침전지를 통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하수에 대해 실질적인 생물학적 처리를 진행하는 제1 내지 제4 생물반응조;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 사이에서 상기 제1 분배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터널;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생물학적 처리가 완료된 하수에 대하여 최종 침전 작용을 진행하여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내는 제1 내지 제4 최종 침전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사이에서 상기 제1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터널;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단일의 사여과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와 상기 사여과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측의 하수를 모아서 상기 사여과지로 공급하는 제2 분배 터널; 상기 사여과지의 공정 후단부에 연결되며, 하천으로 방류하기에 적합한 수질로 만들어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여과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하 대피 터널;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하 대피 터널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진입 터널;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1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2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3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4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진입 터널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5 화재여부 감지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생물반응조는, 유기물을 이용해서 상기 하수에 남아 있는 질소를 일부 제거하는 슬러지 탈질조; 미생물을 통해 상기 하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시키는 혐기조; 상기 최종 침전지에서 하수 처리된 물을 일부 섞어서 질소의 감소량을 최대로 하는 한편 하수 처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무산소조; 및 상기 하수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통해 유기물이 합성되고 분해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작용으로 오염 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포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탈질조, 상기 혐기조,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포기조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일측에는 슬러지 호퍼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내지 상기 제5 전동식 방화 셔터에 의해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일부 공간이 비상 대피 공간부를 이루며, 상기 비상 대피 공간부에는 대피로가 연결되되 상기 대피로에는 공기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최초 침전지를 이루는 최초 침전지 동굴의 측벽 높이보다 상기 최종 침전지를 이루는 최종 침전지 동굴의 측벽 높이가 높고, 상기 최종 침전지 동굴의 측벽 높이보다 상기 생물반응조를 이루는 생물반응조 동굴의 측벽 높이가 높으며, 상기 최초 침전지 동굴, 상기 생물반응조 동굴 및 상기 최종 침전지 동굴의 폭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최초 침전지 동굴, 상기 생물반응조 동굴 및 상기 최종 침전지 동굴의 상부 아크(arc) 천장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며, 상기 생물반응조 동굴의 하부 중앙 영역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 처리를 위한 일련의 장치와 설비를 지하로 구축함으로써 지상의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이나 언덕처럼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지역에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평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최초 침전지 동굴, 생물반응조 동굴. 최종 침전지 동굴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도 5는 최초 침전지 동굴, 생물반응조 동굴. 최종 침전지 동굴의 개략적인 단면 구조도,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은 하수 처리를 위한 일련의 장치와 설비를 지하로 구축함으로써 지상의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이나 언덕처럼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지역에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4처럼 지하에 매설되게 시공된다. 이때, 지하라 함은 산이나 언덕 등의 내부 공간을 일컫는다. 본 실시예처럼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을 지하에 시공할 경우, 지상의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이나 언덕처럼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지역에도 시공하기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은 하수 유입 터널(101), 전처리 침사지(110), 최초 침전지(120), 생물반응조(130), 최종 침전지(140), 사여과지(151), 여과조(153)를 포함한다.
하수 유입 터널(101)은 하수가 유입되는 터널이다. 여기서, 하수는 생활폐수, 공장폐수, 지하수를 구비하는 오수와, 빗물의 우수를 모두 포함한다. 도면에는 하수 유입 터널(101)이 단일의 라인으로 되어 있지만 하수 유입 터널(101)은 복수의 라인이 한 데 합쳐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처리 침사지(110)는 하수 유입 터널(101)에 마련된다. 전처리 침사지(110)는 하수 유입 터널(101)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속의 돌, 모래, 부유물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전처리 침사지(110)는 별도의 물리 화학적 처리를 하는 것은 아니며, 하수 유입 터널(101)을 통해 유입되어 후공정으로 흐르는 하수 속의 돌, 모래, 부유물 등의 각종 이물질 중에서 다소 입자와 덩어리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입자와 덩어리가 큰 이물질이 걸러내어져야 후공정 등에 마련되는 펌프 등이 손상되지 않는다.
최초 침전지(120)는 전처리 침사지(110)를 통해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하수를 일정 시간 가둔 침전 작용을 통해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즉 전처리 침사지(110)에서 걸러진 입자보다 다소 작은 이물질 입자를 최초 침전지(120)에서 걸러내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제1 내지 제4 최초 침전지(120)를 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마련되는 최초 침전지(120)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호간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처리 침사지(110)를 통해 다소 입자와 덩어리가 큰 이물질이 걸러진 하수가 4개의 제1 내지 제4 최초 침전지(120)로 배분될 수 있게끔 제1 분배 터널(161)이 마련된다.
제1 분배 터널(161)은 하수 유입 터널(101)의 전처리 침사지(110)와 다수의 최초 침전지(120)에 연결되며, 하수 유입 터널(101)로 유입되는 하수를 분배해서 다수의 최초 침전지(120)로 분배해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생물반응조(130)는 최초 침전지(120)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생물반응조(130) 역시, 4개의 제1 내지 제4 생물반응조(130)로 적용되는데, 생물반응조(130)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다수 개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생물반응조(130)는 최초 침전지(120)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최초 침전지(120)를 통해 다소 입자가 작은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하수에 대해 실질적인 생물학적 처리를 진행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 하수가 생물반응조(130)를 거침으로써 정화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생물반응조(130) 모두는, 유기물을 이용해서 하수에 남아 있는 질소를 일부 제거하는 슬러지 탈질조(131)와, 미생물을 통해 하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시키는 혐기조(132)와, 최종 침전지(140)에서 하수 처리된 물을 일부 섞어서 질소의 감소량을 최대로 하는 한편 하수 처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무산소조(133)와, 하수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통해 유기물이 합성되고 분해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작용으로 오염 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포기조(1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러지 탈질조(131), 혐기조(132), 무산소조(133) 및 포기조(134)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최초 침전지(120)를 통해 다소 입자가 작은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하수는 생물반응조(130)의 슬러지 탈질조(131), 혐기조(132), 무산소조(133) 및 포기조(134)를 거치면서 하수에 대해 실질적인 생물학적 처리를 진행하여 깨끗한 물로 정화시킨다. 물론, 이 상태로 방류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최초 침전지(120)와 다수의 생물반응조(130) 사이에는 제1 분배 터널(161)과 나란하게 제1 터널(162)이 배치된다. 제1 터널(162)은 작업자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전기실이나 기계실 등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형성한다.
최종 침전지(140)는 생물반응조(130)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다. 즉 즉 본 실시예에서 최종 침전지(140) 역시, 4개의 제1 내지 제4 최종 침전지(140)로 적용되는데, 최종 침전지(140)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다수 개로 배치된다.
이러한 최종 침전지(140)는 생물반응조(130)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생물반응조(130)에서 생물학적 처리가 완료된 하수에 대하여 최종 침전 작용을 진행하여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최초 침전지(120), 생물반응조(130) 및 최종 침전지(140)는 각각 최초 침전지 동굴(125), 생물반응조 동굴(135) 및 최종 침전지 동굴(125)의 구조를 이룬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최초 침전지(120)를 이루는 최초 침전지 동굴(125)의 측벽 높이(H1)보다 최종 침전지(140)를 이루는 최종 침전지 동굴(145)의 측벽 높이(H3)가 높고, 최종 침전지 동굴(145)의 측벽 높이(H3)보다 상기 생물반응조(130)를 이루는 생물반응조 동굴(135)의 측벽 높이(H2)가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수의 처리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최초 침전지 동굴(125), 생물반응조 동굴(135) 및 최종 침전지 동굴(125)의 폭(L)은 서로 동일하며, 최초 침전지 동굴(125), 생물반응조 동굴(135) 및 최종 침전지 동굴(125)의 상부 아크(arc) 천장(125a,135a,145a)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시공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생물반응조 동굴(135)의 하부 중앙 영역에는 최초 침전지 동굴(125) 및 최종 침전지 동굴(125)과 달리 함몰부(136)가 형성된다. 함몰부(136)는 슬러지 이동로 등을 위한 장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생물반응조(130)와 다수의 최종 침전지(140) 사이에는 제1 터널(162)과 나란하게 제2 터널(163)이 배치된다. 제2 터널(163)은 제1 터널(162)과 마찬가지로 전기실이나 기계실 등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이동로를 이루고, 또한 공기의 순환로를 이룬다.
사여과지(151)는 다수의 최종 침전지(140)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최종 침전지(140)와 사여과지(151)에는 제2 분배 터널(164)이 연결된다. 제2 분배 터널(164)은 다수의 최종 침전지(140) 측의 하수를 모아서 사여과지(151)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조(153)는 사여과지(151)의 공정 후단부에 연결되는 시설로서 하천으로 방류하기에 적합한 수질로 만들어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초 침전지(120)를 비롯해서 생물반응조(130), 최종 침전지(140) 및 사여과지(151)를 경유하여 처리가 완료된 하수는 비로소 여과조(153)를 통해 하천으로 방류하기에 적합한 수질로 형성되며, 이후에 하천으로 방류된다.
이러한 구조들 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에는 지하 대피 터널(166)과, 진입 터널(167)이 더 갖춰진다.
지하 대피 터널(166)은 최초 침전지(120), 생물반응조(130), 최종 침전지(140) 및 사여과지(151)의 일측에 배치되되 작업자의 대피 공간을 이룬다. 그리고 진입 터널(167)은 지하 대피 터널(166)의 단부에 연결되되 지하 대피 터널(166)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터널이다.
지하 대피 터널(166)과 진입 터널(167)은 작업자가 최초 침전지(120), 생물반응조(130), 최종 침전지(140) 및 사여과지(151)로 접근하는 접근로를 이룰 뿐만 아니라 응급 상황 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룬다.
지하 대피 터널(166)의 일측에는 슬러지 호퍼(168)가 연결된다. 슬러지 호퍼(168)에 하수의 처리 시 발생되는 슬러지가 모아질 수 있다. 모아진 슬러지는 한번에 배출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제1 전동식 방화 셔터(17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175)의 작용에 의해 지하 대피 터널(166)의 일부 공간이 비상 대피 공간부(166a)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비상 대피 공간부(166a)에는 대피로(166b)가 연결되되 대피로(166b)에는 공기 필터(166c)가 마련된다. 따라서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제1 전동식 방화 셔터(17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175)가 내려와 지하 대피 터널(166)의 일부 공간이 비상 대피 공간부(166a)를 이루게 되는데, 이곳을 지나는 작업자는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특히, 공기 필터(166c)가 마련되기 때문에 깨끗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안전 대피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은 지하 대피 터널(166)과 제1 분배 터널(161)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1 전동식 방화 셔터(171),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1 화재여부 감지기(171a), 지하 대피 터널(166)과 상기 제1 터널(162)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2 전동식 방화 셔터(172),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2 화재여부 감지기(172a), 지하 대피 터널(166)과 상기 제2 터널(163)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3 전동식 방화 셔터(173),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3 화재여부 감지기(173a), 지하 대피 터널(166)과 상기 제2 분배 터널(164)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4 전동식 방화 셔터(174),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4 화재여부 감지기(174a), 지하 대피 터널(166)과 상기 진입 터널(167)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제5 전동식 방화 셔터(175), 그리고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5 화재여부 감지기(175a)를 포함하며, 이들의 컨트롤을 위해 컨트롤러(180)가 마련된다.
컨트롤러(180)는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171a~175a)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171~175)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171a~175a)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171~175)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171a~175a)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171~175)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80)가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171a~175a)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171~175)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 처리를 위한 일련의 장치와 설비를 지하로 구축함으로써 지상의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산이나 언덕처럼 다소 일반적이지 않은 지역에도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 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하수 유입 터널 110 : 전처리 침사지
120 : 최초 침전지 125 : 최초 침전지 동굴
130 : 생물반응조 131 : 탈질조
132 : 혐기조 133 : 무산소조
134 : 포기조 135 : 생물반응조 동굴
136 : 함몰부 140 : 최종 침전지
140 : 최종 침전지 동굴 151 : 사여과지
152 : 사여과지 동굴 153 : 여과조
154 : 여과조 동굴 161 : 제1 분배 터널
162 : 제1 터널 163 : 제2 터널
164 : 제2 분배 터널 166 : 지하 대피 터널
166a : 비상 대피 공간부 166b : 대피로
166c : 공기 필터 167 : 진입 터널
168 : 슬러지 호퍼 171 :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171a : 제1 화재여부 감지기 172 :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172a : 제2 화재여부 감지기 173 :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173a : 제3 화재여부 감지기 174 :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174a : 제4 화재여부 감지기 175 :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175a : 제5 화재여부 감지기 180 : 컨트롤러

Claims (5)

  1. 하수의 처리를 위해 마련되되 지하에 매설되게 시공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으로서,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 터널;
    상기 하수 유입 터널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속의 돌, 모래, 부유물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 침사지;
    상호 나란하게 다수 개로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 침사지를 통해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하수를 일정 시간 가둔 침전 작용을 통해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다수의 최초 침전지;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의 전처리 침사지와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로 유입되는 하수를 분배해서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로 공급하는 제1 분배 터널;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최초 침전지를 통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하수에 대해 생물학적 처리를 진행하는 다수의 생물반응조;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 사이에서 상기 제1 분배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터널;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생물학적 처리가 완료된 하수에 대하여 최종 침전 작용을 진행하여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내는 다수의 최종 침전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사이에서 상기 제1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터널;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사여과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와 상기 사여과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측의 하수를 모아서 상기 사여과지로 공급하는 제2 분배 터널;
    상기 사여과지의 공정 후단부에 연결되며, 하천으로 방류하기에 적합한 수질로 만들어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여과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하 대피 터널; 및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하 대피 터널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진입 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는 모두 동굴의 형태로 마련되는 최초 침전지 동굴, 생물반응조 동굴, 최종 침전지 동굴 및 사여과지 동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반응조는,
    유기물을 이용해서 상기 하수에 남아 있는 질소를 일부 제거하는 슬러지 탈질조;
    미생물을 통해 상기 하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시키는 혐기조;
    상기 최종 침전지에서 하수 처리된 물을 일부 섞어서 질소의 감소량을 최대로 하는 한편 하수 처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무산소조; 및
    상기 하수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통해 유기물이 합성되고 분해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작용으로 오염 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포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탈질조, 상기 혐기조,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포기조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1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2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3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4 화재여부 감지기; 및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진입 터널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및
    상기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5 화재여부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5. 하수의 처리를 위해 마련되되 지하에 매설되게 시공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으로서,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 터널;
    상기 하수 유입 터널에 마련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을 통해 유입되는 하수 속의 돌, 모래, 부유물 등의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전처리 침사지;
    동일한 구조로써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다수 개로 배치되며, 상기 전처리 침사지를 통해 1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하수를 일정 시간 가둔 침전 작용을 통해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 내지 제4 최초 침전지;
    상기 하수 유입 터널의 전처리 침사지와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하수 유입 터널로 유입되는 하수를 분배해서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로 공급하는 제1 분배 터널;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최초 침전지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최초 침전지를 통해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하수에 대해 생물학적 처리를 진행하는 제1 내지 제4 생물반응조;
    상기 다수의 최초 침전지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 사이에서 상기 제1 분배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터널;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되 상호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생물반응조들과 대응되는 것끼리 각각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생물학적 처리가 완료된 하수에 대하여 최종 침전 작용을 진행하여 상부로 부유되는 이물질을 최종적으로 걸러내는 제1 내지 제4 최종 침전지;
    상기 다수의 생물반응조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사이에서 상기 제1 터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터널;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단일의 사여과지;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와 상기 사여과지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최종 침전지 측의 하수를 모아서 상기 사여과지로 공급하는 제2 분배 터널;
    상기 사여과지의 공정 후단부에 연결되며, 하천으로 방류하기에 적합한 수질로 만들어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여과조;
    상기 최초 침전지, 상기 생물반응조, 상기 최종 침전지 및 상기 사여과지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하 대피 터널;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지하 대피 터널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진입 터널;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1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1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2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2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3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3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제2 분배 터널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4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4 화재여부 감지기;
    상기 지하 대피 터널과 상기 진입 터널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는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상기 제5 전동식 방화 셔터 영역의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제5 화재여부 감지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5 화재여부 감지기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전동식 방화 셔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생물반응조는,
    유기물을 이용해서 상기 하수에 남아 있는 질소를 일부 제거하는 슬러지 탈질조;
    미생물을 통해 상기 하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시키는 혐기조;
    상기 최종 침전지에서 하수 처리된 물을 일부 섞어서 질소의 감소량을 최대로 하는 한편 하수 처리에 필요한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무산소조; 및
    상기 하수 내에 공기를 불어넣어 미생물을 통해 유기물이 합성되고 분해되도록 하는 한편 이러한 작용으로 오염 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포기조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탈질조, 상기 혐기조, 상기 무산소조 및 상기 포기조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일측에는 슬러지 호퍼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동식 방화 셔터 내지 상기 제5 전동식 방화 셔터에 의해 상기 지하 대피 터널의 일부 공간이 비상 대피 공간부를 이루며,
    상기 비상 대피 공간부에는 대피로가 연결되되 상기 대피로에는 공기 필터가 마련되며,
    상기 최초 침전지를 이루는 최초 침전지 동굴의 측벽 높이보다 상기 최종 침전지를 이루는 최종 침전지 동굴의 측벽 높이가 높고, 상기 최종 침전지 동굴의 측벽 높이보다 상기 생물반응조를 이루는 생물반응조 동굴의 측벽 높이가 높으며,
    상기 최초 침전지 동굴, 상기 생물반응조 동굴 및 상기 최종 침전지 동굴의 폭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최초 침전지 동굴, 상기 생물반응조 동굴 및 상기 최종 침전지 동굴의 상부 아크(arc) 천장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며,
    상기 생물반응조 동굴의 하부 중앙 영역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KR1020170112437A 2017-09-04 2017-09-04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KR10183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437A KR101831344B1 (ko) 2017-09-04 2017-09-04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437A KR101831344B1 (ko) 2017-09-04 2017-09-04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344B1 true KR101831344B1 (ko) 2018-02-22

Family

ID=6138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437A KR101831344B1 (ko) 2017-09-04 2017-09-04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8556A (zh) * 2019-10-09 2020-01-1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可见光催化耦合生物电化学湿地系统及其应用
CN111594220A (zh) * 2020-06-24 2020-08-2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公轨合建隧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38B1 (ko) 2004-11-18 2005-04-14 조창호 오하수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KR101580859B1 (ko) 2015-04-30 2015-12-29 (주)디아이엔바이로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438B1 (ko) 2004-11-18 2005-04-14 조창호 오하수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KR101580859B1 (ko) 2015-04-30 2015-12-29 (주)디아이엔바이로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8556A (zh) * 2019-10-09 2020-01-1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可见光催化耦合生物电化学湿地系统及其应用
CN111594220A (zh) * 2020-06-24 2020-08-28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公轨合建隧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867B2 (en) River course ecological treatment system
CN102505728A (zh) 雨水资源化利用成套技术
KR101815246B1 (ko) 고효율 복합 인공습지 시스템
CN103953095B (zh) 集成式雨水收集利用系统及其方法
CN104289503A (zh) 一种垃圾处理系统及方法
CN104310658B (zh) 一种隧道污水处理装置
US20170113955A1 (en) Wwtp sensor cartridge
CN108623086A (zh) 高效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1831344B1 (ko) 지하 하수 처리시스템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Narcis et al. Current stage of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in small plants
CN207418444U (zh) 一种用于污染场地原位修复工程的废水处理装置
CN102050552A (zh) 一种新型的高浊度与生化一体化净水器
KR20120009030A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CN108002663A (zh) 用于城市初期雨水调蓄处理的集成处理设备
KR101532191B1 (ko)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역세척 기능이 가능한 여과블록 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Mikelonis et al. Honduran Imhoff tanks: Potentials and pitfalls
JPH06246281A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を使用する汚水浄化装置
CN201883001U (zh) 一种新型的高浊度与生化一体化净水器
CN220530944U (zh) 一种雨水回用系统的复合过滤装置
JP2017217571A (ja) 可搬式浄化槽
CN217323583U (zh) 地下矿山废水零排放系统
CN210825842U (zh) 一种分散式污废水土壤生态处理系统
KR101271327B1 (ko) 미생물담체를 이용한 침전배플을 가지는 폐수처리장치
CN208362126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