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876B1 -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의 지원 - Google Patents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의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876B1
KR101830876B1 KR1020167011952A KR20167011952A KR101830876B1 KR 101830876 B1 KR101830876 B1 KR 101830876B1 KR 1020167011952 A KR1020167011952 A KR 1020167011952A KR 20167011952 A KR20167011952 A KR 20167011952A KR 101830876 B1 KR101830876 B1 KR 10183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iscovery
peripheral device
wireless
docking station
pf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171A (ko
Inventor
시아오롱 후앙
시브라즈 싱 산두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6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 의해, 미공지된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인식된 그리고 미인식된 PFP들 둘다를 이용하여 무선 도키와 주변기기들 사이의 연결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은 미인식된 PFP를 갖는 주변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은 응답으로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발견 파라미터들을 무선 도키에 전달하고, 디바이스와 주변기기 사이의 발견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발견 파라미터들은 주변 기능, 아이덴티티 및 위치에 관련된 다양한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의 지원{SUPPORTING UNRECOGNIZED PERIPHERAL FUNCTION PROTOCOL IN A WIRELESS DOCKING STATION}
상호 참조들
[0001] 본 특허 출원은 2014년 3월 25일자로 출원된 "Supporting Unrecognized Protocol in Wireless Docking"이라는 명칭의 Huang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4/224,451호; 2013년 10월 9일자로 출원된 "Supporting Unrecognized PFPs in Wireless Docking"이라는 명칭의 Huang 등에 의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889,014호; 및 2013년 11월 11일자로 출원된 "Supporting Unrecognized PFPs in Wireless Docking"이라는 명칭의 Huang 등에 의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902,51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들 각각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다.
[0002] 다음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무선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들에 관한 것이다. 도킹 스테이션들로 또한 지칭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 무선 도킹 센터들 또는 도크(dock)들은 모니터들, 키보드들, 마우스들, 프린터들, 스캐너들, 카메라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주변 디바이스들에 컴퓨터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들은, 랩탑 컴퓨터들, 노트북 컴퓨터들, 넷북들, 태블릿들, 스마트폰들, PDA들 및 다른 유사한 전자 디바이스들과 함께 또는 이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03] 몇몇 경우들에서, 도킹 스테이션들은 도킹 스테이션에 공지된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주변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때때로, 주변기기들은 도킹 스테이션에 미공지된 PFP들(예를 들어, 사유(proprietary) PFP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미공지된 PFP에도 불구하고, 도킹 스테이션이 주변기기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또 다른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0004] 설명되는 특징들은 일반적으로, 도킹 스테이션에 의해 미공지된 PFP들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들과 관련된다. 도킹 스테이션은 미공지된 PFP를 갖는 주변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고; 그리고 도킹 스테이션은 디바이스와 주변기기 사이의 발견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파라미터들을 전자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0005]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적용가능성의 추가 범위는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설명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0006] 한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 의해,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을 갖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요청하는 단계 ―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docke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서비스 발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특정 예들에서, 서비스 발견 정보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서 파라미터를 리패키징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0007] 특정 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서비스 발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도키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예들에서, 미인식된 프로토콜은 사유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들에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및 포트 식별자 둘다를 포함할 수 있다.
[0008] 특정 예들에서, 파라미터는: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미인식된 PFP의 PFP 명칭,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광고 식별자,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 명칭,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어드레스,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정보 데이터, 또는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09] 제 2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는: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을 갖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미터 요청자 ―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요청자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파라미터 수신기; 및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 발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0010] 특정 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는 제 1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제 1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추가 모듈들 및/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제 3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는: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을 갖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요청하기 위한 수단 ―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서비스 발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0012] 특정 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는 제 1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제 1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13] 제 4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수록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을 갖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요청하게 하고 ―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에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발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0014] 특정 예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제 1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세트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방법의 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0015]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적용가능성의 추가 범위는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설명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다.
[0016] 본 발명의 특성 및 이점들의 추가적 이해가 다음의 도면들에 대한 참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참조 라벨 다음에 대시기호 및 유사한 컴포넌트들 사이를 구별하는 제 2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경우에서, 단지 제 1 참조 라벨만이 있다면, 본 설명은 제 2 참조 라벨과 관계없이 동일한 제 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하나의 컴포넌트에 적용가능하다.
[0017]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18]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19]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예시하는 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0]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예시하는 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1]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예시하는 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2]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3]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24]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5]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0026] 무선 도킹에서 미공지된 PFP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이 설명된다. 도킹 스테이션은 미공지된 PFP를 갖는 주변기기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은 디바이스와 주변기기 사이의 발견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 파라미터들을 전자 디바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0027] 미공지된 PFP들을 지원하기 위해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법들은 일반적으로 WLAN 또는 Wi-Fi 네트워크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WLAN 또는 Wi-Fi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다양한 IEEE 802.11 표준들(예를 들어, IEEE 802.11a/g, 802.11n, 802.11ac, 802.11ad, 802.11ah 등)에서 설명되는 프로토콜들에 기초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법들은 또한,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법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 이를테면, 셀룰러 무선 시스템들, 피어-투-피어 무선 통신들, 애드 혹 네트워크들, 위성 통신 시스템들 및 다른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종종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이 무선 통신들 시스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DMA), SC-FDMA(Single-Carrier FDMA) 및/또는 다른 라디오 기술들과 같은 다양한 라디오 통신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은 RAT(Radio Access Technology)라 칭해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라디오 통신 기술들의 표준화된 구현에 따라 수행된다. 라디오 액세스 기술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RAN(Radio Access Network)이라 칭해질 수 있다.
[0028] CDMA 기법들을 이용하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CDMA2000,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등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IS-2000 릴리즈들 0 및 A는 통상적으로 CDMA2000 1X, 1X 등으로 지칭된다. IS-856(TIA-856)은 통상적으로 CDMA2000 1xEV-DO, HRPD(High Rate Packet Data) 등으로 지칭된다. UTRA는 WCDMA(Wideband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들의 예들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의 다양한 구현들을 포함한다. OFDM 및/또는 OFDMA를 이용하는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UMB(Ultra Mobile Broadband), E-UTRA(Evolved UTRA), 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을 포함한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부분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LTE-Advanced)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새로운 릴리즈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되는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로 명명되는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들 및 라디오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들 및 라디오 기술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0029] 따라서, 다음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기술된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논의되는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이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프로시저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생략, 대체 또는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되는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되는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결합될 수 있다.
[0030]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블록도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시스템(100)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 주변 디바이스들(110) 및 무선 도키(115)를 포함한다. 주변 디바이스들(110)은, 각각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변 기능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110-a)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포인터를 제어하는 주변 기능을 갖는 마우스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변 디바이스(110-b)는 사용자 입력의 주변 기능을 갖는 키보드이다. 주변 디바이스(110-c)는, 예를 들어, 인쇄 및 스캔의 주변 기능을 갖는 멀티-기능 프린터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은 내장(embed)된 주변기기들, 이를테면, 주변 디바이스(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들(110)의 전부 또는 그 일부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이와 통신할 수 있다.
[0031] 무선 도키(115)는, 예를 들어, Wi-Fi를 활용하여,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에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무선 도키(115)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을 통해 이용가능한 주변 기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을 찾거나 또는 이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은 주변 기능들, 및 이에 따라, 무선 도키(115)에 대해 이용가능한 주변 디바이스들을 광고할 수 있다. 일단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에 연결(예를 들어, 도킹)되면, 무선 도키(115)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을 통해 이용가능한 주변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0032]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은 다양한 공지된 그리고/또는 일반적 PFP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은 미라캐스트,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802.11ad("WiGig"),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및/또는 WFDS ASP(Wi-Fi Direct Services Application Service Platform)를 지원할 수 있다. 주변기기들(110) 중 몇몇은 이러한 공지된 PFP들을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은 이러한 주변기기들(110)과 관련된 서비스 발견 정보(발견 정보로 또한 지칭됨)를 무선 도키(115)에 쉽게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들에서, 주변 디바이스(110)는 미공지된 PFP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110)는 사유 PFP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은 주변 디바이스(110)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0033] 그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블록도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시스템(200)은 시스템(100)의 양상들의 예일 수 있다. 시스템(200)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 주변 디바이스(110-e) 및 무선 도키(115-a)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은 시스템(100)의 대응하는 디바이스들의 예들일 수 있다.
[0034]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변 디바이스(110-e)는 미인식된 또는 미공지된 PFP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이다. 주변 디바이스(110-e)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 외부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하는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주변 디바이스(110-e)로부터 요청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10-e)는 요청된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에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차례로, 주변 디바이스(110-e)에 관련된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115-a)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발견 정보는 수신된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발견 정보는 수신된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은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리패키징함으로써 서비스 발견 정보를 생성하고, 그 다음,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115)에 송신한다.
[0035]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주변 디바이스들(110-e)로부터 몇몇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 중 임의의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로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PFP 명칭, 광고 식별자, 서비스 명칭, 네트워크 어드레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정보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역할을 요청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은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임의의 결합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임의의 또는 모든 이러한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그것이 무선 도키(115-a)에 송신하는 서비스 발견 정보에 통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서비스 발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도키(115-a)와 주변 디바이스(110-e)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주변 디바이스(110-e)의 미인식된 PFP에도 불구하고, 무선 도키(115-a)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발견 정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주변 디바이스(110-e)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변 기능들과 연결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0036] 몇몇 경우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또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미인식된 PFP를 사용하여 주변 디바이스(110-e)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110-e)가 미인식된(예를 들어, 사유) PFP를 이용한다면,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e)은 주변 디바이스(110-e)가 미인식된 PFP의 명칭을 제공하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110-e)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 주변 디바이스(110-e) 및/또는 무선 도키(115-a)에 의해 공지 및 활용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특정 엘리먼트 또는 서브-엘리먼트에서 미인식된 PFP의 명칭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차례로, 서비스 발견 정보의 부분으로서 미인식된 PFP의 명칭을 무선 도키(115-a)에 제공할 수 있다.
[0037]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 주변 디바이스(110-e) 및 무선 도키(115-a)는 PFP 파라미터들 및/또는 서비스 발견 정보를 요청 및 교환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들은 UPnP, WFDS ASP, 및/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파라미터들 및 서비스 발견 정보는 WFDS APS 또는 XML 스트링의 서브-엘리먼트들의 특정 엘리먼트들을 점유할 수 있다. 예로서, 단순한 XML 타입 "PfpName"은 PFP의 명칭을 식별할 수 있다. 단순한 XML 타입 "PfpNameEnum"은 표준 PFP의 명칭을 식별할 수 있고; 단순한 XML 타입 "PfpNameAnyString"은 미공지 또는 미인식된 PFP들의 명칭들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a)은 표준화 및 비표준화된(예를 들어, 사유) PFP들 둘다를 광고할 수 있다.
[0038]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예시하는 호 흐름도(300)이다. 도면(3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스템들(100 및 200)의 양상들을 예시할 수 있다. 도면(300)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 주변 디바이스(110-f) 및 무선 도키(115-b)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은 시스템들(100 및 200)의 대응하는 디바이스들의 예들일 수 있다.
[0039]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은 주변 디바이스(110-f)와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305). 주변 디바이스(110-f)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 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그 외부에 있을 수 있다. 통신의 설정(305) 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은 주변 디바이스(110-f)가 미인식 또는 미공지된 PFP를 이용함을 결정할 수 있다(310).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은 주변 디바이스(110-f)로부터 서비스 발견 정보 또는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315). 주변 디바이스(110-f)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 내에 내장되면,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은 또한, 주변 디바이스(110-f)의 사용을 구동시키는 PFP의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110-f)는 서비스 발견 정보 또는 파라미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320). 내장된 주변 디바이스(110-f)는 또한, 추가 드라이버 파라미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발견 정보의 수신 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b)은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115-b)에 송신할 수 있다(325). 서비스 발견 정보(325)는, 예를 들어, 전송 프로토콜 또는 포트 번호, 또는 이 둘 모두를 포함한다.
[0040] 그 다음,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예시하는 호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도면(4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스템들(100 및 200)의 양상들을 예시할 수 있다. 도면(400)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 주변 디바이스(110-g) 및 무선 도키(115-c)를 포함한다. 이들 각각은 시스템들(100 및 200)의 대응하는 디바이스들의 예들일 수 있다.
[0041]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은 주변 디바이스(110-g)와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405). 주변 디바이스(110-g)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 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그 외부에 있을 수 있다. 통신의 설정(405) 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은 주변 디바이스(110-g)가 미인식 또는 미공지된 PFP를 이용함을 결정할 수 있다(410).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은 서비스 발견 정보 또는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415). 주변 디바이스(110-g)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 내에 내장되면,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은 또한, 주변기기의 사용을 구동시키는 PFP의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 및 주변 디바이스(110-g) 둘다에 선험적으로 공지된 표준화된 포맷으로 요청이 수행될 수 있다(415). 이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110-g)는 서비스 발견 정보 또는 파라미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420). 내장된 주변 디바이스(110-g)는 또한, 추가 드라이버 파라미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발견 정보(420)는: 전송 프로토콜, 포트 번호, 광고 식별, 서비스 명칭, 네트워크 또는 IP 어드레스, 서비스 정보, 네트워크 역할 또는 다른 적합한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발견 정보(420)는 PFP 명칭을 포함한다.
[0042]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 각각은 주변 디바이스(110-g)에 대한 특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로서, 전송 프로토콜 파라미터는 주변 디바이스(110-g)가 사용하는 전송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표시하고, 포트 번호는 주변 디바이스(110-g)가 어떤 IP 포트를 활용하는지를 표시한다. PFP 명칭은 주변 디바이스(110-g)가 활용하는 미인식된 PFP의 명칭일 수 있다. 광고 식별은 주변 디바이스(110-g)가 연결에 대해 이용가능하다는 표시일 수 있다. 서비스 명칭은 주변 디바이스(110-g)가 제공하는 주변 기능의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서비스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110-g)의 주변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주변 디바이스(110-g)의 IP 어드레스일 수 있다. 그리고, 몇몇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역할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시나리오에서 주변 디바이스(110-g)의 의도된 역할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역할은 주변 디바이스(110-g)가 그것과 또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있는 것처럼 마스터 또는 슬래이브 역할을 가정하도록 의도함을 표시할 수 있다.
[0043]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은 서비스 발견 정보를 리패키징하고(425), 그 다음, 그것은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115-c)에 송신한다(430). 무선 도키(115-c)는 서비스 발견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 디바이스(110)를 선택할 수 있고, 무선 도키(115-c)는 주변 디바이스 선택을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에 표시할 수 있다(435).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은 그 다음, 무선 도키(115-c)와 주변 디바이스(110-g)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440).
[0044]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예시하는 호 흐름도(500)를 도시한다. 도면(5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시스템들(100 및 200)의 양상들을 예시할 수 있다. 도면(500)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 주변 디바이스들(110-h 및 110-i) 및 무선 도키(115-d)를 포함한다. 주변 디바이스들(110-h 및 110-i)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c) 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그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이들 각각은 시스템들(100 및 200)의 대응하는 디바이스들의 예들일 수 있다.
[0045]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주변 디바이스(110-h)와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505). 통신의 설정(505) 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주변 디바이스(110-h)가 활용하는 PFP를 인식할 수 있다(510).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인식된 PFP에 따라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115-d)에 전달할 수 있다(515).
[0046]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또한, 주변 디바이스(110-i)와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520). 통신의 설정(520) 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주변 디바이스(110-i)가 미인식 또는 미공지된 PFP를 이용함을 결정할 수 있다(525). 따라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서비스 발견 정보 또는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530). 주변 디바이스(110-i)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 내에 내장되면,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또한, 주변 디바이스(110-i)의 사용을 구동하는 PFP의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요청(530)은, 예를 들어,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 및 주변 디바이스(110-i) 둘다에 선험적으로 공지된 비-사유(non-proprietary)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110-i)는 서비스 발견 정보 또는 파라미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535). 내장된 주변 디바이스(110-i)는 또한, 추가 드라이버 파라미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발견 정보(535)는: 전송 프로토콜, 포트 번호, PFP 명칭, 광고 식별, 서비스 명칭, 네트워크 어드레스, 서비스 정보, 네트워크 역할 또는 다른 적합한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d)은 차례로,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115-d)에 송신할 수 있다(550).
[0047] 그 다음,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디바이스(105-e)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5-e)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일 수 있고, 그것은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105)의 예일 수 있다. 디바이스(105-e)는 수신기 모듈(610),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 및 송신기 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 각각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5-e)는 프로세서 모듈(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0048] 디바이스(105-e)의 다양한 모듈들은 본원에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모듈(62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에 대한 요청을 주변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수신기 모듈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되는 파라미터들을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은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서비스 발견 정보로서 패키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몇몇 경우들에서, 송신기 모듈(620)은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디바이스(105-e)는 외부의 주변 디바이스들 및 내장된 주변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0049] 몇몇 실시예들에서,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은 무선 도키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은, 수신기 모듈(610) 및 송신기 모듈(620)과 결합하여, 주변 입력/출력 신호들을 무선 도키로부터 수신하고, 이들을 주변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바이스(105-e)는 입력/출력 신호들을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이들을 무선 도키에 송신할 수 있다.
[0050] 디바이스들(105-e)의 컴포넌트들은 하드웨어에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ASIC들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집적 회로들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또는 코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FPGA들 및 다른 반-주문형(Semi-Custom) IC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일반형 또는 주문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된, 메모리 내에 구현되는 명령들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0051]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700)을 도시한다. 시스템(700)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f), 주변 디바이스들(110-j) 및 무선 도키들(115-e)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디바이스들(110-j)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f)의 외부에 있을 수 있지만, 몇몇 경우들에서, 주변 디바이스들(110-j)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f) 내에 내장된다. 도킹 스테이션(105-f)은 상기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디바이스들(105)의 예일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105-f)은 프로세서 모듈(705), 메모리 모듈(710)(소프트웨어 모듈(715)을 포함함), 트랜시버 모듈(720), 안테나(들)(725), 주변 디바이스 통신 모듈(730), 무선 도키 통신 모듈(735), 주변 기능 노출 모듈(740) 및 연결 관리 모듈(74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 모듈(들)(720)은 송신기로 지칭될 수 있다.
[0052] 안테나(들)(725)와 함께, 트랜시버 모듈(720)은 무선 도키들(115-e) 및/또는 주변 디바이스(들)(110-j)와의 무선 송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주변 디바이스 통신 모듈(730)은 주변 디바이스들(110-j)와의 유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도키 통신 모듈(735)은 무선 도키(115-e)와의 유선 통신들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무선 도키(115-e)는 특정 동기화 동작들을 위해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f)에 유선을 통해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0053] 주변 기능 노출 모듈(740)은 주변 디바이스들(110-j)의 주변 기능들을 식별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를 결정할 수 있다. 주변 기능 노출 모듈(740)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f)을 통해 이용가능한 주변 기능들의 광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54] 연결 관리 모듈(745)은 무선 도키들(115-e)과 주변 디바이스들(110-j) 사이의 연결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관리 모듈(745)은 트랜시버 모듈(720)과 결합하여, 주변 입력/출력 신호들을 무선 도키로부터 수신하고, 이들을 주변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 관리 모듈(745)은 입력/출력 신호들을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이들을 무선 도키에 송신할 수 있다.
[0055]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f)은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a)을 포함한다.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a)은 실질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대응하는 모듈과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a)은 연결된 주변기기가 인식된 PFP를 사용하고 있는지 아니면 미인식된 PFP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a)은 또한, 인식된 PFP 모듈(750) 및 미인식된 PFP 모듈(755)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된 PFP 모듈(750)은 파라미터 결정 모듈(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인식된 PFP 모듈(750)은 연결된 주변기기가 인식된 PFP를 이용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인식 또는 공지된 PFP들을 이용하는 그 주변기기들에 대해, 파라미터 결정 모듈(760)은 주변기기의 발견 시 무선 도키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0056] 미인식된 PFP 모듈(755)은 파라미터 요청 모듈(765), 파라미터 수신 모듈(770) 및/또는 파라미터 리패키징 모듈(77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모듈들은 대안적으로, 각각 파라미터 요청기, 파라미터 수신기 및 파라미터 리패키저(repackager)로 지칭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미인식된 PFP 모듈(755)은 연결된 주변기기가 미인식된 PFP를 이용하는 경우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미인식 또는 미공지된 PFP들을 이용하는 그 주변기기들에 대해, 파라미터 요청 모듈(765)은, 예를 들어,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트랜시버 모듈(720)을 통해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파라미터 수신 모듈(770)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파라미터 리패키징 모듈(775)은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패키징하고, 주변기기 발견 시 사용하기 위해 이들을 무선 도키(115-e)에 송신되도록 준비할 수 있다.
[0057]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a)의 동작들은 도 3-5에 대한 참조에 의해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발견 관리 모듈(615-a)은 호 흐름도(5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호 흐름 시퀀스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58] 메모리 모듈(710)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710)은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 모듈(705)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예를 들어,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들의 요청, 수신 및 송신 등)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펌웨어 코드(715)를 저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코드(715)는, 프로세서 모듈(705)에 의해 직접적으로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컴파일링되고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705)은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59] 무선 도킹 스테이션(105-f)의 모듈들 각각은, 예를 들어, 통신 버스(78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0060] 도 8은 위에서 설명된 원리들의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8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800)은 이전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예들에서, 도 1-7의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 도 6의 모듈들(610, 615 또는 620); 및/또는 도 7의 모듈들(705, 710, 715, 720, 725, 730, 735, 740, 745, 750, 755, 760, 765, 770, 775, 또는 615-a)은 도 8의 방법(800)과 관련하여 예시되는 블록들(805, 810, 815)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0061] 블록(805)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미인식된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를 갖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요청할 수 있다. 미인식된 PFP는 사유 PFP, 또는 무선 도킹이 익숙하지 않은 다른 PFP일 수 있다. 파라미터는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810)에서, 파라미터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블록(815)에서, 서비스 발견 정보는 무선 도키에 송신될 수 있다. 서비스 발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0062] 도 9는 위에서 설명된 원리들의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9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900)은 도 8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법(800)의 예일 수 있다. 방법(900)은 이전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예들에서, 도 1-7의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10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도킹 스테이션들; 도 6의 모듈들(610, 615 또는 620); 및/또는 도 7의 모듈들(705, 710, 715, 720, 725, 730, 735, 740, 745, 750, 755, 760, 765, 770, 775 또는 615-a)은 도 9의 방법(900)과 관련하여 예시되는 블록들(905, 910, 915, 920, 925, 930, 935)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0063] 블록(905)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주변 디바이스를 검출할 수 있다. 블록(910)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주변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0064] PFP가 인식되면(블록(910), 예),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블록(915)에서, 인식된 PFP 및 검출된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공지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검출된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 발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검출된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생성된 서비스 발견 정보는 블록(930)에서 무선 도키에 송신될 수 있고,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블록(935)에서 서비스 발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도키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65] PFP가 인식되지 않으면(블록(910), 아니오),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PFP 명칭,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광고 식별자,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 명칭,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 어드레스,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UDP(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IP),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포트 번호(예를 들어, IP 포트),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 정보,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역할 등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요청할 수 있다. 블록(925)에서, 검출된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 발견 정보는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요청된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블록(930)에서, 검출된 주변 디바이스에 대해 생성되는 서비스 발견 정보는 무선 도키에 송신될 수 있고, 블록(935)에서, 무선 도킹 스테이션은 서비스 발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도키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66]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들만을 표현하지는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법들의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기법들은 이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잘-알려져 있는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67]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0068] 본원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69]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기인하여, 앞서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의 결합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하여, 물리적으로 다양한 포지션들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중 적어도 하나"가 후속되는 항목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되는 "또는"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 및 B 및 C)를 의미하도록, 택일적인 리스트를 나타낸다.
[0070]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들은, 하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들을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다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위의 것들의 결합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0071] 본 개시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실시하거나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고, 본원에서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예" 또는 "예시적"이라는 용어는, 예 또는 예증을 나타내며, 기술된 예에 대한 어떠한 선호도를 의미하거나 또는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서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따를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도킹 스테이션(wireless docking station)에 의해 수행되고,
    주변 디바이스의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가 상기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 의해 미인식된다고 결정하는 단계 ― 미인식된 PFP는 사유(proprietary) PFP를 포함함 ―;
    상기 미인식된 PFP를 갖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요청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wireless docke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리패키징(repackage)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도키와 상기 주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및 상기 포트 식별자 둘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미인식된 PFP의 PFP 명칭,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광고 식별자,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 명칭,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어드레스,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정보 데이터, 또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로서,
    주변 디바이스의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가 미인식된다고 결정하는 서비스 발견 매니저 ― 미인식된 PFP는 사유 PFP를 포함함 ―;
    상기 미인식된 PFP를 갖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는 파라미터 요청자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파라미터 요청자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파라미터 수신기; 및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리패키징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를 생성하는 파라미터 리패키저(repackager)를 더 포함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도키와 상기 주변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및 상기 포트 식별자 둘다를 포함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미인식된 PFP의 PFP 명칭,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광고 식별자,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서비스 명칭,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어드레스,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정보 데이터, 또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11.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로서,
    주변 디바이스의 PFP가 미인식된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 ― 미인식된 PFP는 사유 PFP를 포함함―;
    상기 미인식된 PFP를 갖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서비스 발견 정보를 무선 도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리패키징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및 상기 포트 식별자 둘다를 포함하는,
    무선 도킹 스테이션 장치.
  14.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수록되는(embodied)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주변 디바이스의 PFP(peripheral function protocol)가 미인식된다고 결정하게 하고 ― 미인식된 PFP는 사유 PFP를 포함함―;
    상기 미인식된 PFP를 갖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게 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또는 포트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서비스 발견 정보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는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 14 항에 잇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를 리패키징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발견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 14 항에 잇어서,
    상기 주변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발견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프로토콜 식별자 및 상기 포트 식별자 둘다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7011952A 2013-10-09 2014-09-29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의 지원 KR101830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89014P 2013-10-09 2013-10-09
US61/889,014 2013-10-09
US201361902519P 2013-11-11 2013-11-11
US61/902,519 2013-11-11
US14/224,451 2014-03-25
US14/224,451 US9619424B2 (en) 2013-10-09 2014-03-25 Supporting unrecognized protocol in wireless docking
PCT/US2014/058104 WO2015053976A1 (en) 2013-10-09 2014-09-29 Supporting unrecognized peripheral function protocol in a wireless docking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171A KR20160067171A (ko) 2016-06-13
KR101830876B1 true KR101830876B1 (ko) 2018-02-21

Family

ID=5277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952A KR101830876B1 (ko) 2013-10-09 2014-09-29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의 지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19424B2 (ko)
EP (1) EP3055982B1 (ko)
JP (1) JP6235132B2 (ko)
KR (1) KR101830876B1 (ko)
CN (1) CN105659574A (ko)
WO (1) WO2015053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1692A1 (en) * 2012-05-21 2013-11-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pairing in a wireless docking system
US9330047B2 (en) 2013-01-15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ocking service with direct connection to peripherals
WO2014189318A1 (en) * 2013-05-23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xy based communication scheme in docking structure
US9619646B2 (en) 2013-05-24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control for wireless docking
US9811116B2 (en) * 2013-05-24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Utilization and configuration of wireless docking environments
US9832596B2 (en) 2013-05-24 2017-11-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ocking architecture
US9547619B2 (en) 2013-05-24 2017-01-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ocking
US11231448B2 (en) 2017-07-20 2022-01-25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power management and discovery
US11360534B2 (en) * 2019-01-04 2022-06-14 Targus Internatonal Llc Smart workspace management system
GB2584408B (en) * 2019-05-15 2023-04-26 Displaylink Uk Ltd Cloud-based hotdesking
AU2020333961A1 (en) 2019-08-22 2022-02-24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ipant-controlled video conferenc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183A (ja) 2006-01-11 2007-07-26 Fujitsu Ltd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発見方法
WO2012117306A1 (en) 2011-03-01 2012-09-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a wireless secured communication among devices
US20120265913A1 (en) 2011-04-18 2012-10-1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 wireless docking group
US20130145050A1 (en) 2011-12-06 2013-06-0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ocki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2600A1 (en) * 2003-01-21 2004-07-22 Metz Kristofer Erik Docking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7146449B2 (en) * 2004-12-22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luetooth association with simple power connection
JP4626582B2 (ja) * 2006-07-03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ド型周辺機器およびカード通信システム
US20080028118A1 (en) * 2006-07-31 2008-01-31 Craig Peter Sayers Portable dock for a portable computing system
US8869308B2 (en) 2010-05-20 2014-10-21 High Sec Labs Ltd. Computer motherboard having peripheral security functions
EP2541368B1 (en) * 2011-06-30 2016-09-14 BlackBerry Limited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20433B2 (en) 2011-10-05 2015-04-28 Apple Inc. Low power wireless device discovery
US9442526B2 (en) 2012-05-04 2016-09-13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US20130311692A1 (en) 2012-05-21 2013-11-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pairing in a wireless docking system
US9152527B2 (en) 2012-07-09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peripherals and their states at a docking host for wireless dock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8183A (ja) 2006-01-11 2007-07-26 Fujitsu Ltd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発見方法
WO2012117306A1 (en) 2011-03-01 2012-09-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a wireless secured communication among devices
US20120265913A1 (en) 2011-04-18 2012-10-1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 wireless docking group
US20130145050A1 (en) 2011-12-06 2013-06-0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o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2928A (ja) 2016-10-20
CN105659574A (zh) 2016-06-08
JP6235132B2 (ja) 2017-11-22
US9619424B2 (en) 2017-04-11
WO2015053976A1 (en) 2015-04-16
KR20160067171A (ko) 2016-06-13
EP3055982B1 (en) 2017-08-02
US20150100715A1 (en) 2015-04-09
EP3055982A1 (en)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876B1 (ko) 무선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미인식된 주변 기능 프로토콜의 지원
US10009068B2 (en) Seamless tethering setup between phone and laptop using peer-to-peer mechanisms
KR101736325B1 (ko) 주변기기들로의 직접 접속에 의한 무선 도킹 서비스
KR101876533B1 (ko) 도키-중심 무선 도킹
KR101852067B1 (ko) 벤더-특정 도킹 관리 동작들
US9634757B2 (en) Vicinity-based undocking for a wireless docking application
WO20181422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on of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in an access network environment
KR20140088210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기 전에 프린터를 인증하는 방법
EP3130160B1 (en) Wireless docking/undocking using fine time measurement
KR101743181B1 (ko) 무선 도킹에서 주변 기능 프로토콜들로서 wi―gig 버스 익스텐션 및 wi―gig 디스플레이 익스텐션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
KR20140088191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프린터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US914890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EP3084641B1 (en) Hash partial matching for dis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