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432B1 - Junction box for vehicle - Google Patents
Junction box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0432B1 KR101830432B1 KR1020170159711A KR20170159711A KR101830432B1 KR 101830432 B1 KR101830432 B1 KR 101830432B1 KR 1020170159711 A KR1020170159711 A KR 1020170159711A KR 20170159711 A KR20170159711 A KR 20170159711A KR 101830432 B1 KR101830432 B1 KR 1018304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module
- module member
- detachable portion
- housing
- detach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차량용 정션박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정션박스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형성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구비되고, 커넥터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수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부에 교환 설치되는 커넥터모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vehicle junction box is disclosed. The disclosed junction box for a vehicle includes a housing, a housing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and a connector module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the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onnectors, .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모듈부재를 커넥터의 설치 개수를 기준으로 다수개 제작하여 하우징에 착탈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착탈함으로써, 커넥터의 개수에 따라 하우징 전체를 신규 제작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junction box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 members based on the number of connectors, and selectively attaching / detaching the connector module members using a detachabl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junction box capable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must be produc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Generally, an electric device of a car can be likened to a nervous system, and only when the electric device is normally operated, the performance of the car can be demonstrated properly.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박스(Junction Box)가 사용된다.All of these automobile electrical devices are connected to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inside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by wires, and as junctions between these wires and ECUs, Is used.
이러한 정션박스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부커버로 이루어진다.Such a junction box is composed of a cas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and a top cover which is joined at the top of the case to form a basic skeleton.
그런데, 기존의 정션박스는 커넥터 및 전선 터미널이 체결되는 정션블록이 케이스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커버에 형성되는 커넥터 역시 일체로 형성되므로 커넥터의 개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졍션블록 전체를 신규로 제작해야 하고, 그로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잇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junction box, since the junction block in which the connector and the wire terminal are fastened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case and the connector formed on the cover is also integrally formed, when the number of connectors is to be chan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0053호(2007.03.20,발명의 명칭: 차량용 모듈형 정션박스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00053 (Mar. 20, 2007, entitled " Vehicle Modular Junction Box Structur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커넥터모듈부재를 커넥터의 설치 개수를 기준으로 다수개 제작하여 하우징에 착탈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착탈함으로써, 커넥터의 개수에 따라 하우징 전체를 신규 제작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 members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connectors to be mount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vehicle junction box capable of eliminating inconvenience caused by a vehic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정션박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고, 커넥터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수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에 교환 설치되는 커넥터모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And a connector module member which is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i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connectors and is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housing portion as required.
또한, 상기 커넥터는 1개 내지 N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one to N of the connectors are formed, and the connectors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lateral or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onnector module member.
또한, 상기 커넥터모듈부재는 착탈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nector module member is hooked or released from the housing by the detachable portion.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모듈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모듈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착탈부에 장착되거나 장착 해제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achabl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detachable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housing and the connector module member; And a second detachable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housing and the connector module member and being mounted on or dismounted from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by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제2착탈부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 및 상기 경사면부를 따라 진입하는 상기 제2착탈부를 걸어주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detachable portion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portion inclined upward from the upper side to guide the entry of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And a hooking groove portion for hooking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entering along the inclined face portion.
또한,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축공간부;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중심부 측면에서 상기 압축공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에서 상기 압축공간부의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넥터모듈부재 측면으로 누름 및 누름 해제되며, 상기 제1착탈부에 걸리는 걸림턱부를 구비하는 탄성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may include: a compression spac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sid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toward the compression space; And an elastic latch member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mpression space portion in the support protrusion and being pressed and unlocked by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rotrusion portion and having an engagement protrusion that is engaged with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
또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일측에 설정 간격으로 갖도록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elastic engaging member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커넥터모듈부재를 커넥터의 설치 개수를 기준으로 다수개 제작하여 하우징에 착탈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착탈함으로써, 커넥터의 개수에 따라 하우징 전체를 신규 제작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The vehicle junction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 members form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connectors and selectively removes the connector module using a detachable portion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newly manufacturing the entire hous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nectors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분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수용부에 다수개의 커넥터모듈부재가 교환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2개의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모듈부재가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커넥터모듈부재를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착탈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agmentary sectional view showing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 members are replaceably mounted in a receiving portion of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module member having two connectors in FIG. 2 is mounted on a receiving por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or module member of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operation of a detachable portion of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ehicle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분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수용부에 다수개의 커넥터모듈부재가 교환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2개의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모듈부재가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커넥터모듈부재를 분리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착탈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agmentary sectional view showing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jun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module member having two connectors in FIG. 2 is mounted in a receiving por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module member of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operation of a detachable portion of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수용부(200)와, 수용부(200)에 구비되고, 커넥터(310)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수개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용부(200)에 교환 설치되는 커넥터모듈부재(300)를 포함한다.1 to 5, a junction box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커넥터모듈부재(300)를 하우징(100)에서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310)의 장착홀부(320) 변경에 따라 커넥터모듈부재(300)를 설계변경하여야 할 때 커넥터모듈부재(300)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설계변경시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커넥터모듈부재(1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커넥터모듈부재(300)는 커넥터(310)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교환 장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커넥터모듈부재(300)에서 커넥터(310)는 1개 내지 N개 형성된다.One to
커넥터(310)의 개수에 상관없이 커넥터모듈부재(300)의 크기는 동일하다.The size of the
커넥터(310)는 커넥터모듈부재(300)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커넥터모듈부재(300)에서 커넥터(310)의 배열 형태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310)가 1개, 2개 3개, 4개 형성된 커넥터모듈부재(300)를 각각 도사하고 있으며, 커넥터(310)가 세로방향으로 배열 상태를 보이고 있다.Referring to FIG. 2,
이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넥터(310)의 개수를 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커넥터모듈부재(300)를 선택하여 하우징(100)의 수용부(200)에 조립하면 된다.In this way, the number of the
커넥터모듈부재(300)는 착탈부(400)에 의해 하우징(100)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될 수 있다.The
착탈부(400)는 하우징(100)과 커넥터모듈부재(3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410)과, 하우징(100)과 커넥터모듈부재(30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제1착탈부(310)에 장착되거나 장착 해제되는 제2착탈부(420)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부(400)는 제1착탈부(410)가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착탈부(420)가 커넥터모듈부재(3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착탈부(410)는 제2착탈부(420)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412)와, 경사면부(412)를 따라 진입하는 제2착탈부(420)를 걸어주는 걸림홈부(414)를 포함한다.The first
제2착탈부(420)는 커넥터모듈부재(3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축공간부(422)와, 커넥터모듈부재(300)의 중심부 측면에서 압축공간부(422)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424)와, 지지돌부(424)에서 압축공간부(422)의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돌부(424)를 기준으로 커넥터모듈부재(300) 측면으로 누름 및 누름 해제되며, 제1착탈부(410)에 걸리는 걸림턱부(428)를 구비하는 탄성걸림부재(426)를 포함한다.The second
탄성걸림부재(426)는 지지돌부(424)를 기준으로 단부로 갈수록 커넥터모듈부재(300)의 측면에서 점차 멀어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연장 형성된다. 즉, 탄성걸림부재(426)는 지지돌부(424)에서 양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elastic
이와 이, 탄성걸림부재(426)가 지지돌부(424)에서 커넥터모듈부재(300)의 측면부위에 대응하도록 양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커넥터모듈부재(300)의 두꼐를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elastic
지지돌부(424)는 커넥터모듈부재(300)의 일측에 설정 간격을 갖도록 한 쌍 형성되어 탄성걸림부재(426)의 고정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air of
탄성걸림부재(426)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탄성걸림부재(426)는 커넥터모듈부재(300)의 측면방향으로 최대한 근접 이동하더라도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탄성력과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착탈부(400)의 조립과정을 살펴 보면, 커넥터(310)의 개수를 결정한 커넥터모듈부재(300)를 선택하여 하우징(100)에 결합하는 데 있어, 탄성걸림부재(426)의 걸림턱부(428)가 경사안내면(412)을 따라 하측 이동되면서 압축공간부(422)의 내측으로 탄성걸림부재(426)가 눌려진 후, 탄성걸림부재(426)의 걸림턱부(428)가 걸림홈부(414)에 삽입되면 탄성걸림부재(426)가 탄성 복귀되면서 걸림턱부(428)가 걸림홈부(414)에 걸려 조립 완료된다.The
한편, 착탈부(400)의 분리 및 교체 과정을 살펴보면, 커넥터(310)의 개수를 변경하기 위해 커넥터모듈부재(300)를 하우징(100)에서 분리하는 데 있어, 사용자가 탄성걸림부재(426)를 압축공간부(422)측으로 압력을 가하여 눌러주면 걸림턱부(428)가 걸림홈부(414)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커넥터모듈부재(300)를 하우징(1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고 다른 커넥터모듈부재(300)를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교체 장착하면 된다.When the user removes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하우징 200 : 수용부
300 : 커넥터모듈부재 310 : 커넥터
400 : 착탈부 410 : 제1착탈부
412 : 경사면부 414 : 걸림홈부
420 : 제2착탈부 422 : 압축공간부
424 : 지지돌부 426 : 탄성걸림부재
428 : 걸림턱부100: housing 200: accommodating portion
300: connector module member 310: connector
400: detachable portion 410: first detachable portion
412: an inclined surface portion 414:
420: second detachable portion 422: compression space portion
424: supporting protrusion 426: elastic catching member
428:
Claims (1)
상기 커넥터모듈부재는 착탈부에 의해 하우징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모듈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착탈부;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모듈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착탈부에 장착되거나 장착 해제되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제2착탈부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부; 및 상기 경사면부를 따라 진입하는 상기 제2착탈부를 걸어주는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압축공간부;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중심부 측면에서 상기 압축공간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부; 및 상기 지지돌부에서 상기 압축공간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넥터모듈부재 측면으로 누름 및 누름 해제되며, 상기 제1착탈부에 걸리는 걸림턱부를 구비하는 탄성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지지돌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지지돌부를 기준으로 단부로 갈수록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측면에서 점차 멀어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측면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돌부에서 양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1개 내지 N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에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일측에 설정 간격으로 갖도록 한 쌍 형성되며, 상기 탄성걸림부재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커넥터모듈부재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hous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And a connector module member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the connector module member being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connectors and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as required,
Wherein the connector module member is engaged or disengaged with the housing by the detachable portion,
The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 first detachable portion provided on one of the housing and the connector module member; And a second detachable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housing and the connector module member and being mounted or dismounted to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by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med to be slop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o as to guide the entry of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And an engaging groove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entering along the inclined face portion,
Wherein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 compression spac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sid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toward the compression space; And an elastic latch member extending from the support protrusion to the compression space and pressed and depressed to the sid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with reference to the support protrusion, and an engagement protrus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detachable part,
Wherein the elastic latching memb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rotrusion,
Wherein the elastic latching member is inclined or bent so as to gradually move away from the sid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toward the end with reference to the supporting protrusion,
Wherein the elastic locking member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rotrusion to correspond to a side portion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Wherein one to N of the connectors are formed, and the connectors are arranged in a line in a lateral or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onnector module member,
Wherein the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elastic engaging member is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module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9711A KR101830432B1 (en) | 2017-11-27 | 2017-11-27 | Junction box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9711A KR101830432B1 (en) | 2017-11-27 | 2017-11-27 | Junction box for vehicl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6457A Division KR101820139B1 (en) | 2016-07-28 | 2016-07-28 | Junction box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3830A KR20180013830A (en) | 2018-02-07 |
KR101830432B1 true KR101830432B1 (en) | 2018-02-20 |
Family
ID=6120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9711A KR101830432B1 (en) | 2017-11-27 | 2017-11-27 | Junction box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043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42527B2 (en) | 1995-12-28 | 1998-04-22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 socket |
KR100832045B1 (en) | 2007-08-06 | 2008-05-27 | 경신공업 주식회사 | Multi box for connector |
JP4739550B2 (en) | 2001-02-27 | 2011-08-03 |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 Compact container |
KR101609705B1 (en) | 2015-12-08 | 2016-04-06 | 영화테크(주) | Junction box |
-
2017
- 2017-11-27 KR KR1020170159711A patent/KR1018304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42527B2 (en) | 1995-12-28 | 1998-04-22 | 山一電機株式会社 | IC socket |
JP4739550B2 (en) | 2001-02-27 | 2011-08-03 |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 Compact container |
KR100832045B1 (en) | 2007-08-06 | 2008-05-27 | 경신공업 주식회사 | Multi box for connector |
KR101609705B1 (en) | 2015-12-08 | 2016-04-06 | 영화테크(주) | Junction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3830A (en) | 2018-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74235B2 (en) | Electric connection box and relay module | |
KR102006187B1 (en) | Battery Disconnect Unit Cover | |
JP5765636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attached box | |
JP5900409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JP2010268601A (en) | Bracket structure for electric junction box | |
US20200036124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830430B1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KR101830434B1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CN104904085A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JP2003333728A (en) | Coupling structure between junction box and accessory electric junction box | |
KR101830432B1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KR101830429B1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KR101830433B1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KR101830431B1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US20180090879A1 (en) | Electronic component retaining structur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 |
KR101820139B1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CN102623814A (en) | Terminal and terminal connecting construction | |
US10399517B2 (en) | Vehicle-mounted component | |
KR20160002187U (en) | Coupling Device For Joint Connector And Earth Terminal | |
KR20180009860A (en) | Junction box for vehicle | |
KR20130105069A (en) | Housing with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e structure | |
US8450608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20100006922U (en) | Vehicular junction box | |
JP6210437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CN204205486U (en) | A kind of modular electrical terminal 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