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82B1 - Rubbed str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Rubbed string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882B1
KR101829882B1 KR1020160113465A KR20160113465A KR101829882B1 KR 101829882 B1 KR101829882 B1 KR 101829882B1 KR 1020160113465 A KR1020160113465 A KR 1020160113465A KR 20160113465 A KR20160113465 A KR 20160113465A KR 101829882 B1 KR101829882 B1 KR 10182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keyboard
finger
fingers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광혁
Original Assignee
우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혁 filed Critical 우광혁
Priority to KR1020160113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8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8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G10D3/08Fingerboards in the form of key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A rubbed str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string; a resonance cylinder for resonating vibration of the string; and a plurality of keys for pressing a spot of a predetermined note of the string. In addition, a plurality of fingers pressing the spot of the predetermined note of the string at a front end thereof while pushing each of the keys are provided wherein the finger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keys. Each finger or key is connected to an elastic body such that the fingers and the keys can be recovered to an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when force pushing keys is removed.

Description

찰현악기{RUBBED STRING INSTRUMENT}{RUBBED ST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찰현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반을 가진 찰현악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ng instr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ing instrument having a keyboard.

찰현악기는 현(줄)을 활로 마찰해서 소리를 내는 현악기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찰현악기는 연주자가 통상 왼손으로는 현을 짚으면서 정확한 음이 나도록 정확한 위치를 누르고, 오른손으로는 활을 이용하여 현을 마찰시켜 음악을 연주한다. A stringed instrument is a collective term for a stringed instrument that makes strings (strings) with friction by sound, and includes violins, violas, cellos, and contrabass. Such a string instrument is usually played by the player pressing the correct position to make the correct sound while stapling the string with the left hand while rubbing the string with the right hand using the bow.

즉, 종래의 찰현악기로 곡을 연주하기 위하여는 상기한 왼손 테크닉과 오른손 테크닉(보잉 테크닉)이 필요하다. 특히, 왼손 테크닉은 크게 정확한 음정을 만드는 운지법과, 음감을 풍부하게 진동을 주는 하는 바이브레이션 기법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이러한 찰현악기의 왼손 테크닉은 장시간 반복 숙달하여야 연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연주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That is, in order to play a song with a conventional string instrument, the above-described left-hand technique and right-hand technique (boing technique)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left-hand technique can be divided into a fingering method that produces a largely correct pitch, and a vibration technique that imparts a rich sense of vibration to the sound. Such a left-hand technique of the stringed instrument can be performed by repeatedly mastering it for a long time, .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찰현악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주 방법을 쉽게 터득할 수 있는 찰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tring instrumen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ing instrument which can easily learn a method of performing a string instru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반을 구비하여 현의 소정 위치에서 정확한 음정을 누를 수 있는 찰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ord string having a keyboard and capable of pressing an accurate pitch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st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반을 구비하여 쉽게 연주할 수 있으면서도 바이브레이션 연주가 가능한 찰현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ord string capable of performing a vibration while being easily played by having a keyboard.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찰현악기는 적어도 하나의 현; 현의 진동을 공명시키는 공명통; 현의 소정의 음 위치를 누르게 하는 복수 개의 건반;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 또는 봉의 형태인 복수 개의 핑거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핑거 각각은 일단 측 선단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건반의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 측 선단이 높은 음 쪽은 좁게 배치되고 낮은 음쪽은 넓게 배치되어, 각각의 건반이 눌림에 따라 상기 타단 측의 선단이 현의 소정의 위치를 누른다. 또한, 복수 개의 건반은 피아노 건반 또는 형태가 동일한 건반으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and 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inger comprising: at least one string; A resonance tube resonating the vibration of the strings; A plurality of keys for pressing predetermined tone positions of the strings; And a plurality of fingers in the form of strips or ro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ngers is connected at one e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boards at the same interval, And the lower sound side is disposed so as to be wider. As the respective keys are pressed, the tip of the other end push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ngs. Further, the plurality of keys comprise a piano keyboard or a keyboard having the same shape.

각각의 핑거 또는 건반은 탄성체와 연결되어, 건반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Each of the fingers or the keyboard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so that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board is remove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can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핑거는 스트립 또는 봉의 형태로서, 현의 위쪽에 배치되되, 그 선단이 높은 음 쪽은 좁게 배치되고 낮은 음 쪽은 넓게 배치될 수 있고, 적절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되어 소정 음 위치에 맞춰질 수 있다. 핑거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핑거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fingers are in the form of strips or rods arranged at the upper side of the strings, the higher ends of the fingers are arranged narrowly, the lower fingers are arranged broadly, and the fingers are appropriately bent and can be set in a predetermined tone position. The fingers may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grooved finger supports.

공명통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족의 공명통일 수 있다.The resonance can be the resonance of a violin or a violin.

또한, 찰현악기는 현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현이 상기 건반의 동작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서 눌릴 때 현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지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판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ing instrument may be disposed under the string, and may include a fingerboard for supporting the string below when the string is pres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At this time, the base plate can b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찰현악기는 건반을 구비함으로써 복잡한 왼손 테크닉을 익히지 않아도 각각의 건반에 해당하는 음 위치에서 현을 정확하게 누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한 손으로는 건반을 누르고, 다른 한 손으로는 활로 현을 마찰하여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라도 정확한 음으로 연주가 가능하여 찰현악기의 연주가 쉬워진다.The str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keybo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press a string at a not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key without learning a complicated left-hand technique. Therefore, the player can play the string with one hand while pressing the key with the other hand, so that even the beginner can play with the correct sound, making the playing of the string string easier.

또한, 탄성 부재로 지지되는 지판을 사용하여, 건반을 사용하면서도 현에 진동을 주면서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음감을 풍부하게 진동을 주는 하는 바이브레이션 기법까지 응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주 기법으로 연주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ngerboard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can be used to press the strings while vibrating while using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apply vibrational techniques that give vibrations richly to the pitches, so that various performance techniques can be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시간 내에 연주법을 익힐 수 있고 연주가 쉬워진다. 또한, 초보자도 찰현악기의 연주법을 쉽게 배워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찰현악기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earn the playing method in a comparatively short time and to play it easily. Also, since beginners can easily learn to play the stringed instrument, it can contribute to popularization of stringed string instru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찰현악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찰현악기의 뒷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찰현악기의 건반과 핑거의 연결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ing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part of a str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nger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connection and operation of a keyboard and a finger of a stringed str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찰현악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찰현악기는 크게 현(100), 공명통(200), 건반부(300), 핑거부(400) 및 지판(500)으로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str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tongue st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ring 100, a resonance tube 200, a key portion 300, a finger reflex 400, and a finger plate 500.

본 실시예의 찰현악기는 하나의 현(100)을 사용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서 2개 이상의 현을 설치할 수도 있다. 현(100)은 일반적인 찰현악기에서 사용하는 현으로서, 연주하고자 하는 음역대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The string string of this embodiment uses one string 1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wo or more string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design. The string 100 is a string used in a general string string,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band to be played.

공명통(200)은 현(100)의 진동을 공명시키는 통으로서, 종래의 바이올린이나 비올족의 공명통과 유사하다. The resonance box 200 resonates the vibration of the string 100, and is similar to a conventional violin or a Viol-type resonator.

본 실시예에서는 건반부(300), 핑거(400) 및 지판(500)을 올려놓을 수 있는 직사각형의 베이스판(700)을 사용하는데, 건반부(300), 핑거(400) 및 지판(500)은 베이스 판(700) 위에 배치되고, 공명통(200)은 베이스 판(700)의 일측 하단부에 연결된다. 현(100)은 공명통(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고정부(211)와, 베이스판(7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고정부(212) 사이에서 고정된다.In this embodiment, a rectangular base plate 700 on which the keyboard 300, the finger 400, and the base plate 500 can be placed is used. The keyboard 300, the finger 400, And the resonance tube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ase plate 700. The string 100 is fixed between a first fixing portion 211 formed on one side of the resonance cylinder 200 and a second fixing portion 21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700. [

베이스 판(700) 위에는 건반부(300)를 지지하는 건반 지지대(600)가 형성되어 있고, 건반부(300)는 복수 개의 건반(310)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반부(300)는 피아노의 건반과 같이 흰색 및 검은색 건반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형태의 복수 개의 건반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건반부(300)가 피아노 건반과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경우, 특히 피아노 연주를 습득한 사람이 본 발명의 찰현악기의 연주법을 쉽게 익히고 연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 keyboard support 600 for supporting the keyboard 300 is formed on the base plate 700. The keyboard 300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310. [ The keyboard 300 preferably has the form of white and black keys like a keyboard of a piano,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keys of the same type. When the keyboard part 300 takes the same shape as the piano keybo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erson who has mastered the piano playing can easily learn and play the playing method of the stringed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건반부(300)의 각 건반(310)의 개수는 연주하고자 하는 음의 대역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2 옥타브 정도의 대역의 음을 내고자 하는 경우 25-27개 정도의 건반이 필요하다.The number of each key 310 of the key part 300 can be appropriate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a tone range of a tone to be played, and a keyboard of about 25-27 is required when a tone of a band of about two octaves is to be produced .

건반 지지대(600)는 각각의 건반(310)을 시소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건반 지지대(600)는 베이스 판(700)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판(620)과, 건반의 시소 작용이 가능하도록 건반을 지지판(620)로부터 띄워 주는 보조대(630), 및 보조대(630) 위쪽으로 하나의 건반(310)에 대하여 수직 돌출 형성된 2개의 핀(640, 650)으로 이루어진다. 각 건반(310)의 윗부분에는 2개의 핀(640, 650)에 각각 대응하는 관통 구멍(도 4a의 311, 312)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11, 312)의 크기는 각각의 핀(640, 650)이 유격이 있는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핀(640, 650), 지지판(620)과 보조대(630)는 건반(310)이 눌리거나 원 상태로 돌아갈 때 건반(310)을 유격 있게 지지할 수 있다.The keyboard support 600 h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each key 310 so as to enable the seesaw operation. The keyboard support 6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plate 620 for supporting the keyboard 7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700, an auxiliary table 630 for lifting the keyboard from the support plate 620, And two pins 640 and 650 protruding upward with respect to one key 310 upward. Four through holes (311 and 312 in FIG. 4A) corresponding to the two pins 640 and 650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each key 310. The sizes of the through holes 311 and 312 are formed such that the pins 640 and 650 can be inserted in a clearance. The pins 640 and 650 and the support plate 620 and the auxiliary pedestal 630 can support the keyboard 310 in a clear manner when the key 310 is pushed or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이러한 건반 지지대(600)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건반이 눌릴 때 시소 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대(630)를 별도로 설치하였으나, 보조대가 지지판(620)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지지판의 형상을 변형하여 보조대를 생략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핀(640, 650) 위쪽에 핀 머리가 형성되어 건반(310)이 핀(640, 65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Such a keyboard support 600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any structure that enables a seesaw action when the keyboard is pressed is possible. For example, although the auxiliary unit 630 is provided separately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ing plate 620, or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late may be modified to omit the auxiliary unit. In addition, a pin head may be formed above the pins 640 and 650 to prevent the keyboard 310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pins 640 and 650.

건반 지지대(620)와 베이스 판(700) 사이에는 복수 개의 핑거(400)가 핑거 지지대(410)에 의하여 배치되어 있다. Between the key support 620 and the base plate 700, a plurality of fingers 400 are disposed by a finger support 410.

각각의 핑거(400)는 얇은 금속 스트립 판, 금속 봉 등으로 형성되어, 건반이 눌림에 따라서 현(100)의 소정 위치를 누르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핑거(400)는 좁고 긴 스트립 판으로 형성되어 판의 측면으로 현(100)을 누르도록 배치되고, 설계에 따라서는 구부러진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음역대를 넓게 하기 위하여 건반과 핑거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많은 핑거를 배치하기 위하여 핑거(400)의 선단(401)과 후단(402)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적절한 각도로 구부려서 배치할 수 있다.Each of the fingers 400 is formed of a thin metal strip, a metal rod, or the like, and press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ng 100 as the keyboard is pressed. The fingers 400 of this embodiment are formed of a narrow strip plate and arranged to press the string 100 to the side of the plate, and may be arranged in a curved shape depending on the design. That is, when using a large number of keys and fingers to broaden the band, one or both of the tip 401 and the tail 402 of the finger 400 are bent at an appropriate angle to place a large number of fingers in a relatively narrow area Can be deployed.

이때, 핑거(400)의 선단(401)은 현(100)을 누르도록 현(100) 위에 배치되고, 후단(402)은 건반(310)과 연결된다. 즉, 핑거(400)의 선단(401)은 각각의 건반(310)에 해당하는 음 높이를 내기 위한 소정의 위치에서 현(100) 위에 배치되어, 건반(310)이 눌림에 따라 현(100)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핑거(400)는 건반(31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가 배치되고, 핑거의 선단(401)은 현(100) 위에 배치되되, 각 건반의 음 높이에 해당하는 현의 위치에 배치된다. 핑거(400)의 선단(401) 사이의 간격은 높은 음 쪽이 좁고 낮은 음쪽이 넓게 된다.At this time, the tip 401 of the finger 400 is disposed on the string 100 to press the string 100, and the rear end 402 is connected to the keyboard 310. That is, the tip 401 of the finger 400 is disposed on the string 1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giving a tone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key 310, . Accordingly, the finger 400 is arrang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keys 310, and the tip 401 of the finger is disposed on the string 10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each key. The interval between the tips 401 of the fingers 400 is narrower at the higher sound side and wider at the lower sound side.

각각의 핑거(400)는 핑거 지지대(460)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402)이 위쪽으로는 각각의 건반(310)과 연결구(440)로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으로는 베이스 판(700)과는 탄성체(450)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구(440)는 길이가 변하는 않는 강체, 즉 금속 막대, 철사 등으로 이루어져서, 건반(310)과 핑거(400)의 시소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Each of the fingers 400 is supported by a finger support 460. The rear end 402 is upward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keys 310 and 440 by a finger and the base plate 700 Are connected by an elastic body 450. The connector 440 is made of a rigid body that does not vary in length, that is, a metal rod, a wire, or the like, so that the seesaw motion of the keyboard 310 and the finger 400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탄성체(450)는 건반(31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건반(310)과 핑거(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반을 누르는 힘이 복귀되면 건반과 핑거를 모두 제자리로 돌려줄 수 있는 구성이면 가능하다. 즉, 탄성체(450)는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판(700)에 일단이 고정되고, 핑거의 후단(402)에 타단이 고정된 코일 스프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탄성체는 베이스 판이 아니라 별도의 지지기구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가 핑거가 아니라 건반과 연결될 수 있고, 탄성체를 복수 개 사용하여 건반과 핑거 모두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건반과 핑거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주는 탄성체 구성이면 가능하다.The elastic body 450 restores the keyboard 310 and the finger 400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board 310 is removed and is illustrated as a coil spr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ey and the finger can b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In other words, the elastic body 450 is a coil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ase plate 70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ear end 402 of the finger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elastic body can be supported by a separate support mechanism instead of the base plate. Further, the elastic body may be connected to the keyboard rather than the finger, and may be connected to both the keyboard and the finger by using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or may be an elastic body structure that gives a restoring force for restoring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and the finger.

핑거 지지대(4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핑거(400)를 현(100) 위의 특정 음 위치에 대응하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이 핑거(400)를 지지하는 홈(461)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홈(461)은 각각의 핑거(400)를 유격 있게 지지하여 각각의 건반(310)이 눌릴 때 핑거(400)가 홈(46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The finger support 460 includes grooves 461 for supporting the fingers 400 so as to support the respective fingers 400 corresponding to specific sound positions on the strings 100 as shown in Fig. Respectively. Each groove 461 supports the respective fingers 400 so that the fingers 400 can move within the groove 461 as each key 310 is pressed.

따라서, 각각의 핑거는 핑거 지지대(650)의 각각의 홈에 안착되어, 건반의 눌림에 따라서 핑거의 후단(402)이 들리게 되고 선단(401)이 현(100)을 누르게 된다. 건반(31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체(450)에 의하여 핑거의 후단(402)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선단(401) 역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Thus, each finger is seated in a respective groove in the finger support 650 so that the rear end 402 of the finger is heard as the key is depressed and the tip 401 presses the string 100. When the pressing force on the keyboard 310 is removed, the rear end 402 of the finger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body 450 and the tip end 401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이러한 핑거(400)의 시소 운동을 위하여 핑거 지지대(460)의 각각의 홈(461)의 중간 지점 정도에 별도의 고정 기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핑거의 중간 부분에 홀을 형성하고, 이러한 홀과 홈을 관통하는 봉 또는 나사를 사용하여 핑거의 중간 부분을 유격 있게 고정함으로써, 핑거의 시소 운동을 더 안정적으로 할 수도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seesaw motion of the finger 400, a separate fix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at a midpoint of each groove 461 of the finger support 46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ke the seesaw motion of the finger more stable by forming a hole in the middle portion of each finger, and fixing a middle portion of the finger with a rod or a screw penetrating through the hole and the groove.

지판(500)은 좁은 판 형상으로 현(10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현(100)이 핑거(400의 선단(401)에 의하여 눌릴 때 현(100)과 핑거(400)를 지지한다. 지판(500)은 탄성 부재(520)에 의하여 지지되어 현(100)이 핑거(400)에 의하여 눌릴 때 진동(바이브레이션)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연주자가 건반(310)을 누를 때 진동을 주면서 누르는 경우, 이러한 진동은 핑거(400)에 전달되고, 핑거(400)의 선단(401)에 의하여 눌리는 현(100)과 지판(500)에도 전달되게 된다. 이때, 지판(500)이 탄성 부재(52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이러한 연주자에 의한 건반의 진동을 현(100)에 그대로 전달되게 됨으로써 바이브레이션 연주가 가능해지는 것이다.The fingerboard 500 is disposed in a narrow plate shape below the string 100 and supports the string 100 and the finger 400 when the string 100 is pressed by the tip 401 of the finger 400. [ The keyboard 50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520 so that the string 100 can be vibrated when pressed by the finger 400. That is, The vibrations are transmitted to the finger 400 and transmitted to the string 100 and the fingerboard 500 pressed by the tip 401 of the finger 400. At this time, The vibration of the key by the player is transmitted to the string 100 as it is, thereby enabling the performance of the vibration.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52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지판(500)은 베이스 판(700) 위에 2개의 압축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것에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판(500)은 베이스 판(700) 위에 판 스프링으로 지지될 수도 있고, 건반 지지대(620)의 소정 위치에서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매달린 형태로 지지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520 is described as being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the base plate 500 is supported by two compression springs on the base plate 7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ase plate 500 may be supported by a leaf spring on the base plate 700, or may be supported by a tension coil spr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key support 620.

한편, 베이스판(700)의 하단에는 찰현악기를 지지하는 다리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리부는 통상의 높이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높이 조절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연주자의 키에 맞출 수 있고, 또한 악기를 연주할 때 필요에 따라서 앉거나 서서 연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leg portion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stringed string can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700. These legs can include conventional height adjustment means, which can be adjusted to the player's key when using such height adjustment means, and also can sit or stand and play as needed when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찰현악기의 연주 방법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playing method and operation of the str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연주자는 찰현악기의 건반부(300) 앞쪽에 앉거나 서서 왼손으로 건반(310)을 누르고 오른손으로는 활을 사용하여 공명통(200) 위의 현을 마찰하여 음을 내게 된다. The player sits or stands in front of the keyboard part 300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presses the keyboard 310 with his left hand, and rubs the strings on the resonance tube 200 using his right hand.

도 4a-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찰현악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베이스 판(700), 건반부(300)과 현(100) 등의 단면도로서, 건반(310)이 눌리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연주자가 건반(310)을 누르는 경우 도 4b의 경우와 같이, 건반 앞단(301)이 눌려 건반 뒷단이 들리게 되고, 건반 뒷단과 연결된 연결구(440)에 의하여 핑거의 후단(402) 역시 들리게 된다. 핑거의 후단(402)이 들리게 되어 핑거의 선단(401)이 현(100)을 누르게 되고, 현(100)은 핑거의 선단(401)과 지판(500) 사이에서 눌리게 된다. 이때, 활로 현을 마찰하면, 눌린 건반(310)에 해당하는 높이의 음이 나오게 된다. FIGS.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r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e plate 700, the key part 300 and the string 100, and shows a state before the keyboard 310 is pressed. When the player presses the keyboard 310, as shown in FIG. 4B, the front end 301 of the keyboard is pressed to hear the rear end of the keyboard, and the rear end 402 of the finger is also heard through the connector 44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keyboard. The rear end 402 of the finger is heard so that the tip 401 of the finger presses the string 100 and the string 100 is pressed between the tip 401 of the finger and the fingerboard 500. At this time, when the bow string is rubbed, a tone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310 is produced.

또한, 연주자가 건반(310)을 누르면서 누르는 힘에 진동을 주는 경우 이러한 진동은 연결구(440)를 통해 핑거(400)에까지 이르게 되고, 이때 탄성 부재(52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500) 역시 같이 진동할 수 있어서, 현(100)이 진동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이때 활로 현을 마찰하면, 눌린 건반에 해당하는 현(100)의 음높이가 발현하게 될 뿐 아니라, 진동까지 전달됨으로써 바이브레이션 연주까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player vibrates the keyboard 310 while pressing the keyboard 310,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nger 400 through the connector 440, and the support plate 500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520 The vibration of the string 100 can be imparted to the string 100. In this case, when the string string is rubbed, not only the pitch of the string 100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is expressed but also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

또한, 건반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체(450)에 의하여 핑거의 후단(402)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핑거의 선단(401)이 들림으로써 현(10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고, 연결구(440)에 연결된 건반의 뒷단 역시 내려감으로써 도 4a와 같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 is removed, the rear end 402 of the finger is lowered by the elastic body 450, the tip 401 of the finger is lifted to release the pressing of the string 100, The rear end of the keyboard connected to the keyboard 440 is also lowered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s shown in FIG. 4A.

따라서, 연주자는 왼손으로 건반을 누르면서 오른손으로 활로 현을 마찰하여 다양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으며 건반을 누르는 힘에 진동을 줌으로써 바이브레이션 연주를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layer can play a variety of music by rubbing the string with the right hand while pressing the key with the left hand, and the vibration can be performed by giving a vibration to the key pressing force.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현을 사용하는 찰현악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2 이상의 현을 사용하는 실시예도 가능함은 명백하다. 이 때는 핑거를 2개의 현을 누를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한 절곡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hord string using one string has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it is apparent that embodiments using two or more strings are also possible. At this time, the finger can be formed into various bent shapes in such a manner that the two strings can be pressed.

100: 현
200: 공명통
300: 건반부 310: 건반
400: 핑거
401: 핑거 선단 402: 핑거 후단
440: 연결구 450: 탄성체
460: 핑거 지지대 461: 홈
500: 지판 520: 탄성 부재
600: 건반 지지대
700: 베이스판
100: prefecture
200: Resonance
300: Key part 310: Key part
400: finger
401: finger tip 402: finger tip
440: Connector 450: Elastic body
460: finger support 461: groove
500: Fingerboard 520: Elastic member
600: keyboard support
700: base plate

Claims (10)

적어도 하나의 현;
상기 현의 진동을 공명시키는 공명통;
상기 현의 소정의 음 위치를 누르게 하는 복수 개의 건반;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 또는 봉의 형태인 복수 개의 핑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핑거 각각은
일단 측 선단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건반의 각각에 연결되고,
타단 측 선단이 높은 음 쪽은 좁게 배치되고 낮은 음쪽은 넓게 배치되어, 각각의 건반이 눌림에 따라 상기 타단 측의 선단이 현의 소정의 위치를 누르며,
상기 복수 개의 건반은 피아노 건반 또는 형태가 동일한 건반으로 이루어지는 찰현악기.
At least one string;
A resonance tube for resonating the vibration of the strings;
A plurality of keys for pressing predetermined tone positions of the strings; And
A plurality of fingers in the form of strips or rod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t; / RTI >
Each of the plurality of fingers
Side end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keys,
The front end of the other end presses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ing according to the depression of each key,
Wherein the plurality of keys comprise piano keys or keys of the same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핑거 또는 건반은 탄성체와 연결되어, 건반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 상태로 복귀하는 찰현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ngers or the keyboard is connected to an elastic body so that when the pressing force of the keyboard is removed, the finger or keyboar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핑거는 현의 위쪽에 배치되는 찰현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ingers are disposed above the str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핑거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찰현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s ar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grooved finger suppo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통은 바이올린 또는 비올족의 공명통인 찰현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onator is a resonator of a violin or a violin.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현이 상기 건반의 동작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서 눌릴 때 현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지판
을 더 포함하는 찰현악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6 and 8,
A fingerboard disposed below the string and supporting the string below the string when the string is pres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operation of the keyboard,
And further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판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찰현악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ase plate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KR1020160113465A 2016-09-02 2016-09-02 Rubbed string instrument KR1018298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465A KR101829882B1 (en) 2016-09-02 2016-09-02 Rubbed str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465A KR101829882B1 (en) 2016-09-02 2016-09-02 Rubbed string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882B1 true KR101829882B1 (en) 2018-02-19

Family

ID=6138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465A KR101829882B1 (en) 2016-09-02 2016-09-02 Rubbed str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88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16788A6 (en) BELT INSTRUMENT.
JP4753883B2 (en) Adjustable tremolo bridge
US5293804A (en) Multiple resonant mode stringed musical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primary and secondary bodies
US8772616B1 (en) Education guita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829882B1 (en) Rubbed string instrument
KR102341491B1 (en) Stringed instruments with educational purpose
US7674962B2 (en) Harp with exposed soundboard and separate bridges and method of altering the pitch of the harp strings
Kachian Composer's desk reference for the classic guitar
US4530268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628792A (en) Modified musical instrument keyboard
US7411120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offset structure
WO2018021976A1 (en) Device for making musical sounds
US7227067B2 (en) Tarpin, a string musical instrument
US4126074A (en) Violin harp
US7825311B1 (en) Keyboard guitar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WO2005072503A2 (en) Keyboard guitar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Sarkar et al. Is Violin String Players Having Longer Left Fingers?.
US6483016B1 (en) Hammered dulcimer
RU2810610C1 (en) Gusli
KR200492658Y1 (en) Assist Device for Fingering of Stringed Instrument
KR20230064418A (en) Piano type kalimba with multi-layered tines
Lee Adoption of Fundamental Cello Techniques to the Double Bass
Campbell et al. Viols and other historic bowed string instruments
US9947237B2 (en) Electronic push-button contrabass trainer
WO2007056809A1 (en) Exerci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