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917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917B1
KR101828917B1 KR1020170127789A KR20170127789A KR101828917B1 KR 101828917 B1 KR101828917 B1 KR 101828917B1 KR 1020170127789 A KR1020170127789 A KR 1020170127789A KR 20170127789 A KR20170127789 A KR 20170127789A KR 101828917 B1 KR101828917 B1 KR 10182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ell
information
carrier
terminal
eleme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995A (ko
Inventor
권기범
정명철
서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Publication of KR2017011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는, 단말을 위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요소 반송파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특정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요소 반송파에 관한 제어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되, 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단말의 디코딩 부담을 줄이고, 이에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TRANSMITTING METHOD FOR INFORMATION OF COMPONENT CARRIR GROUPING AND BASE STATION THEREOF, RECEIVING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의 요구조건 중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는 높은 데이터 전송율 요구량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CoMP(Cooperative Multiple Point transmission), 릴레이(relay)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가장 기본적이고 안정적인 해결 방안은 대역폭을 늘리는 것이다.
그러나 주파수 자원은 현재를 기준으로 포화상태이며 다양한 기술들이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에서 부분부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율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광대역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재해 있는 대역들 각각이 독립적인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설계하고, 다수의 대역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는 개념인 캐리어 집합체(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을 도입하고 있다. 이 때 각각의 독립적인 운용이 가능한 대역을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이하 "CC" 라 함)라고 정의한다.
이와 관련하여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로 구성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정보에 대응하여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요소 반송파 집합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요소 반송파 집합을 미리 정해진 비트에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된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특정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나타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선택한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선택한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선택한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정해진 길이의 비트맵으로 설정하여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IB2 연결 설정된 SCell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요소반송파 인덱스를 지시하는 정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하여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IB2 연결 설정된 SCell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정보를 매체접근제어(MAC) 시그널링을 통해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요소 반송파 관련 정보의 전송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요소 반송파를 단말에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설정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를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요소 반송파상으로 제어채널을 수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요소 반송파 관련 정보의 수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요소 반송파를 상기 단말에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설정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요소 반송파상으로 제어채널을 수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관련 정보의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요소 반송파를 단말에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설정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구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요소 반송파상으로 제어채널을 전송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요소 반송파를 상기 단말에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설정정보 및, 상기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요소 반송파 관련 정보의 수신부, 및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상기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요소 반송파상으로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제어채널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요소 반송파에 관한 제어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되, 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단말의 디코딩 부담을 줄이고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과 기지국간에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에 관한 송신규약을 명확히 하고, 이에 소요되는 제어정보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합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별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의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요소 반송파 집합을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전송하는 전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다운링크 물리채널의 신호생성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수신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SC)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SC)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과 기지국(20)은 아래에서 설명한 다양한 전력할당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Base Station), WCDMA의 Node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의)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율 요구량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단말(10) 또는 기지국 또는 셀(20)이 다수 개의 요소 반송파들을 이용하여 업링크와 다운링크에서 전송/수신 광대역 대역폭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때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은 하나의 시스템 대역 또는 시스템 캐리어로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요소 반송파는 캐리어 집합체를 사용하기 이전의 하나의 무선통신 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20MHz 대역을 갖는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캐리어 집합체 환경에서 주파수 확대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은 모든 CC(CC1~CC5)를 통해서 캠프온(camp-on)할 수 있다. 이때 캠프온한다는 것은, 단말(10)이 기지국(20)과 동기를 형성하고,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기본 제어정보를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와 같은 MIB(Master Information Block),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같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SIB2에는 업링크 셀 대역(UL cell bandwidth), 랜덤 액세스 파라미터(random access parameter), 업링크 전력 제어 파라미터(UL power control parameter)가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10)이 기지국(20)에 캠프온을 하면, RACH(Random Access Channel)를 사용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단말(10)은 기본적으로 모두 CC(CC1~CC5)에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단말(10)은 앵커 캐리어(anchor carrier)가 될 가능성이 큰 LTE용 CC1에 가장 먼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앵커 캐리어는 다음과 같은 기능들 전체 또는 일부를 갖추고 있는 요소 반송파 중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앵커 캐리어는 주요소 반송파(primary component carrier; PCC)라 불릴 수도 있다. 주요소 반송파를 제외한 나머지 반송파들은 부요소 반송파(secondary component carrier; SCC)라 불릴 수 있다. 주요소 반송파와 부요소 반송파는 단말별로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단말에 대해, CC1이 주요소 반송파이고 나머지가 부요소 반송파인데 반해, 제2 단말에 대해 CC3이 주요소 반송파이고 나머지가 부요소 반송파일 수 있다.
- 셀과 단말간 초기 동기 및 동기화 유지
- 랜덤 액세스
- 전체 또는 일부 요소 반송파에 대한 시스템 정보 수신
- 무선링크실패(RLF: Radio Link Failure) 결정 기준
- 셀과 단말간 보안 관련 설정 및 운용
- NAS (Non-Access stratum) mobility 설정 및 운용
- 전체 또는 일부 요소 반송파에 대한 DRX (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의 기준 및 제어
또한, 앵커 캐리어는 셀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그룹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앵커 캐리어는 서빙셀(serving cell),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특수셀 (special cell) 등과 같은 용어로 지칭 될 수도 있다. 앵커 CC인 CC1는 자신을 중심으로 어떤 캐리어가 해당 단말과의 통신과 연관되며 어떤 동작을 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말의 장치 구성 조건과 IP 기반 음성통화 (VoIP),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파일 전송, 웹 서핑 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의 요구 서비스 품질, 전력 소모량, 사용자 위치정보, 음영 지역, 주파수 선택적 채널 등을 고려하여 단말의 무선 송수신 동작에 필요한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하여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기지국(20)은 해당 단말(10)의 수신 가능한 모든 요소 반송파들 중 아래에 설명할 종류 및 기준에 따라 해당 단말(10)에 대한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고, 이를 해당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은 크게 해당 단말에 대한 제어정보가 포함된 CC를 기준으로 하나의 집합을 구성하는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부분)집합과 해당 단말에 대한 데이터정보가 포함된 CC를 기준으로 구성하는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부분)집합으로 나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든 요소 반송파(CC1~CC5) 각각은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단위로 자원을 전송한다. 이때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들(slot 1, slot 2)로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Downlink)의 경우, 서브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슬롯(slot 1)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 라 함)가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PDSCH"라 함)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data region)이 된다. 제어영역에는 PDCCH 이외에도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이하 "PCFICH" 라 함), 물리 복합자동재전송 지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이하 "PHICH"라 함) 등의 제어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단말(10)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디코딩한 후,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정보를 읽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영역이 3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예이다. 한편, 서브프레임 내 제어영역이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수는 PCFICH를 통해 알 수 있다.
단말(10)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DCI" 라 함) 포맷이 존재하는 다운링크의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 다운링크의 각 요소 반송파의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정보를 읽을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에 대한 다중화된 복수의 PDCCH가 제어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스케줄링 결정 및 전력 제어 명령과 같은 DCI를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DCI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Downlink scheduling assignments)과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Uplink scheduling grants), 전력 제어 명령(Power control commands) 등의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제어정보의 다른 타입은 다른 DCI 메시지 크기에 대응된다. 따라서 DCI는 다른 DCI 포맷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DCI 포맷은 메시지 크기와 용도에 대응된다.
하나의 PDCCH는 위에서 언급한 DCI 포맷들 중 하나로 하나의 메시지를 운반한다. 다수의 단말들(10)이 업링크와 다운링크 상에서 동시에 스케줄링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 다수의 스케줄링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스케줄링 메시지는 별도의 PDCCH 상에 전송되므로 각 기지국(20) 내에서 동시에 다수의 PDCCH 전송이 있을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은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 예를 들어 도 3의 CC2와 동일한 CC를 위한 다운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업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은 특정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CC2)와 동일한 CC(CC2)뿐만 아니라 다른 적어도 하나의 CC(CC2, CC3)를 위한 다운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업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각 요소 반송파의 PDCCH의 DCI 포맷은 특정 요소 반송파(CC)의 PDCCH의 DCI 포맷이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CC3)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CC(CC5)만을 위한 다운링크 할당(Downlink assignments) 및 업링크 승인(Uplink grants) 등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DCI 포맷은 다수 요소 반송파(CC)들 각각에 대해서 PDCCH에 해당 CC의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DCI 포맷이 각각 존재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20)은 수신 가능한 모든 요소 반송파들(CC1~CC5) 중 해당 단말(10)에 대한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이든 다른 적어도 하나의 CC의 제어정보(PDCCH)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CC2, CC3)를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으로 설정하고, 해당 단말(10)에 대한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10)에 알려준다.
따라서, 해당 단말(10)은 해당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 내에 존재하는 제어정보(PDCCH)를 수신한 후, 제어정보(PDCCH) 내의 정보를 해석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PDSCH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어정보(PDCCH)가 가리키는 위치의 데이터정보(PDSCH)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때 수신하지 못하는 구역(missing region)이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제어정보(PDCCH)가 가리키는 위치는 단말(10)이 수신가능한 모든 CC들(CC1 내지 CC5) 중 하나의 CC가 될 수 있으므로, 단말(10)은 모든 CC들(CC1 내지 CC5)에 대하여 수신절차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모든 CC들에 대한 수신절차를 진행해야 하므로 단말(10)은 불필요한 배터리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C들이 각각 700MHz, 1.9GHz, 2.1GHz, 3GHz, 5GHz 대역을 사용할 경우, 단말(10)은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한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20)이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을 설정하고 단말(10)에 전송할 경우, 해당 단말(10)은 해당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 내에 존재하는 제어정보(PDCCH)를 수신한 후, 제어정보(PDCCH) 내의 정보를 해석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정보(PDSCH)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어정보(PDCCH)가 가리키는 위치의 데이터정보(PDSCH)를 확인 할 수 있다.
단말(10)은 해당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들(CC2, CC3)의 제어영역 중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과 단말-전용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을 모두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해야만 자신에게 전송된 데이터정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10)은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디코딩할 요소 반송파들의 범위를 줄일 수 있다. 물론, 단말(10)이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의 숫자는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의 개수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한편, 단말(10)은 이전 제어정보의 할당 위치 또는 이전 데이터의 할당 위치 등을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자원 및 전송방식(predefined mapping from previous signaling)에 따라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와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고 단말에 이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운링크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와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20)은, 수신 가능한 모든 요소 반송파들(CC1~CC5) 중 해당 단말(10)에 대한 DCI 포맷이 존재하는 CC와 동일한 CC이든 다른 적어도 하나의 CC의 제어정보(PDCCH)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CC2, CC4)를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의 제어정보(PDCCH)가 가리키는 데이터정보(PDSCH)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을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SCH monitoring set, PDSCH active set)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들(CC2, CC4)의 제어정보가 가리키는 데이터정보(PDSCH)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CC1, CC2, CC4, CC5)을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SCH monitoring set, PDSCH active set)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20)은 해당 단말(10)에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10)에 전송한다. 단말(10)은 자신의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와 를수신한다. 해당 단말(10)은 자신의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CC2, CC4)에 존재하는 제어정보(PDCCH)를 수신한 후, 제어정보(PDCCH) 내의 정보를 해석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PDSCH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들(CC1, CC2, CC4, CC5)의 데이터정보(PDSCH)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20)이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단말(10)에 전송하고, 단말(10)은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들만 수신하고,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에 존재하는 제어정보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들(CC1, CC2, CC4, CC5)의 데이터정보(PDSCH)를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말(10)은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들, 예를 들어 CC2, CC3만을 수신하므로 이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들, 예를 들어 CC1 및 CC4, CC5에서 데이터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구역(missing region)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고 사용함에 있어서 적은 숫자의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수신 및 모니터링하게 되므로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어정보를 통해 데이터정보를 해석할 때 발생하는 시간차이로 인해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기지국(20)에서 단말(10)에게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고자 할 때 가장 기본적이며 무선통신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은, 송신전력, 간섭전력 그리고 잡음전력으로 구분되는 전력특성과 안테나 패턴, 개수, RF 회로 등으로 대표되는 RF 장치 특성과 OFDM, CDMA, 채널부호화, MIMO 프로세싱 등 기저대역 송수신 방식 및 알고리즘 그리고 주변환경 및 사용자 위치 등으로 표현되는 채널환경과 같은 제어정보 및 데이터정보 모두에 대하여 정보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써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다.
두 번째로, 위에서 설명한 공통요소와는 달리 정보특성에 따라 다른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다. 예를 들어, 제어정보와 데이터정보는 단말(10)에서 수신하였을 때 의도하는 바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전송방식도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단위 시간 당 요구 전송량 등의 QoS 값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10)의 응용프로그램의 요구서비스에 따라 데이터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및 QoS는 크게 변화 할 수 있으나, 제어정보는 이와 같은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는 동일한 서비스를 받기 원하지만 시스템 내 자원사용률, 주변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시스템 안정성이 낮아지게 되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 및 할당 등은 크게 변화할 수 있으나 데이터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이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의 부분집합이거나,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이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의 부분집합이거나,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간 포함관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단말(10)의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이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의 부분집합일 수 있다. 만일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하지 않고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만을 구성하는 경우, 제어정보 할당 시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만을 고려한다.
또한,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간 포함관계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는 두 집합의 합집합으로 단말(10)의 활성화된 요소 반송파 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별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전체 요소 반송파들 중에서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만을 선택하여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S610).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요소 반송파들(CC1 내지 CC5) 중에서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만(CC1, CC3, CC4)을 선택하여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S610).
다음으로, 설정된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해당 요소 반송파들 중 (1) RF장치의 동작 가능 주파수 범위, (2) 안테나의 개수와 같은 단말(10)의 장치구성 조건을 고려하여 해당 단말(10)이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을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S620).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CC1, CC3, CC4) 중에서 단말(10)의 장치구성 조건을 고려하여 해당 단말(10)이 송수신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CC1, CC4)를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의 요소 반송파들의 특성 중 (1) 제어정보 자원사용률, (2) 송신전력, (3) 단말에서의 수신전력, (4) 간섭전력 또는 잡음전력 또는 두 전력의 합, (5) UE에서의 수신전력 대 간섭전력 또는 수신전력 대 간섭전력 및 잡음전력의 비율, (6) 전송가능 제어정보의 포멧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 집합을 최종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S630). 설정된 우선 할당 요소 반송파를 제어 정보를 위한 요소 반송파 집합이라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CC1, CC4) 중에서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CC1, CC4)의 요소 반송파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CC1)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설정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CC1)에 제어정보를 할당한다(S640).
다음으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하여야 할 제어정보가 남았는지 판단한다(S650). 이때,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하여야 할 제어정보가 남아 있으면, 전송하여야 하는 제어정보를 모두 전송할 때까지 앞서 설정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CC1)를 제외하고 S630 단계와 동일하게 우선 할당 요소 반송파(CC4)를 추가하는 과정(S660)과, S640 단계와 동일하게 추가된 우선 할당 요소 반송파에 제어정보를 할당하는 과정(S640)을 반복한다.
이때,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 가능한 최대 정보량은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 설정시 고려했던 요소들과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를 설정할 때 사용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정해진 비용함수(cost function)에 의해 도출한다. 비용함수는 (1) 요소 반송파 개수 최소화 (전력소모 감소), (2) 요소 반송파 개수 최대화 (다이버시티 이득 극대화, 시스템 안정성 확보 등)과 같은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하여야 할 제어정보가 남아있지 않으면 제어정보들이 할당된 우선 할당 요소 반송파들(CC1, CC4)을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S67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체 요소 반송파들 중 데이터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만을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S710).
다음으로,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설정되어 있는 요소 반송파들 중 (1) RF장치의 동작 가능 주파수 범위, (2) 안테나의 개수, (3) 장치 내 메모리 용량, (4) 최대 동작 클럭 수와 같은 단말(10)의 장치구성조건을 고려하여 해당 단말이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을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S720).
다음으로,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설정되어 있는 요소 반송파들의 특성 중 (1) 데이터정보 자원사용률, (2) 송신전력, (3) 단말에서의 수신전력, (4) 간섭전력 또는 잡음전력 또는 두 전력의 합, (5) 단말에서의 수신전력 대 간섭전력 또는 수신전력 대 간섭전력 및 잡음전력의 비율, (6) 대역폭, (7) 제어정보 전송 유무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우선 할당 요소 반송파를 설정할 수 있다(S730).
다음으로 설정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데이터정보를 할당한다(S740).
다음으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하여야 할 데이터정보가 남았는지 판단한다(S750). 이때,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하여야 할 제어정보가 남아 있으면, 전송하여야 하는 데이터정보를 모두 전송할 때까지 앞서 설정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를 제외하고 S730 단계와 동일하게 우선 할당 요소반송파를 추가하는 과정(S760)과, S740 단계와 동일하게 추가된 우선 할당 요소반송파에 제어정보를 할당하는 과정(S740)을 반복한다.
이때,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 가능한 최대 정보량은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 설정시 고려했던 요소들과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를 설정할 때 사용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정해진 비용함수에 의해 도출한다. 비용함수는 (1) 요소 반송파 개수 최소화 (전력소모 감소), (2) 요소 반송파 개수 최대화 (다이버시티 이득 극대화, 시스템 안정성 확보 등)과 같은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에 할당하여야 할 데이터정보가 남아있지 않으면 데이터정보들이 할당된 우선 할당 요소 반송파들을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S770).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기지국(20) 또는 기지국(20)의 스케줄러는 주기적으로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시작해야 하는 외부의 특정 조건이 만족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시작해야 하는 내부의 특정 조건이 만족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 예를 들어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시작해야 하는 외부의 특정 조건이 만족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로 해당 단말의 전력특성이 기준 임계값 이하로 떨어졌거나 채널상태가 기준 임계값 이하로 나빠졌거나 단말(10)의 응용프로그램의 요구서비스가 달라진 경우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특정 요소 반송파 집합의 구성을 시작해야 하는 내부의 특정 조건이 만족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로 시스템 내 자원사용률, 주변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시스템 안정성이 낮아지게 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의 요소 반송파들마다 개별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요소 반송파 집합, 예를 들어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 및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 우선할당 요소 반송파 집합에 각각 속하는 요소 반송파마다 개별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로 표기하고, 그 정보를 단말(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요소 반송파들(CC1 내지 CC5) 중에서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만(CC1, CC3, CC4)을 선택하여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한다. 이때 기지국(20)은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되지 않은 요소 반송파들(CC2, CC5)을 비활성화시킨다. 이때 기지국(20)은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에 해당하여 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들을 요소 반송파의 번호에 해당하는 비트에 "1"로 표시하고,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으로 설정되지 않은 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들을 요소 반송파의 번호에 해당하는 비트에 "0"으로 표시하여 단말(10)에 그 정보를 전송한다.
도 9에 도시한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의 해당 여부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들을 5비트로 표시하면 1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의 정보는 "10110"가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9에 도시한 2차 예비 요소 반송파 집합의 정보를 표시하면 그 정보는 "10010"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요소 반송파 집합을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환경에서 단말(10)은 기지국(20)과 동기를 형성하고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물리 방송 채널 (Physical Broadcast channel, 이하 "PBCH"라 함)을 통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을 수신하거나, PDSCH을 통해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10)은 기지국(20)과 통신을 위한 기본 제어정보를 교환하여 기지국(20)과 통신이 가능한 상태의 캠프온(camp-on)할 수 있다.
기지국(20) 또는 기지국(20)의 스케줄러는 상기 캠프온 과정을 통해 단말(10)의 장치특성, 예를 들어 전력특성, RF 장치 특성, 기저대역 송수신 방식, 사용 알고리즘, 사용가능 CC, 지원가능 서비스, 안테나 개수 등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 또는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 또는 설정하는데 사용되면서 확인 가능한 정보를 수집한다(S1010).
다음으로, 기지국(20)) 또는 기지국(20)의 스케줄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프온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와 기지국(20)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 또는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한다(S1020).
다음으로 기지국(20) 또는 기지국(20)의 스케줄러는 S1020 단계에서 설정한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10)에게 전송한다(S1030). 기지국(20)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단말(10)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요소 반송파 집합의 해당 여부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들을 5비트로 표시하여 단말(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는 해당 단말(10)에게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P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함)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구성한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구성한 후 L2 이상의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L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L1 시그널링과 L2 이상의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을 조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성한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그널링들 중 하나를 적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L2 이상의 상위계층은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또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BMC(Broadcast/Multicast Control) 계층을 포함하는 L2 계층이나 RRC(Radio Rescource Control) 계층을 포함하는 L3 계층 등 물리계층(L1 계층)보다 상위계층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장치는 송수신부(1110)와 제어부(1120)을 포함한다.
송수신부(1110)은 단말(10)과 캠프온 과정을 통해 단말(10)의 장치특성, 예를 들어 전력특성, RF 장치 특성, 기저대역 송수신 방식, 사용 알고리즘, 사용가능 CC, 지원가능 서비스, 안테나 개수 등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 또는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 또는 설정하는데 사용되면서 확인가능한 정보를 단말(10)로부터 수신한다. 송수신부(1110)는 상기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1120)에 전달한다.
또한 송수신부(1110)는 제어부(1120)로부터 설정한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단말(10)에 전송한다. 이때 송수신부(1110)가 상기 설정한 요소 반송 집합 정보를 해당 단말(10)에 전송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DC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PD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L2 이상의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L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L1 시그널링과 L2 이상의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을 조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1120)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L2 시그널링으로 전송하는 경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MAC PDU(Protocol Data Unit)이며, 이는 제어부(1120)에 의해 생성된다. 제어부(1120)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MAC PDU의 형식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하기 도 16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1120)는 CC 검색부와 요소 반송파 집합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2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프온 과정에서 수집한 정보와 기지국(20)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들을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 요소 반송파들 중에서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 반송파들을 선택하여 요소 반송파 집합을 구성 또는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120)은 설정한 이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120)를 통해 단말(10)에 전달한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OFDM과 MIMO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다운링크 물리채널의 신호생성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운링크 물리채널의 신호생성 구조(1200)는 스크램블러(1210) 및 모듈레이션 맴퍼(1220), 레이어 맴퍼(1230), 프리코더(1240), 리소스 엘리먼트 맴퍼(1250), OFDM 신호 생성기(1260)을 포함한다.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는 다운링크에서 채널코딩을 거쳐 코드 워드(code words) 형태로 입력된다. 이때 다운링크에서 채널코딩을 거쳐 코드 워드(code words) 형태로 입력되는 비트들은 스크램블러(1210)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후 모듈레이션 맴퍼(Modulation mapper; 1220)로 입력된다.
모듈레이션 맴퍼(1220)는 스크램블링된 비트들을 복소 모듈레이션 심볼로 변조하고, 레이어 맴퍼(Layer Mapper; 1230)는 복소 모듈레이션 심볼을 하나 또는 다수의 전송 레이어에 매핑한다. 그 후, 프리코더(1240)은 안테나 포트의 각 전송 채널상에서 복소 모듈레이션 심볼을 프리코딩한다. 그 후 리소스 엘리먼트 맴퍼(Resource Element Mapper; 1250)가 각 안테나 포트(안테나 #1 내지 8)에 대한 복소 모듈레이션 심볼을 해당 리소스 엘리먼트에 매핑한다. 이때 또다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송수신부(1110)의 다운링크 물리채널의 신호생성 구조(12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규칙에 의하여 OFDM 심벌(x축)과 부반송파 위치(y축)의 자원을 할당하고, 미리 정해진 프레임 타이밍에 기지국 전송 프레임과 다중화한다.
그 후, OFDM 신호 생성기(1260)가 각 안테나를 위한 복소 시간 도메인 OFDM 신호로 생성된다. 이 복소 시간 도메인 OFDM 신호는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수신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S1310에서 단말(10)은 기지국(20)으로부터 PDCCH 또는 PDSCH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10)은 수신된 PDCCH 또는 PDSCH를 통해 활성화/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정보, 즉, 단말(10)이 모니터링을 수행할 요소 반송파 집합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화/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정보는, 5비트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에 대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는 L2 이상의 상위계층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하거나, L1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하거나, L1 시그널링과 L2 이상의 상위계층의 조합된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1320에서 단말(10)은 확인된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각각의 CC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S1330에서 단말(10)은 확인된 CC로부터 데이터 정보가 수신되는 구역 및 제어 정보가 수신되는 구역을 확인한다. 이때, 제어 정보가 수신되는 구역을 통해 데이터 정보가 수신되는 구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요소 반송파 집합을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수신장치(1400)는 수신처리부(1410)와,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1420), 정보해석부(1440)를 포함한다.
각 안테나 포트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수신처리부(1410)에 의해 복소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된다.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1420)는 상기 변환된 신호로부터 단말에 설정될 서빙셀 인덱스를 기지국의 RRC 시그널링으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1420)는 기지국의 MAC 메시지로부터 어느 서빙셀 인덱스에 따른 요소 반송파가 활성화/비활성화되는지에 관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및 인덱스 맵핑 정보(index mapping information)를 추출한다.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소정 길이의 비트맵(bitmap)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비트맵의 길이는 4비트, 8비트등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그 위치(position)에 따라 고유한(unique) 서빙셀(serving cell)의 인덱스와 대응(corresponding) 또는 맵핑(mapping)된다. 상기 서빙셀은 주서빙셀일 수도 있고, 부서빙셀일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비트맵의 길이가 8비트인 경우, 상기 단말에 설정될 서빙셀 인덱스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비트맵상에서, 고유한 위치의 비트에 맵핑된다. 이 때, 서빙셀 인덱스가 어느 위치의 비트에 고유하게 대응하는지는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비트맵의 길이가 4비트인 경우, 상기 단말에 설정될 서빙셀 인덱스는 그 크기 순위에 따라 정렬(ordered)되어 상기 비트맵에 맵핑된다. 예컨대, 가장 낮은 순위의 비트가 단말에게 설정된 서빙셀 중 가장 작은 서빙셀 인덱스에 따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다음 순위의 비트가 단말에게 설정된 서빙셀 중 2번째로 작은 서빙셀 인덱스에 따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낸다. 이 때, 상기 단말에 설정될 서빙셀 인덱스가 어떠한 순서로 정렬되어 상기 비트맵에 맵핑되는지는 별도의 시그널링없이 단말과 기지국간에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비트맵의 길이가 4비트인 경우, 상기 단말에 설정될 서빙셀 인덱스가 대응하는 상기 비트맵상의 구체적인 비트의 위치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및 인덱스 맵핑정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1420)는 특정 정보에 대응하여 그룹핑된 요소 반송파들을 확인한다. 상기 특정 정보에 따라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은 달라질 수 있다.
정보 해석부(1430)는 상기 확인된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해석하여 제어정보 또는 데이터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해석부(1430)는 해당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PDCCH monitoring set or PDCCH active set) 내에 존재하는 제어정보(PDCCH)를 수신한 후, 제어정보(PDCCH)가 가리키는 위치의 데이터정보(PDSCH)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해석부(1430)는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들만 수신하고,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에 존재하는 제어정보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들의 데이터정보를 확인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해석부(1430)는 상기 추출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로부터 각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 여부를 확인한다. 그에 따라, 수신장치(1400)는 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는 수신하지 않는다. 특정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된 경우, 수신장치(1400)는 해당 서빙셀의 PDCCH(다운링크 할당 및 업링크 승인)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는다. 또한, 반송파간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환경하에서 특정한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된 경우, 수신장치(1400)는 단말 특정한 PDCCH 검색공간(search space)에 연관된 다운링크 할당을 더 이상 수신할 필요가 없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수신장치(1400)는 도 11 또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의 송수신부(1100)와 쌍을 이루어 송수신부(1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수신장치(1400)는 송신부(1100)의 역과정의 신호처리를 위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신장치(1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도 11의 역과정의 신호처리를 위한 요소들로 일대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송신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설명한 도 14에 개시된 수신장치(1400)의 역의 과정을 위한 요소들이 구성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서빙셀의 정의 및 종류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서빙셀은 현재 단말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셀을 의미한다. 인접셀은 서빙셀과 지리적으로 또는 주파수 대역상에서 인접한 셀을 의미한다. 특정 셀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말은 먼저 특정 셀 또는 CC의 설정(configuration)을 완료해야 한다. 여기서, 설정(configuration)이란 해당 셀 또는 CC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 수신을 완료한 상태를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설정(configuration)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공통 물리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MAC 계층 파라미터들, 또는 RRC 계층에서 특정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전반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설정 완료된 셀 또는 CC는,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는 시그널링 정보만 수신하면, 즉시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해지는 상태이다.
한편, 설정완료 상태의 셀은 활성화(Activation) 혹은 비활성화(Deactivation)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설정완료상태(Configuration) 상태를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로 구분하는 이유는 활성화 상태일 때에만 단말이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를 모니터링 혹은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UE의 배터리(Battery)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설정 완료된 직후의 활성화와 관련된 초기상태는 비활성화이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주파수, 시간 등일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셀의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을 모니터링 혹은 수신할 수 있다.
비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단말은 비활성화 셀로부터 패킷 수신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주파수, 시간 등일 수도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활성화된 셀의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을 모니터링 혹은 수신하지 않는다.
도 15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SC)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SC)의 개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주서빙셀(1505)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1505)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1520)이라 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1505)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1505)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1520)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1505)의 주파수내 인접셀(1500, 1510) 및/또는 부서빙셀(1520)의 주파수내 인접셀(1515, 1525), 각각은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 속한다. 그리고, 주서빙셀(1505)와 부서빙셀(1520)의 주파수간 인접셀(1530, 1535, 1540)은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 속한다.
주서빙셀(1505)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1505)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1520)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1520)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PCC는 단말이 여러 CC 중에 초기에 단말과 접속(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이루게 되는 CC이다. PCC는 다수의 CC에 관한 시그널링을 위한 연결(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담당하고, 단말과 관련된 연결정보인 단말문맥정보(UE Context)를 관리하는 특별한 CC이다. 또한, PCC는 단말과 접속을 이루게 되어 RRC 연결상태(RRC Connected Mode)일 경우에는 항상 활성화 상태로 존재한다.
SCC는 PCC 이외에 단말에 할당된 CC로서, SCC는 단말이 PCC 이외에 추가적인 자원할당 등을 위하여 확장된 반송파(Extended Carrier)이며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상태로 나뉠 수 있다. 상기 SCC의 초기상태는 비활성화이다.
주서빙셀(1505)과 부서빙셀(1520)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주서빙셀(1505)은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둘째, 주서빙셀(1505)은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부서빙셀(1520)은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셋째, 주서빙셀(1505)이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이하 RLF)를 경험할 때, RRC 재연결이 트리거링(triggering)되나, 부서빙셀(1520)이 RLF를 경험할 때는 RRC 재연결이 트리거링되지 않는다.
넷째, 주서빙셀(1505)은 보안키(security key) 변경이나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동반하는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부서빙셀(1520)의 재설정(reconfiguration), 추가(adding) 및 제거(removal)와 같은 절차는 RRC 계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신규 부서빙셀(1520)의 추가에 있어서, 전용(dedicated) 부서빙셀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데 RRC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CC group)은 제어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과 데이터정보 요소 반송파 집합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포함하는 집합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란 활성화된 요소 반송파 및/또는 비활성화된 요소 반송파를 지시하는 정보로써 정의된다. 다른 측면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단말이 모니터링할 요소 반송파와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는 요소 반송파를 지시하는 정보로서 정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하나의 서빙셀을 구성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연결설정되어 하나의 서빙셀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는 곧 서빙셀의 활성화/비활성화의 개념과 동등하다. 예를 들어, 서빙셀1이 DL CC1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서빙셀1의 활성화는 DL CC1의 활성화를 의미한다. 만약, 서빙셀2가 DL CC2와 UL CC2가 연결설정되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서빙셀2의 활성화는 DL CC2와 UL CC2의 활성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주서빙셀은 PCC에 대응하고, 부서빙셀은 SCC에 대응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Case 1과 Case 2에 모두 적용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한다. MAC PDU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 TB)라 불릴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MAC PDU(1600)는 MAC 헤더(header, 1610), 적어도 하나의 MAC 제어요소 (1620,...,1625), 적어도 하나의 MAC SDU(Service Data Unit, 1630-1,...,1630-m) 및 패딩(padding, 1640)을 포함한다.
MAC 제어요소(1620, 1625)는 MAC 계층이 생성하는 제어메시지이다.
MAC SDU(1630-1,...,1630-m)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 전달된 RLC PDU와 같다. 패딩(padding, 1640)은 MAC PDU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도록 첨가되는 소정개수의 비트이다. MAC 제어요소(1620,...,1625), MAC SDU(1630-1,...,1630-m) 및 패딩(1640)을 합쳐서 MAC 페이로드(payload)라고도 한다.
MAC 헤더(16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헤더(sub-header, 1610-1, 1610-2,...,1610-k)를 포함하며, 각 서브헤더(1610-1, 1610-2,...,1610-k)는 하나의 MAC SDU 또는 하나의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에 대응(corresponding)한다. 서브헤더(1610-1, 1610-2,...,1610-k)의 순서는 MAC PDU(1600)내에서 대응하는 MAC SDU,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들의 순서와 동일하게 배치된다.
각 서브헤더(1610-1, 1610-2,...,1610-k)는 R, R, E, LCID 이렇게 4개의 필드를 포함하거나 또는, R, R, E, LCID, F, L 이렇게 6개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서브헤더는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에 대응하는 서브헤더이며, 6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서브헤더는 MAC SDU에 대응하는 서브헤더이다.
논리 채널 식별 정보 (LCID, Logical Channel ID) 필드는 MAC SDU에 대응하는 논리채널을 식별하거나,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의 종류(type)를 식별하는 식별필드로서, 5비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CID 필드는 해당 MAC 제어요소가 잉여전력의 전송을 위한 잉여전력 MAC 제어요소인지, 단말에 귀환정보(feedback information)를 요청하는 귀환요청(feedback request) MAC 제어요소인지, 비연속적 수신 명령에 관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명령 MAC 제어요소인지, 단말간의 경합해결을 위한 경합해결 식별자(Contention Resolution Identity) MAC 제어요소인지를 식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LCID 필드는 해당 MAC 제어요소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MAC 제어요소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MAC SDU,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padding) 각각에 대해 하나의 LCID 필드가 존재한다. 표 1은 LCID 필드의 일 예이다.
Index LCID values
00000 CCCH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0111 Reserved
11000 UL CC activation/deactivation
11001 DL CC activation/deactivation
11010 Power Headroom Report
11011 C-RNTI
11100 Truncated BSR
11101 Short BSR
11110 Long BSR
11111 Padding
표 1을 참조하면, 11000의 LCID 필드값은 해당 MAC 제어요소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와 연관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MAC 제어요소임을 나타낸다. 또한, 11001의 LCID 필드값은 해당 MAC 제어요소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와 연관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MAC 제어요소임을 나타낸다. 표 1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독립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에 따라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는데, 이는 표 2와 같다. 표 2는 LCID 필드의 다른 예이다.
Index LCID values
00000 CCCH
00001-01010 Identity of the logical channel
01011-11000 Reserved
11001 CC activation/deactivation
11010 Power Headroom Report
11011 C-RNTI
11100 Truncated BSR
11101 Short BSR
11110 Long BSR
11111 Padding
표 2를 참조하면, 11001의 LCID 필드값은 해당 MAC 제어요소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는 MAC 제어요소임을 나타내며, 이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를 한꺼번에 지시한다.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로서, MAC 계층에서 생성되는 메시지 또는 RRC 계층에서 생성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참조하여, 기지국이 제공할 수 있는 전체 요소 반송파 또는 단말에 고유하게 설정된 요소 반송파 중에서, 활성화될 요소 반송파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주요소 반송파(PCC)는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요소 반송파이므로, 동기유지 및 시스템 정보의 수신등을 위해 대부분의 경우 항상 활성화된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은 주요소 반송파가 항상 활성화된 것으로 묵시적으로(implicitly) 서로 규약할 수도 있고(이하 Case 1), 주요소 반송파라 할지라도 명시적으로 지시해주는 경우를 고려할 수도 있다(이하 Case 2). Case 1의 경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주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명시적으로(explicitly) 지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말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요소 반송파는 활성화된 것으로 보고 동작한다.
반면, Case 2의 경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주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명시적으로 지시하여야 한다. Case 1과 Case 2에 있어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서로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각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1. Case 1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구조
Case 1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명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부서빙셀의 활성화/비활성화에 관한 지시이다. 그러나, Case 1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기본적으로 주서빙셀이 활성화된 것임을 전제로 구성된다. 따라서, Case 1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주서빙셀의 활성화/비활성화를 별도로 지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단말은 주서빙셀의 활성화를 인지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동일한 경우이다. 또한, 단말에는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들이 모두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1700; 이하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는 8비트 길이를 가진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700)의 각 위치의 비트는 각 부서빙셀의 인덱스와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서빙셀 인덱스1은 왼쪽부터 8번째 비트에 대응하고, 서빙셀 인덱스2는 왼쪽부터 7번째 비트에 대응한다. 여기서의 서빙셀 인덱스는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SC)에 대한 서빙셀 인덱스를 의미한다. 왜냐하면, 주서빙셀(PSC)은 단말과 기지국간에 묵시적으로(implicitly) 활성화된 것으로 보고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에 별도로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주서빙셀의 인덱스는 항상 일정한 값으로 주어지며, 여기서는 0으로 주어진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서빙셀의 인덱스는 주서빙셀의 인덱스 0을 제외한 나머지 인덱스인 1, 2, 3,…, 8으로 주어진다. 여기서의 서빙셀의 인덱스는 단말마다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논리적인 인덱스일 수도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셀을 지시하는 물리적인 인덱스일 수도 있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700)가 8비트이므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총 8개의 부서빙셀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를 최대 8개까지 커버할 수 있다.
지원 가능한 전체 부서빙셀이 모두 단말에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단말에는 8개의 부서빙셀이 설정된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700)가 11001001이고, 왼쪽부터 각 비트는 서빙셀 인덱스 {8, 7, 6, 5, 4, 3, 2, 1}에 각각 대응한다. 따라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서빙셀 인덱스 {1, 4, 7, 8}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가 활성화됨을 지시하고, 서빙셀 인덱스 {2, 3, 5, 6}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여기서, 서빙셀 인덱스 0은 주서빙셀을 지시하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700)에서 지시되지는 않으나, 묵시적으로 활성화된 것으로 본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700)의 각 비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서빙셀 인덱스의 순서는 이는 예시일 뿐 반드시 도 17과 같은 순서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다면, 단말과 기지국은 각 서빙셀 인덱스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700)의 각 비트에 어떠한 순서로 대응하는지를 서로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순서는 단말에게 설정된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700)의 각 비트에 맵핑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예컨대, 가장 낮은 순위의 비트가 단말에게 설정된 서빙셀 중 가장 낮은 서빙셀 인덱스에 따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다음 순위의 비트가 단말에게 설정된 서빙셀 중 2번째로 낮은 서빙셀 인덱스에 따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순서는 기지국이 따로 단말에게 알려주지 않으며 상호 동일한 규칙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동일한 경우이다. 또한, 단말에는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들 중 일부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800)의 각 비트에는 전체 서빙셀의 인덱스 {1, 2, 3, 4, 5, 6, 7, 8}이 순차적으로 맵핑된다. 단말에 설정된 서빙셀의 인덱스는 {3, 5, 6, 7}이며, 이 중에서 활성화된 서빙셀의 인덱스는 {3, 7}이고, 비활성화된 서빙셀의 인덱스는 {5, 6}이다. 단말에 설정되지 않은 서빙셀의 인덱스 {1, 2, 4, 8}에 대응하는 비트는 항상 0으로 셋팅되고, 활성화된 서빙셀 인덱스 {3, 7}에 대응하는 비트는 1로 셋팅되며, 비활성화된 서빙셀 인덱스 {5, 6}에 대응하는 비트는 0으로 셋팅된다. 따라서, MAC 제어요소(1700)는 01000100으로 표현된다.
이와 같이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셀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비트는 비활성화된 것과 같이 0으로 셋팅되며, 이 경우, 단말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셀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비트는 무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전체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총 비트수와 같은 경우를 나타낸다. 그런데,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전체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총 비트수보다 적을 때에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남는 비트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는 도 19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900)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1905)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k이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900)의 비트수가 m이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900)에서 남는 비트수인 m-k는 다른 용도(예컨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는 독립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하는 용도)로 대체할 수 있도록 여분 R필드(2805)로 남겨둔다. 예를 들어, m=8이고, k=4라 하자. 8-4=4비트는 서빙셀 인덱스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R필드(1905)로 구성한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900)는 RRRR1001과 같이 표현되며, R필드(1905)를 제외한 나머지 4비트인 1001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 {4, 3, 2, 1}의 순서로 각각 대응한다. 즉, 상기 4비트에 서빙셀 인덱스가 맵핑되는 순서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상기 4비트가 지시하는 바는 단말에 설정되는 부서빙셀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상기 4비트가 abcd라 하면, 비트a, 비트b, 비트c, 비트d에는 서빙셀 인덱스 {4, 3, 2, 1}이 순차적으로 대응한다.
일 예로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들이 모두 단말에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4비트가 1001이므로(a=d=1, b=c=0), 이는 서빙셀 인덱스 {1, 4}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만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서빙셀 인덱스 {2, 3}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는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여기서, 서빙셀 인덱스 0은 주서빙셀을 지시하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1900)에서 지시되지는 않으나, 묵시적으로 활성화된 것으로 본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들 중 서빙셀 인덱스가 {4, 3, 1}인 부서빙셀만이 단말에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서빙셀 인덱스가 {2}인 부서빙셀은 단말에 설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4비트 중에서 서빙셀 인덱스 {2}에 대응하는 비트, 즉 비트c는 ab0d와 같이 항상 0으로 셋팅된다. 이 경우, 단말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셀에 대응하는 비트c는 무시한다. 그리고, 상기 4비트가 1001이므로(a=d=1, b=0), 이는 서빙셀 인덱스가 {1, 4}인 요소 반송파가 활성화됨을 지시하고, 서빙셀 인덱스 {3}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는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비트c에 대응하는 서빙셀 인덱스 {3}의 부서빙셀이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 c=0은 상기 부서빙셀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이 때 단말은 비트c를 무시하지 않고, 0인지 1인지를 판단한다. 반면, 비트c에 대응하는 서빙셀 인덱스 {3}의 부서빙셀이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c=0은 상기 부서빙셀의 비설정을 지시한다. 단말은 비트c가 어차피 0임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단말은 비트c를 무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서빙셀 인덱스가 각 서빙셀(또는 요소 반송파)의 물리적 중심 주파수의 인덱스인 경우이다. 또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동일한 경우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000)는 8비트 길이를 가진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000)의 각 비트는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 Fi와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1과 4는 각각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000)의 8번째 비트와 4번째 비트에 각각 대응한다. 여기서, Fi는 부서빙셀(또는 요소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i에 관한 인덱스이다. 예를 들어, F1은 100MHz, F2는 120MHz, F3은 140MHz를 나타내는 주파수 인덱스이다. 물론 이는 예시이며, 반드시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실제 주파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주파수의 크기가 감소할 수도 있고, 랜덤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지국과 단말간에는 주서빙셀이 항상 활성화된 것으로 규약하고 있으므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주서빙셀에 관한 주파수 인덱스를 별도로 표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000)는 최대 8개까지의 부서빙셀에 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다. 주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를 F0이라 하면, 나머지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는 F1부터 F8까지 주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0와 같이 주파수 인덱스 F1부터 F8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000)의 8번째 비트부터 1번째 비트까지 순차적으로 각각 맵핑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는 {F1, F2, F3, F4, F5, F6, F7, F8}이고, 이들이 모두 단말에 설정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활성화된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는 {F1, F4, F7, F8}이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000)는 11001001로 표현된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주파수 인덱스 F1부터 F8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000)의 1번째 비트부터 8번째 비트까지 순차적으로 각각 맵핑될 수도 있고, 랜덤하게 맵핑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서빙셀 인덱스가 각 서빙셀의 물리적 중심 주파수의 인덱스인 경우이다. 또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100)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2105)를 포함한다.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의 개수가 k이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100)의 비트수가 m이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100)에서 남는 비트수인 m-k는 다른 용도(예컨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는 독립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하는 용도)로 대체할 수 있도록 여분으로 남겨둔다. 예를 들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100)의 비트수가 8이고,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최대 서빙셀의 개수가 4라 하자. 8-4=4비트는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R필드(2105)로 구성한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100)는 'RRRR1001'과 같이 표현되며, R필드(2105)를 제외한 나머지 뒤의 4비트가 순차적으로 각각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 {F4, F3, F2, F1}에 대응한다. 상기 뒤의 4비트가 1001이므로, 주파수 인덱스 {F4, F1}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만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주파수 인덱스 {F3, F2}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는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여기서, 주파수 인덱스 F0은 주서빙셀을 지시하므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묵시적으로 활성화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주서빙셀의 인덱스는 반드시 F0일 필요는 없고, 다른 인덱스로 주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주서빙셀의 인덱스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에서 제외된다.
한편, 단말에 설정된 부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최대 요소 반송파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설정되지 않은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에 대응하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100)의 비트는 0으로 셋팅된다. 이 경우, 단말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비트는 무시한다.
여기서는 R필드(2105)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R필드(2105)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4개 이상 또는 이하일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부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여기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같은지 다른지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전체 비트수보다 적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200)는 4개의 R필드(2205) 및 4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수가 4개이고, 이들에 관한 서빙셀 인덱스는 {4, 3, 2, 1}이다. 상기 4개의 부서빙셀들 중 일부인 x개가 단말에 설정된다(x≤4). 이 때, 상기 4비트에 서빙셀 인덱스가 맵핑되는 순서는, 상기 x개의 부서빙셀에 대한 서빙셀 인덱스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상기 4개의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기준이 아니다.
만약, 단말에 설정되는 3개의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4, 3, 1}이라면, 상기 4비트 중 임의의 3비트만이 상기 3개의 부서빙셀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고, 나머지 1비트는 항상 0으로 셋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4비트가 abcd이면, 비트a는 항상 0이고, 나머지 비트b, 비트c, 비트d는 상기 3개의 부서빙셀들의 서빙셀 인덱스에 대응한다. 도 22의 예에서는 서빙셀 인덱스 {4, 3, 1}이 각각 비트b, 비트c, 비트d에 순차적으로 대응한다. bcd=101이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200)는 서빙셀 인덱스가 {4, 1}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가 {3}인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물론, 이는 예시일 뿐이고, 항상 0으로 셋팅되는 비트는 b, c, d 중 어느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0으로 셋팅되면, 상기 도 19의 예와 같아진다.
여기서는 R필드(2205)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R필드(2205)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4개 이상 또는 이하일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부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로서, 서빙셀 인덱스가 각 서빙셀의 물리적 중심 주파수의 인덱스인 경우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300)는 4개의 R필드(2305) 및 4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수가 4개이고, 이들에 관한 주파수 인덱스는 {F4, F3, F2, F1}이다. 상기 4개의 부서빙셀들 중 일부인 x개가 단말에 설정된다(x≤4). 이 때, 상기 4비트에 서빙셀 인덱스가 맵핑되는 순서는, 상기 x개의 부서빙셀에 대한 서빙셀 인덱스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상기 4개의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기준이 아니다.
만약, 단말에 설정되는 3개의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가 {F4, F3, F1}이라면, 상기 4비트 중 임의의 3비트만이 상기 3개의 부서빙셀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고, 나머지 1비트는 항상 0으로 셋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4비트가 abcd이면, 비트a는 항상 0이고, 나머지 비트b, 비트c, 비트d는 상기 3개의 부서빙셀들의 서빙셀 인덱스에 대응한다. 도 23의 예에서는 서빙셀 인덱스가 {F4, F3, F1}이 각각 비트b, 비트c, 비트d에 순차적으로 대응한다. bcd=101이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300)는 서빙셀 인덱스가 {F4, F1}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가 {F3}인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물론, 이는 예시일 뿐이고, 항상 0으로 셋팅되는 비트는 b, c, d 중 어느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0으로 셋팅되면, 상기 도 21의 예와 같아진다.
여기서는 R필드(2305)가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R필드(2305)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4개 이상 또는 이하일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각 비트가 특정한 순서로 이루어지는 서빙셀 인덱스에 각각 대응함을 단말에 알려주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부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와 같은 경우이다. 여기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같은지 다른지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전체 비트수보다 적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400)는 4개의 R필드(2405) 및 4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수가 4개이고, 이들에 관한 서빙셀 인덱스는 각각 {4, 3, 2, 1}이며, 모두 단말에 대해 설정되어 있다.
상기 도 17 내지 도 23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간에 비트와 서빙셀 인덱스간의 대응관계를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이도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달리, 도 24에서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와 비트위치간의 맵핑관계를 지시하는 인덱스 맵핑 정보(index mapping information)를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한다. 단말은 상기 인덱스 맵핑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트위치와 서빙셀 인덱스간의 맵핑관계를 확정한다. 이후에 기지국은 단말이 인덱스 맵핑 정보를 수신한 것을 확인하면,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인덱스 맵핑 정보는 MAC 메시지, RRC 메시지 및 물리계층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4비트가 abcd라 하면, 비트a, 비트b, 비트c, 비트d는 각각 4개의 서빙셀 인덱스에 대응한다. 도 24의 인덱스 맵핑 정보에 따르면, 비트a에 서빙셀 인덱스 {1}이, 비트b에 서빙셀 인덱스 {2}가, 비트c에 서빙셀 인덱스 {4}가, 비트d에 서빙셀 인덱스 {3}이 각각 맵핑된다.
단말은 인덱스 맵핑 정보를 기초로 각 비트위치에 맵핑되는 서빙셀 인덱스를 확정한 다음,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400)를 기초로 각 부서빙셀의 활성화/비활성화를 판단한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400)에서 R필드(2405)를 제외한 나머지 4비트 abcd=1100이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400)는 서빙셀 인덱스가 {1, 2}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가 {3, 4}인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서빙셀 인덱스 {3, 4}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지 않고, 서빙셀 인덱스 {1, 2}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만을 수신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각 비트가 특정한 순서로 이루어지는 서빙셀 인덱스에 각각 대응함을 단말에 알려주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부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여기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같은지 다른지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전체 비트수보다 적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500)는 4개의 R필드(2505) 및 4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수가 4개이고, 이들에 관한 서빙셀 인덱스는 각각 {4, 3, 2, 1}이며, 이 중에서 {4, 2, 1}인 부서빙셀만이 단말에 대해 설정되어 있다.
기지국은 인덱스 맵핑 정보를 먼저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4비트를 abcd라 할 때,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간의 맵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비트a에 서빙셀 인덱스 {1}이, 비트b에 서빙셀 인덱스 {2}가, 비트c에 서빙셀 인덱스 {4}가, 비트d에 서빙셀 인덱스 {3}이 각각 맵핑된다. 즉, abcd⇔{1, 2, 4, 3}의 맵핑관계가 성립한다.
그런데, 서빙셀 인덱스 {1}인 부서빙셀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트a=0으로 셋팅된다. 나머지 bcd=100이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500)는 서빙셀 인덱스 {2}인 부서빙셀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 {3, 4}인 부서빙셀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2. Case 2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구조
Case 2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Case 1과 달리 부서빙셀뿐만 아니라 주서빙셀의 활성화/비활성화의 지시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적어도 1비트는 주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에 대응하며, 이러한 점에서 Case 2의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구조가 Case 1과는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서빙셀이라 함은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다. 또한, 서빙셀 인덱스라함은 주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를 모두 지칭한다. 주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와 주파수 인덱스는 단말별 또는 기지국별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의 전체적인 설명의 일관성을 위해 주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는 0이고, 주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는 F0이라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동일한 경우이다. 또한, 단말에는 지원 가능한 서빙셀들이 모두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600)는 8비트 길이를 가진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600)의 각 위치의 비트는 각 서빙셀의 인덱스와 1:1로 대응한다. 여기서의 서빙셀 인덱스는 부서빙셀(SSC) 또는 주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를 의미한다. 주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600)의 각 비트에 명시적으로 대응되는 점이 도 17과 다르다. 따라서, 서빙셀의 인덱스는 0, 1, 2, 3,…, 7로 주어진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600)가 8비트이므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총 1개의 주서빙셀의 인덱스와 7개의 부서빙셀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를 최대 8개까지 커버할 수 있다.
지원 가능한 전체 서빙셀이 모두 단말에 설정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단말에는 8개의 서빙셀이 설정된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600)가 11001001이고, 왼쪽부터 각 비트는 서빙셀 인덱스 {7, 6, 5, 4, 3, 2, 1, 0}에 각각 대응한다. 따라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서빙셀 인덱스 {0, 3, 6, 7}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가 활성화됨을 지시하고, 서빙셀 인덱스 {1, 2, 4, 5}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가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600)의 각 비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서빙셀 인덱스의 순서는 이는 예시일 뿐 반드시 도 26과 같은 순서로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순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다면, 단말과 기지국은 각 서빙셀 인덱스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600)의 각 비트에 어떠한 순서로 대응하는지를 서로 알고 있어야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동일한 경우이다. 또한, 단말에는 지원 가능한 서빙셀들 중 일부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700)의 각 비트에는 전체 서빙셀 인덱스 {0, 1, 2, 3, 4, 5, 6, 7}이 순차적으로 맵핑된다. 먼저, 단말에 설정되지 않은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는 {1, 2, 4}이다. 따라서, {1, 2, 4}에 대응하는 비트는 항상 0으로 셋팅된다. 다음으로, 단말에 설정된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는 {0, 3, 5, 6, 7}이다. MAC 제어요소(2700)는 0100001이므로, 서빙셀 인덱스 {0, 6}인 서빙셀이 활성화됨을 지시하고, 서빙셀 인덱스 {3, 5, 7}인 서빙셀이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단말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셀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비트는 무시한다.
도 26 및 도 27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전체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총 비트수와 같은 경우를 나타낸다. 그런데,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전체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총 비트수보다 적을 때에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남는 비트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는 도 28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800)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2805)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k이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800)의 비트수가 m이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800)에서 남는 비트수인 m-k는 다른 용도(예컨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는 독립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하는 용도)로 대체할 수 있도록 여분의 R필드(2805)로 남겨둔다. 예를 들어, m=8이고, k=5라 하자. 8-5=3비트는 서빙셀 인덱스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R필드(2805)로 구성한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800)는 RRR11001과 같이 표현되며, R필드(2805)를 제외한 나머지 5비트인 11001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 {4, 3, 2, 1, 0}의 순서로 각각 대응한다. 즉, 상기 5비트에 서빙셀 인덱스가 맵핑되는 순서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상기 5비트가 지시하는 바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셀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달라진다. 상기 5비트가 abcde라 하면, 비트a, 비트b, 비트c, 비트d, 비트e에는 서빙셀 인덱스 {4, 3, 2, 1, 0}이 순차적으로 대응한다.
일 예로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들이 모두 단말에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5비트가 11001이므로(a=b=e=1, c=d=0), 이는 서빙셀 인덱스 {0, 3, 4}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만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서빙셀 인덱스 {1, 2}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는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여기서, 서빙셀 인덱스 0은 주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이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들 중 서빙셀 인덱스가 {4, 3, 1, 0}인 서빙셀만이 단말에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서빙셀 인덱스가 {2}인 서빙셀은 단말에 설정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5비트 중에서 서빙셀 인덱스 {2}에 대응하는 비트, 즉 비트c는 ab0de와 같이 항상 0으로 셋팅된다. 이 경우, 단말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셀에 대응하는 비트c는 무시한다. 그리고, 상기 5비트가 11001이므로(a=b=e=1, c=d=0), 이는 서빙셀 인덱스가 {0, 3, 4}인 요소 반송파가 활성화됨을 지시하고, 서빙셀 인덱스 {1}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는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서빙셀 인덱스가 각 서빙셀(또는 요소 반송파)의 물리적 중심 주파수의 인덱스인 경우이다. 또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동일한 경우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900)는 8비트 길이를 가진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900)의 각 비트는 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 Fi와 1:1로 대응한다. 예를 들어, 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1과 4는 각각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900)의 8번째 비트와 4번째 비트에 각각 대응한다. 여기서, Fi는 서빙셀(또는 요소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i에 관한 인덱스이다. 예를 들어, F0는 90MHz, F1은 100MHz, F2는 120MHz, F3은 140MHz를 나타내는 주파수 인덱스이다. 물론 이는 예시이며, 반드시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실제 주파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주파수의 크기가 감소할 수도 있고, 랜덤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900)는 최대 8개까지의 서빙셀에 관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다. 주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를 F0이라 하면, 나머지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는 F1부터 F7까지 주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9와 같이 주파수 인덱스 F0부터 F7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900)의 8번째 비트부터 1번째 비트까지 순차적으로 각각 맵핑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는 {F0, F1, F2, F3, F4, F5, F6, F7}이고, 이들이 모두 단말에 설정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활성화된 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는 {F0, F3, F6, F7}이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900)는 11001001로 표현된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고, 주파수 인덱스 F0부터 F7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2900)의 1번째 비트부터 8번째 비트까지 순차적으로 각각 맵핑될 수도 있고, 랜덤하게 맵핑될 수도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서빙셀 인덱스가 각 서빙셀의 물리적 중심 주파수의 인덱스인 경우이다. 또한,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000)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3005)를 포함한다. 단말에 설정된 서빙셀의 개수가 k이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000)의 비트수가 m이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000)에서 남는 비트수인 m-k는 다른 용도(예컨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는 독립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하는 용도)로 대체할 수 있도록 여분으로 남겨둔다. 예를 들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000)의 비트수가 8이고,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최대 서빙셀의 개수가 5라 하자. 8-5=3비트는 부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로 사용되지 않으므로, R필드(3005)로 구성한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000)는 'RRR11001'과 같이 표현되며, R필드(3005)를 제외한 나머지 뒤의 5비트가 순차적으로 각각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 {F4, F3, F2, F1, F0}에 대응한다. 상기 뒤의 4비트가 11001이므로, 주파수 인덱스 {F4, F3. F0}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만이 활성화되고, 나머지 주파수 인덱스 {F2, F1}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는 비활성화됨을 지시한다.
한편, 단말에 설정된 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최대 요소 반송파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설정되지 않은 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에 대응하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000)의 비트는 0으로 셋팅된다. 이 경우, 단말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서빙셀에 대응하는 비트는 무시한다.
여기서는 R필드(3005)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R필드(3005)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3개 이상 또는 이하일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여기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같은지 다른지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전체 비트수보다 적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100)는 3개의 R필드(3105) 및 5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수가 5개이고, 이들에 관한 서빙셀 인덱스는 {4, 3, 2, 1, 0}이다. 상기 5개의 서빙셀들 중 일부인 x개가 단말에 설정된다(x≤5). 이 때, 상기 5비트에 서빙셀 인덱스가 맵핑되는 순서는, 상기 x개의 서빙셀에 대한 서빙셀 인덱스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상기 5개의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기준이 아니다.
만약, 단말에 설정되는 3개의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3, 1, 0}이라면, 상기 5비트 중 임의의 3비트만이 상기 3개의 서빙셀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고, 나머지 2비트는 항상 0으로 셋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5비트가 abcde이면, 비트a, 비트b는 항상 0이고, 나머지 비트c, 비트d, 비트e는 상기 3개의 서빙셀들의 서빙셀 인덱스에 대응한다. 도 31의 예에서는 서빙셀 인덱스 {3, 1, 0}이 각각 비트b, 비트c, 비트d에 순차적으로 대응한다. cde=101이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100)는 서빙셀 인덱스가 {3, 0}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가 {1}인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물론, 이는 예시일 뿐이고, 항상 0으로 셋팅되는 비트는 a, b, c, d, e 중 어느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R필드(3105)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R필드(3105)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3개 이상 또는 이하일 수도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로서, 서빙셀 인덱스가 각 서빙셀의 물리적 중심 주파수의 인덱스인 경우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200)는 3개의 R필드(3205) 및 5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수가 5개이고, 이들에 관한 주파수 인덱스는 {F4, F3, F2, F1, F0}이다. 상기 5개의 서빙셀들 중 일부인 x개가 단말에 설정된다(x≤5). 이 때, 상기 5비트에 서빙셀 인덱스가 맵핑되는 순서는, 상기 x개의 서빙셀에 대한 서빙셀 인덱스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상기 5개의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가 기준이 아니다.
만약, 단말에 설정되는 3개의 서빙셀의 주파수 인덱스가 {F3, F1, F0}이라면, 상기 5비트 중 임의의 3비트만이 상기 3개의 서빙셀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고, 나머지 2비트는 항상 0으로 셋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5비트가 abcde이면, 비트a와 비트b는 항상 0이고, 나머지 비트c, 비트d, 비트e는 상기 3개의 서빙셀들의 서빙셀 인덱스에 대응한다. 도 32의 예에서는 서빙셀 인덱스가 {F3, F1, F0}이 각각 비트c, 비트d, 비트e에 순차적으로 대응한다. cde=101이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200)는 서빙셀 인덱스가 {F3, F0}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가 {F1}인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물론, 이는 예시일 뿐이고, 항상 0으로 셋팅되는 비트는 a, b, c, d, e 중 어느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R필드(3205)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R필드(3205)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3개 이상 또는 이하일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각 비트가 특정한 순서로 이루어지는 서빙셀 인덱스에 각각 대응함을 단말에 알려주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와 같은 경우이다. 여기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같은지 다른지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전체 비트수보다 적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300)는 3개의 R필드(3305) 및 5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수가 5개이고, 이들에 관한 서빙셀 인덱스는 각각 {0, 1, 2, 3, 4}이며, 모두 단말에 대해 설정되어 있다.
상기 도 26 내지 도 32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간에 비트와 서빙셀 인덱스간의 대응관계를 별도의 시그널링이 없이도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달리, 도 33에서는, 단말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와 비트위치간의 맵핑관계를 지시하는 인덱스 맵핑 정보(index mapping information)를 이용하여, 각 비트의 위체와 서빙셀 인덱스를 맵핑한다.
예를 들어, 상기 5비트가 abcde라 하면, 비트a, 비트b, 비트c, 비트d, 비트e는 각각 5개의 서빙셀 인덱스에 대응한다. 도 33의 인덱스 맵핑 정보에 따르면, 비트a에 서빙셀 인덱스 {1}이, 비트b에 서빙셀 인덱스 {2}가, 비트c에 서빙셀 인덱스 {0}이, 비트d에 서빙셀 인덱스 {4}가, 비트e에 서빙셀 인덱스 {3}이 각각 맵핑된다.
단말은 인덱스 맵핑 정보를 기초로 각 비트위치에 맵핑되는 서빙셀 인덱스를 확정한 다음,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300)를 기초로 각 서빙셀의 활성화/비활성화를 판단한다.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300)에서 R필드(3305)를 제외한 나머지 5비트 abcde=10101이다. 따라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300)는 서빙셀 인덱스가 {1, 0, 3}인 요소 반송파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가 {2, 4}인 요소 반송파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서빙셀 인덱스 {2, 4}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지 않고, 서빙셀 인덱스 {1, 0, 3}에 해당하는 요소 반송파만을 수신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는 MAC 제어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기지국이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각 비트가 특정한 순서로 이루어지는 서빙셀 인덱스에 각각 대응함을 단말에 알려주는 경우이다. 그리고, 이는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셀의 개수가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이다. 여기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비트수와 같은지 다른지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개수가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전체 비트수보다 적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R필드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400)는 3개의 R필드(3405) 및 5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의 수가 5개이고, 이들에 관한 서빙셀 인덱스는 각각 {0, 1, 2, 3, 4}이며, 이 중에서 {0, 3, 4}인 서빙셀만이 단말에 대해 설정되어 있다.
기지국은 인덱스 맵핑 정보를 먼저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5비트를 abcde라 할 때,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서빙셀간의 맵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비트a에 서빙셀 인덱스 {1}이, 비트b에 서빙셀 인덱스 {2}가, 비트c에 서빙셀 인덱스 {0}이, 비트d에 서빙셀 인덱스 {4}가, 비트e에 서빙셀 인덱스 {3}이 각각 맵핑된다. 즉, abcde⇔{1, 2, 0, 4, 3}의 맵핑관계가 성립한다.
그런데, 서빙셀 인덱스 {1, 2}인 서빙셀은 단말에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트a=비트b=0으로 셋팅된다. 나머지 cde=101이므로,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3400)는 서빙셀 인덱스 {0, 3}인 서빙셀의 활성화를, 서빙셀 인덱스 {4}인 부서빙셀의 비활성화를 지시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인덱스 맵핑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3500). 인덱스 맵핑 정보는 시스템에서 지원 가능한 부서빙셀의 서빙셀 인덱스와 비트위치간의 맵핑관계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단말은 인덱스 맵핑 정보에 기초하여 이후에 수신할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각 비트를 서빙셀 인덱스와 대응시킬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인덱스 맵핑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인덱스 맵핑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지시 MAC 제어요소의 각 비트를 서빙셀 인덱스와 대응시키면, 맵핑 확인 정보(mapping confirmation information)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3505).
상기 인덱스 맵핑 정보와 상기 맵핑 확인 정보는 MAC 메시지, RRC 메시지 및 물리계층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지국은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3510).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상기 도 16 내지 도 34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유사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은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빙셀 인덱스에 관한 특정 요소 반송파를 활성화시키거나(또는 수신하거나), 비활성화시킬 수(또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구성된 서빙셀들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에서 단말에 설정되는 각각의 서빙셀 들에 대하여, 제어채널과 데이터 채널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하여 모니터링을 지시하는 활성화 혹은 제어채널과 데이터 채널 중에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중단 시키도록 하는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1비트 지시자로 설정하는 단계, 여기서 활성화는” 1”, 비활성화는 “0”임;
    단말에 8비트의 비트열(bit-stream)로 설정되는 서빙셀들을 위한 지시자를 포함하는 MAC 제어신호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트열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빙셀들을 위한 지시자로 사용이 불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예비비트(reserved b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0127789A 2009-10-30 2017-09-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KR101828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586 2009-10-30
KR20090104586 2009-10-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151A Division KR101785997B1 (ko) 2009-10-30 2010-09-0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995A KR20170115995A (ko) 2017-10-18
KR101828917B1 true KR101828917B1 (ko) 2018-02-13

Family

ID=6029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89A KR101828917B1 (ko) 2009-10-30 2017-09-2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9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2329A2 (en) 2008-04-25 2009-10-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trol of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2329A2 (en) 2008-04-25 2009-10-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trol of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Ericsson, ST-Ericsson, 3GPP TSG-RAN WG2 #68, R2-096752
'Details on Carrier Aggregation Signaling', NEC, 3GPP TSG-RAN WG2 #67 , R2-09462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995A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99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US10652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providing TDD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 and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tim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TDD
US91550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EP3528571B1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frequency band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WO2018074068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095394B2 (en) Method by which terminal blind-decodes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88734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KR20130053635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전력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90038300A (ko) 차세대 무선망에서 대역폭 파트를 전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2019528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ver a component carri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053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단위의 그룹 기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23672B1 (ko) 차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버퍼 상태 보고 구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82891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방법 및 그 기지국, 단말의 수신방법
KR102114949B1 (ko)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