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882B1 -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 - Google Patents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882B1
KR101828882B1 KR1020160134080A KR20160134080A KR101828882B1 KR 101828882 B1 KR101828882 B1 KR 101828882B1 KR 1020160134080 A KR1020160134080 A KR 1020160134080A KR 20160134080 A KR20160134080 A KR 20160134080A KR 101828882 B1 KR101828882 B1 KR 10182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lens unit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엘이디
Priority to KR102016013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8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non-coherent light sources and/or radiation detectors, e.g. lamps, incandescent bulbs, scintillation cha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는, 일측에 제1마운트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광원과, 상기 제1마운트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키는 제1차렌즈를 포함하는 메인투광모듈 및 상기 제1마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차렌즈를 통과한 빛의 방사각을 가변시키는 방사각조절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Light Glancing Angle Adjustable Floodlight}
본 발명은 투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조사각을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투광기에 관한 것이다.
원하는 영역에 광을 집중 조사하는 투광기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CCTV용으로 사용되는 투광기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광원에 하나의 렌즈를 접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광원에 하나의 렌즈를 접목시킨 CCTV용 투광기의 경우 다수의 광원 전체에 대응되는 크기로 렌즈를 가공하게 되며, 일반적으로는 주문제작을 통해 가공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와 같이 주문제작을 하는 경우에는 렌즈의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에 결국 다수의 광원 전체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제조할 수밖에 없게 되며, 이와 같이 광원의 크기가 작아지게 될 경우 투광기의 출력 역시 작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수의 광원 하나하나에 개별적으로 렌즈를 접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하는 방법이 고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투광기 역시 렌즈의 사양에 따라 빛의 방사각이 결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투광기와 마찬가지로 방사각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광 조사각을 가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투광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는, 일측에 제1마운트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광원과, 상기 제1마운트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키는 제1차렌즈를 포함하는 메인투광모듈 및 상기 제1마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차렌즈를 통과한 빛의 방사각을 가변시키는 방사각조절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사각조절모듈은, 복수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셀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셀을 구성하는 렌즈 간 초점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렌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투광모듈에 연결된 렌즈유닛 및 별도로 구비되는 화상촬영장치에 구비되는 렌즈유닛을 함께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각조절모듈은, 일측에 제2마운트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마운트부에 대응되는 제3마운트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투광모듈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기 제1차렌즈를 통과한 빛을 방사시키는 제2차렌즈를 포함하는 보조투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차렌즈는 상기 제1차렌즈와의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투광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제1차렌즈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을 가변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다양한 상황에서 빛의 조사각을 가변시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투광기의 출력을 유지하면서도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촬영장치와 연동하여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에 렌즈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에 보조투광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보조투광유닛에 렌즈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에 보조투광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제어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제어부를 통해 메인투광모듈에 연결된 렌즈유닛과 타 화상촬영장치에 구비되는 렌즈유닛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광기는 광을 집광시켜 조사하는 메인투광모듈과, 상기 메인투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사각을 가변시키는 방사각조절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사각조절모듈은 상기 메인투광모듈의 일측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사각조절모듈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빛의 방사각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일 유닛만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유닛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투광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100)에 방사각조절모듈의 한 형태인 렌즈유닛(30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은 하우징(110)과, 광원(120)과, 반사경(130)과, 제1차렌즈(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에 제1마운트부(15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120), 반사경(130) 및 제1차렌즈(14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제1마운트부(150)는 전술한 방사각조절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마운트부(150)는 상기 방사각조절유닛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수용공간(S)은 상기 제1마운트부(150) 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0)은 상기 수용공간(S)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S)의 개구 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광원(120)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적용하였으나, 상기 광원(120)의 종류는 레이저 다이오드 외의 다양한 조명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120)이 복수 개가 구비되나, 상기 광원(120)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렌즈(140)는 상기 제1마운트부(150)의 내측에 구비되어 고정되며, 상기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켜 전방으로 방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차렌즈(140)는 양면이 모두 오목한 형태의 렌즈를 사용하여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전방으로 방출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1차렌즈(140)의 형태 역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반사경(130)은 복수 개의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제1차렌즈(14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광원(120)과 상기 제1차렌즈(140)의 종류, 개수, 크기 및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각도로 상기 수용공간(S)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은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전방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사각조절모듈로서 렌즈유닛(300)이 적용된다. 상기 렌즈유닛(300)은 복수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셀(310)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셀(310)을 구성하는 렌즈 간 초점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유닛(300)은 상기 렌즈셀(310)을 구성하는 렌즈 간 초점거리에 따라 상기 메인투광모듈(1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사각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유닛(300)은 상용의 카메라, CCTV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렌즈군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의 형태에 특화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렌즈유닛(300)이 상용의 카메라, CCTV 등에 적용되는 다양한 렌즈군 중 어느 하나일 경우, 후방의 연결부(320)가 제조사 등의 규격에 따라 특정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의 제1마운트부(150)는 해당 제조사의 렌즈군의 사양에 적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사각조절모듈로서 렌즈셀(310)의 초점거리를 가변 가능한 렌즈유닛(300)을 적용하여 빛의 방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유닛(30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0)까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렌즈유닛(300)의 렌즈셀(310) 초점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투광기가 CCTV 등 다른 화상촬영장치와 함께 구비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에 연결된 렌즈유닛(300) 및 별도로 구비되는 화상촬영장치에 구비되는 렌즈유닛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100)에 보조투광유닛(20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보조투광유닛(200)에 렌즈유닛(30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메인투광모듈(100)을 적용하였으므로,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사각조절모듈로서 보조투광유닛(200)이 적용된다.
상기 보조투광유닛(200)은 일측에 제2마운트부(230)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마운트부(150)에 대응되는 제3마운트부(21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투광유닛(200)은 상기 제1차렌즈(140)를 통과한 빛을 소정 각도로 방사시키는 제2차렌즈(2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차렌즈(220)는 상기 제1차렌즈(140)를 통과한 빛을 굴절시켜 방사시키게 되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차렌즈(220)가 상기 제3마운트부(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상기 제2차렌즈(220)의 위치는 본 실시예의 위치와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차렌즈(220)는 상기 제1차렌즈(140)와 대향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반대측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2차렌즈(220)의 형태 역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방사각조절모듈로서 제2차렌즈(220)를 포함하는 보조투광유닛(200)을 적용하여 빛의 방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투광유닛(200)의 제2마운트부(230)에는 렌즈유닛(300)이 추가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2마운트부(230)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마운트부(150)와 동일한 기능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사각조절모듈로서 보조투광유닛(200) 만이 구비되는 형태 외에도 렌즈유닛(300)을 추가적으로 결합한 형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렌즈유닛(300)의 연결부(320)와 상기 제1마운트부(150)의 규격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상기 보조투광유닛(200)이 어댑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렌즈유닛(300)과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이 서로 호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투광기에 있어서, 메인투광모듈(100)에 보조투광유닛(20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투광모듈(100)의 제1마운트부(150)에 보조투광유닛(200)이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투광유닛(200)은 상기 메인투광모듈(100)과 슬라이딩부(240)를 통해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투광모듈(100)과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투광유닛(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차렌즈(220)는 상기 제1차렌즈(140)와의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2차렌즈(220)는 상기 제1차렌즈(140)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240)의 형태는 기 공지된 다양한 슬라이딩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투광기에 제어부(160)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투광모듈(100)에 제어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인투광모듈(100)에 연결된 렌즈유닛(300) 및 별도로 구비되는 화상촬영장치(400)에 구비되는 렌즈유닛(300)을 함께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CCTV 등과 같은 화상촬영장치(400)에 구비되는 렌즈유닛(300)과 투광기의 렌즈유닛(300)을 하나의 신호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동시에 제어하여 상기 화상촬영장치(400)의 화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투광기의 빛 방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상촬영장치(400)가 멀리 있는 사물을 줌인(Zoom-In)하여 촬영하는 경우 상기 투광기의 광 조사각 역시 협각으로 변하여 빛을 멀리 보내게 되고, 반대로 상기 화상촬영장치(400)가 줌아웃(Zoom-Out)하여 근거리의 넓은 영역을 촬영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투광기의 광 조사각 역시 광각으로 변하여 빛을 넓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메인투광모듈 110: 하우징
120: 광원 130: 반사경
140: 제1차렌즈 150: 제1마운트부
160: 제어부 200: 보조투광유닛
210: 제3마운트부 220: 제2차렌즈
230: 제2마운트부 300: 렌즈유닛
310: 렌즈셀 320: 연결부
400: 화상촬영장치 500: 컨트롤러

Claims (6)

  1. 일측에 제1마운트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광원과, 상기 제1마운트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키는 제1차렌즈를 포함하는 메인투광모듈; 및
    상기 제1마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차렌즈를 통과한 빛의 방사각을 가변시키는 방사각조절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각조절모듈은,
    일측에 렌즈유닛이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마운트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마운트부에 대응되는 제3마운트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메인투광모듈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차렌즈를 통과한 빛을 방사시키되, 상기 제3마운트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2차렌즈를 포함하는 보조투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렌즈는 상기 제1차렌즈와의 거리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투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각조절모듈은,
    복수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셀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셀을 구성하는 렌즈 간 초점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렌즈유닛을 더 포함하는 투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투광모듈에 연결된 렌즈유닛 및 별도로 구비되는 화상촬영장치에 구비되는 렌즈유닛을 함께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투광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투광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상기 제1차렌즈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더 포함하는 투광기.
KR1020160134080A 2016-10-17 2016-10-17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 KR10182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80A KR101828882B1 (ko) 2016-10-17 2016-10-17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80A KR101828882B1 (ko) 2016-10-17 2016-10-17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882B1 true KR101828882B1 (ko) 2018-02-19

Family

ID=6138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80A KR101828882B1 (ko) 2016-10-17 2016-10-17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8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40Y1 (ko) * 2006-06-27 2006-09-06 김용근 레이저투광기
KR101030999B1 (ko) * 2010-10-11 2011-04-25 (주)흥화전자 광 방사각 조절이 가능한 투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40Y1 (ko) * 2006-06-27 2006-09-06 김용근 레이저투광기
KR101030999B1 (ko) * 2010-10-11 2011-04-25 (주)흥화전자 광 방사각 조절이 가능한 투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9396B1 (en) Multiple beam shaping illumination system
JP2006085168A (ja) フラッシュ・モジュール、カメラ及びフラッシュ撮影時に被写体を照明する為の方法
US20180176486A1 (en) Illumination device, imaging device, and lens
US20180156414A1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TW200949139A (en) Illumination device with improved remote control
CA2862616A1 (en) Laser beam-combining optical device
US11880119B2 (en) Camera-puddle lamp integrated apparatus and side mirror including the same
KR101289797B1 (ko) 줌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JP2009176471A (ja) Led光源用レンズ
KR20090100661A (ko) 무한 결상 광학계 및 무한 결상 광학계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제작 방법.
US11603032B2 (en) Camera-puddle lamp integrated apparatus and side mirror including the same
JP6271884B2 (ja) 照明装置、照明システム、撮像用照明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CN204028449U (zh) 一种变焦镜组、照明装置及主动式变焦摄像仪
KR101828882B1 (ko) 광 조사각 가변형 투광기
TWI452404B (zh) 具有投光角度自動調整功能的影像擷取系統
US20140300803A1 (en) Image-capturing system
KR101062954B1 (ko) 다열로 배열된 적외선광원을 이용한 근적외선 조명장치
JP2007095681A (ja) 多光源多光軸投光システム
US11933468B2 (en) Headlight device having optical beam splitter
US11312306B2 (en) Camera-puddle lamp integrated apparatus and side mirror including the same
US11356615B2 (en) Camera device and IR light irradiating method
KR20190094397A (ko) 원격 통신 기능을 갖는 플래시 라이트 방출기
CN109884849B (zh) 结构光投影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00086815A (ko) 카메라 모듈
KR101637159B1 (ko)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