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865B1 -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 Google Patents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865B1
KR101828865B1 KR1020160134335A KR20160134335A KR101828865B1 KR 101828865 B1 KR101828865 B1 KR 101828865B1 KR 1020160134335 A KR1020160134335 A KR 1020160134335A KR 20160134335 A KR20160134335 A KR 20160134335A KR 101828865 B1 KR101828865 B1 KR 101828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medicine
control module
spraying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칠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Priority to KR102016013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3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reacting with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02Chemical warfare substances, e.g. cholinesteras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04Pesticides, e.g. insecticides, herbicides, fungicides or nematoci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2101/00Harmful chemical substances made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chemical change
    • A62D2101/08Toxic combustion residues, e.g. toxic substances contained in fly ash from waste inci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용액을 분사하여 오염 지역이나 장비의 오염원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이동용 제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와 제어부 및 탑제부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수단에, 약제탱크의 약제를 연무형태로 분무하여 제독하는 연무형 방제모듈, 약제를 미세크기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미세형 방제모듈, 및 약제를 대량으로 전방위적으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장사형 방제모듈을 선택적으로 택일 탈·장착하여 화생방 지역의 제독 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지역 또는 이들의오염장비나 건물 등의 방제(제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A Detoxicating Eqipment}
본 발명은 약제용액을 분사하여 오염 지역이나 장비의 오염원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이동용 제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와 제어부 및 탑제부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수단에, 약제탱크의 약제를 연무형태로 분무하여 제독하는 연무형 방제모듈, 약제를 미세크기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미세형 방제모듈, 및 약제를 대량으로 전방위적으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장사형 방제모듈을 선택적으로 택일 탈·장착하여 화생방 지역의 제독 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지역 또는 이들의 오염장비나 건물 등의 방제(제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오염지역은 벌레나 모기 등과 같은 병충해 또는 바이러스 등과 같은 병원균 등의 오염원을 박멸 제거하기 위해 방제기나 소독기를 사용하여 오염원을 제거하는 약제를 분무형태로 살포하여 병충해나 병원균 등을 예방 또는 제거(방제)한다.
또한 전투에 있어서도, 화생방전은 화학적, 생물학적, 방사능 병기를 이용하여 인체나 장비 등에 치명적인 가스나 바이러스 등과 같은 독소가 함유된 오염원을 살포하게 되는데 이때 오염원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오염 제거용 약제를 오염지역이나 장비 건물 등에 살포 분사하여 제독 처리하게 된다.
특히, 대테러 또는 화생방전에 의한 건물 내부 오염이나, 차량 내·외부 오염, 지하철과 같은 밀폐지역의 오염 발생 시 신속하게 오염을 제독해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특히 첨단 고가장비(전자장비 및 통신장비 등)의 제독을 위해서는 제독 후 장비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약제를 살포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병충해와 같은 해충이나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는 소독기나 대테러 또는 화생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원을 제거하는 분무장비는, 대부분이 압축공기압을 이용하여 오염 제거용 약제를 분무수단을 통해 오염지역이나 장비(장비의표면) 건축물 등에 분사시켜 오염을 제거(제독)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운용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분무장비를 통해 오염제거용 약제를 분사시키는 방식으로는 압축공기압을 약제가 수납된 용기와 연결하고 이를 분사수단을 통해 바로 토출시키는 습식방식과 공기압으로 토출되는 약제를 한 번 더 미세하게 하는 조절기수단을 통해 안개형태의 미세분무로 토출하는 건식방식으로 나누어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비에 있어, 현재까지 일반에 나와있는 장비들은 습식방식과 건식방식 중 어느 한가지 방식을 적용한 장비들이 대부분이고 일부 소독기에서 연막 및 분무 겸용장비가 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장비)는 등록특허 제10-0479462호의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 등록특허 제10-0342611호의 '화생방전용 제독 장치' 등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는 분무 분사를 수행하고 있는 기존 소독기에 엔진의 배기매니폴드로 약액이 유입되도록 별도의 라인을 설치한 후, 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압력 및 배기가스온도를 이용하여 유입된 약액을 기화 연막화시켜 연막 분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하나의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및 분무 분사의 기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송풍기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화생방전용 제독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물안내관의 중간 일측에 연결된 분체 안내관을 통해 화학 병기의 중화를 위한 화학 약품의 분체를 물안내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체 투입부; 물안내관의 또 다른 중간 일측에 연결된 유화제 안내관을 통해 물안내관으로 유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유화제 공급부; 및 물안내관의 말단에 연결되어 물과 분체와 유화제의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건을 포함하며, 또한, 분사 건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물공급부와 분체 투입부 및 유화제 공급부를 차례로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장비 제독용 건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물공급 펌프, 분체 투입기, 유화제 펌프가 차례로 작동된다
KR 10-0479462 (등록번호) 2005.03.18. KR 10-0342611 (등록번호) 2002.06.18. KR 20-0234388 (등록번호) 2001.06.04.
그러나 종래의 상기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나 상기 '화생방전용 제독 장치' 등은 이동장치나 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화생방 지역의 방제나 제독 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하기가 어렵다.
즉, 방제 또는 제독 대상의 지역이 넓거나 오염장비 등을 보호해야 하는 경우 약제를 안개형태로 분무해야 하고 또 오염 건축물에 약제를 살포해야 하는 경우 약제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도록 해야 하는데, 종래의 장비로는 화생방 현장에서 방제 대상물이나 장비에 따라 살포방식을 변경하여 화생방 환경에 알맞은 살포방식으로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부와 제어부 및 탑제부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탑제부에 약제탱크의 약제를 연무형태로 분무하여 제독하는 연무형 방제모듈, 약제를 미세크기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미세형 방제모듈, 및 약제를 대량으로 전방위적으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장사형 방제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화생방 지역의 제독 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지역 또는 이들의 오염장비나 건물 등의 방제(제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테러나 화생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독장치에 있어서, 전후구동부 및 탑제부가 구비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되는 상기 탑제부에 장착되되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부와 약제를 토출시키는 분사부로 구비되는 방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제부의 전면브라케트에는 상기 방제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탑제부의 바닥면브라케트에는 그 양측면 모서리부에 상기 방제모듈의 상부면과 측면으로 감싸서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체결하는 고정구가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방제모듈은 상기 전면브라케트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포트에 연결 접속되는 접속부가 구비되고, 약제 용액을 미크론단위의 초미세입자로 만들어 상기 분사부를 통해 토출시켜 오염을 제독 방제시키는 연무형 방제모듈과, 약제 용액을 미세입자로 분사시켜 제독 방제시키는 미세형 방제모듈, 및 약제 용액을 미세입자로 하여 대량으로 분사시키켜 제독 방제시키는 장사형 방제모듈로 구분되며 이들 중 상기 이동수단의 상기 탑제부에 어느 하나를 장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는 화생방 지역의 제독 여건에 따라 약제탱크의 약제를 연무형태로 분무하여 제독하는 연무형 방제모듈, 약제를 미세크기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미세형 방제모듈, 및 약제를 대량으로 전방위적으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장사형 방제모듈을 선택적으로 이동수단에 신속하게 탈·장착하여 제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학전이나 생물학전으로 인한 지역 또는 이들의 오염장비나 건물 등의 방제(제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생방 지역에서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독작업을 실시함으로써 화생방전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염지역 확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고장 발생률이 적어 내구성이 좋으며, 화생방 오염이 된 첨단 고가의 전자장비 및 통신장비 등을 신속하게 제독하여 성능을 단시간 내에 원상회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에 대한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에서 방제모듈이 분리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의 이동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연무형, 미세형, 장사형 방제모듈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의 이동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연무형 방제모듈의 개략적인 내부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의 이동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미세형 방제모듈의 개략적인 내부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의 이동수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장사형 방제모듈의 개략적인 내부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구동부(111)와 제어부(112) 및 탑제부(113)가 구비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수단(110)과,
상기 이동수단(110)에 구비되는 상기 탑제부(113)에 장착되되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부와 약제를 토출시키는 분사부로 구비되는 방제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탑제부(113)의 전면브라케트(114)에는 상기 방제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포트(114a)가 구비되고, 상기 탑제부(113)의 바닥면브라케트(115)에는 그 양측면 모서리부에 상기 방제모듈(120)을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116)를 체결하는 고정구(117)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이동수단(110)을 조정하면서 화생방전으로 오염된 지역이나 건물 또는 장비 등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제모듈(120)에 구비된 상기 분사부를 통해 오염지역이나 장비 또는 건물 등을 신속하게 제독, 방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제모듈(120)은 약제 용액을 미크론단위의 초미세입자로 만들어 마치 안개형태와 같이 하여 상기 분사부를 통해 토출(분무)시켜 넓은 오염지역이나 약제가 스며들지 않도록 해야 하는 섬세한 장비를 제독 방제시키는 연무형 방제모듈(130)과, 약제 용액을 미세입자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염벽체나 건물 또는 일반 장비 등을 제독 방제시키는 미세형 방제모듈(140), 및 오염지역이나 건물에 약제 용액을 미세입자로 분사시키되 분사되는 양을 흥건하게 하여 제독 방제시키는 장사형 방제모듈(150)로 나뉘어 구분된다.
따라서 화생방전으로 인한 오염지역으로 상기 이동수단(110) 및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과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 및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을 함께 이동한 다음, 오염지역의 방제 환경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기 탑제부(113)에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과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 및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 중 어느 하나의 방제모듈을 장착하여 약제용액을 분무(분사)시켜 오염지역이나 장비 등을 신속하게 제독 방제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생방전으로 오염된 지역이나 건물 및 장비 등을 현장에서 조사한 결과, 약제 용액을 미크론단위의 초미세입자로 만들어 마치 안개형태와 같이 하여 상기 분사부를 통해 토출(분무)시켜 넓은 오염지역이나 약제가 스며들지 않도록 해야 하는 섬세한 장비를 제독 방제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기 탑제부(113)에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을 즉시 장착(탑제)시켜 제독 방제 작업을 시행한다.
또 약제 용액을 미세입자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염벽체나 건물 또는 일반 장비 등을 제독 방제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기 탑제부(113)에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를 장착시켜 제독 방제 작업을 시행한다.
또한 약제 용액을 흥건하게 뿌려 주어야 하는 경우,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기 탑제부(113)에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를 장착시켜 제독 방제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기 탑제부(113)에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과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 및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 중 어느 하나의 방제모듈을 탈·장착하여 오염환경에 따라 약제용액을 분무(분사)시켜 오염지역이나 장비 등을 신속하게 제독 방제처리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16)은 턴버클 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은 약제용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131)가 구비되는 연무형약제부(132)와, 약제용액을 분무시키는 분무구(133)가 연결되는 연무발생장치(134)가 구비되는 연무형분사부(135)로 구성되되,
상기 연무형약제부(132)의 양측 외부면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136)가 구비되고, 상기 연무형약제부(132)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와이어(116)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끼움구(137)가 구비되며, 또 상기 연무형분사부(135)의 양측 외부면에도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손잡이(136)가 구비되고, 상기 연무형분사부(135)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도 상기 와이어(116)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상기 끼움구(13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무형분사부(135)에 구비되는 상기 분무구(133)는 상기 연무발생장치(135)에서 발생되는 연무를 좌우 상하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염지역으로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이 장착된 상기 이동수단(110)을 보내 상기 약제탱크(131)에 저장된 약제 용액을 상기 분무구(133)를 통해 분무시키면서 해당 오염지역이나 오염장비 등을 신속하게 제독 방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은 상기 분무구(133)의 방향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가 있으며 초미립자인 안개식 분무로 약제 용액의 효율적인 공간 살포가 가능함으로써, 공항이나 여객선 출입국 게이트, 축제 이벤트장 등의 다중 이용시설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은 약제용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141)가 구비되는 미세형약제부(142)와, 약제용액을 분사시키는 분사노즐(143)이 연결되는 컴프레셔장치(144)가 구비되는 미세형분사부(145)로 구성되되,
상기 미세형약제부(142)의 양측 외부면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146)가 구비되고, 상기 미세형약제부(142)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와이어(116)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끼움구(147)가 구비되며, 또 상기 미세형분사부(145)의 양측 외부면에도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손잡이(146)가 구비되고, 상기 미세형분사부(145)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도 상기 와이어(116)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상기 끼움구(14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오염지역으로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이 장착된 상기 이동수단(110)을 보내 상기 약제탱크(141)에 저장된 약제 용액을 상기 분사노즐(143)을 통해 분사시키면서 해당 오염지역이나 오염장비 등을 신속하게 제독 방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143)은 절곡형으로 설치되어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고압으로 약제 용액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모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은 약제용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151)가 구비되는 장사형약제부(152)와, 약제용액을 장사형으로 분사시키는 장사형분사노즐(153)이 연결되는 장사형분사장치(154)가 구비되는 장사형분사부(155)로 구성되되,
상기 장사형약제부(152)의 양측 외부면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156)가 구비되고, 상기 장사형약제부(152)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와이어(116)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끼움구(157)가 구비되며, 또 상기 장사형분사부(155)의 양측 외부면에도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손잡이(156)가 구비되고, 상기 장사형분사부(155)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도 상기 와이어(116)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상기 끼움구(15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오염지역으로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이 장착된 상기 이동수단(110)을 보내 상기 약제탱크(151)에 저장된 약제 용액을 상기 장사형분사노즐(153)을 통해 분사시키면서 해당 오염지역이나 오염장비 등을 신속하게 제독 방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사형분사노즐(153)은 절곡형으로 설치되어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고압으로 약제 용액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모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과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 및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에는 각각 상기 이동수단(110)의 상기 전면브라케트(114)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포트(114a)에 연결 접속되는 접속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생방전에 따른 오염지역이나 건물 또는 장비 등의 오염 환경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110)에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과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 및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 중 어느 하나를 신속하게 장착하여 제독 방제할 수 있어 약제 용액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생방전에 따른 오염지역이나 건물 또는 장비 등의 오염 환경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110)에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130)과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140) 및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150)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하여 사용하다가 오염환경이 다른 곳이나 장비를 접하게 되면 다른 방제모듈로 신속하게 탈 장착하여 제독 방제할 수 있어, 화생방전으로 오염된 지역이나 건물 및 장비 등의 효율적인 제독 방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는 구동부와 제어부 및 탑제부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탑제부에 약제탱크의 약제를 연무형태로 분무하여 제독하는 연무형 방제모듈, 약제를 미세크기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미세형 방제모듈, 및 약제를 대량으로 전방위적으로 분사하여 제독하는 장사형 방제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화생방 지역의 제독 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약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지역 또는 이들의 오염장비나 건물 등의 방제(제독)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0: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110:이동수단
111:전후구동부 112:제어부 113:탑제부 114:전면브라케트
114a:연결포트 115:바닥면브라케트 116:와이어 117:고정구
120:방제모듈
130:연무형 방제모듈
131:약제탱크 132:연무형약제부 133:분무구 134:연무발생장치
135:연무형분사부 136:손잡이 137:끼움구
140:미세형 방제모듈
141:약제탱크 142:미세형약제부 143:분사노즐 144:컴프레셔장치
145:미세형분사부 146:손잡이 147:끼움구
150:장사형 방제모듈
151:약제탱크 152:장사형약제부 153:장사형분사노즐
154:장사형분사장치
155:장사형분사부 156:손잡이 157:끼움구

Claims (6)

  1. 대테러나 화생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독장치에 있어서,
    전후구동부 및 탑제부가 구비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조종이 가능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구비되는 상기 탑제부에 장착되되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부와 약제를 토출시키는 분사부로 구비되는 방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제부의 전면브라케트에는 상기 방제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탑제부의 바닥면브라케트에는 그 양측면 모서리부에 상기 방제모듈의 상부면과 측면으로 감싸서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체결하는 고정구가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방제모듈은 상기 전면브라케트에 구비되는 상기 연결포트에 연결 접속되는 접속부가 구비되고, 약제 용액을 미크론단위의 초미세입자로 만들어 상기 분사부를 통해 토출시켜 오염을 제독 방제시키는 연무형 방제모듈과, 약제 용액을 미세입자로 분사시켜 제독 방제시키는 미세형 방제모듈, 및 약제 용액을 미세입자로 하여 대량으로 분사시키켜 제독 방제시키는 장사형 방제모듈로 구분되며 이들 중 상기 이동수단의 상기 탑제부에 어느 하나를 장착하여 오염을 제독 방제처리 하도록 구성되는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무형 방제모듈은 약제용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가 구비되는 연무형약제부와, 약제용액을 분무시키는 분무구가 연결되는 연무발생장치가 구비되는 연무형분사부로 구성되되,
    상기 연무형약제부의 양측 외부면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연무형약제부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끼움구가 구비되며, 또 상기 연무형분사부의 양측 외부면에도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연무형분사부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도 상기 와이어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상기 끼움구가 구비되는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형 방제모듈은 약제용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가 구비되는 미세형약제부와, 약제용액을 분사시키는 절곡형 분사노즐이 연결되는 컴프레셔장치가 구비되는 미세형분사부로 구성되되,
    상기 미세형약제부의 양측 외부면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미세형약제부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끼움구가 구비되며, 또 상기 미세형분사부의 양측 외부면에도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미세형분사부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도 상기 와이어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상기 끼움구가 구비되는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사형 방제모듈은 약제용액이 저장되는 약제탱크가 구비되는 장사형약제부와, 약제용액을 장사형으로 분사시키는 장사형분사노즐이 연결되는 장사형분사장치가 구비되는 장사형분사부로 구성되되,
    상기 장사형약제부의 양측 외부면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장사형약제부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끼움구가 구비되며, 또 상기 장사형분사부의 양측 외부면에도 이동이 편리하도록 상기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장사형분사부의 상부면 양측 모서리부에도 상기 와이어가 끼워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상기 끼움구가 구비되는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6. 삭제
KR1020160134335A 2016-10-17 2016-10-17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KR101828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35A KR101828865B1 (ko) 2016-10-17 2016-10-17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35A KR101828865B1 (ko) 2016-10-17 2016-10-17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865B1 true KR101828865B1 (ko) 2018-02-13

Family

ID=6123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335A KR101828865B1 (ko) 2016-10-17 2016-10-17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8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188Y1 (ko) * 2002-04-30 2002-07-31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트랙터 부착식 방제기
KR200357803Y1 (ko) * 2004-05-06 2004-07-30 배현식 다기능 방역장치
KR200429026Y1 (ko) 2006-07-11 2006-10-17 범용석 소독 방역 특장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188Y1 (ko) * 2002-04-30 2002-07-31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트랙터 부착식 방제기
KR200357803Y1 (ko) * 2004-05-06 2004-07-30 배현식 다기능 방역장치
KR200429026Y1 (ko) 2006-07-11 2006-10-17 범용석 소독 방역 특장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8592B2 (en)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n activated cleaning fluid mist
EP37318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ontaminating small enclosures
KR101534817B1 (ko) 이중제트노즐을 구비하는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이온화 발생장치
US6969487B1 (en) Denaturing of a biochemical agent using an activated cleaning fluid mist
US20140322096A1 (en) Sanitization station using plasma activated fluid
US20100303671A1 (en) Hand cleansing/sanitizing method and apparatus
EP1458450B1 (en) Method for denaturing biochemical agent and decontamination apparatus
US9131704B2 (en) Carbon dioxide based method and system for the humane mass culling of poultry and sterilization of rearing sheds
CN109091693A (zh) 一种等离子体雾化消毒设备
AU2010361376A1 (en) Method for disinfecting air in air ducts
KR101828865B1 (ko) 화생방 이동용 제독장치
CN105772272B (zh) 一种环保健康绿色高压喷杀器
KR101489277B1 (ko) 소방차용 제독 장치
KR102117087B1 (ko) 스마트 약품기화분사장치
KR102307938B1 (ko) 공간 방역장치
WO2019022488A1 (ko) 습도 반응형 분사 제어 장치를 부착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장치
US11426480B2 (en) Disinfectant pouch with fluid control
KR101662632B1 (ko) 습식 및 건식분사 일체형 휴대용 연막제독기
KR20150066980A (ko) 친환경 소독제를 이용한 문화재 소독장치
KR101870811B1 (ko) 자기장을 이용한 ihpa 제어 장치
KR20190047347A (ko) 원격제어형 화생방 무인 제독로봇
KR101870806B1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면 플라즈마 장치
KR101870814B1 (ko) 이온화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선형노즐을 갖는 플라즈마 장치
KR200357803Y1 (ko) 다기능 방역장치
JP4615274B2 (ja) 殺虫剤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