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128B1 -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 Google Patents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128B1
KR101828128B1 KR1020150142986A KR20150142986A KR101828128B1 KR 101828128 B1 KR101828128 B1 KR 101828128B1 KR 1020150142986 A KR1020150142986 A KR 1020150142986A KR 20150142986 A KR20150142986 A KR 20150142986A KR 101828128 B1 KR101828128 B1 KR 10182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od
antimicrobial
sodium chloride
minu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345A (ko
Inventor
이민석
문혜리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1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1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23L3/3481
    • A23L3/358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은 일정량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종래 문제가 되어왔던 에센셜 오일의 강한 향을 해결함과 동시에 장출혈성대장균 외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현저히 높은 항균 효과를 가지며, 대부분의 식품은 일정한 염도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은 단시간 내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ANTIMICROBI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 AND SODIUM CHLORIDE AND ANTIBACTERIA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천연 식품 첨가제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과 같은 천연자원에서 유래한 식품 보존제가 인기를 얻고 있다. 식물에서 추출한 방향족 물질인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식품 첨가제 및 보존제 등으로 식품 시장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에센셜 오일은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식중독 세균에 대해서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미국과 유럽에서 식품 첨가제로 허가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0112871호). 하지만 에센셜 오일이 식품 내에서 항균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고농도가 요구되며 천연 물질이므로 합성 첨가제보다 경제적으로 부담이 있다. 또한 고유의 강한 향을 가지고 있어 식품에 적용했을 때,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식품 보존료나 식품 보존 기술과 에센셜 오일을 조합하여 세균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상기 단점을 보완한 연구결과가 나오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6-0112871호
종래 문제가 되어왔던 에센셜 오일의 강한 향을 해결함과 동시에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출혈성대장균 외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지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카바크롤(carvacrol) 및 티몰(thym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센셜 오일과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포함하며, 상기 카바크롤 및 티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784 내지 0.0315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염화나트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이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이 크로모박테리움 바일레큠 (Chromobacterium violaceum),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 (Escherichia coli), 파스튜렐라 헤몰리티카 (Pasteurella haemolytica), 황색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콜라라수이스 (Salmonella cholerasui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Salmonella Typhimurium),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크로노박터균(Cronobacter spp.), 이질균(Shigella spp.), 비브리오균(Vibrio spp.), 클로스트리디움 속균(Clostridium perfringens , Clostridium botulinum) 및 바실러스균(Bacillus s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식품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는 4 내지 37℃ 조건에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식품에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식품에 1 내지 1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은 일정량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종래 문제가 되어왔던 에센셜 오일의 강한 향을 해결함과 동시에 장출혈성대장균 외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현저히 높은 항균 효과를 가지며, 대부분의 식품은 일정한 염도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은 단시간 내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에센셜 오일과 함께 강한 살균력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염화나트륨을 일정량 포함하는 경우 현저하게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은 일정량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에 따라 종래 문제가 되어왔던 에센셜 오일의 강한 향을 해결함과 동시에 장출혈성대장균 외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현저히 높은 항균 효과를 가지며, 대부분의 식품은 일정한 염도를 가짐에 따라 다양한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은 단시간 내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카바크롤 및 티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에센셜 오일과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며, 상기 카바크롤 및 티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784 내지 0.0315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염화나트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바크롤(cavacrol)은 박하, 오레가노, 백리향, 베르가못, 녹나무 또는 타임티몰 들에 포함된 단일성분으로 식물성 방향유의 일종이다. 카바크롤은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천연으로부터의 분리 정제는 카바크롤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인 서양톱풀(Carpenter's Weed, Achillea millefolium), 개밀(Common Couch, Agropyron repens), 딜(Dill, Anethum graveolens), 중국당귀(Chinese angelica, Angelica sinensis), 개똥쑥(Annual mugwort, Artemisia annua), 시나쑥(Chamomile-leaved artemisia, Artemisia cina), 볼도(Boldo, Boldea fragrans), 차나무(Black Tea, Camellia sinensis), 캐러웨이(Caraway, Carum carvi), 화란국화(Bachelor's buttons, Chrysanthemum parthenium), 녹나무(Camphor, Cinnamomum camphora), 서양꽃박하(American Dittany, Cunila origanoides), 백선(Akgiritotu, Dictamnus albus), 용담(Bitter root, Gentiana lutea), 감초(Commom Licorice, Glycyrrhiza glabra), 약모밀(Dokudami, Houttuynia cordata), 히솝(Azob, Hyssopus officinalis), 박피호두(Black Walnut, Juglans nigra), 사빈(Sabine, Juniperus sabina), 월계수(Bay, Laurus nobilis), 러비지(Lovage, Levisticum officinale), 인동(Gold-and-silver, Lonicera japonica), 고련피(Barbados lilac, Melia azedarach), 페니로얄(European pennyroyal, Mentha pulegium), 스피아민트(Fish mint, Mentha spicata), 레몬민트(Lemon bergamot, Monarda citriodora), 베르가못(Bee Balm, Monarda didyma), 모나르다(Horse mint, Monarda punctata), 은매화(Common myrtle, Myrtus communis), 개박하(Cat-mint, Nepeta cataria), 나륵풀(Basil, Ocimum basilicum), 미나리(Chinese-celery, Oenanthe javanica), 꽃박하(Oregano, Origanum onites), 우슬초(Bible hyssop, Origanum syriacum), 그리스 꽃박하(Greek oregano, Origanum vulgare hirtum), 후추(Black Pepper, Piper nigrum), 질경이(Asian plantain, Plantago asiatica), 로즈마리(Compass Plant, Rosmarinus officinalis), 여름세이보리(Garden Savory, Satureja hortensis), 겨울세이보리(Savory, Satureja montana), 후추나무(peppertree, Schinus molle California), 스테비아(Honey Leaf, Stevia rebaudiana), 타마린드(Indian date, Tamarindus indica), 셀필룸(Breckland Thyme Plant, Thymus serpyllum), 백리향(Common Thyme, Thymus vulgaris), 레몬백리향(Funk's thyme, Thymus x citriodorus), 스페인백리향(Spanish thyme, Thymus zygis), 아조완(ajwain, Trachyspermum ammi), 서양쥐오줌풀(Common Valerian, Valeriana officinalis) 또는 옥수수(Corn, Zea Mays)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용매 추출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방법에 의해 분리,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로부터의 카바크롤의 추출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petrolem ether), 디에틸에테르,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추출물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방법, 예를 들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물을 얻고 분리된 특정 분획물을 다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법을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티몰(thymol)은 사향초유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의 일종으로, 식물 정유의 주성분이다. 티몰은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천연으로부터의 분리 정제는 티몰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인 호르세민트(Horsemint)[모나르다 펀크타타(Monarda punctata) 및 관련 모나르다 종, 예컨대, 모나르다 피스툴로사(M. fistulosa)], 아조완 카라웨이(Ajowan caraway)[트라키스페르뮴 암미(Trachyspermum ammi)], 딜(dill)[아네툼 그라베올렌스(Anethum graveolens)], 페누그리크(fenugreek)[트라이고넬라 포에늄-그래쿰(Trigonella foenum-graecum)], 윈터 세이보리(winter savory)[사투레자 몬타나(Satureja montana)], 셀러리(celery)[아피움 그라베올렌스(Apium graveolens)], 차나무[멜라레우카 알터니폴리아(Melaleuca alternifolia)] 또는 트루 카다몸(true cardamom)[엘레타리아 카다모뮴(Elettaria cardamomum)]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용매 추출법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방법에 의해 분리,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로부터의 티몰의 추출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석유에테르(petrolem ether), 디에틸에테르,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추출물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방법, 예를 들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극성에 따른 분획물을 얻고 분리된 특정 분획물을 다시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법을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에센셜 오일의 함량은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에센셜 오일의 ?t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0784 내지 0.0315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57 내지 0.03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기준으로 0.00784 중량% 미만인 경우 목적으로 하는 항균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0.0315 중량% 초과인 경우 에센셜 오일의 향으로 인하여 기호가 심하게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화나트륨의 함량은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기준으로 1 중량% 미만이면 에센셜 오일과 함께 작용하는 항균 효과에 대한 시너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다한 염화나트륨의 함량으로 기호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균 대상은 미생물일 수 있다. 항균이란 미생물 성장의 억제 및/또는 개체수의 감소, 미생물 세포의 파괴 또는 무력화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미생물은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식중독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로모박테리움 바일레큠 (Chromobacterium violaceum),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 (Escherichia coli), 파스튜렐라 헤몰리티카 (Pasteurella haemolytica), 황색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살모넬라 콜라라수이스 (Salmonella cholerasui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Listeria monocytogenes),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Salmonella Typhimurium),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크로노박터균(Cronobacter spp.), 이질균(Shigella spp.), 비브리오균(Vibrio spp.), 클로스트리디움 속균(Clostridium perfringens , Clostridium botulinum) 및 바실러스균(Bacillus spp.)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식품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용 식품 조성물의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주입, 분무 기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균용 식품 조성물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처리 경로, 처리 형태, 대상 미생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 항균 방법에서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의 처리는 상온뿐만 아니라 저온에서도 가능하다. 에켠대,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4 내지 37℃ 조건에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식품에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균용 식품 조성물은 단시간 내에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항균 방법에서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의 처리는 짧은 시간 동안 처리하여도 목적하는 항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식품에 1 내지 1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분 동안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항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기준으로 1, 3, 5, 10, 15%중량%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제조하였다. 98% 에탄올을 이용하여 카바크롤, 티몰의 50, 100, 150, 200 mM 표준 용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멸균된 튜브에 각 염화나트륨 용액을 9.8 ml씩 담고 각 처리군에 해당하는 농도의 에센셜오일 표준 용액 0.1 ml을 첨가하고 균질화하여 최종적으로 0.5, 1.0, 1.5, 2.0 mM의 에센셜오일을 함유한 염화나트륨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를 마친 용액은 22℃에서 예열하여 최종적으로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준비하였고, 각 0.5, 1.0, 1.5, 2.0 mM 에센셜오일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0.5 mM 1.0 mM 1.5 mM 2.0 mM
카바크롤 0.00784중량% 0.0157중량% 0.0236중량% 0.0314중량%
티몰 0.00786중량% 0.0157중량% 0.0236중량% 0.0315중량%
참조예 1. 균액의 준비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35150, 43889, 43895의 3가지 균주를 섞어서 사용하였다. 각 균주를 증균배지 Tryptic Soy Broth (Difco, Becton Dickinson, Sparks, MD, USA)에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균을 50 ml 플라스틱 튜브(Becton Diskinson, Franklin Lakes, NJ, USA)에 혼합한 후 3,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Centra-CL2, Needham Heights, MA, USA). 상등액을 따라낸 후 동량의 0.85% 멸균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미생물 세포를 2회 세척함을 통해 균액(cell suspension)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용 식품 조성물의 항균효과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균용 식품 조성물에 7 내지 8 log CFU/ml 수준의 상기 참조예 1의 균액을 접종하고 1, 5, 10분 처리 후 균액을 따서 참조예 1에 기재된 해당 균종에 맞는 배지에 도말하였다(검출 한계: 1 CFU/ml). 에센셜오일을 첨가하지 않은 염화나트륨 용액과 멸균 증류수에 제조한 에센셜오일 용액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도말한 배지는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 상에 형성된 콜로니는 계수하여 각 조건별 균농도를 log 값으로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초기 접종균수(
Figure 112015098916317-pat00001
)와 처리 후 균수(
Figure 112015098916317-pat00002
)를 바탕으로 각 용액에서 처리시간별 저감화값(log(
Figure 112015098916317-pat00003
/
Figure 112015098916317-pat00004
))을 산출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6반복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 및 표 3에서 ND는 Not-detected로서 검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시간
(분)
NaCl
(중량%)
카바크롤(mM)
0 0.5 1.0 1.5 2.0
1 0 7.07±0.03 7.11±0.03 7.18±0.07 7.09±0.07 6.99±0.05
1 7.14±0.04 7.15±0.07 7.11±0.05 7.06±0.05 5.56±0.69
3 7.14±0.05 7.15±0.06 7.12±0.03 4.80±0.60 1.33±0.82
5 7.17±0.05 7.17±0.03 6.76±0.15 1.15±0.68 ND
10 7.09±0.01 6.89±0.04 2.90±0.62 ND ND
15 6.88±0.22 1.70±0.53 0.49±0.32 ND ND
5 0 7.08±0.04 7.12±0.02 7.15±0.04 7.05±0.06 6.60±0.25
1 7.15±0.04 7.22±0.10 7.13±0.04 6.74±0.16 3.48±0.67
3 7.16±0.05 7.16±0.06 6.85±0.08 2.03±0.62 0.27±0.18
5 7.16±0.04 7.17±0.04 5.46±0.42 0.15±0.10 ND
10 7.09±0.02 6.39±0.09 0.14±0.14 ND ND
15 7.10±0.04 ND ND ND ND
10 0 7.11±0.04 7.13±0.03 7.16±0.04 7.01±0.06 5.81±0.48
1 7.14±0.05 7.17±0.06 7.11±0.04 6.49±0.20 1.57±0.78
3 7.17±0.06 7.16±0.04 6.05±0.66 1.51±0.69 ND
5 7.15±0.06 7.18±0.04 5.07±0.48 ND ND
10 7.11±0.02 5.94±0.32 0.44±0.44 ND ND
15 7.15±0.02 ND ND ND ND
시간
(min)
NaCl
(중량%)
티몰(mM)
0 0.5 1.0 1.5 2.0
1 0 7.08±0.04 7.10±0.03 7.12±0.04 7.05±0.03 7.01±0.04
1 7.07±0.03 7.07±0.05 7.05±0.05 6.95±0.03 6.09±0.46
3 7.08±0.03 7.08±0.03 7.05±0.03 5.11±0.52 0.19±0.19
5 7.14±0.05 7.08±0.04 6.45±0.17 1.41±0.48 0.04±0.04
10 7.13±0.05 6.44±0.15 1.49±0.96 ND ND
15 7.08±0.05 1.16±0.78 ND ND ND
5 0 7.10±0.03 7.11±0.03 7.10±0.02 7.00±0.04 6.78±0.07
1 7.09±0.04 7.06±0.04 7.04±0.05 6.76±0.08 3.85±0.48
3 7.08±0.03 7.10±0.03 6.87±0.08 2.27±0.64 ND
5 7.14±0.04 7.05±0.04 4.68±0.43 0.51±0.42 ND
10 7.16±0.07 5.37±0.30 ND ND ND
15 7.09±0.04 ND ND ND ND
10 0 7.09±0.04 7.07±0.05 7.11±0.04 6.97±0.02 6.46±0.25
1 7.07±0.04 7.12±0.04 6.99±0.04 6.37±0.25 2.14±0.25
3 7.07±0.05 6.94±0.10 6.70±0.19 1.27±0.62 ND
5 7.11±0.05 7.07±0.03 3.73±0.47 ND ND
10 7.15±0.06 4.59±0.85 ND ND ND
15 7.13±0.04 ND ND ND ND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바크롤, 티몰, 염화나트륨 각각 단독처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균 수의 감소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카바크롤 또는 티몰과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단독 처리하였을 때보다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균 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상기 표 2 및 표 3의 결과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카바크롤과 티몰이 같은 구조식을 갖는 이성질체로 인해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Claims (7)

  1. 카바크롤(carvacrol) 및 티몰(thym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에센셜 오일과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카바크롤을 0.00784 내지 0.0315 중량% 및 상기 염화나트륨을 15 중량%로 포함하고, 4 내지 37℃ 조건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거나,
    상기 카바크롤을 0.0236 내지 0.0315 중량% 및 상기 염화나트륨을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고, 4 내지 37℃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거나,
    상기 카바크롤을 0.0315 중량% 및 상기 염화나트륨을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고, 4 내지 37℃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거나,
    상기 티몰을 0.00786 내지 0.0315 중량% 및 상기 염화나트륨을 15 중량%로 포함하고, 4 내지 37℃ 조건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거나,
    상기 티몰을 0.0157 내지 0.0315 중량% 및 상기 염화나트륨을 15 중량%로 포함하고, 4 내지 37℃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거나,
    상기 티몰을 0.0236 내지 0.0315 중량% 및 상기 염화나트륨을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고, 4 내지 37℃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거나,
    상기 티몰을 0.0315 중량% 및 상기 염화나트륨을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고, 4 내지 37℃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는 경우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로모박테리움 바일레큠 (C. violaceum),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 (P. aeruginosa), 대장균 (E. coli), 파스튜렐라 헤몰리티카 (P. hemolytica), 황색 포도상구균 (S. aureus), 살모넬라 콜라라수이스 (S. cholerasui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L. monocytogenes),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S. Typhimurium) 캠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Yersinia enterocolitica), 크로노박터균(Cronobacter spp.), 이질균(Shigella spp.), 비브리오균(Vibrio spp.), 클로스트리디움 속균(Clostridium perfringens, Clostridium botulinum) 및 바실러스균(Bacillus s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주에 대해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4 내지 37℃ 조건에서 1 내지 10분 동안 식품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항균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KR1020150142986A 2015-10-13 2015-10-13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Active KR10182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86A KR101828128B1 (ko) 2015-10-13 2015-10-13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86A KR101828128B1 (ko) 2015-10-13 2015-10-13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45A KR20170043345A (ko) 2017-04-21
KR101828128B1 true KR101828128B1 (ko) 2018-03-22

Family

ID=5870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986A Active KR101828128B1 (ko) 2015-10-13 2015-10-13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7834B1 (ko) * 2021-06-25 2025-01-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산수소나트륨 및 카바크롤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및 이를 포함한 항균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09B1 (ko) * 2003-12-16 2004-07-02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JP2011037777A (ja) * 2009-08-12 2011-02-24 Pokka Corp 抗菌剤、及び抗菌性向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209B1 (ko) * 2003-12-16 2004-07-02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JP2011037777A (ja) * 2009-08-12 2011-02-24 Pokka Corp 抗菌剤、及び抗菌性向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345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voosi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arum copticum seed and Ferula assafoetida latex
Fournomiti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of cultivated oregano (Origanum vulgare), sage (Salvia officinalis), and thyme (Thymus vulgaris)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Klebsiella oxytoca, and Klebsiella pneumoniae
Azizkhani et al. Effects of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on growth and gene expression of enterotoxins A, C and E in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
Moosavy et al. Effect of Zataria multiflora Boiss. essential oil and nisin on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a food model system and on the bacterial cell membranes
Nyiew et al. An overview of antimicrobial properties of kombucha
Giarratan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bined thyme and rosemary essential oil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s in Italian mortadella packaged in modified atmosphere: Thyme & Rosemary EOs vs L. monocytogenes
Zare-Shehneh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a new antimicrobial peptide from Coriandrum sativum.
Ribeiro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 Trichilia elegans A. Juss
Ehsani et al. Phytochemical properties and hygienic effects of Allium ascalonicum and Pimpinella anisum essential oils in Iranian white brined cheese
Acquaviva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Teucrium flavum L., Teucrium fruticans L., and Teucrium siculum rafin crude extracts
Asressu et al. Chemical and antimicrobial investigations on essential oil of Rosmarinus officinalis leaves grown in Ethiopia and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Gibriel et al.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cumin, thyme and rosemary essential oils
Albaridi et al. The real role of select herb and spice extracts against Bacillus cereus ATCC 14579 growth in cooked rice
Yu et al.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s of Cynanchum chinense and Ligustrum compactum
KR101828128B1 (ko)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Golparvar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Salvia officinalis L. and Salvia virgata Jacq
Aminkhani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stem, leaf, and flower of Thymus fedtschenkoi from Khoy, Iran
Jiang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and action mechanism of the echinops ritro L. essential oil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KR101708975B1 (ko) 간장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Wu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olatile oils in different periods of growth of Artemisia annua L. from China
Roomiani et al.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essential oil and nisin on Streptococcus iniae and Lactococcus garvieae in a food model system
Kalaba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ESSENTIAL OILS ON GROWTH OF Escherichia coli.
Demir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Helichrysum plicatum subsp. plicatum
Yuliana Stability study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mixed lime juice and honey of heating temperature on Staphylococcusaureus and Streptococcuspyogenes
Hassan et al. Antibacterial efficacy of thyme (thymus vulgaris) extracts against Campylobacter jejuni isolated from chicken m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