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009B1 -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 Google Patents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009B1
KR101828009B1 KR1020170126497A KR20170126497A KR101828009B1 KR 101828009 B1 KR101828009 B1 KR 101828009B1 KR 1020170126497 A KR1020170126497 A KR 1020170126497A KR 20170126497 A KR20170126497 A KR 20170126497A KR 101828009 B1 KR101828009 B1 KR 10182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sub
recessed groov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아이원디자인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원디자인그룹 filed Critical ㈜아이원디자인그룹
Priority to KR102017012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0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tower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eing used as a table or the like in addition to a purpose of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The socket tower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comprises: a support which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stands up in a height direction; at least one support panel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in the height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anel; and a connector form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anel and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Description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내외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충전 목적 이외에도 테이블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tower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let tower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which can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installed in an indoor or outdoor environment, To a charging receptacle tower.

최근 가전제품의 증가로 인하여 각 가정에서는 다수개의 가전제품이 사용되고 있어서 이러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꽂기 위한 콘센트 또한 다수개가 요구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increase of home appliances, a lot of household appliances are used in each household, and a number of outlets for plugging such household appliances are also required.

그러나, 통상 건축물의 시공시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를 벽면에 설치하고 있어서 위치 및 갯수가 제한되므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원하는 곳에서 꽂고 원하는 다수개의 가전제품을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벽면설치형 콘센트로부터 연장되는 멀티콘센트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location and the number of receptacles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are limited on the wall surfac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plug of the household appliance into the desired place and to extend the wall- A multi-outlet is required.

그러나, 이러한 멀티콘센트의 경우 통상 전선의 일단에 설치된 플러그를 통해서 벽면설치형 콘센트와 접속되어 바닥면에 위치되므로, 공간의 인테리어 등을 고려하여 통상 잘 보이지 않는 구석이나 가구 밑에 주로 위치시키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multi-outlet, since it is connected to a wall-mounted socket-outlet through a plug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ectric wire and is located on the floor, it is mainly placed under corner or furniture which is not normally seen, considering the interior of the space.

더욱이, 최근 가정과 사무실 등 컴퓨터와 주변기기가 없는 공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책상 위에 배치한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등의 각종 주변기기를 바닥에 위치되는 멀티콘센트에 꽂을 경우, 일부 제품은 전원플러그의 길이가 짧아서 멀티콘센트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멀티콘센트에 또 다른 멀티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러한 멀티콘센트가 바닥에 놓이게 되므로, 청소과정에서 멀티콘센트에 물이 닿아서 누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recently, when a computer, a monitor, a printer, and other peripherals are placed on a desk in the absence of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home or office, the power plug is short in length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multi-outlet is adjusted, another multi-outlet is installed in the multi-outlet, and the multi-outlet is placed on the floor, There was a problem.

또한, 이러한 멀티콘센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공개특허 10-2009-0071028호에서는 책상에 멀티콘센트를 설치형으로 설치하여 터치에 의하여 멀티콘센트가 책상의 상판상으로 돌출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10-0858973호에서는 벽면에 원터치방식으로 멀티콘센트가 삽입 혹은 돌출되도록 구성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a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multi-receptacle, a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71028, a multi-receptacle is installed on a desk so that the multi-receptacle protrudes onto the top plate of the desk by touching , Patent No. 10-0858973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multi-outlet is inserted or protruded on a wall surface in a one-touch manner.

그러나 상술한 방식은 단순히 책상에 멀티콘센트를 접목시킨 것에 불과하며, 실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 탑재형 책상에서 벗어나 실내 뿐 아니라 야외에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타워형 콘센트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method is merely a combination of a multi-outlet to a desk, and it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desk with a multi-outlet which can be used indoors, .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내외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충전 목적 이외에도 테이블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outlet tower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which can be used for a multipurpose purpose such as a table, in addition to a charging purpose of a portable device, which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a room to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It is a fact that emerges.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외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충전 목적 이외에도 테이블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charging outlet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tow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 타워에 구비된 서포트패널을 다층 구성으로로 구성함으로써 물체를 올려놓거나 휴대기기의 충전에 이용할 시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 structure of a support panel provided in an outlet tower,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use when an object is placed or used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층 구성의 서포트패널에 조명을 구비하도록 하되, 해당 조명 모듈의 구성을 세분화하여 다층 구성의 승강 가능한 서포트패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조명 제공 각도를 다양화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layered support panel with illumination, which can be subdivided so that it can correspond to vibrations that can occur in a liftable support panel of a multi-layer structure, It is diversifi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층 구성의 서포트패널에 방향 기능을 부가하여 콘센트 타워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서포트패널의 승강 구성과 이를 대응시키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atmosphere to a user who uses the outlet tower by adding a direction function to a support panel of a multi-layer structure, and to correspond to the eleva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pane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의 높이 방향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패널; 상기 지주 및 상기 서포트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et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the socket being installed on a ground, At least one support panel protruding from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lumn; And a connector form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anel, the connect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나아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rotatable around the support.

더하여, 상기 서포트패널은, 상기 지주와 연결된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패널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전면 일 측에서 함입 형성된 홀더를 더 포함하는 서브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anel may further include a main panel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sub-panel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panel, the sub-panel further including a holder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ide.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더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nnecto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and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는,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cket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1) 실내외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충전 목적 이외에도 테이블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를 제공하고,1) A portable device charging receptacle tower that can be used both versatile, such as a table, in addition to a charging purpose of a portable device, which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room and can supply power to a plurality of portable devices,

2) 콘센트 타워에 구비된 서포트패널을 다층 구성으로로 구성함으로써 물체를 올려놓거나 휴대기기의 충전에 이용할 시 이용의 편의성을 높였으며,2)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support panel provided in the outlet tower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when placing an object 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3) 다층 구성의 서포트패널에 조명을 구비하도록 하되, 해당 조명 모듈의 구성을 세분화하여 다층 구성의 승강 가능한 서포트패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조명 제공 각도를 다양화였을 뿐 아니라,3) The illumination panel is provided with a multi-layered support panel,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illumination module is divided to cope with vibrations that can occur in a liftable support panel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

4) 다층 구성의 서포트패널에 방향 기능을 부가하여 콘센트 타워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서포트패널의 승강 구성과 이를 대응시켰다.4) A directional function is added to a support panel of a multi-layer structure to provide a new atmosphere to a user who uses the outlet tower, and correspond to the elevation structure of the support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서포트패널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패널에 구비된 조명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모듈이 삽입되는 함입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사진 함입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함입홈에 구비되는 방향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ceptacle tower for charging portabl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ceptacle tower for charging portabl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a support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ghting module provided in a sub-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ssed groove into which the light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ght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ilted recessed gro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rection module provided in the recessed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charging receptacle tow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able device charging receptacle tow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10)는, 지주(100)와, 지주(100)의 높이 방향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서포트패널(200)과, 휴대기기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3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portable device charging receptacle tow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100, a support panel 200 protruding from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100, And a connector 30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to supply power.

지주(100)는 지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주(100)가 설치되는 장소에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실내 또는 야외에서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10)는 휴대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타 휴대용 전자기기 등의 충전을 위한 것이므로, 지주(100) 내부에 전원선이 내장되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도록 하거나, 혹은 지주(100) 내부에 별도의 전원 공급 수단, 예를 들어 배터리나 전지 등을 내장토록 하여 지주(100)를 통해 커넥터(300)에 연결된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The pillars 100 are installed so as to stand in a height direction from the ground. Since the pillars 100 are not limited to the places where the pillars 100 are installed, they can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Since the charging receptacle 10 for charging the port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harging a portable device, for example, a smart phone, tablet, or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power supply line is built in the pillar 100, Or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portable device connected to the connector 300 through the support 100 by inserting a separate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battery or a battery inside the support 100 Of course.

더불어 이러한 지주(100)는 충분한 강도를 지닌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상술한 전원에서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도가 높은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주(100)의 재질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이라면 별도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ut 1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and it may be made of steel or stainless steel, or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to prevent current leakage from the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material of the strut 100 is not limited to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서포트패널(200)은 상기 지주(100)의 높이 방향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이 때 돌출 형성되었다는 말은 지주(100)의 높이 방향, 즉 지주(100)가 기립된 방향과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주(100)의 종결 부위에 서포트패널(200)이 얹혀진 형태나, 서포트패널(200)의 중앙 부위를 지주(100)가 관통한 형태, 혹은 지주(100)의 일 측에서 서포트패널(200)이 돌출 형성된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포트패널(200)과 지주(10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The support panel 20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100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100, .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placed on the end of the support 100 or the support 100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anel 200 at one side of the support 100, The support panel 200 and the support 10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ways such as a protruded shape.

이러한 서포트패널(200)은 후술할 커넥터(300)와 연결되어 충전 중인 휴대기기, 다시 말해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혹은 사용자가 서포트패널(200)에 물건을 올려놓고 테이블과 같이 이용할 수도 있다. 만일 본 발명의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10)가 식당 등의 매장 내에 설치되는 경우, 서포트패널(200)에 음식 등을 올려놓고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upport panel 20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or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load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being charged. Alternatively, a user may place an object on the support panel 200, It can also be used together. Needless to say, the portable terminal charging receptacle tow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store such as a restaurant or the like, with food or the like placed on the support panel 200.

더불어 이러한 서포트패널(200)은 지주(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며,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도록 복수개의 서포트패널(200)을 설치하는 경우 서포트패널(200)이 다양한 높이로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신장에 맞는 높이의 서포트패널(200)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at least one support panel 200 is provided in the support 100, when the support panels 200 are installed to b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the support panel 200 is installed at various heights, The support panel 200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panel 200 can be us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feeling of use.

커넥터(300)는 상기 지주(100) 및 상기 서포트패널(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100)의 높이 방향 일 측에서 상기 서포트패널(200)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300)는 휴대기기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300)는 상술한 지주(100) 내부에 구비된 전원선이나 전원수단 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지주(100)의 일 측에서 커넥터(300), 일종의 전원선이 돌출된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The connector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illars 100 and the support panel 200 and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illars 20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llars 100, . The connector 3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to supply power. Accordingly, the connector 300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or the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side the support 100, and thus the connector 300, the power supply line, It is also called protruding form.

이 때 커넥터(300)의 종류에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휴대기기 중 대표적인 스마트폰용 충전 케이블인 마이크로 5핀이나 8핀 등의 케이블 등이 커넥터(300)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혹은 커넥터(300)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을 위한 콘센트 등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 상에는 콘센트가 구비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콘센트로만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connector 300, a cable such as a micro 5 pin or 8 pin, which is a typical charging cable for a smart phone, may be provided as the connector 300, An outlet for charg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lthough the form of the outlet is shown in the draw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outlet.

더불어 서포트패널(200)은 상기 지주(10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지주(100)는 종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트패널(200)이 삽입되도록 별도의 삽입홈을 지주(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입 설치하되, 삽임홈을 서포트패널(200)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도록 하여 삽입홈 내에서 서포트패널(200)이 회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혹은 명시된 내용 외에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서포트패널(200)이 지주(10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support 100.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olumn shape having a circular vertical section, and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insert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rotated in the insertion groove by inserting a separate insertion groove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100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 panel 200 . Alternatively,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rotated about the support 100 by applying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specified contents.

더 나아가 서포트패널(200)은 지주(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는데, 그를 통해 서포트패널(200)이 설치된 높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술한 삽입홈을 지주(100)의 외주면 일 측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에 서포트패널(200)을 끼워 삽입홈을 따라 서포트패널(200)을 이동시키는 방식 등을 통해 서포트패널(200)이 설치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panel 200 may mov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100,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panel 20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upport panel 200. For this purpose, the above-describ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100, and the support panel 200 is moved along the insertion groove by inserting the support panel 200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height of the support panel 200 can be adjusted.

도 3은 본 발명의 서포트패널(200)을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support pan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도 1와 도 2에서와 같이 서포트패널(200)을 단일 구조로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서포트패널(200)을 메인패널(210)과 서브패널(220)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3,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formed as a unitary structure as shown in FIGS. 1 and 2. However,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of the main panel 210 and the sub-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with a double structure.

이 때 메인패널(210)은 지주(100)와 연결된 것으로서, 후술할 서브패널(220)보다 크기가 큰 것을 기본으로 하며, 서포트패널(200)의 기본 형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포트패널(200)의 기본 구성이 메인패널(210)이라 할 수 있으며, 단일 구성의 서포트패널(200)인 경우 메인패널(210)이 곧 서포트패널(200)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설명하면, 메인패널(210)은 서포트패널(200)을 구성하는 베이스(base)의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The main panel 2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100 and is larger in size than the sub panel 220 to be described later and forms the basic shape of the support panel 200. Therefore, the basic structure of the support panel 200 may be referred to as the main panel 210, and in the case of the support panel 200 having a single structure, the main panel 210 may be referred to as the support panel 200. Accordingly, the main panel 210 may serve as a base for constructing the support panel 200.

서브패널(220)은 상기 메인패널(210)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메인패널(210)의 전면 일 측에 중공부를 관통 형성하거나, 혹은 별도의 함입부를 함입 형성하여 서브패널(220)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ub panel 2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panel 2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this end, a hollow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panel 210,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the cover 220 into the housing.

이러한 서브패널(220)은 메인패널(210)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서는 메인패널(210)에 형성된 중공부나 함입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설치하고, 서브패널(220)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설치하여 나사산 결합의 회전을 통해 서브패널(220)이 메인패널(210)로부터 승강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ub panel 22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panel 2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For this purpose, a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or the recess formed in the main panel 210, The sub-panel 220 can be raised and lowered from the main panel 210 through the rotation of the threaded joint.

더불어 이 때 서브패널(220)의 배면 중앙 부위에는 별도의 샤프트나 모터 등을 더 구비함으로써 회전을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브패널(220)이 나사산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될 수 있다. 혹은 나사산 외에도 별도의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므로, 서브패널(220)이 메인패널(210)로부터 승강 가능한 구성이라면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sub-panel 2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shaft or motor at the rear central portion thereof to control the rotation so that the sub-panel 220 rotates in the forward / It can be projected forward or backward. The sub panel 220 can be elevated from the main panel 210 so that the sub panel 220 can be elevated and lowered.

여기서 더 나아가 서브패널(220)의 전면 일 측에는 홀더(221)가 함입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홀더(221)에 다양한 물체를 수용시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서포트패널(200)을 테이블로서 이용할 때 수납의 용이성을 보다 추구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커넥터(300)를 홀더(221)의 밑면(222)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충전단자에 커넥터(300)가 삽입되는, 일종의 크레들로서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holder 221 is accommodated in the holder 221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b panel 220 so that various objects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221. Therefore, when the support pane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table, The connector 300 can be used as a kind of cradle in which the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by forming the connector 300 on the bottom surface 222 of the holder 221 Of course.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패널(220)에 구비된 조명모듈(4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5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llumination module 400 included in the sub-panel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서브패널(220)에 구비될 수 있는 조명모듈(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4 to 5, an illumination module 40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ub-panel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서브패널(220)은, 둘레면 일 측에서 함입 형성된 함입홈(223) 및, 상기 함입홈(223)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조명케이스(410)와,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내부에 장착되는 LED부(420)를 포함하는 조명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b-panel 220 includes a recessed groove 223 formed at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ecessed groove 223 formed 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223. The sub-panel 220 includes an illumination case 410, And an LED module 420 mounted on the LED module 400. [

함입홈(223)은 서브패널(220)의 외주면 둘레, 즉 둘레면 일 측에서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일렬의 홈이며, 이러한 함입홈(223)에 조명모듈(400)이 수용되는 것이다. 조명모듈(400)은 조명케이스(410)와,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내부에 장착되는 LED부(420)로 구성되며, 이 때 LED부(420)는 LED의 구성요소인 회로와 발광부를 포함하는 LED 조립체를 의미한다. 이 때 LED부(420)는 단일 LED 조립체 뿐 아니라 복수개의 LED 조립체로 이루어진 모듈을 의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recessed groove 223 is a row of recess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panel 220, that is,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ecessed groove 223 accommodates the illumination module 400. The lighting module 400 includes an illumination case 410 and an LED unit 420 mounted inside the lighting case 410. The LED unit 420 includes a circuit that is a component of the LED and a light emitting unit ≪ / RTI > Here, the LED unit 420 may mean a single LED assembly as well as a modu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D assemblies.

조명케이스(410)는 상기와 같은 LED 조립체인 LED부(420)를 보호하고 LED부(4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따라서 조명케이스(410)의 경우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적합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고강도의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The illumination case 410 is a means for protecting the LED unit 420, which is the LED assembly, and for easily releas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unit 420 to the outside.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illumination case 410, It is most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high-strength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which is suitabl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is highly resistant to an external impact.

또한 이와 같이 서브패널(220)의 둘레를 따라 조명모듈(400)이 구비되는 경우, 조명모듈(400)의 LED부(420)는 서브패널(220)이 승강되어 외부로 드러남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콘센트 타워(10)는 상기 서브패널(220)의 승강 여부를 제어하는 승강제어부(510) 및, 상기 서브패널(220)의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LED부(420)의 점멸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520)를 포함하는 컨트롤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컨트롤러(500)는 바람직하게는 서브패널(220)의 내부에 수납되어 서브패널(220) 및 서브패널(220)에 삽입되는 LED부(42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나, 지주(100)나 메인패널(210)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lighting module 400 is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b panel 220 as described above, the LED module 420 of the lighting module 400 is operated as the sub panel 220 is lif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desirable. Therefore, the outlet tower 10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b-panel 220 and the control of the flickering of the LED unit 420 depending on whether the sub-panel 220 is lifted or not The controller 500 is preferably housed within the sub-panel 220 to control the sub-panel 220 and the sub-panel 220,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ED unit 420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100 or the main panel 210.

따라서 컨트롤러(500)의 위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제어부(510)를 통해 서브패널(220)의 승강 여부를 제어하고, 조명제어부(520)를 통해 상기 LED부(420)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면 그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Therefore,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b-panel 220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510 and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b-panel 220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510, If you can control the blinking, there is no limit to its position.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모듈(400)이 삽입되는 함입홈(223)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ssed groove 223 into which the illumination modul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함입홈(223)은 서브패널(220)의 둘레면을 따라 함입 형성된 일렬의 홈이다. 이러한 함입홈(223)에는, 바닥면(224)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파트(227)와, 상기 돌출파트(227)의 표면 일 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228)를 포함하는 지지부(2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지부(226)를 통해 함입홈(223)의 바닥면(224)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조명모듈(400)이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recessed groove 223 is a row of recess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panel 220. The recessed groove 223 includes a protruding part 227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224 and at least one protruding part 228 protruding vertically from one surface side of the protruding part 227 The supporting portion 226 may be further included. Therefore, the lighting module 400 can be attach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224 of the recessed groove 223 through the support portion 226.

돌출파트(227)는 함입홈(223)의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함입홈(223)의 개방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대(228)는 이러한 돌출파트(227)의 표면에서 돌출파트(227)와 수직하도록 돌출된 것인데, 지지대(228)가 돌출되는 위치는 돌출파트(227)의 정 중앙 뿐 아니라 어느 위치에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함입홈(223)의 바닥면(224)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고 조명모듈(400)이 위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지지부(226)를 통해 함입홈(223)과 조명모듈(400) 사이의 이격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높은 열 방출 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part 227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223 and has a shape protruding convexly toward the opening of the recessed groove 223. The support 228 is protruded from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227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part 227.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support 228 is formed not only at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part 227 but also at any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ighting module 400 is position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224 of the recessed groove 223. [ By securing a spacing space between the recessed groove 223 and the lighting module 400 through the support portion 226, higher heat dissipation capability can be expected.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모듈(400)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llumination modul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명모듈(400)은, 빛을 발광하는 LED부(420)와, LED부(4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LED부(420)를 보호하는 조명케이스(410)로 구성된다. 이 때 이용되는 LED부(420)는 밝은 빛을 발산하는 특성상 발열량이 상당하여 방열 구성이 필수적이므로, 조명케이스(410)의 역할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7, the lighting module 400 includes an LED unit 420 that emits light, and an LED unit 420 that emits heat generated from the LED unit 420 to the outside, And a lighting case 410 for protecting the unit 420. Since the LED unit 420 used in this case has a large heat emission amoun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emitting bright light, a heat radiation structure is essential, so that the role of the illumination case 410 is important.

따라서 이와 같은 조명케이스(410)에 방열 기능을 더함과 서브패널(220)의 승하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LED부(420)를 보호하는 기능을 보다 부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상기 LED부(420)를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LED부(420)의 외부를 둘러싸고 상단 끝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412)를 포함하는 하우징(411)과, 상기 하우징(411)에 상기 LED부(420)가 수납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절곡부(412)와 상기 LED부(420)를 감싸 밀착 고정하는 결합타이(413) 및, 상기 하우징(411)과 상기 지지대(228) 사이에 적층되어 외부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패드(4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ase 410 is provided with a heat radiating function and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LED unit 420 from the shock caused by the vibration caused by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sub panel 220 is further provided. The lighting case 41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D unit 420 and has an open top surface. The lighting case 410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LED unit 420, The housing 411 includes the LED 420 and the LED 412. The housing 411 includes the LED 412 and the LED 412. The LED 411 is fixed to the housing 411, And a buffer pad 414 stacked between the housing 411 and the supporter 228 to buffer an external impact.

하우징(411)은 조명케이스(4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LED부(420)를 수납하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 끝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된 절곡부(412)를 포함하여 LED부(420)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절곡부(412)는 LED부(420)를 둘러싸는 일종의 측벽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하우징(411)에 LED부(420)가 수납된 상태로 LED부(420) 및 하우징(411)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하여 LED부(420)와 절곡부(412)를 결합타이(413)를 통해 함께 감싸 고정하게 된다.The housing 411 is located outside the lighting case 410. The housing 411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D unit 420 therein and includes a bent portion 412 extending inward from the upper end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LED unit 420. The bent portion 412 serves as a kind of sidewall that surrounds the LED portion 420. The LED portion 420 and the bent portion 41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tie 413 to fix the LED portion 420 and the housing 411 in a state where the LED portion 420 is housed in the housing 411. [ So that they are fixed together.

따라서 하우징(411)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LED부(420)와 하우징(411)을 감싼 결합타이(413)에 의해 LED부(420)가 하우징(4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411)을 고열전도도의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LED부(42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Therefore,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ousing 411, the LED unit 4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using 411 by the coupling tie 413 wrapping the LED unit 420 and the housing 411, 411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ED unit 420 is eff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더불어 상기 하우징(411)과 상기 지지대(228) 사이는 스펀지나 고무와 같이 높은 탄성을 가져 완충 기능을 갖는 완충패드(414)를 추가로 적층 처리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효과를 높여 충격 완화 수준을 한 차원 높이고자 하였다.In addition, between the housing 411 and the support base 228, a buffering pad 414 having a high elasticity such as a sponge or a rubber is further layered to improve the buffering effect against the external impact, To increase one dimension.

도 8은 본 발명의 경사진 함입홈(223)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clined insertion groove 22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함입홈(223)은, 함입홈(223)은 바닥면(224)과, 상기 바닥면(224)으로부터 벌어지는 형태로 경사 처리된 경사면(2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함입홈(223)에서 가장 깊게 함입된 부분이 바닥면(224)이며, 이 바닥면(224)의 양 측단에서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경사 처리된 면이 경사면(225)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LED 전등 등에서 이용되는 반사갓의 원리와 유사한 것으로서, LED부(420)에서 발생하는 광을 경사면(225)을 통해 보다 다양한 각도로 반사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사면(2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보다 넓은 범위로 빛을 비출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LED부(420)는 바람직하게 서브패널(220)의 승강 시 점등되므로, 경사면(225)을 통해 LED부(420)에서 발생하는 광을 다양한 각도로 반사시키도록 하여 서브패널(220)의 둘레를 따라 발생한 빛이 메인패널(210)을 비출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8, the recessed groove 223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224 and an inclined surface 225 that is inclined in a manner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224 have. That is, the inclined surface 225 becomes the inclined surface in such a form that the deepest inclined portion in the recessed groove 223 is the bottom surface 224 and both side ends of the bottom surface 224 are widened. Such a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a reflector used in an LED lamp or the like and is configured to reflect light generated by the LED unit 420 through the inclined plane 225 at various angles so that the inclined plane 225 is not formed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in a wider range. The LED unit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lluminated when the sub panel 220 is lifted or lower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unit 420 is reflected at various angle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225, Of the main panel 210 can be made to emit light.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226)는 상기 바닥면(224)에서 상기 함입홈(223)의 개방된 방향을 향해 부착되는 것이며, 지지부(226)의 단부에 조명모듈(400)이 부착되므로 조명모듈(400)이 개방면을 향해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upport portion 226 is attached toward the open direction of the recessed groove 223 on the bottom surface 224, and the illumination module 400 is attach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6, ) Can emit light toward the opening face.

나아가 상기 조명케이스(410)는 일 측면이 상기 경사면(225)의 일 측에 편중되도록 부착되어 특정 방향으로 상기 LED부(420)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함입홈(223)은, 상기 조명케이스(410)가 부착된 상기 경사면(225)의 대향 측 경사면(225)과 상기 조명케이스(410) 간의 사이공간에 충진되는 버퍼블럭(4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illumination case 410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25 so as to be biased to one side so that the LED unit 420 is turned on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 buffer block 430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opposite side inclined surface 225 of the inclined surface 225 to which the illumination case 410 is attached and the illumination case 410.

이는, 조명케이스(410)가 경사면(225)에 일 측에 편중되도록 부착되는 경우 함입홈(223)의 개방부 일부는 조명케이스(41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채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밖에 없음에 착안한 것이다. 만약 개방부를 그대로 두는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함입홈(223)에 쌓여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LED부(420)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조명케이스(410)가 함입홈(223) 내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다른 각도로 이동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명케이스(410)가 함입홈(223) 내에서 편중된 채로 부착되도록 유지하기 위함과 동시에 함입홈(223)의 개방부에 삽입하여 충진함으로써 함입홈(223)의 개방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성이 더해져야 한다.This is because a part of the opening of the recessed groove 223 must be kept open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illumination case 410 when the illumination case 410 is attached to the inclined surface 225 so as to be biased to one side . If the opening portion is left untouched, foreign matter such as dust may accumulate in the recessed groove 223 and cause malfunction, which may cause a reduction in the life of the LED portion 420. When the illumination case 41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223 Or may be moved at different angles by an external impact within the frame. Accordingly, in order to keep the illumination case 410 adhered in the embedding groove 223 and to fill the opening of the embedding groove 223 and to fill the opening of the embedding groove 223 Should be added.

이 때 이용되는 것이 버퍼블럭(430)으로, 버퍼블럭(430)은 스폰지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조명케이스(410)의 일 측면이 상기 경사면(225)의 일 측에 편중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질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block 43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ponge or rubber and the one side of the illumination case 4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25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ose that can be kept biased.

이러한 버퍼블럭(43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퍼블럭(430)은 상기 경사면(225)에 밀착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는 접착면(431)과,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일 측면에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돌출면(4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uffer block 430 includes an adhesive surface 43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225 and adhered to the buffer block 430 through an adhesive agent, And a protruding surface 432 protru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ding surface 432.

우선 접착면(431)은 경사면(225)에 밀착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는 면으로서, 따라서 경사면(225)과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면이다. 이 때 접착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버퍼블럭(430)이 충분히 경사면(225)에 접착될 수 있는 합성수지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First, the adhesive surface 431 is a surface which is adhered to the inclined surface 225 and adhered via an adhesive agent, and is thus formed to have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225. [ In this case, the adhesive used for the bonding may be a synthetic resin adhesive or the like that can sufficiently bond the buffer block 430 to the inclined surface 225.

다음으로 돌출면(432)은 상기 조명케이스(410)의 일 측면에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조명케이스(410)의 둘레면이 평면이 아닐 수 있기 때문에,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면(432)을 조명케이스(410)에 맞닿도록 하여 돌출면(432)이 조명케이스(410)를 압박함으로써 밀착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앞서 버퍼블럭(430)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으므로, 이 돌출면(432)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조명케이스(410)의 외부면을 압박하는데 있어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므로 조명케이스(410)의 일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The protruding surface 432 is protru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illumination case 410. Sinc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llumination case 410 may not be fla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llumination case 410 and the projecting surface 432 presses the illumination case 410 to form a close contact structure. Since the buffer block 43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surface 432 has a property of restoring the original shape due to elasticity in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llumination case 410 having various shapes So th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llumination case 410.

도 9는 본 발명의 함입홈(223)에 구비되는 방향모듈(600)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rection module 600 provided in the recessed groove 223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 5와 함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서브패널(220)의 승강 시 LED부(420)의 점등 외에도 방향 성분을 분사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산뜻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위 분위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함입홈(223)에는 방향모듈(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ogether with FIG. 5 described above, the sub-panel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mit a directional component in addition to lighting the LED unit 420 when lifting the sub-panel 220, The direction module 60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recessed groove 223 so as to ventilate the surrounding atmosphere.

이 경우 함입홈(223)은 단일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서브패널(220)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를 함입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함입홈(223)에 조명모듈(400) 또는 방향모듈(6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명모듈(400)과 방향모듈(600)이 교대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essed grooves 223 are formed not by a single groove but by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23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panel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ule 600 can be mounted, and more preferably, the illumination module 400 and the direction module 600 can be alternately mounted.

이를 위해서는 방향모듈(600)을 상기 조명모듈(400)이 장착된 상기 함입홈(223)과 인접한 다른 상기 함입홈(223)에 장착시킴으로써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인데, 이 때 방향모듈(600)은 액상의 방향제가 충진된 방향제용기(610) 및, 상기 방향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구동부(620)를 포함한다. 이는 종래의 방향제 디스펜서와 같은데 구동부(620)의 제어 구성을 제한하지 않은 것으로, 이 때 구동부(62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시간마다, 2시간마다 방향제용기(610)에 충진된 방향제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자적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can be achieved by mounting the direction module 600 in the recessed groove 223 adjacent to the recessed recess 223 in which the illumination module 400 is mounted. A fragrance container 610 filled with a fragrance of the perfume, and a driving unit 620 for spraying the fragrance to the outside. This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fragrance dispenser but does not restrict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620.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620 is charged in the fragrance container 610 every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spraying of the fragrance to the outside,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configur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서브패널(220)은 메인패널(210)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서브패널(220)의 승강 시 방향모듈(600)이 방향제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외부로 방향제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상술한 컨트롤러(500)의 구성에 상기 서브패널(220)의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방향모듈(600)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방향제어부(530)를 포함하도록 하여 서브패널(220)의 분사 시 방향모듈(600)이 방향제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urther, since the sub-panel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movable from the main panel 210, when the direction module 600 of the sub-panel 220 moves up and down, The controller 500 may include a direction controller 530 for controlling whether the direction module 600 is ej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panel 220 is lifted or lowered so that the sub panel 220 So that the direction module 600 can inject the fragrance to the outside.

이에 더 나아가 상기 콘센트 타워(10)의 일 측, 그 중에서도 상기 지주(100) 및 상기 서포트패널(200)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감지센서(700)를 구비하도록 하여 콘센트 타워(10)에 사용자가 인접했음을 감지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 때 감지센서(700)는 적외선감지센서(700)나 접근감지센서(70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감지센서(700)를 통해 사용자가 감지된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조명모듈(400) 및 방향모듈(600)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nsor 7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let tower 10, one of the support pillars 100 and the support panel 200, The infrared sensor 700 or the proximity sensor 700 may be used as the sensor 700. In this case, Accordingly, the user may generate the sensed signal through the sensing sensor 700 and control the lighting module 400 and the direction module 6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이를 위해 승강제어부(510)는 상기 감지센서(700)를 통한 감지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서브패널(220)의 승강 여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 때 조명제어부(520) 및 방향제어부(530)는 서브패널(220)의 승강 여부에 따라 그 구동이 각각 제어되므로, 감지신호 발생에 따라 서브패널(220)이 승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LED부(420)의 점멸 및 방향모듈(600)의 방향제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To this end, the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510 controls whether the sub-panel 220 is lifted or lowered according to generation of a sensing signal through the sensing sensor 700. At this time, the lighting control unit 520 and the direction control unit 530 The driving of the sub-panel 220 is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b-panel 220 is raised or lowered, so that the sub-panel 220 is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sensing signal, It is possible to configure it to be possibl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ceptacle tower for charging portabl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 콘센트 타워 100 : 지주
200 : 서포트패널 210 : 메인패널
220 : 서브패널 221 : 홀더
222 : 밑면 223 : 함입홈
224 : 바닥면 225 : 경사면
226 : 지지부 227 : 돌출파트
228 : 지지대 300 : 커넥터
400 : 조명모듈 410 : 조명케이스
411 : 하우징 412 : 절곡부
413 : 결합타이 414 : 완충패드
420 : LED부 430 : 버퍼블럭
431 : 접착면 432 : 돌출면
500 : 컨트롤러 510 : 승강제어부
520 : 조명제어부 530 : 방향제어부
600 : 방향모듈 610 : 방향제용기
620 : 구동부 700 : 감지센서
10: Outlet Tower 100: Holding
200: Support panel 210: Main panel
220: sub panel 221: holder
222: bottom surface 223:
224: bottom surface 225: inclined surface
226: Support part 227:
228: Support 300: Connector
400: lighting module 410: lighting case
411: Housing 412:
413: bonding tie 414: cushioning pad
420: LED unit 430: buffer block
431: Adhesive surface 432:
500: controller 510: lift-up fisher
520: illumination control unit 530: direction control unit
600: direction module 610: perfume container
620: driving unit 700: detection sensor

Claims (13)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의 높이 방향 일 측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패널;
상기 지주 및 상기 서포트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휴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패널은,
상기 지주와 연결된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패널의 전면 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전면 일 측에서 함입 형성된 홀더를 더 포함하는 서브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As a mobile device charging receptacle tower,
A pillar installed on the ground and standing up in a height direction;
At least one support panel protruding from one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lumn;
And a connector provid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anel, the connect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device,
The support panel includes:
A main panel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sub-panel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panel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sub-panel further including a holder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패널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nel includes: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suppo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홀더의 밑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의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nd a charging terminal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and inserted in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portabl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패널은,
둘레면 일 측에서 함입 형성된 함입홈 및,
상기 함입홈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조명케이스와, 상기 조명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LED부를 포함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
A recesse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ormed in a concave shape,
And is mounted in the recessed groove,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tion module including an illumination case and an LED part mounted inside the illumination cas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타워는,
상기 서브패널의 승강 여부를 제어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서브패널의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LED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let tower includes:
A lift controller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sub panel is lifted or lowered,
And a light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of the LED according to whether the sub-panel is lifted or lower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홈에는,
바닥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파트와, 상기 돌출파트의 표면 일 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recessed groove,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support part including at least one support protruding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케이스는,
상기 LED부를 수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LED부의 외부를 둘러싸고 상단 끝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LED부가 수납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LED부를 감싸 밀착 고정하는 결합타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적층되어 외부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ght-
A housing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D unit and having an open top surface and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LED unit so as to be bent and extending inward;
A joining tie for fixing the state where the LED unit is housed in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a cushioning pad lamina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pport to cushion external impact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홈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벌어지는 형태로 경사 처리된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함입홈의 개방된 방향을 향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essed groove
A bottom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tilte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support portion
And the attachment recess is attached towar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recessed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케이스는,
일 측면이 상기 경사면의 일 측에 편중되도록 부착되어 특정 방향으로 상기 LED부가 점등되며,
상기 함입홈은,
상기 조명케이스가 부착된 상기 경사면의 대향 측 경사면과 상기 조명케이스 간의 사이공간에 충진되는 버퍼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ight-
Wherein one sid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biased, and the LED portion is lit in a specific direction,
The recessed groove
Further comprising a buffer block filled in a space between an opposite sid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to which the illumination case is attached and the illumination cas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블럭은,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는 접착면과,
상기 조명케이스의 일 측면에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돌출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uffer block comprises:
An adhesive surface which is adhered to the inclined surface and adhered via an adhesive,
And a protruding surface protru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lighting cas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홈은,
상기 서브패널의 둘레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함입 형성되며,
상기 서브패널은,
상기 조명모듈이 장착된 상기 함입홈과 인접한 다른 상기 함입홈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방향제가 충진된 방향제용기 및, 상기 방향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방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ssed groove
A plurality of sub-panels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b-
The sub-
Wherein the lighting module is mounted on the other recessed groove adjacent to the recessed groove on which the lighting module is mounted,
And a direction module including a fragrance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fragrance and a driving unit for spraying the fragrance to the outsid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타워는,
상기 지주 및 상기 서포트패널 중 어느 하나의 일 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를 통한 감지신호 발생에 따라 상기 서브패널의 승강 여부를 제어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서브패널의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LED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와,
상기 서브패널의 승강 여부에 따라 상기 방향모듈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방향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충전용 콘센트 타워.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outlet tow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detection sensor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and the support panel,
A lift controller for controlling whether the sub panel is lifted or lowered according to generation of a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A ligh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ashing of the LED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ub-panel is lifted or not,
And a direc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whether the direction module is inj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 panel is lifted or lowered.
KR1020170126497A 2017-09-28 2017-09-28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KR101828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97A KR101828009B1 (en) 2017-09-28 2017-09-28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497A KR101828009B1 (en) 2017-09-28 2017-09-28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09B1 true KR101828009B1 (en) 2018-02-09

Family

ID=6119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497A KR101828009B1 (en) 2017-09-28 2017-09-28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00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368B2 (en) * 1992-12-15 2001-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Inverter device
JP2004119257A (en) * 2002-09-27 2004-04-15 American Denki Co Ltd Tower type oa t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368B2 (en) * 1992-12-15 2001-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Inverter device
JP2004119257A (en) * 2002-09-27 2004-04-15 American Denki Co Ltd Tower type oa t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1432B2 (en) Charging stand
WO2017082291A1 (en) Top panel elevating-type desk
KR20130005736U (en) Dish having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charging the same
KR101828009B1 (en) A Socket Tower For Charging Portable Appliance
JP2009048862A (en) Charging type lighting fixture
KR102068928B1 (en) Rail lighting with conversion to advertising
JP6928916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mergency lighting equipment
KR20110120378A (en) Multi charging device for mobile phone
JP6778904B2 (en) Power supply stand
KR101466012B1 (en) Supporter for Wine Bottle
CN204205149U (en) A kind of combined multifunctional household power consumption equipment
CN216625323U (en) Portable modularized power supply device
CN213394777U (en) Desk lamp
CN206211073U (en) A kind of open-ended energization and load-bearing link and connector
CN208028630U (en) A kind of interchangeable wireless charging mounting table of multiple working conditions
JP2012028129A (en) Portable lamp
WO2001084042A1 (en) Rechargeable lamp assembly
CN111802795A (en) Electric lifting table with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and lifting table system
CN219167697U (en) Support for robot and robot assembly
JP3136328U (en) Desk light device
CN215674996U (en) Spherical lamp
CN215682841U (en) Remote control emitter
CN216121066U (en) Power supply extension line device
CN215268674U (en) TWS bluetooth headset accomodates box that charges with LOGO shows
JP5661155B2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