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621B1 -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621B1
KR101827621B1 KR1020160018288A KR20160018288A KR101827621B1 KR 101827621 B1 KR101827621 B1 KR 101827621B1 KR 1020160018288 A KR1020160018288 A KR 1020160018288A KR 20160018288 A KR20160018288 A KR 20160018288A KR 101827621 B1 KR101827621 B1 KR 101827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ght
bus
efficiency
evaluating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715A (ko
Inventor
이기천
박인재
강수정
이연우
유선준
김성모
박근영
손영오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6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버스 노선별 또는 행정구역별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은,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택시 수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심야 버스 노선별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심야 버스 노선별로, 상기 심야 버스 대수와 상기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 값과 상기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METHOD FOR EVALUATING OPERATION EFFICIENCY OF LATE-NIGHT BUS}
본 발명은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노선별 또는 행정구역별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중교통이란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버스나 지하철 따위의 교통 수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중교통은 주로 정책과 시민의 필요성에 의하여 구축되고 그 개편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국가 및 시/도의 적절한 예산 분배를 위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지표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심야에도 대중교통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여러 나라에서 심야 버스 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서울시를 중심으로 심야 버스(late-night bus, 올빼미 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지하철이나 낮에 운영되는 버스와 달리, 심야 버스 제도는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기 때문에, 버스 노선, 운영 시간 등에 대해 개선점이 지적되고 있는데,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된다면, 시민의 만족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25572호가 있다.
본 발명은 버스 노선별 또는 행정구역별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택시 수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심야 버스 노선별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심야 버스 노선별로, 상기 심야 버스 대수와 상기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 값과 상기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행정구역을 출발하는 택시 수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행정구역을 출발하는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상기 심야 버스 대수와 상기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시 수요를 기반으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함으로써,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버스 노선을 수정 및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대별로 심야 버스 노선 또는 투입 대수를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심야 버스 노선별 이동 대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데이터 입력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및 데이터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심야 버스 노선별로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거나 행정구역별로 운행 효율성을 평가한다. 이 때, 본 발명은 심야 시간대의 이동 수요를 기반으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며, 심야 시간대 이동 수단은 주로 택시이므로, 택시 수요를 이용하여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한다.
일예로서 택시 수요가 많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심야 버스가 운행되지 않거나 운행되는 대수가 적다면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택시 수요가 적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심야 버스가 운행되는 대수가 많다면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버스 노선을 수정 및 계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심야 시간대를 세분화하여 특정 시간대별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대별로 심야 버스 노선 또는 투입 대수를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운행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선별 운행 효율성 평가>
데이터 입력부(110)는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택시 수요 정보를 입력받고,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심야 버스 노선별로 입력받는다.
택시 수요 정보와 심야 버스 대수 정보는 대중 교통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 엔티티로부터 제공받거나 또는 통계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일예로 서울시의 경우,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사이트(data.seoul.go.kr)에서 관련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택시 수요 정보는 제1구역에서 승객이 탑승하고 제2구역에서 승객이 하차한 택시의 대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택시 수요 정보와 심야 버스 대수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구분된 정보일 수 있다.
제1구역 및 제2구역은 행정구역 단위의 하나로서 동 또는 구 단위로 설정된 구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구역 및 제2구역은 동일한 레벨의 행정구역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심야 버스 노선별로, 심야 버스 대수와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하는데,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심야 버스 대수와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20)는 계산된 비율 값과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을 비교한다.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은 심야 버스가 수송할 수 있는 승객 수를 나타내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일실시예로서, 계산된 비율과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 중 작은 값을 비교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수송 능력 값을 조절하면서 계산된 비율과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 중 보다 작은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비율 값 및 수송 능력 값을 이용하여 버스 노선별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의 비교 결과 및 평가 효율성 정보를 출력한다. 자세히 후술되지만 데이터 처리부(120)의 비교 결과는 심야 버스의 노선별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파라미터이다.
<행정구역별 운행 효율성 평가>
데이터 입력부(110)는 기 설정된 행정구역을 출발하는 택시 수요 정보를 입력받고, 택시가 출발하는 행정구역을 출발하는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행정구역은 동 또는 구 단위로 설정된 구역일 수 있다. 그리고 택시 수요 정보는 기 설정된 행정 구역에서 승객이 탑승한 택시 대수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심야 버스 대수와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계산된 비율 값에 대한 심야 버스의 수요 편차 값을 추가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비율 값과 수요 편차 값을 이용하여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심야 시간대에는 택시가 심야 버스의 대체제이므로, 심야 버스에 대한 수요량은 택시 수요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의 계산 결과 및 평가 정보를 출력한다. 자세히 후술되지만 데이터 처리부(120)의 계산 결과는 심야 버스의 행정구역별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파라미터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은 도 1의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 또는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는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심야 버스 노선별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심야 버스 노선별 이동 대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택시 수요 정보 및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수신(S210) 즉, 입력받는다. 이 때, 심야 버스 대수 정보는 심야 버스 노선별 정보이다.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심야 버스 노선별로,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심야 버스 대수와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S220)한다. 그리고 계산된 비율 값과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의 비교 결과를 출력(S230)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택시 수요는 결국 심야 버스 수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데, 심야 버스 대수 대비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이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을 초과한다면, 심야 버스 수요가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을 초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심야 버스 대수 대비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이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보다 매우 작다면, 심야 버스 수요 대비 심야 버스 운행 대수가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단계 S230의 비교 결과는 심야 버스 노선별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일실시예로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1
여기서, Xijk는 k시간대에서 구 i(제1구역)에서 구 j(제2구역)로 이동하는 심야 버스의 대수를 나타내며, Yijk k시간대에서 구 i(제1구역)에서 구 j(제2구역)로의 택시 수요를 나타낸다. α는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을 나타낸다.
즉,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계산된 비율 값과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 중 작은 값을 출력할 수 있다.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2
값이 매우 크더라도, 심야 버스는 수송 능력 범위를 벗어나 승객을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이 상한으로 설정되었다.
일예로서, 도 3과 같이 구 i(300)가 구1, 2, 3, 4(310 내지 340)에 인접하여 있고, 임의의 시간대 K에서 N12, N16, N17, N26 노선의 심야 버스가 한대씩 구 i(300)로부터 이동하고 있으며, 택시 수요와 노선별 심야 버스의 대수가 [표 1] 및 [표 2]와 같을 경우,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표 3]과 같이 버스 노선별로 비교 결과(score)를 출력할 수 있다.
j 1 2 3 4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3
45 75 30 80
j 1 2 3 4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4
1 2 0 1
노선 N16 N17, N20 N/A N12
Line N16 N17 N20 N12
Score 40 37.5 37.5 40
equation Min (45,40) Min (75/2,40) Min (75/2,40) Min (80,40)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비교 결과 값은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파라미터가 되는데, 비교 결과 값(score)이 클수록 버스가 만차되어 운행되며, 수요에 비해 버스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운행 효율성 측면에서는 버스가 만차되어 운행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계산된 비율(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5
)이 수송 능력 값(α)보다 작으며, 수송 능력 값에 근접할수록, 운행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다만, 수송 능력 값(α)을 증가시킬 때 비교 결과 값(score)이 함께 증가하는 경우는, 버스 수송 능력에 비해 버스 수요가 많은 것이므로, 해당 노선의 운행 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즉,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계산된 비율 값이 수송 능력 값보다 작으며 수송 능력 값에 근접할수록, 운행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수송 능력 값을 조절하고, 계산된 비율 값과 조절된 수송 능력 값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여, 심야 버스의 노선별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전술된 계산 결과와 함께, 운행 효율성 정보를 출력하며, 운행 효율성 정보는 버스 노선 별 상대적인 운행 효율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6 노선의 운행 효율성이 N17 노선의 운행 효율성보다 낮다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행정구역별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기 설정된 행정구역을 출발하는 택시 수요 정보 및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수신(S410) 즉, 입력받는다. 여기서, 행정구역은 동 또는 구 단위로 설정된 구역일 수 있다.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심야 버스 대수와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S420)한다.
단계 S420의 비율 값은, 행정구역별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파라미터로서, 심야 버스 대수 대비 택시 수요 비율 값이 큰 경우는, 해당 행정구역에서 버스 수요 대비 운행되는 버스 노선이 부족함을 나타낸다. 반대로 심야 버스 대수 대비 택시 수요 비율 값이 작은 경우는 해당 행정구역에서 버스 수요 대비 운행되는 버스 노선이 많음을 나타낸다. 행정구역 별로 비율 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행정구역에 대한 상대적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일실시예로서 [수학식 2]와 같이 심야 버스 대수와 택시 수요의 비율 값(βik)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7
는 k시간대에서 구 i를 출발하는 택시 수요를 나타내며,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8
는 k시간대에서 구 i를 출발하는 심야 버스의 대수를 나타낸다.
계산된 비율 값(βik)은 행정구역, 구 i에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서, 비율 값(βik)이 클수록 버스 수요 대비 구 i를 지나는 심야 버스의 대수가 적음을 나타내며, 비율 값(βik)이 작을수록 버스 수요 대비 구 i를 지나는 심야 버스의 대수가 많음을 나타낸다. 즉, 행정구역별로 비율 값(βik)을 비교하여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계산된 비율 값(βik)에 대한 심야 버스의 수요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심야 버스에 대한 수요량은 택시 수요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일실시예로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수요 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6015624784-pat00009
[수학식 3]에서 첨자 k가 생략된 것은, 모든 시간대에 대한 택시 수요, 심야 버스 대수 및 택시 수요와 심야 버스 대스의 비율이 변수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일예로서, 도 3과 같이, 구 i(300)를 출발하는 버스 노선이 존재하고, 심야 버스가 운행되는 모든 시간대에서 구 i(300)를 출발하는 택시 수요가 [표 1]과 같을 경우, [표 4]와 같이 노선 별로 수요량 편차가 계산될 수 있다. 노선별 수요 편차를 모두 합하여 [수학식 3]을 적용하면, 구 i에 대한 심야 버스의 수요 편차가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노선은 구 i(300)를 기준으로, 구 i(300)를 출발하는 버스 노선을 나타낸다.
구 i를 출발하는 버스 노선 i1(N16) i2(N17, N20) i3 i4(N12)
Score 156.25 1600 900 506.25
equation (57.5-45) 2 (57.5*2-75) 2 (0-30) 2 (57.5-80) 2
수요 편차 값이 크다는 것은 버스 수요에 비해 버스 노선이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수요 편차 값이 작다는 것은 버스 수요에 비해 버스 노선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비율 값(βik)과 마찬가지로 행정구역 별로 수요 편차 값을 비교하여, 복수의 행정구역에 대한 상대적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즉,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행정구역별로 비율 값 및 수요 편차 값을 비교하여, 행정구역에 대한 상대적 운행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전술된 계산 결과와 함께, 평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는 제1구에 대한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이 제2구에 대한 운행 효율성 보다 높거나 낮다는 평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의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심야 버스에 대한 수요량 정보로서, 제1구역에서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택시 수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구역에서 상기 제2구역으로 이동하는 상기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심야 버스 노선별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심야 버스 노선별로, 상기 심야 버스 대수 대비 상기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율 값과 상기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율 값이 상기 수송 능력 값보다 작으며, 상기 수송 능력 값에 근접할수록, 상기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비율 값과 상기 심야 버스의 수송 능력 값 중 작은 값을 출력하는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송 능력 값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비율 값과 상기 조절된 수송 능력 값의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야 버스 대수와 상기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상기 심야 버스 대수와 상기 택시 수요의 비율을 계산하는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구역은
    행정구역 중 동 또는 구 단위로 설정된 구역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7. 운행 효율성 평가 장치의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심야 버스에 대한 수요량 정보로서, 기 설정된 행정구역을 출발하는 택시 수요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행정구역을 출발하는 상기 심야 버스 대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대별로, 상기 심야 버스 대수 대비 상기 택시 수요의 비율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비율 값에 대한 상기 심야 버스의 수요 편차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행정구역별로 상기 비율 값 및 상기 편차 값을 비교하여, 행정구역에 대한 상대적 운행 효율성을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행정구역은
    동 또는 구 단위로 설정된 구역인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KR1020160018288A 2016-02-17 2016-02-17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KR101827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88A KR101827621B1 (ko) 2016-02-17 2016-02-17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88A KR101827621B1 (ko) 2016-02-17 2016-02-17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15A KR20170096715A (ko) 2017-08-25
KR101827621B1 true KR101827621B1 (ko) 2018-02-08

Family

ID=5976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288A KR101827621B1 (ko) 2016-02-17 2016-02-17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0722B (zh) * 2019-12-12 2022-05-03 华侨大学 一种基于客流量竞争关系的公交路线调整方法
CN115320677A (zh) * 2022-08-30 2022-11-11 江西理工大学 一种永磁磁浮轨道交通预约车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00B1 (ko) * 2006-11-03 2008-02-2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교통 정보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00B1 (ko) * 2006-11-03 2008-02-2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교통 정보 생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715A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shalalfah et al. Feasibility of flex-route as a feeder transit service to rail stations in the suburbs: case study in Toronto
US20070143012A1 (en)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a fixed-route transit network
CN110942198A (zh) 一种用于轨道交通运营的乘客路径识别方法和系统
JP2008297764A (ja) 道路情報管理装置
KR101827621B1 (ko) 심야 버스의 운행 효율성 평가 방법
Amiripour et al. Hybrid method for bus network design with high seasonal demand variation
CN110997449B (zh) 列车营运计划支援系统、以及列车营运计划相关的数据的数据构造
Deng et al. Reduce bus bunching with a real-time speed control algorithm considering heterogeneous roadway conditions and intersection delays
Ibeas et al. Bus size and headways optimization model considering elastic demand
Caggiani et al. A dynamic clustering method for relocation process in free-floating vehicle sharing systems
Yang et al. Feasibility of using a constant acceleration rate for freeway entrance ramp acceleration lane length design
Zhang et al. Design of limited-stop service based on the degree of unbalance of passenger demand
Lempert et al. Mathematical model and program system for solving a problem of logistic objects placement
US90463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fixed transit routes
Kim et al. Model and algorithm for solving school bus problem
Baric et al. Implement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solving transport problems
Wu et al. Signal optimization at urban highway rail grade crossings using an online adaptive priority strategy
Dragan et al. USING GIS FOR THE OPTIMIZATION OF PUPILS TRANSPORTATION: THE CASE OF LASKO MUNICIPALITY
Khakbaz et al. Urban bus fleet routing in transportation network equipped with park-and-ride: a case study of Babol, Iran
Smolnicki et al. Car-sharing: the impact on metropolitan spatial structures
Nasiboglu et al. Origin-destination matrix generation using smart card data: Case study for Izmir
Fügenschuh The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coupled time windows
Trip et al. Supporting electric vehicles in freight transport in Amsterdam
Akgöl et al. Prediction of modal shif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heng et al. Application of the Bi‐Level Location‐Routing Problem for Post‐Disaster Waste Col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