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631B1 - 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631B1
KR101826631B1 KR1020160085787A KR20160085787A KR101826631B1 KR 101826631 B1 KR101826631 B1 KR 101826631B1 KR 1020160085787 A KR1020160085787 A KR 1020160085787A KR 20160085787 A KR20160085787 A KR 20160085787A KR 101826631 B1 KR101826631 B1 KR 10182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ap
tab
hub unit
smart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5553A (en
Inventor
박성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홍
Priority to KR102016008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631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5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탭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탭 등록방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스마트 탭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혼선과 거리의 제한이 없는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허브유닛과 스마트 탭을 연결하는 스마트 탭 연결단계; 상기 스마트 탭이 가지는 특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연결된 상기 스마트 탭을 다른 가전기기와 분류하여 인식하는 스마트 탭 인식단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상기 스마트 탭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탭의 전류신호 또는 통신율을 포함하는 탭 연결신호를 측정하는 탭 연결신호 측정단계; 그리고, 상기 탭 연결신호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스마트 탭을 제어대상이 되는 제어대상 스마트 탭으로 자동등록하는 스마트 탭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grated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ap regist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without confusion and distance limit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environment using the sa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tap connecting step for connecting a smart hub unit and a smart tap; A smart tap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smart tap connected to the smart hub unit based on specific information of the smart tap, by classifying the smart tap with other home appliances; Measuring a tap connection signal including a current signal or a communication rate of the smart tap when the smart hub unit and the smart tap are connected; And a smart tab registration step of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smart tab having the largest value among the tab connection signals as a control target smart tab to be controlled, and a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using the same ≪ / RTI >

Description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nd an integrated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탭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탭 등록방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스마트 탭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혼선과 거리의 제한이 없는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grated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tap regist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without confusion and distance limit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environmen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과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원거리에 있는 가전기기 및 조명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동작을 제어한다.Generally, a network system is composed of a wired network system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and a wireless network system controls operations by connecting household appliances and lights at a remote place through a single network.

또한, 제어 대상의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서 가전기기 및 조명이 스마트 탭과 연결되어 실내콘센트에서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전기기 및 조명 등의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Further, in order to extend the range of the control target, household appliances and lighting are connected to the smart tab,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door outlet, thereby facilitating control of household appliances and lighting using the wireless network system.

스마트 탭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탭의 운전을 제어하는 스마트 허브유닛에 등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기존의 스마트 탭 등록방법은 사용자가 복잡한 과정을 거쳐 일일이 수동으로 입력하고, 스마트 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번호를 부여해야만 스마트 탭을 등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smart tab, it is necessary to register it in the smart hub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 tab. In the conventional smart tab registration method, the user inputs manually through the complicated process, and th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smart tab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mart tab can be registered only when a number is assigned.

또한,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랜 통신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혼선과 거리제약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xisting wireless network systems are made through wireless LAN communica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crosstalk and distance restriction.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TV, 컴퓨터, 에어컨, 선풍기, 전기 밥솥, 전자레인지,오디오 등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가전기기의 경우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로 계속 사용되기 때문에 장시간 미사용하는 경우에도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채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Also, in the case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TVs, computers, air conditioners, electric fans, electric rice cookers, microwave ovens, and audio appliances which are frequently used at home or at work, plugs are continuously used in plugged- Is often left in an outlet.

이에 따라,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설정하여, 가전기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설정된 대기전력을 기준으로 가전기기의 전원을 제어하게 되는데, 종래의 대기전력 차단시스템은 대기전력 설정값을 사용자가 각각의 가전기기에 대하여 수동으로 설정해야할 뿐만 아니라 가전기기의 부하변동에 따른 정확한 대기전력의 입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is set, and the power of the home appliance is controlled based on the standby power set when the home appliance is not in use. In the conventional standby power blocking system, It is not only necessary to manually set the home appliances, but also it is difficult to input the correct standby power according to the load variation of the home appliances.

특허문헌(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8205호(발명의 명칭: 가전 기기 원격 감시 시스템, 공개일: 2015년 05월 06일)Patent Document (00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48205 (Title: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Release Date: May 06, 2015)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탭을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 탭 등록방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스마트 탭을 이용한 전력선 통신을 통하여 혼선과 거리의 제한이 없는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tab regist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tab and a smart tab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without confusion and distance restriction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a smart tab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environment using the sam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허브유닛과 스마트 탭을 연결하는 스마트 탭 연결단계; 상기 스마트 탭이 가지는 특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연결된 상기 스마트 탭을 다른 가전기기와 분류하여 인식하는 스마트 탭 인식단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상기 스마트 탭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탭의 전류신호 또는 통신율을 포함하는 탭 연결신호를 측정하는 탭 연결신호 측정단계; 그리고, 상기 탭 연결신호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스마트 탭을 제어대상이 되는 제어대상 스마트 탭으로 자동등록하는 스마트 탭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tap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a smart hub unit to a smart tap, A smart tap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smart tap connected to the smart hub unit based on specific information of the smart tap, by classifying the smart tap with other home appliances; Measuring a tap connection signal including a current signal or a communication rate of the smart tap when the smart hub unit and the smart tap are connected; And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smart tap having the largest value among the tap connection signals as a control target smart tap to be controlled.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는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에 제어번호를 부여하여 스마트 탭을 등록할 수 있다.The smart tab registration step may register the smart tab by assigning a control number to each control target smart tab so that the control target smart tab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 hub unit according to each unique number possessed by the control target smart tab .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는 등록대상이 되는 스마트 탭이 기존에 등록된 스마트 탭 인 경우에도 상기 탭 연결신호를 바탕으로 재등록될 수 있다.The smart tab registration step may be re-registered based on the tab connection signal even when the smart tab to be registered is a smart tab registered in the past.

상기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은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등록된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의 정보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구비된 제어부 또는 외부의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정보 전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registered to allow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to be controlled by the smart hub unit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smart hub unit or an external management ser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delivery step.

상기 스마트 탭 연결단계에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구비된 스마트 탭 등록부에 상기 스마트 탭이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상기 스마트 탭이 연결될 수 있다.In the smart tap connection step, the smart tap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smart tap registration unit of the smart hub unit, so that the smart hub unit and the smart tap can be connected.

또한, 상기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이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의 등록 여부를 표시하는 등록 알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registration alarm step for indicating whether the smart hub unit registers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스마트 탭 자동등록 단계; 외부의 스마트기기 또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신호 전달단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이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제어하는 제어명령 전달단계; 그리고, 상기 스마트 탭이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step,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external smart device or the control server to the smart hub unit; A control command delivery step in which the smart hub uni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control command; And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of the home appliances connected to the smart tab to be controlled by the smart tab.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는 복수 개의 스마트 탭들을 복수 개의 스마트 탭 그룹들로 분류하여 등록하며, 상기 제어명령 전달단계에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이 복수 개의 스마트 탭 그룹들을 그룹단위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the smart tap registration step, a plurality of smart tap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smart tap groups and registered. In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ing step, the smart hub unit can independently control a plurality of smart tap groups in a group unit.

상기 가전기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하는 전력감시단계,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설정하는 대기전력 설정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ling of the household appliances includes a power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power state and the failure state of the home appliances by the control subject smart tab, a power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power state and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s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s, And a standby power cut-off step in which the control target smart tab interrupts the standby power of the household appliances.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기존의 장소와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은 새로운 장소에 설치된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대기전력을 재설정하며, 재설정된 상기 대기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전력을 감시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is located at a plac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lace,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resets the standby power used in the home appliance installed in the new place, and based on the reset standby power,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standby power, monitor the power, and monitor the power state and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grated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of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using 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외부의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는 스마트 허브유닛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전력선통신하는 스마트 탭을 설치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은 가전기기의 운전을 혼선과 거리제약 없이 외부의 스마트기기에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a smart hub unit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smart device and a smart tap that performs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hub unit are installed, so that the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that does not have a wireless network receiving unit is interrupt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control.

둘째, 스마트 허브유닛과 스마트 탭을 연결하여 측정되는 전류값 또는 통신율을 측정함으로써 추가적인 등록과정 및 등록장치 없이 스마트 탭이 자동으로 설정등록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r the communication rate measured by connecting the smart hub unit to the smart tab, the smart tab is automatically set and registered without additional registration process and registration device.

셋째, 스마트 탭을 사용하여 가전기기의 전력사용량을 감시 및 제어함으로써 전력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household appliances using smart tabs.

넷째, 스마트 탭을 사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설정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가전기기의 전원을 제어하여 전력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ndby power of the household appliance is set using the smart tab, and the standby power is shut off to control the power of the unused household applianc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탭, 가전기기, 실내콘센트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mbining a smart tap, a household appliance, and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grated network system control flow of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grated network system in an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be solved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s,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2, 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은 스마트 탭 연결단계(S110), 스마트 탭 인식단계(S120), 탭 연결신호 측정단계(S130), 스마트 탭 등록단계(S140), 스마트 탭 알람단계(S150), 스마트 탭 정보전달 단계(S160)를 포함한다.2, 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mart tap connection step S110, a smart tap recognition step S120, a tap connection signal measurement step S130, a smart tap registration step S140 A smart tap alarm step S150, and a smart tap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160.

상기 스마트 탭 연결단계(S110)는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스마트 탭(200)을 연결하는 것이다.The smart tap connecting step S110 connects the smart hub unit 100 and the smart tap 200. [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은 외부의 스마트기기(500)와 wifi(Wireless fidelity)등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받으며,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의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탭(200)에 연결된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한다.The smart hub unit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mart device 5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to receive a control signal. The smart tap 200 controls the smart hub unit 1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300) connected to the smart tab (200) based on the signal.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탭 연결단계(S11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구비된 스마트 탭 등록부(130)에 직접 스마트 탭(200)을 결합함으로써 연결된다. Specifically, the smart tap connection step (S1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mart tap registration unit 130 of the smart hub unit 100 by combining the smart tap.

상기 스마트 탭 연결단계(S110)에 앞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이 상기 스마트 탭(200)을 등록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될 수 있도록 스마트 탭(200) 등록모드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mart tab 200 registration mode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smart hub unit 100 may register an environment for registering the smart tab 200 prior to the connection step S110.

상기 스마트 탭(200) 등록모드단계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배치된 등록모드 스위치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기기(500)의 제어명령으로도 활성화 될 수 있다.The smart tab 200 registration mode may be activated through a registration mode switch disposed in the smart hub unit 100 or may be activated by a control command of the smart device 500 as well.

상기 스마트 탭 인식단계(S120)는 상기 스마트 탭(200)이 가지는 특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연결된 스마트 탭(200)을 가전기기(300)와 분류하여 인식한다.The smart tab recognizing step S120 classifies and recognizes the smart tab 200 connected to the smart hub unit 100 with the home appliance 300 based on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smart tab 200. [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스마트 탭(200)의 측정전류값, 고유정보, 소비전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pecific information may include a measured current value, unique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etc. of the smart tab 200.

상기 스마트 탭(200)을 가전기기(300)와 분류하여 인식하여 불필요한 제어대상의 등록을 미리 방지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탭 등록 이후의 검수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The smart tab 200 may be classified and recognized as the home appliance 300 so that registration of an unnecessary control target is prevented in advance, so that the verification process after the smart tab registration can be omitted.

상기 스마트 탭(200)을 인식하는 특정 정보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저장되며, 상기 특정 정보는 등록하는 스마트 탭(200)의 종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Specific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smart tab 200 is stored in the smart hub unit 100, and the specific informa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 tab 200 to be registered.

상기 탭 연결신호 측정단계(S130)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10)과 상기 스마트 탭(2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탭(200)의 전류신호 또는 통신율을 포함하는 탭 연결신호를 측정하게 된다.The tap connection signal measurement step S130 measures the tap connection signal including the current signal or the communication rate of the smart tap 200 in a state where the smart hub unit 110 and the smart tap unit 200 are connected .

구체적으로, 상기 탭 연결신호 측정단계(S13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연결된 스마트 탭(200)에 가해지는 전류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거나,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상기 스마트 탭(200)의 통신율을 측정한다.The tap connection signal measurement step S130 may measure the strength of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smart tap 200 connected to the smart hub unit 100 or may measure the strength of a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smart hub unit 100, 200) is measured.

상기 탭 연결신호 측정단계(S130)에서 측정된 전류신호 및 통신율은 스마트 탭(200) 중 사용자가 사용할 스마트 탭(200)을 선별하기 위해서 측정된다.The current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rate measured in the tap connection signal measuring step S130 are measured to select the smart tab 200 to be used by the user of the smart tab 200.

상기 전류신호의 세기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S140)에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연결된 스마트 탭(200) 중 전류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스마트 탭(200)이 제어대상이 되는 스마트 탭(200)으로 자동등록된다.In the smart tap registration step S140, when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signal is used as a reference, the smart tab 200 having the largest current signal intensity among the smart tabs 200 connected to the smart hub unit 100,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smart tab 200, which is a smart tab.

또한, 통신율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연결된 스마트 탭(200) 중 통신율이 가장 큰 스마트 탭(200)이 제어대상이 되는 스마트 탭(200)으로 자동등록된다.When the communication rate is used as a criterion, the smart tab 200 having the largest communication rate among the smart tabs 200 connected to the smart hub unit 100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smart tab 200 to be controlled.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탭 연결신호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상기 스마트 탭스마트 탭(200)의 거리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떨어진 거리가 가장 작은 스마트 탭이 제어대상 스마트 탭으로 자동등록 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ap connection signal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smart hub unit 100 and the smart tap smart tap 200,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control target smart tab.

또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서 제어할 스마트 탭(200)의 선별은 상기 전류신호의 세기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 탭(200)의 부하정도를 포함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게 될 수도 있다.The selection of the smart tab 200 to be controlled by the smart hub unit 100 may be based 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signal as well as the load of the smart tab 200.

이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가까운 스마트 탭(200)을 선별하기 위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 내의 스마트 탭(200)만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등록할 수 있게 된다.This is done to select the smart tap 200 closest to the smart hub unit 100 so that only the smart tab 200 in the space where the user resides can be registered in the smart hub unit 100.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탭(200)은 복잡한 등록 과정 및 등록 장치 없이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등록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mart tab 200 can be registered in the smart hub unit 100 without a complicated registration process and a registration device.

또한,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S140)는 상기 스마트 탭(200)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스마트 탭(200)에 제어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스마트 탭(200)을 등록한다.In addition, the smart tap registration step S140 may include registering a control number in each smart tab 200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 hub unit 100 according to each unique number possessed by the smart tab 200, And registers the smart tab 200. [0050] FIG.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S140)에서는 등록대상이 되는 스마트 탭이 기존에 등록된 스마트 탭 인 경우에도 상기 탭 연결신호를 바탕으로 재등록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smart tap registration step (S140), even if the smart tab to be registered is a registered smart tab, it can be re-registered based on the tab connection signal.

상기 스마트 탭(200)에 제어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은 상기 스마트 탭(200)이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등록됨과 동시에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번호를 상기 가전기기(300)에 대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가전기기(300)를 더욱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 of assigning the control number to the smart tab 200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the smart tab 200 is registered in the smart hub unit 100. By associating the control number with the home appliance 300, The home appliance 300 can be more easily controlled.

상기 스마트 탭 알람단계(S15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이 상기 스마트 탭(200)의 등록여부를 표시한다.The smart tap alarm step S150 indicates whether the smart hub unit 100 registers the smart tab 200 or not.

상기 스마트 탭(200)의 등록여부 표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구비된 표시부의 점등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구비된 스피커의 안내멘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gistration of the smart tab 200 may be indicated by lighting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smart hub unit 100 or through an announcement of a speaker provided in the smart hub unit 100. [

상기 스마트 탭 정보 전달단계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등록된 상기 스마트 탭(200)이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등록된 상기 스마트 탭(200)의 정보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구비된 제어부(120) 및 외부의 관리서버(400)에 전달한다.The smart tap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mart tap 200 registered so that the smart tap 200 registered in the smart hub unit 100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 hub unit 100,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external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d in the hub unit 100.

상기 스마트 탭(200)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500)로 전달되며, 상기 스마트 탭(200)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기기(500)는 상기 가전기기(300)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information of the smart tab 200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500 through the controller 120 and the smart device 500 is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mart tab 200. [ Lt; / RTI >

도 1과,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and FIG. 3 to FIG. 4,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grated network system in an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은 스마트 탭 자동등록 단계(S310), 제어신호 전달단계(S320), 제어명령 전달단계(S330), 가전기기 제어단계(S3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integrated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for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step S310, a control signal transmission step S320, a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step S330, And a control step S340.

상기 스마트 탭 자동등록 단계(S310)는 상술한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에 의하여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스마트 탭(200)을 등록한다.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step (S310) registers the smart tap (200) in the smart hub unit (100) according to the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described above.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S310)는 복수 개의 스마트 탭들을 복수 개의 스마트 탭 그룹들로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다.The smart tap registration step S310 may classify a plurality of smart taps into a plurality of smart taps groups and register the plurality of smart taps.

상기 제어신호 전달단계(S320)는 외부의 스마트기기(500) 또는 상기 관리서버(400)가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으로 전달한다.In th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step S320, an external smart device 5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mart tap 200 to the smart hub unit 100. [

상기 스마트기기(5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에서 전달된 신호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구비된 무선통신부(111)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되며, 상기 무선통신부(111)는 상기 스마트기기(5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해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배치된다.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mart device 5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included in the smart hub unit 100, Is disposed in the smart hub unit 10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5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

상기 제어명령 전달단계(S33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이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탭(200)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한다.In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step S330, the smart hub unit 1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smart tab 2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무선통신부(111)를 통하여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구비된 전력선 통신부(113)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탭(20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탭(200)을 제어한다.3, the controller 120 provided in the smart hub unit 100 controls the smart tap 200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To the smart tab 200 throug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3 provided in the smart hub unit 100 to control the smart tab 200. [

상기 스마트 탭(200)은 각각의 제어번호를 갖는 제 1 스마트 탭(201)과 제 2 스마트 탭(202)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는 상기 스마트기기(500) 및 상기 관리서버(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를 통해 전달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 1 스마트 탭(201) 및 상기 제 2 스마트 탭(202)에 독립적으로 전달하게 된다.The smart tap 200 includes a first smart tap 201 and a second smart tap 202 having respective control numbers and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500 and the management server The first smart tab 201 and the second smart tab 202 independentl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ler 12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first smart tab 201 and the second smart tab 202. [

상기 제어명령 전달단계(S330)에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이 복수 개의 스마트 탭 그룹들을 그룹단위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은 제1 그룹의 스마트 탭들과 제2 그룹의 스마트 탭들을 그룹단위로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ntrol command transmission step S330, the smart hub unit 100 may independently control a plurality of smart tab groups in a group unit. For example, the smart hub unit 100 can control the first group of smart taps and the second group of smart taps by grouping them.

상기 전력선 통신부(113)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과 상기 스마트 탭(200)이 전력선통신을 통하여 제어명령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배치됨으로써 혼선 및 거리 제약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무선통신과 비교하여 보다 안전한 통신이 가능해지며, 혼선과 거리의 제한이 없는 사물인터넷 환경이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3 is disposed in the smart hub unit 100 so that the smart hub unit 100 and the smart tab 200 can send and receive control command signals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more secure communication compar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having the Internet, and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without any confusion and distance limitation can be realized.

상기 가전기기 제어단계(S340)는 상기 스마트 탭(200)이 상기 스마트 탭(200)에 연결된 가전기기(300)의 전원을 제어한다.I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tep S340, the smart tab 200 controls the power of the home appliance 300 connected to the smart tab 2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배치된 각각의 상기 가전기기(300)는 실내콘센트(600)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상기 제 1 스마트 탭(201) 및 상기 제 2 스마트 탭(202)에 독립적으로 연결된 제 1 가전기기(301) 및 제 2 가전기기(30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마트 탭(201) 및 상기 제 2 스마트 탭(202)의 제어를 바탕으로 독립적으로 상기 제 1 가전기기(301) 및 상기 제 2 가전기기(302)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1, each of the household appliances 300 disposed in the room is connected to the first smart tab 201 and the second smart tab 202, which are supplied power from the indoor receptacle 600, Wherein the first smart appliance and the second smart applian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smart appliance and a second smart applianc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first smart appliance and the second smart appliance, (301)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302)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또한, 상기 가전기기 제어단계(S340)는 전력감시단계(S341), 대기전력 설정단계(S343), 대기전력 차단단계(S34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ousehold appliance control step S340 includes a power monitoring step S341, a standby power setting step S343, and a standby power cutoff step S345.

상기 전력감시단계(S341)는 상기 스마트 탭(200)에 구비된 전력감시부가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한다.In the power monitoring step S341, the power monitoring unit provided in the SmartTab 200 monitors the power state and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 300.

상기 전력감시부를 통하여 실내의 가전기기(300)의 전력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가전기기(300)의 수리 및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ic power of the electric appliance 300 in the room can be checked through the electric power monitoring unit so that the electric appliance 300 can be smoothly repaired and replaced.

상기 대기전력 설정단계(S343)는 상기 스마트 탭(200)에 구비된 대기전력 설정부가 상기 가전기기(300)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300)의 대기전력을 설정한다.In the standby power setting step S343, the standby power setting unit included in the smart tab 200 sets the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s 300 based on the power used by the home appliances 300.

또한, 상기 대기전력 설정단계(S343)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에 등록된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200)이 기존의 장소와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새로운 장소에 설치된 가전기기(300)에 사용되는 대기전력을 재설정할 수 있다.If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200 registered in the smart hub unit 100 is located at a plac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lace, the smart tap setting step S343 may be performed in a new place It is possible to reset the standby power used in the home appliance 300 installed in the home appliance 300. [

이에 따라, 재설정 된 상기 가전기기(300)의 대기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300)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전력을 감시하고,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s 300 is shut off and the power is monitored based on the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s 300 that has been reset, and the power state and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s 300 can be monitored have.

상기 대기전력 차단단계(S345)는 상기 스마트 탭(200)에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부가 상기 가전기기(300)의 대기전력을 차단한다.In the standby power cutoff step S345,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included in the smarttab 200 cuts off the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300. [

구체적으로,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상기 대기전력 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대기전력을 기준으로 상기 가전기기(300)들의 전력 사용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가전기기(300)들 중 긴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고 있는 가전기기(300)에 한해서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Specifically,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may determine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s 300 is excessively high based on the standby power set by the standby power setting unit, or that the home appliances 300 are not used for a long time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only for the household appliance 300 having the standby power.

또한,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의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4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탭(200)의 대기전력이 상기 관리서버(4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Also, the information of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so that the standby power of the smarttab 2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

따라서, 상기 가전기기(300)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에너지의 사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home appliance 300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the use of the energy to be used can be reduced.

또한, 전력사용의 용량이 초과되지 않도록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를 통해 대기전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 및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through the standby power cut-off unit so that the capacity of the power usage is not exceeded,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and fire caused by electricity.

또한,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가전기기(300)의 사용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Also, the smart tab 200 may measure the power used by the home appliance 300.

상기 스마트 탭(200)에서 측정된 사용전력은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경유하여 외부의 상기 관리서버(400)로 저장된다.The usage power measured in the smart tab 200 is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400 via the smart hub unit 100. [

이때, 상기 관리서버(400)는 상기 가전기기(300)에서 측정된 상기 가전기기(300)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부하패턴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자동부하패턴을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400 automatically extracts a load pattern based on the electric power of the household appliance 300 measured by the household appliance 300, and generates an automatic load pattern.

상기 스마트기기(500)는 상기 관리서버(400)로부터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전달 받고, 상기 스마트기기(500)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통해 상기 스마트 탭(200)으로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전송한다.The smart device 500 receives the automatic load pattern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smart device 500 transmits the automatic load pattern to the smart tap 200 through the smart hub unit 100 send.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을 통해 전송된 상기 자동부하패턴을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탭(200)은 상기 가전기기(300)들을 제어한다.The smart tab 200 controls the home appliances 300 based on the automatic load pattern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hub unit 100.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전기기(300) 사용 패턴 및 사용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전기기(3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usage pattern and the usage state of the home appliance 300, so that the home appliance 300 can be easily controlled.

결과적으로 상기 관리서버(400),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100) 및 상기 스마트 탭(200)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격으로 가전기기(300)를 제어하거나, 가전기기(300)의 사용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으며, 가전기기(300)의 대기전력을 감시할 수 있다.As a result, by using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smart hub unit 100 and the smart tab 200,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home appliance 300 or adjust the usage schedule of the home appliance 300 An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300.

상기 사용 스케쥴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행 및 정지될 수 있다.The usage schedule may be executed and stopped by the user.

또한, 상기 스마트 탭(200)을 가전기기(300)의 전원장치에 연결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은 가전기기(3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Also, by connecting the smart tap 200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home appliance 3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300 without the wireless network receiving uni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마트 허브유닛 111: 무선통신부
113: 전력선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스마트 탭 등록부 200: 스마트 탭
201: 제 1 스마트 탭 202: 제 2 스마트 탭
210: 플러그부 220: 콘센트부
300: 가전기기 301: 제 1 가전기기
302: 제 2 가전기기 400: 관리서버
500: 스마트기기 600: 실내콘센트
100: smart hub unit 111: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20:
130: Smart tab registration part 200: Smart tab
201: 1st smart tab 202: 2nd smart tab
210: plug portion 220: receptacle portion
300: home appliance 301: first home appliance
302: second home appliance 400: management server
500: Smart device 600: Indoor outlet

Claims (10)

스마트 허브유닛과 스마트 탭을 연결하는 스마트 탭 연결단계;
상기 스마트 탭이 가지는 특정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연결된 상기 스마트 탭을 다른 가전기기와 분류하여 인식하는 스마트 탭 인식단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과 상기 스마트 탭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탭의 전류신호 또는 통신율을 포함하는 탭 연결신호를 측정하는 탭 연결신호 측정단계; 그리고,
상기 탭 연결신호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스마트 탭을 제어대상이 되는 제어대상 스마트 탭으로 자동등록하는 스마트 탭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Smart tab connection step between smart hub unit and smart tab;
A smart tap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the smart tap connected to the smart hub unit based on specific information of the smart tap, by classifying the smart tap with other home appliances;
Measuring a tap connection signal including a current signal or a communication rate of the smart tap when the smart hub unit and the smart tap are connected; And,
And automatically registering the smart tab having the largest value among the tab connection signals as a control target smart tab to be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는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각각의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에 제어번호를 부여하여 스마트 탭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tab registration step registers the smart tab by assigning a control number to each control target smart tap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by the smart hub unit according to each unique number possessed by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A smart tap auto registr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는 등록대상이 되는 스마트 탭이 기존에 등록된 스마트 탭 인 경우에도 상기 탭 연결신호를 바탕으로 재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tab registration step is re-registered based on the tab connection signal even when the smart tab to be registered is a smart tab registered in the pa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등록된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의 정보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구비된 제어부 또는 외부의 관리서버에 전달하는 정보 전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formation transferring step of transferr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registered to allow the control target smart tab to be controlled by the smart hub unit to a control unit or an external management server provided in the smart hub unit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탭 연결단계에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에 구비된 스마트 탭 등록부에 상기 스마트 탭이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tap connection step comprises physically coupling the smart tap to a smart tap registration unit provided in the smart hub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이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의 등록 여부를 표시하는 등록 알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gistration alarm step for indicating whether the smart hub unit registers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 탭 자동등록 방법을 통한 스마트 탭 자동등록 단계;
외부의 스마트기기 또는 외부의 관리서버가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신호 전달단계;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이 상기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으로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제어하는 제어명령 전달단계; 그리고,
상기 스마트 탭이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가전기기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step by a smart tap automatic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external smart device or an external management server to the smart hub unit to control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A control command delivery step in which the smart hub uni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control command; And,
And controlling the power source of the home appliance connected to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by the smart ta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탭 등록단계는 복수 개의 스마트 탭들을 복수 개의 스마트 탭 그룹들로 분류하여 등록하며,
상기 제어명령 전달단계에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유닛이 복수 개의 스마트 탭 그룹들을 그룹단위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mart tab registration step classifies a plurality of smart taps into a plurality of smart taps groups and registers them,
Wherein the smart hub unit independently controls a plurality of smart tap groups in a group unit in the control command delivery ste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하는 전력감시단계,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설정하는 대기전력 설정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usehold appliance control step includes:
A power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power state and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s by the control target smart tab; a standby power setting step of setting a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s based on the power used by the home appliances; And a standby power cut-off step in which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blocks standby power of the household applianc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이 기존의 장소와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어대상 스마트 탭은 새로운 장소에 설치된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대기전력을 재설정하며, 재설정된 상기 대기전력을 바탕으로 상기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전력을 감시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전력 상태 및 고장 여부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환경의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is located at a plac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lace, the control target smart tap resets the standby power used in the home appliance installed in the new place, and based on the reset standby power, Monitoring the power, monitoring the power state of the home appliances, and / or monitoring the failure.
KR1020160085787A 2016-07-06 2016-07-06 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 KR101826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87A KR101826631B1 (en) 2016-07-06 2016-07-06 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787A KR101826631B1 (en) 2016-07-06 2016-07-06 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53A KR20180005553A (en) 2018-01-16
KR101826631B1 true KR101826631B1 (en) 2018-02-23

Family

ID=6106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787A KR101826631B1 (en) 2016-07-06 2016-07-06 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63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569A (en) 2001-12-28 2003-09-12 Atsushi Matsushita Remote detection method,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apparatus, and outlet used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9569A (en) 2001-12-28 2003-09-12 Atsushi Matsushita Remote detection method,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apparatus, and outlet use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553A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5913B2 (en) Lighting control network
US9557043B2 (en) Easy-install home automation light switch
US10254747B2 (en) Device cooperation control system,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of device cooperation control system, and program thereof
US9514637B2 (en) Wireless two-way communication protocol for automated furniture accessory integration
KR101826630B1 (en) Integrated network system for realizing the expan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JP6440064B2 (en)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JP6508597B2 (en) Lighting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of lighting device
TWI540906B (en) Coordinated Method of Near - end and Remote Control for Wireless System
JP67885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system states
JP2014195227A (en) Electric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KR100681002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using sensing information
US9934680B2 (en) Managing the control of an electrical device controllable by infrared control signals
KR101826631B1 (en) Automatically registration method of smart tap and integrated network system of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ing the same
EP33736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rolling electronic devices in a connected home monitoring/security system
JP201707363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0109410A (en) Hom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2327693B1 (en) Socket device and socke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959098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feedback signal, power detecting apparatus therefor, and method therefor
US9829943B2 (en) Remote monitoring method, remote monitoring system, first communication apparatus, seco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erver apparatus
JP2016163450A (en) Apparatus control system
KR100789761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feedback signal, power detecting apparatus therefor, and method therefor
KR102014152B1 (en) Smart controller of maximum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ain controller with including temperature control
KR20180022381A (en) Integrated network system for realizing the expan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JP2014225833A (en) Private smart grid system and smart power supply 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