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479B1 - Natural cleaning tool - Google Patents

Natural clean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479B1
KR101826479B1 KR1020170101462A KR20170101462A KR101826479B1 KR 101826479 B1 KR101826479 B1 KR 101826479B1 KR 1020170101462 A KR1020170101462 A KR 1020170101462A KR 20170101462 A KR20170101462 A KR 20170101462A KR 101826479 B1 KR101826479 B1 KR 10182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washing
base layer
skin
konj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화
Original Assignee
김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화 filed Critical 김정화
Priority to KR1020170101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4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4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tool which is made of a natural material to minimize skin irritation and has excellent wash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The washing tool includes: a base layer which is mainly formed of natural konjac and has a sponge structure with mesh texture; and a coated layer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layer so that natural cellulose powder or multiple natural Loofah pieces with a roughness degree higher than that of the natural konjac is distributed and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le washing tool can be used conveniently for various skin types, washing parts, and washing purposes without needing a user to purchase separate washing tools for use. The washing tool can show satisfying washing effects for the user and be made of natural materials to minimize skin irritation and trouble. The soft konjac base layer and the relatively rough coated layer are formed on one surface to make a surface of the coated layer come in contact with the skin for reducing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The washing tool also has excellent absorbing and washing performance as well as a skin exfoliating function while improving product durability to suppress the separation of the coated layer,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and service life of the product.

Description

천연 세척용구{NATURAL CLEANING TOOL}NATURAL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천연 세척용구에 관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재질로 이루어져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세척력과 내구성이 우수한 천연 세척용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washing utens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tural washing utensil which is made of a natural material, minimizes skin irritation, and has excellent washing power and durability.

일반적으로 세척용구란 식기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수세미, 물과 함께 비누나 바디워시를 묻혀 인체의 피부에 남아있는 땀이나 이물질을 닦아내는데 사용되는 타월이나 스펀지 등을 말한다.In general, a cleaning tool refers to a scrubber used to clean a tableware, a towel or a sponge used for wiping off sweat or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skin of a human body with soap or body washes with water.

특히, 인체의 피부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세척용구는 화학섬유로 만들어진 화학 스펀지가 주로 사용되었고, 사용 중에 외부 자극에 민감한 피부에 부작용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particular, chemical cleaning sponge made of chemical fiber has been used as a conventional cleaning tool used for cleaning the skin of human body,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side effects are caused on skin sensitive to external stimuli during use.

최근에는 특허문헌 1에 공개된 바와 같이 피부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천연 소재로 만들어진 천연 스펀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천연 스펀지는 부드러운 곤약 소재로만 제조되어 저자극성이어서 민감한 타입의 피부나 얼굴 세척에 적합한 장점은 있으나 다른 피부 타입이나 세척 부위에는 사용자가 만족할만한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 부위나 세척 용도에 따라 그에 맞는 별도의 세척용구들을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게다가, 천연 스펀지는 화학 스펀지에 비하여 내구성이 떨어져 사용 기간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Recently,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use of natural sponge made of natural materials is increasing to reduce skin irritation. However, the natural spong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s only made of soft konjac material and is hypoallergenic, which is suitable for delicate type skin or face washing, but the user can not obtain a satisfactory cleaning effect for other skin type or washing site. Therefore, the user has to purchase and use separate cleaning tools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area or cleaning purpose. In addition, the natural sponge is less durable than a chemical sponge and has a short period of use.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성형틀의 내부 공간 중 일부에 천연수세미를 충진하는 단계, 배합용액에 곤약 분말을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원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천연수세미가 충진되어 있는 성형틀 내부의 나머지 공간에 원재료를 부어 넣어 천연수세미와 원재료가 밀착된 형상을 형성하는 성형 단계, 성형틀에 넣어진 원재료를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숙성된 원재료를 증기가열기로 증기 가열하여 천연수세미에 밀착된 스펀지 형상을 형성하는 증기가열단계, 증기가열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천연수세미에 밀착된 스펀지를 냉각, 냉동, 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와, 배합용액에 곤약 분말 및 복수의 천연수세미 단편을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원재료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원재료를 성형틀에 부어 넣어 형상을 형성하는 성형 단계, 성형틀에 넣어진 원재료를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숙성된 원재료를 증기가열기로 증기 가열하여 천연수세미에 밀착된 스펀지 형상을 형성하는 증기가열단계, 증기가열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천연수세미에 밀착된 스펀지를 냉각, 냉동, 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실시예가 공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neycomb structure,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filling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a forming mold having a space therein with natural scrubbing powder, adding a konjac powder to the mixing solution, stirring and mixing to prepare a raw material, A forming step of pouring the raw material into the remaining space inside the forming mold to form a shape in which the natural wool and the raw material adhere closely to each other, a ripening step of ripening the raw material put in the forming mold, a step of heating the aged raw material by steam heating A step of heating the sponge to form a sponge in close contact with the natural scrubber, and a step of cooling, freezing and thawing the sponge adhered to the natural scrubber formed through the steam heating step. In the first embodiment, Adding a natural woolen piece of the natural woolen piece, stirring and mixing to prepare a raw material, pouring the raw material into a mold A steam heating step of forming a sponge shape adhered to a natural scrubber by steam heating the aged raw material, and a steam heating step of heating the aged raw material by steam heating to form a sponge- A second embodiment including a step of cooling, freezing, and defrosting a sponge adhered to a natural scrubber is disclosed.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제1실시예는 성형틀 내부에 천연수세미를 먼저 충진한 후 나머지 공간에다가 곤약 분말이 혼합된 원재료를 충진시켜 성형한 것으로, 이와 같이 성형하여 제조된 세척용구는 천연수세미가 형성된 천연수세미면에는 거친 성질을 갖는 천연수세미만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천연수세미면을 사용할 때 거칠은 재질만 피부에 반복 접척되므로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atent document 2, the natural wastepaper is first filled in the mold, and then the remaining space is filled with a raw material mixed with konjac powder. Since only the natural wool having a rough propert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rough natural material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skin when the user uses the natural wool wool face, which may cause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또한, 특허문헌 2의 제2실시예는 처음부터 곤약 분말과 복수의 천연수세미 단편들을 함께 혼합한 원재료를 성형틀에 한꺼번에 충진시켜 성형한 것인데, 이와 같이 성형하여 제조된 세척용구는 표면과 내부에 모두 천연수세미 단편들이 곤약 분말과 혼재해 있는 구조로, 성형틀에 곤약 분말과 천연수세미를 함께 성형하게 되면 기포가 잘 발생하지 않아서 스펀지 구조의 형상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용구로서의 품질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세척용구의 양면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의 성질을 갖는 세척면 타입만 존재하게 되고, 기재층 표면에 천연수세미의 단편들을 산재시켜 도포한 것에 비하여 표면에 천연수세미의 단편들이 적게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피부 타입이나 피부 부위에 따라 적합한 부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없거나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atent document 2, the raw material in which the konnyaku powder and the plurality of natural woolen fragments are mixed together at the beginning is filled in the molding frame at one time. When natural konjac powder and natural scrubbing powder are molded together in the molding frame, the shape of the sponge structure is not formed well and the quality of the cleaning implement is deteriorated. Only the cleaning surface type having one property is present because the configuration of both surfaces of the cleaning implement is the same and the pieces of the natural scrubbing surface are exposed to the surface less tha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coated with the sponge of natural wreath, Is not effective in selecting a suitable site according to the skin type or skin area There is a problem of decreas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6590호(2010.08.0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6590 (published on August 2,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5242호(2014.07.04. 공개)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15242 (published on April 4, 20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세척용구로 사용자들의 다용한 피부 타입, 세척 부위나 세척 용도에 맞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다른 세척용구를 구입하여 여러 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만족스러운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고, 천연 재질로 이루어져 피부 자극과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연 세척용구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all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implement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general skin typ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tural washing tool which can obtain satisfactory cleaning effect desired by a user and is made of a natural material and can minimize skin irritation and trouble.

또한, 부드러운 천연곤약 재질의 기재층과 다소 거친 재질의 도포층이 하나의 면에 함께 형성되어 피부에 도포층면을 접촉하여 사용시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더욱 감소되고, 흡수성과 세척력이 우수하며, 각질 제거 기능을 갖고, 도포층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강화시켜 제품 수명과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 soft natural konjac base layer and a somewhat coarse coating layer are formed on one surface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applied layer to the skin to further reduce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to exhibit excellent water absorption and detergency, And has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coating layer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thereby increasing the life and quality of the produ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제조되고 망상조직의 스펀지 구조를 갖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중 일면의 표면에 상기 천연곤약보다 거칠기가 큰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이 산재되도록 도포되어 상기 기재층의 표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도포층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층은, 도포면적 비율이 상기 기재층 표면의 단위면적(㎠)당 50 내지 90%이고, 상기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의 입자 크기는 100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세척용구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neycomb structure comprising a base layer made of a natural konjac as a main component and having a sponge structure of a network structure; And a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layer so that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having a roughness larger than that of the natural konjac is scatte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ratio is 50 to 90% per unit area (cm 2)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is 100 to 1,000 μm.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세척용구로 사용자들의 다용한 피부 타입, 세척 부위나 세척 용도에 맞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다른 세척용구를 구입하여 여러 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만족스러운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고, 천연 재질로 이루어져 피부 자극과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one cleaning tool in accordance with a user's general skin type, a cleaning area, and a cleaning purpose, and it is unnecessary to purchase a separate cleaning tool and use several,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ean washing effect, and it is made of a natural material, so that skin irritation and trouble can be minimized.

또한, 부드러운 천연곤약 재질의 기재층과 다소 거친 재질의 도포층이 하나의 면에 함께 형성되어 피부에 도포층면을 접촉하여 사용시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더욱 감소되고, 흡수성과 세척력이 우수하며, 각질 제거 기능을 갖고, 도포층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강화시켜 제품 수명과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soft natural konjac base layer and a somewhat coarse coating layer are formed on one surface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applied layer to the skin to further reduce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to exhibit excellent water absorption and detergency, And it has an effect that the durability is enhanced so that the coating layer is not easily separated, and the life and quality of the product ar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수세미 단편이 도포된 천연 세척용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이 도포된 천연 세척용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의 제조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view showing a natural washing utensil applied with a natural wool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natural washing tool applied with a natural cellulose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tural cleaning imp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는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면의 표면에 복수 개의 천연수세미 단편 또는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을 산재하여 도포시킨 도포층을 서로 밀착 결합시켜 성질이 서로 다른 천연 재료를 하나의 세척용구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 타입이나 세척 부위나 세척 용도에 따라 양면 중에 적합한 면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만족스러운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별도의 다른 세척용구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가격 부담이 감소되며, 피부 자극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이 강화되어 제품 수명과 품질이 증가된다. The natural wash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layer composed mainly of natural konjac and a coating layer formed by dispersing a plurality of natural wool scraps or natural cellulose powder on th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By integrating the natural materials into one cleaning tool, the user can select and use a suitable surface on both sides depending on his / her skin type, washing area and cleaning purpose, so that a satisfactory cleaning effect can be obtained and another separate cleaning tool There is no need to purchase, which reduces the price burden, minimizes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enhances durability and increases product life and quality.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천연 세척용구(1)는 기재층(2)과 도포층(3)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natural cleaning imple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layer 2 and a coating layer 3.

상기 기재층은(2)은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제조되고 망상조직의 스펀지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재층(2)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기둥, 구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The base layer (2) is made of a natural konjac as a main component and has a sponge structure of a network structure. The shape of the base lay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cube, a cylinder, and a spherical shape are possible.

천연곤약은 토란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봄에 심어 늦가을에 수확한 후, 다음 봄에 다시 심어 2~3년 거듭하여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얇게 썬 후 건조하여 전분질을 제거한 후 글로코만난(gluco mannan)을 주성분으로 하는 전분으로 제조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천연곤약은 어묵, 게맛살 등과 같은 연제품, 햄류, 냉동식품, 면류 등과 같은 식품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Natural konjac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Taran family. It is planted in spring and harvested in late autumn. It is planted again in the next spring for 2 ~ 3 years to be used as a raw material. After thinly sliced, it is dried to remove starch and gluco mannan) as a main ingredient. Such natural konjac has been mainly used in foods such as fish products such as fish paste, crab meat, ham, frozen food, and noodles.

천연곤약의 성질은 물을 15~40배 정도 흡수할 수 있고, 흡수하면 팽윤되어 콜로이드 상태가 됨으로써 보수성이 매우 우수하고, 표면 건조를 방지하는 보습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The nature of natural konjac is that it can absorb water by about 15 to 40 times, swell when absorbed, become a colloid state, so it has excellent water retention, and has an excellent moisture retention property to prevent surface drying.

더불어, 천연곤약은 부드러운 소재이이고 저자극성이어서 민감한 타입의 피부를 갖는 사용자에게 사용되어 피부 자극과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고, 쾌적한 세척감을 부여하며, 특유의 망상조직의 스펀지 구조에 의하여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키고 미세한 오염물질의 세척효과를 증가시킨다. 특히, 천연곤약이 주성분인 기재층(2)은 치밀하고 미세한 망상조직으로 이루어져 촉감이 부드럽기 때문에 얼굴과 같이 외부 자극에 민감하고 취약한 세척 부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In addition, natural konjac is a soft material and hypoallergenic which is used by users with sensitive skin types to prevent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to provide a pleasant washing sensation, and to enhance the massage effect by the unique sponge structure of reticular tissue And increases the cleaning effect of fine pollutants. In particular, the base layer 2, which is a main constituent of natural konjac, is composed of a dense, fine mesh, and is smooth and soft.

상기 도포층(3)은 상기 기재층(2)의 양면중 일면의 표면에 상기 천연곤약보다 거칠기가 큰 도포물을 도포하되,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천연수세미 단편 또는 도 2와 같이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이 산재되도록 도포하여 상기 기재층(2)의 표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복수 개의 천연수세미 단편 또는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은 기재층(2)의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도포층(3)은 상기 기재층(2)의 전체 영역에 걸쳐 산재되어 도포될 수 있고, 상기 기재층(2)의 일부 영역에 걸쳐 산재되어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도포층(3)이 형성되는 영역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coating layer 3 is formed by applying a coating material having a roughness larger than that of the natural konjac to the surface of one side of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2, as shown in FIG. 1, or a plurality of natural wool shavings, So tha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 is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natural wool shavings or natural cellulose powders are preferably applied uniformly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but the applied layer 3 may be scatter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ase layer 2 And can be scattered and applied over a part of the base layer 2, and the area where the coating layer 3 is form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천연수세미는 수세미오이의 열매에서 마른 해면조직 부분을 지칭한다. 수세미오이의 명칭은 영어로 sponge-gourd 또는 vegetable sponge이며, 영어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천연수세미는 스펀지와 같은 성질을 갖고 있고, 이는 천연수세미의 그물 형태의 섬유에 기인한 것이다. Natural scrubbing refers to the dry sponge tissue part of the fruit of the loofah cucumber. The name Spoon-Oi is sponge-gourd or vegetable sponge in English. Natural sponge has sponge-like properties, as the English name suggests, due to the natural woolen netting of the fibers.

상기 도포층(3)을 형성하는 천연수세미의 망상조직은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2)의 망상조직에 비하여 조직이 미세하거나 치밀하지 못하여 촉감이 상대적으로 거칠기 때문에, 몸통, 팔, 다리 등 외부 자극에 덜 민감한 피부 부위의 세척에 사용하기 적합하다.Since the network of the natural wool fabric forming the coating layer 3 is not so fine or denser than the network of the base layer 2 composed mainly of natural konjac, the feel is relatively rough, It is suitable for use in cleaning skin areas less susceptible to external stimuli.

천연수세미는 외부 자극에 덜 민감한 피부 부위에 대한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의 단편 형태로 기재층(2)의 양면 중 일면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때 천연수세미 단편의 크기는 1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수세미 단편의 크기가 1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천연수세미 단편을 기재층(2)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때 표면의 거칠기가 충분하지 않아 몸통, 팔, 다리 등의 피부 부위에 사용시 세척력이 떨어지고 각질 제거 효과도 감소할 수 있으며, 반면 천연수세미 단편의 크기가 10mm 보다 클 경우에는 피부 세척력과 각질 제거 효과는 증가하나 반복 사용에 따른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도포층(3)이 분리되어 제품의 수명 및 품질을 저하될 수 있다.The natural scrubbing brush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one of the two sides of the base layer 2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ieces in order to enhance the cleaning ability to the skin area less susceptible to external stimuli.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natural woolen piece is preferably 1 to 10 mm. When the size of the natural woolen piece is smaller than 1 mm, when the natural woolen piec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is insufficient and the detergency is lowered when used on the body part such as the trunk, arms and legs, , Whereas when the size of the natural worn-out piece is larger than 10 mm, the skin cleansing power and exfoliation effect are increased, but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may occur due to repeated use, and the applied layer (3) Life and quality may be deteriorated.

천연셀룰로오스는 고등식물의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다당류 중에서 분자량이 가장 큰 물질이고 섬유소라고도 한다. 천연셀룰로오스의 분자는 다수의 포도당이 탈수 중합하여 쇠사슬처럼 연결되어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천연셀룰로오스의 수소결합 사이에 물 분자가 들어가 새롭게 수소결합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천연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물질은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게 되어 흡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하기 표 1에서 대비되는 바와 같이 기재층(2)의 표면에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을 도포하여 사용하는 경우 인장강도가 뛰어나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수명과 품질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천연수세미에는 유기폴리머인 딱딱한 재질의 리그닌(lignin)이 포함되어 있어 기재층(2)의 표면에 천연수세미 단편을 도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어느 정도 증가하게 된다.Natural cellulose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cell wall of higher plants and is the substance with the highest molecular weight among polysaccharides and is also called fibrin. The molecules of natural cellulose are formed by dehydration polymerization of many glucose and are connected like a chain. Since water molecules can enter between the hydrogen bonds of natural cellulose and hydrogen bonds can be newly formed, the material made of natural cellulose is a large amount of water It is not only excellent in water absorbability, but also has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durability whe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as shown in Table 1 below. Life and quality are great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natural waters include lignin of a rigid material such as an organic polymer, wear resistance and durability are increased to some extent even when a natural wool scrap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and used.

[표 1][Table 1]

Figure 112017077132596-pat00001
Figure 112017077132596-pat00001

천연셀룰로오스는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펀지에 비해 촉감의 매끄러움이 떨어지고 펄프 느낌인 뻑뻑하고 거친 느낌이 있어 피부의 각질 제거나 외부 자극에 덜 민감한 몸통, 팔, 다리 등의 피부 부위의 세척에 사용하기 적합하다.Natural cellulosic is less than the natural konjac-based sponge, and has a feeling of roughness and feeling of roughness that is pulp-like. It is used for washing the body parts such as trunk, arms and legs which are less sensitive to skin exfoliation or external stimuli Suitable.

천연셀룰로오스는 외부 자극에 덜 민감한 피부 부위에 대한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 분말 형태로 기재층(2)의 양면중 일면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때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의 입자 크기는 1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의 입자 크기가 100㎛ 보다 작을 경우에는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을 기재층(2)의 표면에 도포하였을 때 표면의 거칠기가 충분하지 않아 몸통, 팔, 다리 등의 피부 부위에 사용시 세척력이 떨어지고 각질 제거 효과도 감소할 수 있으며, 반면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의 입자 크기가 1,000㎛ 보다 클 경우에는 피부 세척력과 각질 제거 효과는 증가하나 반복 사용에 따른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도포층(3)이 분리되어 제품의 수명 및 품질을 저하될 수 있으며, 분말 도포시 사용되는 채반을 진동으로 원활히 통과하기 어려워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효과와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The natural cellulos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one of the two sides of the base layer 2 in powder form to enhance the cleaning power for skin areas less susceptible to external stimuli. In this case, the particle size of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is preferably 100 to 1,000 mu m.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is less than 100 탆, when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the surface roughness is insufficient and the washing power is lowered when used on the body parts such as the trunk, arms and leg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is larger than 1,000 탆, the skin cleansing power and exfoliation effect are increased, but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may occur due to repeated use, and the application layer 3 The life and quality of the product may be deteriorated, and it may be difficult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vats used in powder application, so that the uniform application may not be performed and the cleaning effect and merchantability may be deteriorated.

천연셀롤로오스 분말은 다공성 플레이트인 채반의 구멍 크기에 의해 여러 종류로 도포 가능 하다. 천연셀롤로오스는 섬유소로 스스로 뭉쳐지는 성질이 있어 분말 입자를 채반 진동에 의해 구멍 크기로 뭉쳐지게 하여 도포시킴으로써 기재층(2)의 표면에 엠보 모양으로 도포시켜 세척효과 및 상품성을 높일수 있다.The natural cellulosic powder can be applied in various kinds by the hole size of the porous plate. The natural cellulosus has a property of self-aggregating with cellulose, so that the powder particles are agglomerated in the hole size by the vibrating vibration and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in an embossed form to improve the cleaning effect and the commerciality.

상기 도포층(3)은 도포면적 비율이 상기 기재층(2) 표면의 단위면적(㎠)당 5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면적 비율이 50% 미만인 경우에는 도포층(3)이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 피부 부위에 사용하였을 때 세척력과 각질 제거 및 피부 마사지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도포면적 비율이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드러운 기재층 면적이 적게 되어 사용자가 도포층(3)이 도포된 면을 사용할 때 거칠은 재질만 피부에 반복 접척되므로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층(2)의 표면의 전체에 걸쳐 기재층(2) 부위와 도포층(3) 부위가 상술한 도포면적 비율로 적정하게 형성될 때 피부에 최상의 세척효과와 피부에 대한 터치감을 줄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area ratio of the coating layer 3 is 50 to 90% per unit area (cm 2) of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When the applied area ratio is less than 50%, the coating layer 3 occupies a small proportion, and when used in a skin area, the detergency, exfoliation and skin massage effects may be deteriorated. When the applied area ratio exceeds 90% The area of the soft base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is small, and when the user uses the surface coated with the application layer 3, only rough materials are repeatedly applied to the skin, so that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may occur. Therefore, when the base layer 2 and the coating layer 3 are appropriately formed at the above-mentioned coating area ratio over the whole surface of the base layer 2, the best cleaning effect on the skin and the touch feeling on the skin are reduced .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1)는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일면의 표면에 복수 개의 천연수세미 단편 또는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을 산재하여 도포시킨 도포층을 서로 밀착 결합시켜 성질이 서로 다른 천연 재료를 하나의 세척용구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도포층(3)이 상기 기재층(2)과 접촉하는 부위의 섬유질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반복 사용시 제품의 외형이 수축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된다.In addition, the natural washing utensi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layer composed mainly of natural konjac, and a coating layer formed by dispersing a plurality of natural wool scraps or natural cellulose powder on th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3) to the base layer (2) by integrating the natural material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to one cleaning tool, thereby fixing the fibers of the portion where the coating layer (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se layer (2) So that the lifetime can be prolong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 제조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G.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atural wash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atural wash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의 제조방법은, 물을 포함하는 배합용액에 천연곤약 분말을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겔 형태의 원재료를 제조하는 원재료 제조 단계(S101); 원재료를 성형틀에 주입하여 채운 후 도포물을 상기 성형틀 내 원재료 중 외부에 노출된 면에 도포하는 성형 단계(S102); 성형틀에 넣어져 도포물이 도포된 원재료를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103); 숙성된 원재료를 증기가열기에 넣고 증기 가열하여 스펀지 형상을 형성하는 증기 가열 단계(S104); 증기 가열을 통해 형성된 스펀지를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105); 냉각된 스펀지를 냉동고에서 급냉시킨 후 동결시키는 1차 동결 단계(S106); 1차로 동결된 스펀지를 해동시키는 1차 해동 단계(S107); 1차로 해동된 스펀지를 냉동고에서 다시 동결시키는 2차 동결 단계(S108); 2차로 동결된 스펀지를 해동시키는 2차 해동 단계(S109); 및 2차로 해동된 스펀지를 열풍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 단계(S110)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tural wash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material manufacturing step (S101) of adding a natural konjac powder to a blending solution containing water and stirring and mixing to produce a gel-like raw material; A forming step (S102) of filling a raw material into a forming mold and filling the applied raw material on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aw material in the forming mold (S102); An aging step (S103) of aging the raw material coated with the coating material by being put in a molding mold; A steam heating step (S104) in which the aged raw material is placed in a steam oven and steam heated to form a sponge shape; A cooling step (S105) of cooling the sponge formed through the steam heating at room temperature; A first freezing step (S106) in which the cooled sponge is quenched in a freezer and frozen; A primary defrosting step (S107) of defrosting the frozen primary sponge; A second freezing step (S108) of freezing the sponge firstly thawed in the freezer; A second defrosting step (S109) of defrosting the second frozen sponge; And a hot-air drying step (S110) of hot-air drying the sponge that is secondarily defrosted.

① 원재료 제조 단계(S101)① raw material manufacturing step (S101)

원재료 제조 단계(S101)에서 배합용액은 스펀지 제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합용액으로서, 물, 중화제, 기포제, 유화제 등을 혼합하여 형성한다. 원재료 제조 단계(S101)에서 배합용액에 첨가되는 천연곤약 분말의 함량은 배합용액 12 중량부 대비 천연곤약 분말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혼합비율은 스펀지를 형성하는 경우 천연곤약 분말이 배합용액에 충분히 녹아든 후 배합용액에 의하여 원활하게 스펀지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천연곤약 분말은 녹으면서 겔(gel)화 된다. 이에 따라, 배합용액과 천연곤약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하며 혼합하면 후술할 증기 가열 단계(S104)를 통하여 기포가 형성되어 스펀지의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raw material manufacturing step (S101), the compounding solution is a compounding solution usually used for sponge production, and is formed by mixing water, neutralizing agent, foaming agent, emulsifier, and the like. The content of the natural konjac powder to be added to the blend solution in the raw material production step (S101)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f the natural konjac powder compared to 12 parts by weight of the blend solution. Such a mixing ratio is such that when the sponge is formed, So that the sponge shape can be smoothly formed by the compounding solution. In this case, the natural konjac powder is melted and gelated. Accordingly, when the compounding solution and the natural konjac powder are mixed and stirred with a stirrer, bubbles are formed through the steam heating step (S1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hape of the sponge can be achieved.

② 성형단계(S102)(2) Forming step (S102)

성형단계(S102)에서는 원재료 제조 단계(S101)를 통하여 제조된 원재료를 성형틀에 부어 넣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원재료를 제조하는 단계(S101)를 통하여 제조된 겔(gel) 형태의 원재료를 성형틀에 주입하여 채운 후 도포물인 복수 개의 천연수세미 단편이나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을 성형틀 내 원재료 중 외부에 노출된 면에 도포하게 되며, 도포물은 겔 형태의 원재료의 점성에 의해 원재료 표면 상에 1차로 접착된 후 화학반응에 의한 수소결합으로 서로 다른 물질의 결합이 2차로 진행된다. In the molding step (S102), the raw material produced through the raw material manufacturing step (S101) is poured into a molding mold to form a desired shape. At this time, the raw material in the form of gel prepared through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raw material (S101) is injected into a mold, filled with a plurality of natural wool particles or natural cellulose powder, And the coating material is firstly adhered on the surface of the raw material due to the viscosity of the gel-like raw material, and the bonding of the different materials proceeds secondarily by hydrogen bonding by the chemical reaction.

이때, 성형틀에 주입된 천연곤약 분말과 배합용액을 혼합한 겔 형태의 원재료 위에 복수 개의 천연수세미 단편 또는 천연셀롤로오스 분말 등의 도포물을 도포하는 시점에 따라 결합력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수용성이 강한 천연곤약 분말의 적정 배합비율은 스펀지의 점도에 따라 달라진다. 천연곤약 분말은 적정 비율로 배합용액과 교반된 후 3~4 시간 동안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게 된다. 완전히 흡수하여 팽창된 천연곤약의 표면은 수분율이 감소하여 도포물 도포시 점성에 의한 1차 결합이 약해져 결합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천연곤약 분말이 물을 완전히 흡수하여 팽창하기 전인, 원재료 준비 단계(S101)를 수행한 후 0.5 내지 3 시간의 범위에서 도포물을 원재료 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시간 미만에 도포물을 원재료 위에 도포하면 도포물이 원재료 속으로 침투하여 혼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inding force depends on the time of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such as a plurality of natural wool scraps or natural cellulose powder onto the gel-like raw material mixed with the natural konjac powder and the blending solution injected into the molding die. In general, the proper mixing ratio of natural konjac powder with high water solubility depends on the viscosity of the sponge. The natural konjac powder is agitated with the compounding solution at a proper ratio and then absorbed water for 3 to 4 hours to expand. On the surface of natural konjac which has been completely absorbed and expanded, the moisture content is decreased, so that the primary bonding due to viscosity is weakened when applying the coating, and the bonding force is lowe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ating material is applied on the raw material in the range of 0.5 to 3 hours after performing the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S101) before the natural konjac powder completely absorbs and expands the water. If the coating material is applied onto the raw material in less than 0.5 hour, the coating material can penetrate into the raw material and be mixed.

한편, 복수 개의 천연수세미 단편 또는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의 도포 방식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다공성 플레이트인 채반 위에 일정량의 도포물을 놓고, 진동 방식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applying a plurality of natural wool scraps or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a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ating material on the porous plate as a coating and apply the coating in a vibration mode.

③ 숙성 단계(S103)(3) Aging step (S103)

숙성 단계(S103)는 성형틀에 담겨져 도포물이 도포된 원재료를 숙성시켜 원재료가 성형틀의 형상에 따라 완전히 팽창되어 굳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aging step (S103) is carried out in order to agglomerate the raw material coated with the coating material by being contained in the forming mold so that the raw material can be completely expanded and solid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rming mold.

④ 증기 가열 단계(S104)(4) Steam heating step (S104)

증기 가열 단계(S104)는 숙성 단계(S103)를 거쳐 숙성된 원재료를 증기 가열을 통해 원재료 내에 기포를 형성시킴으로써 스펀지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 때 원재료 위에 도포된 도포물은 스팀 가열시 열에 의해 강한 3차 수소결합이 진행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원재료 상에 완벽히 결합된 도포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steam heating step (S104) is a step of forming a sponge shape by forming bubbles in the raw material through steam heating of the raw material after aging (S103). At this time,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on the raw material is heated It is possible to form a coating layer perfectly bonded to a raw material containing natural konjac as a main component without using an adhesive which can cause a strong tertiary hydrogen bonding and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human body.

⑤ 냉각 단계(S105)(5) Cooling step (S105)

냉각 단계(S105)는 증기 가열 단계(S104)를 통하여 형성된 스펀지를 급냉 전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과정이다.In the cooling step (S105), the sponge formed through the steam heating step (S104) is gradually cooled at a normal temperature before quenching.

⑥ 1차 동결 단계(S106)(6) First freezing step (S106)

1차 동결 단계(S106)는 냉각 단계(S105)를 거친 스펀지를 냉동고에서 영하의 온도로 급냉시킨 후 동결시키는 과정으로, 스펀지의 표면을 신속하게 얼림으로써 스펀지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곤약의 주성분인 글로코만난(glucomannan)이라는 천연섬유질과 도포물의 섬유소를 더욱 질기고 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irst freezing step (S106), the sponge that has undergone the cooling step (S105) is rapidly quenched from the freezer to a freezing temperature and freezed.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sponge is quickly frozen to form the main ingredient of the natural konjac It is intended to make glucomannan more natural and stronger in the fibers of the natural fiber and the application.

⑦ 1차 해동 단계(S107)⑦ First thawing step (S107)

1차 해동 단계(S107)는 1차 동결 단계(S106)를 통하여 동결된 스펀지를 해동시켜 스펀지에 포함되어 있는 물과 잔류 배합용액 첨가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The primary defrosting step (S107) is a process for defrosting the frozen sponge through the first freezing step (S106) to remove water contained in the sponge and the residual compounding solution additive.

⑧ 2차 동결 단계(S108)(8) Secondary freezing step (S108)

2차 동결 단계(S108)는 1차 해동 단계(S107)를 거친 스펀지를 다시 냉동고에서 영하의 온도로 동결시키는 동결 과정으로, 이와 같은 동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천연곤약의 주성분인 글로코만난(glucomannan)이라는 천연섬유질과 도포물의 섬유소를 더욱 질기고 강하게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The second freezing step (S108) is a freezing process in which the sponge that has undergone the first thawing step (S107) is frozen again at a freezing temperature in the freezer. By repeating this freezing process, glucomannan, And the fiber of the application product can be made stronger and stronger, and the life of the product can be prolonged.

⑨ 2차 해동 단계(S109)(9) Secondary thawing step (S109)

2차 해동 단계(S109)는 2차 동결 단계(S108)를 통하여 동결된 스펀지를 해동시켜 스펀지에 잔존하는 물과 배합용액 첨가물 및 불순물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과정이다.The second defrosting step (S109) is a process of defrosting the frozen sponge through the second freezing step (S108) to completely remove water, compound solution additives and impurities remaining in the sponge.

⑩ 열풍 건조 단계(S110)(10) Hot air drying step (S110)

열풍 건조 단계(S110)는 2차 해동 단계(S109)을 거친 스펀지의 장기 보관을 위해 열풍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스펀지가 천연 재료인 천연곤약, 천연수세미 또는 천연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hot air drying step (S110) is a hot air drying process for long-term storage of the sponge after the second thawing step (S109). Since the sponge contains natural konjac, natural wool or natural cellulos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fungi or bacteria in the state.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세척용구(1)는, 하나의 세척용구로 사용자들의 다용한 피부 타입, 세척 부위나 세척 용도에 맞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다른 세척용구를 구입하여 여러 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만족스러운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고, 천연 재질로 이루어져 피부 자극과 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부드러운 천연곤약 재질의 기재층과 다소 거친 재질의 도포층이 하나의 면에 함께 형성되어 피부에 도포층면을 접촉하여 사용시 피부 자극과 부작용이 더욱 감소되고, 흡수성과 세척력이 우수하며, 각질 제거 기능을 갖고, 도포층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강화시켜 제품 수명과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natural washing utensi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eneral skin type, washing area or washing purpose by using one washing utensil, It is possible to obtain a satisfactory cleaning effect desired by the user and to minimize skin irritation and troubles due to natural materials,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oft natural konjac base layer and a somewhat rough coating layer on one 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kin irritation and side effects even more when the skin is applied to the skin. Therefore, it has excellent absorbency and cleaning power, has a function of exfoliating and enhances the durability so that the coating layer is not easily separated. .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thing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ing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천연 세척용구
2. 기재층
3. 도포층
1. Natural washing equipment
2. Base layer
3. Coating layer

Claims (8)

천연곤약을 주성분으로 제조되고 망상조직의 스펀지 구조를 갖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양면중 일면의 표면에 상기 천연곤약보다 거칠기가 큰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이 산재되도록 도포되어 상기 기재층의 표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도포층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층은, 도포면적 비율이 상기 기재층 표면의 단위면적(㎠)당 50 내지 90%이고, 상기 천연셀룰로오스 분말의 입자 크기는 100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세척용구.
A base layer made mainly of natural konjac and having a sponge structure of network structure; And
And a coating layer applied to the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layer such that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having a roughness larger than that of the natural konnyaku is scattered to expose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coating layer has a coating area ratio of 50 to 90% per unit area (cm 2)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natural cellulose powder is 100 to 1,000 μ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은 상기 기재층의 양면 중에 타면에만 골과 산이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세척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by repeatedly forming bones and acids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01462A 2017-08-10 2017-08-10 Natural cleaning tool KR1018264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62A KR101826479B1 (en) 2017-08-10 2017-08-10 Natural clean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462A KR101826479B1 (en) 2017-08-10 2017-08-10 Natural cleaning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479B1 true KR101826479B1 (en) 2018-02-06

Family

ID=6122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462A KR101826479B1 (en) 2017-08-10 2017-08-10 Natural clean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47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242B1 (en) * 2013-07-12 2014-07-04 김정화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Imp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242B1 (en) * 2013-07-12 2014-07-04 김정화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Imp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105B1 (en) Solid cleanser holder
KR1014152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ing Implement
WO2012031502A2 (en) Bamboo pulp sponge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529305B2 (en) Scrub spon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506296B1 (en)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stone cell of pear fruit
JP2010501716A (en) Novel water-absorbing sub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26479B1 (en) Natural cleaning tool
KR20180025077A (en) Cleaning Implement
EP4129081A1 (en) Konjac gel, method for producing same, shrimp-like food using said konjac gel, and method for producing shrimp-like and vacuum freeze-dried food
CN101816525B (en) Manufacturing method of double-sided heterogeneous glucomannan sponge
CN107012034A (en) A kind of spong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04070093A3 (en) Filling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101882819B1 (en) Natural cleaning tool including tourma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5295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konjac sponge compound with charcoal
CN110638663A (en) Dry towel for cleaning face and its making method
JPH04228037A (en) Production of food stock
JPS5948093B2 (en) Cosmetic applic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64821C (en) Fibrous konja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643442A (en) Konjak sponge soap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00086590A (en) Cleaning implement
KR20020028400A (en) Coconat using insole annd its manafacturing method
JP5414473B2 (en) Method for producing solid soap composition
CN207002674U (en) A kind of sponges
JP2002020789A (en) Bamboo charcoal-containing deterg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392213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co-friendly loofah and eco-friendly loofah prepared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