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056B1 -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056B1
KR101825056B1 KR1020160148506A KR20160148506A KR101825056B1 KR 101825056 B1 KR101825056 B1 KR 101825056B1 KR 1020160148506 A KR1020160148506 A KR 1020160148506A KR 20160148506 A KR20160148506 A KR 20160148506A KR 101825056 B1 KR101825056 B1 KR 10182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server
user
remote controller
top box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Abstract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와이파이(wifi) 통신을 통해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자가 셋톱박스 기능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상기 GUI 상의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원격 제어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GUI 및 상기 GUI 상의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실시간 제공받아 실시간 표시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하는 셋톱박스 기능에 따라 동작하는 TV(television) 단말을 구성한다.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셋톱박스 기능을 클라우드 서버에 구현하고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셋톱박스를 조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셋톱박스의 기능을 클라우드 서버로 옮겨 셋톱박스를 불필요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셋톱박스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여 보다 편리하게 TV 컨텐츠를 송출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REMOTE CONTROLLER OPERATING SYSTEM AND METHOD USING CLOUD SERVER}
본 발명은 리모컨(remote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톱박스(settop box)는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컨텐츠(contents)를 수신하여 TV(television) 단말 상에 표시하는 디지털(digital) 장치이다.
셋톱박스는 기본적으로 양방향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일방적인 방송 컨텐츠가 아닌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도 언제든지 요청하여 TV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셋톱박스는 등록특허공보 10-1113127에서 보듯이 TV 단말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TV 단말을 제어하게 된다.
기존에는 인터넷 속도가 빠르지 않아서 셋톱박스에서 컨텐츠를 좀 더 미리 저장하고 표시하였지만, 최근에는 인터넷 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컨텐츠의 송신 속도가 빨라져 셋톱박스가 갖는 기능이 많이 퇴색될 상황에 있다.
점점 더 빨라지는 인터넷 속도는 셋톱박스의 필요성을 점점 희석시키게 될 수 있다.
셋톱박스는 TV 단말과 유선 연결되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오히려 더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한다.
10-1113127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턴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은,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자가 셋톱박스 기능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과 상기 GUI 화면 상의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원격 제어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GUI 화면 및 상기 GUI 화면 상의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실시간 제공받아 실시간 표시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하는 셋톱박스 기능에 따라 동작하는 TV(television) 단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GUI 화면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및 기능 선택을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 명령을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TV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셋톱박스 기능은, 상기 사용자 조작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TV 단말로 송신하는 기능,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결제 기능 또는 상기 TV 단말 자체의 기기 조작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미리 대응되어 설정된 TV 단말에 대해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방법은,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settop box)의 개시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사용자가 셋톱박스 기능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TV(television)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TV 단말이 GUI 화면을 수신하여 실시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표시한 GUI 화면을 실시간으로 상기 TV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선택된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TV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된 셋톱박스 기능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표시한 GUI 화면을 실시간으로 상기 TV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GUI 화면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및 기능 선택을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 명령을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TV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셋톱박스 기능은, 상기 사용자 조작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TV 단말로 송신하는 기능, 상기 컨텐츠에 대한 결제 기능 또는 상기 TV 단말 자체의 기기 조작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의 개시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미리 대응되어 설정된 TV 단말에 대해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개시 명령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셋톱박스 기능을 클라우드 서버에 구현하고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셋톱박스를 조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셋톱박스의 기능을 클라우드 서버로 옮겨 셋톱박스를 불필요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클라우드 서버 상에서 셋톱박스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여 보다 편리하게 TV 컨텐츠를 송출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100)은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110),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120) 및 TV(television) 단말(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100)은 셋톱박스의 기능을 클라우드 서버(120)에 구현하고, TV 단말(130)에 대한 기존의 셋톱박스의 기능을 클라우드 서버(120)가 원격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0)는 셋톱박스의 사용자 조작을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TV 단말(130)을 통해 실시간 표시하며, 사용자는 TV 단말(130)의 GUI 화면을 보면서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조작하여 클라우드 서버(120)의 셋톱박스를 조작할 수 있다.
TV 단말(130)에 굳이 셋톱박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TV 단말(130)은 단순히 인터넷(internet) 접속 기능만 구비하면 된다. 셋톱박스의 유지/보수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클라우드 서버(120)에 구현된 셋톱박스 기능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TV 단말(130)에 대해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TV 단말(130)의 ID(identification)과 기타 접속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20)에 미리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10)와 TV 단말(130)이 미리 대응되어 등록된 경우에는 원격지에서도 부모가 자녀의 시청 채널이나 시청 컨텐츠를 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다른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미리 등록된 TV 단말(130)이 아니어도 TV 단말(130)을 보다 쉽게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TV 단말(130)과 블투투스 통신이라든가 기타 일대일 통신을 통해 TV 단말(130)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버(120)로 송신하여 TV 단말(130)을 실시간으로 즉시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120)는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사용자가 TV 단말(130)을 보면서 셋톱박스 기능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TV 단말(130)로 실시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TV 단말(130)에 표시되는 GUI 화면을 보면서 채널(channel)이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GUI 화면을 보면서 선택한 채널이나 컨텐츠 등은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사용자 조작 명령으로서 입력되며,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명령이 적용된 GUI 화면 즉 사용자의 조작 상태가 그대로 표시된 GUI 화면을 실시간으로 TV 단말(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GUI 화면은 HTML(hypertext mart-up languag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은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및 TV 단말(130) 자체의 기능 선택 등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른 조작 상태(131)가 GUI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특정 메뉴가 선택된 것을 나타낸다.
클라우드 서버(120)는 이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10)에서 원격 제어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의 재생을 선택하면, 클라우드 서버(120)응 해당 컨텐츠를 TV 단말(130)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0)는 셋톱박스의 기능으로서, 사용자 조작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TV 단말(130)로 송신하는 기능, 컨텐츠에 대한 결제 기능 또는 TV 단말(130) 자체의 기기 조작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V 단말(130) 자체의 기기 조작 기능은 볼륨(volume) 조정이나 화면 조정 기능 등이 있을 수 있다.
TV 단말(130)은 클라우드 서버(120)로부터 GUI 화면 및 GUI 화면 상의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실시간 제공받아 실시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TV 단말(130)은 클라우드 서버(120)에서 수행하는 셋톱박스 기능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결제, 컨텐츠 출력, 볼륨 조정, 화면 조정, 컨텐츠 재생 일시 중지, 채널 변환 등의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110)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박스(settop box)의 개시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120)로 송신한다(S101).
여기서, 와이파이(wifi)를 통해 개시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미리 대응되어 설정된 TV 단말(130)에 대해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개시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사용자가 셋톱박스 기능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120)가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TV(television) 단말로 송신하고, TV 단말(130)이 GUI 화면을 수신하여 실시간 표시한다(S102).
여기서, 셋톱박스 기능은 사용자 조작 명령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TV 단말(130)로 송신하는 기능, 컨텐츠에 대한 결제 기능 또는 TV 단말(130) 자체의 기기 조작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모트 컨트롤러(110)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120)로 송신한다(S103).
여기서, 와이파이(wifi)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서버(120)가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표시한 GUI 화면을 실시간으로 TV 단말(130)로 송신한다(S104).
이때, GUI 화면에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및 기능 선택을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 명령을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TV 단말(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드 서버(120)가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선택된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한다(S105).
다음으로, TV 단말이 클라우드 서버(120)에서 수행된 셋톱박스 기능에 따라 동작한다(S106).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리모트 컨트롤러 120: 클라우드 서버
130: TV 단말

Claims (8)

  1.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110);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의 사용자가 셋톱박스 기능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과 상기 GUI 화면 상의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실시간 제공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에서 원격 제어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120);
    상기 클라우드 서버(120)로부터 GUI 화면 및 상기 GUI 화면 상의 사용자의 조작 상태를 실시간 제공받아 실시간 표시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120)에서 수행하는 셋톱박스 기능에 따라 동작하는 TV(television) 단말(130)을 포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와이파이(wifi)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120)의 셋톱박스(settop box) 기능을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120)는,
    상기 GUI 화면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선택 및 기능 선택을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 명령을 표시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TV 단말(13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120)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에 미리 대응되어 설정된 TV 단말(130)에 대해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120)에는 상기 TV 단말(130)의 ID(identification)와 접속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지며,
    상기 GUI 화면은 HTML(hypertext mart-up language)로 구성되고,
    상기 TV 단말(130)은 클라우드 서버(120)에서 수행하는 셋톱박스 기능에 따라 컨텐츠 결제, 컨텐츠 출력, 볼륨 조정, 화면 조정, 컨텐츠 재생 일시 중지, 채널 변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48506A 2016-11-09 2016-11-09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82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506A KR101825056B1 (ko) 2016-11-09 2016-11-09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506A KR101825056B1 (ko) 2016-11-09 2016-11-09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056B1 true KR101825056B1 (ko) 2018-02-01

Family

ID=6123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506A KR101825056B1 (ko) 2016-11-09 2016-11-09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0642A (zh) * 2021-03-31 2022-10-04 阿里巴巴新加坡控股有限公司 通信方法、服务器、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0642A (zh) * 2021-03-31 2022-10-04 阿里巴巴新加坡控股有限公司 通信方法、服务器、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150642B (zh) * 2021-03-31 2023-09-22 阿里巴巴新加坡控股有限公司 通信方法、服务器、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620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4531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US107790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74542A (ko) 미러링크 제어방법
KR102263481B1 (ko)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5018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obile terminal to control digital television receiving terminal
CN103024582A (zh) 多屏显示控制方法及多屏显示装置
US20150156551A1 (en) Electronic device, image display method for use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image display program
US20140157326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20090121065A (ko) Ip 셋톱박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37786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25056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리모컨 작동 시스템 및 방법
CN104735510B (zh) 一种机顶盒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82076A (ko) 셋탑박스 상태 안내 서버 및 방법
CN111654729A (zh) 一种账号登录状态的更新方法及显示设备
CN103813189B (zh) 一种遥控机顶盒的方法及系统
WO2013168287A1 (ja) 中継装置
JP6728449B2 (ja) 表示装置
US20110283315A1 (en) Video processing system providing interactivity independent of service provider equipment and video output device
CN102665125A (zh) 三网融合手机遥控方法
KR101992223B1 (ko)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JP6248302B2 (ja) 表示装置
JP6450736B2 (ja) 受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2051419B1 (ko) 방송 프로그램 다중표시를 위한 셋톱박스
JP6542967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