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840B1 -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 Google Patents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840B1
KR101824840B1 KR1020170099562A KR20170099562A KR101824840B1 KR 101824840 B1 KR101824840 B1 KR 101824840B1 KR 1020170099562 A KR1020170099562 A KR 1020170099562A KR 20170099562 A KR20170099562 A KR 20170099562A KR 101824840 B1 KR101824840 B1 KR 101824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main body
fixed
vertical
vari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휘
Original Assignee
김광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휘 filed Critical 김광휘
Priority to KR102017009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폭 조절이 가능한 철개와 가변지지대 및 가변지지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통해 정밀 노면 맞춤이 용이하고 보수 공사 시 매립재와 마감재를 걷어내지 않고 보정 작업을 할 수 있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하폭 조절이 가능한 철개와 가변지지대 및 가변지지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통해 정밀 노면 맞춤이 용이하고 보수 공사 시 매립재와 마감재를 걷어내지 않고 보정 작업을 할 수 있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 원통형의 제1철개본체와 상기 제1철개본체의 내부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철개본체를 포함하는 철개; 상기 제1철개본체와 제2철개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철개의 상하폭과 경사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 중공 원통형의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외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철개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변지지대; 상기 가변지지대의 상하폭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 및 플레이트본체와 상기 플레이트본체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본체가 가변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절부가 상기 제1철개본체의 내벽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바, 상기 제2철개본체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고정바가 관통 배치되는 슬릿공, 상기 고정바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복수의 조절바, 상기 제2철개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되 각 슬릿공의 하부에 고정되며 조절바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수변용 철개조립체{Manhole Lid Assembly for Wate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폭 조절이 가능한 철개와 가변지지대 및 가변지지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통해 정밀 노면 맞춤이 용이하고 보수 공사 시 매립재와 마감재를 걷어내지 않고 보정 작업을 할 수 있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수도관은 메인관에 다양한 직경의 분기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정 구간의 배관에 누수 사고가 발생하거나 교체 공사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배관의 수돗물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수도관의 일정 구간마다 개폐 밸브인 제수변이 설치되며, 각 제수변은 개폐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내부에 구비된다.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의 기본 구성 및 구조를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0118호(등록일자: 2010.08.31.)에 게재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제수변(1)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중공의 지지체(2)로 에워싸 보호하고, 제수변(1) 직상의 노면에는 덮개(3) 및 덮개(3)를 지지하는 철개(4)가 배치되며, 철개(4)와 지지체(2) 사이에는 PVC 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원통형의 보호관(5)과 원추형의 연결관(6)이 배치된다.
이를 통해 조립체 내부는 제수변(1)의 개폐작업 공간인 중공부가 형성되고, 흙과 자갈(이하 ‘매립재’라 한다)로 조립체 주변을 메운 다음, 그 상면을 콘크리트나 아스콘(이하 ‘마감재’라 한다)으로 마감 처리한다.
이러한 조립체의 시공은 보행자의 안전 보행 및 차량의 안전 주행을 위해 덮개(3)가 주변 노면에 대해 과도하게 함몰되거나 돌출됨이 없도록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시공 현장의 여건(경사진 노면 등)이나 시공 불량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덮개(3)가 주변 노면과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시공하기(이하 ‘정밀 노면 맞춤’이라 한다)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정밀 노면 맞춤이 이루어지더라도 이후 차량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또는 조립체 주변의 지반 침하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상기와 같은 함몰이나 돌출이 발생하여 덮개(3)의 높이나 경사도를 지면과 맞추기 위한 보수공사(이하 ‘보정 작업’라 한다)가 요구되기도 하며, 이러한 보정 작업 시 조립체 주변의 매립재나 마감재를 걷어낸 후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KR 20-0450118 Y1 2010.08.3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밀 노면 맞춤이 용이하고 보수 공사시 매립재와 마감재를 걷어내지 않고 보정 작업을 할 수 있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는, 중공 원통형의 제1철개본체와 상기 제1철개본체의 내부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철개본체를 포함하는 철개; 상기 제1철개본체와 제2철개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철개의 상하폭과 경사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 중공 원통형의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외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철개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변지지대; 상기 가변지지대의 상하폭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 및 플레이트본체와 상기 플레이트본체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용홀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본체가 가변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절부가 상기 제1철개본체의 내벽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바, 상기 제2철개본체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고정바가 관통 배치되는 슬릿공, 상기 고정바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복수의 조절바, 상기 제2철개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되 각 슬릿공의 하부에 고정되며 조절바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는, 상기 조절바가 각면돌기, 조절볼트 및 유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면돌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절볼트가 상기 고정바의 암나사에 체결되며, 조절볼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격부가 상기 고정링과의 사이에 수직갭과 수평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는, 상기 제2조절부가 상기 제1본체에 형성되고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슬릿홀, 상기 수직슬릿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턱홀 및 상기 제2본체의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단턱홀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는, 상기 가변지지대에 상단이 상기 제1플랜지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본체와 동심원을 이루는 수직벽이 더 포함되고, 상기 수직벽과 제1본체 사이의 틈에 상기 제2본체가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에 의하면, 철개의 상하폭과 경사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와 가변지지대의 상하폭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통해 정밀 노면 맞춤이 용이해지고 또한, 상호 고정된 상태에 있는 철개와 가변지지대 및 가변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통해 보수 공사시 매립재와 마감재를 걷어내지 않고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의 시공성 및 보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개의 상하폭이나 경사도가 조절되는 경우 유격부와 고정링 사이의 간섭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의 철개(a), 일반 맨홀용 철개(b) 및 상하 길이가 연장된 철개(c)의 간섭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덮개(3)가 놓이게 되는 철개(10), 상기 철개(10)의 상하폭과 경사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20), 상기 철개(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변지지대(30), 상기 가변지지대(30)의 상하폭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40), 및 상기 가변지지대(3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50)로 이루어진다.
통상 제수변(1)은 개폐 대상 수도관의 직경에 따라 그리고 인도나 도로 등과 같은 매립 위치에 따라 시공 규정에 의해 매립 깊이가 달라진다.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깊이로 매립되는 제수변(1)에 설치될 수 있도록, 큰 범위의 상하폭 조절은 가변지지대(30)의 상하폭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작은 범위의 상하폭 조절과 덮개(3)의 경사도 조절은 덮개(3)가 놓이게 되는 철개(10)의 상하폭 조절과 경사도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먼저 철개(10)는 내측 상부 공간에 덮개(3)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조절부(20)를 통해 상하폭과 경사도가 조절되는 구성으로서, 중공 원통형의 제1철개본체(11), 상기 제1철개본체(1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3)가 놓이게 되는 내측단(13), 상기 제1철개본체(11)의 내부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철개본체(15), 및 상기 제2철개본체(15)의 하단에 형성되는 철개플랜지(17)로 이루어진다.
덮개(3)의 노면 노출을 위해 철개(10)는 노면 바로 아래에 매몰되므로 통상 마감재로 주변이 메워지게 된다. 따라서, 마감재가 메워지기 전 초기 시공에서의 정밀 노면 맞춤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보정 공사에서는 마감재에 견고하게 고착된 철개(10)의 높낮이나 경사도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큰 승/하강력(P)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큰 승/하강력(P)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철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반 구성이 원위치를 유지하여야 정상적인 보정 공사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원위치 유지는 후술할 지지플레이트(5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제1조절부(20)는 철개(10)의 상하폭과 경사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철개본체(11)의 내벽 하부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바(21), 제2철개본체(15)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고정바(21)가 관통 배치되는 슬릿공(23), 상기 고정바(21)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복수의 조절바(25), 제2철개본체(15)의 내벽에 구비되되 각 슬릿공(23)의 하부에 고정되며 각 조절바(25)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링(2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절바(2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 일체로 제작되는 각면돌기(25a), 조절볼트(25b) 및 유격부(25c)로 이루어지는데, 각면돌기(25a)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절볼트(25b)가 상기 고정바(21)의 암나사에 체결되며, 조절볼트(25b)의 하부에 유격부(25c)가 고정되게 된다.
제수변(1)의 개폐조작 부위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레버나 손잡이 대신 각면돌기가 구비되며, 작업자가 하단에 각면돌기 형상의 공동부가 형성된 전용렌치(T)를 이용하여 제수변(1)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각면돌기(25a)는 조절볼트(25b)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수변(1)에 구비된 각면돌기와 동일한 사양으로 제작된다.
즉, 전용렌치(T)를 각면돌기(25a)에 삽입, 조절볼트(25b)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철개본체(11)가 고정된 고정바(21)가 슬릿공(23)을 따라 승/하강됨으로써 철개(10)의 상하폭이 조절되게 되고, 각 조절볼트(25b)와 고정바(21)의 체결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철개(10)의 경사도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조절볼트(25b)의 나사 회전력을 통해 큰 승/하강력(P)을 수득하게 됨으로써, 마감재에 견고하게 고착된 철개(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격부(25c)와 고정링(27)의 결합 구조는 유격부(25c)가 고정링(27)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제작되되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갭(g1)과 수평갭(g2)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높낮이나 경사도 조절 과정에서 부재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경사진 노면에 맞추어 덮개(3)를 설치하기 위해 각 조절볼트(25b)와 고정바(21)의 체결 위치를 달리하게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철개본체(15)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제1철개본체(11)는 경사지게 됨으로써, 제1철개본체(11)와 제2철개본체(15)간 간섭과 유격부(25c)와 고정링(27)간 간섭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상기 제1철개본체(11)와 제2철개본체(15)간 간섭은 제수변용 덮개(3)의 직경(대략 30㎝)이 일반 맨혼덮개(A)의 직경(대략 100㎝)보다 작고 특히, 전체 상하폭 조절을 철개(10)와 가변지지대(30)가 분담토록 함으로써, 제1철개본체(11)나 제2철개본체(15)의 상하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어, 동일 경사도(θ)에 대한 제1철개본체(11)와 제2철개본체(15)간 간섭 소지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수변용 철개조립체의 철개(a), 일반 맨홀용 철개(b) 및 상하 길이가 연장된 철개(c)의 간섭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개요도로서, 각 철개의 제1철개본체(11, 11', 11")와 제2철개본체(15, 15', 15")가 동일한 공차(d)로 제작된 상태에서 제1철개본체(11, 11', 11")가 동일한 경사도(θ)로 기울어진 것을 상정한 도면이다.
또한, 유격부(25c)와 고정링(27)간 간섭은 수직갭(g1)과 수평갭(g2)을 통해 해소되는데, 주로 수평갭(g2)을 통해 해소되게 된다.
한편, 전용렌치(T)를 이용하여 각 조절볼트(25b)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렌치 작업 과정에서도 전용렌치(T)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특정 조절볼트(25b)와 나머지 조절볼트(25b)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데, 이 또한 수직갭(g1)과 수평갭(g2)을 통해 해소된다.
가변지지대(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큰 범위의 상하폭 조절을 위해 상하폭이 가변되는 구성으로서, 철개플랜지(17)에 고정되는 상부조절대(31) 및 지지플레이트(50)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조절대(31)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부조절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조절대(31)는 중공 원통형의 제1본체(31a), 상기 제1본체(31a)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철개플랜지(17)와 나사 체결되는 제1플랜지(31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조절대(33)는 상기 제1본체(31a)의 외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본체(33a)와 상기 제2본체(33a)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지플레이트(50)에 고정되는 제2플랜지(33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하폭 조절을 위해 가변지지대(30)의 상부조절대(31)가 상승할 경우 수직슬릿홀(41)과 단턱홀(43)이 하부조절대(33)의 제2본체(33a) 상부로 올라와 매립재에 노출되는바, 상기 수직슬릿홀(41)과 단턱홀(43)을 통해 상기 매립재가 조립체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도 8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조절대(31)에 수직벽(35)이 추가로 구비된다.
즉, 상기 수직벽(35)은 상단이 상기 제1플랜지(31b)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본체(31a)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수직벽(35)과 제1본체(31a) 사이의 틈에 상기 제2본체(33a)가 삽입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하폭 조절을 위해 가변지지대(30)의 상부조절대(31)가 상승하더라도 항상 제2본체(33a) 외측에 수직벽(35)이 위치하게 되어 수직슬릿홀(41)과 단턱홀(43)이 매립재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매립재가 수직슬릿홀(41)과 단턱홀(43)을 통해 조립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조절부(40)는 상기 상부조절대(31)와 하부조절대(33)에 구비되어 가변지지대(30)의 상하폭을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본체(31a)에 형성되고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슬릿홀(41), 상기 수직슬릿홀(41)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턱홀(43), 및 상기 제2본체(33a)의 내벽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턱홀(43)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나사(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나사(45)가 특정 단턱홀(43)에 걸쳐진 상태에서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가변지지대(30)의 상하폭이 조절되게 되는데, 고정나사(45)가 수직슬릿홀(41)에 고정되지 않고 단턱홀(43)에 고정되는 이유는, 차량 등의 통과 시 덮개(3)를 통해 전달되는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고정나사(45)와 너트의 체결이 풀려지는 경우에도 설정된 가변지지대(30)의 상하폭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철개본체(11)와 제2철개본체(15)간 간섭이나 유격부(25c)와 고정링(27)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20㎝ 범위의 높낮이 조절은 가변지지대(30)를 통해 그리고, ±10㎝ 범위의 높낮이 조절과 덮개(3)의 경사도 조절은 철개(1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플레이트(50)는 금속재질의 사각 판상체인 플레이트본체(51)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51)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용홀(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플랜지(33b)가 상기 수용홀(53)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플레이트본체(51)에 고정되고, 수용홀(53)의 하부에는 보호관(5)이나 연결관(6)의 상단이 삽입 배치된다.
상기 제2플랜지(33b)가 플레이트본체(51)에 고정됨으로써, 철개(10)의 높낮이나 경사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즉, 조절볼트(25b)의 나사 회전력을 통해 큰 승/하강력(P)을 수득할 수 있다 하더라도, 지지플레이트(50)가 생략된 상태로 제2플랜지(33b)가 보호관(5)나 연결관(6)에 직접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볼트(25b)를 정/역 회전시키면, 철개(10)가 마감재에 고착되어 있어 상하폭이나 경사도 조절은 이루어지지 않고 철개(10)의 하부에 고정된 제반 구성들이 상/하로 움직이기만 할 수 있는데, 판상의 플레이트본체(51)가 매립재에 매몰되어 이러한 제반 구성의 상/하 움직임을 저지함으로써, 철개(10)와 마감재의 고착이 분리되고 높낮이나 경사도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본체(51)의 상하면에는 이러한 저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격자 형태의 보강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철개
11: 제1철개본체 13: 내측단
15: 제2철개본체 17: 철개플랜지
20: 제1조절부
21: 고정바 23: 슬릿공
25: 조절바 27: 고정링
30: 가변지지대
31: 상부지지대 33: 하부지지대
35: 수직벽
40: 제2조절부
41: 수직슬릿홀 43: 단턱홀
45: 고정나사
50: 지지플레이트
51: 플레이트본체 53: 수용홀

Claims (5)

  1. 중공 원통형의 제1철개본체(11)와 상기 제1철개본체(11)의 내부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철개본체(15)를 포함하는 철개(10);
    상기 제1철개본체(11)와 제2철개본체(15)에 구비되어 상기 철개(10)의 상하폭과 경사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20);
    중공 원통형의 제1본체(31a) 및 상기 제1본체(31a)의 외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제2본체(33a)를 포함하며, 상기 철개(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가변지지대(30);
    상기 가변지지대(30)의 상하폭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40); 및
    플레이트본체(51)와 상기 플레이트본체(51)의 중심에 형성되는 수용홀(53)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본체(51)가 가변지지대(30)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5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조절부(20)는 상기 제1철개본체(11)의 내벽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바(21), 상기 제2철개본체(15)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고정바(21)가 관통 배치되는 슬릿공(23), 상기 고정바(21)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복수의 조절바(25), 상기 제2철개본체(15)의 내벽에 구비되되 각 슬릿공(23)의 하부에 고정되며 조절바(25)의 하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링(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25)는 각면돌기(25a), 조절볼트(25b) 및 유격부(25c)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면돌기(25a)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절볼트(25b)가 상기 고정바(21)의 암나사에 체결되며, 조절볼트(25b)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격부(25c)가 상기 고정링(27)과의 사이에 수직갭(g1)과 수평갭(g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40)는 상기 제1본체(31a)에 형성되고 상호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슬릿홀(41), 상기 수직슬릿홀(41)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단턱홀(43) 및 상기 제2본체(33a)의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단턱홀(43)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나사(4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대(30)에는 상단이 제1플랜지(31b)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본체(31a)와 동심원을 이루는 수직벽(35)이 더 포함되고, 상기 수직벽(35)과 제1본체(31a) 사이의 틈에 상기 제2본체(33a)가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KR1020170099562A 2017-08-07 2017-08-07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KR10182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62A KR101824840B1 (ko) 2017-08-07 2017-08-07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562A KR101824840B1 (ko) 2017-08-07 2017-08-07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840B1 true KR101824840B1 (ko) 2018-02-01

Family

ID=6123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562A KR101824840B1 (ko) 2017-08-07 2017-08-07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764B1 (ko) * 2019-12-23 2020-09-28 이선동 높이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02B1 (ko) * 2006-08-18 2006-12-28 유해일 자유자재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 이 맨홀의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KR100949710B1 (ko) * 2010-01-07 2010-03-29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200452410Y1 (ko) * 2010-10-28 2011-02-28 (주) 디케이금속 맨홀장치 고정구가 구비된 밸브실용 맨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02B1 (ko) * 2006-08-18 2006-12-28 유해일 자유자재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 이 맨홀의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KR100949710B1 (ko) * 2010-01-07 2010-03-29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200452410Y1 (ko) * 2010-10-28 2011-02-28 (주) 디케이금속 맨홀장치 고정구가 구비된 밸브실용 맨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764B1 (ko) * 2019-12-23 2020-09-28 이선동 높이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901B1 (en) Adjustable manhole apparatus
KR101824840B1 (ko) 제수변용 철개조립체
KR200448096Y1 (ko) 높이조절식 조립맨홀
US20120025517A1 (en) Floor Drain Stabilizer Ring
KR101707609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맨홀 철개 조립품
KR101660400B1 (ko)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20170111850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827734B1 (ko) 가변형 맨홀철개 조립체
KR101626278B1 (ko) 구배조절이 용이한 제수변보호통
KR101824838B1 (ko) 맨홀 철개 조립체
JP2008274747A (ja) 上水道、下水道等の蓋構造。
KR102180213B1 (ko) 상하수도관 설치용 콘크리트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HU227272B1 (en) Cover with adjustable level and with high load bearing capacity for manhole
WO2015036963A1 (en) Installation mean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adjusting a cover of an inspection manhole
KR102619363B1 (ko) 맨홀철개
KR20210001841U (ko) 맨홀 인상링
KR102177466B1 (ko) 밸브 덮개 설치형 제수 밸브 보호통
JP7178084B2 (ja) 埋設筺
KR20040070864A (ko) 제수변용 맨홀철개의 덮개체 높이조절 장치
KR102532488B1 (ko) 개량된 시공 높이 조절구조를 갖는 맨홀 구조체
JP5992562B2 (ja) 埋設筐
JP3618194B2 (ja) 埋設きょう
KR200206240Y1 (ko) 제수변용 맨홀의 높이 가변철개
RU125588U1 (ru) Люк колодца, регулируемый в процессе эксплуатации по высоте и наклону
KR200313421Y1 (ko) 제수변용 맨홀철개의 덮개체 높이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