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400B1 -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400B1
KR101824400B1 KR1020170046603A KR20170046603A KR101824400B1 KR 101824400 B1 KR101824400 B1 KR 101824400B1 KR 1020170046603 A KR1020170046603 A KR 1020170046603A KR 20170046603 A KR20170046603 A KR 20170046603A KR 101824400 B1 KR101824400 B1 KR 10182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nergy
energy storage
control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혁
Original Assignee
한국플랜트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플랜트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플랜트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운용에 필요한 내부 전력을 저장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저장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기(30); 복수의 배터리랙으로 구성되어 상기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 상기 전원변환기(3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원의 변환을 제어하고,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과 비상발전시스템(60)의 작동을 제어하며,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입력되어 축전되거나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의 정보를 각각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전반적인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전송하는 내부전력제어장치(50);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50)에서 전원변환기(30)를 통해 에너지저장시스템(40)으로 입출력되는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별 전력량,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축전정보,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의 제어 및 출력되는 전력정보와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입출력되는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2); 발전설비(10)에서 정상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는 비상상황 때에 발전설비(10)의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비상발전시스템(60);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50)의 제어로 신재생에너지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는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상기 전원변환기(30), 에너지저장시스템(40), 내부전력제어장치(50) 및 데이터베이스(52),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이 지진에 의한 외부의 물리적인 진동을 감쇄시키는 내진시스템(80); 상기 전원변환기(30), 에너지저장시스템(40), 내부전력제어장치(50) 및 데이터베이스(52),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이 홍수나 해일에 의한 외부의 물리적인 환경에 의하여 발생되는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시스템(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소의 내부 전력계통에서 에너지저장장치에 전기에너지를 축전하였다가 발전설비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으로 전기에너지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 및 축전할 수 있도록 하고, 에너지저장장치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외부 전력계통으로 송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Internal Power Saving and Control in power plant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발전소 운용에 필요한 내부 전력을 저장하고 제어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는 물, 석유, 석탄, 천연가스 또는 지열 등의 열에너지 또는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곳이다. 발전소는 전기의 생산에 사용되는 에너지원에 따라 크게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로 구분된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외부 전력계통, 즉 1차 변전소 또는 2차 변전소를 거쳐 송전시스템과 배전시스템 등을 통해 가공이나 지중으로 실제 전력수용가에게 공급된다. 또한, 발전소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내부 전력계통, 즉 발전소의 운용을 위하여 변전소에서 변전된 후 자체 발전설비에 공급된다. 따라서 내부 전력계통은 발전소 운용에 필수적인 것으로, 특히,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원자로의 냉각수 온도를 유지를 위한 것이다. 더욱이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지진에 의하여 외부전력이 차단되자 발전기를 가동하였지만 뒤이어 해일에 의하여 전기시설의 손상이 발생되고 원자로의 냉각수 온도가 급속히 상승하여 방사능이 누출된 심각한 사고등급으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발전소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공급하지만, 발전소의 운용 중에 사소한 안전소홀이나 시스템의 불비로 인하여 큰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4296호(2014.12.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소 운용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천재지변이나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내부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하절기나 전력의 피크시간대에 예비전력으로 외부 전력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소의 내부 전력의 저장을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와 비상발전 또는 외부 전력계통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소에서 내부 전력이 저장된 설비와 장치가 지진이나 해일 등의 기상이변에 의하여 발전소의 운용에 끼칠 수 있는 안전문제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발전설비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변전소에서 변전된 후 외부 전력계통을 통해 송전 및 배전됨과 더불어 전원변환기로 송전되고, 전원변환기에서 변전소에서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내부전력제어장치의 제어로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하는 단계; (b)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되는 전력량을 내부전력제어장치에 설치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의 수행을 통해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전원변환기로 축전된 전력을 공급하여 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발전설비의 운용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발전설비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별 전력수요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된 전력을 전원변환기를 거쳐 외부 전력계통으로 송전하는 단계; (e)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하는 단계; (f)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하는 단계; (g)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로부터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되는 전력량을 각각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h)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발전소상황통제실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i)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발전소상황통제실로부터 발전설비의 이상상황의 발생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이 변전소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고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며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에 비상발전시스템을 가동시켜 전원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심야전력시간대에만 변전소에서 전원변환기를 거쳐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에서 전력이 생산되어 전원변환기를 거쳐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되는 동안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h) 단계에서, 발전소상황통제실은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에 저장하고 전광판에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하며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비상상황으로 발전소상황통제실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축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또는 비상발전시스템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저장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또는 비상발전시스템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기; 복수의 배터리랙으로 구성되어 상기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또는 비상발전시스템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 상기 전원변환기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원의 변환을 제어하고,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와 비상발전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며,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입력되어 축전되거나 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의 정보를 각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전반적인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발전소상황통제실로 전송하는 내부전력제어장치;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에서 전원변환기를 통해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입출력되는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별 전력량,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축전정보,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출력되는 전력정보와 발전소상황통제실로 입출력되는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발전설비에서 정상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는 비상상황 때에 발전설비의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변환기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랙을 축전하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비상발전시스템;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의 제어로 신재생에너지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배터리랙을 축전하는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상기 전원변환기, 에너지저장시스템, 내부전력제어장치 및 데이터베이스,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이 지진에 의한 외부의 물리적인 진동을 감쇄시키는 내진시스템; 상기 전원변환기, 에너지저장시스템, 내부전력제어장치 및 데이터베이스,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이 홍수나 해일에 의한 외부의 물리적인 환경에 의하여 발생되는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에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축전정보와 전원변환기,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의 작동제어와 데이터베이스에 에너지저장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발전소상황통제실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저장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는 발전소상황통제실과 유무선통신망에 접속되어 발전소 내부 전력계통의 운용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는 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 지열발전기, 해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의 내부 전력계통에서 에너지저장장치에 전기에너지를 축전하였다가 발전설비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으로 전기에너지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받아 축전할 수 있도록 하고, 에너지저장장치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외부 전력계통으로 송전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진이나 해일 등의 천재지변에 의하여 발전설비의 비상상황에서도 발전설비에 안정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발전소의 운용에 끼칠 수 있는 안전문제를 대비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발전소에는 전기에너지의 생산을 위한 발전설비(10)가 구비되고, 발전설비(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외부 전력계통으로 복수의 변전소를 거쳐 송전 및 배전되어 전력수용가에게 공급된다. 더욱이 발전설비(10)의 운용을 위하여 내부 전력계통으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된다.
전원변환기(30)는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랙은 직류전력을 축전하므로 전원변환기(30)는 입력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축전한다. 더욱이 전원변환기(30)는 입력된 직류전력을 배터리랙에 축전하기 위한 직류전력으로 변환한다. 또한, 전원변환기(30)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랙은 직류전력을 축전하므로 전원변환기(30)는 배터리랙의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전원변환기(30)는 입출력되는 교류전력이나 직류전원이 외부의 전자기파나 서지 등에 대하여 안정적인 축전이나 출력을 위한 보호 또는 차단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전원변환기(30)는 복수의 컨버터나 인버터가 포함될 수 있고, 내부전력제어장치(50)의 제어로 전기에너지의 입력과 출력, 변환 및 정류를 위한 장치가 포함된다.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40)은 복수의 배터리랙으로 구성되어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출력한다. 에너지저장시스템(40)은 배터리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인 셀(Cell)이 복수로 모여 모듈(Module)을 이루고, 복수의 모듈이 모여 랙(Rack)이 되며, 복수의 랙이 모여 시스템을 구성한다. 배터리는 리튬이온배터리(Lithium Ion Battery), 납배터리(Lead-acid Battery), 나트륨황배터리(NaS Battery) 또는 레독스흐름배터리(Redox Flow Battery)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에너지저장시스템(40)은 배터리랙의 안정적인 축전과 방전을 위한 PCS(Power Condition System)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및 EMS(Energy Management System) 등의 제어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전원변환기(3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DC-DC 변환이나 AC-AC 변환 등을 제어한다. 또한,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과 비상발전시스템(60)의 작동을 각각 제어한다.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입력되어 축전되거나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의 정보를 각각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함과 더불어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전반적인 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전송한다. 또한,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발전소상황통제실(100)과 유무선통신망에 접속되어 발전소 내부 전력계통의 운용을 원격에서 제어한다. 내부전력제어장치(50)에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축전정보와 전원변환기(30),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의 작동제어와 데이터베이스(52)에 에너지저장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발전소상황통제실(100)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저장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이 설치된다.
데이터베이스(52)는 내부전력제어장치(50)에서 전원변환기(30)를 통해 에너지저장시스템(40)으로 입출력되는 전기에너지가 배터리랙에 축전 또는 방전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더욱이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별 전력량,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축전정보,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의 제어 및 출력되는 전력정보와 더불어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입출력되는 제어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52)는 입출력되는 정보를 가공하거나 편집하는 서버나 데이터로거 등을 포함한다.
비상발전시스템(60)은 발전설비(10)에서 정상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는 비상상황 때에 발전설비(10)의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비상발전시스템(60)은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비상발전시스템(60)은 연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복수의 발전기가 포함된다.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는 내부전력제어장치(50)의 제어로 신재생에너지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는 태양광발전기, 태양열발전기, 풍력발전기, 지열발전기, 해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의 설치는 발전소의 주변 환경 등의 지리적인 조건이나 발전을 위한 연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는 내부 전력계통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설비(1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변전소(20)를 통해 외부 전력계통으로 모두 공급되도록 하여 발전소의 전력공급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직접 외부 전력계통을 통해 송전되거나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전소의 내부 전력계통의 안정적인 전기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내부 전력계통, 즉, 전원변환기(30), 에너지저장시스템(40), 내부전력제어장치(50) 및 데이터베이스(52),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은 지진 등과 같이 외부의 물리적인 진동을 감쇄시키는 내진시스템(80)이 설계되는 것이 좋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와 같이 지진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긴급하고 위험한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내부 전력계통의 전기에너지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원변환기(30), 에너지저장시스템(40), 내부전력제어장치(50) 및 데이터베이스(52),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이 홍수나 해일 등에 의한 외부의 물리적인 환경에 의하여 발생되는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시스템(90)이 설계되는 것이 좋다. 침수방지시스템(90)은 내부 전력계통을 통해 발전설비로 안정적인 전력의 공급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관한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에 관하여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서, 먼저, 발전설비(1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변전소(20)에서 변전된 후 외부 전력계통과 내부 전력계통을 통해 각각 송전 및 배전된다. 변전소에서 내부 전력계통으로 입력된 전기에너지는 전원변환기(30)로 송전되고, 전원변환기(30)에서 변전소(20)에서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내부전력제어장치(50)의 제어로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구비된 복수의 배터리랙을 축전한다(S1). 이때,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변전소(20)에서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는 시간은 외부 전력계통을 통해 주간 시간대보다 전력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시간대, 즉,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09시 사이에 발생된 전력으로 축전되도록 제어한다. 더불어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된 전력량에 따라 주간에도 축전되도록 제어한다.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되는 전력량 정보를 내부전력제어장치(50)에 설치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의 수행을 통해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한다(S2).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서 전원변환기(30)로 축전된 전력을 공급하여 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발전설비(10)의 운용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서 발전설비(1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한다(S3)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별 전력수요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된 전력을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외부 전력계통으로 송전한다(S4). 이는 냉방기 사용이 증가하는 하절기나 난방기 사용이 증가하는 동절기 또는 주간에 전력수요가 증가하는 시간 때에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된 전력이 외부 전력계통으로 송전되도록 하여 발전설비(10)의 부하해소와 전력의 효율적인 공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30)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한다(S5). 이는 발전설비(10)가 정상적인 발전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발전설비(10)의 이상상황 때에 발전설비로부터 긴급 또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30)를 통해 변환시킨 후에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한다(S6). 더욱이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에서 전력이 생산되어 전원변환기(30)를 거쳐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되는 동안 변전소(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비상발전시스템(60)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로부터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되는 전력량을 각각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한다(S7). 또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데이터베이스(52)에 실시간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40)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S8). 발전소상황통제실(100)에서는 내부전력제어장치(50)로부터 수신된 에너지저장시스템(40)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에 저장하고 전광판에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하며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부터 발전설비(10)의 이상상황의 발생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40)이 변전소(2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고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며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에 비상발전시스템(60)을 가동시켜 전원변환기(30)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되도록 한다(S9).
또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비상상황으로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에 축전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전소의 내부 전력계통에서 에너지저장장치에 전기에너지를 축전하였다가 발전설비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및 비상발전시스템으로 전기에너지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공급 및 축전할 수 있도록 하고, 에너지저장장치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외부 전력계통으로 송전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발전설비 20: 변전소 30: 전원변환기 40: 에너지저장시스템 50: 내부전력제어장치 51: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 52: 데이터베이스 60: 비상발전시스템 70: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 80: 내진시스템 90: 침수방지시스템 100: 발전소상황통제실

Claims (10)

  1.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저장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기(30); 복수의 배터리랙으로 구성되어 상기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또는 비상발전시스템(60)에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 상기 전원변환기(30)를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원의 변환을 제어하고,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과 비상발전시스템(60)의 작동을 제어하며,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입력되어 축전되거나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의 정보를 각각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전반적인 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전송하며, 발전소 내부 전력계통의 운용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내부전력제어장치(50);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50)에서 전원변환기(30)를 통해 에너지저장시스템(40)으로 입출력되는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별 전력량,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축전정보,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의 제어 및 출력되는 전력정보와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입출력되는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2); 발전설비(10)에서 정상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는 비상상황 때에 발전설비(10)의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전기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비상발전시스템(60);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50)의 제어로 신재생에너지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배터리랙을 축전하는 태양광발전기, 풍력발전기, 지열발전기, 해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연료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상기 전원변환기(30), 에너지저장시스템(40), 내부전력제어장치(50) 및 데이터베이스(52),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이 지진에 의한 외부의 물리적인 진동을 감쇄시키는 내진시스템(80); 상기 전원변환기(30), 에너지저장시스템(40), 내부전력제어장치(50) 및 데이터베이스(52),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이 홍수나 해일에 의한 외부의 물리적인 환경에 의하여 발생되는 침수를 방지하는 침수방지시스템(90), 및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50)에 설치되어 에너지저장시스템(40)의 축전정보와 전원변환기(30),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의 작동제어와 데이터베이스(52)에 에너지저장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발전소상황통제실(100)과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저장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시스템으로부터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에 있어서,
    (a) 발전설비(1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변전소(20)에서 변전된 후 외부 전력계통을 통해 송전 및 배전됨과 더불어 전원변환기(30)로 송전되고, 전원변환기(30)에서 변전소(20)에서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내부전력제어장치(50)의 제어로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하는 단계;
    (b) 상기 내부전력제어장치(50)는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되는 전력량을 내부전력제어장치(50)에 설치된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의 수행을 통해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서 전원변환기(30)로 축전된 전력을 공급하여 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발전설비(10)의 운용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고,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서 발전설비(1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별 전력수요에 따라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된 전력을 전원변환기(30)를 거쳐 외부 전력계통으로 송전하는 단계;
    (e)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입력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30)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하는 단계;
    (f)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전원변환기(30)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하는 단계;
    (g)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변전소(20),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로부터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되는 전력량을 각각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하는 단계;
    (h)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데이터베이스(52)에 실시간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40)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부터 발전설비(10)의 이상상황의 발생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40)이 변전소(2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고 외부 전력계통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며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할 때에 비상발전시스템(60)을 가동시켜 전원변환기(30)를 통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되도록 하되, 상기 발전소상황통제실(100)은 에너지저장시스템(40)으로 입출력되는 전력에 관한 데이터정보를 메인서버에 저장하고 전광판에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하며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심야전력시간대에만 변전소(20)에서 전원변환기(30)를 거쳐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에너지저장시스템(40)에 축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에서 전력이 생산되어 전원변환기(30)를 거쳐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되는 동안 변전소(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축전제어용 애플리케이션(51)은 비상상황으로 발전소상황통제실(1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변전소, 외부 전력계통, 신재생에너지생성시스템(70) 및 비상발전시스템(60)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에너지저장시스템(40)을 축전하는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46603A 2017-04-11 2017-04-11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2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03A KR101824400B1 (ko) 2017-04-11 2017-04-11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603A KR101824400B1 (ko) 2017-04-11 2017-04-11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400B1 true KR101824400B1 (ko) 2018-02-01

Family

ID=6123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603A KR101824400B1 (ko) 2017-04-11 2017-04-11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4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59A (ko) 2018-11-14 2020-05-22 한국전력공사 Ess를 활용한 화력 발전소 운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6271A (ko) * 2019-04-01 2020-10-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발전소 연계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71616B1 (ko) 2021-04-22 2021-07-02 (주)유진씨엔이 변전소 비상전원 확보용 발전장치
KR102313389B1 (ko) 2021-04-22 2021-10-15 (주)유진씨엔이 변전소 가로등 전원용 발전장치
KR102313385B1 (ko) 2021-04-22 2021-10-15 (주)유진씨엔이 변전소 여유전원 저장용 발전장치
US11527888B2 (en) 2019-04-01 2022-12-13 Doosan Enerbility Co., Ltd. Power plant-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RU2798480C1 (ru) * 2022-12-27 2023-06-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мэ-Инжиниринг"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защит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на быстрых нейтронах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1970A (ja) * 2012-08-06 2014-03-20 Murata Mfg Co Ltd 発電システムおよび発電方法
KR101474296B1 (ko) * 2013-06-04 2014-12-18 에이피전자산업 주식회사 발전소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1970A (ja) * 2012-08-06 2014-03-20 Murata Mfg Co Ltd 発電システムおよび発電方法
KR101474296B1 (ko) * 2013-06-04 2014-12-18 에이피전자산업 주식회사 발전소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59A (ko) 2018-11-14 2020-05-22 한국전력공사 Ess를 활용한 화력 발전소 운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6271A (ko) * 2019-04-01 2020-10-1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발전소 연계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81774B1 (ko) 2019-04-01 2020-1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목적 발전소 연계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1527888B2 (en) 2019-04-01 2022-12-13 Doosan Enerbility Co., Ltd. Power plant-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271616B1 (ko) 2021-04-22 2021-07-02 (주)유진씨엔이 변전소 비상전원 확보용 발전장치
KR102313389B1 (ko) 2021-04-22 2021-10-15 (주)유진씨엔이 변전소 가로등 전원용 발전장치
KR102313385B1 (ko) 2021-04-22 2021-10-15 (주)유진씨엔이 변전소 여유전원 저장용 발전장치
RU2798480C1 (ru) * 2022-12-27 2023-06-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мэ-Инжиниринг"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защит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на быстрых нейтронах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400B1 (ko) 발전소에서의 내부 전력 저장 및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Enslin Network impacts of high penetration of photovoltaic solar power systems
Beaudin et al. Energy storage for mitigating the variability of renewable electricity sources
Gatta et al. Replacing diesel generators with hybrid renewable power plants: Giglio smart island project
CN102948030A (zh) 可再生能量发电管理
Gao et al. Field exploration and analysis of power grid side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orges et al. Reliability assessment of microgrids with renewable generation by an hybrid model
Katsigiannis et al. Operation of wind-battery hybrid power stations in autonomous Greek islands
Zhang et al. A two-stage robust operation approach for combined cooling, heat and power systems
Funabashi et al. Field tests of a microgrid control system
Simonazzi et al. Modeling of a university campus Micro-Grid for optimal planning of renewable generation and storage deployment
Лукутин et al. Optimization of operational control of autonomous photo-diesel power supply system with DC bus
Adiyabazar et al. Assessment of under-frequency load shedding in Mongolia considering inertia scenarios
Gabbar et al. Key performance indicator modeling for micro grid design and operation evaluation
Shalwala PV integration into distribution networks in Saudi Arabia
Bastos et al. Feasibility of 100% renewable-energy-powered microgrids serving remote communities
Verma et al. Restoration of extra-high voltage power grids throug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hydro units during blackout—A comprehensive review and case study
Jintanasombat et al. Optimal analysis of battery energy storage for reduction of power fluctuation from PV system in Mae Hong Son province
Minchala et al. Design of a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cure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to microgrids
Polgári et al. Energy storage for Hungary-NaS battery for wind farms
Kraiczy et al. PV as an ancillary service provider–laboratory and field experiences from IEA PVPS countries
Al Shaikh et al. The Role of GCC Interconnection for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McHenry et al. Why do electricity policy and competitive markets fail to use advanced PV systems to improve distribution power quality?
Kotb et al. Application of hybrid renewable energy for supplying the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in case of station blackout in nuclear power plant
Shigematsu et al. Vanadium FBES s installed by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