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970B1 -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970B1
KR101823970B1 KR1020160002669A KR20160002669A KR101823970B1 KR 101823970 B1 KR101823970 B1 KR 101823970B1 KR 1020160002669 A KR1020160002669 A KR 1020160002669A KR 20160002669 A KR20160002669 A KR 20160002669A KR 101823970 B1 KR101823970 B1 KR 10182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groove
magnetic
ring
portable terminal
magnetic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3333A (en
Inventor
김영세
이태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프로
이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프로, 이태우 filed Critical (주)에이프로
Priority to KR1020160002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970B1/en
Publication of KR2017008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3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하면에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어 위치 고정되기 위한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되어진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홈의 측면에서 홈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 턱을 구비되는 몸체; 손가락 걸림 공간이 구비되는 고리;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슬라이딩 홈 상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몸체에 직교한 상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몸체의 레일 턱에 끼워지고, 타측에 상기 고리가 연결되는 고리 연결체; 및 상기 고리 연결체가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고리 연결체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내장 설치되는 고정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has an adhesive surfac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for fixing a position thereof, A body having a rail jaw extending in a shape; A ring having a finger engagement space; A ring connecting body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a rail jaw of the body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sliding groove and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orthogonal to the body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liding groove and the r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installed in the body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oop connector in multiple stages when the loop connector moves along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0001]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0002]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손을 이용해 휴대단말기의 뒷면 하단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단말을 파지한 뒤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터치하고, 휴대단말기를 통해 각종 영상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해 휴대단말기의 상하단을 잡은 상태에서 단말의 화면이 넓게 기울어지도록 회전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 user who use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lly grasps the terminal in the form of wrapping around the bottom of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his / her hand, touches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thumb, and watches various video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usually uses the finger to rotate the terminal so that the screen of the terminal is tilted while hold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erminal.

이 외에도 휴대단말기를 이용해 사진을 촬영하거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인식기에 휴대단말기를 가져다 대는 경우 등 다양한 휴대단말기의 활용 방식에 있어서 휴대단말기를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외측을 손가락을 이용해 다양한 방식으로 감싸며 가압하는 방식만이 고수되어져 왔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a variety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photographing a photograph using a portable terminal or bringing a portable terminal to a recognizer by utilizing a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the user must grasp the outside of the terminal using various fingers The method of wrapping and pressurizing has been adhered to.

이는 기존의 휴대단말기들이 가지는 구조적 형태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 파지력은 사용자의 부주의 혹은 외력의 작용에 의해 충분히 저해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사용 중 사용자가 쉽게 단말기를 떨어뜨려 기기를 파손 혹은 고장 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As a result, the user's gripping force of the terminal can be sufficiently impeded by the carelessness or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the user can easily drop the terminal whil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Breakage or failure occurred frequently.

이로 인해 최근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자들이 쉽게 손가락에 거는 형태로 파지하여 쉽게 이탈되거나 파지 해제되지 않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부주의 및 외력의 작용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쉽게 놓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고리 형태의 손가락 파지공간을 휴대단말기 뒷면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10-14812561호의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easily missing the portable terminal even if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by the user easily in the form of holding the finger on the finger and is not easily released or released, Background Art [0002] Accessorie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related literature related to the related art provided for providing a ring-shaped finger-holding space on the back side of a portable terminal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14812561 entitled "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고리형태의 손가락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경우, 고리 구조체의 휴대단말기 뒷면상의 설치 위치가 최초 휴대단말기 뒷면 상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고정적으로 확정되어 최근 디스플레이의 크기 자체가 확장되어 출시되는 화면 확장형 휴대단말기를 비롯해 각종 태블릿PC의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고리 구조체에 걸고 나머지 손가락을 이용해 화면 전체영역에 걸쳐 모두 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a conventional ring-shaped finger holding space including the conventional art, the mounting position on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ring structure is fixed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accessory on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of various tablet PCs including a screen-expandabl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ize of the display itself is expan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touch all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creen using one finger while hooking the finger to the ring structure.

또한, 최근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충전 패드로부터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수신하도록 단말기 내에 내장되는 2차코일 형태의 전력 수신기가 단말기 중앙부분에 설치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가 휴대단말기 뒷면상의 중앙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시스템 상의 충전 효율을 저해시키거나 충전 자체를 차단시켜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power receiver of the secondary coil type installed in the terminal to receive the induction current generated from the charging pad is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terminal, the accessory for the portable terminal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ral por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image is deteriorated or the charging itself is block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의 삽입을 통해 파지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구조체가 휴대단말기의 뒷면상에 설치 후에도 유동적으로 위치를 변형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고리구조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한 후 나머지 손가락을 이용해 앞면의 디스플레이상에 가압 터치를 가할 수 있는 터치 가능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ing structure for providing a space for performing gripping by inserting a fing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related to an accessory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expand a touchable area where a finger can be inserted into a ring structure and then a finger can be used to apply a pressure touch to the display on the front side using the remaining finger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하면에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어 위치 고정되기 위한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되어진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홈의 측면에서 홈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 턱을 구비되는 몸체; 손가락 걸림 공간이 구비되는 고리;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슬라이딩 홈 상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몸체에 직교한 상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몸체의 레일 턱에 끼워지고, 타측에 상기 고리가 연결되는 고리 연결체; 및 상기 고리 연결체가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고리 연결체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내장 설치되는 고정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for fixing a position by being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has a sliding groove opened to the outside on the upper surface, A body having a rail jaw extending in a shape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ing having a finger engagement space; A ring connecting body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a rail jaw of the body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sliding groove and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orthogonal to the body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liding groove and the r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installed in the body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loop connector in multiple stages when the loop connector moves along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여기서, 고리 연결체는, 상기 고리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축을 회전 가능하도록 감싸며,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 상측에서 상기 레일 턱 상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제1연결몸체부;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 하측에서 상기 레일 턱 하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제2연결몸체부; 및 양 단부가 상기 제1연결몸체부 및 제2연결몸체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몸체부;를 포함한다.Here, the loop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ody portion that surrounds the connecting shaft formed on one side of the loop and rotatably surrounds the upper side of the rail jaw at an upp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A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located below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a third connecting body portion having both ends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body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또한,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몸체 내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굴곡을 형성하며 상기 제2연결몸체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굴곡 구조의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제2연결몸체부의 위치 고정 혹은 이동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 And a leaf spring for providing a position fixing or movement of the connection body portion.

아울러,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몸체 내 타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다수의 자성부재와 상호 다른 극을 가지는 자성체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xed position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may be provided with a magnetic substance having mutually different poles with the magnetic member.

여기서, 상기 다수의 자성부재는 각각의 중심이 상기 판스프링의 굴곡 구조 상 상대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홈의 외측으로 함입되어진 골 부분과 대칭되어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cen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is symmetrically opposed to the valley portion embedded in the out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leaf spring.

한편으로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몸체 내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제1자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상기 제2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홈의 너비방향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자성부재가 설치된 상기 몸체 하면 측에 접하며, 상기 제1자성부재와 다른 극을 가지는 제2자성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1연장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may include: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of a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and contacting a bottom surface side of the body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and having a second magnetic member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magnetic member; . ≪ / RTI >

여기서, 상기 다수의 제1자성부재는 상기 몸체 내 타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더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걸쳐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상기 제2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홈의 너비방향 타측으로 상기 제1연장부분과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자성부재가 설치된 상기 몸체 하면 측에 접하며, 상기 제2자성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2연장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상기 제1연장부분 및 제2연장부분 내 제2자성부재가 상기 제1자성부재의 상기 몸체 내 위치와 대응되도록 위치할 경우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1연장부분 및 제2연장부분 내 제2자성부재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자성부재 사이에 위치할 경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Here,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The second connection body extends from the second connection body part to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body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And a second elongated port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ic member is received, wherein the second elongated body has a first elongated portion and a second elongated magnetic member in the second elongated portion, When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the first magnetic member arranged at equal intervals, Copper is provided to enable.

그리고 상기 몸체는, 하면에 상기 점착면이 마련된 제1몸체부; 및 상기 슬라이딩 홈이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 연결체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1몸체부의 상면에 하면이 접하도록 상기 제1몸체부에 착탁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having a lower surface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is provided; And a second body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so as to be mating with the first body portion, wherein the slid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 ≪ / RTI >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손가락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를 연결하고 있는 고리 연결체가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을 따라 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고리의 위치가 사용자의 이용목적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일단부분까지 변형 가능하다.First, since the ring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hooks providing the finger catching space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the position of the r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It can be deformed from the center portion to the one end portion.

둘째, 고리 연결체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고리의 손가락 걸림 공간에 하나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한 후 나머지 손가락을 이용해 앞면의 디스플레이상에 가압 터치를 가할 수 있는 터치 가능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ring connector is slidable, a touchable area for applying a pressure touch on the display on the front side can be extended by inserting and holding one finger in the finger engagement space of the ring, and then using the remaining finger .

셋째, 고리 연결체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고리가 휴대단말기의 일단부분에 위치할 수 있어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무선 충전 수행 시, 휴대단말기 중앙부분에 내장된 전력 수신기의 수신 및 충전 과정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저해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는다.Thirdly, since the ring can be slidably moved, the ring can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built-in power receiver does not disturb or interfere with the flow of signals during the reception and charging process.

도1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2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내 고리 연결체와 고리 간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를 통한 슬라이딩 기능 이용 시 고리부의 위치변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를 통한 슬라이딩 기능 이용 시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상의 손가락 가압영역 확장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내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제어수단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내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제어수단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내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제어수단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 ring connector and a ring in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hook when the sliding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hape of a finger pressing region on a user's portable terminal when using a sliding function through the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ccesso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accessory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ccessor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의 구조 및 특징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Structure and Features of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는 몸체(110); 고리(120); 고리 연결체(130); 및 고정위치 제어수단(140);을 포함한다.1 to 4, the portable terminal accesso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Ring 120; A link member 130; And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140).

몸체(110)는 하(下)면에 점착면이 구비되어 휴대단말기(T) 후(後)면(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 기준 상측면)에 몸체(110)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가 휴대단말기(T) 후(後)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body 110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surface on its lower surface so that the body 110 can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a reference upper surface of the accessory 100 for a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accessory 100 for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fix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몸체(110)는 상(上)면에 외측(상측)으로 개방되며 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늘어진 장공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홈(110H)과 슬라이딩 홈(110H)의 측면부로부터 홈(110H)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정 수준 홈(110H)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레일 턱(110C)이 구비된다.The body 110 includes a sliding groove 110H which is opened to the upper side on the upper side and provides a long hole which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And a rail jaw 110C extending inwardly of the groove 110H and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groove 110H.

여기서, 몸체(110) 상측에 마련되는 슬라이딩 홈(110H)과 레일 턱(110C)의 구조는 아래 설명되어질 고리(120) 및 고리 연결체(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써, 레일 턱(110C)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홈(110H)의 상측으로는 고리(120) 및 고리 연결체(13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함과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작용하고, 레일 턱(110C)을 기준으로 슬라이딩 홈(110H)의 하측으로는 레일 턱(110C)에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 고리 연결체(130)의 하단부분(제2연결몸체부(132))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여유공간을 제공한다.The structure of the sliding groove 110H and the rail jaw 110C provided above the body 110 is a structure for forming a space for prov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ing 120 and the ring connector 130, And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ring 120 and the link member 130 to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110H with reference to the rail jaw 110C and serves as a portion for supporting such a structure, The lower end portion (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 132) of the link member 130, which is movably engaged with the rail guide 110C, is slidably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110H, Provide free space.

고리(120)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가 휴대단말기(T)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T)의 파지를 위해 손가락을 삽입하는 소가락 걸림 공간(120T)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사용 방법에 따라 휴대단말기(T)의 거치 시 기울임 및 받침 고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받침기둥으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The hook 120 may be formed in a small hooking space 120T in which a user inserts a finger for grasping the portable terminal T when the accessory 100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T, And may be used as a supporting column which plays a role of tilting and fixing the base of the portable terminal T according to the usage method.

여기서, 링 형상의 고리(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되는 C자형 고리부(120R)와 대칭형 고리부(120R)의 마주보는 양 단부에 삽입 설치되어 아래 설명될 고리 연결체(130)에 연결되는 일측 부위에 해당하는 별도의 연결축을 이루는 연결기둥부(120S)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ing-shaped ring 120 is inserted into opposite ends of the C-shaped ring part 120R and the symmetrical ring part 120R, which are symmetrical as shown in Fig. 2, And a connection pillar part 120S constituting a separate connection shaft corresponding to one side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llar part 120S.

고리 연결체(130)는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110)의 레일 턱(110C)에 일측이 끼워지고, 이와 반대되는 상측에 해당하는 타측에 고리(120)가 연결된다.One side of the link member 130 is engaged with the rail jaw 110C of the body 110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and a ring 120 ).

여기서, 고리 연결체(130)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110)의 레일 턱(110C)에 일측이 끼워짐과 동시에 슬라이딩 홈(110H)의 특정 위치(슬라이딩 홈(110H) 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몸체(110)에 직교한 상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레일 턱(110C)에 일측이 끼워진다.One end of the link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rail protrusion 110C of the body 110 so that sliding movement of the link member 130 can be performed and a specific position of the link groove 130H (a fixed position on the sliding groove 110H) One side is fitted to the rail jaw 110C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vertical axis orthogonal to the body 110.

즉, 고리 연결체(130)는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홈(110H) 상에서 몸체(110)의 상측과 하측이 이루는 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고리 연결체(130)에 연결된 고리(120) 역시 이와 같은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함을 의미한다.That is, the link member 130 can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and can rotate about the axis formed by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ody 110 on the sliding groove 110H, As a result, the loop 120 connected to the loop connector 130 also allows sliding movement and rotation.

이와 같은 고리 연결체(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몸체부(131), 제2연결몸체부(132) 및 제3연결몸체부(133)로 마련되어, 몸체(110)의 레일 턱(110C)에 일측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에 고리(120)을 연결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loop connector 13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body 131, a second connection body 132, and a third connection body 133,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rail jaw 110C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ring 120. [

먼저, 제1연결몸체부(131)는 고리(120) 일측에 형성된 연결축에 해당하는 연결기둥부(120S)를 고리(120)의 해당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감싸며 상호 연결하고, 몸체(110)의 슬라이딩 홈(110H) 상측에서 레일 턱(110C)의 상면에 접하도록 위치한다.The first connection body part 131 surrounds the connection pillar part 120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haf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op 120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connection axis of the loop 120,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110H of the body 110 so as to abut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jaw 110C.

여기서, 고리 연결체(130)의 제1연결몸체부(131)와 고리(120)의 연결기둥부(120S)간의 연결 형태에 대해 설명하면, 제1연결몸체부(13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둥부(120S)의 연결축 외주면을 감싸며 가압에 의해 연결기둥부(120S)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 공간은 제공하되 연결기둥부(120S)의 이탈, 즉 고리(120)의 이탈은 방지하는 부시(Bush) 베어링(131a)과 부시 베어링(131a)을 감싸는 형태로 가압하며 아래 설명될 제3연결몸체부(133)와 연결 또는 일체를 이루는 홀더(132b), 그리고 홀더(132b)의 부시 베어링(131a) 가압 효과를 고정적으로 지속 제공하기 위해 홀더(132b)의 구조를 고정시키는 홀더캡(131c)으로 마련된다.The first connection body part 131 of the loop connector 130 and the connection pillar part 120S of the loop 120 will now be describ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0S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0S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od 120S. A holder 132b which is pressurized in a form to enclose the bush bearing 131a and the bush bearing 131a to be connect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connection body portion 133 to be described below, The bush bearing 131a is provided as a holder cap 131c that fixes the structure of the holder 132b to provide a constant and constant pressure effect.

즉, 고리 연결체(130)의 제1연결몸체부(131)는 고리(120)의 연결기둥부(120S)가 연결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윤활성을 일정 수준 제공하되, 고리(120)의 회동되어 기울어진 정도를 일정 수준 이상의 가압이 가해지지 않는 한 고정되어 해당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고정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기둥부(120S)를 가압 고정하고, 이와 같이 연결된 고리(120)는 제1연결몸체부(13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at is, the first connecting body portion 131 of the loop connector 130 is provided with a certain level of lubricant such that the connecting rod portion 120S of the loop 12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shaft, The connecting pillar 120S is pressed and fixed so that the tilting degree of the connecting pillar 120S is fixed so that the tilting can be maintained as long as the pressure is not applied.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ion body part (131).

다음으로, 제2연결몸체부(132)는 몸체(110)의 슬라이딩 홈(110H) 내측에서 레일 턱(110C)의 하면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제3연결몸체부(133)에 의해 제1연결몸체부(131)와 연결되어 단면 구조가 "工 자"형 구조를 이루게 된다.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 132 is located inside the sliding groove 110H of the body 11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jaw 110C and is connected by the third connection body portion 133 to the first connection body 132. [ Section 131, so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becomes a " tool-like " structure.

여기서, 제2연결몸체부(132)는 고리 연결체(130)가 몸체(110)의 슬라이딩 홈(110H)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고리 연결체(130)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하기 위해 몸체(110)에 내장 설치된 고정위치 제어수단(140)에 연동되어 작용한다.The second connection body part 132 is connected to the body 110 in order to fix the position of the ring connector 130 in multiple stages when the ring connector 130 moves along the sliding groove 110H of the body 110. [ And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140) provided in the main body.

이와 같이 제2연결몸체부(132)와 연동되어 고리 연결체(130)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리(120)를 고정시키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위치 제어수단(140)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대표적인 실시 형태를 아래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Thus, by fixing the ring 120 to the desired position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ring connector 130 in a multi-stage by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connector body 132,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14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and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1)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제어수단의 형태 (1) The form of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우선, 고정위치 제어수단(140)는 제1실시예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 부분(141a)과 골 부분 또는 일자형 평행 부분(141b)이 교차 반복 형성되며 탄성체로 마련되는 판스프링(141)을 통해 고리 연결체(130)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5,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140 includes a crest portion 141a and a crest portion or a flat parallel portion 141b which are alternately repeatedly formed, 141 to fix the position of the link member 130 in multiple stages.

이와 같은 판스프링(141)은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 기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몸체(110)의 일측(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선의 좌측 또는 우측 중 하나)에 굴곡구조가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2연결몸체부(132)의 일측면이 접하도록 내장 설치된다.The leaf spring 14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A bent structure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and is built in such tha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132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groove 110H.

따라서 제2연결몸체부(132)는 판스프링(141)의 굴곡 구조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위치 고정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즉, 판스프링(141)의 인접한 산 부분(141a)사이에 제2연결몸체부(132)가 위치할 경우, 고리 연결체(130)는 해당 인접한 산 부분(141a)사이의 골 부분 또는 일자형 평행 부분(141b)에서 위치가 고정되고, 일정 수준의 힘을 가해 인접한 다음 고정 위치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면 제2연결몸체부(132)가 가압에 의해 산 부분(141a)을 탄성 변형되도록 눌러 이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며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 132 can be fixed or moved as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leaf spring 141 is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when the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132 is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mountain portions 141a of the leaf spring 141, the circular connecting body 130 can be formed as a valley portion or a straight parallel portion When the position is fixed at the portion 141b and the sliding movement to the next adjacent fixed posi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a certain level of force, the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132 is pressed to press the acid portion 141a elastically deformed And a sliding space is provided.

(2)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제어수단의 형태 (2) The form of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고정위치 제어수단(240)는 제2실시예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141) 구조를 전체로 하여 판스프링(141)이 설치된 몸체(110)이 일측과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몸체(110)의 타측(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선의 우측 또는 좌측 중 하나)에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자성부재(242)를 추가 설치되고 제2연결몸체부(132)의 일부 또는 전체가 해당 자성부재(242)와 다른 극의 성질을 띠는 자성체로 마련되어 고리 연결체(130)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함에 있어서 해당 고정력을 조금 더 개선시킬 수 있다.6,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240 includes a body (not shown) having the plate spring 141 as a whole, the structure of the plate spring 14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10) of the sliding groove 110H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on the other side (one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ine of the sliding groove 110H) A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242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re additionally provided and a part or the whole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132 is provided with a magnetic substance having a property of a different polarity from that of the magnetic member 242,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ixing force in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130 in multiple stages.

여기서, 몸체(110)의 타측에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자성부재(242)의 설치 구조는 좀 더 구체적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41)의 굴곡 구조 상 인접한 산 부분(141a)사이 마련되는 골 부분 또는 일자형 평행 부분(141b)의 형성 위치와 다수의 자성부재(242)의 형성 위치가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어 마주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6,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242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is formed by a leaf spring 141 Shaped parallel portion 141b and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242 provided between the adjacent mountain portions 141a on the curved structure of the sliding groove 110H are located on both sides So as to face each other symmetrically.

이는 제2연결몸체부(132)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인접한 산 부분(141a)사이의 골 부분 또는 일자형 평행 부분(141b)이기 때문에, 골 부분 또는 일자형 평행 부분(141b)의 형성 위치와 다수의 자성부재(242)의 형성 위치가 마주보며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어야 고리 연결체(130)의 위치를 다단으로 더욱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132 is fixed is the valley portion or the flat parallel portion 141b between the adjacent mountain portions 141a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valley portion or the flat parallel portion 141b and the number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coupling member 130 of the magnetic coupling member 242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 130 can be more strongly fixed in multiple stages.

(3)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위치 제어수단의 형태 (3) The form of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아울러, 고정위치 제어수단(340)는 제3실시예에 따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 내장된 다수의 제1자성부재(341)와 제2연결몸체부(132)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1자성부재(341)와 다른 극을 띠는 제2자성부재(132M)을 포함하고 있는 연장부분(132a, 132b)간의 자력을 이용해 고리 연결체(130)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3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341 embedded in the body 110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132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132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loop connector 130 is fixed in multiple stages by using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member 341 and the extending portions 132a and 132b including the second magnetic member 132M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magnetic member 341 .

여기서, 다수의 제1자성부재(341)는 몸체(110)의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기준을 양측(좌측과 우측)에 걸쳐 슬라이딩 홈(1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내장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제1자성부재(341)와 타측에 설치된 다수의 제1자성부재(34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위치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다단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34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on both sides (left and right sides) with referenc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s 110H of the body 110,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341 install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341 installed on the other side are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ir installation positions as shown in FIG. Do.

또한, 제2연결몸체부(132)는 상호 대칭을 이루며 슬라이딩 홈(110H)의 너비방향(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 기준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제1자성부재(341)와 다른 극을 띠는 제2자성부재(132M)를 수용하는 제1연장부분(132a)과 제2연장부분(132b)을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s 132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110H along the direction of the accessory 100 as view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nclude a first magnetic member 341, And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132a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132b that receive the second magnetic member 132M having a different polarity.

아울러, 제1연장부분(132a)과 제2연장부분(132b)은 다수의 제1자성부재(341)가 설치된 부분 주변부의 몸체(110) 하면 측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제2연결몸체부(132)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다단 중 하나의 단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자성부재(341)와 제1연장부분(132a)과 제2연장부분(132b)에 각각 내장된 한 쌍의 제2자성부재(132M)가 상호 인력을 통해 제2연결몸체부(132)를 위치 고정시키거나, 상호 인력의 해제를 통해 제2연결몸체부(132)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2a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32b are formed to a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at the periphery of th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341 are installed, A pair of first magnetic members 341 constituting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portions 132a and 132b, The member 132M can position 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 132 via mutual attraction or prov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 132 through releasing the mutual attraction force.

즉, 제2연결몸체부(132)는 제1연장부분(132a)과 제2연장부분(132b) 내 제2자성부재(132M)가 제1자성부재(341)의 몸체(110) 내 위치와 대응되도록 위치할 경우 위치 고정되고, 제1연장부분(132a)과 제2연장부분(132b) 내 제2자성부재(132M)가 다단을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자성부재(341) 쌍 사이에 위치할 경우 인접한 단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body portion 132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magnetic member 132M 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2a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32b is positioned in the body 110 of the first magnetic member 341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341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32a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132M in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132b, If it is located between pairs,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adjacent end.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현 가능한 고정위치 제어수단(140)을 내장하고, 상측으로는 고리 연결체(130) 및 고리(120)가 연결되고 하측으로는 휴대단말기(T) 후면에 부착되기 위한 점착면이 마련되는 몸체(110) 구조는 실시 형태에 따라 2개의 몸체부(111, 112)로 구분되어져 고리의 사용 여부에 따른 착탈 제거 또는 결합이 수시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14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s incorporated, and the ring connector 130 and the ring 1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ring connector 130 and the ring 120 are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T The body 110 is divided into two body parts 111 and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body 110 can be detached or removed depending on whether the ring is used or not.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하면에 점착면이 마련된 제1몸체부(111)와 슬라이딩 홈(110H)이 상면에 마련되어 고리 연결체(130)가 연결되고, 고정위치 제어수단(140)이 내장되며, 제1몸체부(111)의 상면에 하면이 접하도록 제1몸체부(111)에 착탁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부(112)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body 110 has a first body portion 111 and a sliding groove 110H, which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with a sticking surface, A second body part 112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111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1 so as to be mated with the first body part 111, .

이와 같은 제1몸체부(111)와 제2몸체부(112)의 착탈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위해 제1몸체부(111)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된 체결돌기(111C)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제2몸체부(112)의 테두리를 따라서는 제1몸체부(111)의 체결돌기(111C)가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홈(112C)이 형성된다. In order to attach / detach / disengage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12, at least two fastening protrusions 111C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on the rim of the first body part 111 And a fastening groove 112C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111C of the first body part 111 is correspondingly fastened along the rim of the second body part 112 is formed.

따라서 사용자는 고리의 사용 유무에 따라 용이하게 제2몸체부(112)를 제1몸체부(111)로부터 탈착시켜 체결 해제한 뒤, 휴대단말기(T)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use the portable terminal T after the second body part 112 is detached from the first body part 111 and released from the first body part 111 according to whether the ring is used or not.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는 고리 연결체(130), 결과적으로는 고리(120)의 위치를 종래와 같이 고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20)의 위치 변형이 가능하다.The accessory 100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vide a fixed position of the loop connector 130 and consequently the position of the loop 120 as in the prior art. 3 and 4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the position of the loop 120 can be deformed.

이는 우선 종래의 고리형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가 휴대단말기 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을 구축하여 충전 패드로부터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2차코일 형태의 전력 수신기(E)가 단말기 중앙부분에 설치된 휴대단말기의 경우, 고리 구조를 비롯한 전체 액세서리 구조가 이와 같은 무선 충전 시스템 상의 충전 효율을 저해시키거나 충전 자체를 차단시켜버리는 문제점를 해결하기 위함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고리 연결체(130)가 고리(120)의 위치를 휴대단말기(T)의 아래 단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중앙 부분의 신호 흐름에 저해 및 이격 공간 형성 자체를 해소할 수 있다.In this case, a conventional cordless portable terminal accessory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system is constructed, and a secondary coil type power receiver 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whole accessory structure including the ring structure hinders the charging efficiency on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or blocks the charging itself i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install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terminal, As the ring connector 130 moves the position of the ring 120 to the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T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signal flow at the central portion and to form the space for itself.

아울러, 종래의 고리형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가 휴대단말기 후면 중앙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고리에 삽입되는 손가락의 위치를 기준으로 화면상에 나머지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를 수행하거나, 휴대단말기 프레임을 파지함에 있어서 제한된 범위를 제공받았으나, 현재 와이드 혹은 확장형 프레임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가지는 휴대단말기가 다양하게 출시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가압 및 파지 가능 역역(100T)의 확장을 당연시 요구되고 있는 해결과제이며, 이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100)를 통해 해소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accessory for the annular portable terminal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erform touch using the remaining finger on the screen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ring,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a variety of portable terminals having a wide or expandable frame or a display screen are widely available, expansion of the pressurizable and gripable range 100T is naturally required. For example.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연결체(130)가 고리(120)의 위치를 휴대단말기(T)의 후면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공되는 가압 및 파지 가능 역역(100T)의 범위가 휴대단말기(T)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 못하는 경우, 이와 같이 고리(120)의 위치를 휴대단말기(T)의 후면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공되는 가압 및 파지 가능 역역(100T)으로부터 벗어난 범위의 가압 또는 파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리 연결체(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고리(120)의 위치를 휴대단말기(T)의 아래 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 및 파지 가능 역역(100T')의 확장 및 변형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range of the pressable and gripable range 100T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ring connector 1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is determined by the range of the ring connector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ing or grasping of the range from the pressurizing and grasping range 100T provided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ring 120 is positioned at the rear center of the portable terminal T, The position of the loop 120 is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portable terminal T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loop connector 130 to thereby provide the effect of expansion and deformation of the pressurizing and gripping range 100T ' can do.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is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110 : 몸체
111 : 제1몸체부
112 : 제2몸체부
120 : 고리
130 : 고리 연결체
131 : 제1연결몸체부
132 : 제2연결몸체부
133 : 제3연결몸체부
140 : 고정위치 제어수단
100: Accessories for mobile terminals
110: Body
111: first body part
112: second body part
120: Ring
130:
131: first connection body
132: second connecting body part
133: third connecting body part
140: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Claims (8)

하면에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어 위치 고정되기 위한 점착면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되어진 슬라이딩 홈과 상기 슬라이딩 홈의 측면에서 홈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 턱을 구비되는 몸체;
손가락 걸림 공간이 구비되는 고리;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슬라이딩 홈 상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몸체에 직교한 상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몸체의 레일 턱에 끼워지고, 타측에 상기 고리가 연결되는 고리 연결체; 및
상기 고리 연결체가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고리 연결체의 위치를 다단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몸체에 내장 설치되는 고정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 연결체는,
상기 고리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축을 회전 가능하도록 감싸며,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 상측에서 상기 레일 턱 상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제1연결몸체부;
상기 몸체의 슬라이딩 홈 하측에서 상기 레일 턱 하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제2연결몸체부; 및
양 단부가 상기 제1연결몸체부 및 제2연결몸체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A body having a sliding surfac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ixed on a surface thereof, the sliding surface having a sliding groove opened to the outside and a rail jaw extending in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A ring having a finger engagement space;
A ring connecting body having one side inserted into a rail jaw of the body so as to be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sliding groove and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orthogonal to the body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sliding groove and the ring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nd
And a fixed position control means installed in the body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ing connector in multiple stages when the ring connector moves along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The cyclic linking member may be formed,
A first connection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hook and surrounding the connection shaft so as to be rotatable, the first connection body portion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jaw above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A second connecting body portion located below the sliding groove of the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And
And a third connection body part having both ends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body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body part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몸체 내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굴곡을 형성하며 상기 제2연결몸체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굴곡 구조의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제2연결몸체부의 위치 고정 혹은 이동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A plurality of bend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and ar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body so as to fix or move the second connection body through elastic deformation of the bending structure And a leaf spring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몸체 내 타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다수의 자성부재와 상호 다른 극을 가지는 자성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ed-
And a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connection body is partly or entirely provided with a magnetic body having poles mutually different from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성부재는 각각의 중심이 상기 판스프링의 굴곡 구조 상 상대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홈의 외측으로 함입되어진 골 부분과 대칭되어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cen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is symmetrically opposed to the valley portion embedded in the out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leaf spring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몸체 내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제1자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상기 제2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홈의 너비방향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자성부재가 설치된 상기 몸체 하면 측에 접하며, 상기 제1자성부재와 다른 극을 가지는 제2자성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1연장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The second connection body part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bod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and having a different polarity from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a first extending portion which is received in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자성부재는 상기 몸체 내 타측에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더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걸쳐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상기 제2연결몸체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홈의 너비방향 타측으로 상기 제1연장부분과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제1자성부재가 설치된 상기 몸체 하면 측에 접하며, 상기 제2자성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2연장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몸체부는 상기 제1연장부분 및 제2연장부분 내 제2자성부재가 상기 제1자성부재의 상기 몸체 내 위치와 대응되도록 위치할 경우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1연장부분 및 제2연장부분 내 제2자성부재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자성부재 사이에 위치할 경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are further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symmetr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The second connection body part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nection body part to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so as to mutually symmetrically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extending part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body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received withi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body is fixed in position when the first magnetic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ic portion in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are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in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agnetic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when the second magnetic member in the extended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member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면에 상기 점착면이 마련된 제1몸체부; 및
상기 슬라이딩 홈이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 연결체가 연결되고, 상기 고정위치 제어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1몸체부의 상면에 하면이 접하도록 상기 제1몸체부에 착탁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 first body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with the adhesive surface; And
A second body par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groove and connected to the loop connector, the second body part being embedded in the fixed position control part and being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Lt; RTI ID = 0.0 &gt;
Accessories for handheld terminals.
KR1020160002669A 2016-01-08 2016-01-08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KR101823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69A KR101823970B1 (en) 2016-01-08 2016-01-08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69A KR101823970B1 (en) 2016-01-08 2016-01-08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33A KR20170083333A (en) 2017-07-18
KR101823970B1 true KR101823970B1 (en) 2018-02-01

Family

ID=5943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69A KR101823970B1 (en) 2016-01-08 2016-01-08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9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22B1 (en)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Finger grip for samrt device
KR101986914B1 (en) * 2017-11-27 2019-06-21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Accessory of a mobile device
KR101965565B1 (en) * 2017-12-28 2019-04-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phone ring holder
US10627046B1 (en) * 2018-09-28 2020-04-21 Aauxx Usa, Inc. Detachable ring holder, compatible with wireless charging, for smartphone
JP7148967B2 (en) * 2018-11-22 2022-10-06 株式会社ラックンドック Mobile device accessories
KR102220291B1 (en) * 2019-11-06 2021-02-25 권현철 Grip device for smartphone which can move left and right
KR102250246B1 (en) * 2019-12-10 2021-05-10 전대형 Slidable accesory for cellular phone
KR102193615B1 (en) * 2020-05-21 2020-12-21 박가영 Apparatus for holding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EP4229857A1 (en) * 2020-10-13 2023-08-23 PopSockets LLC Magnetic grip accessory
KR102421882B1 (en) * 2021-08-20 2022-07-15 김태형 Multi-Grip for Smartpho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15B1 (en) * 2012-03-29 2012-06-26 정종우 Mobile case
JP2014512709A (en) * 2011-01-11 2014-05-22 チョ,ソン‐モク Portable electronic device gripping instru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2709A (en) * 2011-01-11 2014-05-22 チョ,ソン‐モク Portable electronic device gripping instrument
KR101159815B1 (en) * 2012-03-29 2012-06-26 정종우 Mobil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33A (en)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0B1 (en)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CN110061754B (en) Watch-shaped intelligent terminal
KR101986914B1 (en) Accessory of a mobile device
EP3481036A1 (en) Magic push
CN113229578B (en) Detachable connecting piece and wearable equipment
KR101875432B1 (en) portable terminal cradle installed in compact disc insert
CN204949795U (en) Quick detach module and flexible formula electron device
CN216907079U (en) Wearable device
KR101308506B1 (en) Holder for Portable Data Terminal
CN211600162U (en) Monitoring equipment convenient to cylinder installation construction
CN210143102U (en) Microphone extending structure and earphone
CN210893453U (en) Wire harness temperature sensor structure
CN207835546U (en) Handset bracket
KR102206042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Long pad Detachable
US9625086B2 (en) Fixing device
CN209913892U (en) Mobile phone clamping device
WO2012051748A1 (en) Mouse
CN102237500A (en) Cover latch structure
KR101600528B1 (en) Multi-purpose hanger device detachable on body
CN112268049B (en) Connecting device
CN110912237B (en) Charging stand
CN208782575U (en) Onboard wireless charging equipment and its vehicle-mounted fixing device
JP2016097272A (en) Belt adjustment structure
EP3091269B1 (en) Fixing device
CN210380945U (en) Full screen slide 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