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766B1 -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3766B1 KR101823766B1 KR1020160079916A KR20160079916A KR101823766B1 KR 101823766 B1 KR101823766 B1 KR 101823766B1 KR 1020160079916 A KR1020160079916 A KR 1020160079916A KR 20160079916 A KR20160079916 A KR 20160079916A KR 101823766 B1 KR101823766 B1 KR 1018237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electronic device
- unit
- control unit
- sm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04L67/1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이 개시된다.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동작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전자기기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기기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생성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클라우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및 상기 동작신호출력부를 동작시켜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온(ON)/오프(OFF) 및 상기 전자기기들의 온 상태에서 설정가능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제어를 위한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상기 제2 제어를 위한 제2 이벤트설정부를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탭 구조를 이용하여 스마트 홈 시스템을 간단히 구축할 수 있는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생활가전 및 정보가전기기 또한 기술의 융복합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고루 갖춘 형태로 개발이 되고 있으며, 각 가정 및 사무실에는 이러한 디지털 융복합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능의 융복합화 및 네트워킹 기능의 지원으로 인해 이러한 정보가전기기는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그리고 사용자가 인식도 못하는 사이에 통신대기전력(또는 능동대기전력)을 소모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공된 리모콘 입력을 기다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도 모르게 명령대기전력(또는 수동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가정용 또는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전자 제품들은 최근의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이용료의 저감을 위해 대기전력 감소 등의 절전기능을 구비하도록 정책적으로 장려되고 있다. 이러한 절전기능의 요구는 멀티콘센트에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여러 형태의 절전기능을 구현한 멀티콘센트들이 현재 공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멀티콘센트에 구비된 각각의 콘센트에 개별 스위치를 구비하여 절전기능을 구현하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콘센트는 각각의 콘센트에 구비된 개별 스위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형태이므로 인위적 조작에 의한 대기전력 차단만 가능하므로 인터넷 기술이 발달되어 있는 최근의 환경에 비추어 그 실용성이 낮아지고 있다.
한편, 최근 이동전화와 PC, 인터넷이 결합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삶의 방식이 획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 컴퓨터에서만 접속할 수 있었던 인터넷이 장소에 상관없이 누구나 스마트폰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사물도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활에 밀접한 기기들이 상호간, 혹은 모바일과 통신을 하면서 새로운 서비스 또는 유용한 가치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시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시대를 대비하여 다양한 IT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스마트 홈에 관한 연구이다. 스마트 홈은 스마트 폰과 가전제품들과의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해 스마트한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 한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홈 분야에서 가전기기의 원격제어부분에 85%이상의 사람들이 미래의 홈 네트워크 필요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일반 가정에서 접할 수 없고, 만약 있다 하더라도 기존의 설치된 시스템을 자신에 맞게 추가하거나 제거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값비싼 비용도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홈 시스템을 간단히 구축할 수 있고, 전자기기들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원격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전자기기들을 원격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동작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전자기기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기기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생성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클라우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및 상기 동작신호출력부를 동작시켜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온(ON)/오프(OFF) 및 상기 전자기기들의 온 상태에서 설정가능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제어를 위한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상기 제2 제어를 위한 제2 이벤트설정부를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신호출력부는 적외선 리모컨(IR remote)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환경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정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데이트된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측정정보를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주변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가 위치하는 실내공간을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촬영정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데이트된 촬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연결부가,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기기접속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고유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저장된 특정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고유값과 상기 특정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이벤트설정부에 의한 상기 제1 제어에 우선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 및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기기접속부;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접속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고유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저장된 특정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고유값과 상기 특정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및 상기 전자기기접속부, 제어장치접속부, 블루투스모듈, 저장부, 전원제어부를수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연결되어, 상기 제1 이벤트설정부에 의한 상기 제어부의 제1 제어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원제어부의 전원 공급여부의 제어는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값은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로 수신된 상기 고유값일 수 있고, 상기 특정값은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는 제어는, 상기 스마트기기에 특정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특정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고유값을 수신하여 특정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특정값을 상기 전원제어부로 송신하며, 상기 특정값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을 상기 전원제어부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제어부가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고유값과 상기 특정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연결부가, 상기 전자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전자기기연결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연결감지부는,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경우 제1 전자기기접속정보를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2 전자기기접속정보를 제어부로 입력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어부로 입력된 상기 제1 전자기기접속정보 및 제2 전자기기접속정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데이트된 상기 제1 전자기기접속정보 및 제2 전자기기접속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 의하면, 실내공간에 위치한 전자기기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개별 제어할 수 있고, 각각의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사용 가능한 기능들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개별 제어하여 전자기기들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실내공간의 현재 상태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내환경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들 중 하나 이상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각각의 연결부(120)를 멀티탭 구조로 배치되고, 각각의 연결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스마트 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실내공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각각의 연결부 및 스마트기기간의 직접적인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 여부의 제어가 스마트기기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개별 제어할 때 전자기기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가 어느 위치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전자기기가 접속되지 않은 연결부의 전원 공급여부의 제어 및 접속되지 않은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불필요한 조작이 생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전자기기들을 연결하여 스마트 홈 시스템을 구축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각각의 연결부의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전자기기들을 연결하여 스마트 홈 시스템을 구축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각각의 연결부의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자기기 제어장치(100) 및 클라우드서버(200)를 포함한다.
전자기기 제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며, 본체부(110), 복수의 연결부(120), 제어부(130) 및 동작신호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복수의 연결부(120), 제어부(130) 및 동작신호출력부(14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본체부(11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함체 형태일 수 있다. 함체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복수의 연결부(120)는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탭에 구비되는 콘센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연결부(120)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연결부(120)에 복수 개의 전자기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130)를 통하여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이 제어되는 경우에 연결부(120)에 연결된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연결부(120)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동작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30)는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는 각각의 연결부(120)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제어는 각각의 연결부(120)에 전원의 공급을 인가하여 전자기기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각각의 연결부(120)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이 완전히 차단되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제어는 각각의 연결부(120)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온(ON)/오프(OFF) 및 각각의 연결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가능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 자체의 설정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기기가 에어컨인 경우 에어컨의 온/오프 및 에어컨 자체에서 설정 가능한 온도 설정 기능에 연계되어 에어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제어는 제어부(130)가 동작신호출력부(140)를 동작시켜서 동작신호출력부(140)를 통해 각각의 전자기기에 동작명령을 전달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동작신호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지시에 따라 각각의 연결부(120)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로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동작신호출력부(140)는 적외선 리모컨(IR remote)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들로써,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00) 및 스마트기기(300)와 무선통신하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스마트기기(3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어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 적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인 응용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기기(300)에서 다운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스마트기기(300)에서 생성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전자기기 제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기기(300)는 휴대가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PDA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130)의 제1 제어를 위한 제1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상기 제어부(130)의 제2 제어를 위한 제2 명령신호를 생성하는 제2 이벤트설정부를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130)는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제1 명령신호 및 제2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제어장치(100) 및 클라우드 서버(200)간의 통신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또는 지그비(Zigbee) 또는 유에스엔(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기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 제어장치(100) 및 클라우드 서버(200)간의 통신 방법의 또 다른 예로서, 저전력 장거리 통신기술(LPWA: Low Power Wide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저전력 장거리 통신기술은 Lora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Lora 통신은 무선통신을 서비스하는 통신사들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 제어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센서(410, 420, 430, 440), 출력수단(450) 및 카메라(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410, 420, 430, 44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환경변화를 측정한다. 일 예로, 센서는 온도 센서(410), 습도 센서(420), 조도 센서(430), 공기측정센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410)는 실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습도 센서(420)는 실내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고, 조도 센서(430)는 실내의 광량을 측정할 수 있고, 공기측정센서(440)는 실내의 공기중에 존재할 수 있는 VOCs 및 실내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본체부(110)에 내장되어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정보는 제어부(13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서버(200)로 업데이트되는 센서들의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기기(300)의 화면에 문자, 이미지, 음성 등의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출력수단(450)은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정보를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주변으로 출력한다. 출력수단(450)은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본체부(110)에 내장되어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어부(130)는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측정정보를 출력수단(450)을 통해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수단(450)은 램프, 스피커, 액정디스플레이 중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46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실내공간을 촬영한다. 카메라(46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본체부(110)에 내장되어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어부(130)는 카메라(460)가 촬영정보, 즉 영상을 획득하거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카메라(460)를 제어할 수 있고, 카메라(46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및 이미지의 촬영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서버(200)로 업데이트되는 영상 및 이미지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은 스마트기기(300)에 카메라(460)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제2 이벤트설정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전자기기들을 연결하여 스마트 홈 시스템을 구축한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와 연결되는 전자기기들은 적외선 수발신기를 구비하는 형태의 에어컨(10), 텔레비전(20), 조명등(30), 공기청정기(40)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연결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120)가 콘센트인 경우 각각의 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콘센트에 끼워져서 연결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들의 제어를 위해, 먼저,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200)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제어프로그램을 스마트기기(300)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300)에는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제2 이벤트설정부가 제공된다.
이제 사용자는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제2 이벤트설정부를 통해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이벤트설정부를 통해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연결부(120)에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벤트설정부는 스마트기기(300)에 연결부(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온/오프스위치 이미지들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온/오프스위치를 선택하여 온(ON)시키는 이벤트에 따른 명령신호를 생성하면 생성된 명령신호는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제어부(130)로 수신되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명령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온/오프스위치와 연계된 연결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제어를 실행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120)에 연결된 전자기기로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기기가 동작 가능한 상태, 즉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기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된 이후, 제2 이벤트설정부를 통해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전자기기의 온/오프 및 전자기기의 온 상태에서 설정가능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이벤트설정부는 스마트기기(300)에 온/오프선택버튼 및 하나 이상의 기능선택버튼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온/오프선택버튼을 조작하는 이벤트에 따른 명령신호를 생성하고, 이어서 기능선택버튼을 조작하는 이벤트에 따른 또 다른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의 전원을 킨 후 전자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명령신호들은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제어부(130)로 수신되어, 제어부(130)는 수신된 명령신호들에 따라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전자기기의 전원을 켤 수 있고 이어서 전원이 켜진 전자기기의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는 제2 제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대기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전자기기가 에어컨인 경우 온/오프선택버튼을 조작하여 에어컨의 전원을 켠 후, 기능선택버튼을 조작하여 에어컨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벤트설정부를 통한 전자기기의 제어는 제어부(130)가 동작신호출력부(140)를 통해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신호출력부(140)를 적외선 리모컨으로 구성하여 전자기기의 적외선 수발신기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전자기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은 하나 이상의 센서, 예를 들어, 앞서 예시된 온도 센서(410), 습도 센서(420), 조도 센서(430), 공기측정센서(440)에서 측정된 측정정보가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스마트기기(300)로 제공되면, 사용자는 스마트기기(300)에 제공된 각 센서의 측정정보에 따라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410)가 실내온도를 측정한 측정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실내온도가 높은 경우 사용자는 앞서 설명된 스마트기기(300)에 제공된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제2 이벤트설정부를 통한 전자기기의 제어과정을 통해 에어컨을 동작시켜서 실내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자기기의 제어과정뿐만 아니라 카메라(460)를 통한 실내공간의 감시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 제2 이벤트설정부를 통해 스마트기기(300)에 제공되는 카메라(460)의 온/오프 기능을 통해 카메라(460)를 온(ON)시키면, 카메라(460)는 실내공간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는 제어부(13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200)로 업데이트된 후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스마트기기(30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기기(300)에 제공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해 실내공간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내공간에 위치한 전자기기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개별 제어할 수 있고, 각각의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사용 가능한 기능들을 외부에서 원격으로 개별 제어하여 전자기기들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실내공간의 현재 상태를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내환경의 현재 상태에 따라 전자기기들 중 하나 이상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각각의 연결부(120)를 멀티탭 구조로 배치되고, 각각의 연결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스마트 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실내공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 및 클라우드 서버(1200)를 포함하고,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는 복수의 연결부(1120), 제어부(1130) 및 동작신호출력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제어부(1130) 및 동작신호출력부(1140), 클라우드 서버(12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전자기기 제어장치(100)의 제어부(130) 및 동작신호출력부(140), 클라우드 서버(200)와 동일하므로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제어부(1130) 및 동작신호출력부(1140), 클라우드 서버(1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복수의 연결부(1120)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연결부(1120)는 전자기기접속부(1121), 블루투스모듈(1122), 저장부(1123), 전원공급부(1124), 전원제어부(1125) 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접속부(1121)는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접속부(1121)는 멀티탭의 콘센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다.
블루투스모듈(1122)은 스마트기기(1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는 휴대가 가능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PDA 등일 수 있으며, 스마트기기(1300)에는 통신형 전원제어장치(11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마트기기(1300)에는 클라우드 서버(1200)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제어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 적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인 응용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스마트기기(1300)에서 다운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1300)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은 스마트기기(1300)와 연결부(1120)의 블루투스모듈(1122) 사이의 무선통신의 실행 여부를 조작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할 스마트기기(1300)에 저장된 특정값을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20)는 고유값을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유값은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제조단계에서 미리 저장되는 각각의 연결부(1120)에 대한 고유의 식별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고유값은 상기 스마트기기(1300)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하여서도 변경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124)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제어부(1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130)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제어부(1125)는 블루투스모듈(1122)을 통하여 스마트기기(1300)에 저장된 특정값을 수신할 수 있고, 스마트기기(1300)에 저장된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125)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124)를 통하여 전원을 전자기기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제어부(1125)가 블루투스모듈(1122)을 통하여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부(1124)로부터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스마트기기와 블루투스모듈(1122)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일 수 있고, 스마트기기(1300)와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 사이의 거리가 일정거리 예를 들면 약 10m 안팎의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1300)와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 사이의 거리는 스마트기기(1300)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스마트기기(1300)의 특정값이 블루투스모듈(1122)을 통하여 전원제어부(1125)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통신장애, 블루투스모듈(1122)의 고장 또는 일정거리 내에 스마트기기(13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일 수 있다.
특정값은 스마트기기(1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특정값이 미리 스마트기기(1300)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블루투스모듈(1122)을 통하여 스마트기기(1300)로 수신된 고유값이 스마트기기(1300)의 특정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연결부(1120)의 블루투스모듈(1122)을 통해 수신된 고유값이 스마트기기(1300)의 특정값으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1120)의 블루투스모듈(1122)로부터 고유값을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라면 스마트기기의 종류에 제한 없이 통신형 전원제어장치(100)를 통하여 전자기기의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값은 스마트기기(1300)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고, 특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연결부(1120)는 특정값이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전원제어부(1125)는 전원공급부(1124)를 제어하여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인 블루투스모듈(1122)을 통한 무선통신의 경우, 일반적으로 페어링(pairing)을 통하여 특정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테이터 송수신 과정이 필요하고, 테이터 송수신을 위하여는 페어링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또한, 블루투스 기기에 따라 페어링 연결 시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노트북에 블루투스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연결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경우에는 각각의 연결부(1120)의 저장부(1123)에 저장된 고유값과 스마트기기의 특정값의 일치여부를 통하여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블루투스를 이용한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는 스마트기기(1300)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이벤트설정부에 의한 제어부(1130)의 제1 제어에 우선하여 동작한다. 즉, 스마트기기(1300)가 각각의 연결부(1120)의 블루투스모듈(1122)과 통신할 수 없는 거리에 있어서 전원공급부(1124)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1300)에서 제1 이벤트설정부를 통해 실행되는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명령신호에 따라 제어부(1130)가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제1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각각의 연결부(1120)의 전원제어부(1125)에 의한 전원의 공급 차단의 제어는 무시되고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각각의 연결부의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이 제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각각의 연결부(1120)의 블루투스모듈(1122)을 통해 스마트기기(1300)와 무선통신하여 전자기기로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저장된 스마트기기에 특정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1). 일 예로 특정값의 검색은 스마트기기(1300)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에 특정값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1120)에 저장된 고유값을 수신하여 스마트기기의 특정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특정값을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연결부(1120)의 전원제어부(1125)로 송신하며, 상기 특정값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을 연결부(1120)의 전원제어부(1125)로 송신한다(S2).
스마트기기와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연결부(1120) 사이의 고유값과 특정값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일 예로 블루투스를 이용한 고유값과 특정값의 송수신은 스마트기기와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연결부(1120) 간의 사전 설정이나 페어링 없이 저 에너지 블루투스의 어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연결부(1120)의 전원제어부(1125)가 특정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특정값이 고유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고유값과 특정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특정값이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S3).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의 저장부에 저장된 고유값과 스마트기기의 특정값의 일치여부를 통하여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블루투스를 이용한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전원의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스마트기기와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의 블루투스모듈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일 수 있고, 스마트기기와 전자기기 제어장치 사이의 거리가 약 10m 안팎의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와 전자기기 제어장치 사이의 거리는 스마트기기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스마트기기의 특정값이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의 전원제어부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통신장애, 블루투스모듈의 고장 또는 일정거리 내에 스마트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일 수 있다.
특정값은 스마트기기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고, 특정값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특정값이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의 전원제어부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의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과정은 스마트기기(1300)가 전자기기 제어장치와 근접하여 있는 경우, 즉 스마트기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실내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전자기기들로 대기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기기가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연결부의 블루투스모듈과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전자기기들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스마트기기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이벤트설정부에 의한 제어부의 제1 제어에 우선하여 동작하므로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전자기기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이용하면,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각각의 연결부 및 스마트기기간의 직접적인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 여부의 제어가 스마트기기에 제공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추가의 기능 및 효과를 갖는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 클라우드 서버(2200) 및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를 포함한다.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 및 클라우드 서버(22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전자기기 제어장치(100) 및 클라우드 서버(200)와 동일하므로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 및 클라우드 서버(2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각각의 연결부(2120)에 결합되어 연결부(2120) 및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는 전자기기접속부(2410), 제어장치접속부(2420), 블루투스모듈(2430), 저장부(2440), 전원제어부(2450) 및 몸체부(2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접속부(2410)는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접속부(2410)는 멀티탭의 콘센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장치접속부(242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연결부(2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드면, 제어장치접속부(2420)는 플러그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장치접속부(242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연결부(2120)를 콘센트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연결부(2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제어부(245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연결부(2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전원제어부(245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연결부(2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전원제어부(245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부(2460)는 전자기기접속부(2410), 제어장치접속부(2420), 블루투스모듈(2430), 저장부(2440), 전원제어부(245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2460)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형태일 수 있다. 전자기기접속부(2410)가 콘센트 형태이고, 제어장치접속부(2420)가 플러그 형태인 경우 콘센트 및 플러그는 몸체부(2460)의 일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루투스모듈(2430), 저장부(2440) 및 전원제어부(245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설명과정에서 설명된 블루투스모듈(1122), 저장부(1124) 및 전원제어부(1125)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블루투스모듈(2430), 저장부(2440) 및 전원제어부(24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각각의 연결부(212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전원공급부(1124)와 같이 기능하며, 전원제어부(245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연결부(2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120)로부터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스마트기기와 직접적으로 무선통신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의 각각의 연결부(1120)가 전자기기 제어장치(1100)에 내장되도록 구성된 것과 달리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와 별도로 구성되어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접속부(2410)를 콘센트 형태로 구비하고, 제어장치접속부(2420)를 플러그 형태로 구성하여 콘센트 형태의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연결부(2120)에 제어장치접속부(2420)를 결합하여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와 연동되는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러한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는 클라우드 서버(2200)를 통해 스마트기기(2300)에 제공된 제어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제1 이벤트설정부에 의한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제어부(2130)의 제1 제어가 실행되는 경우 전원제어부(2450)의 전원 공급여부의 제어는 비활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원제어부(2450)는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제어부(2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통신형 제어장치(2100)의 플러그 형태의 제어장치접속부(2420)에 전원제어부(2450)로부터 연장된 제1 단자를 별도로 마련하고,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콘센트 형태의 각각의 연결부(2120)에 제어부(2130)로부터 연장된 제2 단자를 별도로 마련하여, 제어장치접속부(2420)가 각각의 연결부(2120)에 결합되는 경우, 즉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접촉되도록 하여 전원제어부(2450) 및 전자기기 제어장치(2100)의 제어부(2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통신형 전원제어장치(2400)의 블루투스모듈(2430)을 통해 스마트기기(2300)와 무선통신하여 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전원제어부(1125)가 전원공급부(1124)를 제어하는 것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제어부(2450)가 연결부(2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제어로 대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자기기 제어장치(3100)의 각각의 연결부(3120)가 전자기기연결감지부(3121)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자기기연결감지부(312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자기기연결감지부(3121)는 전자기기 제어장치(3100)의 각각의 연결부(3120)에 구비되며, 각각의 연결부(3120)에 전자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전자기기 제어장치(3100)의 제어부(3130)로 입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자기기연결감지부(3121)는 전자기기가 연결부(3120)에 연결된 경우 제1 전자기기접속정보를 전자기기 제어장치(3100)의 제어부(3130)로 입력하고, 전자기기가 연결부(312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2 전자기기접속정보를 전자기기 제어장치(3100)의 제어부(3130)로 입력하도록 동작한다. 일 예로, 전자기기연결감지부(3121)는 전자기기의 전원플러그와 접촉 및 이격될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 형태 또는 스위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연결감지부(3121)와 연계하여, 제어부(3130)로 입력된 제1 전자기기접속정보 및 제2 전자기기접속정보는 제어부(313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200)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이어서 제어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서버(3200)에 업데이트된 제1 전자기기접속정보 및 제2 전자기기접속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기기(33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기기(3300)에 제공되는 제1 전자기기접속정보 및 제2 전자기기접속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스마트기기(3300)의 화면에 각각의 연결부(3120)를 의미하는 이미지를 연결부(3120)의 수대로 표시하고, 각각의 연결부(3120)를 의미하는 화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수의 점멸가능한 화상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연결부(3120)에 전자기기가 접속된 경우 점멸가능한 화상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각각의 연결부(3120)에 전자기기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점멸가능한 화상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전자기기연결감지부(3121)를 통해 전자기기 제어장치(3100)의 각각의 연결부(3120)에 전자기기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기기(33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연결부(3120)에 연결된 전자기기를 개별 제어할 때 전자기기 제어장치(3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가 어느 위치의 연결부(3120)에 연결되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전자기기가 접속되지 않은 연결부(3120)의 전원 공급여부의 제어 및 접속되지 않은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불필요한 조작이 생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전자기기들을 제어하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동작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전자기기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기기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생성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클라우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및 상기 동작신호출력부를 동작시켜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온(ON)/오프(OFF) 및 상기 전자기기들의 온 상태에서 설정가능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제어를 위한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상기 제2 제어를 위한 제2 이벤트설정부를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신호출력부는 적외선 리모컨(IR remote)이고,
스마트 홈 시스템은,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 및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기기접속부;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장치접속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고유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저장된 특정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고유값과 상기 특정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및
상기 전자기기접속부, 제어장치접속부, 블루투스모듈, 저장부, 전원제어부를수용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형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연결되어, 상기 제1 이벤트설정부에 의한 상기 제어부의 제1 제어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원제어부의 전원 공급여부의 제어는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가 설치된 실내공간의 환경변화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정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데이트된 측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측정정보를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의 주변으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가 위치하는 실내공간을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촬영정보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업데이트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데이트된 촬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삭제
-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 상기 복수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동작을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전자기기로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 및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하고,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기기로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생성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클라우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및 상기 동작신호출력부를 동작시켜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에 연결된 각각의 전자기기의 온(ON)/오프(OFF) 및 상기 전자기기들의 온 상태에서 설정가능한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제어를 위한 제1 이벤트설정부; 및 상기 제2 제어를 위한 제2 이벤트설정부를 상기 스마트기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부는,
상기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기기접속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고유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상용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에 저장된 특정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고유값과 상기 특정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값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값이 상기 고유값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이벤트설정부에 의한 상기 제1 제어에 우선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916A KR101823766B1 (ko) | 2016-06-27 | 2016-06-27 |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916A KR101823766B1 (ko) | 2016-06-27 | 2016-06-27 |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154A KR20180001154A (ko) | 2018-01-04 |
KR101823766B1 true KR101823766B1 (ko) | 2018-03-14 |
Family
ID=6099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9916A KR101823766B1 (ko) | 2016-06-27 | 2016-06-27 |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376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4722A (ko) | 2019-06-19 | 2020-12-30 | 나연재 | 주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스마트 파티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400446A1 (en) * | 2018-12-10 | 2021-12-23 | Miro Co., Ltd. | Sensor-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and control method |
KR102225561B1 (ko) * | 2019-07-31 | 2021-03-09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냉난방기용 스마트 멀티탭 |
KR102348300B1 (ko) * | 2019-11-07 | 2022-01-06 |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물 인터넷 기반의 diy 스마트홈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622Y1 (ko) * | 2005-04-08 | 2005-06-20 | 이희영 | 감시기능을 갖는 인터넷 제어형 전원멀티탭 |
KR100785866B1 (ko) * | 2007-07-04 | 2007-12-14 |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 친환경적인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
-
2016
- 2016-06-27 KR KR1020160079916A patent/KR1018237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622Y1 (ko) * | 2005-04-08 | 2005-06-20 | 이희영 | 감시기능을 갖는 인터넷 제어형 전원멀티탭 |
KR100785866B1 (ko) * | 2007-07-04 | 2007-12-14 |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 친환경적인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4722A (ko) | 2019-06-19 | 2020-12-30 | 나연재 | 주변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스마트 파티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154A (ko) | 2018-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92634B2 (en) |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 |
KR101823766B1 (ko) | 멀티탭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 |
US10848789B2 (en) | Gatew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US7911338B2 (en) | Wireless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efor | |
EP2744153B1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 |
US20140129006A1 (en) |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1469924B2 (en) | Gatew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JP6576021B2 (ja) | サーバ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 |
US10101771B2 (en) |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 |
AU2013364730B2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 |
KR101841014B1 (ko) | 동글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홈 조명 시스템 | |
KR20170047055A (ko) | 전원제어 시스템 | |
US11553214B2 (en) |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US20190335599A1 (en) | Integration device for integrating function modules | |
US11978337B2 (en) |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US20170322618A1 (en) | Electric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device control method using same | |
US11910031B2 (en) |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KR20150118466A (ko) | 네트워크의 자동 구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방법 | |
KR20220100384A (ko) | 위치 기반의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매체 | |
US20230083823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multiple iot devices,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storage medium | |
US11507116B2 (en) |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 |
KR101639673B1 (ko) |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전원공급 제어방법 | |
KR20230039996A (ko) |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 |
KR20240111272A (ko) |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 |
PRABHU et al. | Human Assistance Mechanism Using Real World Embedded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