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724B1 -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724B1
KR101823724B1 KR1020137025131A KR20137025131A KR101823724B1 KR 101823724 B1 KR101823724 B1 KR 101823724B1 KR 1020137025131 A KR1020137025131 A KR 1020137025131A KR 20137025131 A KR20137025131 A KR 20137025131A KR 101823724 B1 KR101823724 B1 KR 10182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gene
reactor
oligomer
gas
polycarbonate olig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9405A (en
Inventor
가즈히로 세키구치
히로아키 모테기
도시유키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6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2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 C08G64/24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yl halides and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안전하게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상시에 있어서도 유해한 포스겐을 계 외로 누설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무해화하기 위한 제어 방법.A method for safely manufacturing a polycarbonate oligomer,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detoxifying harmful phosgene even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without leaking out of the system.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안전한 연속 제조를 위한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secure continuous production of a polycarbonate oligomer,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안전한 연속 제조를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the safe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carbonate oligomers.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으로는, 2 가 페놀류 (비스페놀류) 와 포스겐을 직접 반응시키는 계면법, 비스페놀류와 디페닐카보네이트를 무용매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법이 알려져 있지만, 품질이 양호한 폴리카보네이트가 얻어지는 점에서, 계면법이 주류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을 참조).In general, as a production method of a polycarbonate, there are known an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in which biphasic phenols (bisphenols) are directly reacted with phosgene, and an ester exchange method in which bisphenols and diphenyl carbonate are reacted under solventless conditions. However, Since the carbonate is obtained, the interface method becomes mainstream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계면법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원료로는 비스페놀류,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화합물 및 포스겐이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말단 정지제 (분자량 조절제) 등이 첨가된다. 또, 폴리카보네이트의 공업적 제조 플랜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스페놀류의 알칼리 수용액에 포스겐을 불어 넣어 반응성의 클로로포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생성시키고, 이 생성과 동시에 혹은 축차적으로, 추가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와 비스페놀류의 알칼리 수용액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가 제조되고 있다.In the interfacial method, bisphenols, alkali compounds such as sodium hydroxide and phosgene are used as raw materials of the polycarbonate, and if necessary, a terminal stopper (molecular weight regulator) is added. In an industrial production plant for polycarbonate, phosgene is generally blown into an alkali aqueous solution of bisphenols to produce a polycarbonate oligomer having a reactive chloroformate group, an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ith the polycarbonate oligomer, a polycarbonate oligomer And an alkali aqueous solution of a bisphenol are reacted to produce a polycarbonate.

특허문헌 2 에는, 포스겐을 증류 정제하여 얻어지는 액화 포스겐을 저장하고, 그 액화 포스겐을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of storing liquid liquefied phosgene obtained by distillation purification of phosgene and producing polycarbonate using the liquefied phosgene.

그러나, 포스겐은 독성이 높기 때문에, 저장해 두는 것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예를 들어 액화 포스겐 저장조가 부식 등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는 포스겐이 누설된다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그러한 리스크는 포스겐 제해 설비를 설치함으로써 저감시킬 수 있지만, 포스겐의 보유량이 많기 때문에, 포스겐을 제해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는 한편, 단시간에 제해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설비가 필요하여 비용이 든다.However, since phosgene is highly toxic, it is no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to store it. For example, there is a risk that phosgene leaks if the liquefied phosgene reservoir is destroyed by corrosion or the like. Such a risk can be reduced by installing a phosgene detoxification facility. However, because the amount of phosgene retained is large, it takes time to detoxify the phosgene, and in order to detoxify in a short time, a large-scale facility is required.

특허문헌 3 에는, 염소 및 일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포스겐 가스를 액화하지 않고, 그대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에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연속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액화 포스겐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계 내의 포스겐의 보유량이 적게 해결된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continuous production method of a polycarbonate oligomer used for producing a polycarbonate oligomer without directly liquefying a phosgene gas obtained by reacting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amount of phosgene retained in the system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method using liquefied phosgene.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31916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33191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61321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261321 국제 공개 제2007/083721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7/083721

염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스겐 반응기 내에서 반응시켜 포스겐 가스를 생성시킬 때, 반응기 내부는 발열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냉각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 내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해 둘 필요가 있다. 어떠한 트러블에 의해 냉각이 충분하지 않게 되면, 포스겐 반응기 내의 반응 온도가 제어 불능의 상태가 되어, 국소적으로 포스겐 반응기가 고온이 되어, 파손되어 계 외로 누설될 가능성도 있다. 또, 더욱 반응기 내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그 결과로서 부생성물인 사염화탄소가 다량으로 생성되고, 그 사염화탄소가 폴리카보네이트 제품 중에 혼입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등의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기록막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Since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are reacted in the phosgene reactor to generate phosgene gas, the inside of the reactor generates an exothermic re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inside of the phosgene reactor at a constant temperature by cooling from the outside. If the cooling is not sufficient due to any trouble, the reaction temperature in the phosgene reactor becomes uncontrollable, and the phosgene reactor locally becomes hot, and may be damaged and leak out of the system. Furth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reactor becomes excessively high, a large amount of carbon tetrachloride, which is a by-product, is produced, and the carbon tetrachloride is incorporated into the polycarbonate product. This is not preferable, for example, when used as a substrate for an optical disk or the like, because it adversely affects the recording film.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의 어느 것에도 이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대해서는 상정되어 있지 않고, 유해한 포스겐을 계 외로 누설하지 않고 제해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none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suggests a case where these problems have occurred, and a method of producing polycarbonate while detoxifying harmful phosgene without leaking out of the system is not disclo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할 때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상시에 있어서도 자동적으로 장치를 정지시키고, 또한 유해한 포스겐을 계 외로 누설하지 않고 제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polycarbonate oligomer in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 a method for automatically stopping the apparatus even in the event of an abnormality and for removing harmful phosgene without leaking outside the system And the like.

상기 과제는 하기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a control method of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described below.

염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스겐 반응기에 공급하여 미반응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포스겐 가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 (1), 그리고 상기 공정 (1) 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된 포스겐 가스, 2 가 페놀의 알칼리 수용액 및 유기 용매를 올리고머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 (2) 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으로서,(1)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phosgene gas containing unreacted carbon monoxide by supplying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a phosgene reactor, and a step (1)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phosgene gas, an alkali aqueous solution of a dihydric phenol, and an organic A process for controlling continuous production of a polycarbonate oligomer comprising continuously (2) continuously feeding a solvent into an oligomer reactor to continuously prepare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polycarbonate oligomer,

하기 조건 (ⅰ) 및/또는 (ⅱ) 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 (1) 에 있어서의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또한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를 제해 수단으로 이송하여 무해화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The supply of the chlorine and the carbon monoxide in the step (1) is stopped,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is stopped, and the supply of the phosgene to the oligomer reactor is stopped when the following conditions (i) and / A method for controlling continuous production of a polycarbonate oligomer wherein a toxic gas containing a gas is transferred to a detoxifying means to render it harmless.

조건 (ⅰ) :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이 정상시에서 25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Condition (i):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is lowered by more than 25% at normal time.

조건 (ⅱ) :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가 정상시에서 5 ℃ 이상 상승했을 경우.Condition (ii): When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phosgene reactor cooling water (T1) has risen by more than 5 ° C at normal temperature.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계면법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연속 제조에 있어서,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 트러블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 내의 이상 반응이 일어났을 경우에도, 포스겐 반응기가 파손되는 등의 사고를 일으키지 않고, 포스겐 원료인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 그리고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의 공급을 자동 정지시킴과 함께, 계 내의 포스겐을 제해 수단으로 이송하도록 자동 제어하여, 포스겐을 계 외로 누설하지 않고 안전하게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by the interfacial method, even when an abnormal reaction occurs in the phosgene reactor due to the cooling trouble of the phosgene reactor, no accident such as breakage of the phosgene reactor is caused ,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as raw materials of the phosgene and the supply of phosgene to the oligomer reactor are automatically stopped and the phosgene in the system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be transferred to the detoxification means to safely manufacture the polycarbonate oligomer without leaking the phosgene out of the system can do.

도 1 은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outlining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polycarbonate olig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은, 계면법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연속 제조에 있어서,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및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를 항상 감시하고, 후술하는 조건 (ⅰ) 및/또는 (ⅱ) 를 만족하는 경우에, 포스겐 원료인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 그리고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의 공급을 자동 정지시킴과 함께, 계 내의 포스겐을 제해 수단으로 이송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방법이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monitors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and the outlet temperature (T1) of the cooling water of the phosgene reactor in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by the interfacial method, When the conditions (i) and / or (ii) are satisfied, automatic control for feeding the phosgene in the system to the detoxification means, with automatic stopping of the supply of the phosgene raw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and the supply of phosgene to the oligomer reactor .

또한, 포스겐 반응기 내에 있어서 국소적인 온도 상승이 없는지 감시한다는 관점에서는, 포스겐 반응기 내에 복수의 온도계를 설치하여 내부, 특히 촉매층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포스겐 반응기 내, 특히 촉매층에 복수의 온도계를 설치하는 경우, 비용 상승이나 메인터넌스의 부하가 증대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온도계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포스겐 가스가 누설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및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를 항상 감시하여, 정상시의 조건으로부터 일탈이 없는가 확인함으로써 포스겐 반응기 내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이 없는가 감시한다.It is also ideal to provide a plurality of thermometers in the phosgene reactor to direct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especially the catalyst bed, from the viewpoint of monitoring whether there is a local increase in temperature in the phosgene reactor. However, when a plurality of thermometers are provided in the phosgene reactor, in particular, in the catalyst layer,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cost and a load of maintenance are increase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phosgene gas leaks from the point where the thermometer is installed. no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and the outlet temperature (T1) of the cooling water of the phosgene reactor are monitored at all time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no abnormal temperature rise in the phosgene reactor.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Production of polycarbonate]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은, 2 가 페놀류와 포스겐을 직접 반응시키는 계면법에 적용되고, 연속 반응 방식에 있어서 적용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nterfacial method in which the divalent phenol and phosgene are directly reacted, and is applied in the continuous reaction method.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염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스겐 반응기에 공급하여 미반응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포스겐 가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 (1), 그리고 상기 공정 (1) 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된 포스겐 가스, 2 가 페놀의 알칼리 수용액 및 유기 용매를 올리고머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 (2) 를 포함하는 방법이다.The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the polycarbonate olig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continuously producing phosgene gas containing unreacted carbon monoxide by supplying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a phosgene reactor, and (3) (2) continuously feeding a continuously prepared aqueous solution of phosgene gas, an aqueous alkali solution of a dihydric phenol and an organic solvent into an oligomer reactor, thereby continuously producing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polycarbonate oligomer.

<공정 (1)>&Lt; Process (1) >

공정 (1) 은, 염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스겐 반응기에 공급하여 미반응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포스겐 가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이다.Step (1) is a step of continuously producing phosgene gas containing unreacted carbon monoxide by supplying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a phosgene reactor.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품질의 관점에서, 일산화탄소는, 코크스, 석유, 천연 가스, 알코올 등과 산소를 반응시켜 제조하고, 순도 95 용량% 이상으로 정제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황 성분의 함유량이 5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염소 : 일산화탄소의 비율 (몰비) 은, 바람직하게는 1 : 1.01 ∼ 1 : 1.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2 ∼ 1 : 1.2 이다.From the viewpoint of the quality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carbon monoxide is preferably prepared by reacting oxygen with coke, petroleum, natural gas, alcohol or the like, and purifying at a purity of 95 vol% or mor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sulfur component is 50 ppm or less. The ratio (molar ratio) of chlorine to carbon monoxide is preferably 1: 1.01 to 1: 1.3, more preferably 1: 1.02 to 1: 1.2.

또한, 반응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소55-14044호 등에 기재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촉매로서 활성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Kokoku) No. 55-14044. As the catalyst, a catalyst containing activated carbon as a main component can be used.

포스겐 제조 반응은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포스겐 반응기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반응기 내부 온도를 350 ℃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hosgene production reaction is an exothermic reaction, it is necessary to cool the phosgene reactor.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at 350 DEG C or lower.

공정 (1) 에 있어서의 포스겐 제조 조건은, 장치의 규모나 생산량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The conditions for producing phosgene in the step (1)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apparatus, the production amount, and the like.

예로서, 1 시간당 약 4 ㎏ 의 포스겐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조건을 이하에 기재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산화탄소의 바람직한 유량은 1.1 ∼ 1.3 ㎏/h 이고, 염소의 바람직한 유량은 2.7 ∼ 2.9 ㎏/h 이다. 냉각수의 바람직한 유량은 78 ∼ 82 ㎏/h, 바람직한 온도는 89 ∼ 91 ℃, 바람직한 압력은 0.18 ∼ 0.22 ㎫G 이다. 냉각수 출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2 ∼ 94 ℃ 이다. 여기서, 냉각수는, 포스겐화 반응열에 의해 비등하지 않는 조건에서 송액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For example, preferable conditions for producing about 4 kg of phosgene per hour ar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ferred flow rate of carbon monoxide is 1.1 to 1.3 kg / h, and the preferred flow rate of chlorine is 2.7 to 2.9 kg / h. The preferred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is 78 to 82 kg / h, the preferred temperature is 89 to 91 deg. C, and the preferable pressure is 0.18 to 0.22 MPaG. The cooling water outlet temperature is preferably 92 to 94 占 폚. Here, it is premised that the cooling water is fed under the condition that it is not boiled by the heat of the phosgenation reaction.

공정 (1) 에서 얻어지는 포스겐 가스는, 통상적으로 미반응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한다. 포스겐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의 함유량은, 비용 및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품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30 용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20 용량% 이다. 즉, 순도 99 ∼ 70 용량% 의 포스겐 가스가 바람직하다.The phosgene gas obtained in the step (1) usually contains unreacted carbon monoxide. The content of carbon monoxide in the phosgene gas is preferably 1 to 30% by volume, more preferably 2 to 20% by volume from the viewpoints of cost and quality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That is, a phosgene gas having a purity of 99 to 70% by volume is preferable.

<공정 (2)>&Lt; Process (2) >

공정 (2) 는 상기 공정 (1) 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된 포스겐 가스, 2 가 페놀의 알칼리 수용액 및 유기 용매를 올리고머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이다.Step (2) is a step of continuously producing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polycarbonate oligomer by successively supplying an aqueous alkali solution of phosgene gas, a bifunctional phenol and an organic solvent continuously prepared in the step (1) to an oligomer reactor to be.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에 있어서의 원료로는, 포스겐 가스, 2 가 페놀류 (비스페놀류), 2 가 페놀류를 용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알칼리 화합물, 유기 용매를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분자량 조절제로서의 1 가 페놀이나, 그 밖의 첨가제를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raw materials in the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include phosgene gas, divalent phenols (bisphenols), alkaline compounds used for dissolving the divalent phenols, and organic solvents. If necessary, monovalent phenol Or other additives may be used.

포스겐 가스로는 상기 공정 (1) 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된 포스겐 가스가 사용된다.As the phosgene gas, the phosgene gas continuously produced in the above step (1) is used.

2 가 페놀류로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물성의 점에서,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통칭, 비스페놀 A ; BPA) 이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A 이외의 2 가 페놀류로는, 예를 들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 1,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등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알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데칸 등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옥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 하이드로퀴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 가 페놀류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the dihydric phenols,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collectively, bisphenol A; BPA)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 Examples of the dihydric phenols other than bisphenol A include bis (4-hydroxyphenyl) methane; 1,1-bis (4-hydroxyphenyl) ethane; Bis (4-hydroxyphenyl) alkane such as 1,2-bis (4-hydroxyphenyl) ethane, 1,1-bis (4-hydroxyphenyl) cyclohexane; Dihydroxydiphenyl, bis (4-hydroxyphenyl) cyclohexane, bis (4-hydroxyphenyl) cycloalkane such as 1,1-bis (4-hydroxyphenyl) sulfide, bis (4-hydroxyphenyl) sulfide, bis (4-hydroxyphenyl) sulfide, bis Hydroquinone, and the like. These bifunctional phenol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2 가 페놀류를 용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알칼리 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As the alkali compound used for dissolving the dihydric phenols, sodium hydroxide is preferable.

유기 용매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가 용해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염화메틸렌,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클로로벤젠, 사염화탄소 등의 염소계 용매, 디옥산 등의 고리형 옥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염소계 용매가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용해성 등의 점에서 염화메틸렌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에서 예시한 유기 용매 이외에도,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용해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빈 (貧) 용매라고 불리는 알칸류 등의 용매를 사용해도 된다.The organic solvent may be any one which dissolves the polycarbonate oligomer. Examples thereof include chlorinated solvents such as methylene chloride, dichloroethane, chloroform, chlorobenzene and carbon tetrachloride, and cyclic oxy compounds such as dioxane. In the present invention, chlorinated solvents are preferable, and methylene chloride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in view of solubility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In addition to the organic solvents exemplified above, a solvent such as an alkane or the like called a poor solvent may be used as long as the solubility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is not lowered.

유기 용매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One kind of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may be mixed and used.

분자량 조절제로서 사용하는 1 가 페놀로는, 예를 들어 페놀, p-크레졸, p-tert-부틸페놀, p-tert-옥틸페놀, p-쿠밀페놀, 노닐페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용이나 입수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p-tert-부틸페놀 및 페놀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onohydric phenol used as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include phenol, p-cresol, p-tert-butylphenol, p-tert-octylphenol, p-cumylphenol and nonylphenol. Among them, p-tert-butylphenol and phenol are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s of cost and ease of availability.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에는, 필요에 따라 3 급 아민, 4 급 아민 등의 중합 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 촉매로는, TEA (트리에틸아민) 가 바람직하다.For the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a polymerization catalyst such as a tertiary amine or a quaternary amine may be used if necessary. As the polymerization catalyst, TEA (triethylamine) is preferable.

올리고머 반응기로는, 연속 반응 방식의 반응기가 사용되고, 반응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부를 갖는 관형 구조를 한 반응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the oligomer reactor, a reactor having a tubular structure having a mixing portion in which a reactor of a continuous reaction system is used and a reaction raw material is mixed is preferably used.

또한, 올리고머 반응기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와 격리되어 있다. 건물 내는 항상 공기의 교체를 실시하고 있으며, 내부의 환기 공기는 블로어 등에 의해 제해 수단으로 보내진다.Also, the oligomer reactor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isolated from the outside.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always replaced with air, and the ventilation air inside is sent to the detoxification means by a blower or the like.

공정 (2) 에 있어서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원료의 공급량이나 반응 조건은, 장치의 규모나 생산량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The amount of the raw material supplied to the oligomer reactor in the step (2) and the reaction conditions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ale and production amount of the apparatus.

예로서, 1 시간당 약 200 ㎏ 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조건을 이하에 기재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정 (1) 에 의해 얻어지는 포스겐 가스의 바람직한 유량은 3.7 ∼ 4.1 ㎏/h 이다. 포스겐 가스의 온도는, 포스겐의 비점 (7.8 ℃) ∼ 90 ℃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2 가 페놀의 알칼리 수용액으로는, 비스페놀 A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바람직하고, 미리 소정 농도가 되도록 조정되어 공급된다. 비스페놀 A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있어서, 바람직한 비스페놀 A 농도는 12.5 ∼ 14.0 질량% 이고, 바람직한 수산화나트륨 농도는 5.1 ∼ 6.1 질량% 이다. 비스페놀 A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바람직한 유량은 42 ∼ 46 ㎏/h 이다. 염화메틸렌 등의 유기 용매의 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 ∼ 24 ㎏/h 이다.For example, preferable conditions for producing polycarbonate oligomer of about 200 kg per hour ar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ferable flow rate of the phosgene gas obtained by the step (1) is 3.7 to 4.1 kg / h. The temperature of the phosgene ga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boiling point (7.8 ° C) to 90 ° C of phosgene. As the alkaline aqueous solution of the bifunctional phenol,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of bisphenol A is preferable and supplied in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and adjusted in advance. In the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of bisphenol A, the preferred bisphenol A concentration is 12.5 to 14.0 mass%, and the preferable sodium hydroxide concentration is 5.1 to 6.1 mass%. The preferred flow rate of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of bisphenol A is 42 to 46 kg / h. The flow rate of th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ylene chloride is preferably 20 to 24 kg / h.

공정 (2) 에서는 클로로포메이트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이 얻어진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성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최적인 성상이 되도록 반응 조건을 설정하면 되지만, VPO (증기압 침투압계) 로 측정한 분자량이 약 600 ∼ 5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2),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polycarbonate oligomer having a chloroformate group is obtained. The properties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reaction conditions may be set so as to obtain optimum properties. However, the molecular weight measured by VPO (vapor pressure osmometry) is preferably about 600 to 5,000.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가 상기 유기 용매에 용해된 유기상과, 알칼리 수용액을 함유하는 수상의 혼합물이다. 이 반응 혼합물을 축합 반응기에 도입하여,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 reaction mixture containing the polycarbonate oligomer is also a mixture of an aqueous phase in which a polycarbonate oligomer is dissolved in the organic solvent and an aqueous phase containing an aqueous alkali solution. The reaction mixture is introduced into a condensation reactor and subjected to a condensation reaction to produce a polycarbonate.

또, 축합 반응이 종료한 후, 반응 용액을 공지된 방법으로 세정하고, 농축하고, 분말화 등을 실시함으로써 분말상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압출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펠릿화할 수 있다.After completion of the condensation reaction, the reaction solution is washed by a known method, concentrated, and pulverized to give a powdery polycarbonate, which can then be pelletized by an extruder or the like.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carbonate oligomer]

올리고머 반응기에는 소정량의 포스겐 가스, 2 가 페놀의 알칼리 수용액 및 유기 용매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포스겐 가스의 공급 압력 (P1) 및 올리고머 반응기 내의 입구 압력 (P2) 은, 포스겐 반응기나 올리고머 반응기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지만, 통상적으로 포스겐 가스의 공급 압력 (P1) 이 0.4 ∼ 0.5 ㎫G, 올리고머 반응기 내의 입구 압력 (P2) 이 0.15 ∼ 0.35 ㎫G, 양자의 압력차 (P1 - P2) 의 값이 0.105 ㎫ ∼ 0.35 ㎫ 의 차압이 되도록 연속 운전된다.In the oligomer reactor, a predetermined amount of a phosgene gas, an aqueous alkali solution of a dihydric phenol and an organic solvent are continuously supplied. The supply pressure P1 of the phosgene gas and the inlet pressure P2 of the oligomer reactor ar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size, shape and the like of the phosgene reactor or the oligomer reactor. Usually, the supply pressure P1 of the phosgene gas is 0.4-0.5 MPaG , The inlet pressure (P2) in the oligomer reactor is 0.15 to 0.35 MPaG, and the pressure difference (P1 - P2) in both is continuously operated to a differential pressure of 0.105 MPa to 0.35 MPa.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에서는,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및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에 대해, 하기 조건 (ⅰ) 및/또는 (ⅱ) 를 만족하고 있는가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자동 시스템에 의해, 포스겐의 제조 및 공급을 정지시킴과 함께, 계 내의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를 제해 수단으로 이송하여 무해화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e following condition (i) and / or (ii) is satisfied with respect to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and the temperature T1 of the outlet of the phosgene-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automatic system stop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the phosgene, and the toxic gas containing the phosgene gas in the system is transferred to the detoxifying means and rendered harmless.

조건 (ⅰ) :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이 정상시에서 25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Condition (i):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is lowered by more than 25% at normal time.

조건 (ⅱ) :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가 정상시에서 5 ℃ 이상 상승했을 경우.Condition (ii): When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phosgene reactor cooling water (T1) has risen by more than 5 ° C at normal temperature.

<조건 (ⅰ)><Condition (i)>

조건 (ⅰ) 은,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이 정상시에서 25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이다.The condition (i) is a case where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is lowered by 25% or more at the normal time.

포스겐 반응기에는 소정량의 일산화탄소 및 염소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지만, 포스겐 생성 반응은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포스겐 반응기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생산량, 반응 조건, 냉각수 온도 등이 정상시에서 바뀌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냉각수 공급 펌프 등의 트러블에 의해 냉각수 유량이 부족하면, 제열량 (除熱量) 이 저하되어 포스겐 반응기 내 온도가 상승하고, 그것에 의해 부생성물인 사염화탄소가 다량으로 생성되며, 그 사염화탄소가 폴리카보네이트 제품 중에 혼입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포스겐 반응기 내에서 반응 온도가 제어 불능의 상태가 되면, 국소적으로 포스겐 반응기가 고온이 되어, 포스겐 반응기가 파손되어 계 외로 포스겐이 누설될 위험이 있다.Although a predetermined amount of carbon monoxide and chlorine a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hosgene reactor, since the phosgen generating reaction is an exothermic reaction, it is necessary to cool the phosgene reactor. If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is insufficient due to the trouble of the cooling water supply pump and the like even though the production amount, the reaction conditio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like have not changed at normal time, the amount of heat removed (heat removal amount) is lowered and the temperature in the phosgene reactor is increased A large amount of carbon tetrachloride, which is a by-product, is generated, and carbon tetrachloride is incorporated into the polycarbonate product. In addition,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becomes uncontrollable in the phosgene reactor, the phosgene reactor is locally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nd the phosgene reactor is destroye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phosgene leaks out of the system.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안전상의 관점에서,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이 정상시에서 25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에 자동 시스템을 기동시킨다. 단, 일과성의 트러블 등에 의해 빈번하게 자동 시스템이 기동되어 버리면, 효율적으로 조업 (操業) 하는 것이 어려워져 버리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한 후에 효율적으로 조업한다는 관점에서는, 자동 시스템이 기동하는 조건은,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이 정상시에서 49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로 설정해도 되고, 또한 정상시에서 54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로 설정해도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system is started when the flow rate F1 of the cooling water of the phosgene reactor is lowered by 25%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However, when the automatic system is frequently activated by the trouble of transient, it becomes difficult to operate efficiently.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 operation after ensuring safety, It may be set to a case where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reactor is lowered by 49% or more at normal time, or may be set to a case where it is lowered by 54% at normal time.

<조건 (ⅱ)><Condition (ii)>

조건 (ⅱ) 는,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가 정상시에서 5 ℃ 이상 상승했을 경우이다.The condition (ii) is a case in which the outlet temperature (T1) of the cooling water of the phosgene reactor is increased by 5 ° C or more at normal times.

포스겐 반응기에는 소정량의 일산화탄소 및 염소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지만, 포스겐 생성 반응은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포스겐 반응기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생산량, 반응 조건, 냉각수 온도 등이 정상시에서 바뀌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포스겐화 반응의 이상에 의해 냉각수 출구 온도가 상승하면, 포스겐 반응기 내 온도가 상승하고, 그것에 의해 부생성물인 사염화탄소가 다량으로 생성되며, 그 사염화탄소가 폴리카보네이트 제품 중에 혼입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포스겐 반응기 내에서 반응 온도가 제어 불능의 상태가 되면, 국소적으로 포스겐 반응기가 고온이 되어, 포스겐 반응기가 파손되어 계 외로 포스겐이 누설될 위험이 있다.Although a predetermined amount of carbon monoxide and chlorine a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hosgene reactor, since the phosgen generating reaction is an exothermic reaction, it is necessary to cool the phosgene reactor. If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outlet rises due to the abnormality of the phosgenation reac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production amount, the reaction conditio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like have not changed at normal time, the temperature in the phosgene reactor is increased and thereby carbon tetrachloride as a by- , It is not preferable since the carbon tetrachloride is incorporated into the polycarbonate product. In addition,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becomes uncontrollable in the phosgene reactor, the phosgene reactor is locally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nd the phosgene reactor is destroye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phosgene leaks out of the system.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안전상의 관점에서,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가 정상시에서 5 ℃ 이상 상승했을 경우에 자동 시스템을 기동시킨다. 단, 일과성의 트러블 등에 의해 빈번하게 자동 시스템이 기동되어 버리면, 효율적으로 조업하는 것이 어려워져 버리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한 후에 효율적으로 조업한다는 관점에서는, 자동 시스템이 기동하는 조건은,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가 정상시에서 10 ℃ 이상 상승했을 경우로 설정해도 되고, 또한 정상시에서 25 ℃ 이상 상승했을 경우로 설정해도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system is started when the temperature (T1) of the outlet of the phosgene reactor coolant water rises by 5 ° C or more at a normal time from the viewpoint of safety.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efficient operation after ensuring safety,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operate the automatic system when the automatic system is started due to the transient trouble, It may be set to a case where the temperature T1 has risen by 10 DEG C or more at a normal time or may be set to a case where it has risen by 25 DEG C or more at a normal time.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의 조건 (ⅰ) 및/또는 (ⅱ) 를 만족하는 경우에, 하기 (a), (b) 및 (c) 의 조작이 자동적으로 실시되어 유독한 포스겐의 누설을 방지함과 함께 무해화된다.In the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the polycarbonate olig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s (a), (b) and (c) below are automatically carried out when the above conditions (i) and / It prevents harmful phosgene leakage and is harmless.

(a) 포스겐 가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 (1) 에 있어서의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것은, 계 내에 있어서의 포스겐 가스의 양을 증가시키지 않을 것을 목적으로 하여, 포스겐 가스의 제조를 중지하는 조작이다.(a)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in the step (1) for continuously producing the phosgene gas is stopped. This is an operation for stopping the production of the phosgene gas for the purpose of not increasing the amount of the phosgene gas in the system.

(b)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것은, 일부의 포스겐이 올리고머 반응기 내에서 소비되지 않고 미반응인 채로 하류의 공정으로 흐를 우려가 있기 때문에, 포스겐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조작이다.(b) stop feeding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This is an operation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phosgene because some phosgene is not consumed in the oligomer reacto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hosgene flows to the downstream process while being unreacted.

(c) 계 내의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를 제해 수단으로 이송하여 무해화한다. 이것은, 상기 (a) 및 (b) 의 조작에 의해 포스겐의 증가 및 누설을 방지하여 계 내에 가두는 것에 더하여, 보다 높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계 내의 포스겐 가스를 무해화하는 조작이다.(c) The toxic gas containing the phosgene gas in the system is transferred to the detoxifying means and rendered harmless. This is an operation for detoxifying the phosgene gas in the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higher safety in addition to preventing increase and leakage of phosgene by the operations of (a) and (b) described above and blocking the system.

<제해 수단>&Lt;

제해 수단은,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를 제해제에 의해 무해화하기 위한 설비이며,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제해제의 산포 설비, 유독 가스와 제해제를 접촉시키는 흡수탑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19946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05414호 등에 기재된 탑형 제해 설비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detoxification means is a facility for detoxifying the poisonous gas containing the phosgene gas by releasing it, and known ones can be used. As specific examples, there may be mentioned a release facility for releasing, an absorption tower for bringing the toxic gas into contact with the release agent,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ower-type desalting plant described in JP-A-6-319946 or JP-A-2005-305414.

포스겐이나 염소 등의 산성 가스에 대해서는, 제해제로서 알칼리성 물질이 사용된다. 제해제로서 사용되는 알칼리성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 통상적으로 이들은 수용액으로서 사용된다.For acid gases such as phosgene and chlorine, an alkaline substance is used as the release agent. The alkaline substance used as the releas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are generally used. In addition, they are usually used as an aqueous solution.

제해 수단이 제해탑인 경우, 제해탑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표적인 예로서, 제해제를 탑의 상부로부터 스프레이 등으로 샤워상으로 분사하여, 하부로부터 공급된 유해 가스와 접촉시켜 제해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제해제와 가스의 접촉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해제의 분사구와 가스의 유입구 사이에 라시히링 등의 충전제를 충전해도 된다. 또, 제해탑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해 처리 가스 중의 유독 가스 농도가 환경 기준 등으로 규정된 소정 농도 이하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검출되지 않는 레벨까지 저감되도록 설계된다.In the case where the detoxification means is a decomposition tower, the structure of the decomposition tow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s a typical example, the release is spray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with a spray or the like through a shower to remove the harmful gas supplied from below . A filler such as a lashing ring may be fill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of the release port and the inlet port of the gas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release port and the gas. The number of the disposal tow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designed so that the toxic gas concentration in the detoxication process gas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r lower, which is preferably not detected.

제해 수단은 유독 가스의 누설이 없어도 예측할 수 없는 사태에 대비하여 항상 운전된다. 또한, 올리고머 반응기가 설치된 건물 내의 환기 공기는, 블로어 등에 의해 제해 수단으로 보내어져 무해화된 후에 외부로 방출된다.The deterrent means are always operated against unpredictable events without the leakage of toxic gases. Further, the ventilation air in the building in which the oligomer reactor is installed is sent to the detoxifying means by a blower or the like to be detoxified and then relea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outlining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polycarbonate oligomer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상적으로 운전시에는 포스겐 제조 원료의 염소 및 일산화탄소는 조절 밸브를 통과하여 포스겐 반응기에 공급되고, 포스겐 반응기에 있어서 포스겐 가스가 제조된다. 반응은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포스겐 반응기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Typically, during operation,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of the raw materials for producing phosgene are supplied to the phosgene reactor through the regulating valve, and phosgene gas is produced in the phosgene reactor. Since the reaction is an exothermic reaction, the phosgene reactor is cooled by cooling water.

미반응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포스겐 가스 (반응 생성물) 는, 조절 밸브를 통과하여 올리고머 반응기에 도입된다. 올리고머 반응기에는, 포스겐 가스에 더하여, 2 가 페놀의 알칼리 수용액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유기 용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메틸렌) 도 도입되고, 이들 반응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에멀션 용액이 제조된다.The phosgene gas (reaction product) containing unreacted carbon monoxide is introduced into the oligomer reactor through the regulating valve. In the oligomer reactor, in addition to the phosgene gas, an alkali aqueous solution of divalent phenol (specifically, for example, a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of bisphenol A) and an organic solvent (specifically, for example, methylene chloride) , An emulsion solution containing a polycarbonate oligomer is prepared.

또한,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는 이들 유량을 자동 제어하고 있으며, 포스겐 가스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는 올리고머 반응기에 공급하는 포스겐 가스의 공급 압력을 제어하고 있다.Further, the control valve formed in the supply path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automatically controls these flow rates, and the regulating valve formed in the supply path to the oligomer reactor of the phosgene gas controls the supply pressure of the phosgene gas supplied to the oligomer reactor.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은, 유량계를 사용하여 항상 감시되고,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는, 온도계를 사용하여 항상 감시되고 있으며, 그 값은 자동 제어 장치에 보내지고 있다 (도 중의 점선의 화살표).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is always monitored using a flow meter and the phosgene reactor cooling water outlet temperature T1 is always monitored using a thermometer and the value is sent to the automatic controller Dotted arrow).

이상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즉,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및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에 대해, 상기의 조건 (ⅰ) 및/또는 (ⅱ) 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자동 제어 장치로부터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 포스겐 가스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 그리고 제해 장치에 대한 유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에 일제히 신호가 보내진다 (도 중의 굵은 실선의 화살표).When the above conditions (i) and / or (ii) are satisfied for an abnormal situation, that is, for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and the temperature T1 of the cooling water outlet of the phosgene reactor, A control valve formed in the supply path for the oligomer reactor of the phosgene gas, and a control valve formed in the flow path for the detoxication apparatus are simultaneously sent signals (arrows in bold solid lines in the figure) .

자동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가 닫혀져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 포스겐 가스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가 닫혀져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이 정지된다.By the signal from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control valve formed in the supply path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is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Further, the control valve formed in the supply passage for the oligomer reactor of the phosgene gas is closed to stop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제해 장치에 대한 유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는, 통상적으로 운전시에는 닫혀져 있지만, 자동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열려, 계 내의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는 제해 장치로 이송된다. 제해 장치에 있어서,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는 무해화된다.The regulating valve formed in the flow path to the detoxication apparatus is normally closed during operation but is opened by a signal from the automatic control apparatus and the toxic gas containing the phosgene gas in the system is transferred to the detoxication apparatus. In the detoxification apparatus, the toxic gas containing the phosgene gas is harmles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 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절 밸브 외에 각 유체 공급 정지용 차단 밸브를 형성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each fluid supply stop valve may be formed in addition to the control valve.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ased on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t all.

실시예 1-1Example 1-1

(자동 제어 장치)(Automatic control device)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이 정상시에서 25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 (조건 (ⅰ)) 또는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가 정상시에서 5 ℃ 이상 상승했을 경우 (조건 (ⅱ)) 에,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 그리고 포스겐 가스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공급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를 폐지 (閉止) 하고, 또한 제해 장치에 대한 유로에 형성된 조절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를 실시하는 자동 제어 장치를 설계하였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is lowered by 25% or more (condition (i)) or when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phosgene reactor cooling water (T1) (Condition (ii)), a regulating valve formed in the supply passage for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and a regulating valve formed in the supply passage for the oligomer reactor of the phosgene gas, and a regulating valve formed in the flow path for the regenerating device An automatic control device is designed to perform control so as to open.

(제해 장치)(Detoxification device)

제해 장치로서 캐스캐이드·미니·링 (CMR) (상품명, 마츠이 머신 (주) 제조) 을 충전한 탑 직경 600 ㎜, 충전층 높이 10 m 의 제해탑을 사용하였다. 제해탑에는 제해제로서 농도 10 질량%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2 ㎥/h 로 순환시켰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탑의 상부로부터, 유독한 가스는 하부로부터 공급하였다.A distillation column with a column diameter of 600 mm and a packed bed height of 10 m filled with Cascade Mini Ring (CMR) (trade name, manufactured by Matsui Machine Co., Ltd.) was used as a detoxification apparatus. In the decomposition column,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having a concentration of 10% by mass was circulated at 2 m &lt; 3 &gt; / h as the release.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supplied from the top of the column and toxic gas was supplied from the bottom.

(포스겐의 제조) (Preparation of phosgene)

포스겐 반응기로서 튜브 내에 시판되는 입상 활성탄 (직경 1.2 ∼ 1.4 ㎜ 로 분쇄한 야자 껍질 활성탄) 을 충전한 쉘 앤드 튜브형 반응기를 사용하였다.Shell type tubular reactor pack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granular activated carbon (palm shell activated carbon pulverized with a diameter of 1.2 to 1.4 mm) was used as a phosgene reactor.

포스겐 반응기에 일산화탄소 1.2 ㎏/h, 염소 2.8 ㎏/h 를 공급하고, 포스겐 가스 3.9 ㎏/h 를 제조하였다. 포스겐 반응기의 쉘부에는 90 ℃ 의 물을 80 ㎏/h 로 통수 (通水) 하여 반응열을 제거하였다. 이 때의 물의 반응기 출구 온도는 93 ℃ 이고, 압력은 0.2 ㎫G 였다.1.2 kg / h of carbon monoxide and 2.8 kg / h of chlorine were supplied to the phosgene reactor, and 3.9 kg / h of phosgene gas was prepared. In the shell part of the phosgene reactor, 90 ° C water was passed through at 80 kg / h to remove reaction heat.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reactor at this time was 93 캜, and the pressure was 0.2 MPaG.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Preparation of polycarbonate oligomer)

올리고머 반응기로서 내경 6 ㎜, 길이 30 m 의 관형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올리고머 반응기는 20 ℃ 의 냉각조에 담그었다. 포스겐 가스는 상류의 포스겐 제조 공정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올리고머 반응기에 공급하고, 올리고머 반응기에 공급하는 포스겐 가스의 공급 압력은 0.45 ㎫G 로 설정하였다.As the oligomer reactor, a tubular reactor having an inner diameter of 6 mm and a length of 30 m was used. The oligomer reactor was immersed in a cooling bath at 20 占 폚. The phosgene gas wa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oligomer reactor from the upstream phosgene production process, and the supply pressure of the phosgene gas supplied to the oligomer reactor was set to 0.45 MPaG.

올리고머 반응기에, 포스겐 가스 3.9 ㎏/h, 농도 6 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비스페놀 A (BPA) 를 용해하여 얻어진 농도 13.5 질량% 의 BPA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4 ㎏/h, 염화메틸렌 22 ㎏/h, 분자량 조절용의 농도 25 질량% 의 p-tert-부틸페놀의 염화메틸렌 용액 0.46 ㎏/h 를 공급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올리고머 반응기 내의 입구 압력은 0.20 ㎫G 였다.44 kg / h of a BPA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3.5% by mass obtained by dissolving bisphenol A (BPA) in a 6 mass%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of a phosgene gas of 3.9 kg / h, 22 kg / h of methylene chloride, 0.46 kg / h of a methylene chloride solution of p-tert-butylphenol having a concentration of 25% by mass for regulating the polymerization was supplied to prepare a polycarbonate oligomer solution. At this time, the inlet pressure in the oligomer reactor was 0.20 MPaG.

여기서,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을 의도적으로 25 % 저하시켜 60 ㎏/h 로 하였다.Here,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was intentionally lowered by 25% to 60 kg / h.

그 결과,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에 대한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또 포스겐 반응기로 생성된 포스겐 가스는 제해 장치로 이송되었다. 제해탑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에 대해 성분 측정을 실시한 결과, 포스겐은 검출되지 않고 무해화되어 있었다. 또, 포스겐 반응기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도 없었다.As a result,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the phosgene reactor was stopped by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was stopped, and the phosgene gas produced by the phosgene reactor was transferred to the detoxification apparatu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mponent measurement o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composition tower, the phosgene was not detected and was harmless. Also, there was no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phosgene reactor.

실시예 1-2Examples 1-2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을 의도적으로 50 % 저하시켜 40 ㎏/h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실시하였다.A polycarbonate oligo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was intentionally reduced by 50% to 40 kg / h.

그 결과,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에 대한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또 포스겐 반응기로 생성된 포스겐 가스는 제해 장치로 이송되었다. 제해탑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에 대해 성분 측정을 실시한 결과, 포스겐은 검출되지 않고 무해화되어 있었다. 또, 포스겐 반응기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도 없었다.As a resul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the phosgene reactor was stopped by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was stopped, and the phosgene produced by the phosgene reactor The gas was transferred to the detoxification unit.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mponent measurement o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composition tower, the phosgene was not detected and was harmless. Also, there was no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phosgene reactor.

실시예 1-3Example 1-3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을 의도적으로 55 % 저하시켜 36 ㎏/h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실시하였다.A polycarbonate oligo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was intentionally reduced by 55% to 36 kg / h.

그 결과,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에 대한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또, 포스겐 반응기로 생성된 포스겐 가스는 제해 장치로 이송되었다. 제해탑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에 대해 성분 측정을 실시한 결과, 포스겐은 검출되지 않고 무해화되어 있었다. 또, 포스겐 반응기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도 없었다.As a resul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the phosgene reactor was stopped by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was stopped, The phosgene gas was transferred to the detoxification unit.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mponent measurement o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composition tower, the phosgene was not detected and was harmless. Also, there was no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phosgene reactor.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자동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실시하려고 하였다.An attempt was made to manufacture a polycarbonate oligom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was not used.

그러나, 자동 제어하지 않았던 경우, 포스겐 반응기 내에서 국소적인 온도 상승이 예상되고, 조작을 계속하면, 포스겐 반응기 내 온도가 국소적으로 설계 온도 이상이 되어, 포스겐 반응기가 파손되어 포스겐이 계 외로 누설되는 것이 상정되었기 때문에, 이 조작을 중지하였다.However, if not controlled automatically, a local temperature rise is expected in the phosgene reactor, and if the operation is continued, the temperature in the phosgene reactor becomes locally higher than the design temperature, the phosgene reactor is broken and the phosgene leaks out of the system , This operation was stopped.

실시예 2-1Example 2-1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를 의도적으로 5 ℃ 상승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실시하였다.A polycarbonate oligom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T1) of the cooling water outlet of the phosgene reactor was intentionally increased by 5 ° C.

그 결과,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에 대한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또 포스겐 반응기로 생성된 포스겐 가스는 제해 장치로 이송되었다. 제해탑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에 대해 성분 측정을 실시한 결과, 포스겐은 검출되지 않고 무해화되어 있었다. 또, 포스겐 반응기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도 없었다.As a resul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1,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the phosgene reactor was stopped by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was stopped, and the phosgene produced by the phosgene reactor The gas was transferred to the detoxification unit.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mponent measurement o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composition tower, the phosgene was not detected and was harmless. Also, there was no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phosgene reactor.

실시예 2-2Example 2-2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를 의도적으로 10 ℃ 상승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실시하였다.A polycarbonate oligom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T1) of the outlet of the phosgene reactor cooling water was intentionally raised by 10 ° C.

그 결과,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에 대한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또 포스겐 반응기로 생성된 포스겐 가스는 제해 장치로 이송되었다. 제해탑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에 대해 성분 측정을 실시한 결과, 포스겐은 검출되지 않고 무해화되어 있었다. 또, 포스겐 반응기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도 없었다.As a resul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the phosgene reactor was stopped by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was stopped, and the phosgene produced by the phosgene reactor The gas was transferred to the detoxification unit.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mponent measurement o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composition tower, the phosgene was not detected and was harmless. Also, there was no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phosgene reactor.

실시예 2-3Example 2-3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를 의도적으로 25 ℃ 상승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실시하였다.A polycarbonate oligom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T1) of the outlet of the phosgene reactor cooling water was intentionally raised by 25 ° C.

그 결과,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포스겐 반응기에 대한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이 정지됨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고, 또 포스겐 반응기로 생성된 포스겐 가스는 제해 장치로 이송되었다. 제해탑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가스에 대해 성분 측정을 실시한 결과, 포스겐은 검출되지 않고 무해화되어 있었다. 또, 포스겐 반응기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도 없었다.As a resul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the supply of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the phosgene reactor was stopped by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was stopped, and the phosgene produced by the phosgene reactor The gas was transferred to the detoxification unit.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component measurement o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decomposition tower, the phosgene was not detected and was harmless. Also, there was no abnormal temperature rise of the phosgene reactor.

비교예 2-1Comparative Example 2-1

자동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실시하려고 하였다.An attempt was made to manufacture a polycarbonate oligom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1 except that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was not used.

그러나, 자동 제어하지 않았던 경우, 포스겐 반응기 내에서 국소적인 온도 상승이 예상되고, 조작을 계속하면, 포스겐 반응기 내 온도가 국소적으로 설계 온도 이상이 되어, 포스겐 반응기가 파손되어 포스겐이 계 외로 누설되는 것이 상정되었기 때문에, 이 조작을 중지하였다.However, if not controlled automatically, a local temperature rise is expected in the phosgene reactor, and if the operation is continued, the temperature in the phosgene reactor becomes locally higher than the design temperature, the phosgene reactor is broken and the phosgene leaks out of the system , This operation was stopped.

산업상의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안전하게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포스겐 반응기 파손으로 이어지는 반응기의 냉각 트러블 등의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에도, 자동 제어에 의해, 포스겐의 제조 및 공급을 긴급 정지시킴과 함께, 계 내의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를 무해화하여 유독 가스가 계 외로 누설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carbonate oligomer can be continuously produced safely. Particularly, even when an accident such as a cooling trouble of the reactor leading to breakage of the phosgene reactor occurs, automatic regulation causes the phosgene production and supply to be stopped urgently, and the toxic gas containing the phosgene gas in the system is made harmless Toxic gases do not leak out of the system.

Claims (2)

염소 및 일산화탄소를 포스겐 반응기에 공급하여 미반응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포스겐 가스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 (1), 그리고 상기 공정 (1) 에서 연속적으로 제조된 포스겐 가스, 2 가 페놀의 알칼리 수용액 및 유기 용매를 올리고머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공정 (2) 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으로서,
하기 조건 (ⅰ) 및/또는 (ⅱ) 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 (1) 에 있어서의 염소 및 일산화탄소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함께, 올리고머 반응기에 대한 포스겐 가스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또한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를 제해 수단으로 이송하여 무해화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
조건 (ⅰ) : 포스겐 반응기의 냉각수 유량 (F1) 이 정상시에서 25 % 이상 저하되었을 경우.
조건 (ⅱ) : 포스겐 반응기 냉각수 출구 온도 (T1) 가 정상시에서 5 ℃ 이상 상승했을 경우.
(1)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phosgene gas containing unreacted carbon monoxide by supplying chlorine and carbon monoxide to a phosgene reactor, and a step (1)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phosgene gas, an alkali aqueous solution of a dihydric phenol, and an organic A process for controlling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carbonate oligomer comprising continuously (2) continuously supplying a solvent to an oligomer reactor to continuously prepare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polycarbonate oligomer,
The supply of the chlorine and the carbon monoxide in the step (1) is stopped, the supply of the phosgene gas to the oligomer reactor is stopped, and the supply of the phosgene to the oligomer reactor is stopped when the following conditions (i) and / A method for controlling continuous production of a polycarbonate oligomer wherein a toxic gas containing a gas is transferred to a detoxifying means to render it harmless.
Condition (i): The cooling water flow rate (F1) of the phosgene reactor is lowered by more than 25% at normal time.
Condition (ii): When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phosgene reactor cooling water (T1) has risen by more than 5 ° C at normal tempera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해 수단이 포스겐 가스를 함유하는 유독 가스를 알칼리 수용액과 접촉시켜 무해화하는 수단인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연속 제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etoxifying means is a means for detoxifying a toxic gas containing a phosgene gas by contacting with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KR1020137025131A 2011-03-31 2011-06-28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KR1018237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0976A JP5775347B2 (en) 2011-03-31 2011-03-31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carbonate oligomer
JPJP-P-2011-080976 2011-03-31
PCT/JP2011/064829 WO2012132031A1 (en) 2011-03-31 2011-06-28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405A KR20140009405A (en) 2014-01-22
KR101823724B1 true KR101823724B1 (en) 2018-01-30

Family

ID=4533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131A KR101823724B1 (en) 2011-03-31 2011-06-28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75347B2 (en)
KR (1) KR101823724B1 (en)
CN (1) CN102286144B (en)
TW (1) TWI501992B (en)
WO (1) WO201213203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194065T3 (en) * 2014-08-20 2020-03-16 Bayer Ag PROCEDURE FOR PHOS GENE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HYDROXYL, THIOL, AMINO AND / OR FORMAMIDE GROUPS
JP6357408B2 (en) * 2014-11-07 2018-07-11 出光興産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branched polycarbonate
EP4347102A1 (en) * 2021-05-27 2024-04-10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phosge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721A1 (en) 2006-01-17 2007-07-26 Teijin Chemicals Ltd.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carbonate oligom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946A (en) * 1993-05-18 1994-11-22 Mitsui Toatsu Chem Inc Method for removing toxic gas in toxicity-removing tower
DE19848668A1 (en) * 1998-10-22 2000-04-27 Bayer Ag Phosgene with a low tetrachloro-carbon content for production of poly-carbonate or polyester-carbonate, made by ensuring that the gas leaves the phosgene generator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pressure
JP2002080578A (en) * 2000-09-05 2002-03-19 Idemitsu Petrochem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carbonate
WO2003029324A1 (en) * 2001-09-27 2003-04-10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carbonate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04041777A1 (en) * 2004-08-28 2006-03-02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phosgene
US7132498B2 (en) * 2004-09-27 2006-11-07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to make polycarbonate from bismethylsalicylcarbonate (BMSC)
JP2006137669A (en) * 2005-12-05 2006-06-01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phosgene
JP5235082B2 (en) * 2008-02-25 2013-07-10 日本曹達株式会社 Chlorination method and detection method of reaction end point
JP2009280725A (en) * 2008-05-23 2009-12-03 Idemitsu Kosan Co Ltd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light reflection me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721A1 (en) 2006-01-17 2007-07-26 Teijin Chemicals Ltd.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polycarbonate oligo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14633A (en) 2012-11-08
TWI501992B (en) 2015-10-01
JP5775347B2 (en) 2015-09-09
KR20140009405A (en) 2014-01-22
WO2012132031A1 (en) 2012-10-04
TW201239001A (en) 2012-10-01
CN102286144A (en) 2011-12-21
CN102286144B (en) 201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724B1 (en)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JP2012528895A (en) Ultra-high purity polycarbonate having good inherent color and heat resistan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carbonate
JP5795975B2 (en) Continuous production method of polycarbonate
KR101823723B1 (en)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EP1668061B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KR101810726B1 (en) Control method for safe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oligomer
US20030232003A1 (en) Hydrogen sulfide removal from liquid sulfur
EP2167566A1 (en) Method for storage and/or transport of bisphenolacetone and method for producing aromatic polycarbonate
JP4624055B2 (en) Method for producing alkylene carbonate
JP7218311B2 (en) Manufacturing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on for reacting H-functional reactants with phosgene to produce chemicals
JP2009138102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resin
JP2005008688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carbo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