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722B1 -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1722B1 KR101821722B1 KR1020160181471A KR20160181471A KR101821722B1 KR 101821722 B1 KR101821722 B1 KR 101821722B1 KR 1020160181471 A KR1020160181471 A KR 1020160181471A KR 20160181471 A KR20160181471 A KR 20160181471A KR 101821722 B1 KR101821722 B1 KR 1018217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phase
- voltage
- sensors
- measur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구현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정밀한 전력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에 연결된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며, 상기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는 3개의 전력 센서; 및 상기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알고리즘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3개 전력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전력 특성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학습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력 계측 결과를 획득하는 전력 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에 연결된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며, 상기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는 3개의 전력 센서; 및 상기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알고리즘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3개 전력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전력 특성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학습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력 계측 결과를 획득하는 전력 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구현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정밀한 전력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주거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기반의 자동 제어 수준의 홈 서버에서 구현되고 있으며, 대부분 에너지 소비량 정보를 IHD(In-Home Display) 등을 통해서 일별/주별/월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에너지 소비량 인식을 통한 자발적인 에너지 절감을 수행하도록 장려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에너지 절감 및 그린 에너지 사용 등을 권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센티브 및 규제를 통해서 그린 홈 보급에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 홈 서버에 에너지 소비량 모니터링 및 분석 기능을 탑재한 주택 에너지 관리 시스템(HEMS: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이 개발되어 이를 신규 아파트를 위주로 공급하고 있으며, 모바일 기술을 통해서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기술과 연동한 제어 기능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이러한 주택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에너지 소비 정보를 사용자에게 구체적으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정에서의 실제적인 에너지 소비량을 파악하여 자발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행동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에너지 가격의 국제적이고 지속적인 인상과 환경파괴 등의 위험에 대응하여, 태양광/태양열/지열/풍력 등의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특히 태양광발전의 경우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형태로 건물에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모듈이 3상 4선식 전력선을 통해 발전 전력을 주택내로 공급하는 데, 주택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이의 전력량을 정확히 계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FLUKE, hioki, aemc 등과 같은 회사에서는 태양광 모듈의 전력량을 계측할 수 있는 전력 정밀 계측기(또는 전력 분석계)를 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고성능, 고정밀의 스펙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전력 계측 시스템의 구현 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스템 구현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정밀한 전력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력 계측 결과가 기 학습된 학습 서버와 상호 연동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은, 태양광 모듈에 연결된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며, 상기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는 3개의 전력 센서; 및 상기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알고리즘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3개 전력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전력 특성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학습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력 계측 결과를 획득하는 전력 계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특성 정보는 전류, 전압, 주파수 특성, 피크 전압, 고조파, 노이즈, 및 리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개의 전력 센서 각각은 양단 사이에 형성된 에어갭과 전력선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자기 코어; 다수개의 전류 측정용 단자와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가지며, 상기 에어갭에 배치되는 홀 센서; 및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감싸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는 상기 전력선의 피복을 뚫고 도전체까지 신장되는 탐침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 계측부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신재생 에너지원 공급 조건을 제공받고, 상기 신재생 에너지 공급 조건에 따라 태양광 모듈 생산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계측부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전원 공급 우선순위를 주기적으로 통보받고, 태양광 모듈 생산 전력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 우선순위에 따른 전력 공급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은 전원 공급부와 부하 사이에 연결된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며, 상기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는 3개의 전력 센서; 상기 3개 전력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전력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제어기; 상기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N상 전력선에 각각에 접속되는 다수의 정밀 계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정밀 계측 수단을 통해 계측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계측 결과를 획득하는 전력 정밀 계측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부하를 변동시키는 계측환경 제어부; 및 인공 지능 기반으로 상기 센서 제어기의 전력 특성 정보와 상기 전력 정밀 계측기의 전력 계측 결과간 상관관계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학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특성 정보는 전류, 전압, 주파수 특성, 피크 전압, 고조파, 노이즈, 및 리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개의 전력 센서 각각은 양단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과 전력선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자기 코어; 다수개의 전류 측정용 단자와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가지며, 상기 에어 갭에 배치되는 홀 센서; 및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감싸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는 상기 전력선의 피복을 뚫고 도전체까지 신장되는 탐침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은 인공 지능 기반으로 머신 러닝 동작을 통해 저성능의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고성능의 전력 계측 결과간 상관관계를 학습한 후, 이를 활용하여 저성능의 전력 특성 정보만을 측정하더라도 고성능의 전력 계측 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전력 계측 시스템이 고성능, 고정밀 스펙을 가지는 전력 정밀 계측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 구현 비용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100)은 전원 공급부(10)와 부하(20)간을 연결하는 3상 4선식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는 3개의 전력 센서(111,112,113), 센서 제어기(120), 전력 정밀 계측기(130), 및 계측환경 제어부(140), 및 학습 서버(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전력 센서(111,112,113) 각각은 3상 4선식 전원을 제공하는 가상의 전원 공급부(10)와 부하(20)간을 연결하는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어,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도록 한다.
센서 제어기(120)는 3개의 전력 센서(111,112,113)의 센싱 결과, 또는 3개의 전력 센서(111,112,113)의 센싱 결과로부터 추출된 전력 특성 정보를 파악한 후, 이를 학습 서버(150)의 학습 입력값으로 제공한다. 이때, 전력 특성 정보는 전류, 전압, 주파수 특성, 피크 전압, 고조파, 노이즈, 및 리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정밀 계측기(130)는 FLUKE, hioki, aemc 등과 같은 회사에서 출시한 다양한 전력 정밀 계측기(또는 전력 분석계)로써 구현되며, 3상 4선식의 전력선의 전력 계측 결과를 학습 서버(150)의 학습 목표값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N상 전력선 각각에 연결된 4개의 전류 센서와 4개 전압 센서 등을 구비하고, 4개의 전류 센서와 4개 전압 센서의 센싱 결과를 정밀 분석하여, 전력 계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력 정밀 계측기(130)의 전력 계측 정보는 센서 제어기(120)의 전력 특성 정보와 같이 전류, 전압, 주파수 특성, 피크 전압, 고조파, 노이즈, 및 리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값의 정밀도가 훨씬 높은 특징이 있다.
계측환경 제어부(140)는 전원 공급부(AC)의 출력과 부하(Load)를 인위적으로 변동시킴으로써, 학습 서버(150)가 다양한 전력 계측 환경하에 학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학습 서버(150)는 센서 제어기(120)의 전력 특성 정보를 입력값으로, 전력 정밀 계측기(130)의 전력 계측 결과를 학습 목표값으로 하는 학습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즉, 인공 지능 기반으로 전력 특성 정보과 전력 계측 결과간 상관관계를 학습한 후, 학습 결과가 반영된 학습 알고리즘, 즉 트레이닝 팩터 파일(Training factor file)을 생성 및 배포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건물, 공장, 주택 단위로 설치되는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각각에 학습 서버(150)의 학습 알고리즘을 제공함으로써,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은 저성능의 구성요소로 높은 정밀도의 전력 계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력 계측 시스템(200)은 3개의 전력 센서(211,212,213) 및 전력 계측부(220) 등을 포함하되, 도1의 학습 서버(150)에 온라인 접속하여 학습 알고리즘, 즉 트레이닝 팩터 파일(Training factor file)을 제공 및 업데이트 받도록 한다.
3개의 전력 센서(211,212,213) 각각은 태양광 모듈(30)에 연결된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어,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도록 한다. 이때의 전력 센서(211,212,213)는 학습 조건과 전력 계측 조건이 동일해질 수 있도록, 학습 서버의 학습을 위한 사용되는 전력 센서(111,112,113)와 동일한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계측부(220)는 도1의 학습 서버(150)에 온라인 접속하여 학습 알고리즘, 즉 트레이닝 팩터 파일(Training factor file)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나서, 3개의 전력 센서(211,212,213)의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특성 정보를 파악한 후 트레이닝 팩터 파일(Training factor file)에 입력하여,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력 계측 결과값을 획득하도록 한다. 즉, 별도의 신호 분석 과정 없이,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고정밀도의 전력 계측 결과값을 즉각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전력 계측 시스템(200)은 건물, 공장, 주택 단위로 설치될 수 있는 데, 이러한 경우 해당 건물, 공장, 또는 주택에 기 설치되어 있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와의 연동 기능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전력 계측부(220)는 EMS(230)과의 연동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원 공급 조건을 파악하고, 신재생 에너지원 공급 조건에 따라 태양광 모듈(신재생 에너지원)의 생산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용 전력의 공급이 정전 등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에는, 태양광 모듈(신재생 에너지원)의 생산 전력을 즉각 공급함으로써, 건물, 공장, 주택의 전력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태양광 모듈(신재생 에너지원)의 전력 생산량과 EMS(230)에서 결정한 전원 공급 우선순위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태양광 모듈 생산 전력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른 전력 공급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태양광 모듈 생산 전력이 기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우선순위가 높은 기기 또는 공간 순으로 전력이 우선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력 센서(300)는 양단 사이에 에어 갭(311)을 가지며, 측정하고자 하는 전류(i)가 흐르는 전력선(400)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312)를 가지는 자기 코어(310), 다수의 단자(321~325)를 가지며 에어 갭(311)에 배치되는 홀 센서(3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홀센서(320)는 전력선(400)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단자들(예를 들어, 321~324) 이외에 전력선(400)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단자(325)를 더 구비하도록 한다.
전압 측정 단자(325)는 전력선(400)의 피복(410)을 뚫고 도전체(420)까지 신장되는 탐침형으로 구현되며, 전압 측정 단자(325)의 외측면을 감싸는 세라믹과 같은 절연물질(330)을 통해 밀폐 및 절연되도록 한다.
전압 측정 단자(325)이 탐침형으로 구현되는 것은 피복 개방 영역을 최소화하여 전력 센서 분리시에 피복 개방 영역이 원래대로 메꿔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전력 센서 접합에 의한 피복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류 센서(300)의 경우, 자기 코어(310)를 관통하는 전력선(400)에 전류가 흐르면, 암페어의 법칙(Ampere's law)에 따라 흐르는 전류에 비례하는 자기장이 그 도선 주위에 유도된다. 이에 따라 유도된 자기장은 자기 코어(310)를 자화시키며, 에어 갭(111)에서 증폭된 자속이 쇄교한다. 이 자속은 홀 센서(320)에서 홀 효과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홀 센서(320)는 전력선(40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에 비례하는 전위차, 즉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홀 센서(320)는 전류 측정을 위한 4개의 단자(321,322,323,32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단자(321,322)를 통해서는 홀 센서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3 및 제4 단자(323,324)를 통해서는 홀 효과를 야기한 자속 밀도, 즉 전력선(400)에 흐르는 전류에 상응하는 신호값을 측정하여 전력 계측부(220)에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홀 센서(3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선(400)과의 접점을 가지는 전압 측정 단자(325)를 통해 전력선(400)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을 직접 측정하여, 전력 계측부(220)에 제공하도록 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전력 계측부(220)는 중선선에 인가되는 전압과 홀 센서(320)가 측정한 전압간의 전압차를 기반으로 A상, B상, C상, N상 각각의 전압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의 설명에서는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과 전력 계측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함을 가정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 적용시에는 전력 계측 시스템이 학습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하나의 시스템에서 머신 러닝 동작과 머신 러닝 결과를 기반으로 전력 모니터링 동작 모두를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도4에서와 같이, 전력 계측 시스템이 전력 정밀 계측기(130)과 학습 서버(150)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전력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면서 학습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전력 계측 시스템의 초기 구동시에는 계측 정밀도가 다소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전력 모니터링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계측 정밀도는 계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5에서와 같이 다수의 전력 계측 시스템이 하나의 학습 서버(150)를 공유함으로써, 학습 동작이 보다 다양한 계측환경하에서 보다 방대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단축된 학습 시간과 향상된 신뢰성을 이 단축시키고, 학습 결과물에 대한 신뢰도는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력 계측 결과가 기 학습된 학습 서버와 상호 연동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모듈에 연결된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고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N상 전력선 각각에 연결된 4개의 전류 센서와 4개 전압 센서 등을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4개의 전류 센서와 4개 전압 센서의 센싱 결과를 통해 상기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는 3개의 전력 센서; 및
상기 학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알고리즘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3개 전력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전력 특성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학습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전력 특성 정보에 상응하는 전력 계측 결과를 획득하는 전력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전력 센서 각각은 양단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과 전력선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자기 코어; 다수개의 전류 측정용 단자와 하나의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가지며, 상기 에어 갭에 배치되는 홀 센서; 및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감싸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는 상기 전력선의 피복을 뚫고 도전체까지 신장되는 탐침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전력선과의 접점을 가지는 전압 측정용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을 직접 측정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특성 정보는
전류, 전압, 주파수 특성, 피크 전압, 고조파, 노이즈, 및 리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측부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신재생 에너지원 공급 조건을 제공받고, 상기 신재생 에너지 공급 조건에 따라 태양광 모듈 생산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측부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전원 공급 우선순위를 주기적으로 통보받고, 태양광 모듈 생산 전력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 우선순위에 따른 전력 공급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 전원 공급부와 부하 사이에 연결된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에 위치되고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N상 전력선 각각에 연결된 4개의 전류 센서와 4개 전압 센서 등을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4개의 전류 센서와 4개 전압 센서의 센싱 결과를 통해 상기 A상, B상, C상 전력선 각각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 및 통보하는 3개의 전력 센서;
상기 3개 전력 센서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전력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제어기;
상기 3상 4선식의 전력선 중 A상, B상, C상, N상 전력선에 각각에 접속되는 다수의 정밀 계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정밀 계측 수단을 통해 계측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력 계측 결과를 획득하는 전력 정밀 계측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부하를 변동시키는 계측환경 제어부; 및
인공 지능 기반으로 상기 센서 제어기의 전력 특성 정보와 상기 전력 정밀 계측기의 전력 계측 결과간 상관관계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학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전력 센서 각각은 양단 사이에 형성된 에어 갭과 전력선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는 자기 코어; 다수개의 전류 측정용 단자와 하나의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가지며, 상기 에어 갭에 배치되는 홀 센서; 및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를 감싸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측정용 단자는 상기 전력선의 피복을 뚫고 도전체까지 신장되는 탐침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전력선과의 접점을 가지는 전압 측정용 단자를 통해 상기 전력선을 통해 전달되는 전압을 직접 측정하는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특성 정보는
전류, 전압, 주파수 특성, 피크 전압, 고조파, 노이즈, 및 리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1471A KR101821722B1 (ko) | 2016-12-28 | 2016-12-28 |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1471A KR101821722B1 (ko) | 2016-12-28 | 2016-12-28 |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1722B1 true KR101821722B1 (ko) | 2018-01-24 |
Family
ID=6102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1471A KR101821722B1 (ko) | 2016-12-28 | 2016-12-28 |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17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60839A (zh) * | 2019-12-31 | 2020-04-24 | 苏州数言信息技术有限公司 | 通用的led电源智能检测方法及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6094B1 (ko) * | 2012-11-12 | 2014-05-15 | 삼성물산 주식회사 | 공동 주택의 지능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
KR101485051B1 (ko) * | 2013-03-12 | 2015-01-22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진단 장치 |
KR101677925B1 (ko) * | 2016-05-02 | 2016-11-29 |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 태양광 어레이의 개별감시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
2016
- 2016-12-28 KR KR1020160181471A patent/KR1018217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6094B1 (ko) * | 2012-11-12 | 2014-05-15 | 삼성물산 주식회사 | 공동 주택의 지능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
KR101485051B1 (ko) * | 2013-03-12 | 2015-01-22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진단 장치 |
KR101677925B1 (ko) * | 2016-05-02 | 2016-11-29 |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 태양광 어레이의 개별감시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60839A (zh) * | 2019-12-31 | 2020-04-24 | 苏州数言信息技术有限公司 | 通用的led电源智能检测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52362B2 (en) | Transformer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 |
JP5604089B2 (ja) | 消費電力計測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消費電力計測方法 | |
Porcarelli et al. | Clamp-and-Forget: A self-sustainable non-invasive wireless sensor node for smart metering applications | |
US9306391B2 (en) | Direct current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adhav et al. | Development of a novel iot-enabled power-monitoring architecture with real-time data visualization for use in domestic and industrial scenarios | |
Pandraju et al. |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for low voltage distribution system in smart grid based monitoring applications | |
US10698012B2 (en) | Power measuring system and power measuring method | |
Kapoor et al. | A review of publicly available energy data sets | |
KR101821722B1 (ko) | 태양광 모듈 기반 주택 에너지 관리용 전력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력 계측용 학습 시스템 | |
RU2607674C2 (ru) |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я 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е и электр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 |
Kandimalla et al. | Web based monitoring of solar power plant using open source IOT platform Thingspeak and Arduino | |
Ravishankar et al. | Low-cost non-intrusive residential energy monitoring system | |
Lova Raju et al. | Node MCU Based Power Monitoring and Smart Billing System Using IoT | |
Pfajfar et al. | Harmonic emission level estimation based on measurements at the point of evaluation | |
Singh et al. | Network controlled distributed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mart cities | |
Baran et al. | State estimation for real time monitoring of distribution feeders | |
Dagsa et al. | IoT-Enabled Energy Consumptio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Single-Phase Building | |
Valenzuela | Multisensor system for energy consumption awareness in large buildings | |
CN113078880A (zh) | 光伏发电组件分布式在线故障诊断方法及系统 | |
Gorai et al. | Substation Monitoring & Control System | |
Raafiu et al. | Smart Monitoring of Solar Panel System in Saving of the Electrical Power with Internet of Things | |
Amudha et al. | Monitoring Of Industrial Electrical Equipments | |
Singh et al. | 7 Wireless monitoring of substation using IoT | |
Alim et al. | Data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power loss in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 |
JP2013065715A (ja) | 太陽光発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