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396B1 -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396B1
KR101821396B1 KR1020170100821A KR20170100821A KR101821396B1 KR 101821396 B1 KR101821396 B1 KR 101821396B1 KR 1020170100821 A KR1020170100821 A KR 1020170100821A KR 20170100821 A KR20170100821 A KR 20170100821A KR 101821396 B1 KR101821396 B1 KR 10182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volume
audio
adjustment value
audio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아카데미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데미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아카데미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7010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분석한 후 음성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채널마다 디지털 볼륨 제어를 위한 n(n>0) 개의 포텐셔미터가 설치된 오디오 믹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음성 분석 결과를 수신한 후에 상기 음성 분석 결과에 따른 볼륨 제어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 단말; 및 상기 제어 단말과 오디오 믹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볼륨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각 포텐셔 미터의 볼륨 조정값을 추출하여 해당 포텐셔 미터에 적용함으로써 각 입력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증폭 정도를 조정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인터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음성에 따른 볼륨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각 채널의 볼륨 레벨이 조정되도록 하고, 현재 조정된 볼륨 조정값을 저장한 후 음성 인식을 통해 호출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다채널 오디오 믹서의 설정과 조정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CONTROL SYSTEM OF AUDIO MIXER BY SPEECH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인터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음성에 따른 볼륨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오디오 믹서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믹서는 믹싱 콘솔, 믹싱 데스크, 사운드 보드라고도 불리는데, 녹음 스튜디오, 방송, 영화 후반 작업, 확성 시스템(PA System) 등과 같은 여러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디오 믹서는 소리의 세기, 음색, 위상 및 서라운드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고, 신호 처리 방식에 따라 아날로그 믹서, 디지털 믹서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믹싱을 통해 수정된 신호(전압이나 디지털 샘플)는 하나의 혼합된 신호로 출력된다. 즉, 여러 오디오 신호들을 믹싱하여 전혀 다른 오디오 합성 신호를 생성하고, 청취자는 오디오 합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스피커 채널은 모노의 경우 1채널, 스테레오의 경우 2채널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자는 여러 개의 채널을 청취자가 들을 수 있도록 독립적인 각각의 음원들을 믹싱하기 위해 오디오 믹서를 사용한다. 즉, 제작에 필요한 마이크 채널이 8개일 경우에, 청취자가 8개의 채널을 모두 듣기 위해서는 8개의 스피커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테레오 시스템은 2개의 스피커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8개의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음원을 청취자가 듣기 위해서 제작자가 마스터링 과정에서 오디오 믹싱을 해야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믹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오디오 믹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마이크 등의 음성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프리앰프부(10)를 거쳐 합쳐져서 증폭부(20)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30)로 출력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오디오 믹서는 제품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선택 스위치에 따라 입력의 선택/제외가 결정되고, 게인에 의하여 원래 오디오 신호의 증폭율이 결정되며, 이렇게 증폭된 오디오 신호는 이퀄라이저를 통과하면서 각 오디오 주파수 대역에서 조정이 되고, 외부(AUX) 연결 정도가 조정되며, 페이더에 의해 음향이 결정된다.
이때, 이퀄라이저는 오디오 음역의 고음/중음/저음 등의 주파수 증폭이나 감쇠를 통해 음색을 조정하거나 튜닝을 하는 장치이다.
이때, 오디오 신호의 입력 채널의 개수가 많아지면 각 입력 채널별로 조정해야 할 볼륨 다이얼의 개수가 입력 채널의 개수만큼 많아지기 때문에 아날로그 오디오 믹서의 경우에 볼륨 조정이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아날로그 오디오 믹서의 경우에 제작자가 원하는 대로 음색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믹서 해야 할 입력 채널의 수가 증가할수록 다채널화가 요구되고, 그에 따라 조정해야 할 볼륨 다이얼의 수가 채널 수만큼 배수가 되어 세밀한 조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9006호 " 오디오 데이터에 다중 혼합 및 음향효과를 부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 한국등록특허 제10-0856001호 " 오디오 입출력부 및 제어부가 분리된 디지털 원격제어방식의 오디오 믹서 "
본 발명은 오디오 믹서의 채널별로 포텐셔미터를 설치하고, 제어단말을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인터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음성에 따른 볼륨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포텐셔 미터 별로 볼륨 조정값을 전송함으로써 다채널 오디오 믹서의 세밀한 볼륨 조정이 가능한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분석한 후 음성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채널마다 디지털 볼륨 제어를 위한 n(n>0) 개의 포텐셔미터가 설치된 오디오 믹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음성 분석 결과를 수신한 후에 상기 음성 분석 결과에 따른 볼륨 제어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 단말; 및 상기 제어 단말과 오디오 믹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볼륨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각 포텐셔 미터의 볼륨 조정값을 추출하여 해당 포텐셔 미터에 적용함으로써 각 입력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증폭 정도를 조정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포텐셔미터마다 적용된 볼륨 조정값을 저장하고, 사용자 음성을 통한 호출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볼륨 조정값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륨 제어 신호는 채널 번호와 볼륨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볼륨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채널 번호에 따라 해당 포텐셔미터로 볼륨 조정값을 전달하고, 현재 조정된 볼륨 조정값을 채널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은,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인터넷을 통해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음성에 따른 볼륨 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각 채널의 볼륨 레벨이 조정되도록 하고, 현재 조정된 볼륨 조정값을 저장한 후 음성 인식을 통해 호출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다채널 오디오 믹서의 설정과 조정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믹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오디오 믹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요소인 오디오 믹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구성요소인 오디오 믹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100), 오디오 믹서(210), 제어 단말(300) 및 마이크로컨트롤러(220)를 포함한다.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분석한 후 음성 분석 결과를 재전송한다.
오디오 믹서(210)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채널마다 디지털 볼륨 제어를 위한 n(n>0) 개의 포텐셔미터(211)가 설치된다.
오디오 믹서(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볼륨 다이얼은 포텐셔 미터(211)로 변경하고, 포텐셔 미터(211)는 1번 단자에 마이크로컨트롤러(220)와 연결되어 볼륨 조정값이 입력되고, 3번 단자에 그라운드 연결되며, 2번 단자로 오디오 신호가 나와서 앰프로 입력된다.
제어 단말(300)은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면 사용자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로 전송하고,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로부터 음성 분석 결과를 수신한 후에 음성 분석 결과에 따른 볼륨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220)에 전달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제어 단말(300)과 오디오 믹서(210) 사이에 설치되고, 볼륨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각 포텐셔 미터(211)의 볼륨 조정값을 추출하여 해당 포텐셔 미터(211)에 적용함으로써 각 입력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증폭 정도를 조정한다.
이때,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포텐셔미터(211)마다 적용된 볼륨 조정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 음성을 통한 호출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볼륨 조정값을 호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은,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 음성을 전송하면, 제어 단말(300)은 사용자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100)에 전송한다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100)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분석한 후 음성 분석 결과를 제어 단말(300)로 재전송한다.
제어 단말(300)은 음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볼륨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포텐셔 미터(211)에 전달하는데, 볼륨 제어 신호는 채널 번호와 볼륨 레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볼륨 제어 신호를 전송받은 마이크로컨트롤러(220)는 볼륨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각 채널의 포텐셔미터(211)에 볼륨 조정값을 전달하고, 현재 조정된 볼륨 조정값을 채널별로 저장한다.
사용자는 제어 단말(300)을 통해 음성 명령으로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볼륨 조정값을 호출하거나, 전체 채널에 대한 볼륨 조정값을 호출하여 오디오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 믹서가 다채널화되더라도 채널마다 포텐셔미터의 볼륨 조정값을 저장하고, 음성 인식을 통해 저장된 볼륨 조정값을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설정된 볼륨 조정값은 다시 재조정하지 않더라도 음성 명령을 통해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 210 : 오디오 믹서
211 : 포텐셔 미터 220 : 마이크로컨트롤러
300 : 제어단말

Claims (3)

  1.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분석한 후 음성 분석 결과를 전송하는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채널마다 디지털 볼륨 제어를 위한 n(n>0) 개의 포텐셔미터가 설치된 오디오 믹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음성 분석 결과를 수신한 후에 상기 음성 분석 결과에 따른 볼륨 제어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어 단말; 및
    상기 제어 단말과 오디오 믹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볼륨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각 포텐셔 미터의 볼륨 조정값을 추출하여 해당 포텐셔 미터에 적용함으로써 각 입력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증폭 정도를 조정하며, 상기 포텐셔미터마다 적용된 볼륨 조정값을 저장하고, 사용자 음성을 통한 호출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볼륨 조정값을 호출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제어 신호는 채널 번호와 볼륨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상기 볼륨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채널 번호에 따라 해당 포텐셔미터로 볼륨 조정값을 전달하고, 현재 조정된 볼륨 조정값을 채널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KR1020170100821A 2017-08-09 2017-08-09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KR101821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821A KR101821396B1 (ko) 2017-08-09 2017-08-09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821A KR101821396B1 (ko) 2017-08-09 2017-08-09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396B1 true KR101821396B1 (ko) 2018-01-23

Family

ID=6107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821A KR101821396B1 (ko) 2017-08-09 2017-08-09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3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01A1 (ko) * 2019-08-27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884A (ja) * 1999-07-27 2001-02-16 Sony Corp 音声認識制御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制御方法
KR101558199B1 (ko) * 2015-05-19 2015-10-08 주식회사 케빅 Gui를 통한 제어기능의 디지털 음원 믹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884A (ja) * 1999-07-27 2001-02-16 Sony Corp 音声認識制御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制御方法
KR101558199B1 (ko) * 2015-05-19 2015-10-08 주식회사 케빅 Gui를 통한 제어기능의 디지털 음원 믹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201A1 (ko) * 2019-08-27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69153A1 (en) Adjustable speaker systems and methods
US6332026B1 (en) Bass management system for home theater equipment
CN106713794B (zh) 一种调节音频均衡的方法及提供均衡调节的音频系统
AU2016293470B2 (en) Synchronising an audio signal
US100577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between audio system modes
WO2006004099A1 (ja) 残響調整装置、残響補正方法、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KR101823437B1 (ko) 디지털 영상음향 통합제어시스템
US20120014538A1 (en) Audio equip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N106792333B (zh) 电视机的音响系统
GB2540407A (en) Personal audio mixer
GB2529310A (en) A method of augmenting an audio content
GB2508587A (en) State variable filter for audio equaliser
KR101821396B1 (ko) 음성 인식을 통한 오디오 믹서의 조정 시스템
US20130188810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recording method
JP2010212898A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2266560B1 (ko) 무선통신 기반의 다채널 오디오 믹싱 장치 및 그 방법
KR100611993B1 (ko) 멀티 채널 자동 스피커 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AU2017310081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esenting media
KR20140044575A (ko)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질 향상을 위한 신호처리 구조
US20140376726A1 (en) Stereo headphone audio process
KR101721406B1 (ko) 적응형 음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809462B (zh) 场馆多路音强自平衡的数字调音台
CN107886964B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其系统
JP2022089106A (ja) 自動音声調整装置
WO2014130738A1 (en) Sound enhancement for powered spe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