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88B1 -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 Google Patents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88B1
KR101820888B1 KR1020170010373A KR20170010373A KR101820888B1 KR 101820888 B1 KR101820888 B1 KR 101820888B1 KR 1020170010373 A KR1020170010373 A KR 1020170010373A KR 20170010373 A KR20170010373 A KR 20170010373A KR 101820888 B1 KR101820888 B1 KR 10182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ile
tile plate
phantom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민
박효국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5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 A61N2005/107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alibrating, or quality assurance of the radiation treatment apparatus using a dummy object placed in the radiation field, e.g. phan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팬텀안착유닛은,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카우치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평판 형상의 타일플레이트; 상기 타일플레이트가 상기 카우치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레벨풋;을 포함하되, 상기 셋 이상의 레벨풋은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길이가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을 이용하면, 팬텀을 카우치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고, X축과 Y축과 Z축을 중심으로 팬텀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여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도를 매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Phantom supporting unit for quality assurance of image base radiation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도 관리를 위한 팬텀이 안착되는 팬텀안착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팬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텀의 안착 기울기를 3축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팬텀안착유닛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의료장비도 첨단화하여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각종 시술이나 진단 등이 하나씩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의료장비 중에는 인체내부의 상태를 보다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각종 촬영장치도 있다.
상기 촬영장치로는 예컨대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나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나 핵의학영상촬영장치(SPECT)나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 등이 있으며 모두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나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나 핵의학영상촬영장치(SPECT)나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는 영상획득원리가 서로 달라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므로, 진단목적에 따라 영상이 가장 정확하고 선명하게 나오는 촬영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특히, 상기 컴퓨터단층촬영장치(CT장치)는 전자밀도의 변화에 따른 엑스선 감쇠계수의 차이를 발현기전으로 삼아 영상을 얻는 장치로, 영상의 왜곡이 적고 양호한 해부학적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뼈조직 촬영에 탁월하며 전자밀도 정보를 선량계산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방사선 치료계획시 기준영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의료영상 촬영장치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각종 종양을 촬영하는 것이므로 의사로 하여금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정밀하고 정확한 촬영성능이 담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의료영상 촬영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병원에서는 해당 촬영장치가 올바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의료영상촬영장치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받기 위한 시스템성능평가와 시스템 메인터넌스를 위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측정 및 평가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의료영상 품질관리 작업이다.
한편, 상기 의료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종양의 크기나 위치가 파악되었다면 방사선을 이용해 종양을 제거하는 방사선치료가 이어진다. 상기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라고 하는 고가의 의료장비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선형가속기는 높은 선량율의 엑스레이 및 전자선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 출력 에너지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현재 방사선 치료의 표준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선형가속기로 방사선 치료를 수행할 때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방사선을 종양부위에만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정상조직에는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치료계획을 정밀하게 수행하였다 하더라도, 방사선 치료시 카우치(couch)위에 누워있는 환자 몸속 종양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없는 이상, 정상조직에도 방사선이 가해지는 것을 확실히 막지는 못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는 영상촬영장치와 방사선치료기를 통합시킨 의료용 방사선 치료장치로서, 카우치에 누워있는 환자의 몸속 종양 상태를 파악하고 그 상태로 (환자의 이동 없이) 바로 방사선 치료에 들어갈 수 있어, 방사선을 매우 정확한 포인트에 집중시킬 수 있어 차세대 방사선 치료장치로 보편화되었다.
이때, 보다 정확한 영상유도 방사선치료를 위해서는 영상을 유도하는 위치가 맞는지 검증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보정된 값과 실제 움직인 값이 같은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영상촬영장치와 방사선치료기의 센터를 정확히 맞추고 영상촬영장치와 방사선치료기의 정도를 관리하는 작업이 매일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도 관리를 위해서는 카우치에 팬텀을 안착시킨 후 영상촬영장치와 방사선치료기로 팬텀을 촬영하고, 촬영을 통해 얻은 영상을 통해 해당 영상촬영장치와 방사선치료기의 센터 및 정도를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종래에는 팬텀을 카우치 상에 직접 안착시키므로, 팬텀의 위치를 전후 좌우 및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팬텀의 기울기까지는 조정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사람의 몸은 매우 딱딱한 고체가 아니므로 카우치에 누울 때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카우치 상에 안착된 팬텀을 기울일 방법이 없으므로 모든 변수에 대한 보정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0-091283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카우치 상에 안착되어 상면에 팬텀이 장착되되, X축과 Y축과 Z축을 중심으로 팬텀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작이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팬텀안착유닛은,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카우치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평판 형상의 타일플레이트; 상기 타일플레이트가 상기 카우치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레벨풋;을 포함하되, 상기 셋 이상의 레벨풋은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길이가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벨풋은, 상기 타일플레이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너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카우치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는 볼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록은 상기 볼헤드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상기 받침블록 간의 결합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타일플레이트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벨풋은 상기 타일플레이트에 3개 결합되며, 상기 3개의 레벨풋 중 2개의 레벨풋은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일측 변 길이방향 양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3개의 레벨풋 중 나머지 하나의 레벨풋은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타측 변 중심부에 장착된다.
상기 3개의 레벨풋은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저면 중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 개의 톱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톱니돌기가 안착되는 톱니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타일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수직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타일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관통바와, 상기 관통바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관통바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하판은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저면과 이격되며, 상기 하판의 상면과 상기 타일플레이트의 저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하판에 하향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을 이용하면, 팬텀을 카우치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고, X축과 Y축과 Z축을 중심으로 팬텀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단하여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도를 매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타일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제2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타일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의 안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와, 갠트리(20)와, 방사선 조사 헤드(30)와, 영상 획득부(40)와, 카우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촬영장치와 방사선치료기의 정도를 관리하기 위해 팬텀(60)은 카우치(50) 상에 안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팬텀(60)이 카우치(50) 상면에 직접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 조정이 가능한 안착유닛 상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전후 및 좌우방향 이동에 따른 보정뿐만 아니라 각 방향별 기울기 변경에 따른 보정까지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100)(이하 '팬텀안착유닛(100)'이라 약칭함)은,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카우치(50)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평판 형상의 타일플레이트(110)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가 상기 카우치(5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레벨풋(120)을 포함하되, 상기 셋 이상의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길이가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는 카우치(50)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레벨풋(120)에 의해 카우치(50)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상기 다수 개의 레벨풋(120) 중 일부 레벨풋(120)의 하향 돌출거리가 증감되면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에 안착되는 팬텀(60) 역시 타일플레이트(110)를 따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바, 기울기 변경에 따른 보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레벨풋(120) 중 어느 레벨풋(120)의 하향 돌출거리를 증감시키는지에 따라 팬텀(60)이 기울어지는 방향이 결정된다. 즉, 타일플레이트(110)의 좌우측에 장착된 레벨풋(120)의 하향 돌출거리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팬텀(60)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링(Rolling)을 구현할 수 있고, 타일플레이트(110)의 전후방측에 장착된 레벨풋(120)의 하향 돌출거리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팬텀(60)이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칭(Pitching)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팬텀안착유닛(100)을 이용하면, 팬텀(60)의 위치를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영상을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텀(60)의 좌우방향 기울기와 전후방향 기울기를 변경시켜가면서 영상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정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팬텀안착유닛(100)은, 팬텀(60)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잉(Yawing)을 구현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1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타일플레이트(110) 상에 회전플레이트(13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팬텀(60)은 회전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안착되는바, 회전플레이트(1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플레이트(130) 상에 안착된 팬텀(60)의 요잉 각도를 변경시켜가면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130)가 타일플레이트(110) 상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130)의 저면 중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 개의 톱니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상기 톱니돌기(132)가 안착되는 톱니홈(1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30)와 타일플레이트(110)에 톱니돌기(132)와 톱니홈(112)이 형성되면, 상기 톱니돌기(132)가 톱니홈(112)으로부터 인출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회전플레이트(13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아니하므로, 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도 관리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의 수직단면도이다.
상기 레벨풋(120)은 하향돌출길이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 구조로 타일플레이트(11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레벨풋(120)이 직접 타일플레이트(110)에 나사결합되면,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레벨풋(120)이 미세하게나마 회전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라 팬텀(60)의 기울기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벨풋(120)은 하향 돌출거리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으면서 외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향 돌출거리가 변경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벨풋(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샤프트(122)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122)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너트(124)와, 상기 샤프트(122)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카우치(5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블록(1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122)는, 타일플레이트(1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저면에 압착되는 한 쌍의 너트(124)에 의해 고정되므로, 외부 진동이나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임의로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 즉, 팬텀(60)의 기울기가 임의로 변경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레벨풋(120)에 포함되는 샤프트(122)의 하향 돌출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플레이트(110)가 수평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샤프트(122)는 카우치(50)의 상면에 대해 직각을 향하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레벨풋(120)에 포함되는 샤프트(122)의 하향 돌출길이가 상이하게 조절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플레이트(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므로,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샤프트(122) 역시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22)와 받침블록(126)이 고정 결합되면, 샤프트(122)가 기울어졌을 때 받침블록(126) 역시 일측으로 기울어지므로 상기 받침블록(126)의 저면 전체가 카우치(5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팬텀안착유닛(100)은 샤프트(122)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받침블록(126)의 저면은 항상 카우치(5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22)와 받침블록(126) 간의 결합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샤프트(122)의 하단에는 볼헤드(123)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록(126)은 상기 볼헤드(123)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122)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볼헤드(123)는 받침블록(126)의 내부에서 자전을 하여 상기 받침블록(126)의 저면 전체가 카우치(5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직육면체 형상의 팬텀(6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일플레이트(110)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상기 레벨풋(120)이 타일플레이트(110)의 각 모서리마다 하나씩 총 4개 구비되면, 상기 4개의 레벨풋(120) 중 어느 하나의 레벨풋(120)이 카우치(50)의 상면에 완벽히 안착되지 못하여 상기 타일플레이트(110)가 흔들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타일플레이트(110)가 흔들리면 정도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되는바, 상기 레벨풋(12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타일플레이트(110)에 3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타일플레이트(110)에 3개의 레벨풋(12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3개의 레벨풋(120)이 타일플레이트(110)를 고르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3개의 레벨풋(120) 중 2개의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일측 변 길이방향 양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3개의 레벨풋(120) 중 나머지 하나의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타측 변 중심부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3개의 레벨풋(120)은 타일플레이트(1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레벨풋(120)이 정삼각형으로 배열되면, 타일플레이트(110)의 각 부위가 고르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각 레벨풋(120)의 돌출길이 변경에 따른 팬텀(60)의 기울기 변경각도가 일정해지는바, 팬텀(60)에 대한 영상 보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레벨풋(120)의 장착위치는 타일플레이트(110)의 형상이나 팬텀(60)의 형상, 레벨풋(120)의 구조적 특성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제2 실시예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30)가 타일플레이트(110) 상에 단순히 안착되는 구조로 장착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130)가 위로 들어 올려져 톱니돌기(132)가 톱니홈(112)으로부터 탈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팬텀안착유닛(100)은 회전플레이트(130)가 타일플레이트(110) 상에서 회전을 할 수 있으면서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회전플레이트(130)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타일플레이트(110)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30)의 수직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30) 및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관통바(142)와, 상기 관통바(14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144)과, 상기 관통바(142)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146)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44)과 하판(146)은 관통바(142)보다 수평단면적이 크게 제작되는바, 상기 상판(144)이나 하판(146)이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관통바(142)는 회전플레이트(130) 및 타일플레이트(110)로부터 빠지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플레이트(130)는 타일플레이트(1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플레이트(130)가 타일플레이트(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되기 위해서는 톱니돌기(132)가 톱니홈(11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을만큼 상기 회전플레이트(130)가 상승될 수 있어야 하는바, 상기 하판(146)은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하판(146)이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과 이격되면, 회전플레이트(130)가 타일플레이트(11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쉽게 흔들리거나 들어 올려질 수 있는바, 상기 하판(146)의 상면과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 사이에는 상기 하판(146)에 하향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15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150)은 하판(146)의 상면과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 사이에서 압축된 코일스프링 형상을 갖는바, 상기 회전플레이트(130)는 상기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력을 받는 상판(144)에 의해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압착된다. 즉, 상기 회전플레이트(130)는 탄성스프링(15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인가되기 이전까지는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회전플레이트(130)가 임의로 들어 올려지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팬텀안착유닛 110 : 타일플레이트
112 : 톱니홈 120 : 레벨풋
122 : 샤프트 123 : 볼헤드
124 : 너트 126 : 받침블록
130 : 회전플레이트 132 : 톱니돌기
140 : 연결브라켓 142 : 관통바
144 : 상판 146 : 하판
150 : 탄성스프링

Claims (9)

  1.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카우치(50)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평판 형상의 타일플레이트(110);
    상기 타일플레이트(110)가 상기 카우치(5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셋 이상의 레벨풋(120); 을 포함하되,
    상기 셋 이상의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길이가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샤프트(122)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상기 샤프트(122)에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너트(124)와, 상기 샤프트(122)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카우치(50)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블록(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22)의 하단에는 볼헤드(123)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블록(126)은 상기 볼헤드(123)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122)와 상기 받침블록(126) 간의 결합 각도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에 3개 결합되며,
    상기 3개의 레벨풋(120) 중 2개의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일측 변 길이방향 양끝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3개의 레벨풋(120) 중 나머지 하나의 레벨풋(120)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타측 변 중심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레벨풋(120)은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6. 청구항 1,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수직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30)의 저면 중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회전플레이트(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 개의 톱니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상기 톱니돌기(132)가 안착되는 톱니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130)를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브라켓(140)은, 상기 회전플레이트(130)의 수직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회전플레이트(130) 및 상기 타일플레이트(11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관통바(142)와, 상기 관통바(142)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판(144)과, 상기 관통바(142)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판(14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판(144)은 상기 회전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하판(146)은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과 이격되며,
    상기 하판(146)의 상면과 상기 타일플레이트(110)의 저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하판(146)에 하향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텀안착유닛(100).

KR1020170010373A 2017-01-23 2017-01-23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KR101820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73A KR101820888B1 (ko) 2017-01-23 2017-01-23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73A KR101820888B1 (ko) 2017-01-23 2017-01-23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888B1 true KR101820888B1 (ko) 2018-01-22

Family

ID=6109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73A KR101820888B1 (ko) 2017-01-23 2017-01-23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7950A (zh) * 2019-01-17 2019-04-02 陕西华明普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三维水箱水平面自动调平装置及方法
CN110419862A (zh) * 2019-08-14 2019-11-08 刘宇敦 一种多维度桌椅脚活动关节及脚部可调的桌子、椅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7516A (ja) * 2009-09-28 2011-04-07 Hitachi Medical Corp 静磁場均一度調整方法、静磁場均一度測定治具、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20140016759A1 (en) * 2012-07-13 2014-01-16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Compound 6d-offset simulating phantom and quality assurance program for precision image-guided radiotherapy and radiosurg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7516A (ja) * 2009-09-28 2011-04-07 Hitachi Medical Corp 静磁場均一度調整方法、静磁場均一度測定治具、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20140016759A1 (en) * 2012-07-13 2014-01-16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Compound 6d-offset simulating phantom and quality assurance program for precision image-guided radiotherapy and radiosurg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7950A (zh) * 2019-01-17 2019-04-02 陕西华明普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三维水箱水平面自动调平装置及方法
CN109557950B (zh) * 2019-01-17 2023-09-08 陕西华明普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三维水箱水平面自动调平装置及方法
CN110419862A (zh) * 2019-08-14 2019-11-08 刘宇敦 一种多维度桌椅脚活动关节及脚部可调的桌子、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1765B2 (e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with a flat panel imager
Murphy et al. Image-guided radiosurgery for the spine and pancreas
US8005187B2 (en) Medical digital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dical digital X-ray sensor
KR101499267B1 (ko) 치과 및 안면 촬상 장치
US20210338180A1 (en) Stationary intraoral tomosynthesis imag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hree dimensional dental imaging
US70739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x-ray exposure
KR20090081883A (ko)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도관리용 팬텀
Nachabe et al.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comparison during spine surgery with two different, intraoperative 3D imaging navigation systems
DE102010018627A1 (de) Röntgensystem und Verfahren zur Generierung von 3D-Bilddaten
Sheth et al. A mobile isocentric C‐arm for intraoperative cone‐beam CT: technical assessment of dose and 3D imaging performance
WO2017196413A1 (en) Stationary intraoral tomosynthesis imaging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hree dimensional dental imaging
KR101820888B1 (ko) 영상기반 방사선 치료장치 정도 관리용 팬텀안착유닛
DE102004035841B4 (de) Verfahren zur Röntgenbildkorrektur sowie zugehöriger Röntgen-CT-Scanner und Speicherträger
JP2010178989A (ja) 放射線治療装置校正用ファントム、放射線治療装置、及び放射線治療装置校正方法
Chang et al. Imaging system QA of a medical accelerator, Novalis Tx, for IGRT per TG 142: our 1 year experience
DE102013209769B4 (de) Röntgenbildgebungsgerät zum Stitchi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KR20190090351A (ko) X-선 이미징용 x-선 이미징 유닛
Djordjevic Evaluation of geometric accuracy and image quality of an on-board imager (OBI)
GB2467556A (en) An alignment device for dent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US11298091B2 (en) Device for positioning a patient during acquisition of volumetric CBCT radiographs
Shimizu et al. Development of twist‐correction system for radiotherapy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KR20230002164U (ko) X-선 영상장치
Wong et al. Jaffray et al.
Morin et al. Evaluation of the mechanical stability of a megavoltage imaging system using a new flat panel positioner
DE102018222356A1 (de) Parallaxenkorrekt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