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53B1 -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 Google Patents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53B1
KR101820853B1 KR1020160149981A KR20160149981A KR101820853B1 KR 101820853 B1 KR101820853 B1 KR 101820853B1 KR 1020160149981 A KR1020160149981 A KR 1020160149981A KR 20160149981 A KR20160149981 A KR 20160149981A KR 101820853 B1 KR101820853 B1 KR 101820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glass
main component
glass powder
composi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0296A (en
Inventor
김형순
정대용
조성환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53B1/en
Publication of KR2017002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2/00Powdered glass; Bea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1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progressive fusion or sintering of powdered glass onto a shaping substrate, i.e. accretion, e.g. plasma oxidation 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6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sintering, e.g. by cold isostatic pressing of powders and subsequent sintering, by hot pressing of powders, by sintering slurries or dispersions not undergoing a liquid phase 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와 3D 프린팅용 성형방법 및 성형체에 관한 것으로,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분말 상태의 비정질 유리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우수한 유동성 및 소결성을 확보하여 고품질의 물품을 신속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중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의 경우, 비정질 유리가 파쇄되어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도록 형성된 모재 유리분말과; 상기 모재 유리분말 평균 입경의 1/50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갖고 상기 모재 유리분말 표면에 위치하도록 혼합되어 3D 프린팅에 의한 성형시 불규칙 형상을 갖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을 높여주는 구형 나노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 molding method for 3D printing, and a molded article, and it is possible to mold a high-quality article quickly by securing excellent fluidity and sintering property based on irregular shaped powdery amorphous glass .
In the case of the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glass powder formed so as to have an irregular shape in a powder state in which the amorphous glass is crushed and not melted; And a spherical nano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1/50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and mixed to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to improve the fluidity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having an irregular shape when formed by 3D printing .

Description

파쇄된 불규칙 형상의 비정질 유리를 기반으로 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와 3D 프린팅용 성형방법 및 성형체{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based on a crushed irregular shaped amorphous glass, a molding method and a molding body for 3D printing,

본 발명은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쇄되어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분말 상태의 비정질 유리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우수한 유동성 및 소결성을 확보하여 고품질의 물품을 신속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와 3D 프린팅용 성형방법 및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printing method and a 3D printing method which are capable of rapidly forming a high-quality article by securing excellent fluidity and sinterability based on powdery amorphous glass having a crushed and irregular shape, And a molding method and a molded body for 3D printing.

일반적으로, 3D(3-Dimension, 3차원) 프린팅 기술은 특수한 소재의 잉크를 이용하여 미세한 두께로 층층이 쌓아 올리면서 입체적인 형상물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3D 프린팅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자동차 분야 외에도 의료용 인체모형이나 칫솔이나 면도기와 같은 가정용 제품 등의 다양한 모형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In general, 3D (3-dimensional, 3-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is a technique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stacking layers with a small thickness using ink of a special material. 3D printing technology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nd has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models such as a medical human body model, a household toothbrush such as a toothbrush or a razor, as well as an automobile field composed of many parts.

현재 3D 프린팅에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는 빛을 받으면 굳는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 '포토폴리머(photopolymer)'이며,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인기 있는 소재는 녹고 굳는 것이 자유로운 고체 형태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시장의 40% 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추후 금속 분말도 점차 성장세를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중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의 형태는 필라멘트(filament), 입자 또는 분말가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필라멘트형(filament type)의 소재를 사용한 3D 프린팅은 속도면에서 타 유형보다 빨라서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필라멘트 소재로는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이 쓰이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첫째, 녹는점이 적당히 높아 프린팅 후 고화 속도가 빠르므로 프린팅 속도를 빨리해도 변형이 되지 않고 치수 및 형태 안정성이 좋다. 둘째, 녹는점이 적당히 낮아 필라멘트 제조 시에 압출이 용이하고 생산효율이 높다. 더욱이 녹는점이 너무 높을 경우는 필라멘트를 녹이는 데 전력의 소모가 많고 프린터 내의 부품들이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는 등 불필요한 원가 상승 요인이 된다.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 for 3D printing is photopolymer, a photocurable polymer material that solidifies when exposed to light, accounting for more than 50% of the entire market. The next most popular material is solid, thermoplastic, which is free to melt and solidify. It occupies 40% of the market, and metal powder is expected to grow gradually. The shape of the double thermoplastics material may be in the form of filaments, particles or powder powders. It is known that 3D printing using a filament type material is faster than other types in terms of speed, which is advantageous in productivity. Examples of such filament materials include polylactic acid (PLA),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polycarbonate (PC). That is, first, since the melting point is moderately high, the solidification rate is fast after printing, so that even if the printing speed is fast, it is not deformed, and dimension and shape stability are good. Second, since the melting point is moderately low, the extrusion is easy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high when the filament is manufactured. In addition, if the melting point is too high, it is necessary to dissolve the filament, which consumes a lot of electric power, and the parts in the printer must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temperatures.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3D 프린팅용 소재의 경우 성형성에만 주로 초점을 맞춘 포토폴리머(photopolymer)나 열가소성 플라스틱 정도로 제한되어 있는 관계로 보다 다양한 소재의 연구 및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특히, 3D 프린팅용으로 물품을 원활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포토폴리머나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로는 구현하는데 제약이 있는 투광성 및 경도를 갖추면서도 다양한 기계적 특성들을 복합하는 것이 가능한 3D 프린팅용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the currently used 3D printing materials are limited to photopolymers and thermoplastics, which are mainly focused on the formability.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materials are urgently needed. Particular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material for 3D printing which is capable of forming an article smoothly for 3D printing, but which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mechanical characteristics while having light transmittance and hardness, which are imposed on photopolymers or thermoplastics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94119호(2014.05.0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394119 (Ap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3D 프린팅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쇄되어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분말 상태의 비정질 유리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우수한 유동성 및 소결성을 확보하여 고품질의 물품을 신속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와 3D 프린팅용 성형방법 및 성형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3D printing technique,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printing technique which is based on powdery amorphous glass having a crushed and irregular shape, And to provide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 molding method for 3D printing, and a molded article, which are capable of rapidly molding a high-quality article by securing excellent fluidity and sintering proper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는, 비정질 유리가 파쇄되어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도록 형성된 모재 유리분말과; 상기 모재 유리분말 평균 입경의 1/50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갖고 상기 모재 유리분말 표면에 위치하도록 혼합되어 3D 프린팅에 의한 성형시 불규칙 형상을 갖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을 높여주는 구형 나노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Solu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comprising: a base glass powder formed to have an irregular shape in an amorphous glass state; And a spherical nano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1/50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and mixed to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to improve the fluidity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having an irregular shape when formed by 3D printing As a technical feature.

여기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재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is composed of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 And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

또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200μm 범위에 속하고,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평균 입경은 1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base glass powder is in the range of 1 to 200 mu m,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100 nm or less.

또한, 상기 모재 유리분말에 대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평균 입경은 1/200000 내지 1/50 비율 범위에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to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may be in the range of 1/200000 to 1/50.

또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은 유리를 볼 밀링에 의해 1차 파쇄하여 조분을 형성한 후, 젯 밀링 또는 볼 밀링에 의해 2차 파쇄하여 미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glass powd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glass is first crushed by ball milling to form a coarse powder, followed by secondary crushing by jet milling or ball milling to form a fine powder.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소재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하거나,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or belongs to any one of TeO 2 glass in composition, SiO 2, Y 2 O 3, Al 2 O 3, TiO 2, ZrO, NiO, CoO, CeO 2, MgO, CaO, WO 3, CuO, and Fe 2 O 3 as main components.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결을 촉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pherical nano powder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thereby promoting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소재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 And a glass composition system having a main component of TeO 2 , which is a multi-component oxide glass.

또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200μm 범위에 속하고,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평균 입경은 1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base glass powder is in the range of 1 to 200 mu m,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nm or less.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상기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와 함께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평균 입경 100nm 이하의 단일산화물이 혼합되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성형 강도까지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herical nano-powder may be formed of SiO 2 , Y 2 O 3 , Al 2 O 3 , TiO 2 , ZrO 2 , NiO, CoO, CeO 2 , MgO, CaO, WO 3 , CuO, Fe 2 O 3 A single 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or less is mixed with the glass powder to increase the molding strength of the base glass powder.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결시 상기 모재 유리분말과 반응하지 않는 단일 산화물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과 함께 성형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pherical nano powd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the single oxides which do not react with the base glass powder during the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to increase the molding strength together with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can do.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평균 입경 100nm 이하의 단일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more, said spherical nano-powder is SiO 2, Y 2 O 3, Al 2 O 3, TiO 2, ZrO, NiO, CoO, CeO 2, MgO, CaO, WO 3, CuO, Fe 2 O 3 And a single 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0 nm or less.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열과 정전기에 의해 상기 모재 유리분말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pherical nano powder may be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by heat and static electricity.

또한, 상기 소성단계에서 상기 성형체의 소결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최대수축온도와 연화온도 사이의 범위에 속한 온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intering of the green body in the sintering step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in a range between a maximum shrinkage temperature and a softening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전체 대비 0.01vol.% 내지 1vol.% 범위에 속한 혼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so, the spherical nano powder may be mixed at a mixing ratio ranging from 0.01 vol% to 1 vol% relative to the whol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팅 성형방법은, 비정질 유리를 파쇄함으로써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는 모재 유리분말을 제조하는 파쇄단계와; 상기 모재 유리분말 평균 입경의 1/50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갖는 구형 나노분말을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유동성 향상재로서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모재 유리분말과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을 소재로 하여 3D 성형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소결하는 소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3D printing 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rushing step of crushing an amorphous glass to produce a base glass powder having an irregular shape in an unmelted powder state; Mixing a spherical nano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smaller than 1/50 of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ase glass powder as a fluidity improving material for improving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A molding step of molding a 3D formed body using a mixed powder in which the base glass powder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are mixed; And a sintering step of sintering the formed body molded in the molding step.

여기서, 상기 파쇄단계에서는 유리를 볼 밀링에 의해 1차 파쇄하여 조분을 형성한 후, 젯 밀링 또는 볼 밀링에 의해 2차 파쇄하여 미분을 형성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in the crushing step, the glass is first crushed by ball milling to form a coarse powder, followed by secondary crushing by jet milling or ball milling to sequentially form fine powder to form the base glass powder . ≪ / RTI >

또한, 상기 파쇄 전 비정질 유리는 유리 원료가 용융된 용융물이 리본 롤러에 부어져 얇게 만들어진 컬릿(cullet)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amorphous glass before crush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lted glass material is a cullet thinned by being poured into a ribbon roller.

또한,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코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so, in the mixing step, the spherical nano powder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in a dispersed state.

또한, 상기 모재 유리분말과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혼합은 건식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xing of the base glass powder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may be performed by dry mixing.

또한, 상기 성형단계와 상기 소성단계 사이에는 성형체를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성형체에 묻어 있는 남은 분말을 제거하는 분말 세척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Between the molding step and the firing step, a drying step of drying the molded body and a powder washing step of removing the powder remaining on the molded body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성형단계와 상기 소성단계 사이에는 상기 성형단계에서 사용된 바인더를 태워 제거하는 바인더 제거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바인더의 제거온도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lso, a binder removing step of burning and removing the binder used in the forming step is performed between the molding step and the firing step, and the removal temperature of the binder is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can do.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결을 촉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pherical nano powder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thereby promoting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성형방법은 상기 성형단계에서 다수의 공극들을 형성하여 투광성 및 경량성을 갖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method of forming a bio-sheath-mimetic 3D mold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oids are formed in the molding step so as to have translucency and light weight.

여기서, 상기 성형체가 다층구조를 갖도록 성형하되, 적어도 한층은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층으로 성형하고, 상기 다공층과 인접한 층을 포함하여 적어도 한층은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이 겹쳐진 섬유상층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least one layer is formed into a porous lay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voids, and at least one layer including a layer adjacent to the porous layer is formed into a fibrous layer having superposed linear unit structures . ≪ / RTI >

또한, 상기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ear unit structure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t least partly cross-arranged.

또한, 상기 섬유상층에서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은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미세틈새를 형성하면서 겹쳐진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linear unit structures in the upper layer of the fibers may be formed into a superposed shape while partially forming fine gaps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섬유상층 및 다공층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층은 판 형상의 단위조직들이 비늘 형태로 부분 겹층되어 이루어진 비늘층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the layer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layer and the porous layer may be formed into a layer of scales in which plate-like unit structures are partially folded in a scaly shap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성형체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전술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로 성형되고,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되어 투광성 및 경량성을 갖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ld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a molded body for 3D printing, which has a light-transmitting property and light weight,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voids.

여기서 상기 성형체는 다층구조를 가지며, 이 중 적어도 한층은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층이며, 상기 다공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 중 적어도 한 층은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이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상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layers other than the porous layer is a fibrous upper layer formed in a shape in which linear unit structures are superimposed on one another. .

본 발명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와 3D 프린팅용 성형방법은 파쇄되어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분말 상태의 비정질 유리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우수한 유동성을 확보하여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orm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nd the forming method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ble to realize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by securing excellent fluidity based on powdery amorphous glass having an irregular shape which is crushed.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유동성뿐만 아니라 소결성 및 성형 강도의 향상을 통해 고품질의 물품을 신속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apidly molding a high-quality article through improved sinterability and molding strength as well as excellent flow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에 대한 마이크로 단위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에서 모재 유리분말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구형 나노분말의 사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에서 구형 나노분말이 모재 유리분말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 성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비늘층, 섬유상층, 다공층의 횡단면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확대 구성도
도 9는 성형소재에서 구형 나노분말의 혼합 여부에 따른 성형체의 표면특성을 보여주는 성형체의 비교사진
도 10은 구형 나노분말 없이 모재 유리분말만 사용하여 만든 성형체를 최대수축온도와 연화점에서 각각 소결한 소결체의 사진 및 각각의 온도에서의 수축률 그래프
도 11은 모재 유리분말에 구형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만든 성형체를 최대수축온도에서 소결한 소결체의 사진 및 이의 수축률 그래프
도 12는 모재 유리분말의 표면에 구형 나노분말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코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구형 나노분말이 모재 유리분말 간 입자 간격을 증진시켜 모재 유리분말 간 응집력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 is a micro-photograph of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of a spherical nano powder coated on the surface of a base glass powder in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G are a series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on the base glass powder in the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3D printing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io-sheath type mimetic 3D molded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of a scale layer, a fibrous layer, and a porous layer for explaining the constitution of a bio-sheath mimetic 3D molded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enlarged views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lded body of a bio-sheath type mimetic 3D form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mparative photograph of a molded body show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a molded body according to mixing of spherical nano powder in a molded material
Fig. 10 is a photograph of a sintered body obtained by sintering a molded body obtained by using only base glass powder without spherical nano powder at a maximum shrinkage temperature and a softening point, and a shrinkage ratio graph
11 is a photograph of a sintered body obtained by sintering a molded body obtained by adding spherical nano powder to a base glass powder at a maximum shrinkage temperature,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spherical nano powder is uniformly dispersed and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1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henomenon that the spherical nano powder reduces the cohesive force between the parent glass powders by increasing the particle spacing between the parent glass powders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와 3D 프린팅용 성형방법 및 성형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 molding method for 3D printing, and a molded art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actually shown in a smaller scale than the actual dimens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structure.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he terms first and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에 대한 마이크로 단위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에서 모재 유리분말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구형 나노분말의 사진이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에서 구형 나노분말이 모재 유리분말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FIG. 1 is a photograph of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pherical nano powder coated on a surface of a base glass powder in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to 3G are a series of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on the base glass powder in the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는 비정질 유리가 파쇄되어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도록 형성된 모재 유리분말(10)과, 모재 유리분말(10) 평균 입경의 1/50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갖고 상기 모재 유리분말(10) 표면에 위치하도록 혼합되어 3D 프린팅에 의한 성형시 불규칙 형상을 갖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동성을 높여주는 구형 나노분말(20)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살펴보면 대부분 모난 형태로 불규칙 형상을 갖는 모재 유리분말(10)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부분 확대한 도 2에는 그와 같이 혼재된 모재 유리분말(10) 표면에 나노 크기를 갖는 구형 나노분말(20)(사진은 구형 나노분말(20)로서 구형 나노분말이 사용된 것임)이 분산 배치되어 코팅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 and 2,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glass powder 10 formed to have an irregular shape in a powder state in which amorphous glass is crushed and not melted, Glass powder 10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1/50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glass powder 10 and mixed to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10 so that the fluidity of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10 having an irregular shape during 3D- And a spherical nano powder 20 for increasing the particle diameter.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parent glass powders 10 having an irregular shape are mixed in a mostly angular form. In FIG. 2, which is partially enlarged, nano-sized glass powders 10 on the surface of the mixed parent glass powder 10 (The photograph shows spherical nano powder 20 as spherical nano powder) is dispersed and coated.

이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의 경우 대부분 모난 형태를 가지면서 불규칙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쇄 유리분말을 모재로 사용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알려진 것처럼 지금까지의 3D 프린팅용 성형소재의 경우 특정 물품을 성형하기 위해 성형 가능성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왔으며 특히 분말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말의 유동성이 성형 가능성을 좌우하는 중요 변수로 여겨졌던 관계로 파쇄 유리분말과 같이 유동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모난 형태의 분말 사용은 극히 무모한 것으로 여겨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편견을 과감하게 탈피하여 대부분 모난 형태로 불규칙 형상을 갖는 유리분말을 모재로 사용하더라도 그 표면에 더욱 더 미세한 나노 크기를 갖는 구형 나노분말(20)을 분산 코팅된 상태로 조성한다면 3D 프린팅을 위한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불규칙 형상을 갖는 모재 유리분말(10)과 구형 나노분말(20)인 혼합되어 이루어진 새로운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다양한 조건 및 구체적인 구성들이 수반되며 아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t can be noted that in the case of the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shed glass powder having an angular shape and an irregular shape is used as a base material. As is known, in the case of molding materials for 3D printing up to now, mainly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molding to form a specific article has been focused on. In particular, when the powder material is used, the fluidity of the powder is regarded as an important variable The use of the angular form of powder, which is believed to impair fluidity, such as crushed glass powder, was considered to be extremely reckles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 prejudice is boldly overcome, so that even if glass powder having an irregular shape is used as a base material in most angular shapes, the spherical shape having a finer nano- It has been found that sufficient fluidity can be secured for 3D printing if the nanopowder 20 is dispersed and coated so that the glass powder 10 having irregular shapes is mixed with the spherical nanopowder 20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is proposed. Of course, this is followed by various conditions and specific configura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은 3D 프린팅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의 모재가 되며 전술된 것처럼 비정질 유리가 파쇄되어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의 소재로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base glass powder 10 is a base material for the 3D printing and is formed to have an irregular shape in a powder state in which the amorphous glass is crushed and unmelted as described above. As the material of the base glass powder 10,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PbO, and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can be used.

또한,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200μm 범위에 속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모재 유리분말(10)의 입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정밀하고 결합이 없는 물품을 성형하는데 유리하지만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을수록 분말 간 유동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모재 유리분말(10)은 1 내지 200μm 범위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모재 유리분말(10)의 표면에 분산 코팅되도록 혼합되는 나노 분말의 경우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의 크기에 적합한 크기의 것으로 융통성 있게 준비할 수 있으며 100nm 이하의 것을 준비하면 성형에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작은 크기의 것으로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유리 원료를 용융하여 용융물이 리본 롤러에 부어져 얇게 만들어진 컬릿(cullet)을 만들어 파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후 컬릿을 단번에 파쇄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파쇄한다. 즉, 볼 밀링에 의해 1차 파쇄하여 조분을 형성한 후, 보다 작은 입경으로 파쇄가 가능한 젯 밀링(젯 밀링이 바람직하지만 볼 밀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에 의해 2차 파쇄하여 미분을 형성한다. 이처럼 비정질 유리를 소재로 하는 컬릿을 만들고, 그 컬릿을 1차, 2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파쇄하는 방식으로 보다 균일한 입경을 갖는 모재 유리분말(10)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00 mu m. In this regard, the smaller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s, the more advantageous for molding an article that is precise and unbonded. However,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the lower the fluidity between the powders. Therefore, the base glass powder 10 is preferably prepared to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200 mu m.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nano powder to be dispersedly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t can be flexibly prepared to have a size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and if it is prepared below 100 nm, And it is possible to prepare it with a smaller size. In order to prepare the base glass powder 10, it is necessary to melt the glass raw material so that the melt is poured onto the ribbon rollers to make a thin cullet so that the crushing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reafter, . That is, primary pulverization is performed by ball milling to form a coarse powder, and then secondary pulverization is performed by jet milling (jet milling is preferable but ball milling is also possible) which can be crushed to a smaller particle size to form a fine powder. Thus, it is possible to prepare a base glass powder 10 having a more uniform particle size by making a cullet made of amorphous glass and crushing the cullet in a step-by-step manner.

참고로, 전술된 것처럼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파쇄 과정을 거치지 않고 처음부터 구형의 나노 크기를 갖는 유리입자를 구입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이같은 방법으로는 원료를 고온에서 승화시켰다가 순간적으로 냉각하여 구형의 분말을 얻는 제조공정의 특성상 고정 수율이 떨어지므로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갖는 모재 유리분말(10)을 대량으로 마련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모재 유리분말(10)이 나노크기를 갖게 되면 분말 간 응집력이 강하기 때문에 성형에 필요한 유동성 확보 자체가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게 된다. For reference, it is also conceivable to purchase spherical nano-sized glass particles from the beginning without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crushing process in order to prepare the base glass powder 10 as described above. However, Is sublimate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n instantaneously cooled to obtain spherical powder. As a resul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ovide a large amount of base glass powder 10 having a micro-unit size.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e glass powder 10 has a nano-size, cohesion between powders is strong, and it is impossible to secure the fluidity necessary for molding.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은 불규칙 형상을 갖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의 최대 난점이라 할 수 있는 유동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은 전술된 것처럼 모재 유리분말(10) 평균 입경의 1/50보다 작은 평균 입경을 갖고 상기 모재 유리분말(10) 표면에 위치하도록 혼합된다. 도 2의 확대된 사진에는 구형 나노분말(20)이 모재 유리분말(10)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코팅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이 모재 유리분말(10) 표면에 고르게 분산된 상태로 코팅되기 위해서는 모재 유리분말(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미세하다고 할 수 있는 정도인 평균 100nm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갖는 것으로 전체 혼합분말 대비 0.01vol.% 내지 1vol.% 범위에 속한 혼합비로 혼합되면 충분하다.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plays a role to increase fluidity which is the maximum difficul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having an irregular shape. For this,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mix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with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smaller than 1/50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base glass powder 10, as described above. In the enlarged photograph of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n a dispersed state. In order for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to be uniformly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an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100 nm, which is comparatively very small as compared with the base glass powder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mixed powder and mixing at a mixing ratio falling within the range of 0.01 vol.% To 1 vol.%.

이같이 구형 나노분말(20)이 모재 유리분말(10)의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코팅되면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이 모재 유리분말(10) 간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이들을 이격시켜 유동거리를 확보해주는 한편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모재 유리분말(10)들에 유동시키려는 힘이 가해질 때 그 사이에서 베어링 역할을 하여 유동성을 향상시켜 준다.When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n a dispersed state,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preven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base glass powders 10 as shown in FIG. 3A, 3b and 3c, when the force to flow to the base glass powder 10 is applied, it acts as a bearing therebetween to improve the fluidity.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의 소재로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은 구형 나노분말(20)의 소재에 따르면 모재 유리분말(10)을 구성하는 소재와 동일한 것으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데, 이 경우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에 대한 오염이 없고 소결 공정에서의 폐쇄 기공으로 인한 투과율 확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의 유리전이온도를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구비하게 되면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이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소결 촉진체로서의 역할도 겸하게 된다. 즉, 도 3d 내지 도 3g에 도시된 것처럼 소결시 입경이 작은 구형 나노분말(20)이 먼저 소결되면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이 접촉하고 있는 모재 유리분말(10)의 표면부터 소결이 시작되어 이른 시기부터 모재 유리분말(10)의 소결이 진행되면서 전체 소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소결 촉진을 위하여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의 평균 입경을 10nm 이하 수준의 것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material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of PbO, and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10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re is no contamination of the parent material glass powder 10, There is no problem in securing the transmittance due to the light.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may have an irregular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But also serves as a sintering accelerator. That is, as shown in FIGS. 3D to 3G,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during sintering is first sintered, and the sintering of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As the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10 proceeds from the early stage,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sintering can be shortened. In order to accelerate sinte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nm or less.

한편,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은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평균 입경 100nm 이하의 단일산화물을 소재로 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은 구형 나노분말(20)이 이같은 소재들로 구비되면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기본적으로 하면서 소결시에는 모재 유리분말(10)과 반응하지 않는 대신 성형 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SiO 2, Y 2 O 3, Al 2 O 3, TiO 2, ZrO, NiO, CoO, CeO 2, MgO, CaO, WO 3, CuO, Fe 2 O 3 And a single 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or less. When such spherical nano powder 20 is provided with such materials, it plays a role of enhancing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while it does not react with the base glass powder 10 during sintering, .

또한,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의 소재를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와 함께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 중 어느 하나의 단일산화물이 복합된 형태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같이 복합된 구형 나노분말(20)이 모재 유리분말(10)과 혼합되면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동성 향상뿐만 아니라 소결시에는 소결을 촉진하고 성형 강도까지 높일 수 있게 된다. 이 두 종류의 소재 모두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동성 향상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가운데 소결 촉진과 성형 강도 향상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소결 촉진과 성형 강도 향상 중 비중을 높이고자 하는 쪽에 함량을 높여주면 된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2,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2O3,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2O5,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2O5,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bO, SiO 2 , Y 2 O 3 , Al 2 O 3 , TiO 2 , ZrO 2 , NiO, CoO, CeO 2 , MgO, CaO, WO 3 , CuO, Fe 2 O 3 Or a single oxide of any one of them may be combined. When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thus mixed with the base glass powder 10 is mixed with the base glass powder 10, sintering can be promoted and the mold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at the time of sintering as well as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s improved. Both of these materials mainly serve to improve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and promote the sintering and improve the molding streng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ntent in order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sintering promo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molding strength .

아래 표 1에는 전술된 구형 나노분말(20)의 기능에 따른 소재를 분류하여 정리하였다.In Table 1 below, the materials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described above are classified and arranged.

기능function 조성Furtherance Spec.Spec. 유동성 향상Improved liquidity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The main component is SiO 2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a Bi 2 O 3 in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P 2 O 5 in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V 2 O 5 in the glass in composition, the main component is PbO glass in composition, the main component TeO 2 of A multi-component oxide glass belonging to any one of the glass composition systems - 구형의 입자
- 100 nm 이하
- spherical particles
- 100 nm or less
유동성 향상 + 소결 촉진Improve fluidity + promote sintering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The main component is SiO 2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a Bi 2 O 3 in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P 2 O 5 in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V 2 O 5 in the glass in composition, the main component is PbO glass in composition, the main component TeO 2 of A multi-component oxide glass belonging to any one of the glass composition systems - 구형의 입자
- 10nm 이하
- 기본적으로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도록 조성
- spherical particles
- 10 nm or less
- basically a compositio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유동성 향상 + 성형 강도 향상Improved fluidity + Improved molding strength SiO2, Y2O3, Al2O3, TiO2, 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의 단일산화물 SiO 2, Y 2 O 3, Al 2 O 3, single oxides of TiO 2, ZrO, NiO, CoO , CeO 2, MgO, CaO, WO 3, CuO, Fe 2 O 3 - 구형의 입자
- 100nm 이하
- spherical particles
- 100 nm or less
유동성 향상 + 소결 촉진 + 성형 강도 향상Improvement of fluidity + Promotion of sintering + Improvement of molding strength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 + SiO2, Y2O3, Al2O3, TiO2, 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의 단일산화물The main component is SiO 2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a Bi 2 O 3 in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P 2 O 5 in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V 2 O 5 in the glass in composition, the main component is PbO glass in composition, the main component TeO 2 of glass multi-component oxide glass belonging to any one of the in composition + SiO 2, Y 2 O 3 , Al 2 O 3, TiO 2, ZrO, NiO, CoO, CeO 2, MgO, CaO, WO 3, CuO, Fe 2 O 3 Single oxide of -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의 경우 10nm 이하의 구형 입자에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도록 조성
- 단일산화물의 경우 구형의 입자에 100nm 이하
In the case of the multi-component oxide glass, the spherical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nm or less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n the case of a single oxide,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전술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 성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3D printing mol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described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 성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 printing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 성형방법은 컬릿 형성단계, 1차 파쇄단계, 2차 파쇄단계, 혼합단계, 성형단계, 건조단계, 분말 세척단계, 바인더 제거단계, 소성단계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3D printing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ll forming step, a primary crushing step, a secondary crushing step, a mixing step, a molding step, a drying step, a powder washing step, a binder removing step, .

이같은 공정들을 살펴보면 상기 컬릿 형성단계, 1차 파쇄단계, 2차 파쇄단계, 혼합단계를 통해 독특한 형태의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를 마련한 후, 그 성형소재를 가지고 성형단계, 건조단계, 분말 세척단계, 바인더 제거단계, 소성단계를 통해 원하는 물품을 제조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단계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팅 성형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such processes,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of a unique shape is prepared through the culling step, the primary crushing step, the secondary crushing step, and the mixing step, and then the molding material is subjected to a molding step, a drying step, A binder removal step, and a firing step. Hereinafter, a 3D printing mol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steps.

먼저, 상기 컬릿 형성단계에서는 조성에 따라 유리 원료 분말을 정확하게 무게를 재어 혼합한 후 용융하여 그 용융물을 리본 롤러에 부어 얇은 컬릿(cullet)을 만든다. 여기서 유리 원료는 SiO2, Bi2O3, P2O5, V2O5, PbO, TeO2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여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의 유리 컬릿을 만든다. First, in the cullet-forming step, the glass raw material powder is precisely weighed and mix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is melted, and the melted material is poured into a ribbon roller to form a thin cullet. The glass material is SiO 2, Bi 2 O 3, P 2 O 5, V 2 O 5, PbO, TeO to as a main component any one of a second main component is SiO 2, the glass in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Bi 2 O 3 in the glass in composition ,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V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PbO, and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

이후 1차 파쇄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1차 파쇄단계에서는 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컬릿을 1차 파쇄하여 조분(RC powder)을 만든다. 이를 위해 볼 밀러를 사용하게 된다. 이 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유리 분말의 크기는 유리 분말의 최소 크기는 약 15㎛ 수준이 적당하다. 그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미분을 얻기 위해서는 볼 밀링 공정 시간을 오래 해야 하지만, 공정시간이 많아질수록 오염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ZrO, Al2O3 ball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ball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용기의 내벽과 충돌하여 오염 물질 발생함). 따라서 그 이하의 크기를 갖는 유리 분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젯 밀링 공정을 이용해야 한다. 참고로 오염이 심해지면 유리 분말의 소결 후 투광성이 안 좋아진다. Thereafter, the primary crushing step proceeds. In the primary crushing step, the cullet made in the previous step is crushed first to make a crush powder (RC powder). For this purpose, a ball miller is used. The size of the glass powder obtained through this step is preferably about 15 mu m as the minimum size of the glass powder. In order to obtain fine particles having a smaller size, the ball milling process time must be lo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mination becomes worse as the process time becomes longer (ZrO and Al 2 O 3 balls are used. So that contaminants are generated). Therefore, a jet milling process should be used to prepare a glass powder having a smaller size. For reference, if the contamination becomes worse, the light transmittance becomes poor after sintering of the glass powder.

이후 2차 파쇄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2차 파쇄단계에서는, 젯 밀링(또는 볼 밀링)에 의해 2차 파쇄하여 유리 미분을 형성한다. 젯 밀링 공정은 제트(jet) 기류를 불어 넣어 전 단계를 통해 얻어진 조분 입자 간 충돌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계속된 입자의 파쇄를 유도하는 공정으로 15㎛ 크기의 조분이 2 내지 3㎛의 최소 크기를 갖는 미분으로 더욱 조밀하게 파쇄된다. 이로써,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는 모재 유리분말(10)을 확보하게 된다.Thereafter, the second crushing step proceeds. In the secondary crushing step, glass finely divided by secondary milling by jet milling (or ball milling). The jet milling process is a process of blowing a jet stream to induce the breakdown of the particles in a manner that causes a collision between coarse particles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and a coarse particle size of 15 μm has a minimum size of 2 to 3 μm More finely crushed by differential. Thereby, the base glass powder 10 having an irregular shape in an unmelted powder state is obtained.

이후 혼합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10)과 구형 나노분말(20)을 혼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0.01 vol.% 내지 1 vol.%의 구형 나노분말(20)을 모재 유리분말(10)과 혼합하여 tubular mixer를 이용하여 약 4시간 건식 혼합공정을 진행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구형 나노분말(20)은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동성 향상을 주로 염두하는 경우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를 소재로 하는 100nm 이하의 구형 입자를 구입 혹은 제조하여 사용한다. Thereafter, the mixing step proceeds. In the mixing step, the base glass powder 10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are mixed. For this purpose,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of 0.01 vol.% To 1 vol.% Is mixed with the base glass powder 10 and subjected to a dry mixing process using a tubular mixer for about 4 hours.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used here is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when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s mainly intended to be improved,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glass composition system, the glass having the main component P 2 O 5 A spherical particle having a particle size of 100 nm or less made of a multicomponent oxide glass belonging to any one of glass composition systems whose main component is V 2 O 5 ,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PbO, and glass composition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are purchased or manufactured do.

한편, 모재 유리분말(10)에 대한 유동성 향상과 함께 소결 촉진까지 염두하는 경우라면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다성분계 산화물 유리를 소재로 하는 10nm 이하의 구형 입자를 구입 혹은 제조하여 사용하는데 이같은 구형 나노분말(20)의 경우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리전이온도 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도록 조성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sintering is promot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the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the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the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Spherical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nm or less made of a multi-component oxide glass belonging to any one of the glass composition system of V 2 O 5 , the glass composition system of the main component of PbO and the glass composition system of the main component of TeO 2 are purchased or manufactured and used, In the case of the nano powder 20, it is important to form the nano powder 20 so as to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또한, 모재 유리분말(10)에 대한 유동성 향상과 함께 성형 강도 향상을 염두하는 경우라면,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 중 어느 하나의 단일산화물을 소재로 하는 100nm 이하의 구형 입자를 구입 혹은 제조하여 사용하는데 이같은 구형 나노분말(20)의 경우 소결시 모재 유리와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sidering improvement of the molding strength of the base glass powder 10 as well as improvement of the flow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SiO 2 , Y 2 O 3 , Al 2 O 3 , TiO 2 , ZrO 2 , NiO, CoO, CeO 2 , MgO, Spherical particles of 100 nm or less made of a single oxide of any one of CaO, WO 3 , CuO, and Fe 2 O 3 are purchased or manufactured and used. In the case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

만일 모재 유리분말(10)에 대한 유동성 향상과 함께 소결 촉진 및 성형 강도 향상을 복합적으로 원하는 경우 위 두 부류의 구형 나노분말(20) 소재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터뷸러 믹서(tubular mixer) 등의 장치에서 건식 혼합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같은 건식 혼합 과정에서 구형 나노분말(20)과 모재 유리분말(10) 사이에 높은 충돌력과 전단응력이 수반되고 그 경계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높은 열과 정전기에 의해 구형의 나노분말(20)이 모재 유리분말(10)에 분산된 상태로 코팅된다. If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s to be enhanced and the sintering acceleration and the molding strength are to be combined,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may be mixed at an appropriate ratio. For this purpose, dry mixing can be carried out in a device such as a tubular mixer. In such a dry mixing process, a high impact force and a shear stress are involved between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and the base glass powder 10,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coated on the base glass powder 10 in a state of being dispersed by the high heat and the static electricity instantaneously generated at the interface.

이같은 혼합단계가 완료되면 3D 프린팅을 위한 성형소재를 얻게 되는데 이같은 성형소재는 도 2와 같이 모재 유리분말(10) 표면에 구형 나노분말(20)이 분산된 상태로 코팅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mixing step is completed,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is obtained. As shown in FIG. 2, the molding material is in a state in which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이후 성형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성형단계에서는 전 단계들을 통해 모재 유리분말(10)과 구형 나노분말(20)이 혼합되어 마련된 성형소재를 사용하여 3D 프린팅을 통해 3D 성형체를 성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성형소재를 이용하여 단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다수의 단면층을 적층시켜나가면서, 각 단면층이 형성될 때마다 액상의 바인더를 도포하여 상측에 형성되는 단면층의 고정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주기마다 단면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체를 롤러로 압착하여 준다. 이같은 성형방법은 한 가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forming step proceeds. In the molding step, the 3D molding is formed through 3D printing using a molding material in which the base glass powder 10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are mixed through all steps. To this end, a method of forming a cross-sectional layer using the molding material is repeatedly carried out to laminate a plurality of cross-sectional layers, a liquid binder is applied each time the cross-sectional layers are formed, . Then, the laminated body formed by laminating the cross-sectional layers at regular intervals is pressed by a roller. Such a molding method is not limited to one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ed ways.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같은 성형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구형 나노분말(20)이 모재 유리분말(10) 간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이들을 이격시켜 유동거리를 확보해주는 동시에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모재 유리분말(10)들에 유동시키려는 힘이 가해질 때 그 사이에서 베어링 역할을 하여 유동성을 극대화시켜준다. 이로써 비록 모난 형태가 거칠게 주를 이루고 있는 불규칙 형상의 모재 유리분말(10)을 성형소재의 주성분으로 사용하더라도 3D 프린팅에 의한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molding step, as shown in FIG. 3A,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preven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base glass powder 10 and separates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from the base glass powder 10, When the force to flow to the base glass powder 10 is applied as shown in FIG. 3B, it serves as a bearing therebetween to maximize the fluidity. Thus, even if irregularly shaped base glass powder 10 having a rough angular shape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molding material, molding by 3D print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후 건조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건조단계에서는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성형체를 건조하여 성형된 성형체에 대하여 다음 단계가 진행될 때 쉽게 허물어지지 않도록 한다. Thereafter, the drying step proceeds. In the drying step, the formed body formed through the forming step is dried to prevent the molded body from being easily broken when the next step is performed.

이후 분말 세척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분말 건조단계에서는 성형체에 묻어 있는 분말을 세척한다. 이같은 분말 세척작업은 건조단계를 전후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powder washing step proceeds. In the powder drying step, the powder residing in the molded body is washed. Such a powder washing operation can be repeatedly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drying step.

이후 바인더 제거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바인더 제거단계에서는 열처리를 통하여 성형단계에서 사용된 바인더를 제거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바인더 제거를 위한 열을 제거하게 되는데 바인더의 제거온도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가해진다. 이같은 바인더 제거단계가 완료되면 소결을 위한 사실상의 준비가 마쳐진다.Thereafter, the binder removal step proceeds. In the binder removal step, the binder used in the molding step is removed through heat treatment. For this, the heat for removal of the binder is removed. The removal temperature of the binder is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When this binder removal step is complete, the actual preparation for sintering is complete.

이후 소성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소성단계에서는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소성하게 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도 3d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모재 유리분말(10)의 최대수축온도 이전에 입경에 작은 구형 나노분말(20)의 용융이 먼저 이루어지면서 도 3e 및 도 3f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이 접촉하고 있는 모재 유리분말(10)의 표면부터 소결이 시작되어 이른 시기부터 모재 유리분말(10)의 소결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도 3g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 소성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며, 원하는 물품의 소결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소결 촉진을 위하여 상기 구형 나노분말(20)의 평균 입경이 10nm 이하 수준의 것이면 바람직하다.
Thereafter, the firing step proceeds. As shown in FIG. 3D, melting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n the particle size before the maximum shrinking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10 is carried out at this stage, As shown in FIGS. 3E and 3F, the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is started, and the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10 proceeds from an early stage .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G, the time required until the entire firing is greatly shortened, and a sintered body of a desired article can be obtained. In order to promote the sinte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pherical nano powder 20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nm or less.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전술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 및 3D 프린팅 성형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성형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elow of a molded body for 3D printing and a molded body of a bio-sheath type imitation 3D molded body based on the above-described 3D printing molding metho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비늘층, 섬유상층, 다공층의 횡단면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확대 구성도이다.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io-sheath type mimetic 3D form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stitution of a living body based mimetic 3D mold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ayer, and the porous layer. And Figs. 7 and 8 are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iving body-mimetic 3D molded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는 생체 외피계 중 투광성을 비롯하여 쉴드 기능 및 고인성과 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네일(nail) 등의 외피계 구조를 분석 및 해석하여 모방한 것이다. The bio-encapsulated mimetic 3D molded art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itation of an envelope structure such as a nail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light transmittance, shield function, and high humanity, and is imitated.

이같은 성형체는 도시된 것처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및 압력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고인성을 비롯한 기계적 강도를 담당하는 성유상층(120)을 중심으로, 외부에서 접촉하는 먼지 수분, 소음,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쉴드(shield) 기능을 담당하는 비늘층(110)과, 외부에서 비늘층(110) 및 섬유상층(120)을 통해 전달되는 빛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전달되는 빛에 대하여 투과율을 조절하고 소음을 흡수하는 하는 기능 및 경량화의 중추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다공층(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비늘층(110)과 섬유상층(120) 및 다공층(130)의 기공 및 단위조직(121) 간 틈새에는 필요에 따른 기능을 갖는 충진제(140)가 충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such a molded body is configured to block dust, water, noise, and unnecessary light coming in contact with the outside, centering on the oil-rich layer 120, which is responsible for mechanical strength including toughness capable of responding to external impacts and pressures And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cale layer 110 and the upper fiber layer 120 from the outside and the light transmit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ontrol the transmittance and the noise And a porous layer 130 for absorbing and functioning as a pivotal function of weight reduction. The filler 140 may be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scale layer 110 and the pores of the fibrous upper layer 120 and the porous layer 130 and the unitary structure 121.

상기 섬유상층(120)은 투광성을 확보하면서도 충격과 압력에 대하여 고인성을 비롯하여 기계적 강도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섬유상층(120)은 10μ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선 형상의 단위조직(121)들이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미세틈새를 형성하면서 겹쳐진 형태로 성형된다. 이처럼 상기 섬유상층(120)이 선 형상의 단위조직(121)들로 이루어지면 높은 강도와 탄성계수를 갖게 되는데, 비정질의 모재 유리분말(10)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면 열적 환경에서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외부 열변화에도 강도를 유지 할 수 있다.The fiber upper layer 120 plays a role of taking mechanical strength including high toughness against impact and pressure, while ensuring light transmittance. To this end, the upper layer 120 is formed into an overlapped shape by forming fine gaps partially between the linear unit pieces 121 having a diameter of 10 μm or less so as to allow transmission of light. When the upper fibrous layer 120 is formed of the linear unit structures 121, it has high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When crystallized based on the amorphous base glass powder 10, crystallization does not occur in a thermal environment, Strength can be maintained even with heat change.

여기서 상기 섬유상층(120)의 단위조직(121)들이 겹쳐진 형태를 살펴보면 우선,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섬유상층(120)의 단위조직(121)들이 뭉쳐져 다발 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된 두 종류 이상의 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 배열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섬유상층(120)의 단위조직(121)들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만 뭉쳐져 배열된 형태로 성형될 수도 있다. 양자 모두 고인성을 위한 탄성계수와 높은 강도를 발휘할 수 있지만, 특히 섬유상층(120)의 단위조직(121)들이 두 방향 이상으로 교차 배열된 전자의 경우에는 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의 방향성이 일어나지 않고 충격 흡수에서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의 경우 단위조직(121)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후자의 경우보다 강한 굽힘강도 특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전자의 경우보다 제조 측면에서 용이하다는 상대적인 장점이 있다. 이같은 섬유상층(120)은 성형체(100) 전체 두께의 1/2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고인성을 비롯한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unit fibers 121 of the upper layer 120 are piled up to form two or more types of bundles May be formed so as to be arranged to be cross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unitary structures 121 of the upper layer 120 may be formed into a bundle of the same direction. Both of them can exhibit elastic modulus and high strength for toughnes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ectrons in which the unitary structures 121 of the upper layer 120 are arranged in two or more directions, the direction of mechanical strength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does not happen and shows excellent effect in shock absorption. Furthe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unit structures 121 exhibit stronger bending strength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the latt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However,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relative advantage that it is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e former case. The fibrous upper layer 12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t least 1/2 of the entire thickness of the formed body 100, so that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including high toughness can be secured.

상기 비늘층(110)은 외측에서 고속으로 충돌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비롯하여 공기, 수분, 소음,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쉴드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비늘층(110)은 판 형상의 단위조직(111)들이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미세틈새를 형성하면서 비늘 형태로 부분 겹층되어 이루어진다. 도 6에는 이처럼 비늘층(110)의 단위조직(111)들이 비늘 형태로 부분 겹층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처럼 상기 비늘층(110)에서 판 형상의 단위조직(111)들이 비늘 형태로 부분 겹층된 구성에 의하면 외측에서 충돌하는 먼지, 공기, 수분, 심지어 일부 불필요한 빛까지 침투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소음을 반사하여 차단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비늘층(110)의 단위조직(111) 간의 틈새를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비늘층(110) 단위조직(111)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단위조직(111) 간 틈새를 좁게 할수록 빛의 투과율은 낮아지고 비늘층(110) 단위조직(111)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단위조직(111) 간 틈새를 넓게 할수록 빛의 투과율은 높아진다. 이같은 비늘층(110)은 다른 층들에 비해 성형소재를 이용한 3D 프린팅 성형방식으로 성형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층들과는 달리 3D 프린팅 성형 외의 방법으로 형성한 후 다른 층들과 접합하는 방법에 따라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The scale layer 110 plays a role of shielding the air, moisture, noise, and unnecessary light, as well as foreign materials such as dust, which collide with the outside at a high speed. For this purpose, the scale layer 110 is partially overlapped in the form of scales while partially forming minute gaps between the plate-like unit tissues 111 so that light can be transmitted. 6, the unit tissues 111 of the scale layer 110 are partially overlapped in the form of scales. In this way, the plate-like unit tissues 111 in the scale layer 110 are formed in a scale- According to the laminat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enetration of dust, air, moisture, and even unnecessary light, which collide with the outside, and to prevent noise from being reflected. He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nsmittance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by adjusting the clearance between the unit tissues 111 of the scale layer 110. For example, as the thickness of the unit tissue 111 of the scale layer 110 is increased or the clearance between the unit tissues 111 is narrowed, the transmittance of light is lowered and the thickness of the unit tissue 111 of the scale layer 110 is decreased, The larger the clearance between the light emitting diodes 111 is, the higher the light transmittance is. Such a scale layer 110 may be relatively difficult to form by 3D printing molding using a molding material as compared to other layers. Therefore, unlike the other layer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layer by a method other than 3D printing and then bonding the layer to other layers.

상기 다공층(130)은 비늘층(110)이나 섬유상층(120)보다 더 많은 기공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외측에서 비늘층(110) 및 섬유상층(120)을 통해 전달되거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전달되는 빛에 대하여 전체 투과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다공층(130)은 다수의 기공을 갖는 해면체(海綿體) 형태로 성형된다. 이같은 다공층(130)의 구성에 의하면 비늘층(110)과 섬유상층(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빛의 투과율이 높은 반면 빛의 차단율은 낮기 때문에 다공층(130)이 위치하는 내측에서는 외측을 선명하게 볼 수 있지만, 비늘층(110)이 위치하는 외측에서는 내측을 쉽게 볼 수 없도록 하는 방향에 따른 투광성의 차별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공층(130)은 쉴드 기능을 담당하는 비늘층(110)나 기계적 성질을 담당하는 섬유상층(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지 않기 때문에 변화를 주기가 용이하며 기공도 조절을 통해 전체 투광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orous layer 130 is formed to have more porosity than the scale layer 110 or the fibrous layer 120 and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cale layer 110 and the fibrous layer 120 or from inside to outside It controls the overall transmittance against light. For this purpose, the porous layer 130 is formed into a sponge having a plurality of por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orous layer 130, the transmittance of ligh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scale layer 110 and the fiber layer 120, and the light blocking rate is low. Therefore, in the inner side where the porous layer 130 is located, Bu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unction of differentiating light transmittance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inside can not be easily seen from the outside where the scale layer 110 is located. Since the porous layer 130 does not have an essential function as compared with the scale layer 110 which functions as a shield or the fibrous layer 120 which functions as a mechanical property, So that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다공층(130)은 하측 표면에 물결 모양으로 저부와 산부가 반복된 형태로 이루어진 미세 굴곡(130b)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도 5의 확대부 참조). 이처럼 상기 다공층(130) 표면에 미세 굴곡(130b)이 형성되면 비늘층(110)나 섬유상층(120)에 비해 높은 기공도를 가질 때 강성이 약해지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으며, 표면적이 넓어지면서 접착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성형체(100)를 다른 구조물에 접착해야 하는 경우 유용하게 작용한다. 그리고 다공층(130)은 소음을 흡수하는 기능도 담당하는데 이때 상기 미세 굴곡(130b)이 소음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혀주어 더 많은 양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orous layer 130 may have a micro-bend 130b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in the form of a wavy shape in which a bottom portion and an obtuse portion are repeated (see an enlarged portion in FIG. 5). If the fine bending 130b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layer 130, the problem that the stiffness is weakened when the porous layer 130 has a higher porosity than the scale layer 110 or the fiber layer 120 can be compensa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area of the bonding, which is useful when the molded bod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bonded to another structure. The porous layer 130 also functions to absorb noise. At this time, the micro bending 130b widens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noise, so that more amount of noise can be absorb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본 실험에서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를 소재(SiO2-ZnO-B2O3-Al2O3-BaO)로 한 평균입경 22㎛의 파쇄된 모재 유리분말을 성형소재로 하여 3D 프린팅 성형에 의해 내부 채널을 갖는 간단한 형태의 직육면체를 성형하였으며, 주성분이 SiO2로 동일한 유리 조성계를 소재로 한 평균입경 12nm의 구형 나노분말을 0.5 vol.% 첨가한 후 혼합하여 성형하였을 때와 구형 나노분말을 혼합하지 않았을 때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때 성형시 레이어 두께는 180㎛, 바인더 saturation은 300%, 성형체는 10mm x 10mm x 5mm로 하였으며, 이후 소성과정을 거쳤다. 이때 모재 유리분말과 SiO2 구형 나노분말이 혼합된 분말로 3D 성형체를 만들기 위해 maltodextrin 수용액을 바인더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10% maltodextrin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상온(21℃)에서 점도는 4.5cp이다. 참고로 3DP 프린팅 기술에 사용이 가능한 바인더 솔루션은 10%-20%maltodextrin, polyvinylalcohol, polyvinylbutyral 등이 있다.In this experiment, the main component is SiO 2 in composition of the glass material by 3D printing molding the crushed base material of glass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in a 22㎛ (SiO 2 -ZnO-B 2 O 3 -Al 2 O 3 -BaO) with a molding material The spherical nanopowder with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12 nm was prepared by mixing 0.5 vol.% Of the spherical nanopowder with the main component of SiO 2 and the spherical nanopowder Were not mixed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ayer thickness was 180 μm, the binder saturation was 300%, and the formed body was 10 mm × 10 mm × 5 mm. At this time, a maltodextrin aqueous solution was used as a binder solution in order to make a 3D molded body as a mixture of base glass powder and SiO 2 spherical nano powder. In this experiment, a 10% maltodextrin aqueous solution was used and the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21 ° C) was 4.5 cp. For reference, binder solutions that can be used for 3DP printing technology include 10% -20% maltodextrin, polyvinylalcohol, and polyvinylbutyral.

구형 나노분말을 혼합하지 않고 모재 유리분말만을 사용했을 경우 도 9의 왼쪽(SZB glass)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분말의 응집현상이 심하였고, 결과적으로 제조된 성형체의 표면이 매우 불균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9의 우측(SZB glass with nano-silica)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구형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분말을 성형소재로 사용한 경우 성형과정에서 유동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그 결과 성형체의 표면특성 또한 균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When only the base glass powder was used without mixing the spherical nano powder, the agglomeration phenomenon of the powder was severe as seen on the left side of Fig. 9 (SZB glass), and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formed body was found to be highly inhomogeneous there was.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the right side of FIG. 9 (SZB glass with nano-silica), when the mixed powder containing spherical nano powder is used as the molding material, the fluid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molding process. As a result,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was homogeneous.

이후, 성형체를 소결했을 때의 상태를 살펴보면, 구형 나노분말을 혼합하지 않고 모재 유리분말만을 사용하여 성형한 후 소결하였을 경우(도 10)에 비해 구형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분말을 성형소재로 사용한 경우(도 11)에 성형체의 수축이 훨씬 줄어들었으며 붕괴되지 않고 본래의 형체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hen sintering the molded body, the spherical nano powder was mixed with the spherical nano powder, and the sintered body was sintered using only the base glass powder. (Fig. 11), the shrinkage of the molded article was much reduc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without collapsing.

성형체의 적정 소결 온도는 모재 유리 분말의 최대수축온도(Maximum shrinkage temperature)와 연화점(Littleton softening temperature) 사이의 범위에 속한 온도이어야 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모재 유리 분말의 최대수축온도에서 소결을 하였을 경우, 성형체의 완전 소결이 되지 않아 높은 소결 밀도를 얻기 힘든 반면, 연화점(Littleton softening temperature)에서 소결을 하였을 경우, 높은 소결 밀도를 얻을 수 있지만 형상의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The optimum sintering temperature of the shaped body should be within the range between the maximum shrinkage temperature and the softening point of the base glass powder. As can be seen from FIG. 10, when sintering at the maximum shrinking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it is difficult to obtain a high sintered density because the sintered body is not fully sint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ntering is performed at a softening temperature (Littleton softening temperature)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이같은 결과는 도 1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모재 유리분말의 표면에 구형 나노분말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코팅될 정도로 모재 유리분말과 구형 나노분말을 혼합하여 성형소재로 사용하였을 때 도 1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모재 유리분말 간 입자 간격을 증진시켜(d) 결과적으로 아래 수식에 의해 분말 간 응집력(F)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As can be seen from FIG. 12, when the base glass powder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were mixed to form a molding material so that the spherical nano powder was uniformly dispersed and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D) the spherical nanopowder increases the particle spacing between the base glass powder as a result of which the cohesive force (F) between the powders is reduc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6110249097-pat00001
Figure 112016110249097-pat00001

D1=D2인 경우, When D 1 = D 2 ,

Figure 112016110249097-pat00002
Figure 112016110249097-pat00002

이에 더해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모재 유리분말들 사이에서 구름 베어링의 역할을 하면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spherical nano powder maximizes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while serving as a rolling bearing between the base glass powd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0 : 모재 유리분말 20 : 구형 나노분말
110 : 비늘층 120 : 섬유상층
130 : 다공층 140 : 충진제
10: base glass powder 20: spherical nano powder
110: scale layer 120: fibrous layer
130: porous layer 140: filler

Claims (28)

3차원 복합체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로서,
비정질 유리가 파쇄되어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도록 형성되고 평균 입경은 1 내지 200μm 범위에 속하는 모재 유리분말과;
평균 입경이 100nm 이하이며 상기 모재 유리분말 표면에 위치하도록 혼합되어 3D 프린팅에 의한 성형시 불규칙 형상을 갖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을 높여주는 구형 나노분말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재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하며,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소재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하거나,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의 조합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용 성형소재.
As a forming material for 3D printing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composite,
A base glass powder having an irregular shape in an amorphous glass powder state and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a range of 1 to 200 mu m;
A spherical nano powder which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nm or less and is mixed to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to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having an irregular shape when formed by 3D printing,
The raw material of the base glass powder is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And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
The raw material of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or a glass composition system mainly composed of SiO 2 , Y 2 O 3 , Al 2 O 3 , TiO 2 , ZrO 2 , NiO, CoO, CeO 2 , MgO, CaO, WO 3 , CuO, Fe 2 O 3 ,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 main compon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은 유리를 볼 밀링에 의해 1차 파쇄하여 조분을 형성한 후, 젯 밀링 또는 볼 밀링에 의해 2차 파쇄하여 미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용 성형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glass powder is obtained by first crushing the glass by ball milling to form a coarse powder and then secondary crushing by jet milling or ball milling to form a fine pow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결을 촉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용 성형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nano powd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so that the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is promo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결시 상기 모재 유리분말과 반응하지 않는 단일 산화물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과 함께 성형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용 성형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made of any one of a single oxide which does not react with the base glass powder at the time of sintering the base glass powder so as to increase the molding strength together with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Molding material for prin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열과 정전기에 의해 상기 모재 유리분말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용 성형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by heat and static electricity while being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전체 대비 0.01vol.% 내지 1vol.% 범위에 속한 혼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용 성형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mixed at a mixing ratio in the range of 0.01 vol% to 1 vol% relative to the whole.
3차원 복합체를 성형하기 위한 3D 프린팅 성형방법으로서,
비정질 유리를 파쇄함으로써 용융되지 않은 분말 상태로 불규칙 형상(irregular shape)을 갖도록 하고 평균 입경은 1 내지 200μm 범위에 속하는 모재 유리분말을 제조하는 파쇄단계와;
평균 입경이 100nm 이하인 구형 나노분말을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유동성 향상재로서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모재 유리분말과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을 이용하여 3D 성형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체를 소성하는 소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A 3D printing forming method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composite,
A crushing step of crushing the amorphous glass to produce a base glass powder having an irregular shape in an unmelted powder state and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200 mu m;
Mixing a spherical nano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0 nm or less as a flowability improving material for improving fluidity of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A molding step of molding a 3D formed body using mixed powder in which the base glass powder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are mixed;
And a firing step of firing the molded body formed in the forming ste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재는 주성분이 SiO2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Bi2O3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V2O5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PbO인 유리 조성계, 주성분이 TeO2인 유리 조성계 중 어느 하나에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aw material of the base glass powder is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iO 2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Bi 2 O 3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P 2 O 5 , a glass composition system 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V 2 O 5 , And a glass composition system whose main component is TeO 2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단계에서는 유리를 볼 밀링에 의해 1차 파쇄하여 조분을 형성한 후, 젯 밀링 또는 볼 밀링에 의해 2차 파쇄하여 미분을 형성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crushing step, glass is first crushed by ball milling to form a coarse powder, and secondary crushing is performed by jet milling or ball milling to sequentially form fine powder to form the base glass powder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전 비정질 유리는 유리 원료가 용융된 용융물이 리본 롤러에 부어져 얇게 만들어진 컬릿(cull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morphous glass before crushing is a cullet in which a molten glass material is poured into a ribbon roller and made thi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이 열과 정전기에 의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표면에 분산된 상태로 코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dispers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glass powder by heat and static electricity in the mixing ste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과 상기 구형 나노분말의 혼합은 건식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ixing of the base glass powder and the spherical nano powder is performed by dry mix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와 상기 소성단계 사이에는 성형체를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성형체에 묻어 있는 남은 분말을 제거하는 분말 세척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drying step of drying the molded body and a powder washing step of removing the powder remaining on the molded body are performed between the molding step and the firing ste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단계와 상기 소성단계 사이에는 상기 성형단계에서 사용된 바인더를 태워 제거하는 바인더 제거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바인더의 제거온도는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binder removing step of burning and removing the binder used in the forming step is performed between the molding step and the firing step and the removal temperature of the binder is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material glass powder. Printing molding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 상기 소성단계에서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소결을 촉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pherical nano powder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so as to promote sintering of the base glass powder in the sintering ste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나노분말은 SiO2, Y2O3, Al2O3, TiO2,ZrO, NiO, CoO, CeO2, MgO, CaO, WO3, CuO, Fe2O3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평균 입경 100nm 이하의 단일산화물로 구비되어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유동성과 함께 성형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Said spherical nano-powder is SiO 2, Y 2 O 3, Al 2 O 3, TiO 2, ZrO, NiO, CoO, CeO 2, MgO, CaO, WO 3, CuO, Fe 2 O 3 Wherein the glass beads are made of a single oxid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0 nm or less so as to increase the molding strength as well as the fluidity of the base glass powd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단계에서 상기 성형체에 대한 소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성형체의 소결은 상기 모재 유리분말의 최대수축온도와 연화온도 사이의 범위에 속한 온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성형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intering of the molded body including the firing of the molded body in the firing step proceeds at a temperature that falls within a range between a maximum shrinkage temperature of the base glass powder and a softening temperature.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3D 프린팅 성형방법을 이용한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성형방법으로서,
상기 성형단계에서 다수의 공극들을 형성하여 투광성 및 경량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성형방법.
20. A method of forming a molded body of an in vitro skin mimetic 3D object using the 3D printing mold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9,
Wherein a plurality of voids are formed in the molding step so as to have translucency and light weigh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가 다층구조를 갖도록 성형하되, 적어도 한층은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층으로 성형하고, 상기 다공층과 인접한 층을 포함하여 적어도 한층은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이 겹쳐진 섬유상층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성형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layer is formed into a porous lay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voids and at least one layer including a layer adjacent to the porous layer is formed into a fibrous layer having superposed linear unit structures Wherein said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성형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linear unit tissues are arranged at least partially in an intersecting mann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층에서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은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미세틈새를 형성하면서 겹쳐진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성형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linear unitary structures in the upper layer of the fibrous layer are formed into a superposed shape while partially forming fine gaps with each oth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층 및 다공층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층은 판 형상의 단위조직들이 비늘 형태로 부분 겹층되어 이루어진 비늘층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성형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layer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fibrous layer and the porous layer is formed into a layer of scales in which plate-like unit tissues are partially folded in a scaly shape.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3D 프린팅용 성형소재로 성형되고,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되어 투광성 및 경량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A bio-encapsulant 3D modeling material molded from a molding material for 3D print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5 to 8,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oids are formed to have translucency and light weight Shaped body.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다층구조를 가지며, 이 중 적어도 한층은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층이며, 상기 다공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 중 적어도 한 층은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이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상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molded body has a multi-layer structure, at least one of which is a porous lay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voids, and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layers except for the porous layer is a fibrous upper layer formed by overlapping linear unit structures. 3D-shaped body.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3D 프린팅 성형방법에 의해 다수의 공극들을 갖도록 성형되어 투광성 및 경량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A 3D molded article of a bio-sheath type mimetic 3D molded article, which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voids by a 3D printing mold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9 so as to have translucency and light weight.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다층구조를 가지며, 이 중 적어도 한층은 다수의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층이며, 상기 다공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 중 적어도 한 층은 선 형상의 단위조직들이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상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외피계 모방 3D 성형체.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molded body has a multi-layer structure, at least one of which is a porous lay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voids, and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layers except for the porous layer is a fibrous upper layer formed by overlapping linear unit structures. 3D-shaped body.
KR1020160149981A 2016-11-11 2016-11-11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KR101820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81A KR101820853B1 (en) 2016-11-11 2016-11-11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981A KR101820853B1 (en) 2016-11-11 2016-11-11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820A Division KR101799558B1 (en) 2015-08-12 2015-08-12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96A KR20170020296A (en) 2017-02-22
KR101820853B1 true KR101820853B1 (en) 2018-01-22

Family

ID=5831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981A KR101820853B1 (en) 2016-11-11 2016-11-11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923A (en) 2018-05-16 2019-12-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Organic inorganic hybrid composition for SLS 3D print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9786295B (en) * 2019-01-11 2023-09-12 电子科技大学 Groove glass passivation system adopting 3D coating method and corresponding passivation process
CN112927760A (en) * 2019-12-05 2021-06-08 有研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Simulation method for 3D printing of melting state of nano copper pow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120A (en) 2004-01-06 2005-07-2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Glass ceramic powder composition and glass paste
KR101374232B1 (en) 2012-10-26 2014-03-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parent, high-toughness, lightweight composit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119B1 (en) 2013-11-04 2014-05-1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3d printer fila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120A (en) 2004-01-06 2005-07-2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Glass ceramic powder composition and glass paste
KR101374232B1 (en) 2012-10-26 2014-03-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parent, high-toughness, lightweight composi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296A (en)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58B1 (en)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KR101820853B1 (en) Forming materials and method for 3D printing based on irregular shape amorphous glass and structure body thereby
US11000895B2 (en) Surface modified particulate and sintered or injection molded products
RU2006137289A (en) POWDER FOR FAST CREATION OF A PROTOTYPE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EP2452795B1 (en) Filler agent/glass containing resin molded productand use thereof
CN104308072A (en) Carbon fiber-based precoated sand material for selective laser sinter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06062039A1 (en) Process for producing metal product and metal product
CN106219983A (en) A kind of sintering temperature and low devitrified glass bonding ag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3524430B1 (en) Powder for solid freeform fabric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freeform fabrication object
WO2018131352A1 (en)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ly shaped object using same
CN105504749A (en) Polycarbonate composite material for 3D print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832885B (en) Polymer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polydopamine particles and application thereof
JP2017206738A (en) Powd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powde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molding and three-dimensional molding apparatus
CN110142968B (en) 3D printing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60115083A1 (en) Ceramic powd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laser sinter molding
EP3415559A1 (en) Composite material and its use in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s
WO2017221599A1 (en) Glass filler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same
JP2017071532A (en) Glass powder for three-dimensional molding
CN113563054B (en) Preparation method and shaping method of ceramic slurry
CN104496487B (en) Double-layer ceramic microsphere of nucleocapsid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UWANA et al. Fabrication of carbon-decorated Al2O3 composite powders using cellulose nanofiber for selective laser sintering
CN106589941A (en) Glass-fiber-reinforced walnut shell composite powder material for laser sintering 3D printing technology
JP7323861B2 (en) RESIN COMPOSITION, 3D MODEL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3D MODEL
JP6913275B2 (en) Glass powder for 3D modeling
KR102124375B1 (en) 3D printer fil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