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411B1 -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411B1
KR101820411B1 KR1020160109790A KR20160109790A KR101820411B1 KR 101820411 B1 KR101820411 B1 KR 101820411B1 KR 1020160109790 A KR1020160109790 A KR 1020160109790A KR 20160109790 A KR20160109790 A KR 20160109790A KR 101820411 B1 KR101820411 B1 KR 10182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receiving
pet
rolling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섭
Original Assignee
김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섭 filed Critical 김창섭
Priority to KR1020160109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간식을 섭취할 때 한꺼번에 삼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작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에 의해 애완동물이 간식을 한번에 삼키지 않고 조금씩 씹어 섭취할 수 있게 하여, 한꺼번에 삼켜버리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저작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omitted}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간식을 섭취할 때 한꺼번에 삼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작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이다.
개껌은 보통 동물의 천연 소가죽 내피로 만들어진 것으로 강아지가 씹거나 먹을 수 있는 장난감 겸 간식이다. 치석제거 기능이 있어 치아건강에 도움이 되고 강아지의 무료함이나 스트레스를 풀어주기도 한다. 특히 강아지는 4개월령부터 이갈이를 시작하게 되어 잇몸이 무척 가렵게 되는데 이때 개껌을 주면 다른 물건을 파손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근래에는 애견간식의 다양화로 생선이나 고기 원료의 육포가 개껌대용으로 많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간식은 일반 음식에 비해 잘 씹히지는 않으나 개껌보다는 잘 씹히고 작은 덩어리로 찢기도 쉽다.
그러나 강아지가 큰 덩어리로 된 개껌, 개껌형 간식 등을 한꺼번에 삼켜버리거나, 찢어진 작은 덩어리를 씹지 않고 삼켜 목에 걸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경우 소화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주변에 관찰자가 없으면 기도가 막혀 생명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09988호 (2011.01.14)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애완동물이 간식을 한번에 삼키지 않고 조금씩 씹어 섭취할 수 있게 하여, 한꺼번에 삼켜버리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저작운동을 할 수 있게 보조하는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작대상물을 아래로 누르는 압착면(130)이 하면에 형성된 압착부(100); 저작대상물을 위로 받치는 받침면(230)이 상면에 형성된 받침부(200); 압착부(100)와 받침부(200) 사이 저작대상물이 수용되는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조절부(300);를 포함하고, 조임조절부(300)는 압착부(100)를 관통하여 받침부(200)에 나사결합되는 축대(310), 축대(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330)을 포함하며, 압착부(100)에는 압착면(130)의 중심에 축대(310)가 관통하는 축대관통구(140)가 형성되고, 받침부(200)에는 받침면(230)의 중심에 축대(310)가 체결되는 축대체결구(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압착면(130)과 받침면(230)에는 압착부(100)와 받침부(200) 사이의 저작대상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된 마찰돌기(131,231)가 다수 형성되고, 압착면(130)의 일측에 아래로 돌출된 기둥 또는 위로 함몰된 홈 형태의 구속부(132)가 형성되며, 받침면(230)의 일측에 압착면의 구속부(132)와 대응되는 홈 또는 기둥 형태의 구속부(2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임조절부(300)는 축대(310)의 외주 및 압착부(100)와 받침부(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하고, 압착부(100)는 압착면(130)의 외주에서 상부로 직경이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테이퍼부(110)가 형성되고, 테이퍼부(110)의 상단부가 압착부(100)의 중심을 향해 굽어진 인커브(121)와 압착부(100)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굽어진 아웃커브(122)가 반복되도록 형성된 롤링방지굴곡(120)으로 형성되며, 받침부(200)는 받침면(230)의 외주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테이퍼부(210)가 형성되고, 테이퍼부(210)의 하단부가 롤링방지굴곡(120)과 대응되는 인커브(221)와 아웃커브(222)로 형성된 롤링방지굴곡(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에 의해 애완동물이 간식을 한번에 삼키지 않고 조금씩 씹어 섭취할 수 있게 하여, 한꺼번에 삼켜버리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저작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a) 및 측단면도(b).
도 3은 조임조절부가 결합된 압착부에 대한 도면.
도 4는 받침부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제품 측면 사진.
도 6은 본 발명으로 저작대상물을 고정시킨 예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고정된 저작대상물을 애완동물이 저작하는 상태를 측면(a)과 윗면(b)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b)의 측면의 바람직한 실시예(a)과 다른 실시예(b).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는 도 1,2과 같이 저작대상물을 아래로 누르는 압착면(130)이 하면에 형성된 압착부(100); 저작대상물을 위로 받치는 받침면(230)이 상면에 형성된 받침부(200); 압착부(100)와 받침부(200) 사이 저작대상물이 수용되는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조절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저작대상물(A)은 개껌과 같이 여러번 씹어 섭취하는 애완동물용 간식 등을 의미한다.
상기 압착부(100)는 축대관통구(140), 테이퍼부(110), 롤링방지굴곡(120), 핸들지지부(150)를 포함한다(도 2,3 참고).
축대관통구(140)는 압착면(130)의 중심에 축대(310)가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축대체결구(240)는 축대(310)와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과 달리, 축대관통구(140)는 축대(3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압착부(100)는 축대(310)를 축으로 자유롭게 상하운동하게 된다.
테이퍼부(110)는 압착면(130)의 외주에서 상부로 직경이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즉, 압착부(100)의 측단면도(도 2(b) 참고)를 볼 때 좌우 경계면이 위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받침부(200)의 테이퍼부(210)에서 후술한다.
롤링방지굴곡(120)은 테이퍼부(110)의 상단부가 압착부(100)의 중심을 향해 굽어진 인커브(121)와 압착부(100)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굽어진 아웃커브(122)가 반복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압착부(100)를 위에서 볼 때(도 1,7(b) 참고) 롤링방지굴곡(120)이 꽃무늬와 흡사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역시 자세한 설명은 받침부(200)의 롤링방지굴곡(220)에서 후술한다.
핸들지지부(150)는 축대관통구(140)의 주변부에 형성되며, 핸들(330)의 밑면을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핸들(330)이 아래로 이동할 때(받침부(200)를 기준으로 봄) 핸들지지부(150)를 눌러 압착부(100)로 아래로 누르는 힘을 전달한다. 핸들(330) 아래 형성된 기둥 또는 벽면체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200)는 축대체결구(240), 테이퍼부(210), 롤링방지굴곡(220), 커버(250)를 포함한다.
축대체결구(240)는 받침면(230)의 중심에 축대(310)가 체결되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축대(310)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받침부(200)를 잡고 핸들(330)로 축대(310)를 회전시킬 때, 축대체결구(240)가 축대(310)의 나사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받침부(200)를 기준으로 볼 때 조임조절부(30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과 같다. 결국, 받침부(200)를 기준으로, 조임조절부(300)에 의해 압착부(100)가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은 축대(310)와 축대체결구(240)의 나사결합에 의한 것이다.
테이퍼부(210)는 받침면(230)의 외주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즉, 받침부(200)의 측단면도(도 2(b) 참고)를 볼 때 좌우 경계면이 아래로 갈수록 벌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착부(100)의 테이퍼부(110)와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되며, 압착부(100)와 받침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볼 때 각 테이퍼부(110,210) 측단면의 우측경계면인 제1제한면(111)과 제2제한면(211)이 안쪽으로 꺾인 '<'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도 7(a),8(a)와 같이 애완동물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저작대상물(A)을 저작할 때 애완동물의 입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특히, 도 8(b)와 같이 애완동물이 입을 과도하게 벌릴 경우 각 테이퍼부의 끝단부에 이빨이 걸려 아예 저작대상물(A)을 씹지 못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입을 벌리는 동작을 자제시킬 수 있다.
롤링방지굴곡(220)은 테이퍼부(210)의 하단부가 롤링방지굴곡(120)과 대응되는 인커브(221)와 아웃커브(222)로 형성된 것이다. 특히, 압착부(100)와 받침부(200)가 결합될 때 인커브(121,221)와 아웃커브(122,222)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결합(후술하는 구속부에 의함)된다. 따라서 압착부(100)가 결합된 받침부(200)를 위에서 볼 때(도 4 참고) 롤링방지굴곡(120,220)이 꽃무늬와 흡사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인커브(121,221)는 상술한 '<' 모양의 테이퍼부(110,210)와 유사한 형태로 도 7(b)와 같이 애완동물의 입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다수의 돌출부로 형성된 아웃커브(122,222)는 본 발명의 기구가 굴러다니지 않도록, 롤링(rolling)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한다.
또한, 받침부(200)의 하부를 덮는 덮개로서, 롤링방지굴곡(220)에 대응되는 외주로 형성된 커버(250)가 형성될 수 있다(도 2(a) 참고). 이는 사용자가 받침부(200)를 잡고 핸들(330)을 회전시킬 때, 받침부(200)를 잡는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애완동물의 앞발로 본 발명의 기구를 잡을 때 이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임조절부(300)는 축대(310), 핸들(330), 탄성부재(340)를 포함한다.
축대(310)는 몸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압착부(100)를 관통하여 받침부(200)에 나사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핸들(330)은 축대(3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압착부(100)와 받침부(200) 사이 간격을 조이거나 풀고자 할 경우 회전시키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다만, 핸들(330)과 축대(310)가 일체로 결합하여, 핸들(330)을 회전시킬 때 축대(310)도 함께 회전하며 헛돌지 않도록 해야 한다.
탄성부재(340)는 축대(310)의 외주 및 압착부(100)와 받침부(200)의 사이에 형성되며 축대관통구(140) 및 축대체결구(24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부재(340)의 하단은 받침면(230)을 아래로 밀고, 탄성부재(340)의 상단은 압착면(130)을 위로 미는 역할을 한다. 즉, 저작대상물(A)을 압착부(100)와 받침부(200)의 사이에 넣기 위해 조임조절부(300)로 사이 간격을 벌릴 때, 압착부(100)와 받침부(20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작대상물(A)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면(130)과 받침면(230)에는 각각 다수의 마찰돌기(131,231)가 형성되어 압착부(100)와 받침부(200) 사이의 저작대상물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압착면(130)에서 아래로 돌출된 다수의 마찰돌기(131)가 저작대상물의 윗면과 마찰을 일으키며, 받침면(230)에서 위로 돌출된 다수의 마찰돌기(231)가 저작대상물의 아랫면과 마찰을 일으켜, 애완동물이 보조 기구의 외부로 돌출된 저작대상물을 씹을 때에도 보조 기구에 고정된 저작대상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압착면(130)과 받침면(230)의 일측에는 압착부(100)와 받침부(200)를 회전방향으로 구속시키는 구속부(132,232)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도 2,5 참고). 즉, 압착면(130)에 아래로 돌출된 구속기둥(132a)이 형성되고(도 3), 받침면(230)에 구속기둥(132a)을 수용하는 구속홈(232a)이 형성될 경우, 압착부(100)와 받침부(200)가 결합될 때 구속기둥(132a)이 구속홈(232a)에 수용되어 압착부(100)와 받침부(200)가 일체로 회전하게("회전방향으로 구속") 되는 것이다. 이는 받침부(200)를 잡고 핸들(330)을 회전시킬 때 압착부(100)가 따라 회전하지 않고 받침부(20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압착부(100)가 받침부(200)에 결합된 상태를 위에서 볼 때 도 8(b)와 같이 롤링방지굴곡(120,220)의 형태가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압착면(130)과 받침면(230)에 각각 1개소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2개소 이상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압착부의 구속부(132)가 구속기둥(132a)으로 형성되고, 받침부의 구속부(232)가 구속홈(232a)으로 형성된 것은 일 실시예로서, 구속기둥과 구속홈의 위치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받침부(200)와 압착부(10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이면 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압착부(100)와 받침부(200)의 사이에 저작대상물(A)을 놓되, 애완동물이 씹을 수 있을 정도는 돌출되도록 한다. 이후 받침부(200)를 잡고 조임조절부(300)의 핸들(330)을 돌려(R방향) 압착부(100)를 압착(M방향)시킨다. 이렇게 저작대상물(A)이 고정된다.
보조기구 외부로 돌출된 저작대상물(A)이 애완동물에 의해 모두 씹어 없어진 경우에는 핸들(330)을 반대로 돌려(R방향) 압착부(100)와 받침부(200)의 사이 간격을 벌린(M방향) 다음, 저작대상물(A)을 조금 더 빼내어 다시 압착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압착부
110: 테이퍼부
111: 제1제한면
120: 롤링방지굴곡
121: 인커브
122: 아웃커브
130: 압착면
131: 마찰돌기
132: 구속부
132a: 구속기둥
140: 축대관통구
150: 핸들지지부
200: 받침부
210: 테이퍼부
211: 제2제한면
220: 롤링방지굴곡
221: 인커브
222: 아웃커브
230: 받침면
231: 마찰돌기
232: 구속부
232a: 구속홈
240: 축대체결구
250: 커버
300: 조임조절부
310: 축대
320: 너트
330: 핸들
340: 탄성부재
A: 저작대상물

Claims (3)

  1. 저작대상물을 아래로 누르는 압착면(130)이 하면에 형성된 압착부(100);
    저작대상물을 위로 받치는 받침면(230)이 상면에 형성된 받침부(200);
    압착부(100)와 받침부(200) 사이 저작대상물이 수용되는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조절부(300);를 포함하고,

    조임조절부(300)는
    압착부(100)를 관통하여 받침부(200)에 나사결합되는 축대(310),
    축대(3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330),
    축대(310)의 외주 및 압착부(100)와 받침부(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340)를 포함하며,

    압착부(100)에는
    압착면(130)의 중심에 축대(310)가 관통하는 축대관통구(140)와,
    압착면(130)의 외주에서 상부로 직경이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테이퍼부(110)가 형성되고,
    테이퍼부(110)의 상단부가 압착부(100)의 중심을 향해 굽어진 인커브(121)와 압착부(100)의 중심 반대방향으로 굽어진 아웃커브(122)가 반복되도록 형성된 롤링방지굴곡(120)으로 형성되며,

    받침부(200)에는
    받침면(230)의 중심에 축대(310)가 체결되는 축대체결구(240)와,
    받침면(230)의 외주에서 하부로 직경이 확장되면서 연장되는 테이퍼부(210)가 형성되고,
    테이퍼부(210)의 하단부가 롤링방지굴곡(120)과 대응되는 인커브(221)와 아웃커브(222)로 형성된 롤링방지굴곡(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압착면(130)과 받침면(230)에는
    압착부(100)와 받침부(200) 사이의 저작대상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된 마찰돌기(131,231)가 다수 형성되고,
    압착면(130)의 일측에 아래로 돌출된 기둥 또는 위로 함몰된 홈 형태의 구속부(132)가 형성되며,
    받침면(230)의 일측에 압착면의 구속부(132)와 대응되는 홈 또는 기둥 형태의 구속부(2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3. 삭제
KR1020160109790A 2016-08-29 2016-08-29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KR10182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90A KR101820411B1 (ko) 2016-08-29 2016-08-29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90A KR101820411B1 (ko) 2016-08-29 2016-08-29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411B1 true KR101820411B1 (ko) 2018-01-19

Family

ID=6102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90A KR101820411B1 (ko) 2016-08-29 2016-08-29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4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661A (ko) * 2019-10-04 2021-04-14 김용희 반려동물용 놀이기구
WO2021168508A1 (en) * 2020-02-24 2021-09-02 Monchball IP Pty Ltd Pet toy
KR20220163085A (ko) 2021-06-02 2022-12-09 김창섭 애완동물용 저작보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27Y1 (ko) 2003-03-13 2003-05-27 이정숙 애완동물용 완구
US20090078214A1 (en) * 2007-09-20 2009-03-26 Charles David Mann Pet toy for retaining replaceable treats, and methods
US20090217885A1 (en) 2008-03-03 2009-09-03 Steven Edward Peter Pet treat holder toy
US20160106068A1 (en) * 2014-10-20 2016-04-21 T.F.H. Publications, Inc. Locking rotating che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27Y1 (ko) 2003-03-13 2003-05-27 이정숙 애완동물용 완구
US20090078214A1 (en) * 2007-09-20 2009-03-26 Charles David Mann Pet toy for retaining replaceable treats, and methods
US20090217885A1 (en) 2008-03-03 2009-09-03 Steven Edward Peter Pet treat holder toy
US20160106068A1 (en) * 2014-10-20 2016-04-21 T.F.H. Publications, Inc. Locking rotating chew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661A (ko) * 2019-10-04 2021-04-14 김용희 반려동물용 놀이기구
KR102320829B1 (ko) 2019-10-04 2021-11-01 김용희 반려동물용 놀이기구
WO2021168508A1 (en) * 2020-02-24 2021-09-02 Monchball IP Pty Ltd Pet toy
AU2021227713B2 (en) * 2020-02-24 2022-05-26 Monchball IP Pty Ltd Pet toy
KR20220163085A (ko) 2021-06-02 2022-12-09 김창섭 애완동물용 저작보조기구
KR102577115B1 (ko) 2021-06-02 2023-09-08 김창섭 애완동물용 저작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411B1 (ko) 애완동물용 저작 보조 기구
US20090217885A1 (en) Pet treat holder toy
US20200154676A1 (en) Pet treat holder and safety device
US5813366A (en) Animal toy
US6186096B1 (en) Pet chew with dispensable food product
US10856528B2 (en) Pet treat holder and safety device
EP1061795B1 (en) Bouncing pet toy
US6634318B1 (en) Closure for pet feeding toy
US20130118417A1 (en) Chew toy with edible piece
RU2671898C2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рционной выдачи кормового тела домашним животным
USD870985S1 (en) Dog toy
US20130008389A1 (en) Chew toy with edible piece
US20210204519A1 (en) Pet treat holder and safety device
US20180132448A1 (en) Edible pet bowl and method
US11470818B2 (en) Clamping assembly for chewable device
US20180303071A1 (en) Bone, treat and chew toy holding arrangement for pets
US11000014B2 (en) Pet treat holder and safety device
US20030205206A1 (en) Dog bone holder
US323022A (en) Hitching device
US20220079114A1 (en) Pet food holder
US20170105389A1 (en)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Toy Response to a Received Input
KR20180102519A (ko) 펫시터용 이중 리드줄
US20190261602A1 (en) Tug-of-war Dog Toy
JP2006000080A (ja) ペット用ガムの飲み込み防止具
JP2004350598A (ja) 豚用耳標及び家畜個体識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