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329B1 -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329B1
KR101820329B1 KR1020160159782A KR20160159782A KR101820329B1 KR 101820329 B1 KR101820329 B1 KR 101820329B1 KR 1020160159782 A KR1020160159782 A KR 1020160159782A KR 20160159782 A KR20160159782 A KR 20160159782A KR 101820329 B1 KR101820329 B1 KR 101820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door curtain
inner cover
hoo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철욱
한혜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5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3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Abstract

A door curtain frame of a vehicl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curtain frame comprises: a frame inner cover arranged on an upper side; a curtain bar arranged on a lower side; and a door curtain received in a curtain bar while being in a roll-shape and capable of being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inner cover. The frame inner cover comprises: a main body part; an extended part formed to be extended from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t least one hanger part formed to be extended from the extended part in an outdoor direction; and a protrusion part formed by protruding upwards from an end of the hanger part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main body part, the extended part, the hanger part and the protrusion part are integrally formed. The door curtain comprises: a curtain shade bar coupl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at least one lock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curtain shade bar to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hanger part while being in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anger parts. The curtain shade part is placed on the hanger part in such a manner that the locking hole passes through the protrusion part such that the door curtain is fixed in an unfolded state.

Description

차량의 도어커튼 프레임{DOOR CURTAIN FRAME OF VEHICLE}A door curtain frame of a vehicle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커튼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로 햇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도어커튼(DOOR CURTAIN)을 체결시키는 도어커튼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urtain fram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curtain frame for fastening a door curtain to prevent sunligh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차량의 도어커튼(DOOR CURTAIN)은 실내에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여 차량 탑승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햇빛으로 인해 차량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 윈도우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 door curtain of a vehicle is generally disposed in a door window of a vehicle for blocking sunlight entering the room to prevent glare of a vehicle occupant and to prevent the interior temperature of the vehicle from rising due to sunlight.

이러한 도어커튼은 바(BAR) 내부에 롤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햇빛을 차단하고자 할 때 도어커튼을 인출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상기 바 내부에 인입시킬 수도 있다. These door curtains are arranged in a roll form inside the bar (BAR). Further, the user may draw out the door curtain when he / she wants to block the sunlight, and may draw the door curtain back into the bar when not in use.

도 1은 종래 도어커튼 프레임의 구조와 도어커튼의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커튼 프레임(10)은 차량 도어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인너커버(11)와, 하측에 배치되는 커튼바(12)와, 커튼바(12)에 롤 형태로 수용되는 것으로 프레임 인너커버(11) 방향으로 전개가능한 도어커튼(13)을 포함할 수 있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oor curtain frame and a method of fastening a door curtain. 1, the door curtain frame 10 includes a frame inner cover 11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door, a curtain bar 12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a door curtain 13 that can be deployed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inner cover 11.

도어커튼(13)의 상단에는 커튼쉐이드바(14)가 형성되며, 커튼쉐이드바(14)에는 소정 간격으로 1 이상의 걸림홀(16)이 형성된다. 한편 프레임 인너커버(11)에는 걸림홀(16)의 위치와 상응하도록 1 이상의 후크(11a)가 결합된다. 후크(11a)는 프레임 인너커버(11)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사용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커튼(13)을 전개시켜 프레임 인너커버(11) 쪽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어커튼(13)의 커튼쉐이드바(1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홀(16)은 프레임 인너커버(11)에 결합된 후크(11a)와 근접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걸림홀(16)을 후크(11a)에 걸어 도어커튼(13)을 고정시키게 된다. A curtain shade bar 14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curtain 13 and at least one locking hole 16 is formed in the curtain shade bar 1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hook 11a is coupled to the frame inner cover 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16. The hook 11a has a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ame inner cover 11. The user can unfold the door curtain 13 to draw out the frame to the frame inner cover 11 to block the sunlight. At this time, the locking hole 16 formed in the curtain shade bar 14 of the door curtain 13 comes close to the hook 11a coupled to the frame inner cover 11. [ The user then hooks the hook hole 16 on the hook 11a to fix the door curtain 13.

이 경우, 프레임 인너커버(11)의 하단과 도어커튼(13)의 커튼쉐이드바(14) 상단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도 1 에서 A로 표기함).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ame inner cover 11 and the upper end of the curtain shade bar 14 of the door curtain 13 (denoted by A in Fig. 1).

도 2는 종래 도어커튼 프레임에서 프레임 인너커버(11) 및 후크(11a)와 도어커튼(13)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inner cover 11 and the hook 11a and the door curtain 13 ar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conventional door curtain frame.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 인너커버(11)는 차량의 실내측에 설치되며, 프레임 인너커버(11)의 하단부에는 후크(11a)가 결합된다. 이 때, 후크(11a)는 별도의 부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프레임 인너커버(11)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착된다. 후크(11a)는 실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도어커튼(13)의 커튼쉐이드바(14)에 형성된 걸림홀(16)이 후크(11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frame inner cover 11 is installed on the interior side of the vehicle, and the hook 11a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inner cover 11. At this time, the hook 11a corresponds to a separate member and is generally mounted to the frame inner cover 11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The hook 11a is formed in the outward direction so that the hook hole 16 formed in the curtain shade bar 14 of the door curtain 13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hook 11a.

이 때, 외부 빛(햇빛, 도 2에서 L로 표기함)의 대부분은 도어커튼(13)에 의해 차단되어 차량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지만, 일부분은 차량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에서 A로 표기된 것과 같이, 프레임 인너커버(11)의 하단과 도어커튼(13)의 커튼쉐이드바(14) 상단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서다. 즉 도어커튼(13)을 인출시켜도 외부 빛을 완전히 차단시키지는 못한다. 이로 인해 차량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후크(11a)는 별도의 부재로 프레임 인너커버(11)에 스크류 하드웨어 등을 이용해 결합시켜야 하므로 제품원가가 상승할 뿐더러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most of the external light (sunlight, denoted by L in FIG. 2) is blocked by the door curtain 13 and can not enter the vehicle interior, but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may enter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indicated by A in Fig. 1,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ame inner cover 11 and the upper end of the curtain shade bar 14 of the door curtain 13. That is, even if the door curtain 13 is taken out, the external light can not be completely blocked. This cause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inconvenience to people using the vehicle. Also, as described above, the hook 11a must be coupled to the frame inner cover 11 by a separate member using screw hardware or the like, which increases the cost of the product and adds a process.

본 발명은 프레임 인너커버와 도어커튼의 상단 사이에 간격을 없앰으로써, 외부 빛의 실내유입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며, 후크를 필요로 하지 않아 공정이 간이하고 제품원가를 낮출 수 있는 도어커튼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gap between the frame inner cover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curtain so as to completely block the entrance of external light into the room and does not require a hook so that the door curtain frame,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인너커버와,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커튼바와, 상기 커튼바에 롤 형태로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인너커버 방향으로 전개가능한 도어커튼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커튼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인너커버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커튼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전체에 걸쳐 연장부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연장부, 걸이부 및 돌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커튼은 상단부에 결합되는 커튼쉐이드바와, 상기 걸이부와 상응하도록 상기 커튼쉐이드바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이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걸이부에 상기 커튼쉐이드바가 안착함으로써 상기 도어커튼이 전개된 채로 고정되는 도어커튼 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frame comprising: a frame inner cover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side; a curtain bar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lower side; a door curtain accommodated in a roll form in the form of a roll, Wherein the frame inner cover includes a body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urtain bar, and a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size upward from an end portion of the hook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the hook portion, and the protrusion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curtain includes a curtain shade bar coupled to an upper end, The door curtain frame is provided with a latching hole formed to have a long hol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or curtain and the latching hole is passed through the protrusion and the curtain shade bar is seated on the latching portion so that the door curtain is unfolded .

이 때, 상기 걸이부의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도어커튼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의 실외측 단부는 도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으로부터 소정 정도 이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hook extending in the outdoors direc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oor curtain, and the outdoor side end of the hook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glas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은 프레임 인너커버를 커튼쉐이드바의 걸림홀을 걸 수 있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레임 인너커버와 도어커튼의 상단 사이에 간격을 없앨 수 있는 바, 외부 빛의 실내 유입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The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ooks of the curtain shade bar and the hooks of the curtain shade bar so as to integrally form the frame inner cover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rame inner cover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curtain Bar and outside light can be completely blocked from entering the room.

또한, 후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바, 공정이 간이하고 제품원가를 낮출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hook is not require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은 프레임 인너커버의 실외측 면에 자석편을 부착하고, 도어커튼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커튼쉐이드바의 실내측 면에 강자성체인 금속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자석편과 금속편의 인력에 의해 후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프레임 인너커버와 도어커튼의 상단 사이에 간격을 없앨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curtain comprising a magnet piece attached to an outdoor side surface of a frame inner cover, and a metal piece being a ferromagnetic material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a curtain shade bar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door curtain, The gap between the frame inner cover and the top of the door curtain can be eliminated without the need for a hook by the attraction of the magnet piece and the metal piece.

도 1은 종래 도어커튼 프레임의 구조와 도어커튼의 체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도어커튼 프레임에서 프레임 인너커버 및 후크와 도어커튼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의 부분 및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oor curtain frame and a method of fastening a door curtai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ame inner cover and a hook and a door curtain fastened together in a conventional door curtain fram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and a cross-section of a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의 부분 및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and a cross-section of a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어커튼 프레임은 프레임 인너커버(110)와, 커튼바와, 도어커튼(1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oor curtain frame may include a frame inner cover 110, a curtain bar, and a door curtain 130.

프레임 인너커버(110)는 도어커튼 프레임의 상측 및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튼바는 도어커튼 프레임의 하측 및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튼바는 롤 형태의 도어커튼(130)을 수용할 수 있다. 도어커튼(130)은 외부 빛(도 3에서 L로 표기됨)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차량의 도어커튼에 사용되는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The frame inner cover 1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indoor side of the door curtain frame. The curtain bars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indoor side of the door curtain frame. The curtain bar may receive a door curtain 130 in the form of a roll. The door curtain 13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external light (denoted by L in FIG. 3), and is generally applicable to a material used for a door curtain of a vehicle.

도어커튼(130)은 프레임 인너커버(110)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차량 탑승자)가 외부 빛(햇빛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도어커튼(130)은 프레임 인너커버(110) 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커튼(130)을 다시 상기 커튼바 쪽으로 내려 상기 커튼바에 수용시킴으로써 상술한 외부 빛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The door curtain 130 may be deployed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For example, when the user (vehicle occupant) wants to block external light (sunlight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room, the door curtain 130 can be expanded toward the frame inner cover 110. In addition, the door curtain 130 is retracted downward toward the curtain bar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curtain bar.

프레임 인너커버(110)는 본체부(111), 연장부(112), 걸이부(113), 돌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체부(111), 연장부(112), 걸이부(113) 및 돌출부(114)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구성이 별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인너커버(1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프레임 인너커버(110)가 상술한 구조를 갖도록 금형을 설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rame inner cover 1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1, an extension portion 112, a hook portion 113, and a projection 114.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111, the extension portion 112, the hook portion 113, and the projection portion 114 may b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frame inner cover 11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ame inner cover 110 instead of being separately bonded to each other. This can be done by designing the mold so that the frame inner cover 110 ha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본체부(111)는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기본 몸체에 해당한다. 연장부(112)는 본체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커튼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112)는 본체부(111)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실외측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12)와 본체부(111)의 이음매는 곡면 처리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11 corresponds to the basic body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The extension part 112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11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urtain bar. At this time, the extension 11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f the outdoors to a predetermined extent with respect to the body 111, and the joint of the extension 112 and the body 111 may be curved.

걸이부(113)는 연장부(112)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113)는 도어커튼(130)이 걸리는 공간에 해당하는 바, 걸이부(113)는 도어커튼(130)의 두께보다 소정 정도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커튼(130)이 걸이부(113)에 걸리기 위해서는 걸이부(113)의 실외측 단부와 도어 글라스(1)의 실내측 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진입해야 하는 바, 걸이부(113)의 실외측 단부와 도어 글라스(1)의 실내측 면 사이에는 도어커튼(130)이 진입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hook portion 113 may extend from the extended portion 112 in the outboard direction. The hook portion 113 corresponds to a space where the door curtain 130 is hooked and the hook portion 113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oor curtain 130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door curtain 130 must ente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of the hook 113 and the indoor side surface of the door glass 1 in order to catch the hook 113, A space must be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side end portion and the indoor side surface of the door glass 1 so that the door curtain 130 can enter.

일 구체예에 있어서, 걸이부(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2)의 하단부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anger portion 113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12 as shown in Fig.

일 구체예에 있어서, 걸이부(113)는 연장부(112)로부터 1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이부(113)는 연장부(112) 전체에 걸쳐 연장부(112)의 하단부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3의 좌측도에서는 본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음). 또한 걸이부(113)는 소정 폭(width)을 가지며 2 이상이 간격을 두어 연장부(112)의 하단부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폭(width)은 도어커튼(130)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마찬가지다.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of the hooks 113 may be formed from the extension 112. For example, the hook portion 113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12 to the outside in the outward direction throughout the extension portion 112 (the left side view of FIG. 3 shows this specific example) . The hook portion 113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ded portion 112 toward the outdoor side with two or more spaces therebetween. Here, the width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curtain 130, and so on.

돌출부(114)는 걸이부(113)이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4)는 걸이부(113)에 걸린 도어커튼(1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돌출부(114)는 도어커튼(130)이 걸이부(113)로 진입할 때에 장애가 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jecting portion 114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ooking portion 113 protrudes upward from the end portion by a predetermined size. The protrusion 114 functions to prevent the door curtain 130 caught by the hook 113 from being detached. The protrusion 114 may be formed at a height that does not hinder the door curtain 130 when the door curtain 130 enters the hook 113.

도어커튼(130)은 커튼쉐이드바(131)와 걸림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curtain 130 may include a curtain shade bar 131 and a locking hole 132.

커튼쉐이드바(131)는 도어커튼(13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커튼(130)의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커튼쉐이드바(131)는 하드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urtain shade bar 13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curtain 130 and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door curtain 130. The curtain shade bar 131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걸림홀(132)은 커튼쉐이드바(131)에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걸이부(113)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걸이부(113)가 연장부(112)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도 3의 좌측도 참고), 걸림홀(132)은 이에 상응하도록 커튼쉐이드바(131)의 폭에 걸쳐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걸이부(113)가 소정 폭을 가지며 2 이상이 간격을 두어 연장부(112)에 형성되는 경우, 걸림홀(132)은 걸이부(113)의 개수에 상응하고, 걸이부(113)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holes 132 are formed in the curtain shade bar 131 and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hooking portions 113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3)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is formed over the entirety of the extension 112, the locking hole 132 is correspondingly formed in the curtain shade 113. In this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across the width of the bar 131. The latching hole 132 is formed in the hook 113 in the case where the hook 113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two or more spaces are formed in the extension 112. [ And may be formed at two or mor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hook portions 113. [

걸림홀(132)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돌출부(114)를 관통하여 걸이부(113)의 걸릴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즉, 걸림홀(132)은 걸이부(113) 및 돌출부(114)가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latching hole 13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sufficient that the hooking portion 113 can be hooked through the projecting portion 114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That is, the latching hole 132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allow the latching portion 113 and the protrusion 114 to pass therethrough.

상술한 것과 같이 구성되는 도어커튼 프레임에 있어서, 사용자는 외부 빛(L)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커튼(130)을 전개시켜 프레임 인너커버(110) 쪽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어커튼(130)의 커튼쉐이드바(131)에 형성된 걸림홀(132)에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돌출부(114)를 관통시켜 걸이부(113)에 배치시킴으로써, 도어커튼(130)을 프레임 인너커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외부 빛(L) 차단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도어커튼(130)의 커튼쉐이드바(131)를 잡고 돌출부(114)를 거쳐 빼낼 수 있다. 도어커튼(130)은 롤 형태로 형성되므로, 도어커튼 프레임의 상기 커튼바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튼바에 수용될 수 있다. In the door curtain fram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unfold the door curtain 130 and draw it toward the frame inner cover 110 to block the external light L. The protruding portion 114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is passed through the hooking hole 132 formed in the curtain shade bar 131 of the door curtain 130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14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is disposed on the hook portion 113, And can be fixed to the frame inner cover 110.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desires to release the external light L, the curtain shade bar 131 of the door curtain 130 can be held by the projecting portion 114. Since the door curtain 1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ll, it can move toward the curtain bar of the door curtain frame and be accommodated in the curtain bar.

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에서는 도어커튼(130)이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걸이부(113)에 걸리는 형태를 갖춤으로써, 종전 구조(도 1 및 도 2 참고)에서와 같이 프레임 인너커버(11)의 하단과 도어커튼(13)의 커튼쉐이드바(14) 상단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간격에 상응하는 부분이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연장부(112)에 의해 막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 빛(L)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인너커버(1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종전 구조에서와 같이 후크(11a)를 별도의 부재로 프레임 인너커버(11)에 결합시키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공정이 보다 간략해지면 결합 부재 등이 필요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curtain 130 is hooked on the hook portion 113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A gap is not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urtain shade bar 11 and the upper end of the curtain shade bar 14 of the door curtain 13. This is becaus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ap is clogged by the extension 112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Therefore, the external light L can be more completely blocked. Further, since the frame inner cover 110 in the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the process of joining the hook 11a to the frame inner cover 11 with a separate member as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can be omitted Therefore, when the process becomes simpl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of the product can be lowered as a whole because the joining member and the like are not requir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구체예는 전술한 구체예와 비교할 때에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걸이부(113)의 형태만을 달리하는 바,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체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ly in the shape of the hooking portion 113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Hereinafter,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프레임 인너커버(110)는 전술한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11), 연장부(112), 걸이부(113), 돌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1), 연장부(112) 및 돌출부(114)는 전술한 구체예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frame inner cover 1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1, an extension portion 112, a hook portion 113, and a protruding portion 114 as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xample. The body portion 111, the extension portion 112, and the projection portion 114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xamples, so that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본 구체예에 있어서, 걸이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2)의 중앙 부근에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12)는 걸이부(113)가 형성된 부분의 아래 부분에도 존재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 example, the hook portion 113 can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extension portion 112 to the outdoors sid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extension 112 may also be pres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hook 113 is formed.

일 구체예에 있어서, 걸이부(113)는 연장부(112)로부터 1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이부(113)는 연장부(112) 전체에 걸쳐 연장부(112)의 중앙 부근에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113)는 소정 폭을 가지며 2 이상이 간격을 두어 연장부(112)의 중앙 부근에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of the hooks 113 may be formed from the extension 112. For example, the hooking portion 113 may extend from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extension portion 112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112. The hook portion 113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may extend from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extended portion 112 toward the outdoor side with two or more spaces therebetween.

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에서는 도어커튼(130)이 프레임 인너커버(110)의 걸이부(113)에 걸리는 형태를 갖춤으로써, 전술한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인너커버의 하단과 도어커튼의 커튼쉐이드바 상단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빛(L)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 인너커버(1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후크와 같은 별도 부재가 불필요하며 이들을 결합시키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curtain 130 is hooked on the hook portion 113 of the frame inner cover 1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inner cover and the curtain of the door curtain No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shade bars. Therefore, the external light L can be more completely blocked. Further, since the frame inner cover 110 is integrally formed, a separate member such as a hook is unnecessary, and the process of joining them can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어커튼 프레임은 프레임 인너커버(210)와, 커튼바와, 도어커튼(2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door curtain frame may include a frame inner cover 210, a curtain bar, and a door curtain 230.

프레임 인너커버(210)는 도어커튼 프레임의 상측 및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튼바는 도어커튼 프레임의 하측 및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튼바는 롤 형태의 도어커튼(230)을 수용할 수 있다. 도어커튼(230)은 외부 빛(도 5에서 L로 표기됨)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차량의 도어커튼에 사용되는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The frame inner cover 2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indoor side of the door curtain frame. The curtain bars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indoor side of the door curtain frame. The curtain bar may receive a door curtain 230 in the form of a roll. The door curtain 230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external light (denoted by L in FIG. 5), and is typically made of a material used for a door curtain of a vehicle.

도어커튼(230)은 프레임 인너커버(210)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차량 탑승자)가 외부 빛(햇빛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도어커튼(230)은 프레임 인너커버(210) 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커튼(230)을 다시 상기 커튼바 쪽으로 내려 상기 커튼바에 수용시킴으로써 상술한 외부 빛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The door curtain 230 may be deployed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inner cover 210. For example, when the user (vehicle occupant) wants to block external light (sunlight, etc.) from entering the room, the door curtain 230 can be deployed toward the frame inner cover 210. Also, the door curtain 230 may be retracted downward into the curtain bar to release the external light interception.

프레임 인너커버(210)는 본체부(211), 연장부(212) 및 자석편(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체부(211) 및 연장부(2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inner cover 2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211, an extension portion 212, and a magnet piece 213. At this time, the main body 211 and the extension 212 may be integrally formed.

본체부(211)는 프레임 인너커버(210)의 기본 몸체에 해당한다. 연장부(212)는 본체부(21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커튼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212)는 본체부(211)를 기준으로 소정 정도 실외측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212)와 본체부(211)의 이음매는 곡면 처리될 수 있다.The main body 211 corresponds to the basic body of the frame inner cover 210. The extension portion 212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211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curtain bar. 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 21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f the outdoors to a predetermined extent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211, and the joint of the extension portion 212 and the body portion 211 may be curved.

자석편(213)은 연장부(212)의 실외측 면(즉,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석편(213)은 연장부(212)의 전체에 걸쳐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폭을 갖는 2 이상의 자석편(213)이 간격을 두어 연장부(212)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자석편(213)은 자성을 지닌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자철석, 크롬강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gnet piece 213 can be attached to the outdoor side surface (i.e.,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212. [ The magnet piece 213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ver the entire extended portion 212 and two or more magnet pieces 21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212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 magnet piece 213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for example, magnetite, chrome steel, or the like.

도어커튼(230)은 커튼쉐이드바(231)와 금속편(2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curtain 230 may include a curtain shade bar 231 and a metal piece 232.

커튼쉐이드바(231)은 도어커튼(23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커튼(230)의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커튼쉐이드바(231)는 하드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urtain shade bar 23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curtain 230 and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door curtain 230. The curtain shade bar 231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금속편(232)은 강자성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 소재의 예로는 철, 니켈,망간 또는 코발트 등이 있으며, 상기 나열된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금속편(232)은 자석편(213)의 인력에 의해 자석편(213)에 붙을 수 있는 소재면 충분하다. 금속편(232)은 프레임 인너커버(210)의 자석편(213)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프레임 인너커버(210)의 자석편(213)가 연장부(212)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자석편(213)은 이에 상응하도록 커튼쉐이드바(231)의 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소정 폭을 갖는 2 이상의 자석편(213)이 간격을 두어 프레임 인너커버(210)의 연장부(212)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 금속편(232)은 자석편(213)의 개수에 상응하고, 자석편(213)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에서는 전술한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도어커튼의 커튼쉐이드바에 별도의 걸림홀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프레임 인너커버에서의 걸림부 및 돌출부도 형성될 필요가 없는 바, 보다 구조가 간단해 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커튼(230)의 금속편(232)을 프레임 인너커버(210)의 자석편(213)에 근접시키는 동작만으로, 도어커튼(230)을 프레임 인너커버(210)에 부착시킬 수 있는 바(자석편과 금속편의 인력에 의함), 사용자 편이성이 증가할 수 있다. 프레임 인너커버(210)의 연장부(212)에 의해 외부 빛(L)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etal piece 232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Examples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include iron, nickel, manganese, cobalt, and the like, and are not limited to the materials listed above. That is, the metal piece 232 is sufficient in material that can be attached to the magnet piece 213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 piece 213. The metal pieces 232 may b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agnet pieces 213 of the frame inner cover 210. In one embodiment, when the magnet piece 213 of the frame inner cover 210 is formed over the entire extension 212, the magnet piece 213 may extend across the width of the curtain shade bar 231 . The metal piece 232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extension 212 of the frame inner cover 210 so that two or more magnet pieces 21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at two or mor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magnet pieces 213. [ That is, in the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locking hole in the curtain shade bar of the door curtain as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xamples, and it is necessary to form the lock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in the frame inner co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The user can attach the door curtain 230 to the frame inner cover 210 only by moving the metal piece 232 of the door curtain 230 close to the magnet piece 213 of the frame inner cover 210 (Due to the attraction of the magnet piece and the metal piece),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xtraneous light L can be completely blocked from entering the room by the extension 212 of the frame inner cover 21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 프레임은 프레임 인너커버를 커튼쉐이드바의 걸림홀을 걸 수 있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레임 인너커버와 도어커튼의 상단 사이에 간격을 없앨 수 있는 바, 외부 빛의 실내 유입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후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바, 공정이 간이하고 제품원가를 낮출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curtain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inner cover including the hook portion for hanging the locking hole of the curtain shade bar, so that the frame inner cov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inner cover and the upper end of the door curtain As the gap can be eliminated, the indoor light of outside light can be completely blocked. Further, since the hook is not require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duct cost can be lower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커튼은 프레임 인너커버의 실외측 면에 자석편을 부착하고, 도어커튼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커튼쉐이드바의 실내측 면에 강자성체인 금속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자석편과 금속편의 인력에 의해 후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프레임 인너커버와 도어커튼의 상단 사이에 간격을 없앨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curtain comprising a magnet piece attached to an outdoor side surface of a frame inner cover, and a metal piece being a ferromagnetic material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a curtain shade bar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door curtain, The gap between the frame inner cover and the top of the door curtain can be eliminated without the need for a hook by the attraction of the magnet piece and the metal piece.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210: 프레임 인너커버
111, 211: 본체부
112, 212: 연장부
113: 걸이부
114: 돌출부
130, 230: 도어커튼
131, 231: 커튼쉐이드바
132: 걸림홀
213: 자석편
232: 금속편
110, 210: frame inner cover
111 and 211:
112, 212: extension part
113:
114: protrusion
130, 230: Door curtain
131, 231: Curtain Shade Bar
132: latching hole
213: magnet piece
232: metal piece

Claims (5)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 인너커버와,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커튼바와, 상기 커튼바에 롤 형태로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인너커버 방향으로 전개가능한 도어커튼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커튼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인너커버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커튼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전체에 걸쳐 연장부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크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연장부, 걸이부 및 돌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커튼은 상단부에 결합되는 커튼쉐이드바와, 상기 걸이부와 상응하도록 상기 커튼쉐이드바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이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여 상기 걸이부에 상기 커튼쉐이드바가 안착함으로써 상기 도어커튼이 전개된 채로 고정되는 도어커튼 프레임.
A door curtain frame disposed longitudinally on the upper side, a curtain bar arranged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oor curtain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form of a roll in the curtain bar and is expan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inner cover, As a result,
The frame inner cover includes a body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urtain bar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hook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outdoor side direction, And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size upward from an end of the hook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the hook portion, and the protrusion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Wherein the door curtain includes a curtain shade ba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urtain shade bar, and a locking hole formed to have a slot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tain shade bar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art,
And the locking hole is passed through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curtain shade bar is seated on the hook portion, so that the door curtain is unfolded while being fix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도어커튼의 두께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의 실외측 단부는 도어 글라스의 실내측 면으로부터 소정 정도 이격되는 도어커튼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ength of the hook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hook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 thickness of the door curtain, and an outdoor side end of the hook is spaced apart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glas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59782A 2016-11-29 2016-11-29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KR1018203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82A KR101820329B1 (en) 2016-11-29 2016-11-29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782A KR101820329B1 (en) 2016-11-29 2016-11-29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329B1 true KR101820329B1 (en) 2018-01-19

Family

ID=6102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782A KR101820329B1 (en) 2016-11-29 2016-11-29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32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05B1 (en) * 2013-12-04 2015-05-04 한일이화 주식회사 Vehicle frame to block sunligh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05B1 (en) * 2013-12-04 2015-05-04 한일이화 주식회사 Vehicle frame to block sunligh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222B1 (en)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filtering net
KR101871766B1 (en) Roll-Type Insect Net Apparatus
JP2019082097A (en) Extension window cover
WO2006025582A1 (en) Screen device
JP2016173029A (en) Fire protection structure for shutter guide rail
KR20170090662A (en) A frame assembly device which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frame for sliding security screens
KR101643646B1 (en) Window for crime prevention insect window
JP4823608B2 (en) Roll screen door
KR101820329B1 (en) Door curtain frame of vehicle
US20120037320A1 (en) Window shade
US8047254B2 (en) Magnetic cordless shade
KR200481358Y1 (en) mosquito net for crime prevention
KR101516305B1 (en) Vehicle frame to block sunlight
US20070136986A1 (en) Window blind carrier slide
JP2011026797A (en) Fittings with auxiliary fittings
KR20150002067U (en) Safe mosquito net frame with crime preventions
US7185693B1 (en) One-way viewing window covering
KR101877329B1 (en) Guide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mosquito net
KR200423291Y1 (en) A guard frame installation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20130005768U (en) rail for curtain
KR101916581B1 (en) Blind to prevent noise
KR101795578B1 (en) Mosquito-net for door having screen
EP3095950B1 (en) Tensioning system for curtains
JP2003176667A (en) Vertically movable window
US9822582B2 (en) Window covering with adjustable securement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