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832B1 - 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 - Google Patents

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832B1
KR101819832B1 KR1020160138115A KR20160138115A KR101819832B1 KR 101819832 B1 KR101819832 B1 KR 101819832B1 KR 1020160138115 A KR1020160138115 A KR 1020160138115A KR 20160138115 A KR20160138115 A KR 20160138115A KR 101819832 B1 KR101819832 B1 KR 101819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magnet
fastener
fastening
rectang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완
Original Assignee
이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완 filed Critical 이정완
Priority to KR102016013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8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8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2Flaps;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o automatically couple and separate a shoelace knot by using magne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veniently wear or take off shoes by automatically fastening or separating the shoelace knot by magnetic force. For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astener which is formed with a first rectangula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built in any one magnet in one side of the body, and is connected by having the lateral side of the body protruding to connect one end of the shoelace from the lateral side; and a second fastener which is formed with a second rectangular body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er, has a magnet built in the first fastener and at least one of other magnets capable of applying attractive force which are built in one side of the body, and is connected by having the lateral side of the body to protrude in order to be connect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on the lateral 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automatically fastened by magnetic force generated in magnet; solidly maintain a fastened state after being fastened; and be easily separated with small force by being gripped simply when necessary.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tying and separating a shoelace knot using a magnet,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신발끈 매듭을 자동으로 묵거나 풀 수 있는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신발끈 체결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신발끈 매듭을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착용시마다 신발끈 매듭을 매번 손으로 직접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으며 아울러 신발끈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신발끈 매듭을 전체적으로 말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게 하는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locking or unlocking a shoelace knot using a mag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that can easily hold a shoelace knot by using a pair of shoelace fasteners So that the shoes can be easily worn or taken off without manually tying or loosening the shoelace knot every time the shoe is worn. Also, the shoelace knot can be completely wor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that enables a user to organize a shoelace knot.

일반적으로 신발끈이 구비된 운동화나 구두 등의 경우,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기 위해서는 신발끈의 매듭을 풀고, 착용 후에는 착용자의 발에서 신발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신발끈의 매듭을 묶어 착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편리하다. 만약 신발끈의 매듭을 묶지 않고 신발을 착용하거나 보행하게 되는 경우 착용자의 발에서 신발이 쉽게 벗겨질 우려가 있으며, 보행자의 발이나 주변 물품에 신발끈이 걸리게 되어 보행자가 넘어지거나 보행에 방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sneaker or a shoe equipped with a shoelace, in order to wear or remove the shoe, a knot of a shoelace is knotted and a shoelace knot is worn to prevent the shoe from peeling off the wearer's foot after wearing It is safe and convenient. If the shoes are worn or walked without tie the knot of the shoelace, the shoe may easily peel off from the wearer's foot and the shoelace may be caught on the pedestrian's foot or the surrounding article, causing the pedestrian to fall or interfere with the walking It is possib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신발끈은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마다 매번 매듭을 직접 손으로 묶거나 풀어야 하므로 매듭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신발 착용에 많은 번거로움을 수반할 수 있으며, 또한 매듭을 단단하게 묶지 않은 경우에는 묶인 매듭이 보행 중에 느슨해지면서 신발끈이 쉽게 풀릴 우려가 있고, 반면에 매듭을 너무 단단하게 묶을 경우 신발끈 매듭이 엉켜 버리거나 필요시 용이하게 풀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shoelace must be manually tied or loosened each time the shoe is worn or taken off,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the knot are required, which can lead to a lot of troubles in wearing the shoe, The tie knot is loosened while walking, and the shoelace may easily loos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knot is tied too tightly, the shoelace knot tangles or can not be easily loosened if necessary.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09-0006724호(2009.07.02 공개;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신발을 발에 착용할 때 손으로 묶어 매듭을 만드는 번잡함과 묶어놓은 끈이 밖으로 나와 덜렁거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발 끈 매듭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2009-0006724 (published on July 21, 2009, hereinafter abbreviated as "Patent Document 1") describes the troubles of tying a knot by tying a shoe to a foot, There is known a technique relating to a shoelace knot apparatus for solving the problem of hanging out.

특허문헌1에 의하면, 신발 끈을 신발 끈 매듭 장치에 연결하는 부위와 신발 끈이 연결된 한 쌍의 신발 끈 매듭 장치를 연결하는 부위를 나누어 비용과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a portion for connecting the shoelace string to the shoelace knotting device and a portion for connecting the pair of shoelace knotting devices to which the shoelace string is connected are divided so that both the cost and the convenience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3860호(2012.11.23 등록;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신발끈을 묶지 않고 보다 간편하게 체결 및 고정시킬 수 있고 광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발끈 매듭 고정 장치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463860 (registered on November 23, 2012, hereinafter abbreviated as "Patent Document 2"), a shoelace string knot which can be more easily fastened and fixed without binding the shoelace string, Techniques relating to fastening devices are known.

특허문헌2에 의하면, 각종 신발의 끈을 묶을 때 사용하는 신발끈 체결구를 제공하여 단순한 조작으로 쉽고 신속하게 신발끈을 고정시키거나 풀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a shoelace fastening member for use in tying strings of various shoes is provided, so that the shoelace can be easily and quickly fixed or loosened by a simple operation, so that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practicall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전자와 후자의 경우 모두 톱니 등을 이용하여 신발끈을 고정시키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사용이 빈번해짐에 따라 신발끈의 손상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신발을 착용하거나 벗을 때마다 매번 톱니를 이용하여 매듭을 직접 손으로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켜야 하므로 신발끈 고정을 위한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configured to fix or release the shoelace by using teeth or the like, so that the shoelace must be damaged as time goes by or the use becomes frequent In the latter case, since the knot is manually fixed or unlocked by using the sawtooth every time the shoe is worn or taken off, the disadvantage that the shoelace fastening is troublesome still remains there was.

KR 20-2009-0006724 U 2009.07.02 공개KR 20-2009-0006724 U Released 2009.07.02 KR 20-0463860 Y1 2012.07.04 등록KR 20-0463860 Y1 2012.07.04 Regist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되고 체결된 이후에는 그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시 간단하게 파지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신발끈 체결구를 이용하여 신발끈 매듭을 자동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착용시마다 신발끈 매듭을 매번 손으로 직접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으며 안전한 보행이 이뤄질 수 있고 아울러 신발끈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신발끈 체결구의 내부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신발끈 매듭을 전체적으로 말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게 하는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gnetic bearing device capable of firmly holding a fastened state after being automatically fastened and fasten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 magnet, A pair of shoelace fastener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by a small force can be used to automatically fasten or separate the shoelace knot. Thus, the shoelace knot is directly bundled by hand each time the shoe is worn The shoes can be conveniently worn or taken off without the need for loosening or loosening of the shoelace fasteners, and a safe walking can be achieved, and the end of the shoelace can be assembled inside the shoelace fastener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utomatic shoelace knot using magnet for automatic fastening and dismounting I want to do 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1장방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 내설되고 신발끈의 일단을 측면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이 돌출되어 연설되는 제1체결구, 제1체결구에 대응되는 크기의 제2장방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제1체결구에 내설된 자석과 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 자석이 몸체의 일면에 내설되고 신발끈의 타단을 측면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이 돌출되어 연설되는 제2체결구를 포함하는,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e sole comprising a first rectangular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ch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magnet on one side of a body, A first fastener for protruding and protruding, a second rectangular body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er, at least one other magnet capable of exerting a pulling force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to the side surface of the shoelace.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되고 체결된 이후에는 그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분리시 간단하게 파지하여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신발끈 매듭 정리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신발끈 매듭을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신발을 착용시마다 신발끈 매듭을 매번 손으로 직접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되어 신발끈 매듭을 직접 손으로 묶거나 푸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착용시에는 보행에 방해받지 않고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hoes which can be firmly fastened after being automatically fastened and fasten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 magnet, can be easily gripped by a simple force when separated, It is possible to fasten or separate the shoelace knot easily and easily by using the cord tie knot,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wear or remove the shoe without manually tying or loosening the shoelace knot every time the shoe is wor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troubles of tying or loosening the cord knot by hand, and it is possible to wear it safely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walking when worn.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신발끈 매듭 정리구를 이용하여 신발끈의 단부를 각각 끼워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신발끈의 매듭이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발끈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각각의 정리구의 내부로 조립되어 신발끈 매듭을 전체적으로 말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있다.Further, since the end of the shoelace can be assembled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shoelace by using the pair of shoelace knitting aids, the knot of the shoelace is not loosened and the end of the shoela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assembled inside and neatly arrange the shoelace knot as a who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에 신발끈이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작동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3 is a referenc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oelace is inserted into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locking and unmating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결합 및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enti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hoelace knot automatic coupling and separation device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word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30) 일단에 연결되는 제1체결구(110) 및 신발끈(130) 타단에 연결되는 제2체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The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device includes a first fastening hole 11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2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

제1체결구(11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제1장방형 몸체(110a)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 내설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신발끈(130)의 일단을 측면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이 돌출되어 연설된다. 이를 위하여 제1체결구(110)는 제1체결돌기(111), 제1체결홈(112), 제1끈연결부(113,114), 및 제1팁수납홈(1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이러한 제1체결구(110)는 분리시 필요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제1파지부(116)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first fastener 110 is formed of a first rectangular body 110a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irst fastener 110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magnet on one side of the body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And a side surface of the body is protruded so as to connect one end of the shoelace 130 to the side. The first fastener 110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a first fastening groove 112,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and a first tip receiving groove 115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astener 1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ripper 116 for gripping the user.

제1체결돌기(111)는 제1장방형 몸체(110a)의 일면에 형성되되 몸체의 표면에서 그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연설되며 내부에 제1자석(111a)이 삽입 설치되어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and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has a first magnet 111a inserted therein.

제1체결홈(112)은 제1체결돌기(111)와 같은 일면에 형성되되 제1장방형 몸체(110a)의 표면에서 그 하부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2자석(112a)이 삽입 설치되어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2 is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2 is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magnet 112a is inserted therein. Respectively.

제1끈연결부(113,114)는 제1장방형 몸체(110a)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연설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한 쌍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신발끈이 관통될 수 있도록 끈 관통공(113a,114a)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The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are protruded sideways from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and are protruded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formed as a pair, 113a, and 114a, respectively.

제1팁수납홈(115)은 한 쌍의 제1끈연결부(113,114) 사이에 형성되되 제1장방형 몸체(110a)의 측면에서 몸체의 중앙부 내측으로 신발끈(130) 일단의 팁(130a)을 끼움 수납할 수 있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tip receiving groove 115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so that the tip 130a at one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at the side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stored.

제1파지부(116)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두 체결구(110,120)를 필요시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외력을 외부에서 인가할 수 있도록 제1끈연결부(113,114)가 형성되는 측과 반대편 측면에 형성되며, 제1장방형 몸체(110a)의 일부를 함몰시켜 형성한다.The first grip portion 116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are formed so that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the two fasteners 110 and 120 coupl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each other And is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제2체결구(12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구(110)에 대응되는 크기의 제2장방형 몸체(120a)로 이루어지며, 제1체결구(110)에 내설된 자석과 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 자석이 몸체의 일면에 내설되고 신발끈의 타단을 측면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이 돌출되어 연설된다. 이를 위하여 제2체결구(120)는 제2체결돌기(121), 제2체결홈(122), 제2끈연결부(123,124), 및 제2팁수납홈(1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이러한 제2체결구(120)는 분리시 필요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제2파지부(126)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second fastener 120 includes a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fastener 110, At least one other magnet capable of exerting an attracting magnet and a gravitational force is put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is protruded so as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on the side. The second fastener 120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 a second fastening groove 122,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and a second tip receiving groove 125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fastener 1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ripper 126 for gripping the user.

제2체결돌기(121)는 제1체결홈(11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홈(11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장방형 몸체(120a)의 일면에 형성되되 몸체의 표면에서 그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연설되며 제1체결홈(112)에 내설된 제2자석(112a)과 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제3자석(121a)이 그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2, A second magnet 112a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agnet 112a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magnet 112a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nserted into the third magnet 121a.

제2체결홈(122)은 제1체결돌기(111)가 그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돌기(111)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장방형 몸체(120a)의 일면에 형성되되 제2체결돌기(121)와 같은 일면에 형성되며 제2장방형 몸체(120a)의 표면에서 그 하부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체결돌기(111)에 내설된 제1자석(111a)과 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제4자석(122a)이 그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11, A first magnet 111a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protrusion 121 and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t a predetermined depth to the first magnet 111a, And the fourth magnet 122a is inserted and installed therein.

제2끈연결부(123,124)는 제2장방형 몸체(120a)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연설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게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한 쌍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끈 관통공(123a,124a)이 각각 형성된다.The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are protruded laterally from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nd are protruded in the sam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formed into a pair and have cord insertion holes 123a and 124a formed therein, respectively .

제2팁수납홈(125)은 한 쌍의 제2끈연결부(123,124) 사이에 형성되되 제2장방형 몸체(120a)의 측면에서 몸체의 중앙부 내측으로 신발끈(130) 타단의 팁(130b)을 끼움 수납할 수 있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다. The second tip receiving groove 125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so that the tip 130b at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from the sid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stored.

제2파지부(126)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두 체결구(110,120)를 필요시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외력을 외부에서 인가할 수 있도록 제2끈연결부(123,124)가 형성되는 측과 반대편 측면에 형성되며, 몸체의 일부를 함몰시켜 형성한다.The second grip portion 126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econd string connection portions 123 and 124 are formed so that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the two fasteners 110 and 120 coupled by the magnetic force from each other can be externally applied And is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body.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에 신발끈이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가 체결 또는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작동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에 의한 작용 효과를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3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hoelace string is inserted into a shoelace knot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device for a shoelace knot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The effect of the automatic fastening and separating device for a shoelace knot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먼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운동화 또는 구두 등의 깃 여밈부(끈으로 묶어 여밀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분리된 부분)에 구비된 신발끈 끼움공에 앞쪽의 신발끈 일부(예를 들면 뒷쪽에 위치하는 마지막 두 개의 끼움공을 제외한 나머지)가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예를 들면 도면상의 좌측)의 남은 두 개의 신발끈 끼움공에 끈관통공(113a,114a)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제1체결구(110)를 대응시키고 다른 측(예를 들면 도면상의 우측)의 남은 두 개의 신발끈 끼움공)에 끈관통공(123a,124a)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제2체결구(120)를 대응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5, a pair of shoelace fittings (for example, a pair of shoelace fittings) on a shoe strap fitting ball provided on a shoelace fitting portion of a sneaker or a shoe (a portion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tie- The left and right shoe insertion holes 113a and 114a are aligned with the remaining two shoe strap insertion holes on one side (left side in the figure, for example) The second fasteners 120 are mad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cord insertion holes 123a and 124a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remaining two shoe strap insertion holes on the other side .

상기와 같이 위치가 일치되게 대응 및 겹쳐진 상태에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130)의 일단에 구비된 팁(130a)을 앞쪽 제1끈연결부(113)의 끈관통공(113a)과 앞쪽 한 개의 신발끈 끼움공을 통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통과시키고, 연달아 뒤쪽 제1끈연결부(114)의 끈관통공(114a)과 뒤쪽 마지막 한 개의 신발끈 끼움공을 통해 아래에서 윗쪽으로 차례로 통과시켜 제1체결구(110)를 신발의 깃 여밈부 일측에 연결한다.3, the tip 130a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string through hole 113a of the front first string connection portion 113 and the tip 130a provided at one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Through one shoe strap fitting ball on the front side in order from top to bottom and sequentially passed through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rough the string through hole 114a of the rear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 114 and the last one shoe strap fitting hole on the rear side The first fastener (1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ug fitting part of the shoe.

아울러 신발끈(130)의 타단에 구비된 팁(130b)을 앞쪽 제2끈연결부(123)의 끈관통공(123a)과 앞쪽 한 개의 신발끈 끼움공을 통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통과시키고, 연달아 뒤쪽 제2끈연결부(124)의 끈관통공(124a)과 뒤쪽 마지막 한 개의 신발끈 끼움공을 통해 아래에서 윗쪽으로 차례로 통과시켜 제2체결구(120)를 신발의 깃여밈부 타측에 연결한다.The tip 130b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130 is passed through the string through hole 123a of the front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 front shoelace fitting hole in order from top to bottom, Through the cord insertion hole 124a of the second string connection portion 124 and the last one shoe strap insertion hole at the back,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as to connect the second fastening hole 120 to the other side of the collar of the shoe.

이때 제1체결구(110)는 제1체결돌기(111) 및 제1체결홈(112)이 형성된 면이 윗쪽을 향하도록 연결하고, 제2체결구(120)는 제2체결돌기(121) 및 제2체결홈(122)이 형성된 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연결하되, 신발의 깃 여밈부에서 앞쪽에 위치하게 되는 끈 관통공(113a,123a)에는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신발끈의 팁(130a,130b)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신발의 깃 여밈부 뒷쪽에 위치하게 되는 끈 관통공(114b,124b)에는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신발끈의 팁(130a,130b)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fastener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an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2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an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2 are formed to face upward. The shoe strap holes 130a and 123b are connected to the string through holes 113a and 123a which are located at the front side in the ladder of the shoe so as to face downward, And the tips 130a and 130b of the shoelace are allowed to pas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cord insertion holes 114b and 124b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collar of the shoe.

이어서 한 쌍의 제1끈연결부(113,114) 사이에 홀 형태로 형성된 제1팁수납홈(115)에 제1장방형 몸체(110a)의 측면에서 중앙부 내측으로 신발끈(130) 일단의 팁(130a)을 끼워 넣어 수납시킴으로써, 신발끈(130) 일단의 팁(130a)이 제1끈연결부(113,114)에서 풀리지 않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신발끈(130) 일측 단부를 신발의 깃 여밈부에서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A tip 130a of one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ip receiving groove 115 formed in a hole shape between the pair of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from the side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The tip 130a at one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can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without being loosened at the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Thus, It is possible to arrange it in a clean place.

아울러 한 쌍의 제2끈연결부(123,124) 사이에 홀 형태로 형성된 제2팁수납홈(125)에 제2장방형 몸체(120a)의 측면에서 중앙부 내측으로 신발끈(130) 타단의 팁(130b)을 끼워 넣어 수납시킴으로써, 신발끈(130) 타단의 팁(130b)이 제2끈연결부(123,124)에서 풀리지 않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신발끈(130) 타측 단부도 신발의 깃 여밈부에서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The tip 130b at the other end of the shoe strap 1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ip receiving groove 125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from the sid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The tip 130b at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can be kept in the connected state without being loosened by the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Thus,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can be also held in the collar It is possible to arrange it in a clean place.

상기와 같이 제1체결구(110) 및 제2체결구(120)가 각각 신발의 깃 여밈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구(110)의 몸체 표면에서 그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연설된 제1체결돌기(111)를 제2체결구(120)의 제2체결홈(122)과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제2체결구(120)의 몸체 표면에서 그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연설된 제2체결돌기(121)를 제1체결구(110)의 제1체결홈(112)과 대응되게 위치시킨후 서로 근접시키면, 제1체결구(110)와 제2체결구(120)는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자동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first fastener 110 and the second fastener 120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adder of the shoe, as shown in FIG. 4, in the body surface of the first fastener 110,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protruding up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2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120,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1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21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recesses 112 of the first fastening fitting 110 and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The fastener 120 can be tightly and automatically fastened by the magnetic force.

즉, 제1체결구(110)의 제1체결돌기(111)와 제1체결홈(112), 및 제2체결구(120)의 제2체결돌기(121)와 제2체결홈(122)에는 제1자석(111a)과 제2자석(112a), 및 제3자석(121a)과 제4자석(122a)이 각각 내설되어 있으며, 아울러 제1자석(111a)과 제4자석(122a)이 서로 대응되게 인력을 작용시키고 제2자석(112a)과 제3자석(121a)이 서로 대응되게 인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설된 자석에 의해 제1체결돌기(111)와 제2체결홈(122), 및 제2체결돌기(121)와 제1체결홈(112) 사이에는 각각 인력이 작용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제1체결구(110)의 제1체결돌기(111)는 제2체결구(120)의 제2체결홈(122)의 내부에 자동으로 안착 및 삽입될 수 있게 되고, 제2체결구(120)의 제2체결돌기(121)는 제1체결구(110)의 제1체결홈(112)의 내부에 자동으로 안착 및 삽입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and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2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10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2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120, A first magnet 111a and a second magnet 112a and a third magnet 121a and a fourth magnet 122a are installed in the first magnet 111a and the fourth magnet 122a, And the second magnet 112a and the third magnet 121a are actuated to exert the attraction forc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111 and 121a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 of the first fastening hole 110 will be exerted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 and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2,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 of the second fastening tool 120 can b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2 of the first fastening tool 120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seated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ne fastening groove 112.

상기와 같은 제1체결구(110)와 제2체결구(120)의 자동 체결 동작은 사용자로 하여금 신발 착용 후 신발끈을 매듭짓기 위한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신발 착용 및 보행시 그 체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The automatic fastening operation of the first fastener 110 and the second fastener 120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knotting the shoelace after the shoe is worn, So that the fastened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at the time of walking, so that a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can be achieved.

한편, 필요에 따라 제1체결구(110)와 제2체결구(120)를 분리시키고자, 장방형 몸체(110a,120a)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파지부(116) 또는 제2파지부(126)(바람직하게는 제2체결구(120)의 제2파지부(126))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외력을 가하여 두 체결구(110,120)를 서로 일정 거리 이격시키게 되면, 자력에 의해 결합된 두 체결구(110,120)에 더 이상 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서 두 체결구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The first grip portion 116 or the second grip portion 120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tangular bodies 110a and 120a to separate the first fastener 110 and the second fastener 120 as necessary When the user grasps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26 and 126 (preferably the second gripper 126 of the second fastener 120)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two fasteners 110 and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no attraction force acts on the fasteners 110 and 120, so that the two fasteners can be easily separated.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 자동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고 신발끈의 단부를 끼워 조립할 수 있는 체결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파지하고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신발끈 매듭을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착용시마다 신발끈 매듭을 매번 손으로 직접 묶거나 풀지 않고도 신발을 편리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asten or detach the shoelace knot easily with a small force by using a fastener that can be automatically engaged or disengaged by a magnetic force and can be assembled by sandwiching the end portion of the shoelace string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that the shoe can be conveniently worn or taken off without having to manually tie or loosen the shoelace knot each time the shoe is wor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끈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체결구의 몸체 내부로 수납시켜 신발끈 매듭을 전체적으로 말끔하게 정리정돈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shoelac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but stored in the body of the fastening hole,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 that the shoelace knot can be neatly arranged as a whole.

110 : 제1체결구 110a : 제1장방형 몸체
111 : 제1체결돌기 111a : 제1자석
112 : 제1체결홈 112a : 제2자석
113,114 : 제1끈연결부 113a,114a : 끈 관통공
115 : 제1팁수납홈 116 : 제1파지부
120 : 제2체결구 120a : 제2장방형 몸체
121 : 제2체결돌기 121a : 제3자석
122 : 제2체결홈 122a : 제4자석
123,124 : 제2끈연결부 123a,124a : 끈 관통공
125 : 제1팁수납홈 126 : 제1파지부
130 : 신발끈 130a,130b : 팁
110: first fastener 110a: first rectangular body
111: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a: first magnet
112: first fastening groove 112a: second magnet
113, 114: first string connection part 113a, 114a: cord insertion hole
115: first tip receiving groove 116: first grip portion
120: second fastener 120a: second rectangular body
121: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a: third magnet
122: second fastening groove 122a: fourth magnet
123, 124: second string connection part 123a, 124a: cord insertion hole
125: first tip receiving groove 126: first tip holding groove
130: shoelace string 130a, 130b: tip

Claims (4)

삭제delete 일정 두께를 갖는 제1장방형 몸체(110a)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 내설되고 신발끈의 일단을 측면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이 돌출되어 연설되는 제1체결구(110);
상기 제1체결구(110)에 대응되는 크기의 제2장방형 몸체(12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체결구(110)에 내설된 자석과 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 자석이 몸체의 일면에 내설되고 신발끈의 타단을 측면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몸체의 측면이 돌출되어 연설되는 제2체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체결구(110)는,
제1장방형 몸체(110a)의 일면에 형성되되 몸체의 표면에서 그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연설되며 내부에 제1자석(111a)이 삽입 설치되는 제1체결돌기(111);
상기 제1체결돌기(111)와 같은 일면에 형성되되 제1장방형 몸체(110a)의 표면에서 그 하부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2자석(112a)이 삽입 설치되는 제1체결홈(112);
제1장방형 몸체(110a)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연설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끈 관통공(113a)이 각각 형성되는 제1끈연결부(113,114); 및
상기 한 쌍의 제1끈연결부(113,114) 사이에 형성되되 제1장방형 몸체(110a)의 측면에서 몸체의 중앙부 내측으로 신발끈(130) 일단의 팁(130a)을 끼움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팁수납홈(1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
A first fastener (110), which is made of a first rectangular body (110a)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hich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magnet on one side of the body and is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body so as to connect one end of the shoelace );
And a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er 110. At least one other magnet capable of exerting a pulling force with a magnet inserted in the first fastener 110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second fastener 120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so as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on the side,
The first fastener (110)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and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ody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refrom and having a first magnet 111a inserted therei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is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to a lower portion thereof, 112);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protruding sideways from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cord insertion holes 113a formed therein; And
And a tip 130a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so as to be able to receive and accommodate the tip 130a at one end of the shoelace 130 from the side of the first rectangular body 110a to the inside of the center of the body. And a one-tip receiving groove (1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구(120)는,
상기 제1체결홈(112)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홈(11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장방형 몸체(120a)의 일면에 형성되되 몸체의 표면에서 그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연설되며 상기 제1체결홈(112)에 내설된 제2자석(112a)과 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제3자석(121a)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2체결돌기(121);
상기 제1체결돌기(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체결돌기(111)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장방형 몸체(120a)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체결돌기(121)와 같은 일면에 형성되며 제2장방형 몸체(120a)의 표면에서 그 하부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돌기(111)에 내설된 제1자석(111a)과 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제4자석(122a)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2체결홈(122);
제2장방형 몸체(120a)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연설되되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끈 관통공(123a)이 각각 형성되는 제2끈연결부(123,124); 및
상기 한 쌍의 제2끈연결부(123,124) 사이에 형성되되 제2장방형 몸체(120a)의 측면에서 몸체의 중앙부 내측으로 신발끈(130) 타단의 팁(130b)을 끼움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팁수납홈(12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fastener (120)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1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1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12,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21 inserted into the second magnet 112a inserted 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2 and a third magnet 121a capable of exerting an attractive forc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can be inserted, A first magnet 111a formed to be embedded i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 and a fourth magnet 122a capable of exerting attractive force, the first magnet 111a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to a predetermined depth, A second fastening groove 122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22;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protruding sideways from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cord insertion holes 123a formed therein; And
And the tip 130b of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st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body from the side of the second rectangular body 120a and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tring connection parts 123, And a second tip receiving groove (1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구(110) 또는 제2체결구(12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두 체결구(110,120)를 서로 분리시키기 위한 외력을 외부에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끈연결부(113,114) 또는 제2끈연결부(123,124)가 형성되는 측과 반대편 측면에 몸체의 일부를 함몰시켜 형성한 제1파지부(116) 또는 제2파지부(12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을 이용한 신발끈 매듭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fastener (110) or the second fastener (120)
The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or the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are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first string connecting portions 113 and 114 or the second string connecting portions 123 and 124 are formed so that an external force for separating the two fasteners 110 and 120, And a second grip portion (126)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first grip portion (116) or the second grip portion (126).
KR1020160138115A 2016-10-24 2016-10-24 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 KR101819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15A KR101819832B1 (en) 2016-10-24 2016-10-24 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15A KR101819832B1 (en) 2016-10-24 2016-10-24 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832B1 true KR101819832B1 (en) 2018-01-18

Family

ID=6102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115A KR101819832B1 (en) 2016-10-24 2016-10-24 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83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45Y1 (en) 2006-03-16 2006-06-07 조종수 The shoes which has the means which it tightens
KR200478260Y1 (en) * 2015-03-06 2015-09-11 주식회사 팁어피플 Fixing device for shoelaces
US20150305432A1 (en) 2014-04-28 2015-10-29 Dutch Ideas, Llc Magnetic footwear fasteners and magnetic footwear utilizing the same
US20160324271A1 (en) 2015-05-05 2016-11-10 Tech Spark Innovations, LLC Clasp an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45Y1 (en) 2006-03-16 2006-06-07 조종수 The shoes which has the means which it tightens
US20150305432A1 (en) 2014-04-28 2015-10-29 Dutch Ideas, Llc Magnetic footwear fasteners and magnetic footwear utilizing the same
KR200478260Y1 (en) * 2015-03-06 2015-09-11 주식회사 팁어피플 Fixing device for shoelaces
US20160324271A1 (en) 2015-05-05 2016-11-10 Tech Spark Innovations, LLC Clasp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894B2 (en) Magnetic fasteners
EP3120723A1 (en) Shoelace binding device
KR102176243B1 (en) Shoelace loosening prevention device
JP2014500125A (en) Device to connect the strings
KR19980068855U (en) Shoelace binding device
KR101819832B1 (en) Device for an automatic tying or untying a knot of the shoelace using magnets
US20150040360A1 (en) Shoe lace clip for securing shoe laces without tying and method therefor
KR20130096835A (en) Apparatus for fatening shoelace
GB2561206A (en) Apparatus for securing shoelaces
KR200306985Y1 (en) Shoe tightener
KR101703188B1 (en) Wear Necklace ID
JP5782665B1 (en) Shoelace tightening strap and lace shoe with the same
KR101315194B1 (en) Device for tightening up a shoelace
JP6167366B2 (en) Tie fastener
KR200267874Y1 (en) shoe lace fastener
KR20040049723A (en) Shoe tightener
JP4787491B2 (en) String fastener
KR20180082378A (en) Tying tool for shoelace
JP3221404U (en) Shoelace closure
KR20170123491A (en) Fixed apparatus for shoelaces, sho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ying the shoelaces by using the same
JP2006075179A (en) Shoelace fixing implement
KR20110007917U (en) Fixing device of shoestrings knot
KR20090007887U (en) Device combining accessory with string
KR101512325B1 (en) Device for preventing untying of shoelace knot
KR20220107099A (en) Shoe strap engagement with lock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