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543B1 -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 - Google Patents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543B1
KR101819543B1 KR1020150156151A KR20150156151A KR101819543B1 KR 101819543 B1 KR101819543 B1 KR 101819543B1 KR 1020150156151 A KR1020150156151 A KR 1020150156151A KR 20150156151 A KR20150156151 A KR 20150156151A KR 101819543 B1 KR101819543 B1 KR 101819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ptom
case
guide information
degree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524A (ko
Inventor
이주아
정지연
이명수
유수성
강병갑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5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06F19/32
    • G06F19/36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Abstract

어혈 증례 기록 세트가 개시된다. 이 어혈 증례 기록 세트는 증상과 증상에 대한 정도 입력란을 포함하는 복수의 순서화된 증상 입력란이 제시된 어혈 증례 기록지, 및 증상 입력란의 순서대로 정도 입력란에 입력할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시된 가이드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Document set for case of disease}
본 발명은 증례 기록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임상시험(clinical trial)이란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위한 의약품 개발에 있어서 사람을 대상으로 약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임상시험은 의약품을 개발하는 제약회사가 주로 시행한다. 이와는 달리, 의약품 개발 목적이 아닌 임상시험 연구자가 주도하는 소규모의 연구용 임상시험도 매우 많이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는 시험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지정된 임상시험 참여 기관 혹은 병원에 방문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받는다. 이 테스트 결과, 즉 임상시험 데이터는 증례 기록지(CRF, Case Report Form)에 기록된다. 여기에서, 증례 기록지란 임상시험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질문서를 말한다. 그런데 증례를 입력함에 있어서, 사람의 감각과 판단이 저마다 달라서 생기는 입력자 간의 편차 및 반복 재현성의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객관적인 자료 확보가 어렵다.
참고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663호에는 임상시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증례기록지를 생성하는 기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입력자 간의 입력 편차 및 반복 재현성의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어혈 증례 기록 세트는 증상과 증상에 대한 정도 입력란을 포함하는 복수의 순서화된 증상 입력란이 제시된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지, 및 증상 입력란의 순서대로 정도 입력란에 입력할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시된 가이드북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어혈 증례 기록지에 제시된 증상 입력란들은 동일 신체부위별 증상 내용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북에 제시된 가이드 정보는 증상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흐름도의 최초 질문에서 최소 정도 값이 결정되며, 최후 질문에서 최대 정도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 정보는 흐름도의 질문 판단 방법에 대한 안내 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 정보는 흐름도의 질문에 대한 판단 참조 정보를 포함하되, 판단 참조 정보는 그래픽과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 정보는 흐름도의 질문에 관련된 컬러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북에 제시된 가이드 정보는 증상의 정도 값마다 대응되는 표준 증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표준 사진 형태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는 정도 값에 따른 표준 색 리스트를 포함하며, 표준 증상 이미지들의 상, 하, 좌, 우 중 하나에는 표준 색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어혈 증례 기록 세트는 증상 입력란의 순서에 맞춰 증상별 관련 이론과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내용이 제시된 어혈 증례 설명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어혈 증례 설명서의 가이드 내용은 증상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이거나, 증상의 정도 값에 대응되는 표준 증상 이미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증례 기록용 가이드북은 증상과 증상에 대한 정도 입력란을 포함하는 복수의 순서화된 증상 입력란이 제시된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증례 기록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시하되, 가이드 정보는 증상 입력란의 순서대로 정도 입력란에 입력할 정도 값 결정을 위한 정보로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 정보는 증상별로 증상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로 제시되거나 증상의 정도 값마다 대응되는 표준 증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표준 사진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지에의 증례 입력에 대해 구체적인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일관된 증례 입력을 보장한다. 이에 따라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가능해지고, 임상 정보의 수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혈 증례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혈 증례 기록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진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혈 증례 설명서의 한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어혈 증례 기록 세트는 어혈 증례 기록지와 가이드북을 포함한다. 상술하였듯이, 어혈 증례 기록지는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증례 기록지로서, 임상시험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질문서를 말한다. 그리고 가이드북은 입력자들 간의 증례 기록 편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로, 어혈 증례 기록 세트는 어혈 증례 설명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혈 증례 설명서는 증례 내 기록지에 관련하여 부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가이드북의 내용과 부분적으로 중복될 수도 있다. 한편, 어혈 증례 기록 세트는 가이드북이 제외된 채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어혈 증례 기록지와 가이드북 및 어혈 증례 설명서는 인쇄 매체일 수도 있지만,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문서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어혈 증례 기록지와 가이드북 및 어혈 증례 설명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혈 증례 기록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혈 증례 기록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증례 기록지는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지이다.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지에는 복수의 증상 입력란(100)들이 제시된다. 증상 입력란(100)들은 순서화되어 있으며, 순차적으로 번호가 부여된다. 도 1의 예에서 증상 입력란(100)들은 1번부터 43번까지 순서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1번부터 43번까지의 번호를 증례 번호라 한다.
도 2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증상 입력란(100)은 증상(110)에 대한 정보 입력란(120)을 포함한다. 증상(110)은 증례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 증상(110)과 정도 입력란(120)을 포함한다. 증상(110)은 증례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 증상(110)에는 ‘현훈이 있다’, ‘건망증이 있다’, ‘번조증이 있다’ 등의 증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정도 입력란(120)은 증상(110)의 정도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정도 입력란(120)에는 ①, ②, ③, ④, ⑤로 이루어진 정도 값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증상(110)의 정도에 따라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①은 ‘아니다(none)’, ②는 ‘조금 그렇다(slight)’, ③은 ‘그렇다(moderate)’, ④는 ‘심하다(severe)’, ⑤는 ‘매우 심하다(very seve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증례 번호 옆에 쓰여 있는 NA, NK, 혹은 ND는 각각 ‘not applicable(해당 안됨)’, ‘not known(알 수 없음)’, ‘not done(미실시)’를 의미한다.
한편, 가이드북은 입력자(예를 들어, 한의사)들의 증례 기록 편차를 방지하고 반복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증례 기록을 위한 표준 절차(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제공한다. 이 가이드북은 언제 어디서든 소지하며 볼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가이드북은 입력자가 어혈 증례 기록지에 제시된 증상(110)별 정도 입력란(120)에 정도를 입력함에 있어서 정도 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시하는데, 어혈 증례 기록지 상의 증상 입력란(100)들의 순서대로 정도 입력란(120)에 입력할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시한다. 가이드 정보는 증상(110)마다 한 페이지씩 할당되어 제시될 수 있다. 혹은 한 페이지에 둘 이상의 증상에 대해 가이드 정보가 제시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증례 번호 순서대로 가이드 정보가 제시되도록 가이드북이 편집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자는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증례 번호 순서대로 증례 내용을 확인하고 정도 값을 결정할 때 가이드북을 참고하여 정해진 표준에 맞도록 정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어혈 증례 기록지에 제시된 증상 입력란(100)들은 유사한 증상별로 그룹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상 입력란(100)들은 동일 신체부위에 해당하는 증상별로 그룹화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현훈이 있다’, ‘건망증이 있다’, ‘번조증이 있다’가 그룹화되고, ‘협심증이 있다’와 ‘협심증 없이 흉통이 있다’가 그룹화되며, ‘입과 혀가 비뚤어지는 듯한 증상이 있다’, ‘구건’, ‘설하 정맥류’, ‘구개천장점막의 암자색 및 정맥노창’, ‘잇몸이 검붉다’, ‘입술이 검붉다’, ‘혀가 검붉다’, ‘설체에 반상출혈이 있다’가 그룹화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북은 한 그룹 혹은 두 그룹 이상마다 하나의 챕터로 편집될 수 있다. 이 같이, 증상 입력란(100)들을 그룹화함으로써 증례 기록이 보다 수월해진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가이드북은 증상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로 가이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으며, 혹은 증상의 정도 값마다 대응되는 표준 증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표준 사진 형태로 가이드 정보를 제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증상별로 가이드 정보가 어느 하나의 형태로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증상 입력란(100)에 대해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와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가 모두 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정보가 흐름도 형태일 경우 최초 질문에서 최소 정도 값(1)이 결정되며, 최후 질문에서 최대 정도 값(2)이 결정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기재된 증례번호 14의 증례 내용에 대한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이다. 증례 내용은 ‘눈 주위가 검은 편이다’이다. 이에 대한 최초 질문(S100)은 ‘다크 서클인가?’이다. 다크 서클이 아닐 경우 정도 값은 1로 결정되며, 다크 서클일 경우 S110으로 진행한다. S110에서의 질문은 ‘눈 밑 면적이 절반 이상인가?’이다. 절반 이상이 아닐 경우 S120으로 진행하며, 절반 이상일 경우 S130으로 진행한다. S120에서의 질문은 ‘매우 어두운가?’이다. 매우 어둡지 않을 경우 정도 값은 2로 결정되며, 매우 어두울 경우 정도 값은 3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최후 질문인 S130에서의 질문은 ‘눈 위 암자?’이다. 눈 위 암자가 아닐 경우 정도 값은 4로 결정되며, 눈 위 암자가 아닐 경우 정도 값은 5로 결정된다. 입력자는 이 같은 가이드 정보에 따라 정도 값을 결정하게 되고, 어혈 증례 기록지 상의 정도 입력란(120)의 해당 값에 마크하게 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기재된 증례번호 6의 증례 내용에 대한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이다. 증례 내용은 ‘입과 혀가 비뚤어지는 듯한 증상이 있다’이다. 최초 질문(S200)은 ‘입과 혀 마비감?’이다. 마비감이 없을 경우 정도 값은 1로 결정되며, 있을 경우 S210으로 진행한다. S210에서의 질문은 ‘명백한 마비감?’이다. 명백한 마비감일 경우 S220으로 진행하며, 아닐 경우 S230으로 진행한다. S220에서의 질문은 ‘일상생활 불편감?’이다. 불편하지 않을 경우 정도 값은 2로 결정되며, 불편할 경우 정도 값은 3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S230에서의 질문은 ‘근육 움직임 없음?’이다. 근육 움직임이 없을 경우 정도 값은 4로 결정되며, 있을 경우 정도 값은 5로 결정된다. 도 3과 달리 도 4에서의 가이드 정보에는 흐름도와 관련한 안내 글(200)이 더 포함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안내 글(200)은 흐름도 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안내 글(200)은 흐름도 상에서 예/아니오 판단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증상에 대한 정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인 판단에 도움을 준다.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기재된 증례번호 13의 증례 내용에 대한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이다. 증례 내용은 ‘설체에 반상출혈이 있다’이다. 최초 질문(S300)은 ‘설체어반?’이다. 설체어반이 아닐 경우 정도 값은 1로 결정되며, 설체어반일 경우 S310으로 진행한다. S310에서의 질문은 ‘넓이가 2cm2보다 큰가?’이다. 작을 경우 S320으로 진행하며, 클 경우 S330으로 진행한다. S320에서의 질문은 ‘넓이가 1cm2보다 큰가?’이다. 작을 경우 정도 값은 2로 결정되며, 클 경우 정도 값은 3으로 결정된다. S330에서의 질문은 ‘넓이가 4cm2보다 큰가?’이다. 작을 경우 정도 값은 4로 결정되며, 클 경우 정도 값은 5로 결정된다. 도 3, 4와 달리 도 5에서의 가이드 정보에는 흐름도의 질문에 대한 판단 참조 정보(300)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 참조 정보는 그래픽과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넓이에 대한 직관적인 판단이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5의 가이드 정보에는 1cm2, 2cm2, 4cm2 각각의 넓이를 나타낸 그래픽을 포함한 판단 참조 정보를 포함시켰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안내 글(200)과 판단 참조 정보(300)가 모두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증례 내용에 따라 판단 참조 정보(300)만이 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기재된 증례번호 9의 증례 내용에 대한 흐름도 형태의 가이드 정보이다. 증례 내용은 ‘구개천장 점막의 암자색 및 정맥 노창’이다. 최초 질문(S400)은 ‘구개천장 암자색?’이다. 암자색이 아닐 경우 정도 값은 1로 결정되며, 암자색일 경우 S410으로 진행한다. S410에서의 질문은 ‘정맥 노창 절반 이상?’이다. 절반 미만일 경우 S420으로 진행하며, 절반 이상일 경우 S430으로 진행한다. S420에서의 질문은 ‘정맥 노창 1/4 이상?’이다. 1/4 미만일 경우 정도 값은 2로 결정되며, 1/4 이상일 경우 정도 값은 3으로 결정된다. S430에서의 질문은 ‘정맥 노창 3/4 이상?’이다. 3/4 미만일 경우 정도 값은 4로 결정되며, 3/4 이상일 경우 정도 값은 5로 결정된다.
추가로, 도 6에 예시된 가이드 정보에는 흐름도의 질문에 관련된 신체 컬러 이미지(400)가 포함된다. 이 신체 컬러 이미지(400)는 입력자에게 질문에 대한 예/아니오 판단에 대해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도 6에 예시된 신체 컬러 이미지(400)는 구개천장에 대한 이미지로서, 정도 값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표준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별 질문마다 대응되는 신체 컬러 이미지가 제시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신체 컬러 이미지만이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4개로 이루어진 질문 각각에 대한 신체 컬러 이미지가 제시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진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기재된 증례번호 14의 증례 내용에 대한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이다. 증례 내용은 ‘눈 주위가 검은 편이다’이다. 이에 대한 가이드 정보에는 표준 증상 이미지들이 포함된다. 도 7에서는 5개의 표준 증상 이미지들이 제시되어 있으며, 각각은 어느 하나의 정도 값에 대응된다. 입력자는 이 같은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정도 값을 결정하고, 어혈 증례 기록지 상의 증례번호 14의 정도 입력란(120)에 마크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기재된 증례번호 12의 증례 내용에 대한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이다. 증례 내용은 ‘혀가 검붉다’이다. 이에 대한 가이드 정보에는 표준 증상 이미지들이 포함된다. 도 8의 예에서 표준 증상 이미지들은 정도 값이 1인 정상 혀에 대한 이미지와, 정도 값이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인 검붉은 색을 갖는 혀(자설)에 대한 이미지들을 포함한다. 추가로, 가이드 정보에는 정도 값에 따른 표준 색 리스트(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준 색 리스트(500)는 정도 값마다 대응되는 표준 색으로 구성되며, 표준 증상 이미지들의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일 측에는 정도 값에 대응되는 표준 색이 표시된다. 이는 입력자로 하여금 정도 값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토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어혈 증례 설명서는 어혈 증례 기록지 상의 증상 입력란(100)들의 순서대로 증상별 관련 이론과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내용을 제시한다. 어혈 증례 설명서는 어혈 증례 기록지와 동일 사이즈일 수 있으며, 어혈 증례 기록지에 부록처럼 붙어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어혈 증례 기록지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제거에 의해 어혈 증례 설명서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을 정도로 어혈 증례 설명서에 붙어있을 수 있다. 어혈 증례 설명서는 복수의 페이지들로 구성되는데, 증상별로 한 페이지가 할당될 수도 있고, 두 페이지 이상이 할당될 수도 있다. 중요한 점은 증례 번호 순서대로 증상별 관련 이론과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내용이 제시된다는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혈 증례 설명서의 한 페이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증례번호 1의 증례 내용에 대한 관련 이론과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내용을 예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혈 증례 설명서의 한 페이지는 증상 입력란(600)과 관련된 이론(610)과 가이드 내용(620) 및 출처(630)로 구성될 수 있다. 증상 입력란(600)은 증상(증례 내용)과 정도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련된 이론(610) 부분에는 증상에 대한 관련 이론 및/또는 문헌 정보가 제시되며, 가이드 내용(620) 부분에는 가이드북에서 제시된 흐름도 형태 또는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가 제시된다. 또한 정도 값에 대한 설명 요약표가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출처(630) 부분에는 관련된 이론(610) 부분에 기재된 이론에 대한 출처 정보가 제시된다. 따라서, 입력자는 어혈 증례 기록지와 함께 제공되는 어혈 증례 설명서를 참조하여 증례 기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증상과 증상에 대한 정도 입력란을 포함하는 복수의 순서화된 증상 입력란이 제시된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지; 및
    증상 입력란의 순서대로 정도 입력란에 입력할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가 제시된 소지 가능한 가이드북;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북은 증상에 대한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로 가이드 정보를 제시하며, 최초 질문에서 최소 경도 값이 결정되고 최후 질문에서 최대 정보 값이 결정되는 어혈 증례 기록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어혈 증례 기록지에 제시된 증상 입력란들은 동일 신체부위별 증상 내용에 따라 그룹화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정보는 흐름도의 질문 판단 방법에 대한 안내 글을 포함하는 어혈 증례 기록 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정보는 흐름도의 질문에 대한 판단 참조 정보를 포함하되, 판단 참조 정보는 그래픽과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혈 증례 기록 세트.
  7.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정보는 흐름도의 질문에 관련된 컬러 이미지를 포함하는 어혈 증례 기록 세트.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드북에 제시된 가이드 정보는 증상의 정도 값마다 대응되는 표준 증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표준 사진 형태인 어혈 증례 기록 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표준 사진 형태의 가이드 정보는 정도 값에 따른 표준 색 리스트를 포함하며, 표준 증상 이미지들의 상, 하, 좌, 우 중 하나에는 표준 색이 표시되는 어혈 증례 기록 세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증상 입력란의 순서에 맞춰 증상별 관련 이론과 정도 값 결정을 위한 가이드 내용이 제시된 어혈 증례 설명서;
    를 더 포함하는 어혈 증례 기록 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어혈 증례 설명서의 가이드 내용은 증상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이거나, 증상의 정도 값에 대응되는 표준 증상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표준 사진 형태인 어혈 증례 기록 세트.
  12. 증상과 증상에 대한 정도 입력란을 포함하는 복수의 순서화된 증상 입력란이 제시된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지 상에 증례 기록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시하되,
    가이드 정보는 증상 입력란의 순서대로 정도 입력란에 입력할 정도 값 결정을 위한 정보로 제시되고, 증상에 대한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로 가이드 정보를 제시하며, 최초 질문에서 최소 경도 값이 결정되고 최후 질문에서 최대 정보 값이 결정되는 증례 기록용 가이드북.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가이드 정보는 증상별로 증상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질문으로 이루어진 흐름도 형태로 제시되거나 증상의 정도 값마다 대응되는 표준 증상 이미지로 이루어진 표준 사진 형태로 제시되는 증례 기록용 가이드북.
KR1020150156151A 2015-11-06 2015-11-06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 KR10181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51A KR101819543B1 (ko) 2015-11-06 2015-11-06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151A KR101819543B1 (ko) 2015-11-06 2015-11-06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24A KR20170053524A (ko) 2017-05-16
KR101819543B1 true KR101819543B1 (ko) 2018-02-28

Family

ID=5903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151A KR101819543B1 (ko) 2015-11-06 2015-11-06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5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0399A (ja) * 1997-03-14 2008-09-11 First Opinion Corp 疾患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0399A (ja) * 1997-03-14 2008-09-11 First Opinion Corp 疾患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24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lden et al. Neuro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objective psychological tests
Lichtenberger et al. Essentials of WMS-III assessment
Lamberty et al. Specialty competencies in clinical neuropsychology
Ayton Phenomenology
KR101819543B1 (ko) 어혈 진단 기술 개발을 위한 어혈 증례 기록 세트 및 이에 포함되는 가이드북
Boshoff Validation of the Teacher Stress Inventory (TSI) in a South African context: the SABPA study
Jorm et al. The psychogeriatric assessment scales
Ebell Brief screening instruments for dementia in primary care
Zakrzewska et al. A case study of methods used to tackle a common pedagogic problem in medical and dental education: time pressure
Garber Developing a structured interview tool for children embroiled in family litigation and forensic mental health services: The Query Grid
Baldwin The discours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s
Fitzpatrick Treating vulnerable populations of cancer survivors: A biopsychosocial approach
Alham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 concept analysis
Montgomery Investigating perceived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first-year Nursing students
Bousman et al. Assessing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in a migrant farm working Colonia in Baja California, Mexico: A feasibility study
Lacène WAIS III: working memory and processing speed indexes in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Wortman Empathy and social work: The capacity of students for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s it relates to field instruction evaluations
Nervi A brief screening battery for practical assessment
HENDRICKSON Impact of early loss on the identity of the young adult (commitment, life-stage tasks)
Friedman Behavioral-analytic model of test construction: A measure of caregivers' cancer knowledge
Luffy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preference of three pediatric pain assessment tools
Hall An investigation of adult comprehension of HIV/AIDS health information presented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Nabb et al. Succeeding in Essays, Exams and OSCEs for Nursing Students
Edinberg £ 9.95 The care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dris Williams, Croom Helm, Newton Abbot, London (1979), p. 235
Harmell The effects of therapist self-awareness on countertrans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