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414B1 - A polarizing film - Google Patents

A polarizing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414B1
KR101819414B1 KR1020170028787A KR20170028787A KR101819414B1 KR 101819414 B1 KR101819414 B1 KR 101819414B1 KR 1020170028787 A KR1020170028787 A KR 1020170028787A KR 20170028787 A KR20170028787 A KR 20170028787A KR 101819414 B1 KR101819414 B1 KR 10181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va
polarizing film
stretch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모 이와타
히로시 하마마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008Constructional details of analysers, e.g. characterised by X-ray source, detector or optical system; Accessories therefor; Preparing specimens therefor
    • G01N23/20016Goni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7Diffractometry using detectors, e.g. using a probe in a central position and one or more displaceable detectors in circumferential pos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film having enhanced strength under an environment repeating high and low temperatures.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as a forming material, and has a dichroic substance. A degree of orientation in an azimuthal distribution measured by a wide angle X-ray diffraction method is 81.0 % or more.

Description

편광 필름{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FILM [0002]

본 발명은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종래 화상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의 양면에 설치된 편광자를 갖고 있다. 편광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을 연신시킨 연신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 필름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known as a conventional image display devi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polarizer provided on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s a polarizer,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PVA) based resin film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9-09865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9-098653

최근 액정 표시 장치에는 경량화를 위해 소형화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편광 필름에 관해서도 박형화가 검토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박형화하더라도 충분한 강도(예컨대, 고온과 저온을 반복하는 환경 하에서의 편광 필름의 크랙 억제)를 갖는 편광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been required to be reduced in size and thickness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thereof. Accordingly, thinning of a polarizing film constitu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been studied. For this reason, a polarizing film having sufficient strength (for example, suppressing cracking of a polarizing film under an environment in which a high temperature and a low temperature are repeated) is required even if it is thinned.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온과 저온을 반복하는 환경 하에 있어서의 강도를 높인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which has enhanced strength under an environment of repeating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형성 재료로 하며, 이색성 물질을 갖는 편광 필름으로서, 광각(廣角)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방위각 분포에 있어서의 배향도가 8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olarizing fil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film having a dichroic substance, which comprises a polyvinyl alcohol resin as a forming material and is measured by a wide-angle X- , And the degree of orientation in the azimuthal distribution is 81.0% or more.

상기한 편광 필름은, 펄스 NMR(1H)에 의해 얻어지는 스핀-스핀 완화 시간으로부터 구한 결정부, 구속 비결정부 및 비결정부의 합계에 대한 구속 비결정부의 비율이 40% 이상 95% 이하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The above polarizing fil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atio of the confinement noncontact portion to the total of the crystal portion, the confinement noncontact portion and the noncontact portion obtained from the spin-spin relaxation time obtained by the pulse NMR ( 1 H) is 40% or more and 95% or less It is also good.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과 저온을 반복하는 환경 하에 있어서의 강도를 높인 편광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having increased strength under an environment of repeating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마이크로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firs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production method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first embodiment.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 필름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모든 도면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각 구성 요소의 치수나 비율 등을 적절하게 다르게 해 놓는다. Hereinafter,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ll of the following drawings, dimensions, ratios, and the lik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are appropriately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make the drawings easy to see.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편광판> <Polarizer>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1)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편광판(1)은 일면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이다. 편광판(1)은, 편광 필름(5)과, 편광 필름(5)의 일면 측에 위치하는 보호막(보호 필름)(10)과, 편광 필름(5)과 보호막(10)과 접합하는 접합제(15)를 구비한다. The polarizing plate 1 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one-side protective film. The polarizing plate 1 includes a polarizing film 5, a protective film (protective film) 10 position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5, a bonding agent (protective film) 10 bonding the polarizing film 5 and the protective film 10 15).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은,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될 때, 액정 셀과 같은 화상 표시 소자의 시인(앞면)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이라도 좋고, 화상 표시 소자의 배면 측(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이라도 좋다. 시인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은, 배면 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비해서 결로 등이 생기기 쉽고 편광 필름에 크랙이 들어가기 쉬운 바,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에 따르면, 편광 필름(5)에 크랙이 들어가는 것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visual (front) side of an image display element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when embedd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backlight si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Compared with the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back side, the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viewer side tends to cause condensation and the like, and cracks tend to enter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polarizing plat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ignificantly suppressed.

<편광 필름><Polarizing Film>

편광 필름(5)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PVA계 수지)를 형성 재료로 하고, 이색성 물질(이색성 색소)로 염색되어 있다. PVA계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유도체가 이용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을 PVA라고 약칭하여 설명한다. The polarizing film 5 is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VA-based resin) as a forming material and is dyed with a dichroic substance (dichroic dye). As the PVA resin, a polyvinyl alcohol resin or a polyvinyl alcohol resin derivative is used. Hereinafter, polyvinyl alcohol will be abbreviated as PV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VA 수지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또는 이들의 변성체를 들 수 있다. 이 변성체로서는, 예컨대 상술한 PVA 수지 유도체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이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나 아크릴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VA resin derivative include polyvinylformal,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and modified products thereof. Examples of the modified substance include those obtained by modifying the PVA resin derivative described above with an olefin such as ethylene or propylene,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crotonic acid, or an alkyl ester or acrylamide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

PVA계 수지의 중합도는 1000~10000가 바람직하고, 1500~50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5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based resin is preferably from 1,000 to 10,000, more preferably from 1,500 to 5,000.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VA resin is preferably 85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0 mol%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99 mol% or more.

편광 필름(5)에는 가소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가소제로서는, 예컨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폴리올의 축합물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5) 중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The polarizing film 5 may contain an additive such as a plasticizer. Examples of the plasticizer include condensates of polyols or polyols such as glycerin, diglycerin, triglycerin,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polyethylene glycol.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n the polarizing film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by mass or less.

편광 필름(5)의 PVA계 수지의 염색에 이용하는 이색성 물질로서는, 예컨대, 요오드나 편광 필름용 색소로서 공지된 이색성 물질을 들 수 있고, 요오드가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dichroic substance used for dyeing the PVA resin of the polarizing film 5 include dichroic substances known as iodine and coloring matters for a polarizing film, and iodine is preferable.

이하,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PVA계 수지층의 염색에는 요오드 용액이 이용되며, 요오드 수용액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 수용액으로서는, 요오드 및 용해 조제로서 요오드화물을 용해시켜, 요오드 이온을 함유시킨 수용액이 이용된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또는 요오드화티탄이 바람직하고, 요오드화칼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the case where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substance. For dyeing the PVA resi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iodine solution is used, and an iodine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used. As the iodine aqueous solution, an iodine and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de ions dissolved in iodide as a dissolution aid are used. As the iodide, for exampl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or titanium iodide is preferable and potassium iodide is more preferable.

편광 필름(5)의 두께는, 예컨대 30 ㎛ 이하, 나아가서는 20 ㎛ 이하가 되지만, 편광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통상 2 ㎛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위 막 두께 당 강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박형이면서 강도가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5 is, for example, 3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20 占 퐉 or less, but is preferably 10 占 퐉 or less and more preferably 8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usually 2 占 퐉 or 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intensity per unit film thickness can be increased, a polarizing film having a thin shape and excellent strength can be obtained.

편광 필름(5)을 구성하는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1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8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5000이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도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5 is preferably 100 to 10,000, more preferably 1,500 to 8,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2,000 to 5,000.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resin can also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26 (1994).

PVA의 결정은, 일반적으로 라멜라형 결정이라고 불리는, 폴리머쇄가 거듭해서 접어 꺾여 형성되는 절첩 구조의 결정을 형성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It is known that crystals of PVA form crystals of a folded structure, which is generally called lamellar crystal, in which polymer chains are repeatedly folded and formed.

도 2는 편광 필름(5)의 PVA계 수지의 마이크로 구조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PVA-based resin of the polarizing film 5. Fig.

라멜라형 결정을 구성하는 폴리머쇄의 일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라멜라형 결정(PVA의 결정)(50)은, 폴리머쇄(51)가 폭 방향으로 거듭해서 접어 꺾여 절첩 구조를 형성하고, 또한 이러한 절첩 구조가 깊이 방향으로도 거듭 연속해 형성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And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polymer chain constituting the lamellar type crystal. The lamellar crystal (crystal of PVA) 50 is formed by folding the polymer chains 51 repeatedly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olded structure, and this folded structure is repeatedly formed continuously in the depth direction.

PVA의 분자가 흡수축 방향으로 늘어서는 것을 배향한다고 한다. 이 배향의 정도는 배향도라는 형태로 나타나며,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배향도가 8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1.5% 이상이다. 배향도가 81.0% 이상이면, 원인은 불불명하지만, 열충격 시험과 같은 고온과 저온을 반복하는 부하에 대하여도, 편광 필름의 균열의 발생율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배향도는 광각 X-선 회절법(WAXD)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It is said that the molecules of PVA are aligned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The degree of orientation is shown in the form of degree of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orientation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81.0% or more, and preferably 81.5% or more. If the degree of orientation is 81.0% or more, the cause is unknown, but the occurrence rate of cracking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remarkably suppressed even for a load repeated at high and low temperatures such as in a thermal shock test. The degree of orientation can be measured by a wide angle X-ray diffraction (WAXD) method, and specifically, it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of later-described examples.

편광 필름(5)은, 단위 두께 당 찌르기 강도가 6.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찌르기 강도가 6.0 g/㎛ 이상이면, 열충격 시험과 같은 온도차에 기인하는 부하에 대하여도 편광 필름의 깨짐 발생율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film 5 preferably has a stuck strength per unit thickness of 6.0 g / m or more. If the stuck strength is 6.0 g / 탆 or more, the rate of occurrence of cracking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remarkably suppressed even for a load caused by a temperature difference such as a thermal shock test.

라멜라형 결정(50)의 결정 사이즈는, 후단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PVA계 수지의 열 이력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열 이력의 조정은, 예컨대, PVA계 수지의 제막 건조 시에 인가하는 열량, 즉, 온도나 시간을 조정하거나, 연신 온도를 조정하거나 한다. The crystal size of the lamellar type crystal 50 can be adjusted by the thermal history of the PVA type resin as described later. The adjustment of the thermal history is performed by, for example, adjusting the amount of heat applied during film-drying of the PVA resin, that is, adjusting the temperature or time, or adjusting the stretching temperature.

PVA는 결정성 고분자이며, 결정부와 비결정부가 존재한다. 최근의 분석 기술의 진보에 의해, 결정부와 비결정부의 중간과 같은 구속 비결정부라고 불리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져 왔다. 구속 비결정부는, 결정부 정도로 구속되어 있지 않고, 비결정부 정도로 분자가 신장된 상태가 아니라, 결정이 약간 풀어진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PVA is a crystalline polymer, and crystal and noncrystalline are present. Recent advances in analytical techniques have found that there is a so-called constraint decoy, such as the middle between decision-making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straint is not constrained to the crystal part and the molecule is slightly elongated to the degree of non-crystallization, and the crystal is slightly loosened.

이 구속 비결정부의 양이 많은 쪽이 내열, 내습열 시험에서 광학 특성이 안정화된다고 생각되며, 또한, 편광 필름의 강도도 증가한다고 생각된다. 광학 특성이 안정되는 이유로서는, 이 구속 비결정부에 요오드가 들어가, 여기서 PVA와 요오드가 착체를 형성하면, 원래 비결정부보다도 분자가 움직이기 어려우므로, 열이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대하여 내성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편광 필름의 강도가 증가하는 이유로서는, 결정부로부터 약간 PVA 분자쇄가 풀어진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 있는 부분인 구속 비결정부에 요오드가 들어가 PVA-요오드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PVA 분자쇄 사이를 요오드가 매어 둠으로써 편광 필름의 강도가 증가한다고 생각된다. 결정부, 구속 비결정부 및 비결정부의 합계에 대한 구속 비결정부의 비율은 2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구속 비결정부의 비율은 40%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5% 이하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속 비결정부의 비율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 기재에 따라, 펄스 NMR(1H)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스핀-스핀 완화 시간으로부터 산출한 값을 채용한다. It is considered that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stabilized in the heat resistance test and the moisture heat resistance test, and the strength of the polarizing film is also increased. The reason why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stable is that when iodine enters the confinement and confinement portion and PVA and iodine form a complex, the molecules are harder to move than the non-crystal portion originally. Therefore, resistanc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heat and humidity is strong .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polarizing film is that iodine is introduced into the constraint non-crystal portion, which is a portion in which the PVA molecular chains are slightly loosened from the crystal portion, to form a PVA-iodine complex,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ength of the polarizing film is increased. Preferably, the ratio of the constraint to the total of the decision unit, the constraint noncontiguous state, and the noncontiguous state is preferably more than 20%,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30%. In addition, the more preferable ratio of the constraint nonconformity is 40% or more. The upper lim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95% or 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constraint non-blocking portion is calculated from the spin-spin relaxation time obtained by the measurement of the pulse NMR ( 1 H)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5)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흡수축 방향)에 있어서, 라멜라형 결정 사이의 거리 Wa는 7.0 nm 이상 30.0 nm 이하로 할 수 있고, 연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투과축 방향)에 있어서, 라멜라형 결정 사이의 거리 Wb는 1.0 nm 이상 10.0 nm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라멜라형 결정 사이의 거리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의 기재에 따라, 소각 X선 산란법(SAXS)으로부터 측정되는 값을 채용한다. In the polarizing film 5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Wa between the lamellar crystal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set to 7.0 nm or more and 30.0 nm or less, an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 axis), the distance Wb between the lamellar crystals can be 1.0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lamellar crystals adopts the value measured from the incineration X-ray scattering method (SAX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5)의 편광 성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은 통상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라고 불리는 2가지 파라미터로 평가된다. 이들 파라미터는 각각 인간의 눈의 감도가 가장 높은 550 nm 부근의 가중이 가장 커지도록 보정을 한 가시 영역(파장 380~780 nm)에 있어서의 투과율, 편광도이다. 파장 380 nm 미만의 광은 인간의 눈에는 시인할 수 없기 때문에, Ty 및 Py에 있어서 고려되지 않는다.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5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is usually evaluated by two parameters called &quot; Visibil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Ty &quot; and &quot; Visibility-corrected polarized light Py. These parameters are the transmittance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in the visible region (wavelength 380 to 780 nm) in which the weight around 550 nm, which is the highest sensitivity of human eyes, is corrected to be the largest.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less than 380 nm is not considered in Ty and Py because it can not be seen by human eyes.

편광 필름(5)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은, 편광 필름(5) 및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1)이 적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통상 구해지는 값일 수 있다. 편광 필름(5)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은, 구체적으로는 40~47%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41~45%의 범위 내이며, 이 경우,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과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의 밸런스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이 지나치게 높으면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가 저하하여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품위가 저하한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 화상 표시 장치의 휘도가 저하하여 표시 품위가 저하하거나 또는 휘도를 충분히 높게 하기 위해서 투입 전력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긴다. 편광 필름(5)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는 9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9.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99% 이상이라도 좋다.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Ty of the polarizing film 5 may be a value usually foun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o which the polarizing film 5 and the polarizing plate 1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5 are appli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ng unit transmittance Ty of the polarizing film 5 is in the range of 40 to 47%. The visibility-corrected corrected single-beam transmittance Ty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1 to 45%, and in this case, the balance between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Ty and visually- If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beam transmittance Ty is excessively high,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is lowered and the display qual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lowered. When the visibility-corrected corrected single-beam transmittance Ty is excessively low, the luminan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lowered and the display quality is lowered or the input power is increased in order to sufficiently increase the luminance.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of the polarizing film 5 is preferably 99.9% or more, more preferably 99.95% or more, and 99.99% or more.

<보호막> <Protection film>

보호막(1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편광 필름(5)의 한쪽의 면에 접합제(15)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보호막(10)은,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rotective film 10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5 through a bonding agent 15. [ The protective film 10 is preferably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translucency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such as a polyolefin resin such as a chain polyolefin resin (polypropylene resin), a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etc.) , A cellulose ester resin such as cellulose triacetate and cellulose diacetate, a polyester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meth) acrylic resin, a polystyrene resin or a mixture or copolymer thereof.

보호막(10)은,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더불어 갖는 보호 필름일 수도 있다.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연신(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 값이 부여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10 may be a protective film having optical functions such as a retardation film and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For example,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arbitrary retardation value can be obtained by stretching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ly stretching) a film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or the like on the film.

보호막(10)에 있어서, 편광 필름(5)과는 반대쪽의 표면에는, 하드 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막(10)은, 활제, 가소제, 분산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In the protective film 10, a surface treatment layer (coating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static layer and an antifoul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olarizing film 5. The protective film 10 may contain one or more additives such as a lubricant, a plasticizer, a dispersant, a heat stabil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infrared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and an antioxidant.

보호막(10)의 두께는, 편광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보호막(10)의 두께는, 강도 및 취급성의 관점에서, 통상 5 ㎛ 이상이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10 is preferably 9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50 占 퐉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3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polarizing plate.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10 is usually 5 占 퐉 or more from the viewpoints of strength and handleability.

<접합제(접착제 또는 점착제)> <Bonding agent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접합제(15)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편광 필름(5)과 보호막(1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접합제(15)는, 편광 필름(5)의 한쪽의 면에 보호막(10)을 접착 고정하기 위한 층을 형성한다. 접합제(15)로서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채용할 수 있다. The bonding agent 15 is position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5 and the protective film 10 as shown in Fig. The bonding agent (15) forms a layer for adhering and fixing the protective film (10)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5). As the bonding agent 15,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employed.

접합제(15)로서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합제(15)는,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나, PVA계 수지와 같은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일 수 있다.When an adhesive is used as the bonding agent 15, the bonding agent 15 is preferably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ntaining a curable compound which is cured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electron beams and X- May be an aqueous adhesive in which the adhesive compon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접합제(15)로서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합제(15)의 두께는 통상 0.001~5 ㎛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01~3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5 ㎛이다. 접합제(15)로서의 접착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양호한 접착성을 보이므로,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및/또는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When an adhesive is used as the bonding agent 15,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agent 15 is usually about 0.001 to 5 mu m, preferably 0.01 to 3 mu m. More preferably 0.1 to 1.5 占 퐉. The adhesive as the bonding agent (15) exhibits good adhesiveness as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and therefore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nd / or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can be preferably used .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하게 하기 위한 양이온 중합개시제 및/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접착성의 관점에서,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may further comprise a cation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 or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initiating the curing reaction of the curable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adhesiveness, an adhesive contain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is preferably used.

접합제(15)로서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합제(15)의 두께는 1~40 ㎛이고, 바람직하게는 3~25 ㎛이다. 접합제(15)로서의 점착제는, 통상 (메트)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고, 거기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과 같은 가교제를 가한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미립자를 함유시켜 광산란성을 보이는 점착제로 할 수도 있다.When an adhesive is used as the bonding agent 15,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agent 15 is 1 to 40 mu m, preferably 3 to 25 mu m.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s the bonding agent 15 is usually composed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which a base polymer is a (meth) 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a silicone resin or the like and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or an aziridine compound is add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exhibiting light scattering properties by containing fine particles.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은, 편광 필름(5), 접합제(15) 및 보호막(10)으로 구성되는데, 편광판(1)은 그 밖의 광학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다른 광학층으로서는, 어떤 종류의 편광광을 투과하고, 그것과 반대 성질을 보이는 편광광을 반사하는 반사형 편광 필름,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방현 기능을 지닌 필름, 표면 반사 방지 기능을 지닌 필름, 표면에 반사 기능을 갖는 반사 필름, 반사 기능과 투과 기능을 더불어 갖는 반투과 반사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polarizing film 5, a bonding agent 15 and a protective film 10. The polarizing plate 1 may further include another optical layer. Examples of the other optical layer include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that transmits polarized light of a certain kind through the polarized light and exhibits properties opposite to that of the polarized light, a film having an antiglare function having a concavo-convex shape on the surface, A reflection film having a reflection function on the surface, a transflective film having a reflection function and a transmission function, and a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Lt;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5)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film 5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은 편광 필름(5)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5)의 제조 방법은, 단계 S1을 포함하는 수지층 형성 공정과, 단계 S2를 포함하는 적층 공정과, 단계 S3 및 단계 S4를 포함하는 가교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3 is a flow 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film 5.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film 5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sin layer forming step including step S1, a lamination step including step S2, and a crosslinking step including steps S3 and S4.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단계 S1))(A step of forming a PVA resin layer (step S1))

단계 S1에서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PVA계 수지를 형성 재료로 하는 수지층(PVA계 수지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기재 필름과 PVA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형성한다. In step S1, a resin layer (PVA resin layer) made of PVA resin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Thus, a laminated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PVA-based resin layer is formed.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계 S1은, 기재 필름에 PVA계 수지 용액을 도공하는 도공 공정(단계 S11)과 PVA계 수지 용액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단계 S1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step S1 includes a coating step (step S11) of applying a PVA-based resin solution to the base film and a drying step (step S12) of drying the PVA-based resin solution.

(도공 공정(단계 S11))(Coating step (step S11))

단계 S11의 도공 공정은, 띠 형상의 기재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PVA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도공하여 도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기재 필름에의 도공에 의해 도공층을 형성하고, 이 도공층으로 PVA계 수지 필름(PVA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박막의 PVA계 수지 필름, 나아가서는 박막의 편광 필름을 얻기 쉽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The coating step of step S11 is a step of forming a coating layer by coat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PVA resin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ubstrate film while conveying the strip-shaped bas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ethod of forming a coating layer by coating on a base film and forming a PVA resin film (PVA resin layer) as the coating layer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obtain a PVA resin film as a thin film and further a polarizing film of a thin film It is advantageous in point.

PVA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이 도공되는 기재 필름은, PVA계 수지를 연신하여 박막화하는 경우에, PVA계 수지의 층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베이스가 된다. 기재 필름은, 표면에 편광 필름(5)을 형성한 후에, 편광 필름(5)으로부터 박리하게 하여도 좋고, 또한, 박리하지 않고서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The base film coated with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PVA resin serves as a base for suppressing breakage of the layer of the PVA resin when the PVA resin is stretched to form a thin film. The base film may be peeled off from the polarizing film 5 after the polarizing film 5 is formed on the surface, or may be used as a protective film without peeling.

기재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는,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PVA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을 포함한다. The base film may be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hermoplastic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heat stability, stretchability,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such thermoplastic resins include polyolefin resins such as chain polyolefin resins, cyclic polyolefin resins (norbornene resins and the like), polyester resins, (meth) acrylic resins,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Based resin,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polyarylate-based resin, polystyrene-based resin, polyether sulfone-based resin, polysulfon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imide-based resin Resins, and mixtures and copolymers thereof.

기재 필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라도 좋고,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복수 적층한 다층 구조라도 좋다. 기재 필름은,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의 연신 공정에 있어서, PVA계 수지의 층을 연신하는 데 적합한 연신 온도에서 연신할 수 있는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film may be a single layer structure composed of one resin layer made of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of thermoplastic resins, or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sin layers made of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of thermoplastic resins are laminated. The base film is preferably composed of a resin that can be stretche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suitable for stretching the layer of the PVA-based resin in the stretching step in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described later.

기재 필름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의 구체예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및 착색제를 포함한다. The base film may contain an additive. Specific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 lubricant, a plasticizer, a release agent, a coloring inhibitor, a flame retardant, a nucleat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 pigment and a colorant.

기재 필름의 두께는 통상 강도나 취급성 등의 점에서 1~5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0 ㎛이다.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is usually 1 to 500 占 퐉, preferably 1 to 300 占 퐉, more preferably 5 to 200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5 to 150 占 퐉, in view of strength and handleability.

기재 필름에 도공하는 수용액은, PVA계 수지 및 물을 함유하는 PVA계 수지의 수용액이다. 이 수용액은, 필요에 따라, 물 이외의 용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물 이외의 용제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다가 알코올(적합하게는 글리세린)로 대표되는 알코올과 같은, 물에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The aqueous solution coated on the base film is an aqueous solution of PVA resin containing PVA resin and water. The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an additive such as a solvent other than water, a plasticizer, and a surfactant if necessary. Examples of solvents other than water include organic solvents compatible with water, such as alcohols represented by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polyhydric alcohols (preferably, glycerin).

PVA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도공층의 초기 함수율은 30 중량%를 초과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초기 함수율이 30 중량%를 초과함으로써, PVA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이 균일한 용액으로 되어, 건조 공정 전에 의도치 않는 결정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VA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도공할 때의 취급성의 관점에서는, 초기 함수율은 4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initial water content of the coating layer composed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PVA resin can be set to a value exceeding 30% by weight. When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PVA resin becomes a homogeneous solu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tional crystallization from occurring before the drying step. From the viewpoint of handleability in coat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PVA resin, the initial water content is preferably 40%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50% by weight or more.

기재 필름에 도공하는 수용액을 기재 필름에 도공하는 방법은, 와이어바 코팅법,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과 같은 롤 코팅법, 다이 코트법, 콤마 코트법, 립 코트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의 방법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공층은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에만 형성하여도 좋고, 양면에 형성하여도 좋다. The method of applying the aqueous solution coated on the base film to the base film may be a roll coating method such as a wire bar coating method, a reverse coating method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comma coating method, a lip coating method, , Fountain coating method, dipping method, spray method and the like.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base film or on both sides of the base film.

기재 필름에 도공하는 수용액의 도공에 앞서서, 기재 필름과 PVA계 수지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도공층이 형성되는 쪽의 기재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플레임(화염) 처리 등을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같은 이유로, 기재 필름 상에 프라이머층 등을 통해 도공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PVA resin layer prior to coating of the aqueous solution coated on the base film, at least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on which the coat layer is formed i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flame treatment Or the like may be performed. For the same reason, 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 base film through a primer layer or the like.

(건조 공정(단계 S12))(Drying step (step S12))

단계 S12의 건조 공정은, 함수율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도공층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도공층의 건조(물의 제거)는 가열에 의해 행할 수 있지만, 감압 등에 의한 건조를 병용하여도 좋다. 가열 방법으로서는, 가온한 롤(열롤)에 기재 필름을 접촉시키는(두르는) 방법, 열풍을 내뿜는 방법 또는 이들 조합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온도는 예컨대 50~200℃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60~150℃의 범위 내이다. The drying step of step S12 is a step of removing water from a coating layer having a moisture content exceeding 30% by weight to form a PVA-based resin layer. Drying of the coating layer (removal of water) can be performed by heating, but drying by reduced pressure or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Examples of the heating method include a method in which a substrate fil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warmed roll (hot roll), a method in which hot air is blown,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dry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step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0 to 200 占 폚,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 to 150 占 폚.

건조 공정에서는, 함수율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상태에 있는 도공층(이하, 건조 공정 직전의 도공층의 함수율을 「초기 함수율 W1」이라고도 한다.)으로부터 물을 제거해 나가, 원하는 함수율(이하, 「최종 함수율 W2」이라고도 한다.)에 달할 때까지 건조를 행하여 기재 필름 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한다. 이 때, 함수율이 30 중량%일 때의 물의 제거 속도(단위시간 당 함수율(중량%)의 저하량을 의미하며, 단위는 중량%/초이다.) 또는 함수율이 30 중량% 근방(즉, 함수율이 30~10 중량% 사이)에 있어서의 평균적인 물의 제거 속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0.01~1.8 중량%/초의 범위 내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공층의 함수율이 30 중량%가 된 시점에서의 물의 제거 속도를 「제거 속도 V(30)」라고도 하고, 도공층의 함수율이 30~10 중량%의 범위일 때의 평균적인 물의 제거 속도를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라고도 한다. 제거 속도 V(30) 및/또는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가 상기 범위 내가 되도록 건조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PVA의 결정 사이즈를 작게, 결정 사이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치밀한 결정의 분포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VA의 결정 사이즈를 작게 하고, 결정 사이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결정부, 구속 비결정부 및 비결정부의 합계에 대한 구속 비결정부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In the drying step, water is removed from the coating layer having a moisture content exceeding 30% by weight (hereinafter, the water content of the coating layer immediately before the drying step is referred to as "initial moisture content W1" Final water content W2 &quot;), and a PVA-based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base film. In this case, when the water content is 30% by weight (i.e., the moisture content (% by weight) is lower than 30% Of 30 to 10% by weight), it is important to appropriately adjust the average water removal 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either or both of them are set in the range of 0.01 to 1.8% by weight / second. Hereinafter, the removal rate of water at the time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ating layer becomes 30% by weight is referred to as &quot; removal rate V (30) &quot;, and the removal of the water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coating layer is in the range of 30 to 10% The speed is also referred to as &quot; average removal speed Vave (30-10) &quot;. By adjusting the drying conditions so that the removal rate V (30) and / or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are within the above range, the crystal size of PVA can be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can be shortened, can do. As described above, by decreasing the crystal size of the PVA and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atio of the confinement noncontact portion to the total of the crystal portion, the confinement noncorrection portion and the noncorrection portion.

제거 속도 V(30) 및/또는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를 상기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PVA의 결정 사이즈를 작게 또한 결정 사이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즉, 높은 편광 성능이 발현되는 것은, 함수율이 30 중량% 또는 그 근방(30~10 중량% 사이)일 때 PVA계 수지의 결정핵이 생성되기 시작하며, 또한, 도공층이 30 중량% 및/또는 그 근방의 함수율을 갖고 있을 때의 물의 제거 속도 V(30) 및/또는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를 상기 범위 내로 하여 천천히 건조를 행함으로써, 이 결정핵이 충분히 많이 생성되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정핵을 많이 생성시킴으로써 결정자의 밀도가 높아져, 보다 치밀한 결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reason why the crystal size of PVA and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can be shortened by adjusting the removal rate V (30) and / or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is presumed as follows. That is, the reason why high polarization performance is exhibited is that crystal nuclei of the PVA resin start to be generated when the water content is 30 wt% or near (between 30 and 10 wt%), and when the coating layer is 30 wt% and / Or the water removal rate V (30) and / or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when the water content near the water removal rate Vave is within the above range, . By forming a lot of crystal nuclei in this manner, the density of the crystallites is increased, and a denser crystal structure can be formed.

이에 대하여, 함수율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PVA계 수지는 균일하게 물에 용해되고 있어, PVA계 수지의 분자쇄가 균일하게 존재하고 있는 (용액)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함수율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임계 사이즈 이상의 안정적인 결정핵의 생성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함수율이 약 30 중량%까지 저하하면, 안정적인 임계 사이즈 이상의 결정핵 생성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것은, 결정핵을 형성하여 결정화하는 쪽이 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where the water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the PVA-based resin is uniformly dissolved in water,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state (solution) in which the molecular chains of the PVA-based resin are uniformly present is stable. Actually, in a region where the water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generation of stable crystal nuclei exceeding the critical size hardly occurs. If the water content is lowered to about 30% by weight, crystal nuclei of a stable critical size or larger are formed, which is considered to be more stable in forming crystal nuclei and crystallizing.

이와 같이, PVA계 수지의 결정핵은, 함수율이 약 30 중량%까지 저하했을 때에 생기기 시작하여, 그 근방, 즉 함수율이 30~10 중량%인 영역에서도 결정핵의 생성은 일어나는 것이지만, 함수율이 10 중량%를 하회하는 영역에서는, 임계 사이즈 이상의 안정적인 결정핵의 생성은 일어나기 어렵다. 이것은, 양용매인 물이 매우 적어, PVA계 수지의 분자쇄의 운동성이 과도하게 저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As described above, crystal nuclei of the PVA-based resin start to form when the water content decreases to about 30% by weight, and crystal nuclei are generated even in the vicinity thereof, that is, in the water content range of 30 to 10% by weight. In the region below the% by weight, generation of crystal nuclei stable at a critical size or more is hard to occur.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amount of water used is very small and the mobility of the molecular chain of the PVA resin is excessively lowered.

건조 공정에서는, PVA계 수지의 결정핵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함수율이 30 중량%인 시점에서의 제거 속도 V(30)를 0.01~1.8 중량%/초의 범위 내로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고/좋거나, 마찬가지로 결정핵의 생성이 생기는 함수율이 30~10 중량% 사이에서의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를 0.01~1.8 중량%/초의 범위 내로 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만, 결정핵의 생성이 생기는 전체 함수율 범위에 걸쳐 결정핵을 충분히 많이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적어도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를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거 속도 V(30) 및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 양쪽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the drying step, the removal rate V (30) at the time when the water content at which the crystal nucleus of the PVA resin starts to be 30 wt% may be adjusted to be within the range of 0.01 to 1.8 wt% / sec,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at a water content ratio of 30 to 10% by weight at which crystal nuclei are generated may be adjusted within a range of 0.01 to 1.8% by weight / second. However, it is preferable to adjust at least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within the above range, because the crystal nuclei can be sufficiently generated over the entire water content range in which the crystal nuclei are generated, and the removal rates V (30)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adjust both of the average removal speed Vave (30-10) within the above range.

상기 범위의 상한치까지 제거 속도 V(30) 및/또는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를 저하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열롤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라면, 열롤의 표면 온도를 저하시키는 방법,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라면, 열풍의 온도 및/또는 풍속을 저하시키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건조를 실시하는 환경의 습도를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함수율이 30 중량%를 크게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건조를 강화하여 되도록이면 물의 제거 속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건조 설비의 조작상, 함수율이 30 중량%가 된 순간에 급격히 제거 속도를 저하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함수율이 30 중량%에 도달하는 것보다도 어느 정도 앞의 시점에서 제거 속도를 작게 해 두는 쪽이, 제거 속도 V(30) 및/또는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를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기 쉽다. As a method for lowering the removal rate V (30) and / or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up to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range, there are a method of lowe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ot roll, For example, a method of lowering the temperature and / or the wind speed of the hot air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the humidity of the environment in which drying is performed may be increased.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removal rate of water by increasing the drying degree in the region where the water content greatly exceeds 30% by weight. However, in the operation of the drying equipment, It is more difficult to lower the removal rate at a point in time before reaching the water content of 30% by weight because the removal rate V (30) and / or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 10) within the above range.

또, 초기 함수율 W1에서부터 최종 함수율 W2까지 건조시킬 때, 시종 일정한 건조 조건으로 건조를 행하면, 도공층의 온도가 점차로 상승해 나가, 건조 도중에 물의 제거 속도가 현저히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거 속도 V(30) 및/또는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를 상기 범위 내로 하기 위해서는, 건조 조건을 건조 공정 동안 시종 일정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도중에 건조 조건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when drying is performed from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W1 to the final moisture content W2 at a constant drying con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coating layer gradually increases, and the removal rate of water during drying tends to remarkably increase. Therefore, in order to set the removal rate V (30) and / or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conditions are not made constant during the drying process but the drying conditions are relaxed on the way.

제거 속도 V(30) 및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의 상한치는, PVA계 수지의 결정핵의 밀도를 보다 높인다는 관점에서, 1.65 중량%/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중량%/초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거 속도 V(30) 및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의 하한치가 0.01 중량%/초 이상인 것은, 물의 제거 속도가 너무 느리면 결정핵의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염색 공정에서의 염색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또한 편광 필름(5)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상기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초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초 이상이다. The upper limit of the removal rate V (30) and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is preferably 1.65% by weight / second or less, more preferably 1.5% by weight / second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density of crystal nuclei of the PVA- Or less. If the removal rate is too low, the density of crystal nuclei becomes too high, and the production of a polarizing film (to be described later) The dyeing efficiency in the dyeing step in the dyeing step is lowered. From this point of view, in view of productivity of the polarizing film 5,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0.15 wt% / second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5 wt% / second or more.

이어서, 제거 속도 V(30) 및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의 측정 방법에 관해서 설명하면, 이들은 건조 공정 시작부터의 경과 시간에 대하여 도공층의 함수율을 플롯하여 얻어지는 함수율의 감소 곡선(피팅 커브)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함수율의 측정 데이터(측정점)가 충분히 조밀하게 있으면, 함수율이 30 중량%인 시점에서의 미분치로부터 그 기울기〔제거 속도 V(30)〕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다만, 실제의 측정에서는 연속적인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기는 어렵고, 충분히 조밀한 측정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거 속도 V(30)는, 함수율이 30 중량%인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측정 데이터의 평균치로서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제거 속도 V(30)는, 하기 식[a]: Next, a method of measuring the removal rate V (30) and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will be described. The reduction rate curve of the water content obtained by plotting the water content of the coating layer with respect to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drying process Curve). If the measurement data of water content (measurement point) is sufficiently dense, the inclination (removal rate V (30)) can be accurately obtained from the differential value at the time when the water content is 30% by weight. However, in actual measurement, it is difficult to obtain continuous measurement data, and in many cases, measurement data that is sufficiently dense can not be obtain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removal rate V (30) is obtained as an average value of a predetermined range of measurement data including a time point when the water content is 3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in this case, the removal rate V (30)

제거 속도 V(30)=4〔중량%〕/(함수율이 32 중량%에서 28 중량%가 되는 데 필요한 시간〔초〕) [a]Removal rate V (30) = 4 [wt%] / (time required for water content to become 28 wt% to 32 wt%) [a]

에 따라, 상기 피팅 커브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함수율이 32~28 중량% 사이에 있어서의 함수율 감소량(즉 4 〔중량%〕)을, 함수율이 32 중량%에서 28 중량%가 되는 데 필요한 시간〔초〕으로 나눈 값으로서 구해진다. (I.e., 4% by weight) at a water content of 32 to 28% by weight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fitting curve is calculated as the time required for the water content to be from 32% by weight to 28% by weight Sec].

상기 피팅 커브를 취득함에 있어서는, 제거 속도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서, 함수율의 측정 데이터의 취득은 2 중량% 정도의 간격으로 행한다. In obtaining the fitting curve, in order to accurately calculate the removal rate, measurement data of water content is obtained at an interval of about 2 wt%.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에 관해서도 상기 식[a]과 같은 식으로 구해진다. 즉,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는, 하기 식[b]: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is also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quation [a]. That is, the 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b]:

평균 제거 속도 Vave(30-10)=20〔중량%〕/(함수율이 30 중량%에서 10 중량%가 되는 데 필요한 시간〔초〕) [b]Average removal rate Vave (30-10) = 20% by weight / (Time required for water content to become 10% by weight from 30% by weight) [b]

에 따라, 상기 피팅 커브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함수율이 30~10 중량% 사이에 있어서의 함수율 감소량(즉 20 〔중량%〕)을, 함수율이 30 중량%에서 10 중량%가 되는 데 필요한 시간〔초〕으로 나눈 값으로서 구해진다. (I.e., 20% by weight) at a moisture content of 30 to 10% by weight,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fitting curve,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water content to be from 30% by weight to 10% by weight Sec].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적층체에 있어서의 PVA계 수지층의 최종적인 수분율은, 예컨대 0.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0%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이하로 할 수 있다. The final moisture content of the PVA resin layer in the laminate thus obtained is preferably 0.15% or more, more preferably 0.30% or more, and 0.40% or more. The upper limit valu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 or less.

이러한 최종적인 수분율이 중요한 이유는, 초기의 도공액의 수분율이 동일하고, 동일한 건조 시간으로 건조한 경우, 최종적인 수분율이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은, 최종적인 수분율이 낮은 수치를 보이도록 건조시킨 것과 비교하여, PVA 도공액을 비교적 완만하게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완만히 건조시킴으로써, 결정 사이 거리가 작고, 미세한 결정이 다수 형성된다. 반대로 최종적인 수분율이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은, 최종적인 수분율이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과 비교하여 급격히 건조되어, 결정 사이 거리가 크고, 비교적 큰 결정이 소수 형성된다. The reason why the final moisture content is important is that, when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coating liquid is the same and the final moisture content is high in the case of drying at the same drying tim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nal moisture content is low ,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PVA coating liquid can be dried relatively gently. By gently drying in this manner,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is small and many fine crystals are formed. On the contrary, when the final moisture content is low, the final moisture content is high,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nal moisture content is high,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is large and relatively large crystals are formed in a small number.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이유로서는, 급격히 건조시킨 경우, PVA 도공액에 온도 분포의 차가 커지기 때문에, 매우 초기의 작은 결정의 핵의 형성량이 많지는 않고, 그 후, PVA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초기에 형성된 작은 결정의 핵의 성장이 우선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큰 결정이 소수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완만하게 건조시키는 경우, PVA 도공액에 온도 분포의 차가 작기 때문에, 매우 초기의 작은 결정의 핵은 형성량을 많게 할 수 있고, 그 후, PVA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결정은 소기에 형성된 작은 결정이 많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커지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as follows. When the PVA coating is rapidly dried, the difference 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PVA coating solution becomes large, so that the formation amount of nuclei of very small initial crystals is not large. Thereafter, Since the growth of the nuclei of the formed small crystals proceeds preferentially, it is considered that a large number of crystals are formed in a small amou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entle drying, since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distribution is small in the PVA coating liquid, the nuclei of very small initial crystals can be formed in a large amount, and thereafter, as the PVA concentration becomes high, Since there are many small crystals, it is thought that it is hard to increase finally.

본 발명에 있어서, 최종적인 PVA계 수지층의 수분율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항에 따라, 건조 중량법과 IR 수분율계로부터 얻어지는 검량선으로부터 구해지는 값을 채용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nal PVA resin layer is determined from the calibration curve obtained from the dry weight method and the IR moisture content meter according to the examples of the later-described examples.

PVA계 수지층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수분율을 조정함으로써, PVA의 배향도 및 구속 비결정부의 함유비를 조정할 수 있다. By adjusting the moisture content in the drying step of the PVA resin layer, the degree of orientation of the PVA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constraining non-crystal portion can be adjusted.

(연신 공정(단계 S2))(Drawing step (step S2))

단계 S2의 연신 공정에서는, 단계 S1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연신한다.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기재 필름과 PVA계 수지층이 적층되어 연신된 연신 기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In the stretching step of step S2, the laminate obtained in step S1 is stretched while being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stretching the laminate, the base film and the PVA resin layer are laminated to obtain a stretched base film.

연신 공정은, 기재 필름 및 PVA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이다.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처리는 통상 일축 연신이다. The stretching step is a step of stretching a laminated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PVA-based resin layer. The stretching treatment in the stretching step is usually uniaxial stretching.

적층 필름의 연신 배율은, 원하는 편광 특성 및 라멜라형 결정의 두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필름의 원길이에 대하여 1.1배~17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8배이다. 연신 배율이 17배를 초과하면, 연신 시에 필름의 파단이 생기기 쉬워짐과 더불어, 적층 필름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얇아져, 후속 공정에서의 가공성 및 취급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laminated film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thickness of the lamellar crystal. It is preferably 1.1 to 17 times, more preferably 1.5 to 8 times the original length of the laminated film. When the draw ratio is more than 17 times, the film tends to be broken at the time of stretching, and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d film becomes thinner than necessary, which may lower the workability and handleability in subsequent steps.

연신 처리는, 1단에 의한 연신에 한정되지 않고 다단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단계의 연신 처리 전부를 염색 공정 전에 연속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2번째 단계 이후의 연신 처리를 염색 공정에 있어서의 염색 처리 및/또는 가교 처리와 동시에 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다단으로 연신 처리를 하는 경우는, 연신 처리의 전체 단을 합쳐서 4배 초과의 연신 배율이 되도록 연신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etching treatment is not limited to stretching in one stage but may be performed in multiple stages. In this case, all of the multi-stage drawing process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before the dyeing process, and the drawing process after the second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dyeing process and / or the crosslinking process in the dyeing process. In such a multi-stage stretching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stretch all the stages of the stretching treatment so as to have a stretching ratio of more than four times.

연신 처리는, 필름 길이 방향(필름 반송 방향)으로 연신하는 세로 연신일 수 있는 것 외에, 필름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가로 연신 또는 경사 연신 등이라도 좋다. 세로 연신 방식으로서는, 롤을 이용하여 연신하는 롤간 연신, 압축 연신, 척(클립)을 이용한 연신 등을 들 수 있고, 가로 연신 방식으로서는, 텐터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처리는, 습윤식 연신 방법, 건식 연신 방법의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지만, 건식 연신 방법을 이용하는 쪽이 연신 온도를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The stretching treatment may be longitudinal stretching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film transport direction), transverse stretching or oblique stretching in stretching in the film width direction, or the like. Examples of the longitudinal stretching method include roll-to-roll stretching using a roll, compression stretching, and stretching using a chuck. The transverse stretching method includes a tenter method and the like. Any of the wet drawing method and the dry drawing method can be used for the drawing treatment, but a dry drawing method is preferable because the drawing temperature can be selected within a wide range.

연신 온도는, PVA계 수지층 및 기재 필름 전체가 연신 가능할 정도로 유동성을 보이는 온도 이상으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기재 필름의 상전이 온도(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의 -30℃ 내지 +30℃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0℃의 범위이다. 기재 필름이 복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상전이 온도는 상기 복수의 수지층이 보이는 상전이 온도 중, 가장 높은 상전이 온도를 의미한다.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set to b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whole of the PVA resin layer and the base film can be stretched so as to exhibit fluidity and is preferably set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 30 占 폚 of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melt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 C to + 5 ° C,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 C to + 0 ° C. When the base film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sin layers,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means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which is the highest among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s seen in the plurality of resin layers.

연신 온도를 상전이 온도의 -30℃보다 낮게 하면, 4배 초과의 고배율 연신이 달성되기 어렵거나 또는 기재 필름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낮아 연신 처리가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연신 온도가 상전이 온도의 +30℃를 초과하면, 기재 필름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커 연신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4배 초과의 고연신 배율을 보다 달성하기 쉬우므로, 연신 온도는 상기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30 캜 of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high-magnification stretching exceeding 4 times is not easily attained, or the fluidity of the base film is too low to make the stretching process difficult.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exceeds + 30 ° C of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he fluidity of the base film becomes too high, and the stretching tends to be difficult.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within the above range, more preferably 120 deg. C or more, since it is easier to achieve a high draw ratio of more than 4 times.

또한, PVA계 수지로서는 연신 온도를 120℃ 이상 17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로 함으로써, 연신 시의 열에 의한 라멜라형 결정(50)(도 2 참조)의 성장을 억제하여, 라멜라형 결정(50)의 결정 사이즈를 작게, 결정 사이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치밀한 결정의 분포로 할 수 있다. Further, as the PVA resin,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drawing temperature to not less than 120 ° C and not more than 170 ° C.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rowth of the lamellar crystal 50 (see FIG. 2) due to heat at the time of stretching, to reduce the crystal size of the lamellar crystal 50 and to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As shown in FIG.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적층 필름의 가열 방법으로서는, 존 가열법(예컨대, 열풍을 불어 넣어 소정의 온도로 조정한 가열로와 같은 연신 존 내에서 가열하는 방법.), 롤을 이용하여 연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롤 자체를 가열하는 방법, 히터 가열법(적외선 히터, 할로겐 히터, 패널 히터 등을 적층 필름의 상하에 설치하여 복사열로 가열하는 방법) 등이 있다. 롤간 연신 방식에 있어서는, 연신 온도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존 가열법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heating method of the laminated film in the stretching treatment include a zone heating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heating in a stretching zone such as a heating furnace blowing hot air and adjus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method of heating the roll itself, a heater heating method (a method of heating an infrared heater, a halogen heater, a panel heater or the lik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laminated film and heating it by radiant heat), and the like. In the roll-to-roll stretching method, the zone heating metho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ormity of the stretching temperature.

여기서, 연신 온도란, 존 가열법의 경우, 존 내(예컨대 가열로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의미하고, 히터 가열법에 있어서도 로 내에서 가열을 하는 경우는 로 내의 분위기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롤 자체를 가열하는 방법의 경우는, 롤의 표면 온도를 의미한다. Here, the stretching temperature mean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e zone (for example, in the heating furnace) in the case of the zone heating method, and 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furnace mean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e furnace.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heating the roll itself, it means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ll.

연신 공정에 앞서서, 적층 필름을 예열하는 예열 처리 공정을 두어도 좋다. 예열 방법으로서는,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가열 방법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열 온도는, 연신 온도의 -50℃ 내지 ±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 온도의 -40℃ 내지 -1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rior to the stretching process, a preheating process for preheating the laminated film may be performed. As the preheating method, the same method as the heating method in the stretching treatment can be used. The pre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占 폚 to 占 0 占 폚 of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占 폚 to -10 占 폚 of the stretching temperature.

또한, 연신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처리 후에, 열고정 처리 공정을 두어도 좋다. 열고정 처리는, 연신 적층 필름의 단부를 클립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긴장 상태로 유지하면서, 결정화 온도 이상에서 열처리를 행하는 처리이다. 이 열고정 처리에 의해서 연신 필름의 결정화가 촉진된다. 열고정 처리의 온도는 연신 온도의 -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 온도의 -0℃~-5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fter the stretching treatment in the stretching step, a heat fixing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The heat setting process is a process of performing heat treatment at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r higher while keeping the end portion of the oriented laminated film in a state of being held in a state of being held by a clip. By this heat setting treatment, the crystallization of the stretched film is promote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etting treatm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80 占 폚 of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more preferably -0 to -50 占 폚 of the stretching temperature.

(염색 공정(단계 S3))(Dyeing step (step S3))

단계 S3의 염색 공정에서는, PVA계 수지층을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여 흡착 배향시키는 공정이다. In the dyeing step of step S3, the PVA-based resin layer is dyed with a dichroic substance and adsorbed and oriented.

염색 공정은, 요오드를 함유하는 용액(염색 수용액)에 기재 필름과 PVA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 전체를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염색 수용액으로서는 요오드를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물이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가 추가로 첨가되어도 좋다. 염색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7 중량%이다. The dyeing step can be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entire laminated film composed of the base film and the PVA-based resin layer in a solution (aqueous dyeing solution) containing iodine. As the dyeing aqueous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iodine is dissolved in a solvent can be used. As the solvent, water is generally used, but an organic solvent having compatibility with water may be further added. The concentration of iodine in the dyeing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0.01 to 1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02 to 7% by weight.

염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염색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염색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20 중량%이다. 요오드화물 중에서도 요오드화칼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칼륨을 첨가하는 경우,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의 비율은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5~1: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80이다. It is preferable to add iodide to the dyeing aqueous solution because the dye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Examples of the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and titanium iodide. The concentration of iodide in the dyeing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0.01 to 20% by weight. It is preferable to add potassium iodide even in iodide. When potassium iodide is added, the weight ratio of iodine to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y 1: 5 to 1: 100, more preferably 1: 6 to 1:80.

염색 수용액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from 10 to 60 캜, more preferably from 20 to 40 캜.

(가교 공정(단계 S4))(Crosslinking step (step S4))

단계 S4의 가교 공정에서는, 이색성 물질로 염색된 수지 필름(이하, 염색 필름)을, 제1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욕에 침지한다. 이 때, 가교욕 중에서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붕산, 붕사와 같은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1종만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가교 용액의 용매로서는 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좋다. 가교 용액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2~2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이다. In the step of crosslinking in step S4, a resin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yed film) dyed with a dichroic substance i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containing the first crosslinking agent. At this time, the resin film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rosslinking bath.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glyoxal, and glutaraldehyde.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the solvent of the crosslinking solution, water may be used, but an organic solvent which is compatible with water may be further included. The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crosslinking solution is preferably 0.2 to 2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5 to 10% by weight.

가교 용액은 요오드화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의 첨가에 의해, 편광 필름(5)의 면내에 있어서의 편광 성능을 보다 균일화시킬 수 있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상기와 마찬가지다. 가교 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5~15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 중량%이다. 가교 용액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90℃이다. The crosslinking solution may further comprise iodide. By adding iodide,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in the plane of the polarizing film 5 can be made more uniform. Specific examples of the iodide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concentration of iodide in the crosslinking solution is preferably 0.05 to 1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5 to 8% by weight.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solution is preferably 1 to 90 占 폚.

또 가교 처리는, 가교제를 염색 수용액 중에 배합함으로써, 염색 처리와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조성이 다른 2종 이상의 가교 용액을 이용하여, 가교 용액에 침지하는 처리를 2회 이상 행하여도 좋다. The crosslinking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with the dyeing treatment by blending the crosslinking agent into the dyeing aqueous solution. The treatment of immersing in a crosslinking solution may be carried out two or more times using two or more crosslinking solution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단계 S4의 가교 공정 후, 세정 공정 및 건조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공정은 통상 물 세정 공정을 포함한다. 물 세정 처리는, 이온교환수, 증류수와 같은 순수에 염색 처리 후의 또는 가교 처리 후의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물 세정 온도는 통상은 3~50℃, 바람직하게는 4~20℃이다. 세정 공정은 물 세정 공정과 요오드화물 용액에 의한 세정 공정의 조합이라도 좋다. 세정 공정 후에 행해지는 건조 공정으로서는,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 등의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 건조의 경우, 건조 온도는 통상 20~95℃이다. After the crosslinking step of step S4,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a washing step and a drying step. The cleaning process usually includes a water cleaning process. The water wash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film after the dyeing treatment or the crosslinking treatment on pure water such as ion-exchanged water or distilled water. The water washing temperature is usually 3 to 50 占 폚, preferably 4 to 20 占 폚. The cleaning process may be a combination of a water cleaning process and a cleaning process using an iodide solution. As the drying step performed after the cleaning step, any suitable method such as natural drying, air blow drying, and heat drying can be employ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heat drying, the drying temperature is usually 20 to 95 ° C.

또한, 세정 공정 및 세정 공정을 거친 후에, PVA계 수지층을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시킴으로써 편광 필름(5)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after the cleaning step and the cleaning step, the polarizing film 5 can be formed by peeling the PVA resin layer from the base film. The method of peeling off the b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ly known methods can be used.

이상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편광 필름(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편광 필름(5)의 한쪽의 면에, 접합제(15)를 통해 보호막(10)을 접합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하는 편광판(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film 5 can be formed by carrying out the above steps. The polarizing plate 1 shown in Fig. 1 can be formed by bonding the protective film 10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5 through the bonding agent 15. [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5)에 따르면, PVA의 배향도 및 구속 비결정부의 함유 비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막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PVA의 배향도 및 구속 비결정부의 함유 비율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열 이력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향도 및 구속 비결정부의 함유 비율은, 제조 공정 중의 PVA계 수지층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수분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olarizing film 5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m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orientation degree of the PVA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constraining non-crystal por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orientation of the PVA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constraining non-crystal phase can be adjusted by the thermal histor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More specifically, the degree of orientation and the content ratio of the constraining non-crystal portion can be adjusted by the moisture content in the drying step of the PVA-based resin layer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편광판(2)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2 of the secon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2)은 양면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이며,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편광 필름(5)의 양측의 면에 보호막(10)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양태의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polarizing plate 2 of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protective film 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5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same mod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편광판(2)은, 편광 필름(5)과, 편광 필름(5)의 양쪽의 면 측에 각각 위치하는 보호막(10)과, 편광 필름(5)과 각각의 보호막(10)과 접합하는 접합제(접착제 또는 점착제)(15)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광 필름(5)의 양면에 설치된 한 쌍의 보호막(10)은 동등한 구성을 갖춘 것이지만, 이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이라도 다른 두께의 보호 필름이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보호막(10)을 각각 편광 필름(5)과 접합하는 접합제(15)는 상호 다른 종류의 접합제라도 좋다. The polarizing plate 2 includes a polarizing film 5 and a protective film 10 position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5 and a polarizing film 5 and a protective film 10 (Adhesive 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1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protective films 1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5 are of the same structure, but may be protective films made of different kinds of resins or protective film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Similarly, the bonding agent 15 for bonding the pair of protective films 10 to the polarizing film 5 may be mutually different kinds of bonding agents.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5는 제3 실시형태의 편광판(3)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양태의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configur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3 of the third embodiment. Th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same mod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3)은, 편광 필름(5)과, 편광 필름(5)의 한쪽의 면에 적층된 점착층(16)을 구비한다. 점착층(16)은, 편광판(3)을 다른 부재(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액정 셀)에 접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3)에 있어서, 점착층(16)은, 편광 필름(5)의 한쪽의 면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The polarizing plate 3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olarizing film 5 and an adhesive layer 16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5. [ The adhesive layer 16 is used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3 to another member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cell in the case of applying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the polarizing plate 3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layer 16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5, but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실시형태의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예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제반 형상이나 조합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The shape, combination, and the lik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are merely examples,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based on a design requirement or the lik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공층의 함수율 측정에는, 가부시키가이샤 치노 제조의 IR 수분율계(적외선 다성분계) 「IRMA-5162S」를 이용했다. IR water content meter (IR multi-component) "IRMA-5162S" manufactured by Kabushiki Kaisha Shino was used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of the coating layer.

검량선은, 함수율이 다른 10점의 필름 샘플을 준비하고, 이들 샘플에 관해서 하기 식[c](건조 중량법)에 따라 함수율을 측정함과 더불어, 상기 IR 수분율계 「IRMA-5162S」를 이용하여 물에 유래하는 적외 흡수의 강도를 측정하고, 얻어진 함수율과 적외 흡수의 강도의 대응 관계를 플롯하여 일차식으로 근사함으로써 얻었다. 필름 샘플에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PVA)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도공하여 이루어지는 도공층을 갖는 도공 필름을 이용했다. 이 수용액은 휘발분으로서 물만을 포함한다. The calibration curves were obtained by preparing 10 film samples with different water contents and measuring the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c] (dry weight method) with respect to these samples and measuring the water content by using the IR moisture meter "IRMA- 5162S" And plotting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obtained water content and the intensity of infrared absorption, and approximating it by a linear equation. As the film sample, a coated film having a coated layer formed by coat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PVA) on the same base film as us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used. This aqueous solution contains only water as a volatile component.

상기 식[c](건조 중량법)에 따라서 함수율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필름 샘플 각각에 관해서 하기의 (1), (2) 및 (3)의 측정을 순차 행하고, 하기 식[c]: (1), (2) and (3) are sequentially performed on each of the film samples to measure the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above formula (c) (dry weight method)

함수율=Moisture content =

{[(1)의 측정치-(2)의 측정치]/[(1)의 측정치-(3)의 측정치]}×100 [c](Measured value of (1) - measured value of (2)] / [measured value of (1) - measured value of (3)

에 따라 건조 중량법에 의한 함수율을 구했다. The moisture content by the dry weight method was determined.

(1) 필름 샘플인 도공 필름의 중량(건조 처리 전)을 측정, (1) Measuring the weight (before drying treatment) of the coated film as a film sample,

(2) 105℃×2시간의 건조 처리 후의 도공 필름의 중량을 측정, (2) The weight of the coated film after drying at 105 ° C for 2 hours was measured,

(3) 도공층을 박리 제거하여, 남는 기재 필름의 중량을 측정. (3) Peeling off the coating laye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remaining base film.

이 때,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함수율은, 상기 IR 수분율계 「IRMA-5162S」에 의한 측정치를, 상기 검량선의 일차식에 대입하여 산출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water content in each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measured value by the IR moisture content meter "IRMA-5162S" into the first equation of the calibration curve.

<실시예 1>&Lt; Example 1 >

(1) 프라이머층 형성 공정 (1) Primer layer formation process

PVA 분말(닛폰고세이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Z-200」, 평균 중합도 1100, 비누화도 99.5 몰%)을 95℃의 열수에 용해하여, 농도 3 중량%의 PVA 수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수용액에 가교제(다오카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스미레즈레진(등록상표) 650」)를 PVA 분말 6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공액을 얻었다. PVA powder (&quot; Z-200 &quot;,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1100, saponification degree: 99.5 mol%) manufactured by Nippon Gosei Chemical Industry Co., Ltd. was dissolved in hot water at 95 캜 to prepare a PVA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3% by weight. The obtained aqueous solution was mixed with 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Sumirez Resin (registered trademark) 650" manufactured by Daoka Chemical Co., Ltd.) per 6 parts by weight of the PVA powder to obtain a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 primer layer.

이어서, 기재 필름으로서 두께 90 ㎛의 미연신의 폴리프로필렌(PP) 필름(융점: 163℃)을 준비하여, 그 한쪽 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그 코로나 처리면에 소직경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공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0.2 ㎛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Subsequently, a non-stretched polypropylene (PP) film (melting point: 163 DEG C) having a thickness of 90 mu m was prepared as a base film, one side of which wa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nd then a corona- A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 primer layer was applied and dried at 80 DEG C for 10 minutes to form a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 mu m.

(2) 적층 필름의 제작(도공 공정, 건조 공정) (2) Production of laminated film (coating process, drying process)

PVA 분말(가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의 「PVA124」,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8.0~99.0 몰%)을 95℃의 열수에 용해하여, 농도 7.5 중량%의 PVA 수용액을 조제했다. 상기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층을 갖는 기재 필름의 프라이머층 표면에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농도 7.5 중량%의 PVA 수용액을 도공하여, 두께 130 ㎛의 도공층을 형성했다(도공 공정). PVA powder ("PVA 124" manufactured by Kabushiki Kaisha Kurara Co., Ltd.,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2400, degree of saponification: 98.0 to 99.0 mol%) was dissolved in hot water at 95 ° C to prepare a PVA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7.5% by weight. A PVA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7.5% by weight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of the base film having the primer layer prepared in the above (1) using a die coater to form a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30 탆 (coating step).

그 후, 85℃의 열풍을 분무함으로써 도공층을 건조시켰다(건조 공정). Thereafter, the coated layer was dried by spraying hot air at 85 캜 (drying step).

이 때, 건조 도중의 함수율을 상기 IR 수분율계 「IRMA-5162S」로 모니터링하면서 PVA계 수지층의 함수율이 0.58 중량%가 된 시점에서 건조 공정을 종료하여, 기재 필름/프라이머층/PVA 필름(PVA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얻었다. PVA 필름의 두께는 9.3 ㎛였다. At this time, when the moisture content during drying was monitored by the IR moisture meter "IRMA-5162S", the drying process was terminated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VA resin layer reached 0.58 wt%, and the base film / primer layer / PVA film Based resin layer) was obtained. The thickness of the PVA film was 9.3 탆.

(3) 연신 필름의 제작(연신 공정)(3) Production of stretched film (stretching process)

상기 (2)에서 제작한 적층 필름에 대하여, 플로우팅의 세로 일축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150℃에서 5.3배의 자유단 일축 연신을 실시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연신 후의 PVA 필름의 두께는 5.1 ㎛였다. The laminated film prepared in (2) above was subjected to free uniaxial stretching at 150 캜 at a stretching ratio of 5.3 times using a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apparatus for floatation to obtain a stretched film. The thickness of the PVA film after stretching was 5.1 占 퐉.

(4) 편광성 적층 필름의 제작(염색 공정)(4) Production of a polarizing laminated film (dyeing process)

상기 (3)에서 제작한 연신 필름을,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30℃의 염색 수용액(물 100 중량부 당 요오드를 0.6 중량부, 요오드화칼륨을 5.0 중량부 포함한다.)에 후의 평가에서 측정되는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이 41.5% 정도가 되도록 적절하게 침지 시간을 조정하여 연신 필름을 염색 처리한 후, 10℃의 순수로 여분의 염색 수용액을 씻어 버렸다. The stretched film prepared in the above (3) was measured in a later evaluation with a dyeing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containing 0.6 parts by weight of iodine and 5.0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modified film was subjected to dyeing treatmen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immersion time such that the visually-perceptible corrected single-beam transmittance Ty was about 41.5%, and then the excess dyeing solution was washed with pure water at 10 占 폚.

이어서, 붕산을 포함하는 78℃의 제1 가교 수용액(물 100 중량부 당 붕산을 9.0 중량부 포함한다.)에 180초간 침지하고, 이어서, 붕산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70℃의 제2 가교 수용액(물 100 중량부 당 붕산을 5.0 중량부, 요오드화칼륨을 4.4 중량부 포함한다.)에 90초간 침지하여 가교 처리를 했다. 그 후, 10℃의 순수에 약 10초 침지하고, 그 후 곧바로 에어 블로워(air blower)를 이용하여 표면에 부착된 수분을 제거하고, 65℃의 오븐에 240초 투입하여,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었다. Subsequently, the resultant was immersed in a first crosslinked aqueous solution (containing 9.0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containing boric acid at 180 DEG C for 180 seconds, and then a second crosslinked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nd potassium iodide (Containing 5.0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and 4.4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for 90 seconds to carry out crosslinking treatment. Thereafter,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10 캜 for about 10 seconds, and immediately thereafter, water adhering to the surface was removed by using an air blower. The film was then put into an oven at 65 캜 for 240 seconds, A polarizing laminated film was obtained.

(5)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의 제작(접합 공정, 박리 공정)(5) Production of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rotective film (joining step, peeling step)

상기 (4)에서 제작한 편광성 적층 필름의 편광 필름 상에,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인 「KR-75T」)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통해, 보호 필름〔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 필름(닛폰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23 ㎛ 두께의 「제오노아(등록상표)」)〕를 접합했다. O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produced in the above (4), a protective film (cyclo-cyclohexane-based polymer) was laminated o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prepared in the above (4) through an adhesive layer composed of an ultraviolet ray curable adhesive ("KR-75T", which is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manufactured by ADEKA,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de of an olefin resin (&quot; Zeonoa (registered trademark) &quot;,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thickness of 23 mu m) was bonded.

이어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성 적층 필름을 얻었다(제1 접합 공정). 그 후, 얻어진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성 적층 필름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하여, 일면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을 얻었다(박리 공정). 그 후,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한 면에, 「KR-75T」를 통해 보호 필름(23 ㎛ 두께의 「제오노아(등록상표)」)을 접합했다. 이어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양면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을 얻었다(제2 접합 공정). Subsequently, the adhesive layer wa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to obtain a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a protective film (first bonding step). Thereafter, the base film was peeled off from the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the obtained protective film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one-side protective film (peeling step). Thereafter, a protective film ("Zeonoa (registered trademark)" with a thickness of 23 μm) was bond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base film was peeled and removed through "KR-75T". Subsequently, the adhesive layer wa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double-side protective film (second bonding step).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1.7%이고,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5%였다. 또한, 결정 사이 거리는,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흡수축 방향)이 16.4 nm이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투과축 방향)이 2.8 nm였다.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41.7%, and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was 99.995%.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was 16.4 nm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2.8 nm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ransmission axis direction).

(6) 편광도의 측정(6)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얻어진 양면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에 관해서, 흡광광도계(닛폰분코(주)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를 측정했다. 측정함에 있어서는, 편광 필름 측에 입사광이 조사되도록 양면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 샘플을 세팅했다. Ty 및 Py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having the obtained double-sided protective film, the visual sensitivity-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Ty and visibility-corrected polarized light Py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In the measurement, a polarizing plate sample having a double-side protective film was set so that incident light was irradiated on the polarizing film side. The measurement results of Ty and Py are shown in Table 1.

(7) 찌르기 강도의 측정(7) Measurement of sting intensity

찌르기 시험은, 직경 1 mm, 선단의 곡율 반경 0.5 R의 찌르기 지그를 장착한 소형 탁상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의 상품명 "EZ Test(등록상표)"〕에 편광 필름을 고정하여 행했다. 측정은, 온도 23±3℃의 환경 하에서, 찌르기 속도 0.33 cm/초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찌르기 시험에서 측정되는 찌르기 강도는, 시험편 10 개에 대하여 찌르기 시험을 실시하여 시험편이 투과축 방향으로 터졌을 때의 강도에 관해서, 수치의 상위 3개와 하위 3개를 제외한 4개의 평균치로 했다. 그 평균치를 편광 필름의 막 두께로 나누어, 단위 막 두께 당 찌르기 강도를 구했다. The sticking test was carried out by fixing a polarizing film to a small desk tester (trade name "EZ Test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Shimadzu Seisakusho Co., Ltd.) equipped with a sticking jig having a diameter of 1 mm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0.5 R .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 占 占 폚 and at a threshing speed of 0.33 cm / sec. The stab intensity measured in the stab test was determined by four averages excluding the top three and the bottom three of the numerical values with respect to the strength when the test piece was thrown in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by performing the stab test on the ten test pieces. The average value was divided by the film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tuck intensity per unit film thickness was obtained.

(8) WAXD (8) WAXD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PVA계 수지의 흡수축 방향(MD, 연신 방향)으로의 배향성을 나타내는 「배향도」를, 광각 X선 회절(WAXD: Wide Angle X-ray Diffraction)의 스루법에 의해 구했다. 우선, 얻어진 편광 필름으로부터, MD 방향을 긴 변으로 하는 장방형의 필름을 여러 장 잘라냈다. 잘라낸 필름을, 이들의 MD가 평행하게 되도록 여러 장 겹쳐 고정하여, 이것을 측정용 시료로 했다. 측정용 시료의 두께는 0.05 mm 정도로 했다. 하기의 X선 회절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용 시료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하기의 X선 출력 조건으로 X선을 측정용 시료의 한쪽의 표면에 조사하여, 투과법에 의한 회절상을 촬상했다. Orientation degree &quot; indicating the orientation i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MD,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VA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was determined by the through-angle method of wide angle X-ray diffraction (WAXD). First, a plurality of rectangular films having long sides in the MD direction were cut out from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The cut films were stacked so that their MDs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used as measurement samples. The thickness of the measurement sample was about 0.05 mm. The following X-ray diffraction apparatus was used to irradiate one surface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with X-rays under the following X-ray output conditions from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and the diffraction image by the transmission method was picked up .

X선 회절 장치: 가부시키가이샤 리가크 제조의 「NANO-Viewer」, X-ray diffraction apparatus: "NANO-Viewer" manufactured by Rigaku Corporation,

X선 출력 조건: Cu 타겟, 40 kV, 20 mA. X-ray output conditions: Cu target, 40 kV, 20 mA.

얻어진 회절상으로부터, 회절 각도 2θ=20° 부근의 피크에 관해서, 2θ=19.5~20.5°의 범위를 원환적분에 의해서, 미보정 방위각 분포 곡선(방위 각도(β 각도)-강도 분포 곡선)을 산출했다. 미보정 방위각 분포 곡선이란, 백그라운드 보정을 실시하기 전의 방위각 분포 곡선을 말한다. 이어서, X선 광축 상에서 측정용 시료를 떼어낸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을 하여, 방위각 분포 곡선의 백그라운드를 산출했다. 투과율 보정을 행한 후, 상기한 미보정 방위각 분포 곡선으로부터 백그라운드를 제거하고, 백그라운드 보정 후의 방위각 분포 곡선(이하, 단순히 「방위각 분포 곡선」이라고도 한다.)을 얻었다. 이 방위각 분포 곡선에 있어서의 피크는 배향성 피크이며, 본 측정에서는, 측정용 시료의 MD를 연직 방향으로 설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나타나는 배향성 피크의 최대 강도에 있어서의 β 각도를 0°로 했다. 배향성 피크의 최대 강도에 있어서의 β 각도(0°와 180°)는, 편광 필름의 MD에 배향한 성분에 유래한다. 얻어진 방위각 분포 곡선으로부터, 하기 식: From the obtained diffraction image, an undefined azimuth distribution curve (azimuth angle (beta angle) - intensity distribution curve) was calculated by annular integration in the range of 2? = 19.5 to 20.5 with respect to the peak near the diffraction angle 2? . The uncorrected azimuth distribution curve refers to an azimuth distribution curve before background correction is performed. Subsequently, measurements were made under the same conditions except that the sample for measurement was removed on the X-ray optical axis, and the background of the azimuth distribution curve was calculated. After the transmittance correction was performed, the background was removed from the above-mentioned unmodified azimuth distribution curve, and an azimuth distribution curve after the background correc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zimuth distribution curve") was obtained. The peak in this azimuth distribution curve is an orientation peak. In this measurement, the MD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ngle beta at the maximum intensity of the orientation peak appear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et to 0 DEG. The? -Angle (0 ° and 180 °) in the maximum intensity of the orientation peak is derived from the component oriented in the MD of the polarizing film. From the obtained azimuth distribution curve,

배향도(%)=(360-W)/360(%) = (360-W) / 360

에 따라 배향도를 구했다. W는, 방위각 분포 곡선의 피크 전체의 적분치를 100%로 할 때에 적분치가 50%가 되는 피크 전체 폭을 모든 배향성 피크에 관해서 구했을 때의 이들의 합이다. 상기 피크 전체 폭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는, 피크가 최대 강도를 보이는 β 각도(°)와 합치한다. . And W is the sum of the total peak width at which the integral value becomes 50% when the integrated value of the entire peak of the azimuth distribution curve is 100% and the total peak width is obtained with respect to all the orientation peaks. The center position (°) in the entire peak width agrees with the beta angle (°) at which the peak shows the maximum intensity.

(9) SAXS (9) SAXS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PVA계 수지의 라멜라 사이즈를, 소각 X선 산란(SAXS: Small Angle X-ray Scattering)의 스루법에 의해 구했다. The lamellar size of the PVA-based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was determined by the through-passing method of SAXS (Small Angle X-ray Scattering).

상기 (8)의 WAXD와 같은 식으로 잘라낸 편광 필름을, 이들의 MD가 평행하게 되도록 여러 장 겹쳐 고정하여, 이것을 측정용 시료로 했다. 측정용 시료의 두께는 0.05 mm 정도로 했다. 하기의 소각 X선 산란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용 시료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하기의 X선 출력 조건으로 X선을 측정용 시료의 한쪽의 표면에 조사하여, 투과법에 의한 소각 X선 산란상을 촬상했다. A polarizing film cut in the same manner as WAXD in (8) above was stacked and fixed several times so that their MDs we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is wa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The thickness of the measurement sample was about 0.05 mm. The following X-ray output conditions were used to irradiate one surface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from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ample for measurement by the following incineration X-ray scattering apparatus, Ray image.

소각 X선 산란 장치: 가부시키가이샤 리가크 제조의 「NANO-Viewer」, Incinerating X-ray scattering device: "NANO-Viewer" manufactured by Rigaku Co.,

X선 출력 조건: Cu 타겟, 40 kV, 20 mA. X-ray output conditions: Cu target, 40 kV, 20 mA.

얻어진 소각 X선 산란상으로부터, MD 방향과 TD 방향에 관해서, 각각의 방위각으로부터 ±10도의 범위를 섹터 평균함으로써, MD 방향과 TD 방향의 미보정 섹터 프로파일(산란 벡터(q)-강도 분포)을 산출했다. 미보정 섹터 프로파일이란, 백그라운드 보정을 실시하기 전의 섹터 프로파일을 말한다. 이어서, X선의 광축 상에서 측정용 시료를 떼어낸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을 하여, 섹터 프로파일의 백그라운드를 산출했다. 투과율 보정을 행한 후, 상기한 미보정 섹터 프로파일로부터 백그라운드를 제거하여, 백그라운드 보정 후의 섹터 프로파일(이하, 단순히 「섹터 프로파일」이라고도 한다.)을 얻었다. MD 방향과 TD 방향의 섹터 프로파일에 q2 곱한 곡선에 있어서의 피크 톱의 산란 벡터 qa와 qb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서 라멜라형 결정 사이의 거리 Wa와 Wb를 구했다. (Sector (q) -strength distribution)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by sector averaging the range of ± 10 degrees from the respective azimuth angles with respect to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from the obtained small angle X-ray scattering image Respectively. The uncompensated sector profile refers to a sector profile before background correction is performed. Subsequently, measurement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except that the measurement sample was remov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X-ray to calculate the background of the sector profile. After performing the transmittance correction, the background is removed from the above-mentioned uncompensated sector profile to obtain a sector profile after background correc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sector profile"). The distances Wa and Wb between the lamella type crystals were obtained from the peak top qa and qb of the peak top in the curved lin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sector profile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by q 2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Wa=2π/qaWa = 2 pi / qa

Wb=2π/qbWb = 2? / Qb

(10) 편광 필름에 있어서의 비정질 성분량(10) Amorphous component amount in polarizing film

편광 필름을 구성하는 PVA계 수지의 비정질 성분량을, 펄스 NMR(1H)에 의해 구했다. 우선, 5 mm×5 m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 편광 필름 약 50 mg을, 중수 1 mL와 함께 NMR 튜브에 투입하여 침지시켰다. 그 NMR 튜브를 60℃의 온수조 중에서 1시간 가열했다. 그 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펄스 NMR를 이용하여 스핀-스핀 완화 시간 T2을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The amount of the amorphous component of the PVA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was determined by a pulse NMR ( 1 H). First, about 50 mg of a polarizing film cut to a size of about 5 mm x 5 mm was immersed in an NMR tube together with 1 mL of heavy water. The NMR tube was heated in a hot water bath at 60 占 폚 for 1 hour. After that, the film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the spin-spin relaxation time T2 was measured by using pulsed NMR. 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펄스 NMR 장치: 브루커 바이오스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minispec mq20Pulse NMR apparatus: minispec mq20 manufactured by Bruker BioSpin Co., Ltd.

펄스 계열: 솔리드 에코법Pulse series: Solid echo method

펄스 폭: 2.8 ㎲ Pulse width: 2.8 ㎲

펄스 반복 시간: 1 sPulse repetition time: 1 s

적산 횟수: 256회 Accumulation count: 256 times

측정 온도: 30℃ Measuring temperature: 30 ° C

측정하여 얻어진 자유 유도 감쇠(FID) 신호를, 선형 최소제곱법에 의해서 하기 식에 피팅하여, 각 성분의 완화 시간의 차이로부터 결정 성분량(A1)과 구속 비결정성분량(A2), 비정질 성분량(A3)을 구하여, 이들 3 성분의 합계(A1+A2+A3)에 대한 각 성분의 백분율(%)을 산출했다.(FID) signal obtained by the measurement is fitted to the following equation by the linear least squares method to calculate the crystalline component amount A1, the constrained amorphous component amount A2 and the amorphous component amount A3 from the difference in relaxation time of each component, And the percentage (%) of each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sum (A1 + A2 + A3) of these three components was calculated.

Figure 112017022657217-pat00001
Figure 112017022657217-pat00001

(11) 냉열충격 시험 시의 PVA 크랙의 확인(11) Confirmation of PVA crack at the time of cold shock test

양면 보호 필름을 지닌 편광판 샘플의 제2 보호 필름 측을 코로나 처리하고, 그 표면에 양면에 세퍼레이트 필름으로 끼워진 점착제를 한 면의 세퍼레이트 필름을 벗기고, 벗겨낸 면을 접착하여, 점착제층을 설치했다. 그 후, 이 적층체를 점착제의 세퍼레이트 필름 측으로부터, 수퍼커터(PNI-600[가부시키가이샤 오기노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로, 편광판의 연신 방향으로 120 mm, 연신 방향과 직행시킨 방향으로 70 mm 절단했다. 절단한 필름의 점착제 측의 세퍼레이터를 제거하고, 유리(이글XG[코닝사 제조])에 롤러로 접합하여, 평가 샘플로 했다. 이 편광판과 유리 적층체를, -35℃에서 30분, 85℃에서 30분의 조건의 냉열충격 시험을 400 사이클 행하여, 100 사이클마다 PVA의 크랙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했다. The second protective film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sample having the double-sided protective film was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and a separator on one surface was peel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andwiched between the separator films on both surfaces thereof and the peeled surface was adhered to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hereafter, this laminate was peeled from the side of the separator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y a super cutter (PNI-600, manufactured by Ogino Seiki Co., Ltd.) at 120 mm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70 mm. The separator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ide of the cut film was removed and bonded to a glass (Eagle XG [manufactured by Corning Incorporated]) with a roller to obtain an evaluation sample.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glass laminate were subjected to a thermal shock test for 30 minutes at -35 DEG C for 30 minutes and at 85 DEG C for 30 minutes to confirm that cracking of PVA occurred every 100 cycles.

이 때, 확인에는 눈으로 보는 것과, 기엔스사 제조의 디지털 현미경 "VHX-500"을 이용하여 확인했다. At this time, the confirmation was confirmed by using a digital microscope "VHX-500"

1 mm 이상의 크랙이 한 가닥이라도 발생한 경우를 NG라고 판정하고, 이 크랙이 한 가닥도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OK라고 판정했다. The case where a crack of 1 mm or more occurred even when one strand was formed was judged as NG, and the case where no such crack occurred also was judged as OK.

<실시예 2> &Lt; Example 2 >

열풍에 맡기는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수분율을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했다. 건조 공정 종료 후의 PVA계 수지층의 함수율은 0.35 중량%였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1.7%이고,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5%였다. 또한, 결정 사이 거리는,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흡수축 방향)에 관해서 16.1 nm이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투과축 방향)에 관해서는 2.7 nm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moisture content in the drying step was adjusted as shown in Table 1 by adjusting the time to leave the hot air. The water content of the PVA resin layer after the drying step was 0.35% by weight. Further,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ed single-unit transmittan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41.7% and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was 99.995%.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was 16.1 nm with respect to the stretching direction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2.7 nm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ransmission axis direction).

<비교예 1> &Lt; Comparative Example 1 &

열풍에 맡기는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수분율을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했다. 건조 공정 종 후의 PVA계 수지층의 함수율은 0.14 중량%였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1.5%이고,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7%였다. 또한, 결정 사이 거리는,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흡수축 방향)에 관해서는 16.3 nm이고,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투과축 방향)에 관해서는 2.7 nm였다.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moisture content in the drying step was adjusted as shown in Table 1 by adjusting the time to leave the hot air. The water content of the PVA resin layer after the drying step was 0.14% by weight.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ed single-use transmittan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41.5%, and the visual sensitiv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was 99.997%. The distance between crystals was 16.3 nm for the stretching direction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2.7 nm for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ransmission axis direction).


WAXDWAXD 펄스 NMRPulse NMR 찌르기 강도
[g/㎛]
Sting intensity
[g / 탆]

HS 시험

HS test
배향도
[%]
Orientation
[%]
A1:결정부
[%]
A1:
[%]
A2:구속비정부
[%]
A2: Constrained non-governmental
[%]
A3: 비정부
[%]
A3: Non-governmental
[%]
실시예 1Example 1 81.881.8 77 3838 5555 8.88.8 OKOK 실시예 2Example 2 83.683.6 99 4545 4646 6.16.1 OKOK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80.780.7 88 2525 6969 5.85.8 NGNG

찌르기 강도, 냉열충격 시험 시의 PVA 크랙의 확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배향도가 높고, 비구속 비결정부가 많은 쪽이, 찌르기 강도나 PVA 크랙 시험에서는 양호한 결과가 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배향도가 높고, 비구속 비결정부의 양이 많은 쪽이 편광판의 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confirmation of the PVA crack at the stuck strength and the cold / heat impact test. A high degree of orientation and a large number of unrestricted nonconjugated parts gave good results in the sting strength and PVA crack test.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arizer was excellent in strength when the degree of orientation was high and the amount of unrestricted non-crystallization was large.

1, 2, 3 : 편광판
5 : 편광 필름
10 : 보호막(보호 필름)
50 : 라멜라형 결정(폴리비닐알코올의 결정)
Wa : 결정 사이 거리(흡수축 방향)
Wb : 결정 사이 거리(투과축 방향)
1, 2, 3: polarizer
5: polarizing film
10: protective film (protective film)
50: lamellar crystal (crystal of polyvinyl alcohol)
Wa: distance between crystals (absorption axis direction)
Wb: distance between crystals (transmission axis direction)

Claims (2)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형성 재료로 하고, 이색성 물질을 갖는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는 2 ㎛ 이상 8 ㎛ 이하이며,
광각(廣角)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한, 방위각 분포에 있어서의 배향도가 81.0% 이상이고,
펄스 NMR(1H)에 의해 얻어지는 스핀-스핀 완화 시간으로부터 구한 결정부, 구속 비결정부 및 비결정부의 합계에 대한 상기 구속 비결정부의 비율이 40% 이상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As a polarizing film ha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forming material and having a dichroic substanc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not less than 2 탆 and not more than 8 탆,
The degree of orientation in the azimuthal distribution measured by a wide angle X-ray diffraction method is 81.0% or more,
Wherein the ratio of the constraint non-confinement portion to the total of the crystal portion, the constraint non-crystal portion and the non-crystal portion obtained from the spin-spin relaxation time obtained by the pulse NMR ( 1 H) is 40% or more and 95% or less.
삭제delete
KR1020170028787A 2016-08-10 2017-03-07 A polarizing film KR1018194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8061 2016-08-10
JPJP-P-2016-158061 2016-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414B1 true KR101819414B1 (en) 2018-01-16

Family

ID=610668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787A KR101819414B1 (en) 2016-08-10 2017-03-07 A polarizing film
KR1020170099651A KR102399368B1 (en) 2016-08-10 2017-08-07 A polarizing fil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651A KR102399368B1 (en) 2016-08-10 2017-08-07 A polarizing fil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13150B2 (en)
KR (2) KR101819414B1 (en)
CN (1) CN107728247B (en)
TW (1) TWI722228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1594A (en) * 2018-03-30 2020-11-20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and polarizing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04095A1 (en) * 2013-03-27 2014-10-02 Genentech, Inc. Use of biomarkers for assessing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lammatory disorders with beta7 integrin antagonists
JP6918934B2 (en) * 2018-03-30 2021-08-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vinyl alcohol film and polarizing film
KR20200136915A (en) * 2018-03-30 2020-12-0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olyvinyl alcoho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EP3779534B1 (en) * 2018-03-30 2023-08-30 Sekisui Chemical Co., Ltd. Poly(vinyl alcohol)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polarizing film
JP2019184992A (en) * 2018-08-01 2019-10-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JP6484374B1 (en) * 2018-08-01 2019-03-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WO2020080859A1 (en) * 2018-10-17 2020-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KR102235481B1 (en) * 2018-10-17 2021-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TWI754178B (en) * 2018-10-17 2022-02-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JP2020071241A (en) * 2018-10-29 2020-05-07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0138437A1 (en) * 2018-12-28 2020-07-02 株式会社クラレ Water-solubl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package
CN113226687B (en) * 2018-12-28 2023-09-29 株式会社可乐丽 Water-soluble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ackage
WO2020166505A1 (en) * 2019-02-12 2020-08-20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id polarizing plate
KR20210137019A (en) * 2019-03-08 2021-11-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film
KR102643436B1 (en) * 2019-09-30 2024-03-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with phase contrast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22113959A1 (en) * 2020-11-26 2022-06-02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WO2023277025A1 (en) * 2021-06-29 2023-01-05 株式会社クラレ Polarizing plate, heat formed body formed thereof, and heat formed body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139B1 (en) * 2010-12-29 2014-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Polarizing fil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JP5863624B2 (en) * 2011-11-21 2016-0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acylate fil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0402A (en) * 1988-04-11 1989-10-17 Sumitomo Chem Co Ltd Dye system polarizing film
JPH06138321A (en) * 1992-10-27 1994-05-20 Kuraray Co Ltd Polyvinylalcohol based polymer film
JPH1039137A (en) * 1996-07-22 1998-02-13 Sumitomo Chem Co Ltd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JP2002067520A (en) * 2000-08-29 2002-03-08 Toppan Printing Co Ltd Drying device
CN100475914C (en) * 2003-10-14 2009-04-08 三菱化学株式会社 Dyes for anisotropic dye films, dye compositions for anisotropic dye films, anisotropic dye films and polarizing elements
JP2005283899A (en) * 2004-03-29 2005-10-13 Kuraray Co Ltd Polymer polariz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261772B1 (en) * 2004-11-02 2013-05-07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6154375A (en) * 2004-11-30 2006-06-15 Noritsu Koki Co Ltd Film developing device
JP2009098653A (en) 2007-09-27 2009-05-07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9265624A (en) * 2008-03-31 2009-11-12 Fujifilm Corp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5300776B2 (en) * 2010-03-31 2013-09-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arizing film,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16810B1 (en) * 2013-08-09 2021-02-17 주식회사 쿠라레 Vinyl-alcohol-based polymer film
JP5860448B2 (en) * 2013-11-14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KR20170065531A (en) * 2014-10-01 2017-06-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CN107250850A (en) * 2014-10-02 2017-10-13 日东电工株式会社 Optical film laminate, optical display a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using optical film laminate
KR102645999B1 (en) * 2014-12-12 2024-03-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JP6231511B2 (en) * 2015-02-17 2017-11-15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139B1 (en) * 2010-12-29 2014-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Polarizing film,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JP5863624B2 (en) * 2011-11-21 2016-0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acylate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1594A (en) * 2018-03-30 2020-11-20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and polariz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28247A (en) 2018-02-23
TW201809034A (en) 2018-03-16
JP2018028662A (en) 2018-02-22
TWI722228B (en) 2021-03-21
KR102399368B1 (en) 2022-05-18
CN107728247B (en) 2021-10-15
JP6513150B2 (en) 2019-05-15
KR20180018365A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414B1 (en) A polarizing film
JP64225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TWI569051B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member, a polarizing member, a polarizing plate, an optical film, and an image display device
TWI795379B (en)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zted film
JP63463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KR101730720B1 (en) Polarizing plate
KR101855959B1 (en) Polarizing film, adhesive-layer-equipp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6985556B2 (en) Polarizers, polarizing films, laminated polarizing films, image display panels, and image display devices
JP6964800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70115542A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64799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70023863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having protective films on both surfaces thereof
KR101802584B1 (en) Polyvinylalcohol-based resin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KR20180103974A (en) Polarizer, polarizing protective film, polarizing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01666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TW201629547A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20170065531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10179970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KR20170113367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laminated film
CN107924016B (en) Single-side protective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80104082A (en) Method for producing protective polarizing film with transparent resin layer,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KR2017011331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KR20220063119A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WO2021215385A1 (en)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21170044A (en) Polarization membrane and polarizatio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