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953B1 -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 Google Patents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953B1
KR101818953B1 KR1020160072119A KR20160072119A KR101818953B1 KR 101818953 B1 KR101818953 B1 KR 101818953B1 KR 1020160072119 A KR1020160072119 A KR 1020160072119A KR 20160072119 A KR20160072119 A KR 20160072119A KR 101818953 B1 KR101818953 B1 KR 10181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resent
frame
outside
evid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769A (ko
Inventor
윤영균
손재진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들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들로
Priority to KR102016007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9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암막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고현장에 도착한 경찰이 시체 또는 증거물품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고, 암막이 형성된 내부에서 광원을 이용하여 용의자의 지문과 증거물품 등을 신속히 채취함으로써, 용의자의 신원 및 증거물품 등을 조속히 확보하는 초동수사를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현장 즉, 범죄현장에 도착한 경찰이 사체 등의 거부감 물질을 외부와 완벽히 차단하여 시민들에게 위화감 및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암막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광원과 훈증장치를 이용하여 시체 또는 증거물품 등에 묻어 있을 용의자의 지문을 신속히 채취함으로써, 용의자의 신원을 조속히 확보하여 초동수사를 조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Blackout tent for fingerprint colection}
본 발명은 텐트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암막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고현장에 도착한 경찰이 시체 또는 증거물품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고, 암막이 형성된 내부에서 광원을 이용하여 용의자의 지문과 증거물품 등을 신속히 채취함으로써, 용의자의 신원 및 증거물품 등을 조속히 확보하여 초동수사를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초동수사는 범죄사건 발생 또는 범죄사건을 인지한 직후에 범인을 체포하고 증거를 확보하기 위하여 범죄현장을 중심으로 긴급하게 행하는 수사활동 즉, 최초에 이루어지는 수사활동을 일컫는다.
상기 초동수사의 내용은 주로 범죄현장을 중심으로한 현장관찰, 범인검거, 수사자료 발견 및 확보 등이고, 초동수사의 중요성은 범인을 현장에서 체포하는 것이 수사의 이상이며, 사건발생시간이 경과하면 할수록 범죄수사는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범인의 체포, 수사 긴급배치, 참고인 및 그 진술의 확보, 사건당초의 상황의 확보에 있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초동수사중 현장을 관찰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장 출입을 통제하여 외부 행인들의 접근을 차단한 후 이루어지나, 외부 즉, 개방된 환경의 현장에서는 접근을 차단하여도 범죄현장이 관찰되어 어린아이나 노약자 등에게 좋지 않은 기억을 남겨줄 수 있기 때문에 흉기 또는 사체 등의 거부감을 줄 수 있는 범죄현장을 차단과 동시에 현장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를 위해 최근에는 암막텐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텐트(Tent)는 캠핑, 등산, 낚시 등의 야외 활동에서 수면과 휴식을 취할 뿐만 아니라 비바람과 햇빛을 피할 수 있는 은신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초기 텐트는 주로 지주와 천 및 고정용 끈을 사용하였지만, 점차 텐트의 제작기술이 발달하면서 케빈형과 돔형 텐트가 제공되고 있으며, 가족들의 야외 활동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최근 텐트는 펼쳐서 간단하게 설치하고, 또한 접어서 휴대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텐트는 다수개의 폴대를 서로 연결하여 케빈형 또는 돔형으로 구성한 다음,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구비된 천막을 폴대의 각 요소에 걸어서 간편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종래 텐트는 초동수사시 범죄현장의 보존을 위해 사용될 경우 햇빛이 천막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투과됨에 따라 빛에 의해 범죄현장이 훼손될 수 있고, 광원을 이용하여 지문 등을 용이하게 채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와 차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범죄현장을 효율적으로 보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텐트는 내부에 시체 등의 역겨운 냄새가 발생하는 현장을 보존할 경우 장시간 현장을 보존 및 지문 및 증거물품 등을 채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채취 중간에 출입구로 지문 및 증거물품 등을 반출해야 하므로 채취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459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9170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텐트는 외부의 빛을 완벽히 차단하기 어렵고, 지문 또는 증거물품 등을 채취시 연속성이 저하되어 초동수사의 신속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초동수사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되, 암막시트를 이용하여 외부와 완벽히 차단하고, 지문 또는 증거물품 등을 채취하여 외부로 쉽게 반출할 수 있으며, 내부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써, 초동수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홀더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에 연결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된 천막 및 천막의 내측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는 암막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문채취용 암막텐트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천막은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걸고리와 말단에 연장형성되되, 내측으로 접어지는 밀폐부와 내측면에 구비되는 수납장과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훈증시설과 훈증시설과 연통되는 개폐부 및 상부에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는 사고현장 즉, 범죄현장에 도착한 경찰이 사체 등의 거부감 물질을 외부와 완벽히 차단하여 시민들에게 위화감 및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암막이 형성되어 내부에서 적외선 조명과 훈증장치를 이용하여 시체 또는 증거물품 등에 묻어 있을 용의자의 지문을 신속히 채취함으로써, 용의자의 신원을 조속히 확보하여 초동수사를 조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환기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환기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홀더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의 평단면도.
본 발명은 텐트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켜 초동수사를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암막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범죄현장 즉, 사건현장(이하, '사건현장'이라 통칭한다.)에 도착한 경찰이 시체 또는 증거물품 등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시민들에게 불쾌감 등의 거부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암막이 형성된 내부에서 광원(적외선 조명 등)을 이용하여 용의자의 지문 등을 신속히 채취함으로써, 용의자의 신원 및 증거물품 등을 조속히 확보할 수 있는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초동수사시 채취하는 지문 또는 증거물품에 약품반응 후 냄새를 제거하거나, 신속하게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고, 텐트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켜 초동수사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2)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부(22)를 구비하는 홀더(20);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10)에 연결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출입구(31)가 형성된 천막(30); 및 천막(30)의 내측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는 암막시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천막(30)은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걸고리(32);와 말단에 연장형성되되, 내측으로 접어지는 밀폐부(33);와 내측면에 구비되는 수납장(34);과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훈증시설(35);과 훈증시설(35)과 연통되는 개폐부(35a); 및 상부에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통(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프레임(10)은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2)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타측 말단은 지면에 설치되거나, 이후에 언급될 천막(30)에 설치되고, 일측 말단은 이후에 언급될 홀더(20)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천막(30)을 지지한다.
즉,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설치자가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관절 즉,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2)를 구비하고, 이후에 천막(3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재질 및 두께를 가지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2)는 프레임(10)이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프레임(10)이 지면에 설치되어 일정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의 형상으로 구부러진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프레임(10)은 타측 말단이 지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타측 말단에 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거나, 설치될 수 있으나, 다양한 장소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천막(3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부(30a)에 끼움결합된 후 타측 말단에 상기 결합부(30a)에 걸리는 걸림부(미도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타측 말단에 'ㄴ'형태의 안착부(14)가 결합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착부(14)는 프레임(10)의 타측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돌기(미표시)와 상기 결합돌기의 하부말단에 지면과 수평으로 결합되는 접촉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접촉부는 힌지(미표시)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도록 하여 굴곡면이나 경사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홀더(20)는
프레임(10)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부(22)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결합부(22)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프레임(10)이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이후에 프레임(10)에 설치될 천막(30)이 안정적으로 프레임(10)에 결합되어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홀더(20)는 상부에 프레임(10)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부(22)를 복수 개 구비하는 상부몸체(21)와 상부몸체(21)의 하부에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몸체(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2)는 상부몸체(21)와의 결합부위에 힌지(미도시)로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23)는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딩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4)는 외측에 돌출형성되되, 힌지(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회전되는 한편, 말단이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홀더(20)는 상부몸체(21)에 복수 개의 프레임(10)이 결합되고, 연결프레임(25)의 말단이 프레임(10)에 결합되어 텐트의 해체시 프레임(10)을 연결부재(12)를 이용하여 접거나 펼친 다음 결합부(22)를 이용하여 프레임(10)을 홀더(20)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딩부(24)가 하부몸체(2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안정적으로 프레임(10)을 회수할 수 있으며, 텐트의 설치시에는 이와 반대의 작동으로 프레임(10)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20)의 하부몸체(23)의 하부 말단에는 걸이부(미표시)가 구비되어 이후에 언급될 천막(30)의 상부가 연결됨으로써, 천막(30)의 상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홀더(20)는 프레임(10)이 결합되어 우산살과 같이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사건현장을 보호 및 증거물품 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천막(30)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10)에 연결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출입구(31)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측 모서리 즉,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10)과 인접한 외측부분에 복수 개의 고리부(30a)가 구비되어 쉽게 프레임(10)에 설치됨으로써,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홀더(20)의 하부몸체(23)의 하부 말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고리부(30a)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입구(31)는 경찰 또는 수사를 위해 천막(30)의 내부로 들어가는 수사팀의 출입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서, 초동수사팀이 도착하기 전에 폐쇄가 가능하고, 필요시 개방하여 출입이 가능하며, 개폐를 위해 지퍼가 설치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천막(30)은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걸고리(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걸고리(32)에는 지문 등의 용의자가 남기고간 흔적을 쉽게 조사하여 채취하기 위해 광원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32)는 최소한 두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광원이 하나는 설치되어야 지문 등의 흔적을 쉽게 조사하여 채취할 수 있기 때문이며, 천막(30)의 상부 측면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막(30)은 말단에 연장형성되되, 내측으로 접어지는 밀폐부(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밀폐부(33)는 천막(30)의 하부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천막(30)의 하부 말단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밀폐부(33)는 천막(30)의 외측으로 접어졌을 경우 천막(30)의 하부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부(33)의 상부에 흙 또는 무게가 있는 물건을 놓게 되는데, 이 경우 텐트 외측을 돌아다니는 사람에 의해 흙 또는 무게가 있는 물건이 걸리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기에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하기 위해 밀폐부(33)를 내부로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폐부(33)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고, 말단으로 갈수록 길이가 작은 윗변이 형성되어 천막(30)의 내측으로 접어졌을 경우 측면이 인접한 밀폐부(33)의 측면과 맞닿게 되어 밀폐가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밀폐부(33)의 측면과 인접한 밀폐부(33)의 측면이 맞닿는 부분에는 각각 암벨크로(미표시)와 숫벨크로(미표시)가 구비되어 결합되고, 상기 암숫벨크로를 대체하여 지퍼(미도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밀폐부(33)는 천막(30)의 내측으로 접어진 후 상부에 깔개(미도시) 또는 무거운 물건을 상부에 적재하여 천막(30)의 하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천막(30)은 내측면에 구비되는 수납장(3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수납장(34)은 지문 또는 증거물품 등을 채취하여 임시적으로 보관하거나, 초동수사시 필요한 장비를 수납하여 지문 등의 흔적을 쉽게 조사 및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수납장(34)은 천막(30)의 내측면에 벨크로(미도시) 또는 지퍼(미도시) 등의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적어도 하나의 수납장(34)이 구비되되, 상부가 천막(30)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수납장(34)의 재질은 천막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천막(30)과 함께 쉽게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납장(34)은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납을 위한 복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그 형태 및 수납공간의 갯수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천막(30)은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훈증시설(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훈증시설(35)은 보관함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지문 또는 증거물품 등을 약품처리하여 반응을 시키며, 약품처리 후 인체에 해로운 약품의 냄새 등을 천막(30)의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훈증시설(35)은 약품의 냄새 등을 천막(30)의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개폐부(35a)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훈증시설(35)은 경찰 또는 수사자가 안전하게 약품처리를 할 수 있도록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투명창(35b)이 형성되고, 투명창(35b)의 하부에 벨크로(미도시) 또는 지퍼(미표시)에 의해 개폐가능한 인입부(35c)가 형성되어 경찰 또는 수사자의 손이 인입출되어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훈증시설(35)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천막(30)은 훈증시설(35)과 연통되는 개폐부(35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개폐부(35a)는 천막(30) 내부와 외부 모두에서 개폐가능하도록 양쪽지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훈증시설(35)의 후면에 형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개폐부(35a)는 천막(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는 안정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약품처리한 증거물품 등에 손상을 최소화하며 수거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훈증시설(35)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크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있으나, 본 발명의 텐트의 크기를 감안하여 약 가로 50㎝, 세로 30㎝, 높이 30㎝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훈증시설(35)은 수납장(34)과 마찬가지로 하나가 구비되거나, 다수개가 구비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천막(30)은 상부에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통(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환기통(36)은 천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경찰 또는 수사자의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환기통(36)은 약 10㎝의 직경과 약 20㎝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배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환풍팬(36a)이 더 설치되어 천막(30) 내부의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기통(36)은 천막(30)의 외측 상부에 일측이 탈부착 형태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결합된 몸체(미표시)와 몸체의 타측에 결합설치되는 환풍팬(36a)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천막(30)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되, 타측이 홀더(20) 또는 프레임(10)에 연결설치되어 환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몸체는 일측이 천막(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천막(30)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환풍팬(미도시)이 더 설치되어 천막(30) 내부의 공기를 더욱더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암막시트(40)는
천막(30)의 내측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빛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도록 종래에 사용되는 암막재질의 합성수지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되, 검정색으로 이루어져 암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암막시트(40)는 천막(30)의 내피가 2중 구조로 되어 외부의 빛을 완벽히 차단하여 텐트 내부를 암실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앞서 설명된 광원이설치되어 조속히 지문 등의 증거물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천막(30)의 구성 중 걸고리(32), 밀폐부(33), 수납장(34), 훈증시설(35)은 천막(3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암막시트(40)에 설치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필요시 환기통(36)의 몸체 내측면에도 암막시트(40)를 부착하여 텐트 내부로 빛을 완벽히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종합하여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의 이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살인사건의 초동조사시 시체가 있는 사고현장에 도착한 수사관은 신속히 폴리스라인을 형성하여 외부행인들의 접근을 차단하고, 홀더(20)에 결합된 프레임(10)을 펼쳐 보존현장을 확보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10)에 암막시트(40)가 부착된 천막(30)을 설치하여 내부를 외부와 단절시킨 후 광원을 천막(30)의 상부에 설치하고, 지문 또는 혈흔이나 증거물품 등을 확보 및 채취한다.
이때, 수사관은 증거물품에 약품처리가 필요할 경우 훈증시설(35)을 이용하여 약품을 처리하고 개폐부(35a)를 이용하여 약품의 냄새 등을 환기시킬 수 있으며, 개폐부(35a)를 통해 긴급한 증거물품은 외부로 반출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에 설치된 환기통(36)을 이용하여 텐트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환기시키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필요한 지문 또는 증거물품 등을 확보 및 채취한 수사관은 텐트를 철거한 후 초동수사를 종료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프레임 12 : 연결부재
20 : 홀더 21 : 상부몸체
22 : 결합부 23 : 하부 몸체
24 : 슬라이딩부 25 : 연결프레임
30 : 천막 31 : 출입구
32 : 걸고리 33 : 밀폐부
34 : 수납장 35 : 훈증시설
35a : 개폐부 35b : 투명창
35c : 인입부 36 : 환기통
36a : 환풍팬 40 : 암막시트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2)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일측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부(22)를 구비하는 홀더(20);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10)에 연결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출입구(31)가 형성된 천막(30); 및
    천막(30)의 내측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는 암막시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천막(30)은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걸고리(32);와
    말단에 연장형성되되, 내측으로 접어지는 밀폐부(33);와
    내측면에 구비되는 수납장(34);과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훈증시설(35); 및
    상부에 작업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통(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훈증시설(35)은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합성수지재질의 투명창(35b)이 형성되며, 투명창(35b)의 하부에 개폐가능한 인입부(35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30)은
    훈증시설(35)과 연통되는 개폐부(35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7. 삭제
KR1020160072119A 2016-06-10 2016-06-10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KR10181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19A KR101818953B1 (ko) 2016-06-10 2016-06-10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19A KR101818953B1 (ko) 2016-06-10 2016-06-10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69A KR20170139769A (ko) 2017-12-20
KR101818953B1 true KR101818953B1 (ko) 2018-01-17

Family

ID=6093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119A KR101818953B1 (ko) 2016-06-10 2016-06-10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9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791B1 (ko) 2018-10-09 2019-07-09 대한민국 암막 코팅 조성물
KR102531777B1 (ko) 2022-10-05 2023-05-12 대한민국 이동식 암막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촬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703A (ja) * 1999-11-30 2001-06-05 T S Tec Kk 車両用簡易テント
KR101079672B1 (ko) * 2010-12-10 2011-11-03 윤광상 휴대용 발열 지문 현출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지문 현출 방법
KR101554592B1 (ko) * 2014-08-12 2015-09-21 박정자 수면용 간이 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703A (ja) * 1999-11-30 2001-06-05 T S Tec Kk 車両用簡易テント
KR101079672B1 (ko) * 2010-12-10 2011-11-03 윤광상 휴대용 발열 지문 현출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지문 현출 방법
KR101554592B1 (ko) * 2014-08-12 2015-09-21 박정자 수면용 간이 텐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791B1 (ko) 2018-10-09 2019-07-09 대한민국 암막 코팅 조성물
KR102531777B1 (ko) 2022-10-05 2023-05-12 대한민국 이동식 암막 및 이를 이용한 지문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69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8193B2 (en) Self-erecting portable protective enclosure
US20050257820A1 (en) Outdoor enclosure with scent-dampening liner
US7559334B2 (en) Blind
US11060316B2 (en) Personal enclosure with insert
KR101818953B1 (ko) 지문 채취용 암막텐트
EA034140B1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покрасочной камеры и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краски на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200483513Y1 (ko) 음압 텐트
US8256044B1 (en) Covering apparatuses for prevention of bed bug intrusion with leg extens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30031845A1 (en) Natural Disaster Shelter
EP1457623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deploying a soft shelter for protection against NBC warfare
US20150143602A1 (en) Sectionalized Over-Garment
US9169692B2 (en) Deployable vision obstructer
US10612266B2 (en) Camping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a hammock inside a camping tent
JP4340273B2 (ja) 換気調節装置
KR20080039783A (ko) 다기능 개인용 특수천막
KR200479427Y1 (ko) 천막용 창 구조
KR20120019582A (ko) 낚시용 핸드 출입구를 갖는 텐트 구조
US9492015B1 (en) Infant vehicle seat cover
JP5373028B2 (ja) ダブルウォールテント
US20150313293A1 (en) Insect Protection Garment
US20190141984A1 (en) Hunting blind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50014824A (ko) 그늘막 확장이 용이한 아웃텐트
JP2019112750A (ja) 緊急防護具
US20100306906A1 (en) Insect Protection Garment
JPH09221941A (ja) フラ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