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521B1 -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521B1
KR101817521B1 KR1020160150811A KR20160150811A KR101817521B1 KR 101817521 B1 KR101817521 B1 KR 101817521B1 KR 1020160150811 A KR1020160150811 A KR 1020160150811A KR 20160150811 A KR20160150811 A KR 20160150811A KR 101817521 B1 KR101817521 B1 KR 10181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frequency
signal
intermodulation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재규
황언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5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5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A vehicle comprises: an antenna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 speake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broadcasting signal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a head unit capable of performing automatic acquisition control for changing an amplitude factor of the wireless signal while amplifying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automatic acquisition control according to a frequency of an intermodulation noise between a plurality of noises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thereby attenuating noises due to intermodulation.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변조(intermodulation)을 감쇄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nd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apable of attenuating intermodulation.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이동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을 의미한다.Generally, a vehicle means a moving means or a transportation means that travels on a road or a line using fossil fuel, electricity, or the like as a power source.

차량은 단순한 이동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을 넘어서 운전자에게 휴식을 제공하는 생활 공간으로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운전자에게 안락함과 휴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다양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과 비디오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The vehicle is positioned as a living space that provides rest to the driver beyond mere means of transport or transportation. In addition, a variety of car audio systems and video systems are installed in the vehicle to provide comfort and relaxation for the driver.

특히, 운전자는 오디오 시스템/비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오디오 방송/비디오 방송을 청취/시청하는 경우가 많다.Particularly, a driver often listens for / watches an audio / video broadcast through an audio system / video system.

그러나, 최근 도심 등에는 다양한 주파수의 무선 신호가 방사되고 있어, 오디오 방송과 비디오 방송이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에 의하여 왜곡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이 발생하는 경우, 상호 변조 잡음은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However, in recent years, radio signals of various frequencies have been radiated in the city center, and audio and video broadcasts are often distorted by radio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Particularly, when intermodulation noise is generated by intermodulation between radio signals of different frequencies, it is very difficult to intermodulate the intermodulation noise by using a bandpass filter.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capable of attenuating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방송 신호의 감쇄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ttenuation of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of noise caused by intermodulation.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자동 이득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ncludes: an antenna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for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is enabled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between a plurality of nois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Or deactivate the head unit.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잡음의 제1주파수와 방송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제2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head unit may select the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nd may calculate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from the first frequency of the first noise and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head unit can select a noise having the strongest signal intensity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s the first noise.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주파수의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가장 근접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 head unit may select noise that is closest to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of th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to the first noise.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The head unit may activate the automatic gain control if at least one of the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가 모두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The head unit may deactivate the automatic gain control if the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noise do not all match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Wherein the head unit calculates the strength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ing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Automatic gain control can be activated.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Wherein the head unit calculates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he automatic gain control can be deactivated.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무선 신호를 증폭하되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자동 이득 제어가 가능한 증폭기;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head unit comprises: an amplifier capable of automatic gain control for amplifying the radio signal and changing an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xtracting a broadcast signal from a signal amplified by the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And a controller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amplifi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 상기 증폭된 무선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ing: receiving a radio signal; Amplify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Extracting a broadcast signal from the amplified radio signal;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broadcast signal, wherein the step of amplify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includes the step of amplify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of intermodulation noise caused by intermodulation among a plurality of nois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And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잡음의 제1주파수와 방송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제2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 And calculating a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from the first frequency of the first noise and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ng of the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may include selecting a noise having the strongest signal intensity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s the first noise.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주파수의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가장 근접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ng of the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may include selecting a noise closest to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of th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to the first noise.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may further include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가 모두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maintain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noise do not match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Calculating a strength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Calculating a strength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maintain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a head unit for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the intermodu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nois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have.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유지할 수 있다.The head unit can maintain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radio signal if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noise does not match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상기 헤드 유닛은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Wherein the head unit activates an automatic gain control for changing an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and if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oes not match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Automatic gain control can be disabled.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nd a vehicle capable of attenuating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개시된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방송 신호의 감쇄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nd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attenuation of a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frequency of noise caused by intermodul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을 도시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장 부품을 도시한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신호 처리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입력되는 잡음 및 상호 변조 잡음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상호 변조 잡음의 제거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와 청취 주파수가 매칭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0은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와 청취 주파수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상호 변조 잡음의 제거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1 shows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shows electrical component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show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d in an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llustrates noise and intermodulation noise input to an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7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moving intermodulation nois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8 and 9 show the case where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and the listening frequency are matched.
10 shows a case where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and the listening frequency do not match.
11 and 12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eliminating intermodulation nois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contents or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invention belongs are omitted. The term 'par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and block' may be embodi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a singl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is indirectly connected, and the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when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forms " a "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clearly specified in the context. ha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을 도시한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장 부품을 도시한다. 또한, 도 3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다.1 shows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shows electrical component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also show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고 각종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차체(10)와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vehicle 1 includes a vehicle body 10 that forms an appearance of the vehicle 1 and accommodates various components, and a wheel 20 that moves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차체(10)는 운전자가 머무를 수 있는 실내 공간,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룸 및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렁크 룸을 형성한다.The vehicle body 10 forms an interior space in which the driver can stay, an engine room for accommodating the engine, and a trunk room for accommodating the cargo.

차체(10)는 후드(hood) (11), 프런트 펜더(front fender) (12), 루프 패널(roof panel) (13), 도어(door) (14), 트렁크 리드(trunk lid) (15), 쿼터 패널(quarter panel) (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차체(10)의 전방에는 프런트 윈도우(front window) (17)가 설치되고, 차체(10)의 측면에 사이드 윈도우(side window) (18)가 설치되고, 차체(10)의 후방에는 리어 윈도우(rear window) (19)가 설치될 수 있다.The vehicle body 10 includes a hood 11, a front fender 12, a roof panel 13, a door 14, a trunk lid 15, A quarter panel 16, and the like. A front window 17 is provided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10 and a side window 18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vehicle body 10 in order to secure a view of the driver, A rear window 19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10.

차체(10)의 내부에는 차량(1)이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 생성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동력 생성 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며, 엔진, 연료 공급 장치, 냉각 장치, 배기 장치, 점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는 동력 생성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을 차륜(20)으로 전달하며, 클러치, 변속 레버, 변속기, 차동 장치, 구동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며, 조향 휠, 조향 기어, 조향 링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차륜(20)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브레이크 페달, 마스터 실린더,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power generation devic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body 10 so that the vehicle 1 can run. The power generation device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and may include an engine, a fuel supply device, a cooling device, an exhaust device, an ignition device, and the like.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device to the wheel 20, and may include a clutch, a shift lever, a transmission, a differential device, a drive shaft, and the like. The steering apparatus controls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and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a steering gear, a steering link, and the like. The braking device stops the rotation of the wheel 20 and may include a brake pedal, a master cylinder, a brake disk, a brake pad, and the like.

차륜(20)은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하여 동력 생성 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차량(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차륜(20)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wheel 20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power generating device through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can move the vehicle 1. [ The wheel 20 may include a front wheel 21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wheel 2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차량(1)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계 부품뿐만 차량(1)의 제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다양한 전장 부품들(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may includ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30 for the safety and comfort of the driver and passenger, as well as the control of the vehicle 1, as well as the mechanical component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엔진 관리 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 EMS) (31), 변속기 제어 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32), 전자 제동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33), 전동 조향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EPS) (34), 차체 제어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35), 공조 장치(heating/ventilation/air conditioning, HVAC) (36), 비디오(video) 장치(37) 및 오디오(audio)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vehicle 1 includes an engine management system (EMS) 31,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32, an 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33, an electric power steering (EPS) 34, a body control module (BCM) 35, a heating /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HVAC) 36 A video device 37, and an audio device 100, as shown in FIG.

엔진 관리 시스템(31)은 가속 페달(31a)을 통한 운전자의 가속 명령에 따라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고 엔진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지 관리 시스템(31)은 엔진 토크 제어, 연비 제어, 엔진 고장 진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engine management system 31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gine and manage the engine according to the driver's acceleration command through the accelerator pedal 31a. For example, the engine management system 31 can perform engine torque control, fuel consumption control, engine failure diagnosis, and the like.

변속기 제어 모듈(32)은 변속 레버(32a)를 통한 운전자의 변속 명령 또는 차량(1)의 주행 속도에 따라 변속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기 제어 모듈(32)은 변속 제어, 댐퍼 클러치 제어, 마찰 클러치 온/오프 시의 압력 제어 및 변속 중 엔진 토크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32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command of the driver through the shift lever 32a or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32 can perform shift control, damper clutch control, pressure control at the time of friction clutch on / off, and engine torque control during shifting.

전자 제동 시스템(33)은 제동 페달(33a)을 통한 운전자의 제동 명령에 따라 차량(1)의 제동 장치를 제어하고 차량(1)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제동 시스템(33)은 안티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ABS) 및 안정성 제어 장치(Electric Stability Control, E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braking system 33 can control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1 and maintain the balance of the vehicle 1 in accordance with the braking command of the driver through the braking pedal 33a. For example, the electronic braking system 33 may include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and an electric stability control (ESC).

전동 조향 장치(34)는 운전자가 쉽게 스티어링 휠(34a)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조향 장치(34)는 저속 주행 또는 주차 시에는 조향력을 감소시키고 고속 주행 시에는 조향력을 증가시키는 등 사용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할 수 있다.The electric steering system 34 can assist the driver to easily operate the steering wheel 34a by the driver. For example,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34 may assist the user in steering operations such as reducing the steering force at low-speed driving or parking, and increasing the steering force at high-speed driving.

차체 제어 모듈(35)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제어 모듈(35)은 차량(1)에 설치된 파워 시트, 원격 도어 잠금 장치, 파워 윈도우, 헤드 램프, 와이퍼, 계기 장치 및 다기능 스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5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lectrical components that provide convenience to the driver or ensure the safety of the driver. For example, the vehicle body control module 35 can control a power seat installed in the vehicle 1, a remote door lock device, a power window, a head lamp, a wiper, a gauge device, and a multifunctional switch.

비디오 장치(37)는 영상과 음향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장치(37)는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내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저장 매체(Compact Disk: CD, USB 저장 매체 등)에 저장된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된 비디오 파일에 포함된 영상을 표시하고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video device 37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to the driver through video and sound. For example, the video device 37 reproduces a video file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medium or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compact disk (CD), a USB storage medium, or the like)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driver, Display and sound can be output.

비디오 장치(37)는 비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 방송에 포함된 영상을 표시하고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video device 37 may receive a video broadcast signal, display an image included in the video broadcast, and output sound.

오디오 장치(100)는 음향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는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내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된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통신장치,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device 100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to the driver through the sound. For example, the audio device 100 may reproduce an audio file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medium or an external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driver, and output sound included in the reproduced audio file. In addition, the audio device 100 can receive sound data from a user device such as a portable compute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 portable media player, and the like, and output sou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data.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apparatus 100 may receive an audio broadcast signal and output an audio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dio broadcast signal.

오디오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udio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러한 전장 부품들(3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관리 시스템(31), 변속기 제어 모듈(32), 전자 제동 시스템(33), 전동 조향 장치(34), 차체 제어 모듈(35), 공조 장치(36), 비디오 장치(37) 및 오디오 장치(10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se electrical components 3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NT. For example, the engine management system 31, 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32, the electronic braking system 33, the electric steering system 34, the body control module 35, the air conditioner 36, the video device 37, And the audio device 100 can exchange data via 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NT.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는 이더넷(Ethernet),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플렉스레이(Flexray),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는 모스트, 플렉스레이, 캔, 린 등 단일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통신 규약을 채용할 수도 있다.The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NT has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Ethernet, 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Flexray, CAN (Controller Area Network), and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an be adopted. Further, the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NT can employ not only a single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a modem, flex-ray, can, and lean but als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rotocols.

이상에서 설명된 전장 부품들(30)은 차량(1)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다. 차량(1)에는 이상에서 설명된 전장 부품들(30)와 다른 명칭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거나, 이상에서 설명된 전장 부품들(30) 이외에 추가적인 전장 부품이 설치되거나, 이상에서 설명된 전장 부품들(30)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mponents 30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amples of electrical components installed in the vehicle 1. [ The vehicle 1 may be provided with electric components other than the electric components 30 described above or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electric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electric components 30 described above, (30) may be omitted.

이하에서는 차량(1)에 포함된 오디오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이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udio apparatus 100 included in the vehicle 1 will be described below.

이하에서는 오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장치(100)가 설명되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비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비디오 장치(37)에 적용될 수도 있다.Hereinafter, an audio apparatus 100 for receiving an audio broadcast signal will be described,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video device 37 that receives a video broadcast signal.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신호 처리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장치에 입력되는 잡음 및 상호 변조 잡음을 도시한다.4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d in an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llustrates noise and intermodulation noise input to an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모듈(120)과, 방송 신호에 의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130)과,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음향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헤드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audio apparatus 100 includes an antenna module 120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 speaker module 130 for outputting sound based on the broadcast signal, and a speaker 130 for extracting an acoustic signal from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a head unit 110 for amplifying the extracted acoustic signal.

안테나 모듈(120)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21)와,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module 120 may include an antenna 121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nd a low noise amplifier (LNA) 122 for amplify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안테나(121)는 자유 공간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복수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M (Frequency Modulation) 라디오 방송 신호는 89.1MHz (Mega Hertz)의 방송 신호, 89.7 MHz의 방송 신호, 91.9MHz의 방송 신호, ..., 107.7MHz의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121 can receive a broadcast signal from the free space.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signal having a plurality of frequencies. For example, a frequency modulation (FM) radio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broadcast signal of 89.1 MHz (Mega Hertz), a broadcast signal of 89.7 MHz, a broadcast signal of 91.9 MHz, ..., a broadcast signal of 107.7 MHz, .

저잡음 증폭기(122)는 안테나(121)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를 미리 정해진 비율로 증폭할 수 있다. 자유 공간으로 방사된 무선 신호는 발생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테나(121)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 역시 매우 작은 세기를 가지며, 저잡음 증폭기(122)는 헤드 유닛(110)이 식별할 수 있는 수준으로 무선 신호의 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The low noise amplifier 122 can amplif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121 at a predetermined rate. It is known that the radio signal radiated into free space sharply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source.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121 also has a very low intensity and the low noise amplifier 122 can amplify the strength of the radio signal to a level that the head unit 110 can discern.

특히, 저잡음 증폭기(122)는 증폭에 의한 잡음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안테나(121)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잡음이 부가되지 않도록 저잡음 증폭기(122)는 안테나(121)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w-noise amplifier 122 may be designed to minimize noise due to amplification, and the low-noise amplifier 122 may be provided near the antenna 121 so that noise is not added while the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121 is transmitted. .

이처럼, 안테나 모듈(120)은 자유 공간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헤드 유닛(110)으로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module 12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from the free space, amplifie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outputs the amplified broadcast signal to the head unit 110.

스피커 모듈(130)은 헤드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음향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복수의 스피커(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모듈(130)은 고주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고주파 스피커(tweeter speaker) (131)와, 중간 주파수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중간 주파수 스피커(132)와, 저주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저주파 스피커(woofer speaker)(1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eaker module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eakers 131, 132, and 133 that can convert electrical sound signals output from the head unit 110 into sound. For example, the speaker module 130 may include a tweeter speaker 131 capable of outputting a high frequency sound, an intermediate frequency speaker 132 capable of outputting an intermediate frequency sound, And may include a woofer speaker 133,

각각의 스피커(131, 132, 133)은 차량(1)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대시보드(40) 상면에는 중간 주파수 스피커(132)이 설치되고, 차량(1)의 도어(14)에는 고주파 스피커(131)와 저주파 스피커(133)가 설치될 수 있다.Each of the speakers 131, 132, and 133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within the vehicle 1. [ 3, an intermediate frequency speaker 13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40 of the vehicle 1, and a high frequency speaker 131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door 14 of the vehicle 1. [ And a low frequency speaker 133 may be installed.

이처럼, 스피커 모듈(130)은 헤드 유닛(110)이 출력하는 전기적 음향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module 130 can convert the electrical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head unit 110 into sound and output it.

헤드 유닛(110)은 운전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11)와, 헤드 유닛(11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2)와, 안테나 모듈(120)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13)와, 헤드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헤드 유닛(110)은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미디어 파일을 로딩하는 미디어 리더(media reader)와, 차량(1)의 다른 전장 부품(30)과 통신하는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unit 110 includes an input unit 111 for receiving an operator input, a display unit 112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ead unit 110, and a display unit 112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rom the antenna module 120, A signal processing unit 113 and a control unit 11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d unit 110. [ In addition, the head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media reader for loading media files from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electric components 30 of the vehicle 1, and the like.

입력부(111)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1)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볼륨 다이얼과, 오디오 방송의 방송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다이얼과, 사전에 저장된 주파수의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프리셋(preset) 버튼과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1 may include various input means that can be operated by the driv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1 may include a volume dial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ound, a channel selection dial for selecting the broadcast frequency of the audio broadcast, a plurality of presets for receiving the audio broadcast of the pre- And a playback button for playing an audio file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이러한 입력부(111)는 푸시 버튼, 슬라이드 버튼, 다이얼 등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11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such as a push button, a slide button, and a dial.

이처럼, 입력부(111)는 오디오 장치(100)에 대한 운전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4)로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unit 111 can receive an operator's operation command for the audio device 100, and can output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peration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14. [

표시부(112)는 입력부(111)를 통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헤드 유닛(110)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선국 다이얼을 통하여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하면 표시부(112)는 운전자가 선택한 주파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재생 명령을 입력하면 표시부(112)는 재생되는 음원의 명칭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2 can displa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ead unit 1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hrough the input unit 111. [ For example, when the driver select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channel selection dial, the display unit 112 can display the frequency selected by the driver. Also, when the driver inputs a reproduction command of the audio file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medium, the display unit 112 can display the name of the sound source to be reproduced.

이러한 표시부(1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E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1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isplay mean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E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이처럼, 표시부(111)는 제어부(1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헤드 유닛(110)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display unit 111 can display an image represen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ead unit 110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14. [

신호 처리부(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증폭율을 조절하는 AGC (auto gain control) 증폭기(113a)와,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수신기(113b)와, 스피커 모듈(130)로 출력되는 전기적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113c)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includes an AGC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113a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mplification fact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receiver 113b for processing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And a power amplifier 113c for amplifying an electric sound signal output to the speaker module 130. [

AGC 증폭기(113a)는 잡음의 세기 또는 출력 신호의 세기에 따라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GC 증폭기(113a)는 증폭된 신호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크면 증폭율 즉 이득을 감소시키고, 증폭된 신호의 크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작으면 증폭율을 즉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AGC 증폭기(113a)는 잡음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크면 증폭율 즉 이득을 감소시키고, 잡음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값보다 작으면 증폭율을 즉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AGC amplifier 113a can amplif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module 120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noise or the intensity of the output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agn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AGC amplifier 113a reduces the gain or gain. When the magnitude of the amplified signal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gain is increased . Also, the AGC amplifier 113a may reduce the gain or the gain if the noise intensity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increase the gain or gain if the noise intensity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또한, AGC 증폭기(113a)는 제어부(114) 또는 DSP 수신기(113b)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자동 이득 제어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자동 이득 제어가 활성화된 경우 AGC 증폭기(113a)는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자동 이득 제어가 비활성화된 경우 일반 증폭기와 마찬가지로 AGC 증폭기(113a)는 단순히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Also, the AGC amplifier 113a may be activated or de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4 or the DSP receiver 113b. When the automatic gain control is activated, the AGC amplifier 113a can amplif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module 120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output signal. If the automatic gain control is inactivated, the AGC amplifier 113a, The antenna module 120a can amplif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module 120 simply.

이러한 AGC 증폭기(113a)는 상호 변조에 의한 잡음을 감소시키고, DSP 수신기(113b)에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호 변조 현상을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AGC amplifier 113a reduces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and prevents the broadcast signal input to the DSP receiver 113b from being saturated. The intermodulation phenomenon is explained in detail below.

DSP 수신기(113b)는 AGC 증폭기(113a)에 의하여 증폭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하여 특정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DSP 수신기(113b)는 추출된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전기적 음향 신호를 전력 증폭기(113c)로 출력할 수 있다.The DSP receiver 113b converts the analog broadcasting signal amplified by the AGC amplifier 113a into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extracts a broadcasting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Also, the DSP receiver 113b may convert the extracted broadcast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 the electrical acoustic signal converted into the analog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113c.

예를 들어, DSP 수신기(113b)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sion, ADC)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DSP 수신기(113b)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고, 입력부(111)를 통하여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청취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추출된 방송 신호를 복호화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igital to analog conversion, DAC)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SP receiver 113b may convert an analog broadcast signal to a digital broadcast signal using an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ADC). Thereafter, the DSP receiver 113b analyzes the spectrum of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using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and extracts the broadcasting signal of the listening frequency input from the driver through the input unit 111 . Thereafter, the extracted broadcast signal can be decoded and converted into an analog sound signal using a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DAC).

이러한 DSP 수신기(113b)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The DSP receiver 113b may include a memory and a processor. The memory can store programs and data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and the processor can process broadcast signals according to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또한, DSP 수신기(113b)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부(112)와 분리되어 마련되거나 제어부(112)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SP 수신기(113b)는 제어부(112)에 포함된 프로세서의 일부로 구현되거나, 제어부(112)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SP receiver 113b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12 or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11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DSP receiver 113b may be embodied as a part of a processor included in the control part 112 or a program stored in a memory included in the control part 112. [

전력 증폭기(113c)는 헤드 유닛(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음향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113c)는 헤드 유닛(110)과 일체로 마련되거나, 헤드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power amplifier 113c can amplify the electric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head unit 110. [ The power amplifier 113c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head unit 110 or separately from the head unit 110. [

신호 처리부(113)는 이상에서 설명된 AGC 증폭기(113a), DSP 수신기(113b) 및 전력 증폭기(113c) 이외에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신호를 통과시키고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지 않는 신호를 차단하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passes a signal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broadcasting signal in addition to the AGC amplifier 113a, the DSP receiver 113b and the power amplifier 113c described above and blocks a signal not belonging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broadcasting signal And a band pass filter that filters the received signal.

이처럼, 신호 처리부(113)는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된 청취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processor 113 extracts a broadcast signal having a listening frequency selected by the driver from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module 120, and outputs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broadcast signal.

제어부(114)는 입력부(111)로부터 운전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표시부(112)와 신호 처리부(1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can receive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driver 111 from the input unit 111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12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

예를 들어, 제어부(114)는 입력부(111)로부터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된 청취 주파수를 수신하고, 선택된 청취 주파수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안테나 모듈(120)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청취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추출하도록 신호 처리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14 may receive the listening frequency selected by the driver from the input unit 111, and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12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istening frequency. The control unit 114 may control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4 to extract a broadcasting signal of a listening frequency from the broadcasting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module 120. [

제어부(114)는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된 잡음(N-1, N-2)의 세기에 따라 AGC 증폭기(113a)를 활성화/비활성화하거나, AGC 증폭기(113a)의 증폭율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activate or deactivate the AGC amplifier 113a or adjust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AGC amplifier 113a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noise N-1 or N-2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have.

자유 공간에는 방송 신호 이외에 다양한 무선 신호가 전파될 수 있다. 특히, 사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는 법률 등에 의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되는 잡음(N-1, N-2)은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잡음(N-1, N-2)은 신호 처리기(113)에 포함된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In the free space, various radio signals other than the broadcast signal can be propagated.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radio signals available to operators is determined by law. Accordingly, the noise (N-1, N-2)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may have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band of the broadcast signal.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N-1, N-2) having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band of the broadcast signal can be filtered using the band pass filter included in the signal processor 113.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원래의 잡음(N-1, N-2)을 제거하더라도, 원래의 잡음(N-1, N-2)에 의하여 신호 처리부(113) 내에서 잡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처럼 신호 처리부(113) 내에서 발생된 잡음에 의하여 음향이 왜곡될 수 있다.Noise may be generated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due to the original noise N-1, N-2 even if the original noise N-1, N-2 is removed using the band pass filter. The sound may be distorted due to the noise generated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신호 처리부(113) 내에서 발생되는 잡음은 대표적으로 고조파 잡음(harmonic noise)과 상호 변조 잡음(intermodulation noise)이 있다.The noise generated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typically includes harmonic noise and intermodulation noise.

고조파 잡음과 상호 변조 잡음은 잡음(N-1, N-2)이 비선형 소자를 통과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된 잡음(N-1, N-2)이 AGC 증폭기(113a)을 통과하는 동안 잡음(N-1, N-2)의 주파수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고조파 잡음과, 잡음(N-1, N-2)의 주파수 사이의 조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상호 변조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Harmonic noise and intermodulation noise may occur while noise (N-1, N-2) passes through the nonlinear element. For example, when the noise (N-1, N-2)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passes through the AGC amplifier 113a and corresponds to an integer multiple of the frequencies of the noises (N-1, N-2) Intermodulation noise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harmonic noise having a frequency and a combination of the frequencies of the noise (N-1, N-2) may occur.

예를 들어, 비선형 소자에 입력 신호(x)가 입력될 때, 비선형 소자가 출력 신호(y)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 신호(y)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signal x is input to the nonlinear element, the nonlinear element can output the output signal y, and the output signal y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1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1

여기서, y는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x는 입력 신호를 나타내고, G0, G1, G2, G3는 각 차수의 증폭율을 나타낼 수 있다.Here, y represents an output signal, x represents an input signal, and G 0 , G 1 , G 2 , and G 3 represent amplification rates of respective orders.

입력 신호(x)가 서로 다른 주파수(ω1, ω2)를 가지는 2개의 잡음(N-1, N-2)를 포함할 때, 입력 신호(x)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input signal x includes two noise N-1, N-2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 1 ,? 2 ), the input signal x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2) have.

[수학식 2]&Quot; (2) "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2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2

여기서, x는 입력 신호를 나타내고, A는 제1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1은 제1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B는 제2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2는 제2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Here, x represents the input signal, A represents the amplitude of the first noise,? 1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first noise, B represents the amplitude of the second noise,? 2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 t can represent the time.

이때, 출력 신호(y)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y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3).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3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3

y는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x는 입력 신호를 나타내고, G0, G1, G2, G3는 각 차수의 증폭율을 나타내고, A는 제1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1은 제1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B는 제2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2는 제2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y represents the output signal, x represents an input signal, G 0, G 1, G 2, G 3 represents the amplification factor of each order, A represents the amplitude of the first noise, ω 1 is the first noise B denotes the amplitude of the second noise,? 2 denot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t denotes the time.

[수학식 3]에 의하면, 입력 신호(x)는 증폭비(G1)만큼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출력 신호(y)는 증폭비(G1)만큼 증폭된 입력 신호(x)와 함께 고차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quation (3), the input signal x is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ratio G 1 and output. However, the output signal (y) may be high with the amplification ratio (G 1) of the input signal (x) as the amplification comprises a power term.

출력 신호(y)의 2차항을 정리하면, [수학식 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quadratic term of the output signal y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Equation (4).

[수학식 4]&Quot; (4) "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4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4

y는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x는 입력 신호를 나타내고, G0, G1, G2, G3는 각 차수의 증폭율을 나타내고, A는 제1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1은 제1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B는 제2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2는 제2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y represents the output signal, x represents an input signal, G 0, G 1, G 2, G 3 represents the amplification factor of each order, A represents the amplitude of the first noise, ω 1 is the first noise B denotes the amplitude of the second noise,? 2 denot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t denotes the time.

출력 신호(y)의 3차항을 정리하면, [수학식 5]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third term of the output signal y can be summarized as shown in Equation (5).

[수학식 5]&Quot; (5) "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5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5

y는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x는 입력 신호를 나타내고, G0, G1, G2, G3는 각 차수의 증폭율을 나타내고, A는 제1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1은 제1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B는 제2 잡음의 진폭을 나타내고, ω2는 제2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y represents the output signal, x represents an input signal, G 0, G 1, G 2, G 3 represents the amplification factor of each order, A represents the amplitude of the first noise, ω 1 is the first noise B denotes the amplitude of the second noise,? 2 denot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t denotes the time.

[수학식 4]과 [수학식 5]에 의하면, 출력 신호(y)는 고조파 잡음과 상호 변조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4) and Equation (5), the output signal y may include harmonic noise and intermodulation noise.

예를 들어, 제1 주파수(f1)의 제1 잡음(N-1)과 제2 주파수(f2)의 제2 잡음(N-2)이 비선형 소자에 입력되면, 제1 주파수(f1)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2f1, 3f1, ...)를 가지는 고조파 잡음과 제2 주파수(f2)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파수(2f2, 3f2, ...)를 가지는 고조파 잡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f1)와 제2 주파수(f2)가 조합된 주파수(f1+f2, f1-f2, 2f1+f2, f1+2f2, 2f1-f2, 2f2-f1, ...)를 가지는 상호 변조 잡음이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frequency a second noise (N-2) of (f 1) a first noise (N-1) and a second frequency (f 2) of the input to the nonlinear device, the first frequency (f 1 Harmonic noise having frequencies 2f 1 , 3f 1 , ... corresponding to an integral multiple of the second frequency f 2 and harmonics having frequencies 2f 2 , 3f 2 , Noise can be output. Also, the first frequency (f 1) and the second frequency (f 2) is the combined frequencies (f 1 + f 2, f 1 -f 2, 2f 1 + f 2, f 1 2 + 2f, 2f 1 -f 2 , 2f 2 -f 1 , ...) may be output.

2f1-f2와 2f2-f1의 주파수를 가지는 상호 변조 잡음(이하 각각 '제1 상호 변조 잡음'과 '제2 상호 변조 잡음'이라 한다)은 본래의 잡음(N-1, N-2)의 주파수와 유사한 주파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호 변조 잡음(IM3-1)과 제2 상호 변조 잡음(IM3-2)의 주파수는 각각 제1 잡음(N-1)과 제2 잡음(N-2)의 주파수와 유사하다.2f 1 -f 2 and mutually with a frequency of 2f 2 -f 1 modulated noise (hereinafter, respectively "the first intermodulation noise" and is referred to as "second intermodulation noise") is the original noise (N-1, N- 2). ≪ / RTI > 6,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intermodulation noise IM3-1 and the second intermodulation noise IM3-2 are the first noise N-1 and the second noise N-1, respectively, 2).

따라서, 잡음(N-1, N-2)의 주파수와 청취 주파수 사이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제1 상호 변조 잡음(IM3-1)과 제2 상호 변조 잡음(IM3-2)은 청취 주파수와 유사할 가능성이 있으며, 제1 상호 변조 잡음(IM3-1)과 제2 상호 변조 잡음(IM3-2)로 인하여 오디오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향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Therefor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ies of the noises (N-1, N-2) and the listening frequency is not large, the first intermodulation noise IM3-1 and the second intermodulation noise IM3-2,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100 may be distorted due to the first intermodulation noise IM3-1 and the second intermodulation noise IM3-2.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14)는 잡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에 따라 AGC 증폭기(113a)를 활성화/비활성화하거나 AGC 증폭기(113a)의 증폭율을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troller 114 can activate / deactivate the AGC amplifier 113a or control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AGC amplifier 113a according to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the noise signal.

제어부(114)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헤드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헤드 유닛(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memory. The memory may store a program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d unit 110 and the processor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d unit 110 according to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memory .

제어부(114)의 구제적인 동작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remedia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1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상호 변조 잡음의 제거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와 청취 주파수가 매칭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또한, 도 10은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와 청취 주파수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moving intermodulation nois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8 and 9 show the case where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and the listening frequency are matched. 10 shows a case where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and the listening frequency do not match.

도 7, 도 8, 도 9 및 도 10과 함께, 차량(1)의 상호 변조 잡음의 제거 방법(1000)이 설명된다.7, 8, 9 and 10, a method 1000 for eliminating the intermodulation noise of the vehicle 1 is described.

차량(1)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청취 주파수를 선택한다(1010).The vehicle 1 selects a listen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1010).

운전자는 차량(1)의 헤드 유닛(110)을 통하여 청취할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M 라디오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헤드 유닛(110)의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방송을 선국할 수 있으며, 입력부(111)는 운전자가 선택한 청취 주파수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14)로 출력할 수 있다.The driver can select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to be heard through the head unit 110 of the vehicle 1. [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lecting an FM radio broadcast signal, the driver can select a broadcast using the input unit 111 of the head unit 110, and the input unit 111 outputs a signal related to the listening frequency selected by the driver And output it to the control unit 114. [

제어부(114)는 입력부(111)로부터 청취 주파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처리부(113)가 청취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신호 처리부(113)에 선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receive the signal related to the listening frequency from the input unit 111 and may output the channel selection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so that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outputs the broadcas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istening frequency.

차량(1)은 복수의 잡음을 걸러 내고, 잡음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를 예측한다(1020).Vehicle 1 filters out a plurality of noises and predicts the frequency of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noise (1020).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가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원하지 않는 주파수의 잡음이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심에서는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가 강한 세기로 방사되고 있으므로, 방송 신호보다 강한 잡음이 수신될 수도 있다.Noises of undesired frequencies may be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while the audio device 100 of the vehicle 1 receives the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 For example, in urban areas, signals at various frequencies are emitted at a strong intensity, so that stronger noise may be received than broadcast signals.

오디오 장치(100)는 안테나 모듈(120) 또는 헤드 유닛(110)에 마련된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통과시키고, 잡음을 차단할 수 있다.The audio apparatus 100 may pass a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band-pass filter provided in the antenna module 120 or the head unit 110 to block noise.

이처럼, 오디오 장치(100)는 방송 신호와 주파수가 상이한 잡음은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으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유사한 경우 오디오 장치(100)가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상호 변조 잡음을 차단하기 곤란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udio apparatus 100 can block the noise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from the broadcasting signal using the band pass filter. However, if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generated by the mutual modulation between the noise is similar to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ing signal, It is difficult for the receiver 100 to block intermodulation noise using a bandpass filter.

이러한 이유로, 오디오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의 세기를 갖는 잡음을 감지하고, 감지된 잡음의 주파수로부터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audio apparatus 100 can detect noise having an intensity tha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can calculate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from the frequency of the sensed noise.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는 앞서 설명된 [수학식 4]와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100)는 제1 잡음(N-1)의 제1 주파수(f1)와 제2 잡음(N-2)의 제2 주파수(f2)로부터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dio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using Equations (4) and (5) described above. The audio device 100 as shown in Figure 8 comprises a first noise (N-1) a first frequency (f 1) and the intermodulation noise from the second frequency (f2) of the second noise (N-2) of the can calculate the frequency (2f 1 -f 2, 2f 2 -f 1) of (IM3-1, IM3-2).

차량(1)은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가 운전자가 선택한 청취 주파수와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1030).Vehicle (1) judges that the inter-modulation noise frequency (2f 1 -f 2, 2f 2 -f 1) the driver is listening to the selected frequency and the matching of (IM3-1, IM3-2) (1030) .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는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를 비교하고,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가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Frequency of the vehicle 1. The audio apparatus 100 includes a frequency (2f 1 -f 2, 2f 2 -f 1) and listening broadcast signal (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IM3-2) of (f 0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frequencies 2f 1 -f 2 and 2f 2 -f 1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match the frequency f 0 of the listener broadcast signal S can do.

구체적으로, 오디오 장치(100)는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가 일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 사이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audio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frequencies (2f 1 -f 2 , 2f 2 -f 1 )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and the frequency (f 0 ) of the listen broadcast signal S are as well as to determine whether the match, the frequency of the frequency (2f 1 -f 2, 2f 2 -f 1) and listening broadcast signal (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IM3-2) (f 0 ) May be determined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가 매칭되면, 차량(1)은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한다(1040).If the frequency (f 0) of the frequency (2f 1 -f 2, 2f 2 -f 1) and listening broadcast signal (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IM3-2) match, the vehicle 1 is automatically The gain control is activated (104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가 매칭되면, 청취 방송 신호(S)와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가 스피커 모듈(130)을 통하여 출력되므로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frequencies 2f 1 -f 2 and 2f 2 -f 1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are matched with the frequency f 0 of the listener broadcast signal S The audible broadcast signal S and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and IM3-2 are output through the speaker module 130 so that the sound of the broadcast signal can be distorted.

이러한 방송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세기를 감쇄시키기 위하여 오디오 장치(100)는 AGC 증폭기(113a)의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the broadcast signal and attenuate the intensitie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the audio apparatus 100 can activate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AGC amplifier 113a.

앞서 [수학식 5]에 의하면,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세기는 잡음(N-1, N-2)의 세기의 3제곱에 비례한다. 다시 말해, 잡음(N-1, N-2)의 세기가 감소하면,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세기는 더욱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이득 제어가 활성화되면 잡음(N-1, N-2)의 세기에 따라 AGC 증폭기(113a)의 증폭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세기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5),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IM3-2) is proportional to the third power of the intensity of the noise (N-1, N-2). In other words, as the strength of the noises (N-1, N-2) decreases, the intensitie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IM3-2) may decrease more sharply. Therefore, when the automatic gain control is activated,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AGC amplifier 113a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noises N-1 and N-2, and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and IM3-2 Can be drastically reduced.

예를 들어, AGC 증폭기(113a)의 자동 이득 제어가 활성화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GC 증폭기(113a)의 증폭율이 감소하며 DSP 수신기(113b)에 입력되는 잡음(N-1, N-2)의 세기가 감소한다. 또한, 잡음(N-1, N-2)의 세기의 감소로 인하여,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세기가 급격히 감소한다.For example, when the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AGC amplifier 113a is activated,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AGC amplifier 113a is reduced and the noise N-1, N -2) is decreased. Further, the intensitie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are drastically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intensities of the noises N-1 and N-2.

그 결과,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에 의한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sound of the broadcast signal due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or IM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가 매칭되면, 차량(1)은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한다(1050).If the frequency (f 0) of the frequency (2f 1 -f 2, 2f 2 -f 1) and listening broadcast signal (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IM3-2) match, the vehicle 1 is automatically Gain control is disabled (105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가 매칭되지 않으면,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은 DSP 수신기(113b)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가 스피커 모듈(130)을 통하여 출력되지 않으며,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되지 않는다.The frequencies 2f 1 -f 2 and 2f 2 -f 1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and the frequency f 0 of the listener broadcast signal S are not matched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may be interrupted by the DSP receiver 113b. Therefore, the intermodulation noise signals IM3-1 and IM3-2 are not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module 130, and the sound of the broadcast signal is not distorted.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활성화하면, AGC 증폭기(113a)는 잡음의 세기에 증폭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AGC 증폭기(113a)의 증폭율 조절에 의하여 잡음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의 세기 역시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방송 신호의 세기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디오 장치(100)는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Even when the sound of the broadcast signal is not distorted, the AGC amplifier 113a can adjust the amplification facto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noise. At this time, not only the noise but also the intensity of the broadcast signal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AGC amplifier 113a. In this way, the audio apparatus 100 can disable the automatic gain control in order to prevent the intensity of the broadcast signal from being reduced even though the sound of the broadcast signal is not distorted.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신호는 왜곡되거나 감쇄되지 않고 AGC 증폭기(113a)로부터 DSP 수신기(113b)로 출력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broadcast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AGC amplifier 113a to the DSP receiver 113b without being distorted or attenuated,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는 잡음(N-1, N-2)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를 산출하고,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에 따라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dio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1 calculates the frequencies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and IM3-2 due to the noises N-1 and N-2, The automatic gain control can be activated or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2f 1 -f 2 , 2f 2 -f 1 ) of the noises (IM3-1, IM3-2).

이상에서는 잡음(N-1, N-2)의 주파수(f1, f2)로부터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가 산출되고,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의 주파수(2f1-f2, 2f2-f1)에 따라 AGC 증폭기(113a)의 자동 이득 제어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방법이 설명되었다.The frequencies 2f 1 -f 2 and 2f 2 -f 1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M3-1 and IM3-2 are calculated from the frequencies f 1 and f 2 of the noises N-1 and N-2 to is calculated, it was a method in which the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AGC amplifier (113a) is enabled or disabled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bed inter-modulation noise frequency (2f 1 -f 2, 2f 2 -f 1) of (IM3-1, IM3-2) .

이하에서는 제1 잡음(N-1)의 주파수(f1)로부터 청취 주파수(f0)와 매칭되는 상호 변조 잡음(IM3-1, IM3-2)을 생성할 수 있는 제2 잡음(N-2)을 검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Hereinafter, a first noise (N-1) frequency of (f 1) from the listening frequency (f 0) and the intermodulation noise matching (IM3-1, IM3-2) a second noise (N-2 capable of generating ) Will be described.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상호 변조 잡음의 제거 방법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11 and 12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eliminating intermodulation nois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 및 도 12와 함께, 차량(1)의 상호 변조 잡음의 제거 방법(1100)이 설명된다.11 and 12, a method 1100 for eliminating intermodulation noise of the vehicle 1 is described.

차량(1)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청취 주파수를 선택한다(1110).The vehicle 1 selects the listen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driver's choice (1110).

운전자는 차량(1)의 헤드 유닛(110)을 통하여 청취할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M 라디오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는 헤드 유닛(110)의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방송을 선국할 수 있으며, 입력부(111)는 운전자가 선택한 청취 주파수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14)로 출력할 수 있다.The driver can select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to be heard through the head unit 110 of the vehicle 1. [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lecting an FM radio broadcast signal, the driver can select a broadcast using the input unit 111 of the head unit 110, and the input unit 111 outputs a signal related to the listening frequency selected by the driver And output it to the control unit 114. [

제어부(114)는 입력부(111)로부터 청취 주파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처리부(113)가 청취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신호 처리부(113)에 선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may receive the signal related to the listening frequency from the input unit 111 and may output the channel selection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so that the signal processing unit 113 outputs the broadcast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istening frequency.

차량(1)은 기준 세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잡음을 검색하고, 검색된 잡음의 주파수와 세기의 목록을 생성한다(1120).The vehicle 1 searches for noise having an intensity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intensity, and generates a list of the frequencies and the intensity of the detected noise (1120).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가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원하지 않는 주파수의 잡음이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심에서는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가 강한 세기로 방사되고 있으므로, 방송 신호보다 강한 잡음이 수신될 수도 있다.Noises of undesired frequencies may be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while the audio device 100 of the vehicle 1 receives the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 For example, in urban areas, signals at various frequencies are emitted at a strong intensity, so that stronger noise may be received than broadcast signals.

오디오 장치(100)는 안테나 모듈(120)을 통하여 수신된 잡음(N-1, N-2)의 세기를 측정하고, 잡음(N-1, N-2)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신호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인 잡음(N-1, N-2)의 주파수(f1, f2)를 목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세기가 기준 세기 이상인 잡음(N-1, N-2)의 세기를 목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audio apparatus 100 measures the strength of the noise N-1 and N-2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odule 1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noise N-1 or N-2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can do. Also, the audio apparatus 100 can store the frequencies (f 1 , f 2 ) of the noise (N-1, N-2) havin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high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In addition, the intensity of the noise (N-1, N-2) havin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intensity can be stored as a list.

차량(1)은 잡음(N-1, N-2)의 주파수 목록으로부터 메인 잡음을 선택하고, 메인 잡음의 주파수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로부터 후보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한다(1130). 여기서 후보 잡음은 메인 잡음과의 상호 변조 현상에 의하여 청취 방송 신호에 매칭되는 상호 변조 잡음을 생성하는 잡음을 나타낸다.The vehicle 1 selects the main noise from the frequency list of the noises N-1 and N-2 and calculate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from the frequency of the main noise and the frequency f 0 of the listener broadcast signal S (1130). Herein, the candidate noise represents a noise that generates an intermodulation noise that is matched to a broadcast broadcasting signal by intermodulation phenomena with the main noise.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잡음(N-1, N-2)의 주파수 목록으로부터 메인 잡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는 수신된 잡음(N-1, N-2) 중에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잡음을 메인 잡음으로 선택하거나, 수신된 잡음(N-1, N-2) 중에 신호의 주파수가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가장 근접한 잡음을 메인 잡음으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오디오 장치(100)는 임의로 메인 잡음을 선택할 수도 있다.The audio device 100 of the vehicle 1 can select the main noise from the frequency list of noise N-1, N-2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udio apparatus 100 selects the noise having the highest signal intensity among the received noise N-1 and N-2 as the main noise or the noise among the received noise N-1 and N-2 The noise whose frequency is closest to the frequency band of the broadcast signal can be selected as the main noise. Of course, the audio device 100 may arbitrarily select the main noise.

이후, 오디오 장치(100)는 메인 잡음의 주파수와 청취 방송 신호(S)의 주파수(f0)로부터 후보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 후보 잡음은 메인 잡음과의 상호 변조 현상에 의하여 청취 방송 신호에 매칭되는 상호 변조 잡음을 생성할 수 있는 잡음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메인 잡음과 후보 잡음의 상호 변조에 의하여 생성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는 청취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Thereafter, the audio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from the frequency of the main noise and the frequency (f 0 ) of the listener broadcast signal S. The candidate noise represents a noise that can generate the intermodulation noise that is matched to the listener broadcast signal by intermodulation phenomena with the main noise. In other words,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generated by the intermodulation of the main noise and the candidate noise can be matched with the frequency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후보 잡음의 주파수는 다음의 [수학식 6]과 [수학식 7]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6) and (7).

[수학식 6]&Quot; (6) "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6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6

여기서, fcandidate는 후보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fmain은 메인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f0는 청취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낸다.Here, f candidate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f main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main noise, and f 0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broadcasting signal.

[수학식 7]&Quot; (7) "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7
Figure 112016110685215-pat00007

여기서, fcandidate는 후보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fmain은 메인 잡음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f0는 청취 방송 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낸다.Here, f candidate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f main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main noise, and f 0 represent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broadcasting signal.

차량(1)은 후보 잡음의 주파수를 기초로 잡음의 주파수 목록을 검색한다(1140).The vehicle 1 searches 1140 for a list of frequencies of noise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는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를 검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디오 장치(100)는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오차 범위 이내의 주파수를 검색할 수 있다.The audio device 100 of the vehicle 1 can retrieve the frequency that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n the frequency list of noise. In other words, the audio device 100 can search for a frequency equal to or at least within an error range of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n the frequency list of noise.

차량(1)은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가 발견되었는지 판단하고(1150),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가 발견되면(1150의 예) 차량(1)은 메인 잡음과 후보 잡음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한다(1160).The vehicle 1 determines whether a frequency that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s found in the frequency list of noise 1150 and if a frequency that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n the list of frequencies of noise is found 1150, 1) calculates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the main noise and the candidate noise (1160).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가 발견되면, 발견된 후보 잡음(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잡음)과 메인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하여 상호 변조 잡음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가 청취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If a frequency that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s found in the list of frequencies of noise, intermodulation noise may be generated by intermodulation between the found candidate noise (noise having a frequency matching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and the main noise And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can be matched with the frequency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따라서,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가 발견되면,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는 주파수와 세기의 목록으로부터 메인 잡음의 세기와 후보 잡음의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Thus, if a frequency matching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s found in the frequency list of noise, the audio device 100 of the vehicle 1 can obtain the intensity of the main noise and the intensity of the candidate noise from the list of frequencies and intensities .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수학식 5]를 이용하여 메인 잡음의 세기와 후보 잡음의 세기로부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할 수 있다.Also, the audio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from the intensity of the main noise and the intensity of the candidate noise using Equation (5).

차량(1)은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1170). 여기서, 허용 범위는 상호 변조 잡음에 의하여 청취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되더라도 왜곡된 정도가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는 수준인 신호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The vehicle 1 determines whether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s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1170). Here, the allowable range may indicate the strength of a signal that is distorted even if the sound of the broadcast broadcast signal is disturbed due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at a level that the driver can perceive.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는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보다 작으면, 청취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되어 운전자가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 이상이면, 청취 방송 신호의 음향이 어느 정도 왜곡되나 그 왜곡된 정도가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줄 정도는 아닐 수 있다.The audio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1 can compare the strength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with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f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s less than the intermodulation noise, the sound of the listened broadcast signal may be distorted and the driver may feel uncomfortable. In addition, if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ed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termodulation noise, the sound of the listened broadcast signal may be distorted to some extent, but the degree of distortion may not be uncomfortable to the driver.

실시예에서는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과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비교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에 대한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의 비율 즉 신호 대 잡음 비율(signal-to-noise ratio)을 산출하고, 신호 대 잡음 비율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um of the strength and the allowable range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is compared with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intensity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to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e.,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calculated, and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보다 작으면(1170의 예), 차량(1)은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한다(1180).If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s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example of 1170), the vehicle 1 activates automatic gain control (1180).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보다 작으면, 메인 잡음과 후보 잡음에 의하여 발생된 상호 변조 잡음으로 인하여 청취 방송 신호가 왜곡될 수 있으며, 그 왜곡의 정도가 심하여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If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s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may be distorted due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caused by the main noise and the candidate noise, Can be uncomfortable.

따라서, 방송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감쇄시키기 위하여 오디오 장치(100)는 AGC 증폭기(113a)의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the broadcast signal and attenuate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the audio apparatus 100 can activate the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AGC amplifier 113a.

AGC 증폭기(113a)의 자동 이득 제어가 활성화되면, 잡음의 세기에 따라 AGC 증폭기(113a)의 증폭율이 감소할 수 있으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 역시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When the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AGC amplifier 113a is activated,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AGC amplifier 113a can be reduc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noise, and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can also be drastically reduced.

따라서, 상호 변조 잡음에 의한 청취 방송 신호의 음향의 왜곡이 완화될 수 있다.Therefore, the distortion of the sound of the listener broadcast signal due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can be mitigated.

실시예에서는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과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비교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에 대한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의 비율 즉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산출하고, 신호 대 잡음 비율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오디오 장치(100)는 AGC 증폭기(113a)의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um of the strength and the allowable range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is compared with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he signal-to-noise ratio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ratio of the intensity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to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e., the signal-to-noise ratio is calculated. Control can be activated.

반면,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가 발견되지 않거나(1150의 아니오)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보다 작지 않으면(1170의 아니오), 차량(1)은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한다(1190).On the other hand, if no frequency matching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s found in the list of frequencies of noise (NO in 1150), or if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s not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1) deactivates automatic gain control (1190).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가 발견되지 않으면,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청취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는다. 그 결과, 상호 변조 잡음에 의한 청취 방송 신호의 음향이 왜곡되지 않으며, 오디오 장치(100)는 청취 방송 신호가 감쇄되지 않도록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If a frequency that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s not found in the list of frequencies of noise,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between the noise does not match the frequency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s a result, the sound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due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not distorted, and the audio apparatus 100 can disable the automatic gain control so that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is not attenuated.

또한, 잡음의 주파수 목록에서 후보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는 주파수가 발견되더라도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보다 작지 않으면, 상호 변조 잡음에 의한 청취 방송 신호의 음향의 왜곡이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100)는 청취 방송 신호가 감쇄되지 않도록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Even if a frequency matching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s found in the list of frequencies of noise, if the sum of the strength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and the allowable range is not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istortion of the sound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due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This does not inconvenience the driver. Thus, the audio device 100 may disable the automatic gain control so that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is not attenuated.

실시예에서는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와 허용 범위의 합과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비교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에 대한 청취 방송 신호의 세기의 비율 즉 신호 대 잡음 비율을 산출하고, 신호 대 잡음 비율이 기준값보다 작지 않으면 오디오 장치(100)는 AGC 증폭기(113a)의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sum of the strength and the allowable range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is compared with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intensity of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to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e., the signal-to-noise ratio, is calculated, and if the signal-to-noise ratio is not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audio device 100 determines the automatic gain of the AGC amplifier 113a Control can be deactivat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오디오 장치(100)는 복수의 잡음 중에 메인 잡음을 선택하고, 메인 잡음의 주파수와 청취 방송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후보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는 후보 잡음의 주파수의 매칭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잡음이 발견되면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고, 후보 잡음의 주파수의 매칭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잡음이 발견되지 않으면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dio apparatus 100 of the vehicle 1 can select the main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nd calculate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from the frequencies of the main noise and the listening broadcast signal. In addition, the audio apparatus 100 activat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when noises having a matching frequency of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are found, and deactivat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if noise having a matching frequency of the frequency of the candidate noise is not found .

이상에서 설명된 동작은 오디오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비디오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operation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audio devices, and may be applied to video devices that receive video broadcast signals.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The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generate a program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embodi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it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or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embodiments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차량 100: 오디오 장치
110: 헤드 유닛 113: 신호 처리부
113a: AGC 증폭기 113b: DSP 수신기
114: 제어부 120: 안테나 모듈
130: 스피커 모듈
1: vehicle 100: audio device
110: head unit 113: signal processing unit
113a: AGC amplifier 113b: DSP receiver
114: control unit 120: antenna module
130: Speaker module

Claims (20)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자동 이득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An antenna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Wherein the automatic gain control is enabled by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caused by intermodu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nois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And a head unit for deactivating the head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잡음의 제1주파수와 방송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제2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unit selects a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nd calculates a frequency of a second noise from the first frequency of the first noise and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d unit selects noise having the strongest signal intensity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s the first noi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주파수의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가장 근접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d unit selects noise that is closest to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of th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to the first noi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는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d unit activat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if at least one of the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가 모두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d unit deactivat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if the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noise do not all match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d unit calculates the strength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ing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vehicle that activates automatic gain contro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고,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d unit calculates the intensit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deactivates the automatic gain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무선 신호를 증폭하되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자동 이득 제어가 가능한 증폭기;
상기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unit includes:
An amplifier capable of automatic gain control for amplifying the radio signal and changing an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xtracting a broadcast signal from a signal amplified by the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 And
And a controller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utomatic gain control of the amplifi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
상기 증폭된 무선 신호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추출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Receiving a radio signal;
Amplify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Extracting a broadcast signal from the amplified radio signal; And
And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broadcast signal,
Wherein the step of amplifying the received radio signal comprises:
And modify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caused by intermodulation between a plurality of nois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잡음의 제1주파수와 방송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제2 잡음의 주파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ncludes:
Selecting a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nd
And calculating a frequency of a second noise from the first frequency of the first noise and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the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 includes:
And selecting noise having a stron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s a first noi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제1 잡음을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 중에 주파수의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가장 근접한 잡음을 제1 잡음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the first noise among the plurality of noise includes:
And selecting a noise closest to a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of the frequency among the plurality of noises as a first noi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ncludes:
And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가 모두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intain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noises do not match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ncludes:
Calculating a strength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And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잡음의 주파수 중에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잡음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상호 변조 잡음의 세기를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상호 변조 잡음에 대한 상기 방송 신호의 비율이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ncludes:
Calculating a strength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ies of the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second noise; And
And maintain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ratio of the broadcast signal to the intermodulation noi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An antenna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nd
And a head unit for chang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between a plurality of nois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잡음 사이의 상호 변조에 의한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유지하는 차량.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head unit maintains the amplification rate of the radio signal when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ue to intermodu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noise does not match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면 상기 무선 신호의 증폭율을 변경하는 자동 이득 제어를 활성화하고, 상호 변조 잡음의 주파수가 상기 방송 신호의 주파수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자동 이득 제어를 비활성화하는 차량.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head unit activates an automatic gain control for changing an amplification factor of the radio signal if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matches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and if the frequency of the intermodulation noise does not match the frequency of the broadcast signal, Vehicle that disables automatic gain control.
KR1020160150811A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KR1018175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11A KR101817521B1 (en)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11A KR101817521B1 (en)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521B1 true KR101817521B1 (en) 2018-02-21

Family

ID=6152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811A KR101817521B1 (en) 2016-11-14 2016-11-14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521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6376B2 (en) Automotive audio controller with vibration sensor
US9813813B2 (en) Customization of a vehicle audio system
KR20190088022A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noise masking
US9397630B2 (en) Directional based audio response to an external environment emergency signal
US20050213786A1 (en) Acoustic system for vehicle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2388426B1 (en) vehicle,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and audio apparatus for vehicle
US20110261970A1 (en) Noise modifying overhead audio system
CN114148254B (en) Automobile low-speed prompt tone realization system
US10410618B2 (en) In-vehicle nois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312558B (en) System for realizing low-speed prompt tone AVAS and active sound enhanced ASE on automobile
US20140119565A1 (en) Sound playing system of a cluster
US200602417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reproduction of audio source material in an audio system
KR101244084B1 (en) Virtual engine sound device for an electric motor base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US4282605A (en) Sound reproducing with remote amplifying transducer
KR101817521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US8259962B2 (en) Audio system configured to fade audio outputs and method thereof
US6031918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volume of a car radio as a function of driving noise
CN109803208B (en) Audio fil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5371688B2 (en) Car interior music playback system and music playback adapter
US7209704B2 (en) Wireless headphone apparatus and wireless headphone system
JP3949774B2 (en) Volume control system
KR1017369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ound quality during driving.
KR101851141B1 (en)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and audio apparatus for vehicle
KR20130017513A (en) Car audi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522246B2 (en) Automotive audio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