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444B1 - 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 Google Patents

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444B1
KR101817444B1 KR1020160149215A KR20160149215A KR101817444B1 KR 101817444 B1 KR101817444 B1 KR 101817444B1 KR 1020160149215 A KR1020160149215 A KR 1020160149215A KR 20160149215 A KR20160149215 A KR 20160149215A KR 101817444 B1 KR101817444 B1 KR 10181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dule connector
wall
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자경
최필수
Original Assignee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디파트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디파트라이트 filed Critical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4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decorativ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co-friendly interior decorative structure allowing frames to be mounted on a wall surface to have various patterns, allowing plants to be arranged by using a disposable cup in each frame, and allowing each module connector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LED) between adjacent frames, thereby providing a spatial design effect and an eco-friendly decorative effect.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decorative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frame formed to have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having an open top surface and an open bottom surface and having a fixing part formed at the bottom surface to be fixed to the wall; a holder mounted inside the frames; a cup fixed by the holder; and at least one module connector having an LED and mounted between the adjacent frames. The module connector is fittingly mounted in bottom surfaces of the adjacent frames. The eco-friendly interior decorative structure is able to be mounted on a wall while having various shapes.

Description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본 발명은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다양한 패턴으로 프레임을 구성하고 각각의 프레임에 일회용 컵을 이용하여 식물을 배치함과 동시에 LED가 구비된 모듈커넥터를 인접한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공간의 디자인적인 효과 및 친환경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io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interior structure, in which a frame is formed in various patterns on a wall surface, plants are arranged using disposable cups in each frame, To an eco-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a wall in various forms capable of providing a space effect and an eco-friendly interior effect.

실내 인테리어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맞게 장식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기 위한 작업을 의미하는데, 최근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문화가 급변하고 있다.Indoor interior means the work to produce various designs by decorating the interior space according to the purpose. Recently, as the interest in interior decoration has increased, the culture is rapidly changing.

그 중 실내 공간의 측면들을 차지하는 벽(경우에 따라서는 실외 공간의 벽)은 과거에는 그저 시계나 그림 등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 물건들을 걸어놓는 배경 또는 지지부 역할을 할 뿐이었지만 지금은 벽을 어떻게 디자인하느냐가 해당 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큰 디자인적인 요소가 되었다.In the past, the wall that occupied the sides of the interior space (in some cases, the wall of the outdoor space) served as a background or support for hanging things that did not take up a large volume, such as a clock or a picture. Designing has become a big design factor that influences the atmosphere of the space.

또한, 현재에는 다양한 소재로 여러 가지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인테리어 구성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도 자연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친환경 인테리어가 각광받고 있다.In addition, there are presently various interior designs that can express various designs with various materials. Especially,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that harmonize with the environment without polluting the natural environment is attracting attention.

그러나 친환경 인테리어를 적용한다 함은 그저 친환경 페인트로 도색하거나 친환경적인 소재로 만들어진 물건을 특정 공간에 배치하는 정도만 생각할 뿐, 재활용쓰레기 또는 1회용쓰레기를 인테리어에 적용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However,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is merely a matter of painting in green paint or placing an object mad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in a specific space, and it is hard to find a case where recycling garbage or disposable garbage is applied to interior.

따라서 실내 또는 실외의 벽을 이용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고정된 디자인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원하는 디자인으로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성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that can be efficiently arranged so as not to occupy a lot of space by using indoor or outdoor walls, and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fixed design but can be changed to a desired design according to necessity.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친환경적인 인테리어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while efficiently utilizing a spa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면과 하단면이 개방된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면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벽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홀더, 상기 홀더를 통해 고정되는 컵 및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며, 인접한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커넥터는 인접한 프레임들의 상단면에 끼움결합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frame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surface, And one or more module connectors mounted between adjacent frames, the module connecto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fram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co-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a wall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상기 모듈커넥터는, 육각형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인접한 프레임들의 상단면과 끼움결합을 수행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 상에 장착되어 컵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LED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 모서리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u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hexagonal shape, a fitt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perform fitting engagement with an upper face of the adjacent frames, a fitting portion mounted on the fitting portion, One or more LEDs and one or more magnet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edg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커넥터는 LED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LED 보호판을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n LED protection plate for protecting the LED from moisture.

본 발명에서 상기 LED는 식물성장용 LED에 해당하며, 빨간색 또는 파란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corresponds to a LED for a vegetable field, and may be composed of either red or blue.

본 발명에서 상기 LED는 6개의 수로 장착되며, 상기 모듈커넥터 상에서 서로 대칭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Ds are mounted in six numbers, and are mount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module connector.

본 발명에서 상기 자석은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is a neodymium magnet.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은 고정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is fixed to the wall by using a screw penetrating the hol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컵은 내부에 식물을 심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is characterized by being capable of planting plants therein.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과 모듈커넥터는 나무, 종이 또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and the module connector may be formed of wood, paper, or acrylic.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은 한 변이 75 내지 85㎜ 사이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정육각형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ha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a regular hexagon which is selected in a range of 75 to 85 mm on one side.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 공간 중 벽을 이용해 인테리어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인테리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fficiently utilizing the interior while occupying less space by constructing the interior using the wall of the indoor or outdoor space.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을 심을 수 있는 1회용 컵을 이용해 친환경적 인테리어를 적용함으로써 자원을 아끼고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간의 분위기를 보다 아름답게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aving resources,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ore beautifully creating a space atmosphere by apply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using disposable cups capable of planting plants.

아울러 본 발명은 고정된 디자인이 아니라 주어지는 공간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한 디자인으로 꾸밀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의 LED를 이용할 수 있어 획일적이지 않은 인테리어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fixed design, but can be designed to be changeable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a given space, and LEDs of different colors can be used, thereby forming an unevenly designed interi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의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넥터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넥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로 조합된 모듈커넥터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프레임 재질 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plan view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wall mou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D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through 3D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a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ulti-module modu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F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process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a wall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a wall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hanges in frame materi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의 평면도가 도시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wall mou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 공간의 친환경 인테리어를 위한 목적으로, 상단면과 하단면이 개방된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면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벽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홀더(200), 상기 홀더를 통해 고정되는 컵(300) 및 LED(Light Emitting Diode)(430)를 구비하며, 인접한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커넥터(400)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커넥터는 인접한 프레임들의 상단면에 끼움결합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을 제공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door or outdoor space for environment-friendly interiors,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column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surface, A light emitting diode (LED) 430 having a frame 100, a holder 200 mounted inside the frame, a cup 300 fixed through the holder, and a light emitting diode 430, And a module connector (400), wherein the module connector is mounted in a fit-fit mann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frames, the wall-mountable environmentally-friendly interior structure.

먼저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100)은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생태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프랙탈(Fractal) 패턴인 벌집과 유사하게 상단면과 하단면이 개방된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된다.First of all, the fram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structur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walls in various forms. The frame 100 ha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similar to a honeycomb, which is a typical fractal pattern found in an ecosystem.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column with open sides.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a 내지 도 2d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의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가 도시된다.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a plan view, a front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도 2a는 프레임(400)의 평면도로서, 상기 프레임이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원형의 홀더(200)가 장착되며 하단면 내부에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네 개의 고정부(110)가 구현된 것이 나타나 있다.2A is a plan view of the frame 400.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i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column, and a circular holder 200 is mounted inside the frame 400. Inside the lower end face, four holes It is shown that the system 110 is implemented.

상기 홀더(200)는 내부에 식물을 심을 수 있는 컵(300)을 장착 및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면에는 원형의 테두리에 컵을 고정시키기 위한 네 개의 삼각형 형상의 내측면이 형성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홀더의 형태와 세부구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holder 200 has a structure for mounting and fixing a cup 300 to be planted therein. In the figure, four triangular inner side surfaces for fixing the cup to a circular rim are shown as being form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lder can be changed as needed.

그리고 상기 고정부(110)는 프레임(100)의 하단면 내부에 형성되어 나사를 이용해 고정부의 홀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을 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정에 필요한 강도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그 수는 더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part 110 is formed inside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rame 100 and serves to fix the frame to the wall by penetrating the hole of the fixing part using a screw,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can be formed more or less.

이와 같은 프레임(100)은 내부에 식물이 담긴 컵(300) 및 상기 컵을 고정하는 홀더(200)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과다하게 큰 크기를 가지는 경우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면에서도 좋지 않아 상기 프레임은 한 변이 75 내지 85㎜ 사이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정육각형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 frame 100 should be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accommodate the cup 300 containing the plant therein and the holder 200 for fixing the cup. However, if the frame 100 has an excessively large siz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has a top face and a bottom face of a regular hexagon which is selected in a range of 75 to 85 mm on one side.

도 2b는 프레임(100)의 정면도에 해당하며 홀더(200)가 프레임 내부 상측에 위치하고 고정부(110)가 프레임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B is a front view of the frame 100,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older 2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the fixing part 11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그리고 도 2c와 도 2d는 프레임(100)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로서, 홀더(200)는 여섯 개의 프레임 내부면 모두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2a에 표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레임 내부면에만 연결되어 고정되는 경우에는 무게에 의해 완전한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적절히 기울어져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2C and 2D are a left side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frame 100. The holder 200 may be connected to all of the six frame inner surfaces and fixed horizontally, but as shown in FIG. 2A, It is not fully horizontal due to its weight and shows a proper inclination.

한편, 상기 홀더(200)에 장착되는 컵(300)은 다양한 종류의 컵 또는 컵의 모양을 가지는 화분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친환경적 인테리어 구현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커피전문점 등에서 음료를 담아 파는 용도로 사용하는 1회용 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cup 300 mounted on the holder 200 may be used as a pot or the like having various cups or cups. However, in order to realiz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coffee shop, It is preferable to use the disposable cup.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특징의 프레임(100)을 원하는 인테리어 구성에 따라 다수로 인접하도록 설치하는데, 이러한 프레임은 고정부(110)에 의해 벽에 고정됨과 동시에 인접한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커넥터(400)에 의해 추가적으로 고정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rame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desired interior configuration. These frames are fixed to the wall by the fixing portion 110, and at the same time, (Not shown).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a 내지 도 3d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넥터(400)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된다.For ease of understanding, a top view, a front view, a back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odule connector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도 3a는 모듈커넥터(400)의 평면도로서, 여섯 개의 모서리 중 네 변의 길이는 같고 두 변의 길이는 상이한 육각형 형태의 본체부(4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프레임(100)의 정육각형 모양의 상단면 한 면의 길이가 81㎜ 가 되도록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상기 모듈커넥터 본체부의 긴 방향의 길이는 81㎜, 짧은 방향의 길이는 42㎜ 가 되도록 설정하였다.FIG. 3A is a plan view of the module connector 400, showing a hexagonal body portion 410 having four sides of the same six sides and having the same length on both sid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hexagonal top surface of the frame 100 is set to be 81 mm, so that the length of the module connector body portion in the long direction is 81 mm and the length in the short direction is 42 Mm.

도 3b는 모듈커넥터(400)의 정면도이고, 도 3c는 모듈커넥터의 배면도이며, 도 3d는 모듈커넥터의 측면도에 해당하며, 이 도면들을 통해 상기 모듈커넥터에 본체부(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끼움부(420)와 LED(4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3B is a front view of the module connector 400, FIG. 3C is a rear view of the module connector, FIG. 3D is a side view of the module connector, It can be seen that the fitting portion 420 and the LED 430 are formed.

도면에서는 상기 끼움부(420)와 LED(430)가 본체부(410)의 하부에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LED는 끼움부 상에 장착되어 하방향 즉 컵(300)이 위치한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fitting part 420 and the LED 430 are separately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410 in the drawing, the LED is mounted on the fitting part so that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Lt; RTI ID = 0.0 > direction. ≪ / RTI >

이러한 상기 LED(430)는 식물성장용 LED에 해당하는데 상기 식물성장용 LED는 SMD 형태를 사용하게 되며 좌우의 연결 단자를 이용해 다른 여분의 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듈커넥터(400) 서로간의 접촉으로 불이 들어올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D는 빨간색 또는 파란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구성될 수 있고,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6 개의 수로 서로 대칭의 위치에 장착된다.The LEDs 430 correspond to the LEDs for the vegetable field, and the LEDs for the vegetable field use the SMD type. The LEDs 430 use the left and right connection terminals and do not require any extra wires, So that it can be receiv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s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red and blue colors, and are moun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six numbers in consideration of a design aspect.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넥터(4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를 참고하면 더욱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The module connecto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dule connector 400.

이와 같은 모듈커넥터(400) 또한 프레임(100)이 다수의 조합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마찬가지로 다수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모듈커넥터 간의 결합은 상기 본체부(410)의 하부면 모서리에 장착되는 자석(440)을 통해 이루어진다.The module connector 400 may also be constructed in a plurality of combinations as the frames 10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combined forms. The coupling between the module connectors may be formed at the lower surface corner of the body portion 410 And is mounted through the magnet 440.

즉, 상기 본체부(410)의 하부면 모서리에 장착되는 자석(440)의 자력을 통해 모듈커넥터(4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N극과 S극이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자석은 6 x 2 x 2㎜ 크기의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N and S poles ar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dule connectors 4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40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corner of the main body 410, It is preferably a neodymium magnet having a size of 2 x 2 mm.

그 외에도 상기 모듈커넥터(400)는 조명이 필요 없는 부분을 위해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LED(430)를 온(on)/오프(off) 시킬 수도 있으며, 모듈커넥터 30개를 연결한 것을 기준으로 보면 12V 의 전압 및 2.5A 의 전류를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dule connector 400 may turn on / off the LED 430 by additionally configuring a switch for a portion that does not require illumination, A voltage of 12V and a current of 2.5A are used.

경우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모듈커넥터(400) 연결이 필요할 경우에는 그 이상의 전원을 공급하여 줄 수 있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할 수 있다.In some cases, when a larger number of module connectors 400 are required to be connected, a 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 capable of supplying more power may be used.

도 5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로 조합된 모듈커넥터(4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며, 이러한 모듈커넥터의 수와 조합된 형태는 프레임(100)의 수 및 조합된 형태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진다.5 is an illustration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ulti-module modular connecto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umber of such modular connectors in combination with the number of frames 100, It has features that depend on the shape.

한편, 상기 모듈커넥터(400)는 LED(430)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LED 보호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ED가 몇 개의 수로 어느 위치에 장착되느냐에 따라 상기 LED 보호판의 수와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dule connector 400 may further include an LED protection plate for protecting the LED 430 from moisture, and the number and shape of the LED protection plate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LEDs .

한편, 도 6a 내지 도 6e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6A to 6E illustrate an installation process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a wall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내부에 홀더(200)가 장착된 프레임(100)을 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110)에 나사를 이용하기 직전을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나사를 이용해 내부에 홀더가 장착된 프레임을 벽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6A shows a state immediately before a screw is used for the fixing part 110 for fixing the frame 100 with the holder 200 mounted thereon to the wall. Is fixed to the wall.

벽에 걸거나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프레임(100) 내부에 식물이 담긴 컵(300)이나 또 다른 부재가 채워짐으로써 생기는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견고한 나사 고정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rigid screw fixing method in order to cover the weight caused by filling the cup 300 containing the plant or another member in the frame 100. [

이 고정부(110)는 프레임(100)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디자인에 결함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The fixing part 110 should be located inside the frame 100 so that the design is not defectiv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도 6c는 사용한 1회용 컵(300)에 원하는 식물을 심고 프레임(100) 내부로 진입시키는 것을 나타내며, 도 6d는 상기 컵을 홀더(200)에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가 프레임 내면 중 두 면에 연결되어 장착되므로 완전한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6C shows planting of the desired plant in the used disposable cup 300 and entry into the frame 100, and Fig. 6D shows mounting and fixing of the cup to the holder 200. Fig.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lder is connected to two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frame so that the holder is not completely leveled.

그리고 도 6e는 벽에 고정한 프레임(100)의 옆에 원하는 패턴을 이루도록 새로운 프레임을 장착하는 것을 나타낸다. 벽에 나사를 이용해 새로이 장착하는 프레임을 고정함과 동시에 도 6f에 표시되듯이 상단면에 끼움결합의 형태로 모듈커넥터(400)가 인접 프레임들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이 구현된다.6E shows mounting a new frame to form a desired pattern on the side of the frame 100 fixed to the wall. As shown in FIG. 6F, the module connector 400 fixes the adjacent frames in the form of a fitting to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module can be mounted on the wall in various forms more firmly.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structure is realized.

최종적인 결과물로, 도 7a 및 도 7b에는 프레임(100) 재질 변화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된다.As a final result, FIGS. 7A and 7B show an exampl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interior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a wall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aterial of the frame 100.

도 7a는 나무 재질로 프레임(100)과 모듈커넥터(400)가 형성된 것이고, 도 7b는 아크릴 재질로 프레임과 모듈커넥터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과 모듈커넥터는 원하는 인테리어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나무, 종이 또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7A shows a frame 100 and a module connector 400 formed of a wood material. FIG. 7B shows a frame and a module connector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The frame and the module connector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a desired interior. However, it is preferably formed of wood, paper or acrylic material.

이러한 형태의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은 컵을 많이 이용하는 카페, 커피전문점,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등에 연출하여 친환경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거나 공공공간의 벽에 설치하여 누구나 연출할 수 있는 실내 정원을 조성하거나 또는 일반 가정의 거실이나 복도 등에 설치하는 등 매우 다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Eco-friendly interior structures that can be mounted on walls in various forms like this can be used in cafes, coffee shops, restaurants, fast food restaurants, etc., It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creating an indoor garden or installing it in a living room or hallway of a typical hom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벽을 이용해 인테리어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 공간에 인테리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interior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the indoor or outdoor space while occupying less space by constructing the interior using the wall.

그리고 본 발명은 식물을 심을 수 있는 1회용 컵을 이용해 친환경적 인테리어를 적용함으로써 자원을 아끼고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간의 분위기를 보다 아름답게 조성할 수 있고, 특정 공간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한 디자인으로 꾸밀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다른 색의 LED를 이용할 수 있어 획일적이지 않은 인테리어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the resources, prevent the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make the atmosphere of the space more beautiful by applying the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by using the disposable cup which can plant the plants, and change the spac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pecific space It is possible to decorate with a design, and at the same time, LEDs of different colors can be us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constitute a non-uniform interior.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00: 프레임
110: 고정부
200: 홀더
300: 컵
400: 모듈커넥터
410: 본체부
420: 끼움부
430: LED
440: 자석
100: frame
110:
200: Holder
300: cup
400: Module connector
410:
420:
430: LED
440: magnet

Claims (10)

상단면과 하단면이 개방된 육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면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벽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홀더;
상기 홀더를 통해 고정되는 컵; 및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며, 인접한 프레임들 사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커넥터는,
육각형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인접한 프레임들의 상단면과 끼움결합을 수행하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 상에 장착되어 컵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LED;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 모서리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 을 포함함으로써 인접한 프레임들의 상단면에 끼움결합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One or more frames form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column having an open top and a bottom surface and a fixing pa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be fixed to the wall;
A holder mounted inside the frame;
A cup fixed through the holder; And
One or more module connectors having LED (Light Emitting Diode), mounted between adjacent frames; / RTI >

Wherein the module connector comprises:
A hexagonal body portion;
A fitt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dapted to engage with a top surface of adjacent frames;
One or more LEDs mounted on the fitting to provide light in the cup direction; And
At least one magnet mounted on an edge of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rame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frames in a snap-fit mann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커넥터는 LED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LED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n LED protection plate for protecting the LED from moisture. ≪ RTI ID = 0.0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식물성장용 LED에 해당하며,
빨간색 또는 파란색 중 어느 하나의 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D corresponds to an LED for a vegetable field,
Wherein the wall-mountable interior structure is configured in one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6개의 수로 장착되며,
상기 모듈커넥터 상에서 서로 대칭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Ds are mounted in six channels,
Wherein the module connector is mounted in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module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 is a neodymium magnet. The eco-friendly interior structure can be mounted on the wall in various form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고정부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is fixed to the wall using a screw penetrating a hol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내부에 식물을 심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is capable of being planted in the interior. ≪ RTI ID = 0.0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모듈커넥터는 나무, 종이 또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and the module connector are formed of wood, paper or acrylic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한 변이 75 내지 85㎜ 사이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정육각형의 상단면 및 하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로 벽에 장착할 수 있는 친환경 인테리어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ha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a regular hexagon selected in a range of 75 to 85 mm on one side.
KR1020160149215A 2016-11-10 2016-11-10 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KR101817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15A KR101817444B1 (en) 2016-11-10 2016-11-10 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215A KR101817444B1 (en) 2016-11-10 2016-11-10 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444B1 true KR101817444B1 (en) 2018-01-11

Family

ID=6100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215A KR101817444B1 (en) 2016-11-10 2016-11-10 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444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93249U (en) Modular lamp photosystem
JP3839372B2 (en) Convertible illuminated display case
EP1707872A3 (en) Lighting and display apparatus
US9222663B1 (en) Water lamp with top decoration
KR101817444B1 (en) Wall mountable and eco friendly interior structure in various form
US11004366B2 (en) Illumination display platforms and related methods
CN102818192A (en) LED (light emitting diode) wall lamp
KR200457486Y1 (en) Movable type advertisement vehicles that detachable and attachable is available that advertisement panel
KR20230116202A (en) eco friendly interior products can be changed into various designs
KR200391694Y1 (en) Ceiling finish molding having picture rack and indirect illumination therein
US20150377455A1 (en) Back-Lighted Twinkling Candle
CN201688220U (en) Stereoscopic decorative lamp
CN202131729U (en) Suspended ceiling LED lamp edge-trimming corner
CN205077773U (en) Decorative wall
CN203940304U (en) A kind of LED floor lamp
CN203810175U (en) Starlight lamp and starlight lamp module
EP3359871A1 (en) Lighting device
CN102117581B (en) Led display screen
CN203249125U (en) Flower-shaped ceiling lamp
CN203927571U (en) A kind of multidirectional wall lamp
CN204328578U (en) A kind of LED
CN204732100U (en) A kind of multiplex LED billboard
CN110200428B (en) Storing cabinet
CN203766373U (en) Luminous embossment decoration with LED (Light Emitting Diode) backlight plate
CN201696955U (en) Multi-cap lamp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