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76B1 -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 Google Patents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176B1
KR101817176B1 KR1020170118488A KR20170118488A KR101817176B1 KR 101817176 B1 KR101817176 B1 KR 101817176B1 KR 1020170118488 A KR1020170118488 A KR 1020170118488A KR 20170118488 A KR20170118488 A KR 20170118488A KR 101817176 B1 KR101817176 B1 KR 10181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waveguide
circular
patter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균
정채현
이국주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01Q19/134Rear-feeds; Splash plate feeds
    • H01Q19/136Rear-feeds; Splash plate feeds cross-pola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3Hollow waveguid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ssion of the TE01 circular-electric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48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reflect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에 연결되고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 도파관 변환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비율을 조절하고, 두 개 이상의 고차 모드를 합성하여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하는 원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위상차를 조절함으로써, 원형 개구면을 적용하여 전기적으로 90도 대칭의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이중편파 모노펄스 혼 안테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Dual-Polarized Monopulse Horn Antenna with Circular Horn for Millimeter-Wave Band Seeker}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는 탐색기에 적용되는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모노펄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급전혼 구조는 4혼 방식과 고차 모드 방식으로 구분된다.
4혼 방식은 사각형 도파관을 기반으로 급전혼을 구성하고, 급전혼의 후면에 2x2 배열로 도파관 급전부를 구성하며, 급전혼의 후단에 연결된 비교기에 의해 합 패턴 및 차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4혼 방식은 사각형 도파관에 기반하므로 급전혼의 개구면이 사각형 구조를 갖는다. 4혼 방식은 이중편파에 적용시 방사 패턴의 부엽이 증가하고 방위각과 고각의 대칭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고차 모드 방식은 원형 도파관을 기반으로 도파관 내부에서 생성되는 고차 모드를 사용하여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고차 모드 방식은 원형 도파관에 기반하므로 급전혼의 개구면이 원형 구조를 갖는다. 고차 모드는 한 개의 차 패턴에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추적을 위해서 두 개의 고차 모드 차 패턴을 비교하여 표적 위치를 계산할 필요가 있다. 고차 모드 방식은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일반적인 이중편파 시스템에 곧바로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에 연결되고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 도파관 변환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비율을 조절하고, 두 개 이상의 고차 모드를 합성하여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하는 원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위상차를 조절함으로써, 원형 개구면을 적용하여 전기적으로 90도 대칭의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으로 구성된 반사판, 이중편파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입출력 도파관, 상기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에 연결되고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 도파관 변환부, 상기 도파관 변환부에 연결되고 두 개 이상의 고차 모드를 합성하여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하는 원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모드 합성부, 및 상기 주 반사판의 추점에 위치하며, 상기 모드 합성부에 연결된 원형 개구면을 포함하는 모노펄스 안테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에 연결되고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 도파관 변환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비율을 조절하고, 두 개 이상의 고차 모드를 합성하여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하는 원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위상차를 조절함으로써, 원형 개구면을 적용하여 전기적으로 90도 대칭의 방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의 전계 분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의 전계 분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의 도파관 변환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의 도파관 변환부를 통해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전파 모드의 전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의 모드 합성부의 길이에 따른 개구면의 전계 및 방사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의 안테나 구조, 개구면 전계, 및 방사 패턴을 비교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는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에 적용될 수 있다.
모노펄스 안테나는 하나의 펄스로 방위각과 고각에서 동시에 목표물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안테나이다. 모노펄스 안테나는 합 채널과 차 채널 간의 교차점 각도를 주요 파라미터로 사용한다. 합 채널은 원거리 목표물 감지와 간선 신호 억압을 위해 높은 지향성과 낮은 부엽을 요구하고, 차 채널은 낮은 부엽과 조준에서 예리한 경사각을 요구한다.
모노펄스 안테나에서 도파관 전파 모드는 크게 횡방향 전계(Transverse Electric Field/Wave, TE 모드)와 횡방향 자계(Transverse Magnetic Field/Wave, TM 모드)로 구분된다. 전파 모드에 따라 차단주파수가 있고, 도파관 형태에 따른 경계조건 차이로 진행방향 및 전계 성분의 특징이 규정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노펄스 안테나는 입출력 도파관(100), 도파관 변환부(200), 모드 합성부(300), 원형 개구면(400), 및 반사판(500)를 포함한다. 모노펄스 안테나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노펄스 안테나는 직교 모드 변환기 및 모노펄스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도파관(100)은 2x2 배열의 사각형 도파관을 포함한다.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은 이중편파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개별 도파관은 이중편판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정사각형 구조를 갖는다. 입출력 도파관(100)의 후단에 직교 모드 변환기 및 모노펄스 비교기가 결합되어 합 패턴 및 차 패턴의 모노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도파관 변환부(200)는 2x2 배열의 사각형 도파관에 사각형 도파관을 결합하고 사각형 도파관을 원형 도파관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다.
모드 합성부(300)는 도파관 변환부(200)에 연결되고 두 개 이상의 고차 모드를 합성하여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한다.
원형 개구면(400)은 모드 합성부(300)에 연결되고 이중편파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형 개구면(400)은 반사판(500)의 중심에 위치하며, 주 반사판(510)의 초점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판(500)은 반사판(510)과 부 반사판(520)으로 구성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사판(500)은 고이득 구현이 가능한 카세그레인 형태의 반사판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현되는 설계에 따라 적합한 구조의 반사판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직교 모드 변환기(OMT)는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에 각각 연결되며, 수신된 신호를 수직 편파 신호와 수평 편파 신호로 분리한다. 4개의 직교 모드 변환기(OMT1, OMT2, OMT3, OMT4)는 2x2 배열의 사각형 도파관에 각각 연결되어 수직 편파 신호와 수평 편파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모노펄스 비교기는 직교 모드 변환기에 연결되며, 수직 편파 신호 또는 수평 편파 신호에 대해 합 패턴과 두 개의 차 패턴을 생성한다. 모노펄스 비교기는 수평 편파의 4개의 신호에 대하여 합 패턴 SUM_H과 두 개의 차 패턴 △AZ_H, △EL_H를 생성한다. 모노펄스 비교기는 수직 편파의 4개의 신호에 대하여 합 패턴 SUM_V과 두 개의 차 패턴 △AZ_V, △EL_V를 생성한다.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 및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는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 도파관 변환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비율을 조절하고, 두 개 이상의 고차 모드를 합성하여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하는 원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위상차를 조절함으로써, 원형 개구면을 적용하여 전기적으로 90도 대칭의 방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5의 (a) 내지 (c)는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의 방사 패턴으로 SUM 패턴, DAZ 패턴, DEI 패턴을 각각 도시하고, 도 6의 (a) 내지 (c)는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의 전계 분포로 SUM(TE10), DAZ(TE20), DEI(TE11+TM11)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4혼 방식은 사각형 도파관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피라미드 형태의 방사부와 2x2 배열의 도파관 급전부로 구성된다. 급전혼 후면의 모노펄스 비교와 결합해 합/차 패턴을 생성하며, 차 패턴은 각 편파별 방위각 차 패턴과 고각 차 패턴의 독립적인 방사 패턴을 갖는다.
하지만, 4혼 방식은 이중편파 적용을 위해서는 90도 대칭적인 구조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90도 대칭구조를 적용하기 위해서 개구면은 정사각형 구조가 되어야 한다. 정사각형 구조에서 개구면은 TE10 모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Sin 분포, 수직방향으로는 균일(Uniform)한 전계 분포를 갖게 되므로, 방사 패턴의 고각/방위각의 대칭성을 얻을 수 없고 부엽 준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의 구조를 도시하고, 도 8의 (a) 및 (b)는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의 방사 패턴으로 기본 모드(TE11) 패턴, 고차 모드(TE21) 패턴을 각각 도시하고, 도 9는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 안테나의 전계 분포로 기본 모드(TE11), 고차 모드(TE21), 고차 모드(TE21)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고차 모드 방식은 원형 또는 동축 도판관을 기반으로 구성되면, 급전혼의 개구면이 원형구조이다. 합 채널의 방사 패턴이 원대칭의 방사 패턴을 갖고, 고차 모드의 차 패턴이 수직/수평 편파를 모두 수신 가능하다.
하지만, 고차 모드 방식은 한 개의 차 패턴에 수직/수평 편파가 섞여 있기 때문에 위치추적을 위해서는 두 개의 고차 모드 차 패턴의 비교를 통해 표적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고차 모드 방식은 수직/수평 편파를 사용하지만, 수직/수평 편파가 동일한 크기와 90도 위상차를 갖는 원형 편파에만 적용할 수 있어, 수직/수평 편파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일반적인 이중편파 시스템에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고차 모드 방식에서는 TE21 모드만을 모노펄스 신호의 차 패턴을 형성하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방사 패턴이 수직과 수평이 혼합된 패턴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4혼 방식 및 고차 모드 방식 간의 방사 패턴의 차이는 급전혼에 사용되는 도파관 및 개구면 형상과 연관된다. 도파관 내부에서의 전계 분포는 전자파의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에 의해 결정된다. 금속면에서의 전계는 금속면과 수직 성분만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는 도파관 변환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비율을 조절하고,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전파 모드 간의 위상차를 조절한다.
도 10은 모노펄스 안테나의 도파관 변환부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모노펄스 안테나의 도파관 변환부를 통해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전파 모드의 전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파관 변환부(200)는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 전체를 합친 단면적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 구조를 갖는 변환 도파관(210)를 포함한다. 예컨대, 변환 도파관(210)은 계단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변환 도파관(210)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원형 도파관(310)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도파관 전파 모드 간의 비율을 조절한다.
도파관 변환부(200)는 변환 도파관(210)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원형 도파관(310)으로 전달되는 TE21 모드 및 TE01 모드를 1 대 1 비율로 매칭시켜 방위각 차 패턴(DAZ)을 형성할 수 있다.
도파관 변환부(200)는 변환 도파관(210)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원형 도파관(310)으로 전달되는 TM01 모드 및 TE21 모드를 1 대 1 비율로 매칭시켜 고각 차 패턴(DEI)을 형성할 수 있다.
기존의 고차 모드 방식은 3번째 모드인 TE21 모드까지만 통과하고, 이후의 고차 모드는 차단하는 직경으로 제작된다. 즉, 원형 도파관의 반지름 a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089848953-pat00001
c는 빛의 속도이고, f는 동작 주파수이다. p'21 및 p'01은 베셀함수의 영점(Zeros of Bessel Funcion), 즉, 원형 도파관의 TE21 모드 및 TE01 모드에 대한 상수로, 3.054와 3.832 값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 도파관의 직경은 원형 도파관의 4번째 모드인 TE01 모드와 5번째 모드인 TM11 모드까지 동작하도록, 이후의 고차 모드인 TE31 모드부터 차단하는 직경으로 제작된다. 즉, 원형 도파관의 반지름 범위는 고차 모드인 TE31 모드부터 차단하도록 설정되며, 원형 도파관의 반지름 a는 수학식 2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089848953-pat00002
c는 빛의 속도이고, f는 동작 주파수이다. p'21 및 p'31은 베셀함수의 영점(Zeros of Bessel Funcion), 즉, 원형 도파관의 TE21 모드 및 TE31 모드에 대한 상수로, 3.054와 4.201 값을 갖는다.
원형 도파관은 기본 모드(TE11)부터 4, 5번째 모드인 TE01 모드, TM11 모드까지 모두 통과 가능하다. 2x2 배열의 사각형 도파관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5개의 모드 중에서 일부 모드만이 원형 도파관과 커플링되어 전달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노펄스 안테나는 도파관 변환부(200)를 통해 4개의 입력 신호 A, B, C, 및 D에 대하여 합 패턴 A+B+C+D과 두 개의 차 패턴 (A-B)+(C-D), (A+B)-(C+D)을 출력할 수 있다.
방위각 차패턴(DAz)의 경우 TE21 모드와 TE01 모드가 전달되며, 원하는 방사 패턴을 얻기 위해서 TE21 모드와 TE01 모드의 비율이 1:1을 유지해야 한다. 고각 차패턴(DEl)에서도 TM01 모드와 TE21 모드의 비율이 1:1을 유지하며 전달되어야 한다.
도 12는 모노펄스 안테나의 모드 합성부의 길이에 따른 개구면의 전계 및 방사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고각 차패턴(DEl)의 경우에, TM01과 TE21이 1:1 비율을 유지하고 두 모드가 90도 위상차를 만족하면, 고각 차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두 모드의 비율이 1:1을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90도 위상차를 만족하지 못하며, 개구면의 전계는 수직과 수평이 혼합된 전계를 갖고, 원치 않는 방사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모노펄스 안테나는 도파관 변환부를 통하여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모드별 신호의 비율을 조절하고,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해 TM01과 TE21이 90도 위상차를 갖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 이상의 고차모드를 합성하는데,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도파관 전파 모드 간의 위상차를 조절한다.
모노펄스 안테나는 상이한 도파관 전파 모드의 전파 상수의 차이 및 90도 위상의 홀수배로 표현되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만족하도록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설정한다.
제1 조건은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되고, 제2 조건은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7089848953-pat00003
βTE21는 TE2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βTE01는 TE0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n은 홀수이다.
Figure 112017089848953-pat00004
βTE21는 TE2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βTM01는 TM0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m은 홀수이다. 모드 합성부의 길이 L은 두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며, 각 고차모드는 서로 다른 β(전파 상수)값을 갖는다.
도 13 및 도 14는 모노펄스 안테나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이고, 도 13은 원형 개구면의 전계 분포이고, 도 14는 수직편파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원형 도파관을 포함하면서도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함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5는 기존의 4혼 방식 안테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펄스 안테나의 안테나 구조, 개구면 전계, 및 방사 패턴을 비교한 것이다.
기존의 4혼 방식으로 수직/수평의 이중편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 90도 대칭 구조가 되어야 하므로 개구면이 정사각형 구조가 되어야 한다. 개구면의 전계 분포는 TE10 모드로 수평 방향으로 Sin 분포, 수직 방향으로 균일한 전계 분포를 갖는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패턴의 고각/방위각의 대칭성을 얻을 수 없고 부엽 준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즉, 구조적으로는 90도 대칭구조이지만, 전기적으로는 90도 대칭을 얻을 수 없다.
반면에, 본 실시예는 원형 개구면을 적용해 전기적으로도 90도 대칭의 방사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입출력 도파관 110: 사각형 도파관
200: 도파관 변환부 210: 변환 도파관
300: 모드 합성부 310: 원형 도파관
400: 원형 개구면 500: 반사판

Claims (11)

  1. 주 반사판과 부 반사판으로 구성된 반사판;
    이중편파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입출력 도파관;
    상기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에 연결되고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 도파관 변환부;
    상기 도파관 변환부에 연결되고 두 개 이상의 고차 모드를 합성하여 합 패턴 또는 차 패턴을 형성하는 원형 도파관을 포함하는 모드 합성부; 및
    상기 주 반사판의 초점에 위치하며, 상기 모드 합성부에 연결된 원형 개구면을 포함하며,
    상기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도파관 전파 모드 간의 위상차를 조절하고, 상이한 도파관 전파 모드의 전파 상수의 차이 및 90도 위상의 홀수배로 표현되는 제1 조건 및 제2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 모드 합성부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펄스 안테나는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사각형 도파관 전체를 합친 단면적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 구조를 갖는 변환 도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도파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복수의 도파관 전파 모드 간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도파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TE21 모드 및 TE01 모드를 1 대 1 비율로 매칭시켜 방위각 차 패턴을 형성하거나, 상기 변환 도파관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원형 도파관으로 전달되는 TM01 모드 및 TE21 모드를 1 대 1 비율로 매칭시켜 고각 차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도파관의 반지름 범위는 고차 모드인 TE31 모드부터 차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도파관의 반지름이
    Figure 112017089848953-pat00005
    조건(c는 빛의 속도이고, f는 동작 주파수이고, p'21은 원형 도파관의 TE21 모드에 대한 상수이고, p'31은 원형 도파관의 TE31 모드에 대한 상수)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Figure 112017127389574-pat00006
    TE21는 TE2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βTE01는 TE0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n은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Figure 112017127389574-pat00007
    TE21는 TE2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βTM01는 TM01 모드의 전파 상수이고, m은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펄스 안테나.
KR1020170118488A 2017-09-15 2017-09-15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KR10181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88A KR101817176B1 (ko) 2017-09-15 2017-09-15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88A KR101817176B1 (ko) 2017-09-15 2017-09-15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176B1 true KR101817176B1 (ko) 2018-01-11

Family

ID=6100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488A KR101817176B1 (ko) 2017-09-15 2017-09-15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1226A (zh) * 2020-11-11 2021-02-2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双频双极化高功率天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449B1 (ko) * 2015-07-21 2015-11-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밀리미터파 대역 모노펄스 탐색기용 고차모드 안테나
KR101576260B1 (ko) 2015-05-28 2015-12-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밀리미터파 탐색기를 위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260B1 (ko) 2015-05-28 2015-12-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밀리미터파 탐색기를 위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안테나
KR101566449B1 (ko) * 2015-07-21 2015-11-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밀리미터파 대역 모노펄스 탐색기용 고차모드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1226A (zh) * 2020-11-11 2021-02-26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双频双极化高功率天线
CN112421226B (zh) * 2020-11-11 2022-10-2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九研究所 双频双极化高功率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9656B2 (en) Antenna and radar system that include a polarization-rotating layer
US3413642A (en) Dual mode antenna
EP0086351A1 (en) Geodesic dome/lens antenna
US2405242A (en) Microwave radio transmission
US10756417B2 (en) Adaptive polarimetric radar architecture for autonomous driving
US3389394A (en) Multiple frequency antenna
Rumsey Horn antennas with uniform power patterns around their axes
US4972199A (en) Low cross-polarization radiator of circularly polarized radiation
KR101405283B1 (ko) 평판형 혼 어레이 안테나
US3305870A (en) Dual mode horn antenna
KR101566449B1 (ko) 밀리미터파 대역 모노펄스 탐색기용 고차모드 안테나
US9136607B2 (en) Antenna beam steering through waveguide mode mixing
KR101805723B1 (ko)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고차모드를 이용한 모노펄스 방식의 혼 안테나
US3274603A (en) Wide angle horn feed closely spaced to main reflector
US3883877A (en) Optimized monopulse antenna feed
KR101817176B1 (ko)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KR101805722B1 (ko)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고차모드를 이용한 모노펄스 방식의 반사판 안테나
US5903241A (en) Waveguide horn with restricted-length septums
KR101817172B1 (ko) 밀리미터파 대역 탐색기용 원형 개구면을 포함한 이중편파 모노펄스 방식의 혼 안테나
KR101590788B1 (ko) 초광대역 듀얼 원편파 평판형 도파관 안테나
JP4178265B2 (ja) 導波管ホーンアンテナ、アンテナ装置、および、レーダ装置
US3109996A (en) Waveguide feed with septum for directional antenna
KR101001715B1 (ko) 추적레이다 모노펄스 안테나에 사용하는 다중모드 모노펄스급전기
US3699583A (en) Phase correction apparatus for circular polarization operation monopulse antenna horn
Palvig et al. Optimization procedure for wideband matched feed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