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06B1 -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 - Google Patents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106B1
KR101817106B1 KR1020160063002A KR20160063002A KR101817106B1 KR 101817106 B1 KR101817106 B1 KR 101817106B1 KR 1020160063002 A KR1020160063002 A KR 1020160063002A KR 20160063002 A KR20160063002 A KR 20160063002A KR 101817106 B1 KR101817106 B1 KR 10181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ube
sheet
us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031A (ko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임팩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팩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팩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1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3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벨트와, 상기 벨트에 장착되며 주입된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디스크 치료기로서, 상기 튜브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유체 증감 그래프가 미리 정한 주기와 진폭 및 파형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조절 장치는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리드미컬하게 작동되며, 사용자의 요추를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요추를 견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열근이나 회선근을 포함하는 코어 근육을 자극하여 활성화시키고 안정화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디스크 치료 기능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Apparatus for curing intervertebral disc that can increase lumbar curvature and stimulate core muscles.}
본 발명은 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체력과 체형에 맞도록 스스로 통증을 조절하면서, 요추부의 다열근이나 회선근을 포함하는 코어 근육을 자극하고 활성화시킴으로써 추간판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고정시키고, 척추의 형태를 반듯하게 교정하여 통증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요추에 발생하는 추간판 탈출증(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벨트와, 상기 벨트에 장착되며 주입 기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디스크 견인 치료기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크 견인 치료기는, 상기 튜브가 하나의 주머니 형상으로 되어 있거나,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501호(등록공고일자 2005년01월31일)의 도 1에 도시된 공기주머니(25)와 같이, 상기 튜브가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 즉 사용자의 척추가 연장되는 세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팽창부(25)를 다수 개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세로형 팽창부(25)를 다수 개 포함하는 종래의 디스크 치료기는, 상기 세로형 팽창부(25)에 의하여 사용자의 척추를 부목과 유사하게 직선적으로 받쳐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를 견인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세로형 팽창부(25)를 다수 개 포함하는 종래의 디스크 치료기는, 상기 세로형 팽창부(25)가 사용자의 허리 뒷면에 형성된 "S"자 요추 부위에 부착되었을 때 밀착되지 못하고, 상기 세로형 팽창부(25)와 사용자의 허리 뒷면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 바, 사용자의 허리 뒷면에 형성된 "S"자 요추 부위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세로형 팽창부(25)의 길이가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비하여 더 길거나. 사용자가 종래의 디스크 치료기의 착용을 올바르게 하지 못했을 때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상기 세로형 팽창부(25)를 다수 개 포함하는 종래의 디스크 치료기는, 사용자가 활동하면서 10여 시간 착용해야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하절기에는 땀띠나 습진 등으로 장시간 착용이 불가능하며, 동절기에도 장시간 착용시 피부에 밀착되는 부분에 공기순환이 원만치 않아 2차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디스크 치료기는,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할 수 있는 튜브에 공기가 주입된 후 10여 시간 이상 계속 착용하는 과정이 3개월 이상 장기화될 경우, 척추 주변의 기립근, 복횡근 등의 근력이 약해져, 추간판 탈출증 이외에 후곡증, 만곡증 등 더욱 심각한 퇴행성 질환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장시간 동일한 압력으로 척추부 근육을 압박하게 되면, 일시적인 견인 현상으로 통증 감소의 효과가 발생하고, 척추부를 지지하는 부목 효과로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으나, 상기 팽창부(25)의 공기압을 제거하거나 벨트를 풀었을 때, 중력의 힘이 가해져 돌출된 디스크를 더욱 압박하거나, 스스로 몸을 지탱할 수 있는 근력이 약화되어, 척추부가 틀어지면서 급성요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의 다열근(multifidus)이 활동을 정지하여 추간판의 탈출이 더욱 심각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디스크 견인 치료 중, 다열근이나 회선근을 포함하는 코어 근육을 자극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디스크가 척추부의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스크치료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치료기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벨트와, 상기 벨트에 장착되며 주입된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디스크 치료기로서, 상기 튜브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유체 증감 그래프가 미리 정한 주기와 진폭 및 파형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조절 장치는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리드미컬하게 작동되며, 사용자의 요추를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요추를 견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 조절 장치는, 상기 튜브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며,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펌프; 상기 튜브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며,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는, 상기 유체의 양이 서서히 증가하는 상승기와, 상기 유체의 양이 미리 정한 최고값을 유지하는 가압기와, 상기 유체의 양이 서서히 감소하는 하강기와, 상기 유체의 양이 미리 정한 최저값을 유지하는 감압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승기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며, 상기 가압기는 100초 내지 140초 동안이며, 상기 하강기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며, 상기 감압기는 15 내지 30초 동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기의 최고값은, 미리 정한 값의 배수로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승기 및 상기 감압기에서, 상기 튜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는, 삼각 함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있는 코어 근육을 자극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튜브는, 시트 부재인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와 마주하는 시트 부재인 제2 시트;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공간부;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여 나누는 경계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유체 증감 그래프가 미리 정한 주기와 진폭 및 파형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조절 장치는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리드미컬하게 작동되므로, 튜브에 주입된 공기량의 변화가 없이 일정한 공기량을 유지하는 종래의 디스크 치료기와 달리, 다열근이나 회선근을 포함하는 코어 근육을 자극하여 활성화시키고 안정화시킴으로써, 디스크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어 디스크 치료 기능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디스크 치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치료기의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튜브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튜브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치료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치료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튜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유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튜브 내에 존재하는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유체 증감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유체 증감 그래프에서 특정한 파형과 특정한 최고값(M3) 및 최저값(N3)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2가지의 파형이 혼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유체 증감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디스크 치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치료기의 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튜브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치료기(100)는, 요추(P)에 발생하는 추간판 탈출증(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을 치료하기 위한 디스크 치료기로서, 벨트(10)와, 튜브(20)와, 유체 조절 장치(30)와, 경고 장치(40)와, 고정 밴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10)는, 사용자의 허리(W)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 방향(C)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벨트(belt)로서, 벨트 외피(11)와 벨트 내피(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 외피(1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의 고탄성 시트 부재로서, 사용자의 허리(W)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 방향(C)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벨트 내피(12)는, 상기 벨트 외피(11)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PU) 재질의 시트 부재로서, 상기 벨트 외피(1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벨트 내피(12)는, 일면은 사용자의 허리(W)와 마주하고, 타면은 상기 벨트 외피(11)와 마주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벨트 외피(11)와 벨트 내피(1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벨트(10)의 내부에는 상기 튜브(20)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15)이 마련된다.
상기 벨트 내피(12)의 일단부에는, 일명 "찍찍이 테이프"로 알려진 수형 벨크로(1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벨트 외피(11)의 일단부에는, 상기 수형 벨크로(13)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암형 벨크로(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튜브(20)는, 주입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W)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부재로서, 상기 벨트(10)의 내부 공간(15)에 장착되어 있다. 이 튜브(20)는,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와 팽창부(23)와, 주입관(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시트(21)는,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실리콘(silicone) 고무 재질의 사각형 시트 부재이다.
상기 제2 시트(22)는, 상기 제1 시트(21)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고무 재질의 사각형 시트 부재로서, 상기 제1 시트(2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시트(21)와 상기 제2 시트(22)의 외곽 테두리가 고주파 접착에 의하여 열봉합(Heat sealing)됨으로써, 상기 튜브(20)의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24)가 형성된다.
상기 팽창부(23)는, 상기 공간부(24)에 공기가 주입될 때 외부로 팽창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벨트(10)의 길이 방향(C)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 즉 사용자의 척추(P)가 연장되는 세로 방향과 교차되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벨트(10)의 길이 방향(C)에 수직한 방향으로 3개 나열되어 있다.
상기 팽창부(23)는, 상기 공간부(24)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나란한 2개의 경계선(25)에 의하여 분리됨으로써, 3개로 형성된다.
상기 경계선(2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시트(21)와 상기 제2 시트(22)가 고주파 접착에 의하여 서로 열봉합됨으로써 형성되는 선으로서, 상기 공간부(24)를 구획하여 나누는 경계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선(25)은, 상기 벨트(10)의 길이 방향(C)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합점(26)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팽창부(23)는, 상기 공간부(24)와 상기 벨트(10)의 길이 방향(C)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상기 2개의 경계선(25)이 서로 협력함으로써, 3개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관(27)은,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고무 호스로서, 일단부가 상기 공간부(24)에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20)는, 사용자의 허리(W) 부위에 있는 코어 근육을 자극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 근육(Core Muscle)은 다열근(multifidus)이나 회선근(rotators)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는, 상기 튜브(20)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20)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전기 작동식 펌프(31)와, 전기 작동식 밸브(32)와, 압력 센서(33)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는, 상기 튜브(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펌프로서, 전기에 의하여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는, DC 12V에 의하여 작동하며, 1500cc 용기를 압력 0mmHg에서 150 mmHg로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5.0초 이하인 성능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는, 무부하 상태에서 4.5LPM 이상의 공기공급능력을 구비하고 있으며, 최대 압력이 700mmHg이다.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는, 상기 전기 작동식 밸브(32)의 접속공 중 1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 작동식 밸브(32)는, 상기 튜브(20)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로서, 전기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 전기 작동식 밸브(32)는, 하나 이상의 흡기구와 하나 이상의 배기구를 구비한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작동식 밸브(32)는, DC 12V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1 밸브(32a), 제2 밸브(32b), 제3 밸브(3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밸브(32a)는, 3개의 접속공을 구비한 2way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접속공이 상기 주입관(2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밸브(32a)는,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3개의 접속공 중에 1개는 폐쇄하고 선택된 2개의 접속공만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밸브(32a)의 접속공 중에 1개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밸브(32b)는, 상기 튜브(20)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 대기로 급속하게 배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3개의 접속공을 구비한 2way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1개의 접속공이 상기 제1 밸브(32a)의 접속공 1개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1개의 접속공인 제1 배기구(34)는 외부 대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밸브(32b)는,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3개의 접속공 중에 1개는 폐쇄하고 선택된 2개의 접속공만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밸브(32c)는, 상기 튜브(20)내의 공기 압력을 미세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2개의 접속공을 구비한 1way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1개의 접속공이 상기 제2 밸브(32b)의 접속공 1개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1개의 접속공인 제2 배기구(35)는 외부 대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밸브(32a)는,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튜브(20)를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와 연통시키거나, 상기 튜브(20)를 상기 2way 밸브(32b)와 연통시키는 선택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밸브(32b)는,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밸브(32a)를 상기 제3 밸브(32c)로 연통시키거나, 상기 제1 밸브(32a)를 외부 대기와 연통시키는 선택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3 밸브(32c)는, 온오프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2 밸브(32b)를 외부 대기와 연통시키거나, 상기 제2 밸브(32b)를 외부 대기와 연통시키지 않는 선택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기 작동식 밸브(32)들은 내부 구성 및 작동 원리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압력 센서(33)는,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manometer)로서, 상기 주입관(27)의 타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센서(33)는, 다공질 실리콘(Porous Silicon; PS)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과, 전기 작동식 밸브(32)와, 압력 센서(33)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이 내장된 전자식 제어기(미도시)에 의하여 자동 제어된다.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주기(T)와 진폭 및 파형을 포함하는 유체 증감 그래프에 따라,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리드미컬하게(rhythmically) 작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는, 상기 튜브(20) 내에 존재하는 유체인 공기 체적(ml)이 시간(sec)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체적이 서서히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상승기(T1)와, 상기 공기 체적이 미리 정한 최고값(M1, M2, M3, M4, M5)을 유지하는 가압기(T2)와, 상기 공기 체적이 서서히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하강기(T3)와, 상기 공기 체적이 미리 정한 최저값(N1, N2, N3, N4, N5)을 유지하는 감압기(T4)를 구비한다.
상기 상승기(T1)는 15 내지 30초 동안의 값일 수 있으며, 상기 가압기(T2)는 100초 내지 140초 동안의 값일 수 있으며, 상기 하강기(T3)는 15 내지 30초 동안의 값일 수 있으며, 상기 감압기(T4)는 15 내지 30초 동안의 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승기(T1)는 25초, 상기 가압기(T2)는 120초, 상기 하강기(T3)는 25초, 상기 감압기(T4)는 5초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기(T)는 2분55초로서, 약 10분 동안 3회 정도의 공기 주입과 배출이 반복되고 있다.
상기 공기 체적의 가압기(T2) 최고값(M1, M2, M3, M4, M5)은, 미리 정한 값의 배수로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기(T2) 최고값(M1, M2, M3, M4, M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50ml, 1100ml, 1650ml, 2200ml, 2750ml의 5단계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압기(T4)의 최저값(N1, N2, N3, N4, N5)은, 도 10에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10ml로 동일한 값을 가진다.
상기 경고 장치(40)는, 과다한 시간의 사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 또는 제조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 시간이 종료되면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주는 경고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고 장치(40)는, 1회 사용 시간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1회 사용 시간 및 1일 사용 시간은 사용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1일 사용 시간이 과도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고 장치(40)는, 미리 설정한 사용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장치(미도시)와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음향을 이용하여 사용 시간 종료를 알려주는 음향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경고 장치(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 외피(11)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오른손이 도달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밴드(50)는, 사용자의 하체 자세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두 허벅지 또는 두 발목을 함께 둘러 감싸서 고정하는 밴드(band)로서, 상기 벨트(10)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PU) 재질의 시트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정 밴드(50)는, 일단부에 일명 "찍찍이 테이프"로 알려진 수형 벨크로(51)가 부착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수형 벨크로(5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암형 벨크로(52)가 부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디스크 치료기(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의 허리(W) 뒷면을 상기 벨트(10)의 벨트 내피(12)의 중앙부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수형 벨크로(13)와 상기 암형 벨크로(14)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 밴드(50)의 수형 벨크로(51)와 암형 벨크로(52)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H) 위쪽 허리(W)에 상기 벨트(10)가 착용되고, 사용자의 허벅지와 발목에 상기 고정 밴드(50)가 착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는 평평한 바닥에 등을 댄 후 천정을 바라보고 반듯하게 눕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튜브(20)가 사용자의 허리(W) 부위에 있는 코어 근육을 자극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에 의하여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로 외부 공기가 주입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23)가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전자식 제어기는 상기 튜브(20)에 적절한 압력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가압기(T2)의 최고값(M1, M2, M3, M4, M5), 상기 감압기(T4)의 최저값(N1, N2, N3, N4, N5), 상기 주기(T)를 적절히 자동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에 의하여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로 공기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밸브(32a)는 상기 공간부(24)의 공기가 상기 전기 작동식 펌프(31)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에 주입된 공기의 양이 과도한 경우에는, 상기 제3 밸브(32c)가 작동하여 상기 제2 배기구(35)를 통하여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에 주입된 공기압을 미세하게 낮출 수 있다.
상기 팽창부(23)가 상기 가압기(T2)까지 도달하여 부풀어 오르면, 상기 튜브(20)가 사용자의 허리(W)를 적절한 압력으로 압박하게 되고, 상기 튜브(20)가 사용자의 요추(P)에서 돌출되어 있는 추간판 즉 디스크(disk)가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W)를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에 도시된 상기 감압기(T4)의 하강선을 따라,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로부터 급속하게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 밸브(32c)의 제2 배기구(35)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배기구(34)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에 주입된 공기가 급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주기(T)와 진폭 및 파형을 포함하는 유체 증감 그래프에 따라, 공기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리드미컬하게(rhythmically) 작동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또는 제조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경고 장치(40)가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음향을 이용하여 사용 시간 종료를 알려 주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수동 조작으로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를 작동시켜 상기 튜브(20)로부터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키거나, 상기 전자식 제어기가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상기 튜브(20)로부터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의 사용이 종료된다.
상술한 구성의 디스크 치료기(100)는, 사용자의 허리(W)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 방향(C)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의 벨트(10)와, 상기 벨트(10)에 장착되며 주입된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W)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튜브(20)를 포함하는 디스크 치료기로서, 상기 튜브(20)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20)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조절 장치(30);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20)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유체 증감 그래프가 미리 정한 주기(T)와 진폭 및 파형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는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리드미컬하게 작동되므로, 튜브에 주입된 공기량의 변화가 없이 일정한 공기량을 유지하는 종래의 디스크 치료기와 달리, 다열근(multifidus)이나 회선근(rotators)을 포함하는 코어 근육(Core Muscle)에 대한 혈류량을 증가시켜, 코어 근육의 자극 및 활성 기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가, 상기 튜브(20)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며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펌프(31); 상기 튜브(20)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며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밸브(32);를 구비하므로,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이 내장된 전자식 제어기(미도시)에 의하여 자동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가, 상기 공기의 유체의 양이 서서히 증가하는 상승기(T1)와, 상기 유체의 양이 미리 정한 최고값(M1, M2, M3, M4, M5)을 유지하는 가압기(T2)와, 상기 유체의 양이 서서히 감소하는 하강기(T3)와, 상기 유체의 양이 미리 정한 최저값(N1, N2, N3, N4, N5)을 유지하는 감압기(T4)를 구비하므로,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에 주입된 공기량 및 공기압을 계산하기 용이하며, 상기 유체 조절 장치(30)를 리드미컬하게 규칙적으로 작동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상기 상승기(T1)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며, 상기 가압기(T2)는 100초 내지 140초 동안이며, 상기 하강기(T3)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며, 상기 감압기(T4)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므로,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의 주기(T)가 2분55초이며, 약 10분 동안 3회 정도의 공기 주입과 배출이 반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상기 가압기(T2)의 최고값(M1, M2, M3, M4, M5)이 미리 정한 값의 배수로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상기 최고값(M1, M2, M3, M4, M5)을 단계별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상기 상승기(T1) 및 상기 감압기(T4)에서, 상기 튜브(20)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변화하므로, 상기 튜브(20)의 공간부(24)에 주입된 공기량 및 공기압을 계산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상기 튜브(20)가 사용자의 허리(W) 부위에 있는 코어 근육을 자극할 수 있도록 배치되므로, 다열근(multifidus)이나 회선근(rotators)을 포함하는 코어 근육(Core Muscle)에 대한 혈류량을 증가시켜, 코어 근육의 자극 효과 및 활성 효과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상기 튜브(20)가, 시트 부재인 제1 시트(21)와, 상기 제1 시트(21)와 마주하는 시트 부재인 제2 시트(22)와, 상기 제1 시트(21)와 상기 제2 시트(22)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공간부(24)와, 상기 제1 시트(21)와 제2 시트(22)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4)를 구획하여 나누는 경계선(25)을 포함하므로, 실리콘(silicone) 고무 재질의 사각형 시트 부재(21, 22)와 고주파 접착에 의한 열봉합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상기 팽창부(23) 및 경계선(25)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사용자의 두 허벅지 또는 두 발목을 둘러 감싸서 고정하는 고정 밴드(5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허리(W)부터 발목에 이르기까지 하체 전체의 자세를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P) 자세를 반듯하게 교정할 수 있어, 상기 벨트(10)가 사용자의 허리(W)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치료기(100)는, 벨트(10)에 장착되며 주입 기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W)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튜브(20)를 포함하는 디스크 치료기로서, 상기 튜브(20)가,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C)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벨트(10)의 길이 방향(C)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 나열되어 있는 팽창부(23)를 포함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W) 뒷면에 형성된 함몰된 곡면 부위("S"자 요추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균일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P)가 활처럼 굽어진 "요추 만곡(lumbar curvature)" 상태에서 "척추 견인"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체적이 서서히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상승기(T1)와, 상기 공기 체적이 미리 정한 최고값(M1, M2, M3, M4, M5)을 유지하는 가압기(T2)와, 상기 공기 체적이 서서히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하강기(T3)와, 상기 공기 체적이 미리 정한 최저값(N1, N2, N3, N4, N5)을 유지하는 감압기(T4)를 구비하고 있지만, 싸인 함수와 코사인 함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삼각 함수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튜브(20)에 주입되는 주입 유체로서 공기가 사용되나, 공기 이외의 다른 기체, 반액체, 액체 등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20)의 3개 팽창부(23)가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팽창부(23b)가 양단부의 팽창부(23a, 23c)보다 더 크게 형성된 튜브(20a)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중앙의 팽창부(23b)가 양단부의 팽창부(23a, 23c)보다 크게 형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23)가 사용자의 허리(W) 뒷면에 형성된 함몰된 곡면 공간("S"자 요추 부위)에 꼭 맞게 부착될 수 있어, 균일한 압력을 가하기가 더욱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중앙의 팽창부(23b)가 양단부의 팽창부(23a, 23c)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나, 우측의 팽창부(23c)가 나머지 팽창부(23a, 23b)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좌측의 팽창부(23a)가 나머지 팽창부(23b, 23c)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계선(25)이, 상기 벨트(10)의 길이 방향(C)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합점(26)들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형 접합선(26a)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복수 개의 팽창부(23)들 간의 공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합선(26a)은 상기 제1 시트(21) 및 제2 시트(22)의 길이 방향(C)의 길이 보다는 조금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스크 치료기 10 : 벨트
11 : 벨트 외피 12 : 벨트 내피
13 : 수형 벨크로 14 : 암형 벨크로
15 : 내부 공간 20 : 튜브
21 : 제1 시트 22 : 제2 시트
23 : 팽창부 24 : 공간부
25 : 경계선 26 : 접합점
26a : 접합선 27 : 공기 주입관
30 : 유체 조절 장치 31 : 전기 작동식 펌프
32a, 32b, 32c : 전기 작동식 밸브 33 : 압력 센서
34 : 제1 배기구 35 : 제2 배기구
40 : 경고 장치 50 : 고정 밴드
51 : 수형 벨크로 52 : 암형 벨크로
C : 벨트의 길이 방향 H : 엉덩이
P : 척추, 요추 W : 허리

Claims (9)

  1.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의 벨트와, 상기 벨트에 장착되며 주입된 유체에 의하여 팽창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를 미리 정한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는 튜브를 포함하는 디스크 치료기로서,
    상기 튜브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튜브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체 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유체 증감 그래프가 미리 정한 주기와 진폭 및 파형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조절 장치는 상기 유체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며 리드미컬하게 작동되며, 사용자의 요추를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요추를 견인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는,
    상기 유체의 양이 서서히 증가하는 상승기와, 상기 유체의 양이 미리 정한 최고값을 유지하는 가압기와, 상기 유체의 양이 서서히 감소하는 하강기와, 상기 유체의 양이 미리 정한 최저값을 유지하는 감압기를 구비하며,
    상기 상승기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며, 상기 가압기는 100초 내지 140초 동안이며, 상기 하강기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며, 상기 감압기는 15 내지 30초 동안이며,
    상기 유체 조절 장치는,
    상기 튜브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며,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펌프; 상기 튜브로부터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며,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전기 작동식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는,
    시트 부재인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와 마주하는 시트 부재인 제2 시트;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인 공간부;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여 나누는 경계선으로서, 상기 제1 시트와 제2 시트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경계선;
    상기 공간부에 상기 유체가 주입될 때 외부로 팽창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경계선에 의하여 상기 공간부가 분리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벨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팽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있는 코어 근육을 자극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치료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의 최고값은, 미리 정한 값의 배수로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치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기 및 상기 감압기에서, 상기 튜브 내에 존재하는 상기 유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치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증감 그래프는, 삼각 함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치료기
  8. 삭제
  9. 삭제
KR1020160063002A 2016-05-23 2016-05-23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 KR10181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02A KR101817106B1 (ko) 2016-05-23 2016-05-23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002A KR101817106B1 (ko) 2016-05-23 2016-05-23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31A KR20170132031A (ko) 2017-12-01
KR101817106B1 true KR101817106B1 (ko) 2018-01-10

Family

ID=60922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002A KR101817106B1 (ko) 2016-05-23 2016-05-23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622B (zh) * 2021-08-09 2022-04-29 东南大学 基于仿蜂窝结构的双向驱动器的康复手套制作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46B1 (ko) * 2013-04-16 2014-08-19 이명숙 디스크 치료기
KR101530021B1 (ko) 2014-08-21 2015-06-22 김용갑 의료용 허리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46B1 (ko) * 2013-04-16 2014-08-19 이명숙 디스크 치료기
KR101530021B1 (ko) 2014-08-21 2015-06-22 김용갑 의료용 허리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31A (ko)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5763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powered muscle stimulation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tissue edema
US6656141B1 (en) Multiple sleeve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edema and other swelling disorders
US4773397A (en) Apparatus for promoting flow of a body fluid within a human limb
US4590925A (en) System for promoting the circulation of blood
US5916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edema and other swelling disorders
US4574787A (en) Acupressure apparatus
US8636679B2 (en) Compression device for the limb
EP3503862A1 (en) Therapeutic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CA2302515A1 (en) Device for pressurizing limbs
CN201101346Y (zh) 高度可调型睡枕
KR101778983B1 (ko) 공기압 마사지용 다리커프
US20040158285A1 (en) Pressure sock
US20130158443A1 (en) System and Method of Administering Compression Therapy
US20150080775A1 (en) Lymphatic system mover
CN107349043A (zh) 一种自散热型骨折护理夹板
US20060116615A1 (en) Driving device for external counterpulsation
KR101817106B1 (ko) 요추 만곡 효과와 코어 근육 자극 효과를 가진 디스크 치료기
CN207101415U (zh) 便携式颈椎肩周按摩仪
KR101431746B1 (ko) 디스크 치료기
WO2014184324A1 (en) Decongestion garment for treating lymphedema
US20080188781A1 (en) Therapy device for biomechanical rehabilitation massage
CN201168099Y (zh) 医用固定夹板袋
JPS6323082Y2 (ko)
CN211095159U (zh) 一种用于恒温水加压治疗仪的治疗袋
KR200175359Y1 (ko) 침대의 공기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