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003B1 -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003B1
KR101817003B1 KR1020160074396A KR20160074396A KR101817003B1 KR 101817003 B1 KR101817003 B1 KR 101817003B1 KR 1020160074396 A KR1020160074396 A KR 1020160074396A KR 20160074396 A KR20160074396 A KR 20160074396A KR 101817003 B1 KR101817003 B1 KR 10181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rainwater
storage tank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406A (ko
Inventor
이보덕
박철호
성인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00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56Cleaning of water-treatment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지대 산지에서의 유실수를 이용한 겨우살이 인공재배에 있어, 가뭄 등과 같은 이상기후로 강우량이 일정치 않더라도 이와 상관없이 유실수(겨우살이 기주식물)로의 수분공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한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지의 높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강우시 일정량의 우수를 한대 모으는 집수장치; 상기 집수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우수를 이어받아 우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어 공급수로 사용키에 적합토록 필터링하는 정수장치; 상기 정수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정수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우수를 이어받아 적당량의 공급수로 저장해 두게 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급수를 재배지역에 공급하되,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분공급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상기 정수장치, 상기 저장탱크, 상기 수분공급장치까지 연결됨으로써, 집수된 우수의 정수와 저장 및 저장된 공급수가 재배지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시설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MOISTURE SUPPLY SYSTEM OF PRODUCTION USING RAINWATER}
본 발명은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지대 산지에서의 유실수를 이용한 겨우살이 인공재배에 있어, 가뭄 등과 같은 이상기후로 강우량이 일정치 않더라도 이와 상관없이 유실수(겨우살이 기주식물)로의 수분공급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한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겨우살이(Mistletoe, 학명: Viscum album var. coloratum)라 함은, 다른 나무(이하 "기주식물"이라 함)에 기생하며 스스로 광합성하여 엽록소를 만드는 사계절 푸른 잎을 지닌 반기생식물을 말하며, 예로부터 항암작용, 협압강하, 이뇨작용, 신경통, 관절염 및 면역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어 암, 고혈압 등의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이용돼 왔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건강식품으로도 인기가 매우 높다.
이러한 겨우살이는 우리나라, 일본, 타이완, 중국, 유럽 및 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국내의 겨우살이는 빛이 잘 들어오는 능선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림에서 대부분 발견되는 생장특성을 나타낸다.
때문에, 과실수확을 목적으로 산림의 장기투자에서 오는 경제적인 취약성을 극복하고 집약적 임지활용에 의한 단기 임업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을 나타내는 유실수(fruit trees , 有實樹), 특히 전술한 이유로 고지대의 산지(山地)에서 생육되는 유실수는 겨우살이 인공재배를 위해 최적화된 기주식물의 요건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기주식물에 기생하는 겨우살이는 그 생장특성상 수분공급에 따라 생육에 큰 영향을 받게 되는데, 고지대의 산지는 지형적인 이유로 물(수분)의 수급(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
이에,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46202호에서는, 겨우살이를 재배할 때 특히 우수(雨水)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분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겨우살이 인공재배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나, 종래 기술은 이상기후에 대비해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기주식물에 공급하는 목적만을 가질 뿐, 산지의 지형적 특성에 맞는 수분공급 시스템으로 활용하기에는 여러 면에서 부적합하다.
또한, 빗물(이하 "우수"라 함)을 받아 저장하고 그렇게 저장된 우수를 기주식물에 공급해 줄 수는 있으나, 어떻게 하면 우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받아 저장하는지, 어떻게 하면 우수를 수분의 형태로 기주식물에 공급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결국, 고지대의 산지 지형에 적합한 수분공급 시스템의 구축과 더불어 기주식물로의 수분공급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46202호(공개일자 : 2015. 12. 3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지대의 산지에서 재배되는 유실수(기주식물)로 수분을 공급하되, 높은 지대에서 낮은 지대로 각 장치를 순차적으로 배치시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치 않고도 상기 유실수로의 수분공급이 자율적이고도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우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우수를 한대 모아 담는 집수장치, 집수된 우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정수장치, 정수된 우수가 다량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구비하여, 강우량이 일정치 않더라도 충분히 확보된 우수를 재배식물에 청정 공급수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를 재배식물에 공급수로 공급하되, 수분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의 형태로 바꾸어 공급해 줌으로써, 최적화된 생육환경에 맞는 수분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지의 높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강우시 일정량의 우수를 한대 모으는 집수장치; 상기 집수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우수를 이어받아 우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어 공급수로 사용키에 적합토록 필터링하는 정수장치; 상기 정수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정수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우수를 이어받아 적당량의 공급수로 저장해 두게 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급수를 재배지역에 공급하되,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분공급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상기 정수장치, 상기 저장탱크, 상기 수분공급장치까지 연결됨으로써, 집수된 우수의 정수와 저장 및 저장된 공급수가 재배지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시설배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이어받는 우수의 필터링을 위한 내부공간을 가진 박스형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공간을 횡으로 구획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불순물을 걸러내는 구획망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저장탱크는, 다량의 우수 저장이 가능한 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된 박스형 구조를 이루며, 정해진 저장량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만큼의 우수를 외부로 자동배출시킬 수 있는 오버밸브관이 상단부의 근접 측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세척을 위해,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밸브관이 하단부의 근접 측단부에 설치되며, 공급수의 저장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레벨러가 미리 정한 위치의 측단부에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유실수가 뿌리내린 주변 땅속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수를 공급받아 기주식물에 공급하되, 주변 땅속에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수분공급통과,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우수를 우선 공급받되, 다수의 상기 수분공급통으로 지속적인 공급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량의 공급수가 항시 저장되는 저수조와, 유실수 주변 땅속에 매립되는 다수의 상기 수분공급통으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공급수를 배분하여 일정하게 공급하는 분배관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집수장치는, 주변에 내리는 비를 한 곳으로 받아내기 위한 집수대와, 상기 집수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흘러내리는 우수를 받는 빗물받이로 구성되되, 상기 집수대는, 받아낸 우수가 일방향 경로를 따라 상기 빗물받이로 흘러내리도록 한 물결형태, 또는 받아낸 우수가 중앙으로 모여 상기 빗물받이로 낙하되도록 한 깔때기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통은,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가 유입되는 저장공간이 내측에 마련된 함체형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 상측에 구분형성되되, 상단이 개구됨으로써 유실수 주변의 토사가 내부에 채워지는 한편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룸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토사가 상기 저장부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깔때기부와, 상기 깔때기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공급수를 흡수하여 상기 토사유입공간에 채워진 토사로 수분이 유입되도록 하는 모세관 현상의 유발을 위한 흡수부재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저수조에는, 부력에 대응한 부구의 승강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작동함으로써, 상기 수분공급통으로 공급수가 흘러들어 내부 수위가 적정범위 아래로 떨어질 경우 상기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수를 자동 공급받도록 하는 볼탭이 장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은, 고지대의 산지 지형을 고려한 시스템 구축의 달성으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겨우살이 기주식물로의 수분의 공급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집수장치를 이용한 우수의 충분한 확보, 정수장치를 이용한 불순물의 제거, 저장탱크를 이용한 다량의 공급수 저장으로, 그리고 공급수를 기주식물에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수분의 형태로 바꾸어 지속적이고도 일률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을 통해, 이상기후로 인해 강우량이 불규칙하더라도 이에 개의치 않고 겨우살이 열매가 최상의 결실을 맺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주식물 생육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고지대의 산지에서 유실수를 이용한 겨우살이 인공재배에서 문제시되는 물(공급수) 수급의 어려움을 해소시켜줌은 물론이거니와 암, 고혈압 등과 같은 각종 질환에 대한 치료제와 같은 의약품 원료 및 건강식품 원료의 대량 수득을 목적으로 하는 겨우살이 인공재배 기술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나타낸 장치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집수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3 (a)(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집수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정수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저장탱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수분공급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수분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수분공급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나타낸 장치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집수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3 (a)(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집수대의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정수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저장탱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수분공급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수분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에 있어 수분공급통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A)은, 고지대의 산지에서 재배되는 유실수(기주식물)로의 수분공급을 위하되, 높은 지대로부터 낮은 지대로 이어지는 각 장치의 순차적 배치를 통해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치 않고도 상기 유실수로의 수분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산지의 높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강우시 일정량의 빗물(雨水, 이하 "우수"라 함)을 한대 모으는 집수장치(1)와, 상기 집수장치(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집수장치(1)로부터 우수를 이어받아 그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어 공급수로 사용키에 적합토록 필터링(filtering, 淨水)하는 정수장치(2)와, 상기 정수장치(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정수장치(2)에 의해 필터링된 우수를 이어받아 적당량의 공급수로 저장해 두게 된 저장탱크(3)와, 상기 저장탱크(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된 공급수를 겨우살이 기주식물인 유실수가 생육되는 재배지역으로 공급수를 공급하되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분공급장치(4)와, 상기 집수장치(1)로부터 정수장치(2), 저장탱크(3), 수분공급장치(4)까지 연결됨으로써 집수된 우수의 정수와 저장 및 저장된 공급수가 재배지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시설배관(5)으로 구성된다.
집수장치(1)는, 하늘에서 내리는 비(雨)를 받아 일정량의 우수(雨水)로 한대 모으는 집수공정의 수단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내리는 비를 한 곳으로 받아내기 위한 집수대(11)와, 상기 집수대(11)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집수대(11)를 통해 정해진 곳으로 흘러내리는 우수를 담아두는 빗물받이(street inlet, 12)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대(11)는,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내리는 비를 받을 수 있고 그렇게 받아낸 우수가 일방향 경로를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결형(wave type)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내리는 비를 받을 수 있고 그렇게 받아낸 우수가 중앙으로 모여 상기 빗물받이(12)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 깔때기형(funnel type)이거나, 혹은 자유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산지의 바닥에 깔아두어 땅으로 떨어지는 비를 받을 수 있고 그렇게 받아낸 우수가 정해진 아래 지대로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하는 비닐시트형(vinyl sheet type) 등과 같은 형태로 그 구조를 달리할 수도 있음이 가능하다.
정수장치(2)는, 상기 집수장치(1)에 의해 집수된 우수에 섞인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정수공정의 수단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장치(1)로부터 이어받는 우수의 필터링을 위하는 내부공간(2a)을 가진 박스형 장치본체(21)와, 상기 장치본체(21)의 내부공간(2a)을 횡으로 구획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2a)을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불순물을 걸러내는 구획망(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본체(21)의 내부공간(2a)을 다수의 구획망(22)으로 분할하여 상기 내부공간(2a)에 둘 이상 복수의 정수공간(2a-1)이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장치본체(21)를 통과하는 우수가 여러 단계의 필터링 단계를 거쳐 보다 깨끗한 물(공급수)로 정수되도록 하는 불순물제거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저장탱크(3)는, 가뭄 등과 같은 이상기후로 인해 물이 부족할 때를 대비하여 강우시 상기 집수장치(1)를 통해 확보된 우수를 다량 저장해 두기 위한 저장장치가 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우수 저장이 가능한 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된 박스형 구조를 이루며, 정해진 저장량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량의 우수를 외부로 자동배출시킬 수 있는 오버밸브관(31)이 상단부의 근접 측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세척을 위해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밸브관(32)이 하단부의 근접 측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공급수의 저장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레벨러(33)가 미리 정한 위치의 측단부에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수분공급장치(4)는,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된 깨끗한 공급수를 겨우살이의 기주식물이 되는 산지 유실수가 생육하는 재배지역에 공급해 주기 위한 수분공급수단인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실수가 뿌리내린 주변 땅속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저장탱크(3)로부터 공급수를 공급받아 기주식물에 공급하되, 공급수의 직접 공급이 아닌 주변 땅속에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수분공급통(41)과, 상기 저장탱크(3)로부터 우수를 우선 공급받되 다수의 상기 수분공급통(41)으로 지속적인 공급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량의 공급수가 항시 저장되는 저수조(42)와, 유실수 주변 땅속에 매립되는 다수의 상기 수분공급통(41)으로 상기 저수조(42)에 저장된 공급수를 배분하여 일정하게 공급하는 분배관(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분공급통(4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42)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가 유입되는 저장공간(411-1)이 내측에 마련된 함체형의 저장부(411)와, 상기 저장부(411)의 내부 상측에 구분형성되되, 상단이 개구됨으로써 유실수 주변의 토사가 내부에 채워지는 한편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를 이룸으로써 내부에 채워진 토사가 상기 저장부(411)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깔때기부(412)와, 상기 깔때기부(412)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411-1)으로 유입된 공급수를 흡수하여 상기 토사유입공간(412-1)에 채워진 토사로 수분이 유입되도록 하는 모세관 현상(capillary phenomenon, 毛細管現象)의 유발을 위한 흡수부재(413)로 구성된다.
상기 깔때기부(412) 하측 말단의 주둥이 부위에는, 상기 저장공간(411-1)으로의 토사 낙하 방지와 더불어 상기 토사유입공간(412-1)과 저장공간(411-1) 모두로 각 선단이 노출되는 상기 흡수부재(413)의 결합을 위한 코르크마개(Cork stopper, 412-21)가 끼워맞춤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조(42)에는, 부력에 대응한 부구의 승강작용에 의해 자동 개폐작동함으로써, 상기 수분공급통(41)으로 공급수가 흘러들어 내부 수위가 적정범위 아래로 떨어질 경우 상기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수를 자동 공급받도록 하는 볼탭(ball tap, 421)이 장착되어 있다.
시설배관(5)은, 상기 집수장치(1)를 시작으로 정수장치(2) 저장탱크(3) 수분공급장치(4)로 연이어지는 물 공급라인인 것으로, 상기 집수장치(1) 각각의 빗물받이(12)들로부터 이어져 하나로 병합되고 상기 정수장치(2)와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빗물받이(12)에 모인 우수가 상기 정수장치(2) 내부로 공통 유입되도록 하는 우수의 1차 이동 흐름을 위한 집수라인(51)과, 상기 정수장치(2)로부터 이어져 상기 저장탱크(3)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정수장치(2)를 통과한 정수된 우수가 상기 저장탱크(3)에 공급수로 유입되도록 한 우수의 2차 이동 흐름을 위하는 연결라인(52)과, 상기 저장탱크(3)로부터 이어져 각각의 상기 수분공급장치(4)로 분배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된 공급수가 상기 수분공급장치(4)의 각 수분공급통(4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우수의 3차 이동 흐름을 위한 공급라인(5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3)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라인(52)은, 상기 저장탱크(3)의 측단부에 설치된 드레인밸브관(3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v)는 상기 공급라인(53)의 어느 부위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된 공급수를 수분공급장치(4)로 공급함을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밸브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지에서 생육되는 유실수의 재배환경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수분공급 시스템(A)을 설비하는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지에서 비교적 높은 지대에서 낮은 지대로 상기 집수장치(1), 정수장치(2), 저장탱크(3), 수분공급장치(4)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치 않고도 상기 유실수로의 수분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는, 하늘에서 내리는 비(강우)를 받아 한대로 모으기에 용이한 상기 집수장치(1)를 산지에서 비교적 높은 곳에 다수 설치하고, 그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정수장치(2)를 설치하여 상기 집수장치(1)로 모은 우수가 중력의 영향으로 상기 정수장치(2)로 이동하는 흐름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정수장치(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저장탱크(3)를 설치하여, 역시 상기 정수장치(2)에 의해 정수된 우수가 중력의 영향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3)로 이동하는 흐름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저장탱크(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수분공급장치(4)를 설치하여, 이 역시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된 공급수가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상기 수분공급장치(4)를 통해 재배지역에서 생육되는 겨우살이 기주식물인 유실수로 자연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집수장치(1), 정수장치(2), 저장탱크(3), 수분공급장치(4)에 상기 시설배관(5)을 연이어 연결시켜줌으로써, 상기 집수장치(1)를 통해 확보된 우수가 상기 정수장치(2)와 저장탱크(3)를 순차적으로 거치며 필터링되고 다량으로 저장된 후 상기 수분공급장치(4)를 통해 기주식물(유실수)에 최종 공급되는 이동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자연현상에 의해 하늘에서 내리는 비가 상기 집수장치(1) 각각의 집수대(11) 위로 떨어지게 되고, 떨어지는 비를 받은 상기 집수대(11)에 의해 우수가 일방향으로 흘러내려 빗물받이(12)에 한대 모이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빗물받이(12)에 한대 모인 우수는, 상기 시설배관(5)의 집수라인(51)을 통해 정수장치(2)로 이동하는 것이며, 이렇게 유입되는 우수는 상기 정수장치(2)에 의해 필터링됨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수장치(2)의 장치본체(21) 내부공간(2a)을 횡으로 다수 분할하도록 구비된 구획망(22)들에 의해 우수에 섞인 불순물을 여러 번 걸러내게 됨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되는 공급수가 청정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정수장치(2)를 통해 정수된 우수는 다시 상기 연결라인(52)을 따라 저장탱크(3)로 이동케 됨으로써, 유실수 생육에 필요한 수분으로 공급코자 하는 공급수의 다량 저장이 가능케 된다.
한편, 계속적인 강우로 공급수의 저장량이 초과되면, 상기 저장탱크(3)의 오버밸브관(31)을 통해 그 초과된 분량의 공급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항상 일정량의 공급수가 저장탱크(3)에 저장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저장탱크(3) 내부를 세척할 경우에는 상기 드레인밸브관(32)을 통해 공급수를 외부배출시켜주는 것으로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된 공급수는 상기 공급라인(53)을 따라 상기 수분공급장치(4)를 통해 재배지역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겨우살이 기주식물인 유실수의 생육을 위하는 수분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정은, 상기 공급라인(53)에 구비된 개폐밸브(v)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3)에 저장되어 있는 공급수가 상기 공급라인(53)을 통해 수분공급장치(4)로 자연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분공급장치(4)로 공급되는 공급수는, 상기 저주조(42)로 우선 유입된 후 상기 분배관(43)을 통해 유실수 주변 땅속에 매립된 각 수분공급통(41)의 저장부(411) 내부(저장공간 : 411-1)에 채워지며, 이렇게 채워진 공급수를 각각의 수분공급통(41)마다 구비된 흡수부재(413)가 빨아들이게 되고, 상기 흡수부재(413)의 수분은 깔때기부(412)의 토사유입공간(412-1)에 채워진 토사가 흡수하는 모세관 현상에 따라 유실수가 뿌리내린 주변 땅속에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써, 수분공급에 민감한 겨우살이가 생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 즉 유실수에게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재배환경이 조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A)에 따르면, 우수를 받아 저장하고 그렇게 저장된 공급수가 산지의 지형 특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강우량 부족으로 인해 겨우살이 재배를 위한 기주식물로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수분공급 수급의 어려움이 단번에 해결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산지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수분공급 시스템의 구축으로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재배지역으로의 수분공급이 가능케 됨으로써, 산지의 재배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운영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확보된 우수를 물(공급수)이 아니라 수분의 형태로 겨우살이 기주식물인 유실수에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분공급에 민감한 반응을 하는 겨우살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주식물의 생육에 최적화된 에너지원(수분)의 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수분공급 시스템, 1 : 집수장치, 2 : 정수장치
2a : 내부공간, 2a-1 : 정수공간, 3 : 저장탱크
4 : 수분공급장치, 5 : 시설배관, 11 : 집수대
12 : 빗물받이, 21 : 장치본체, 22 : 구획망
31 : 오버밸브관, 32 : 드레인밸브관, 33 : 레벨러
41 : 수분공급통, 42 : 저수조, 43 : 분배관
51 : 집수라인, 52 : 연결라인, 53 : 공급라인
411 : 저장부, 411-1 : 저장공간, 412 : 깔때기부
412-1 : 토사유입공간, 412-21 : 코르크마개, 413 : 흡수부재
421 : 볼탭

Claims (7)

  1. 산지의 높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강우시 일정량의 우수를 한대 모으는 집수장치;
    상기 집수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우수를 이어받아 우수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어 공급수로 사용키에 적합토록 필터링하는 정수장치;
    상기 정수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정수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우수를 이어받아 적당량의 공급수로 저장해 두게 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공급수를 재배지역에 공급하되,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수분공급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상기 정수장치, 상기 저장탱크, 상기 수분공급장치까지 연결됨으로써, 집수된 우수의 정수와 저장 및 저장된 공급수가 재배지역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시설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유실수가 뿌리내린 주변 땅속에 매립된 상태로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수를 공급받아 기주식물에 공급하되, 주변 땅속에 수분의 형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수분공급통과,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우수를 우선 공급받되, 다수의 상기 수분공급통으로 지속적인 공급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량의 공급수가 항시 저장되는 저수조와,
    유실수 주변 땅속에 매립되는 다수의 상기 수분공급통으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공급수를 배분하여 일정하게 공급하는 분배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는, 상기 집수장치로부터 이어받는 우수의 필터링을 위한 내부공간을 가진 박스형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공간을 횡으로 구획한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불순물을 걸러내는 구획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다량의 우수 저장이 가능한 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된 박스형 구조를 이루며,
    정해진 저장량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만큼의 우수를 외부로 자동배출시킬 수 있는 오버밸브관이 상단부의 근접 측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의 세척을 위해, 저장된 우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밸브관이 하단부의 근접 측단부에 설치되며,
    공급수의 저장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레벨러가 미리 정한 위치의 측단부에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장치는, 주변에 내리는 비를 한 곳으로 받아내기 위한 집수대와, 상기 집수대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흘러내리는 우수를 받는 빗물받이로 구성되되,
    상기 집수대는, 받아낸 우수가 일방향 경로를 따라 상기 빗물받이로 흘러내리도록 한 물결형태, 또는 받아낸 우수가 중앙으로 모여 상기 빗물받이로 낙하되도록 한 깔때기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통은,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가 유입되는 저장공간이 내측에 마련된 함체형의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내부 상측에 구분형성되되, 상단이 개구됨으로써 유실수 주변의 토사가 내부에 채워지는 한편 상부는 넓고 하부는 협소한 상광하협의 형태를 이룸에 따라 내부에 채워진 토사가 상기 저장부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깔때기부와,
    상기 깔때기부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된 공급수를 흡수하여 토사유입공간에 채워진 토사로 수분이 유입되도록 하는 모세관 현상의 유발을 위한 흡수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부력에 대응한 부구의 승강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작동함으로써,
    상기 수분공급통으로 공급수가 흘러들어 내부 수위가 적정범위 아래로 떨어질 경우 상기 시설배관의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수를 자동 공급받도록 하는 볼탭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KR1020160074396A 2016-06-15 2016-06-15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KR10181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96A KR101817003B1 (ko) 2016-06-15 2016-06-15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396A KR101817003B1 (ko) 2016-06-15 2016-06-15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06A KR20170141406A (ko) 2017-12-26
KR101817003B1 true KR101817003B1 (ko) 2018-01-09

Family

ID=6093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396A KR101817003B1 (ko) 2016-06-15 2016-06-15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415B (zh) * 2018-07-11 2020-09-15 寻乌县友华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橘子苗木种植用浇灌装置
CN109372057B (zh) * 2018-11-19 2024-02-09 湖南农业大学 一种雨水收集与自动灌溉装置
CN111992556B (zh) * 2020-08-25 2021-08-17 吉林澳奇机电集团有限公司 一种利用雨水对电动汽车充电桩的自动清洗装置
CN112609769A (zh) * 2020-12-02 2021-04-06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用于机场的智能雨水采集系统
CN113170694B (zh) * 2021-04-26 2022-08-12 高琛 一种果园多功能护理装置
CN114847135B (zh) * 2022-05-25 2023-09-15 西北农林科技大学 用于山地果园的集雨补灌促渗排涝综合系统及其实施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005Y1 (ko) * 2004-02-05 2004-04-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필터재 우수맨홀을 이용한 빗물 중수도 시설물
KR100779545B1 (ko) * 2006-06-30 2007-11-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100791611B1 (ko) * 2007-09-19 2008-01-04 강두기 고랭지 농업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무동력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005Y1 (ko) * 2004-02-05 2004-04-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필터재 우수맨홀을 이용한 빗물 중수도 시설물
KR100779545B1 (ko) * 2006-06-30 2007-11-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100791611B1 (ko) * 2007-09-19 2008-01-04 강두기 고랭지 농업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무동력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406A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003B1 (ko) 우수를 이용한 산지 수분공급 시스템
CN105417867B (zh) 一种水稻田面源污染控制与氮磷回收利用系统和方法
KR101396573B1 (ko) 건축물의 옥상 빗물을 다목적으로 활용하는 장치
KR101701372B1 (ko) 깔때기형 빗물 활용 장치
CN206706891U (zh) 园林景观雨水回收处理重复利用系统
CN108684281B (zh) 一种旱区组合型集水施肥灌溉装置及施肥灌溉方法
CN102943503A (zh) 沙漠集雨蓄水滴灌装置
CN210746744U (zh) 一种自动灌溉立体化种植设备
CN210202759U (zh) 一种用于山地种植的滴灌装置
CN109716962A (zh) 一种节水种植大棚
JP5058214B2 (ja) 屋上緑化装置
CN214229148U (zh) 一种温室大棚雨水收集灌溉装置
CN213427531U (zh) 雨水收集毛细渗透灌溉系统
CN111960545B (zh) 一种基于生态沟渠池塘农业面源污染的综合治理系统
CN212026545U (zh) 用于海绵城市植被绿化导水系统
CN210580204U (zh) 一种屋顶花园用雨水收集种植箱
CN210470548U (zh) 一种石漠化地区储水灌溉装置
CN208609384U (zh) 一种旱区组合型集水施肥灌溉装置
CN208211056U (zh) 植入地下的园林蓄水灌溉系统
JP4343048B2 (ja) 屋上の緑化方法および装置
CN218977594U (zh) 一种果树种植用节水装置
CN216673762U (zh) 一种海边盐碱地绿化排碱系统
CN213625831U (zh) 一种屋面雨水循环系统
CN214801072U (zh) 一种海绵型自动蓄补水生态树池
CN216218992U (zh) 一种园林工程绿化种植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