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652B1 -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652B1
KR101816652B1 KR1020170019771A KR20170019771A KR101816652B1 KR 101816652 B1 KR101816652 B1 KR 101816652B1 KR 1020170019771 A KR1020170019771 A KR 1020170019771A KR 20170019771 A KR20170019771 A KR 20170019771A KR 101816652 B1 KR101816652 B1 KR 10181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certificate
server
value
hash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일
김희순
홍재우
어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riority to KR102017001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652B1/ko
Priority to PCT/KR2018/000913 priority patent/WO20181514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7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hallenge-response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로그인의 대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인 인증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이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후,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인증 서버도 제공된다.

Description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PROVIDING LOGIN FLOW VIA AUTHENTICATION BASED ON PUBLIC KEY INFRASTRUCTURE IN RESPONSE TO USER’S LOGIN REQUEST FOR USING SERVICE PROVIDED BY SERVICE PROVIDER SERVER IN USE OF MERKLE TREE STRUCTURE ON THE BASIS OF UNSPENT TRANSACTION OUTPUT PROTOCOL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인증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용자 개인 계정의 로그인을 대행하는 서비스로서 OAuth 2.0는 웹, 모바일, 및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표준화된 인증 방식이며, 안전하게 인증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이 이용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OAuth가 이용되기 전에는 인증 방식의 표준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의 기본 인증인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조합을 이용하였는데, 이는 보안상 취약하였다. 기본 인증이 아닐 경우에 각 애플리케이션들이 각자의 개발한 회사의 방법대로 사용자를 확인하였는데 그 방법들에는 예를 들면 구글의 AuthSub, AOL의 OpenAuth, 야후의 BBAuth, 아마존의 웹서비스 API 등이 있었다. OAuth는 이렇게 제각각인 인증 방식을 표준화한 인증 방식으로서, OAuth를 이용하면 이 인증을 공유하는 애플리케이션끼리는 별도의 인증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바, OAuth 2.0는 이와 같은 OAuth의 최신 버전이다. 이 OAuth 2.0의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우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사용자의 단말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인증 요청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된다.
인증 요청을 전달받은 서비스 제공 서버는 로그인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고, 인증 서버는 이 로그인 정보를 검증하여, 검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승인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반환한다.
그 승인 정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승인 전달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사용자 단말은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요청하는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인증 서버에 의하여 발급된 접근 토큰을 획득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은 그 접근 토큰을 가지고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서비스와 관련된 자원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로그인 대행 절차가 완료된 것이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접근 토큰이 유효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접근 토큰에 대한 검증 요청을 인증 서버에 요구할 수 있고, 이에 응하여 인증 서버는 사용자의 속성 정보들을 반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OAuth도 그 인증 절차가 사용자 ID(사용자 식별 정보) 및 비밀번호 일치 여부의 확인만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의 탈취 시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입할 수 있는 인증서, 예컨대 종래의 공인 인증서는 대체로 고액의 발급 비용이 소요되며,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는바, 보안성과 사용성이 강하면서도 종래의 공인 인증서 등을 새로이 대체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OAuth 2.0의 프로토콜에 한정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반의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OAuth 2.0 프로토콜보다 보안성이 더욱 더 강화되고 다양한 구조의 개인 또는 서버 등의 인증을 대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OAuth의 보안성과 사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성과 사용성이 강하면서도 저비용으로 기존의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 방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상 화폐의 프라이빗/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인증서 관련 정보를 참조함과 아울러 인증 결과에 관한 정보를 그러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위변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중 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개인에 대한 인증서만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요청의 대상이 된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 또한 함께 검증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임시 ID가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 ID가 없는 사용자에 대하여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보안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에 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다른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구조의 개인 또는 서버에 대하여 인증을 대행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로그인 대행 서비스 제공 체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a)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1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2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로그인의 대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인 인증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이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후,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a)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1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2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고,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서명한 값인 다중 서명값을 포함하는 응답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응답 요청 정보,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a)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 적어도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i) 상기 임시 ID 및 (ii)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a)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 적어도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는 단계; (b) 생성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 및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i) 상기 임시 ID 및 (ii)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들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인증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보안성과 사용성이 강하면서도 저비용으로 기존의 OAuth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고수준의 암호화, 다중 서명, 교차 검증을 통한 임시 ID의 발급 등을 통한 높은 보안 수준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인증서 관련 정보의 위변작이 근본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신뢰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지칭함)에게 있어서는 발명적 작업이 이루어짐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서버 인증서와 애플리케이션 인증서를 이용한 다중 서명을 통하여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ID가 없는 상태에서 다중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트랜잭션들이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각각 인증서의 사용 횟수를 initNumber와 10회로 제한하고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소스 코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마트 컨트랙트로부터 컴파일된 결과인 바이트 코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라고 함은, 체계화된 데이터, 즉 통합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 및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바, 일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몽고 데이터베이스(MongoDB), 및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상 화폐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도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라고 함은, 가상 화폐의 블록체인으로서 공공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블록체인인 퍼블릭 블록체인을 관장하는 가상 화폐 시스템 상의 모든 컴퓨팅 장치들을 데이터베이스로서 활용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라고 함은, 가상 화폐의 블록체인을 이용하되, 상기 공공에 이용되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닌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서버가 직접 관리하는 이른바, 독자 구성된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지칭한다.
상기 가상 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전자 지갑을 기반으로 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에 의하여 유통되는 디지털 화폐를 지칭하는바, 가상 화폐에는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다크코인, 네임코인, 도기코인 및 리플 등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실행 가능한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되어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이고, 상기 실행 시에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미리 정해진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행의 결과인 실행 결과값의 무결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부터 산출된 상기 실행 결과값에 대한 합의(consensus)에 의하여 검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념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것의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가상 화폐의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를 이용하되, 그 UTXO에 관한 개별 트랜잭션을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가상 화폐의 UTXO를 이용하여, 그 UTXO에 관한 개별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 후, 그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트랜잭션들로부터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을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이중으로 기록의 무결성을 도모하는 앵커링(anchoring) 방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하여 달라지는 인증서에 관한 상태(state)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상태 데이터베이스(SDB; state database)를 이용하되, 트랜잭션을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상태의 변경 사항은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가 직접 기록되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위하여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거쳐 간접적으로 기록되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인증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100)(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로서,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는바, 그러한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며, 서로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1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 세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바, 예컨대 UDP 데이터그램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
이제 본 발명에 따라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제1 실시예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서버 인증서와 애플리케이션 인증서를 이용한 다중 서명을 통하여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이하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이라 함)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S210)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로그인의 대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인 인증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전달(S215)하는 단계(S210, S21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인증의 유형을 정의하는 정보인 인증 유형(auth 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인증 유형 정보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단순한 조회 등의 서비스만 이용할 것인지, 혹은 결제 등의 중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와 같은 서비스의 경중에 따라 요청하는 인증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파라미터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인증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획득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i)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허용하는지 여부, (ii) 상기 서비스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허용한다면, 상기 로그인의 대행이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허용되어 있는지 여부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그인의 대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바, 그 결과는 인증 요청 응답 정보로서 반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로그인의 대행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허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준들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증 요청 응답 정보는,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승인 수준(authorization level), 서비스 제공 서버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 식별 정보 및 참조자 서비스 키(referrer service key)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승인 수준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로그인 대행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게 되는 서비스의 수준, 범위와 정도를 지칭하는바, 이 승인 수준은 매 로그인 대행 시마다 인증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값이며, 인증 서버에 의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하여 고유하게 설정되어 있는 값인 접근 수준(access level)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수준으로 정해진다. 접근 수준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등록 시에 인증 서버에 의하여 정해지는바, 이에 대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참조자 서비스 키(referrer service key)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로그인 대행 방법을 이용함에 있어서 그 방법이 수행되는 세션(session)의 동일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값으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값이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210, S215)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서, 즉,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는, 통상, 상기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 암호화 방식으로 생성된 공개키(public key) 및 개인키(private key)에 의한 인증서를 의미한다.
상기 인증서를 등록하기 위한 인증서의 등록 국면에 인증 서버에 전달될 수 있는 인증서의 정보는, 예를 들어, (i) 상기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 암호화 방식으로 생성된 공개키(public key) Pub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의 정보에는 (ii) 상기 인증서의 이용 주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해시 연산한 결과값인 식별 정보 해시값 IdhashA이 더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증서의 정보에는 (iii) 상기 PKI 기반 암호화 방식의 종류 및 상기 해시 연산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암호화 유형(crypto type), (iv) 라이선스 키(license key), (v) 라이선스 수준(license level)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선스 키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영자와 인증 서버의 운영자 간에 미리 협의된 소정의 정보이다. 따라서, 이 라이선스 키가 미리 협의된 것과 상이하거나, 라이선스 키의 형태가 정해진 규격을 따르지 않은 경우, 인증 서버에 전달된 정보를 크래킹을 위한 트래픽으로 판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인증 서버의 운영자 측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운영자와의 계약 관계가 종료되면 해당 라이선스 키를 이용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라이선스 수준은 로그인 대행을 위하여 인증 서버에 의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준, 범위 및 정도에 해당되며, 이 라이선스 수준은 상기 협의에 의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값이다.
한편, 상기 인증서의 정보는,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i) 내지 (v)의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인증서의 등록 국면에 생성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바, 이는 상기 인증서를 식별할 수 있는 인증서 식별 정보 및 접근 수준(access level)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인증서가 서버 인증서인 경우, 상기 인증서 식별 정보는 서버 인증서 식별 정보이며, 상기 인증서가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인 경우, 상기 인증서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식별 정보이다.
이 접근 수준은, 상기 인증서를 통하여 상기 로그인 대행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상기 인증서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위와 정도를 의미하는바, 상기 라이선스 수준이 인증 서버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간에 고유한 값인 반면, 상기 접근 수준은 서버 인증서의 발급 시에 인증 서버에 의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부여되는 것으로서 인증서에 고유한 값이다. 접근 수준은 인증 서버에 의하여 라이선스 수준과 같거나 그보다 낮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 해시값 IdhashA은 상기 이용 주체, 예컨대,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이용 주체인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주체인 사용자 등의 식별 정보인 법인 또는 개인의 정보를 해시 연산한 결과값일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라고 함은, 예를 들어 명칭(이름), 설립년월일(생년월일), 연락처 정보, 전자우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해시 연산에 이용되는 해시 함수는, MD4 함수, MD5 함수, SHA-0 함수, SHA-1 함수, SHA-224 함수, SHA-256 함수, SHA-384 함수, SHA-512 함수 및 HAS-160 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Triple SHA256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무결성이 검증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이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S220)된 후,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가 획득(S230, S235)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S240)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S245 내지 S250)하는 단계(S220 내지 S2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은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제공되는 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유형(service type) 정보, 상기 인증 수준, 서비스 제공 서버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 식별 정보 및 참조자 서비스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가변 인증값은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회성 번호인바,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값(timestam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시드(seed)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소정의 랜덤 넌스값(random nonce), 즉, 랜덤값(random value)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는 방법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불필요한 세부이므로 더 자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인바,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거나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다.
그리고 여기에서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는, 참조자 인증 키(referrer auth key) 및 상기 참조자 서비스 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조자 인증 키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로그인 대행 방법을 이용함에 있어서 어느 인증 애플리케이션, 어느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전달된 챌린지 개시 요청인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즉 인증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값으로서,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제공된 값이다. 이 참조자 인증 키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에 포함된 값으로서, 이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는, 상기 참조자 인증 키, 서비스 유형 정보, 승인 수준 및 서비스 제공 서버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PKI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들 간에 송수신되는 정보는 송신하는 측이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는 수신하는 측의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인코딩(encoding)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신하는 측에서는 그 인코딩된 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디코딩(decoding)함으로써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public key)에 의하여 인코딩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로부터 상기 가변 인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인증값을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송신하고자 하는 정보가 반드시 수신하는 측의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인코딩(encoding)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가령 잘 알려진 대칭키 암호화 방식(symmetric-key algorithm)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단계(S220 내지 S250) 이후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S260a, S260b)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S270)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S260a, S260b 및 S2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서버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근 토큰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하는 소정의 정보로서, 아스키(ASCII) 값이거나 바이너리(binary) 값일 수 있다. 이 접근 토큰은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유일한 값(unique value)이며, 노출되지 않게 저장되어야 하는 값이다. 따라서, PKI 기반의 암호화 방식에 따라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접근 토큰은 발급하는 주체가 소정의 유효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유효 기간을 도과한 경우 무효화되는 값일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접근 토큰은 OAuth 인증 방식에서 제공되는 접근 토큰일 수 있는바, 이 경우에 상기 접근 토큰은 영숫자와 특수문자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OAuth 인증 방식에서 제공되는 접근 토큰은 “fb2e77d.47a0479900504cb3ab4a1f626d174d2d”와 같은 형태의 것일 수 있는바, 통상의 기술자는 일 예시로 제공된 OAuth 인증 방식에서 이용되는 접근 토큰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을 인증 서버를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자면,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우선,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S210)에 대응되는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S220)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S230)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고,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S235)함으로써,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S240)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S245)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10 내지 S24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인증서를 식별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식별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상기 참조자 서비스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는, 상기 참조자 인증 키 및 상기 참조자 서비스 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참조자 인증 키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로그인 대행 방법을 이용함에 있어서 어느 인증 애플리케이션, 어느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전달된 챌린지 개시 요청인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즉 인증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값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서명한 값인 다중 서명값을 포함하는 응답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응답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응답 요청 정보는 상기 참조자 인증 키, 상기 서비스 유형 정보, 상기 승인 수준 및 서비스 제공 서버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50)는,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서명값의 서명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중 서명값으로부터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해시값(A)을 얻을 수 있으며, 이 해시값(A)과 상기 가변 인증값에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얻은 결과값(B)을 비교함으로써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교에서 상기 해시값과 상기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여 얻은 결과값이 상이하면 서명이 무효이고 동일하면 서명이 유효한 것은 이미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은바, 통상의 기술자는 서명(여기에서는 전자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S250)와 관련하여,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접근 수준(access level)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거나 관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상기 접근 수준을 참조로 하여 승인 수준(authorization level)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는 상기 승인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는 상기 승인 수준을 참조로 하여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수준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크래킹(cracking)되었던 적이 있는지, 있다면 그 횟수와 빈도는 어떠한지와 관련된 크래킹 이력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할 수 있는 보안 서비스의 기능과 성능 등과 같은 정보 및 상기 라이선스 수준을 기초로 하여 정해지는 등급 정보일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인증서의 등록 국면에 관한 예시에서와 같이 이 접근 수준은 인증서의 등록 국면에서 정해지는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근 수준이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는 값임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접근 수준에 따라 정해지는 승인 수준은, 예컨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허용되는 서비스가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차별화된 경우에 그 서비스 이용 등급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승인 수준은 한번의 로그인으로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유효 시간을 결정하는 기초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서버의 운영자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크래킹에 노출되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그 로그인 대행 서비스에 있어 제약이 필요한 경우에 접근 수준이나 승인 수준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S260a, S260b)함으로써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S270)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S260a, S260b 및 S270)를 더 포함한다. 도 2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에서는 단계(S260a) 뒤에 단계(S260b)가 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순서는 반대가 될 수도 있으며, 단계(S260a)와 단계(S260b)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단계(S250) 후에,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인증 결과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해둠으로써 인증 서버를 이용하는 관리자 또는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제3자가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의 진위를 검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인증 결과 메시지의 통계적 수치 등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i), (ii), (iii)의 정보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ID가 없는 상태에서 다중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이하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과 동일한 세부 특징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인바, 차이점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S310)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S320)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S330)를 인증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S310 내지 S3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와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정보로서, 사용자마다 일의적(unique)으로 정해진 정보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발급된 소정의 인증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과 유사하게 상기 단계(S310 내지 S33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S335)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S340)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35, S3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PKI 기반의 암호화 방식이 적용되는 일 예시로서,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에 의하여 인코딩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예시에서 상기 단계(S335, S340)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S335)로부터 상기 가변 인증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인증값을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S340)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S335, S340) 후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S345)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달(S350)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45, S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인증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그 서명한 값이 상기 가변 인증값에 대응되는 값인지를 검증할 수 있는바, 이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서명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단계(S345, S350) 후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i) 상기 임시 ID 및 (ii)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임시 ID는,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 및 승인 수준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임시 ID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에 맞춰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이용 등급에 관한 정보가 부여될 수 있는바, 상기 임시 ID를 가지고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정해진 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을 인증 서버를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자면,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우선,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S310)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S320)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S330)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는 단계(S310 내지 S330), 생성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S335)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S340)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35, S340),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S345, S350)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345, S35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과 유사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단계(S345, S350) 후에,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S355a, S355b)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S360)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i) 상기 임시 ID(S360, S370a) 및 (ii)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S355b, S370b)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S380)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S355a 내지 S370b)를 더 포함한다. 도 3의 시퀀스 다이어그램에서는 단계(S355a) 뒤에 단계(S355b)가 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순서는 반대가 될 수도 있으며, 단계(S355a)와 단계(S355b)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370a)와 단계(S370b)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 또한,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i), (ii), (iii)의 정보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대행 방법에 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은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을 것인바, 차이점만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전술한 단계(S210, S2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1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2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이후, 단계(S230, S235)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다. 그 구체적인 의미는,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는 것이다.
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가상 화폐의 UTXO를 이용하여, 그 UTXO에 관한 개별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 후, 그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트랜잭션들로부터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을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이중으로 기록의 무결성을 도모하는 앵커링(anchoring)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 경우에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단계(S210, S215)는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이 앵커링 방식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는, 단계(S250) 후에, (A)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B)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해시값과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의 연산은 다양한 함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정 해시값을 input이라고 나타내고,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을 x1, x2, …, xn이라고 나타낼 때, 대표 해시값 t은 다음 수학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14919196-pat00001
이때, 인증 서버는 상기 특정 해시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을 소정의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구조는 다양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머클 트리(merkle tree)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해시값과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의 연산은 머클 트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특정 해시값이 리프 노드에 할당된 머클 트리(merkle tree)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고,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프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하여 생성되는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는, 최종적으로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대표 해시값으로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기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표 해시값에 hex 연산이 수행된 결과값이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특정 해시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을 소정의 제1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고, 이후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제2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와 상기 제2 데이터 구조는 체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데이터 구조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조가 머클 트리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의 루트값 또는 상기 루트값의 해시값이 상기 제2 데이터 구조의 첫 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2 데이터 구조가 생성될 때는 제1 데이터 구조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짐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이 좀 더 확실히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클 트리가 체인 형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머클 트리 중 첫 번째 머클 트리인 경우, 상기 머클 트리의 첫 번째 리프 노드에는 텍스트, 숫자, 또는 기호로 이루어진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의 해시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클 트리 생성시 인증 서버에 의하여 최초로 부여된 입력 메시지의 해시값이 할당될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머클 트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리프 노드의 개수가 4(22)개인 머클 트리가 도시된다. 도시된 머클 트리는 첫 번째 머클 트리이기 때문에(tree_id = 0), 첫 번째 리프 노드인 h1 노드에는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 PrivBC_unique_message의 해시값 SHA256(PrivBC_unique_message)이 할당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트랜잭션들의 등록이 있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는, 현재 구성 중인 머클 트리의 가장 마지막 리프 노드의 다음 리프 노드를 생성하여 특정 해시값 또는 특정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머클 트리에서 이전 단계에서 두 번째 리프 노드인 h1 노드까지 값 할당이 완료된 경우, 다음 리프 노드인 h2 노드를 생성하여 특정 해시값 또는 특정 해시값을 가공한 값(SHA256(input2))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서버는, (i) 특정 해시값과, (ii) 상기 특정 해시값이 할당된 세 번째 리프 노드인 h2 노드의 형제 노드인 h3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연산하거나 연산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연산의 결과인 연산값에 대한 해시값은 h2 노드와 h3 노드의 부모 노드(h23 노드)에 할당된다. 부모 노드(h23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가 아니므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h23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상기 특정 해시값으로 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h23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특정 해시값으로 하고, h23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과 h01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연산하여 h23 노드와 h01 노드의 부모 노드(h0123) 노드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h0123 노드가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이므로, 상기 인증 서버는, h0123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hex(h{node_index}))을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재귀적(recursive)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때, (x1) 상기 인증 서버가, (i) 상기 특정 해시값과 (ii) 상기 특정 해시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하거나 해시 연산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연산의 결과인 연산값에 대한 해시값을 상기 노드의 부모 노드에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하며, (x2) 상기 부모 노드가 상기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이면, 상기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상기 대표 해시값으로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x3) 상기 부모 노드가 상기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가 아니면, 상기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상기 특정 해시값으로 하여 상기 (x1) 내지 (x3)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소정의 조건이란, (i) 소정의 개수만큼의 상기 특정 해시값과 이웃 해시값이 획득되거나 생성되는 조건, (ii)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 (iii)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서 블록이 생성되는 조건, (iv) 서비스 특성에 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해시값들 -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 - 이 리프 노드 수만큼 획득되면, 각각의 해시값이 전술한 머클 트리의 입력값(리프 노드에 할당된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는, 소정 시간 단위로 전술한 머클 트리의 루트값을 생성할 수 있다(상기 (ii) 조건). 이 경우, 상기 인증 서버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그때까지의 입력값을 이용하여 머클 트리를 생성하고 머클 트리의 루트값을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머클 트리의 특정 해시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값이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음에도 상기 특정 해시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해시값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형제 노드에 소정의 해시값을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머클 트리의 루트값이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특정 해시값을 복제하여 상기 형제 노드에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특성이란, 로그인 대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엔티티(entity)들이 지급한 비용 정보, 상기 트랜잭션의 기록이 이루어지는 시간대 정보, 상기 기록이 이루어지는 지역 정보, 상기 기록에 관여한 서버의 관리 주체인 회사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 기재한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차등적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새로운 머클 트리의 생성이 시작되고, 트랜잭션의 수신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가 첫 번째 리프 노드와 두 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된 머클 트리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머클 트리의 루트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이 경우에는 리프 노드 2개짜리의 머클 트리가 생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인증 서버가 상기 특정 해시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을 소정의 제1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고, 이후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제2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와 상기 제2 데이터 구조는 체인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데이터 구조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조가 머클 트리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의 루트값 또는 상기 루트값의 해시값이 상기 제2 데이터 구조의 첫 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2 데이터 구조로서 생성된 머클 트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도 4의 머클 트리(tree_id = 0)의 루트값(hex(h0123))이 새로운 머클 트리의 첫 번째 리프 노드(h4 노드)에 할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트랜잭션 발생시에 생성되는 복수의 데이터 구조를 연결함으로써 중간에 데이터의 변조가 발생되는 경우라도 쉽게 트래킹이 가능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증서의 등록 방법은, 추가적으로,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 상기 트랜잭션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트랜잭션들 중의 하나임 - 의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트랜잭션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제1 및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가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고,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가 퍼블릭(public)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가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가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와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이 설명될 것인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은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전술한 단계(S310 내지 S33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는,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 적어도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는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판정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과 유사하게 제2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은, 상기 인증 서버가, (A)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B)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와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는 이웃 해시값에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것은 아닐 것인바, 이는 서버 인증서가 반드시 이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 설명했던 내용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대행 방법에 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제3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 스마트 컨트랙트는 실행 가능한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되어 인증 서버 또는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스 코드이고, 상기 실행 시에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미리 정해진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실행의 결과인 실행 결과값의 무결성(integrity)은 상기 복수의 컴퓨팅 장치로부터 산출된 상기 실행 결과값에 대한 합의(consensus)에 의하여 검증된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의 정보는, (i) 상기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 암호화 방식으로 생성된 공개키(public key) PubA, 및 (ii) 상기 인증서의 유효 조건 VcertA에 대응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SC(VcertA)가 컴파일(compile)된 결과인 바이트 코드 BC(SC(VcertA))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의 정보에는 (iii) 상기 인증서의 이용 주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해시 연산한 결과값인 식별 정보 해시값 IdhashA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의 정보에는 상기 PKI 기반 암호화 방식의 종류 및 상기 해시 연산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암호화 유형(crypto type), 라이선스 키(license key), 라이선스 수준(license level)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인증서의 정보는, 인증서의 이용 주체에 대응되는 공개키(public key) PubA, 인증서의 이용 주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해시 연산한 결과값인 식별 정보 해시값 IdhashA, 및 상기 인증서의 유효 조건 VcertA를 획득(S205 및 S210)한 인증 서버 또는 타 장치가, 상기 유효 조건에 대응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SC(VcertA)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컴파일(compile)하여 그 결과인 바이트 코드 BC(SC(VcertA))를 생성함으로써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전술한 단계(S210, S2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SC(VcertA)의 실행 파라미터인 상태 S(SC(VcertA))가 상태 데이터베이스(state database) SDB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는 서버 인증서 및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최초 기록되는 때에는 상기 S(SC(VcertA))는 소정의 초기 상태(initial state)로 설정되어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초기 상태라고 함은, 상기 유효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인증서에 대하여 최초로 주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는바, 예컨대 도 7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응되는 초기 상태는 counter = 10일 것이다.
이후, 단계(S230, S235)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다. 그 구체적인 의미는, (i)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ii)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iii) 상기 상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각각의 스마트 컨트랙트의 기존 실행 결과값 및 (iv) 이들의 새로운 실행 결과값을 참조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는 것이다.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기 위하여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각각의 등록 시에 획득되었던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각각이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위치를 참조하는 트랜잭션 위치 식별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인증서의 유효 여부 판정에 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인증 서버와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여기에서 상기 인증서의 유효 조건 VcertA은,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한 조건이면 어느 것이나 포함될 수 있을 것이나, 몇 가지 예시를 들자면, (i) 상기 이용 주체의 특징에 관한 정보, (ii) 상기 인증서의 사용 시의 날씨 정보, (iii) 상기 인증서의 사용 시의 날짜 정보, (v) 특정 타인의 사용에 관한 승낙으로서 획득되는 정보, 및 (iv) 미리 정해진 상기 인증서의 사용 횟수 제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조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 주체의 특징에 관한 정보라고 함은, 예컨대 이용 주체가 개인인 경우에 그 개인의 성별, 키, 나이 등과 같은 정보를 의미하는바,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 상에서 다양한 소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심지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인증서의 사용 시의 날짜 정보도 인터넷 웹 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등의 데이터로서 획득될 수 있는바, 상기 (i) 내지 (iv)의 정보들 모두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 상에서 다양한 소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유효 조건 VcertA에 따라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가 구성되어 있는 예시는 도 6 및 7에 도시되어 있는바, 도 6 및 7은 각각 상기 인증서의 사용 횟수를 initNumber와 10회로 제한하고 있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소스 코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또는 7을 참조하면, 상기 유효 조건이 인증서의 사용 횟수가 initNumber 또는 10회로 제한된다는 조건인 스마트 컨트랙트의 소스 코드가 개시되어 있다. useCounter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부여된 임의의 제목(title)을 의미하며, 사용 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의 상태에 해당되는 것이 int counter;로 지정된 명령어이며, 일회 실행 후에 counter -= 1;이라는 명령어에 의하여 변화된 카운터의 상태가 return counter;라는 명령어에 의하여 반환된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바이트 코드로 변환되어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다수 컴퓨팅 장치들(“노드”들이라고 지칭함)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을 의도한 것인바, 그 각각의 실행 결과는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에 의하여 그 실행 결과들 중 최다수를 차지하는 실행 결과가 진정한 실행 결과로 검증될 수 있다. 요컨대,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결과의 무결성은 상기 노드들로부터 산출된 상기 실행 결과값에 대한 합의(consensus)에 의하여 검증되는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노드는 한 개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컴퓨팅 장치가 이와 같은 합의에 준하는 검증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스마트 컨트랙트가 컴파일된 결과인 바이트 코드의 예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의 단계(S230, S235)에서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의 단계(S230, S235)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서명값의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상기 단계(S230, S235)는, 상기 다중 서명값의 서명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i) 상기 서버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인 서버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태 S1를 실행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바이트 코드 BC1를 실행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실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버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결과값을 획득하고, 상기 서버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결과값을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에 포함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태 S2를 실행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바이트 코드 BC2를 실행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실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결과값을 획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결과값을 참조로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i) 프로세스는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이고 (ii) 프로세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라는 점에서 서로 대응되므로 아래에서는 (i)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i) 프로세스에 있어서 서버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상태 S1를 실행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바이트 코드 BC1를 실행하고, 상기 서버 인증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결과값을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는 의미를 도 6 및 7의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실행 직전의 상태에 해당되는 인증서의 남은 사용 횟수로서, 0 이상인 정수 counter가 상태 S1인 실행 파라미터를 예시로 들 수 있다. 만약 그 남은 사용 횟수 counter가 0이라면, 더 이상 인증서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이므로 이를 실행 파라미터로 하여 상기 바이트 코드 BC1를 실행함으로써, 인증되지 않았다는 실행 결과값, 예컨대 counter=-1를 얻거나, 대안으로서(alternatively) 상기 바이트 코드 BC1를 실행하지 않고도 인증될 수 없다는 기존의 실행 결과값을 상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의 실행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행 결과값을 산출해냄으로써 그 실행 결과값을 참조로 하여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하는 많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서가 이용된 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단계(S250) 후에, 상기 인증 서버가, (i)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실행의 결과로서 획득된 상기 실행 결과값을 새로운 상태 S’(SC(VcertA))로서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거나 등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인증서의 등록 방법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개별 스마트 컨트랙트의 실행 결과값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실행 결과값의 무결성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에 관하여 전술한 단계(S310 내지 S33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임시 ID 로그인 대행 방법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SC(VcertA)의 실행 파라미터인 상태 (S(SC(VcertA))가 상태 데이터베이스(state database) SDB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된다. 한편,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는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판정된다.
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판정 방식에 관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지만, 서로 조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는 점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서명 로그인 대행 방법과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예시로서, 제3 실시예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개별 트랜잭션의 해시값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값의 해시값으로부터 머클 트리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 머클 트리의 대표 해시값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앵커링을 통하여 추후에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해시값과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대표 해시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내용의 무결성이 검증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걸쳐, 종래의 OAuth에 비하여 보안성과 사용성이 강화되면서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증서의 위변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들로서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의 이점은, 공개키, 해시값 등의 인증 관련 정보의 위변작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인증서의 신뢰성이 보장되고,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인증 관련 트랜잭션에 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그 무결성이 보장된다는 점이다.
위 실시예의 설명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하여 달성되거나 하드웨어만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자료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CPU나 G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개발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명령어들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0)

  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1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2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로그인의 대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인 인증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이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후,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public key)에 의하여 인코딩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로부터 상기 가변 인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인증값을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A)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B)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또는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고,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1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2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고,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서명한 값인 다중 서명값을 포함하는 응답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응답 요청 정보,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접근 수준(access level)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거나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접근 수준을 참조로 하여 승인 수준(authorization level)을 결정하며,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는 상기 승인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는 상기 승인 수준을 참조로 하여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서명값의 서명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b) 단계 후에,
    (c0)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i) 소정의 개수만큼의 상기 특정 해시값, 및 상기 이웃 해시값이 획득되거나 생성되는 조건, (ii)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 (iii) 블록이 생성되는 조건, 및 (iv) 서비스 특성에 대한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0)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특정 해시값이 리프 노드에 할당된 머클 트리(merkle tree)를 생성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생성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프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하여 생성되는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머클 트리가 체인 형태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머클 트리 중 첫 번째 머클 트리인 경우, 상기 머클 트리의 첫 번째 리프 노드에는 텍스트, 숫자 또는 기호로 이루어진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의 해시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x1) 상기 인증 서버는, (i) 상기 특정 해시값과 (ii) 상기 특정 해시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하거나 해시 연산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연산의 결과인 연산값에 대한 해시값을 상기 노드의 부모 노드에 할당하거나 할당하도록 지원하며,
    (x2) 상기 부모 노드가 상기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이면, 상기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상기 대표 해시값으로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x3) 상기 부모 노드가 상기 머클 트리의 루트 노드가 아니면, 상기 부모 노드에 할당된 해시값을 상기 특정 해시값으로 하여 상기 (x1) 내지 (x3)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x1)에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었음에도 상기 특정 해시값이 할당된 노드의 형제 노드에 해시값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형제 노드에 소정의 해시값을 할당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할당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x1) 내지 (x3)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특정 해시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을 소정의 제1 데이터 구조로 저장하고, 이후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와 동일한 형태의 제2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와 상기 제2 데이터 구조는 체인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구조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조가 머클 트리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의 루트값 또는 상기 루트값의 해시값이 상기 제2 데이터 구조의 첫 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의 수신이 없고, 상기 (c0)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가 첫 번째 리프 노드와 두 번째 리프 노드에 할당된 머클 트리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머클 트리의 루트값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e)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 상기 트랜잭션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트랜잭션들 중의 하나임 - 의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트랜잭션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 적어도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i) 상기 임시 ID 및 (ii)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에 의하여 인코딩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로부터 상기 가변 인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인증값을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ID는,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 및 승인 수준에 관한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 적어도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는 단계;
    (b) 생성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 및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i) 상기 임시 ID 및 (ii)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c) 단계 후에,
    (d0)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e)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 상기 트랜잭션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의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트랜잭션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1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2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로그인의 대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 결과인 인증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이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후,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public key)에 의하여 인코딩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로부터 상기 가변 인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인증값을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A)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B)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30.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1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제2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에 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고,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서버 챌린지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서명한 값인 다중 서명값을 포함하는 응답 요청 정보가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획득되면, 상기 응답 요청 정보,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 및 (iii)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인증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전달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접근 토큰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접근 수준(access level)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거나 관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접근 수준을 참조로 하여 승인 수준(authorization level)을 결정하며,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는 상기 승인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는 상기 승인 수준을 참조로 하여 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ii) 프로세스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서명값의 서명을 검증함으로써 상기 서버 인증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 프로세스 후에,
    (iii0-a)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ii0-b)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의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34. 제33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 상기 트랜잭션은, (i) 특정 서버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서버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i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i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트랜잭션들 중의 하나임 - 의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트랜잭션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35.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 적어도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에 전달하는 프로세스, (ii)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iii)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v)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가 획득되고,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라면,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i) 상기 임시 ID 및 (ii)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인증서인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공개키에 의하여 인코딩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며,
    상기 (ii)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하여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로부터 상기 가변 인증값을 획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 인증값을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iii) 프로세스는,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38.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2 애플리케이션의 인증서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해시값들 중 적어도 하나임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실행되는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로그인의 대행을 요청하는 정보인 인증 리다이렉션 요청(authentication redirection request)을 전달받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챌린지 개시 요청 정보에 응하여 가변 인증값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ii) 생성된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챌린지 개시 요청 응답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정보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가변 인증값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iii)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한 값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챌린지 요청 응답 정보 및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하여 획득된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세스, 및 (iv)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한지 여부를 포함하는 인증 결과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하여금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가 유효함을 나타내는 인증 성공 메시지인 경우에 임시 ID(temporary ID)를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전달된 상기 임시 ID 및 상기 인증 성공 메시지에 포함된 접근 토큰(access toke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로그인을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이 추가로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소정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는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ii) 프로세스 후에,
    (iv0-a) 상기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을 인증 결과 트랜잭션으로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iv0-b)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인 특정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웃 해시값 - 상기 이웃 해시값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의 해시값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의 해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이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위치 정보인 트랜잭션 ID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40. 제39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periodically) 또는 무결성 검증 요청에 응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 상기 트랜잭션은, (i)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의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증서 등록 트랜잭션 및 (ii) 특정 인증 결과 메시지 또는 이를 가공한 값인 특정 인증 결과 트랜잭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의 해시값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웃 해시값을 함께 해시 연산함으로써 생성되는 제1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1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을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제2 대표 해시값 또는 상기 제2 대표 해시값을 가공한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트랜잭션의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하거나 상기 인증 서버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검증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KR1020170019771A 2017-02-14 2017-02-14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1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71A KR101816652B1 (ko) 2017-02-14 2017-02-14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CT/KR2018/000913 WO2018151426A1 (ko) 2017-02-14 2018-01-19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71A KR101816652B1 (ko) 2017-02-14 2017-02-14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652B1 true KR101816652B1 (ko) 2018-01-09

Family

ID=6100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771A KR101816652B1 (ko) 2017-02-14 2017-02-14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6652B1 (ko)
WO (1) WO20181514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551A (ko) * 2018-03-09 2019-09-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14421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90114424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8981B (zh) * 2018-11-20 2019-06-21 太原理工大学 基于位置信号特征共识的Wi-Fi接入认证方法
CN115189884A (zh) * 2019-09-03 2022-10-14 杭州趣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联盟区块链的具有匿名性的多级签名方法
US11296872B2 (en) 2019-11-07 2022-04-05 Micron Technology, Inc. Delegation of cryptographic key to a memory sub-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4B1 (ko) 2016-03-02 2016-06-08 (주)케이스마텍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간편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61933B1 (ko) 2015-12-16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3690B2 (en) * 2003-06-27 2007-12-25 Microsoft Corporation Three way validation and authentication of boot files transmitted from server to client
WO2005070116A2 (en) * 2004-01-09 2005-08-04 Corestreet, Ltd. Communication-efficient real time credentials for ocsp and distributed ocsp
KR102139162B1 (ko) * 2013-03-08 2020-08-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간의 신뢰관계 획득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33B1 (ko) 2015-12-16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KR101628004B1 (ko) 2016-03-02 2016-06-08 (주)케이스마텍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간편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551A (ko) * 2018-03-09 2019-09-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0497B1 (ko) * 2018-03-09 2023-02-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14421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90114424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216285B1 (ko) 2018-03-30 2021-02-1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216305B1 (ko) 2018-03-30 2021-02-1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로그인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426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53B1 (ko) 스마트 컨트랙트 및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16651B1 (ko) Utxo 기반 프로토콜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0783260B2 (en) Method for providing simplified account registration service and user authentication service, and authentication server using same
KR101816652B1 (ko)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1210661B2 (en)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gateway service using UTXO-based protocol and server using same
KR101849917B1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0924285B2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notary service with respect to file and verifying file recorded by the notary service
KR101849912B1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0235538B2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notary service for file and verifying file recorded by notary service
KR20230163971A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1863677B2 (en) Security token validation
KR20230163970A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A3054624A1 (en) Managing third-party access to confidential data using dynamically generated application-specific credentials
KR101849920B1 (ko)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m of n 다중 서명에 의한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041050A (ko)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m of n 다중 서명에 의한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De Salve et al. AlgoID: a blockchain reliant Self-Sovereign Identity framework on Algorand
WO2021073383A1 (zh) 一种用户注册方法、用户登录方法及对应装置
KR20200112769A (ko) 블록체인 기반의 권한 인증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17478418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系统管理商数据交易方法及系统
KR20180041053A (ko)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m of n 다중 서명에 의한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