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550B1 -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550B1
KR101816550B1 KR1020160084540A KR20160084540A KR101816550B1 KR 101816550 B1 KR101816550 B1 KR 101816550B1 KR 1020160084540 A KR1020160084540 A KR 1020160084540A KR 20160084540 A KR20160084540 A KR 20160084540A KR 101816550 B1 KR101816550 B1 KR 10181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frame
carrier
impregnated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김주호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8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와, 다른 화장료가 담긴 담지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담지부재는 하부에 방수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 상부에 형성된 다른 화장료가 담지된 담지체와, 상기 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분리손잡이를 구비한 상,하부실링지로 마감하되, 상기 방수층과 담지체에 함침부재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하부실링지를 떼어낸 후 프레임을 함침부재 상단에 올려놓고 퍼프로 프레임 내에 담지체를 가압하게 되면 함침부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관통공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와 서로 섞이면서 동시에 퍼프에 묻혀질 수 있도록 하여 두 가지 화장료를 한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은 화장료가 함침되는 함침부재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와, 상기 화장품용기와 별도로 구비되며, 사용 시 상기 함침부재에 얹혀지는 담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담지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방수층과,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 상부에 형성되며 다른 화장료가 담지되는 담지체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층에는 방수층관통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Cosmetic having a carrying member impregnated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와, 다른 화장료가 담긴 담지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담지부재는 하부에 방수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 상부에 형성된 다른 화장료가 담지된 담지체와, 상기 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분리손잡이를 구비한 상,하부실링지로 마감하되, 상기 방수층과 담지체에 함침부재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하부실링지를 떼어낸 후 프레임을 함침부재 상단에 올려놓고 퍼프로 프레임 내에 담지체를 가압하게 되면 함침부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관통공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와 서로 섞이면서 동시에 퍼프에 묻혀질 수 있도록 하여 두 가지 화장료를 한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계면활성제와 같은 유화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형의 화장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유상원료와 수상원료의 결합구조에 따른 유중수형과 수중유형의 화장료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는 수상원료 외측에 유상원료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유분감이 많아 피부 흡수가 느리고 사용감이 무겁지만 수중유형보다 지속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지속성이 필요한 화장품의 경우 땀이나 물에 대한 내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중수형 화장료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의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이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점도를 낮추어 제조하였는데 상기 저점도 유중수형 제품은 유통 중 용기 내에서 장기간 보관 시 내상인 수상원료와 외상인 유상원료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가 용기를 흔들어서 분리된 수상원료와 유상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59877호를 개시하여 저점도 유중수형 내용물을 함침부재(1)에 함침시켜 콤팩트 용기에 넣은 제품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함침부재(1)가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한 가지 화장료만 함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두 가지 화장료를 동시에 사용하고 싶을때에는 다른 화장품을 별도로 구비하여 섞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와, 다른 화장료가 담긴 담지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담지부재는 하부에 방수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 상부에 형성된 다른 화장료가 담지된 담지체와, 상기 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분리손잡이를 구비한 상,하부실링지로 마감하되, 상기 방수층과 담지체에 함침부재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하부실링지를 떼어낸 후 프레임을 함침부재 상단에 올려놓고 퍼프로 프레임 내에 담지체를 가압하게 되면 함침부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관통공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와 서로 섞이면서 동시에 퍼프에 묻혀질 수 있도록 하여 두 가지 화장료를 한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은 퍼프로 담지체를 가압했을 때 담지체에 담지된 다른 화장료가 함침부재에 함침된 화장료와 섞이지 않도록 하여, 함침부재의 화장료의 성상에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실링지 일측에 절개선을 형성한 고정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고정손잡이를 잡고 상부실링지를 떼어내면 고정손잡이는 프레임에 그대로 붙어 있으므로, 담지부재를 함침부재에 올려놓거나 제거할 때 고정손잡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과 함침부재에 직접적으로 손이 닿지 않아 청결하고 위생적인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장료가 함침되는 함침부재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와;
상기 화장품용기와 별도로 구비되며, 사용 시 상기 함침부재에 얹혀지는 담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담지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방수층과,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 상부에 형성되며 다른 화장료가 담지되는 담지체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층에는 방수층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실링지와 하부실링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외경은 함침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지체에는 담지체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지체는 부직포(不織布) 또는 합성섬유, 스펀지, 펄프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실링지에는 각각 상부분리손잡이와 하부분리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실링지 중 어느 하나에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손잡이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손잡이와 인접하여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은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와, 다른 화장료가 담긴 담지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담지부재는 하부에 방수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 상부에 형성된 다른 화장료가 담지된 담지체와, 상기 프레임 상부와 하부에 분리손잡이를 구비한 상,하부실링지로 마감하되, 상기 방수층과 담지체에 함침부재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상,하부실링지를 떼어낸 후 프레임을 함침부재 상단에 올려놓고 퍼프로 프레임 내에 담지체를 가압하게 되면 함침부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관통공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담지체에 담지된 화장료와 서로 섞이면서 동시에 퍼프에 묻혀질 수 있도록 하여 두 가지 화장료를 한번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은 퍼프로 담지체를 가압했을 때 담지체에 담지된 다른 화장료가 함침부재에 함침된 화장료와 섞이지 않도록 하여, 함침부재의 화장료의 성상에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실링지 일측에 절개선을 형성한 고정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고정손잡이를 잡고 상부실링지를 떼어내면 고정손잡이는 프레임에 그대로 붙어 있으므로, 담지부재를 함침부재에 올려놓거나 제거할 때 고정손잡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과 함침부재에 직접적으로 손이 닿지 않아 청결하고 위생적인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하부실링지를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상부실링지를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c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하부실링지와 상부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화장품용기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화장품용기에 장착한 후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취하는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하부실링지를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상부실링지를 제거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c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하부실링지와 상부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화장품용기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화장품용기에 장착한 후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취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은 화장료가 함침되는 함침부재(20)를 내장한 화장품용기(10)와, 상기 화장품용기(10)와 별도로 구비되며, 사용 시 상기 함침부재(20)에 얹혀지는 담지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담지부재(30)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형성된 방수층(32)과, 상기 프레임(31)의 방수층(32) 상부에 형성되며 다른 화장료가 담지되는 담지체(33)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층(32)에는 방수층관통공(321)이 형성된다.
상기 화장품용기(10)는 용기본체(11)와 상기 용기본체(11)에 결합되는 용기뚜껑(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1)에는 함침부재(20)가 장착되며, 상기 함침부재(20)에는 화장료가 함침된다.
상기 함침부재(20)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RSBR(Nate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뚜껑(12)은 용기본체(11)에 힌지 결합되거나 스크류 결합 또는 언더컷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용기(10)와 별도로 담지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담지부재(30)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형성된 방수층(32)과, 상기 프레임(31)의 방수층(32) 상부에 형성되며 다른 화장료가 담지되는 담지체(33)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1)은 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31)의 외경은 함침부재(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화장품용기(10)에 장착된 함침부재(20) 위에 얹혀질 수 있다.
상기 방수층(32)은 담지체(33)에 담지된 다른 화장료가 함침부재(20)에 함침된 화장료와 섞이지 않도록 방수 재질로 형성되며, 방수층관통공(321)이 형성된다.
상기 방수층관통공(321)은 함침부재(20)에 함침된 화장료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층관통공(321)을 통해서만 함침부재(20)에 함침된 화장료가 배출되기 때문에 담지체(33)에 담지된 화장료가 힘침부재(20)에 유입되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수층(32)의 상부에는 담지체(33)가 위치한다.
상기 담지체(33)는 부직포(不織布)와 같은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화장료를 용이하게 담지시킬 수 있다.
상기 담지체(33)의 재질은 화장료를 담지시킬 수 있는 합성섬유, 스펀지, 펄프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담지체(33)에 담지되는 화장료는 함침부재(20)에 함침되는 화장료와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담지되며, 일반적으로 기능성을 갖는 화장료가 담지될 수 있다.
상기 담지체(33)에 기능성을 갖는 화장료를 담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화장료가 담지된 담지체(33)를 사용하기 직전에 화장품용기(10)의 함침부재(20) 위에 올려놓고 두 가지 화장료를 동시에 혼합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지체(33)에는 담지체관통공(3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담지체관통공(331)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지체(33)가 함침부재(20)의 상면에 놓여질 때, 방수층(32)의 방수층관통공(321)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함침부재(20)에 함침된 화장료가 용이하게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 담지체(33)에는 담지체관통공(331)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담지체(33)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함침부재(20)의 화장료가 담지체(33)를 통과하여 담지체(33) 내의 화장료와 혼합되면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지부재(30)의 프레임(31) 상부와 하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실링지(34)와 하부실링지(35)가 부착된다.
상기 상,하부실링지(34,35)는 담지체(33)에 담지된 화장료가 증발 또는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부실링지(34,35)에는 각각 상부분리손잡이(341)와 하부분리손잡이(351)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분리손잡이(341,351)는 상,하부실링지(34,35)를 제거할 때,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상,하부실링지(34,35) 중 어느 하나에는 담지부재(30)의 프레임(31)에 고정되는 고정손잡이(342)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손잡이(342)와 인접하여 절개선(34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손잡이(34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접하게 절개선(343)이 형성되어 상,하부실링지(34,35)를 제거할 때, 상기 절개선(343)에 의해 프레임(31)의 일측에 그대로 붙어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담지부재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의 담지부재(30)를 조립하기 위해 방수층관통공(321)이 형성된 방수층(32)의 아래쪽에 하부분리손잡이(351)가 형성된 하부실링지(35)를 프레임(31)에 접합한다.
이후, 상기 방수층(32)의 상부에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33)를 위치시키되, 상기 담지체(33)에는 담지체관통공(3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31)의 위쪽에 상부분리손잡이(341)가 형성된 상부실링지(34)를 접합하되, 상기 상부실링지(34)의 일측에는 절개선(343)이 형성된 고정손잡이(342)가 형성된다.
한편, 화장품용기(10)는 용기본체(11) 내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20)를 내장하고, 상기 용기본체(11)에 용기뚜껑(12)을 결합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지부재(30)의 하부실링지(35)를 제거한 다음,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실링지(34)를 제거하면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고정손잡이(342)가 남게 된다.
상기 고정손잡이(342)는 사용자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지부재(30)를 함침부재(20)에 올려놓거나 제거할 때 고정손잡이(342)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31)과 함침부재(20)에 직접적으로 손이 닿지 않아 청결하고 위생적인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퍼프(P)로 프레임(31) 내에 담지체(33)를 가압하게 되면 함침부재(20)에 함침된 화장료가 방수층관통공(321)과 담지체관통공(331)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담지체(33)에 담지된 화장료와 서로 섞이면서 동시에 퍼프(P)에 묻혀질 수 있도록 하여 두 가지 화장료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화장품용기 20:함침부재
30:담지부재 31:프레임
32:방수층 33:담지체
34:상부실링지 35:하부실링지

Claims (13)

  1. 화장료가 함침되는 함침부재를 내장한 화장품용기와;
    상기 화장품용기와 별도로 구비되며, 사용 시 상기 함침부재에 얹혀지는 담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담지부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방수층과, 상기 프레임의 방수층 상부에 형성되며 다른 화장료가 담지되는 담지체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층에는 방수층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실링지와 하부실링지가 부착되며, 상기 상,하부실링지 중 어느하나에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화장료가 담지되는 담지체;로 구성되되,
    상기 방수층에는 방수층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담지체에는 담지체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실링지와 하부실링지가 부착되며, 상기 상,하부실링지 중 어느하나에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3.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화장료가 담지되는 담지체;로 구성되되,
    상기 방수층에는 방수층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실링지와 하부실링지가 부착되며, 상기 상,하부실링지 중 어느하나에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손잡이에는 인접하여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손잡이에는 인접하여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KR1020160084540A 2016-07-05 2016-07-05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KR10181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40A KR101816550B1 (ko) 2016-07-05 2016-07-05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540A KR101816550B1 (ko) 2016-07-05 2016-07-05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77A Division KR101866185B1 (ko) 2017-09-11 2017-09-11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550B1 true KR101816550B1 (ko) 2018-02-22

Family

ID=6138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540A KR101816550B1 (ko) 2016-07-05 2016-07-05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5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466854B1 (ko) * 2014-07-02 2014-11-28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캡슐 화장품 리필구조 및 에어 타이트 기능을 갖는 콤팩트 케이스
KR101476314B1 (ko) * 2013-08-16 2014-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476314B1 (ko) * 2013-08-16 2014-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KR101466854B1 (ko) * 2014-07-02 2014-11-28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캡슐 화장품 리필구조 및 에어 타이트 기능을 갖는 콤팩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967Y1 (ko)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70136048A (ko)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EP3260109B1 (en) Cosmetic product having impregnation member embossed and engraved by melting surface
KR101584402B1 (ko) 화장품 용기
KR101849536B1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JP2016534808A (ja) ゲル状内容物の残量防止が容易なファウンデーション容器
US10687599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cosmetic material storage groove in impregnation member
KR20180012071A (ko) 화장용 퍼프
KR101713592B1 (ko) 돌기가 형성된 배출판과 용기본체를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1816550B1 (ko)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KR101866185B1 (ko) 화장료가 함침된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
KR20140006439U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KR101896282B1 (ko) 화장도구에 의해 용기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KR101734173B1 (ko) 다른 종류의 화장료가 충전된 함침부재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101703702B1 (ko)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료 도포용 어플리케이터
KR101816555B1 (ko) 내용기뚜껑이 자동 개방되는 콤팩트용기
KR101886138B1 (ko) 화장료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03705B1 (ko) 체크밸브를 갖는 이동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WO2014142480A1 (ko) 돔형태 또는 아치형 형태의 습식폴리우레탄스펀지를 장착한 액상 화장용기
KR102005788B1 (ko) 편리성이 증대된 추가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6332762B2 (ja) 二つの化粧料が受容されるコンパクト容器
KR102007821B1 (ko) 이동 가능한 메쉬망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70006479A (ko) 화장품 용기
KR20190048536A (ko) 함침부재와 도포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80053139A (ko) 용기뚜껑의 들림현상을 방지하는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