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398B1 -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398B1
KR101816398B1 KR1020160055267A KR20160055267A KR101816398B1 KR 101816398 B1 KR101816398 B1 KR 101816398B1 KR 1020160055267 A KR1020160055267 A KR 1020160055267A KR 20160055267 A KR20160055267 A KR 20160055267A KR 101816398 B1 KR101816398 B1 KR 10181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se
layer
base layer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5213A (en
Inventor
윤승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398B1/en
Publication of KR2017012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2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7/1216
    • C09D7/1233
    • C09D7/12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2/00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8/00Polyesters

Abstract

본 발명은 중도층, 베이스코트층 및 클리어코트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층도막으로서, 상기 베이스코트층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의 베이스코트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흑색도를 만족시키면서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 base coat layer comprises a first base layer comprising a black pigment and a first base layer comprising a glass flake and a second base layer on the first base layer, And a second base layer including a first base layer and a second base layer.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layered base coat layer including a first base layer including a black pigment and a second base layer includ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eeling of the particle and the layer separation while satisfying the excellent blackness.

Description

자동차용 다층도막 및 이의 제조방법{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coating film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다층도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코트층으로서,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다층도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coating film for automob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coating film for automobiles, which comprises a first base layer containing a black pigment and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통상적인 자동차 외장 도막은 다층도막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도층, 베이스코트층 및 클리어코트층으로 구성된다. A typical automotive exterior coating film is composed of a multi-layer coating film and is generally composed of a middle layer, a base coat layer and a clear coat layer as shown in Fig.

현재 자동차 시장에서 블랙 색상은 시장 점유율의 약 20% 이상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 시장에 적용 중인 블랙 색상은 입자감이 없는 순수 블랙과 입자감을 발현하는 블랙 2종이 있다.In the automotive market, black color accounts for more than 20% of the market share. In the automotive market, black color is pure black with no particles and 2 blacks with a particle feel.

현재, 자동차 도료의 베이스코트층의 블랙 색상을 구현하는 안료로는 카본블랙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At present, carbon black is widely used as a pigment which realizes black color of the base coat layer of an automobile paint.

카본블랙은 석유 또는 석탄 등의 화석연료나 나무 등이 불완전 연소할 때 생기는 물질로, 대기중의 열 및 태양의 자외선 영역에서 원적외선 영역, 즉 태양 적외선 및 열 방사선에 이르는 파장을 갖는 빛을 흡수한다. Carbon black is a substance produced when fossil fuels such as petroleum or coal or wood burns incompletely and absorbs heat in the air and light having a wavelength ranging from the ultraviolet region of the sun to the far infrared region, that is, the sun infrared ray and heat radiation .

일반적으로 카본블랙을 적용한 블랙 안료의 태양광 흡수율은 95% 이상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자동차 도막에 혼합된 카본블랙은 적외선을 흡수하여 도막의 온도 상승을 유발하고, 상승된 도막 온도로 인해 차체 및 차 내부로 열 전달이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차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In general, the solar absorption rate of a black pigment to which carbon black is applied is measured to be 95% or more.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the carbon black mixed in the automobile coating absorbs the infrared rays to cause the temperature of the coating to rise, and the increased coating film temperature can transfer heat to the inside of the car and the car,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한편, 입자감을 발현하는 안료로는 예를 들어, 마이카(MICA) 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 등이 있으며, 상기 안료들은 순수 블랙 안료와 혼합하여 투입됨으로써 입자감을 부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the pigment that expresses the particle feel include mica (MICA) or aluminum flake, and the pigments can be mixed with a pure black pigment and added to give a particle feel.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자감 상승을 위하여 중도층의 일면에 순수 블랙 안료 및 상기 입자감을 발현하는 안료를 혼합하여 베이스코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코트층 상에 클리어코트층을 도장함으로써 다층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입자감을 발현하는 안료의 양이 많으면 흑색도가 저하되어 다크 크레이(dark gray) 색상으로 보일 수 있고, 입자감을 발현하는 안료의 양이 너무 적으면 입자감이 저하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a base coat layer is formed by mixing a pure black pigment and a pigment expressing the particle feeling on on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yer to increase the feel of the particles, and a clear coat layer is coated on the base coat layer, A coating film can be formed.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the pigment expressing the graininess is large, the blackness is lowered and can be seen as a dark gray color, and if the amount of the pigment expressing the graininess is too small, the graininess may be lowered.

또한, 입자감을 발현하는 안료를 순수 블랙 안료와 혼합하여 도장하는 경우, 도막의 층분리감을 저해하여 도막이 얇아 보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자동차의 고급감이 떨어져 보이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 pigment that expresses a particle sensation is mixed with a pure black pigment and coating, the layer separation sensation of the coating film is inhibited and the coating film may appear thin,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automobile.

따라서, 우수한 흑색도를 유지하면서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랙 색상의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막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ating film for automobiles that includes a black color coating composi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feeling of particles and the layer separation while maintaining an excellent blacknes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6884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68842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우수한 흑색도를 만족시키면서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도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ating film which can further improve the sensation of granularity and layer separation while satisfying excellent blackness.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도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ating fil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도층, 베이스코트층 및 클리어코트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층도막으로서, 상기 베이스코트층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ayer coating film in which a middle layer, a base coat layer and a clear coat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wherein the base coat layer comprises a first base layer including a black pigment, And a second base layer includ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또한, 본 발명은 중도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중도층 상에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제1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제2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클리어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forming a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first base layer by coating a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black pigment on the intermediate layer formed by coating the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Coating a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to form a second base layer; And coating a clear coat paint composition on the second base layer to form a clear coat lay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의 베이스코트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흑색도를 만족시키면서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layered base coat layer including a first base layer including a black pigment and a second base layer includ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eeling of the particle and the layer separation while satisfying the excellent blacknes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비교예 1의 도막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 2의 도막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도막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도막의 빛의 반사에 따른 입자감 발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도막의 빛이 없는 측면의 층분리감 발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막에 포함되는 카본블랙의 함량에 따른 흑색도(MF)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글래스 플레이크의 함량에 따른 흑색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sectional view of a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2 is a sectional view of a coating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ating film of Examp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particles due to reflection of light of a coating film of Examp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ormation of a silane-decomposing layer on the side of light of Examp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blackness (MF) according to the content of carbon black contained in the coating film.
7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blacknes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glass flakes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막은 중도층, 베이스코트층 및 클리어코트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층도막으로서, 상기 베이스코트층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coating film in which a middle layer, a base coat layer, and a clear coat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wherein the base coat layer comprises a first base layer including a black pigment and a glass flake and a second base layer including a glass fla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의 베이스코트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흑색도를 만족시키면서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layered base coat layer including a first base layer including a black pigment and a second base layer includ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eeling of the particle and the layer separation while satisfying the excellent blackn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도층(10), 베이스코트층(20,25)으로서 제1 베이스층(20)과 제2 베이스층(25) 및 클리어코트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층도막이다.3 to 5, a coated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ddle layer 10, a base coat layer 20, and a first base layer 20 as a base coat layer 20, 25 and a clearcoat layer 30 are sequentially laminat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코트층(20,25)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2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ase coat layer 20, 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layer 20 including a black pigment.

상기 제1 베이스층은 순수 블랙층으로서, 상기 제1 베이스층에 포함되는 블랙 안료는 입자감 없이 순수한 블랙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카본블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층은 상기 블랙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블랙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may be a pure black layer, and the black pigment included in the first base layer may include carbon black capable of exhibiting a pure black color without a graininess. The first base layer can realize excellent black color by including the black pigment.

또한, 상기 제1 베이스층은 상기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층으로서, 상기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은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블랙 안료 0.5 중량% 내지 10 중량%, 고분자 수지 1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계 첨가제 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4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first base layer is a layer to which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black pigment is applied, wherei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es from 0.5 wt% to 10 wt% of a black pigm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10 to 50% by weight of a polymer resin, 0.5 to 5% by weight of an acrylic additive, and 40 to 85% by weight of a solv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위의 함량을 갖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얻는 경우, 최적의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흑색도 및 우수한 물성을 갖는 도막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tent is obtained, an optimum workability can be secured, and a coating film having blackness and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can be obtained.

구체적으로 상기 블랙 안료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중량% 내지 2.4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lack pigment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0.5 to 6%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5.5% by weight, most preferably 1.2 to 2.4%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블랙 안료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안료의 뭉침 현상이 증가하여 우수한 흑색도를 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감 발현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랙 안료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흑색도가 감소할 수 있다.I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if the black pigment exceeds the above range, aggregation of the pigments may increase, which may be difficult to exhibit excellent blackness, and may also result in deterioration of particle feel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black pigm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blackness may decrease.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두께는 7 내지 12 ㎛,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입자감 발현성이 저하될 수 있고, 두께가 너무 얇으면 흑색도가 감소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may be 7 to 12 占 퐉, preferably 7 to 10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is too large, the granularity development may be deteriorated. If the thickness is too thin, the blackness may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코트층은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25)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se coat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base layer 25 including a glass flake.

상기 제2 베이스층은 투과층으로서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econd base layer may serve as a permeable layer to improve the sense of granularity and layer sepa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상기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과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흑색도를 유지하면서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first base layer including the black pigment and the second base layer including the glass flake to improve the feel and feel of the layer while maintaining excellent blackness have.

상기 글래스 플레이크는 입자감을 발현하는 안료인 마이카(MICA) 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 대비 빛의 투과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마이카 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으로 이루어진 이중층의 베이스코트층을 형성한다 할지라도, 마이카 또는 알루미늄 플레이크 대비 본원 발명의 구성인 글래스 플레이크의 투과성이 높아 더 많은 빛이 순수 블랙층까지 도달할 수 있어 흑색도 발현에 더 유리할 수 있다.The glass flake may have better light transmittance than Mica (MICA) or aluminum flake which expresses the particle feel. Layer base coat layer consisting of a first base layer comprising, for example, a black pigment and a second base layer comprising a mica or an aluminum flake, the glass flake, which is a constitu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ve to a mica or aluminum flake, So that more light can reach the pure black layer and thus blackness can be more advantageous for the express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25)을 제1 베이스층(20) 및 클리어코트층(30)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도막에 입사(入射) 되는 빛을 더욱 산란 시킬 수 있으며, 빛이 비춰지는 부위에 입자감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투과율을 향상시켜서 빛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또한 확대경 역할을 하여 도료 내에 포함된 블랙 안료 입자가 뚜렷하게 보일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도장된 도막의 색상을 더욱 선명하고 깊게 만들 수 있다. 4, a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layer 20 and a clear coat layer 30, which are formed by placing a second base layer 25 including a glass flake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0 and the clearcoat layer 30, The light incident on the coating film can be further scattered, and the particle feel can be generated at the portion where the light is projected. In addition, the transmittance is improved to reduce the loss of light, and the black pigment particles included in the coating can be clearly seen as a magnifying glass, resulting in a sharper and deeper color of the coated film.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이 없는 경우 블랙 색상이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층분리감을 발현할 수 있으며, 블랙 색상을 더욱 선명하고 깊게 만듦으로써 차량의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develop a feeling of layer separation in which the black color appears to be distant when there is no light, and the quality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black color sharper and deeper.

또한, 글래스 플레이크의 글래스 타입은 A 글래스, C 글래스 또는 E 글래스 모두 사용할 수 있다. A 글래스는 소다-라임 글래스이고 칼륨보다는 나트륨이 좀더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이산화칼슘도 포함될 수 있다. C 글래스 또는 소위 케미칼 글래스는 산과 수분에 의한 부식에 내성이 있다. 대개 산화아연 및 기타 산화물이 포함되어 있다. E 글래스 또는 전기 글래스는 그 이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 응용 분야에 이용될 수 있으며, 고온에서 매우 안정하긴 하지만, 화학적 손상을 쉽게 받을 수 있다. C 글래스 및 A와 E 글래스는 화학 조성에 대하여 넓은 범위를 가진다.In addition, the glass type of the glass flake can be used in either A glass, C glass or E glass. A glass is soda-lime glass, which contains more sodium than potassium and calcium dioxide. C glass or so-called chemical glass is resistant to acid and moisture corrosion. It usually contains zinc oxide and other oxides. E-glass or electric glass can be used in electrical applications, as the name suggests, and can be easily subjected to chemical damage, although very stable at high temperatures. C glass and A and E glasses have a wide range of chemical composition.

상기 제2 베이스층에 포함되는 글래스 플레이크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35 ㎛이고, 두께는 5 ㎛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4 ㎛ 인 판상체일 수 있다.The glass flakes contained in the second base layer preferably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 to 50 탆, preferably 5 to 40 탆, more preferably 10 to 35 탆, and a thickness of 5 탆 or less, And may be a plate having a diameter of 0.5 to 4 탆.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크는 예를 들면 평균 입자크기가 약 30㎛인 NSG社 TITANIA COAT RS1030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flakes may use, for example, TITANIA COAT RS1030 manufactured by NSG,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30 μ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베이스층은 카본블랙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도막은 글래스 플레이크가 블랙 안료와 분리되어 있음으로 소량으로도 입자감 발현 효과 및 층분리감 발현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ase layer does not include carbon black. That is, since the glass flak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lack pigment, the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ect of exhibiting the graininess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separation of the layer even in a small amount.

상기 제2 베이스층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층으로서, 상기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은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글래스 플래이크 0.05 중량% 내지 5 중량%, 고분자 수지 1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계 첨가제 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4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econd base layer is a layer applied with a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glass flake, wherein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es 0.05 to 5% by weight of glass flake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10 to 50% by weight of the polymer resin, 0.5 to 5% by weight of the acrylic additive, and 40 to 85% by weight of the solv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위의 함량을 갖는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얻는 경우, 최적의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우수한 흑색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입자감 및 층분리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tent is obtained, optimum workability can be ensured and excellent particle feel and layer separation sensation effect can be achieved while maintaining excellent blackness have.

구체적으로 상기 글래스 플래이크는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3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2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17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lass flake preferably comprises 0.05 to 3% by weight, more preferably 0.05 to 2% by weight, most preferably 0.05 to 0.17%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As shown in FIG.

상기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크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흑색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흑색도가 양호할 수 있으나 입자감 효과 및 층분리감을 저해하여 도막이 얇아 보일 수 있고, 고급감이 떨어져 보이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In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the blackness may be reduced when the glass flakes are in the above range, and when the glass flakes are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blackness may be favorable, but the coating film may be thi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feeling of quality is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에 있어서, 블랙 안료 : 글래스 플레이크의 함량비는 중량비로서 1:0.02 내지 0.9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025 내지 0.85 중량비일 수 있으며, 상기 함량비를 갖는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우수한 흑색도를 유지하면서 최적의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달성할 수 있다.In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ratio of black pigment to glass flake may be 1: 0.02 to 0.9 weight ratio, preferably 1: 0.025 to 0.85 weight ratio, , It is possible to achieve an optimal feeling of graininess and layer separation while maintaining the excellent blackness des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두께는 2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상기 두께 범위의 제2 베이스층을 가짐으로써, 빛이 제1 베이스층의 순수 블랙층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입자감 및 층분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흑색도가 감소할 수 있고, 두께가 너무 얇으면 입자감 발현성 및 층분리감이 저하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may be 2 to 5 占 퐉, preferably 3 to 4 占 퐉. The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econd base layer in the thickness range, so that the light can reach the pure black layer of the first base layer and improve the sense of granularity and layer separation.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is too thick, the degree of blackness can be reduced. If the thickness is too thin, the granularity and layer separation can be deterior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코트층, 즉 제1 베이스층 및 제2 베이스층에 포함되는 고분자 수지, 아크릴계 첨가제 및 용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resin, the acrylic additive and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base coat layer, that is,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Materials common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및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olymer resin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ic resin, a polyester resin, and melamine formaldehyd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아크릴 수지는 주수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10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가 10 중량% 미만인 경우 도막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의 고분자 수지 첨가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rylic resin may be included as a main resin, and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in an amount of about 10% by weight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respectively. If the acrylic resin is less than 10% by weight,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may be deteriorated. If the acrylic resin is more than 20% by weight,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by adding an excess amount of the polymer resin.

또한, 폴리에스터 수지는 평활성을 향상시키고, 중도층과의 부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보조수지로서,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3 중량%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수지가 3 중량% 미만인 경우 중도층과의 부착성 저하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Further, the polyester resin is an auxiliary resin added to improve the smoothness and to enhance the adhesion to the intermediate layer, wherei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each contain about 3 wt% By weight to 8% by weight. If the amount of the polyester resin is less than 3% by weight,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adhesion with the intermediate layer may occur, and if it exceeds 8% by weight,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may be deteriorated.

한편, 상기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는 경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갖는 종류의 경화제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lamine formaldehyde can be used as a curing agent, and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 curing agent of a kind having an effect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melamine formaldehyde, or can be used in admixture with the melamine formaldehyde.

또한,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2 중량%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가 2 중량% 미만인 경우 경화 반응성 저하로 도막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6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lamine formaldehyde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respectively, in an amount of about 2% to 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melamine formaldehyde is less than 2% by weigh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lowering of the curing reactivity, and when it exceeds 6%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may be lowered.

한편, 상기 아크릴계 첨가제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실리콘 변성 아크릴계 화합물 및 아크릴계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Meanwhile, the acrylic additiv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ic copolymer, a silicone-modified acrylic compound and an acrylic derivativ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는 도료의 핀홀 방지를 위해 첨가되는 핀홀 방지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코폴리머의 양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핀홀 발생 억제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외관에 있어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The acrylic copolymer may serve as a pinhole inhibitor added to prevent pinholes in the paint.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s may contain 1 wt% to 2 wt% %. ≪ / RTI > If the amount of the acrylic copolymer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pinhole generation inhibiting performance may deteriorate, and if it exceeds 2% by weight, the quality may deteriorate in appearance.

상기 실리콘 변성 아크릴계 화합물은 도료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조정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변성 아크릴계 화합물의 양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도료의 평활성이 저하될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층간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silicone-modified acrylic compound may serve as a surface conditioner for improving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material. Preferably,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may each contain 1 wt% to 2 wt% %. ≪ / RTI > If the amount of the silicone-modified acrylic compound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smoothness of the coating may be lowered. If the amount of the silicone-modified acrylic compound exceeds 2% by weight, the adhesion between the layers may be deteriorated.

상기 아크릴계 유도체는 도료의 흐름을 방지하는 흐름 방지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유도체가 0.1 중량% 미만인 경우 도료의 흐름 방지성능(SAG)이 저하될 수 있고,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료의 평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acrylic derivative may serve as a flow inhibitor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paint. Preferably,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each contain 0.1 to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 / RTI > If the acrylic derivative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anti-flow performance (SAG) of the paint may be lowered, and if it exceeds 1% by weight, the smoothness of the paint may decrease.

또한, 상기 용제는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용제 및 글리콜계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vent may serve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painting, and the kin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solv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Specifically, the solven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based solvent and a glycol-based solvent,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상기 용제는 탈이온수, 증류수 또는 순수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solvent may include deionized water, distilled water, or pure water.

또한, 상기 알코올계 용제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사놀,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 알코올류를 사용할 수 있다. The alcohol-based solven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anol, propanol, butanol, hexanol, cyclohexanol, ethylene glycol, and glycerin, or a mixed alcohol of two or more thereof.

또한, 상기 글리콜계 용제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또는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또는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또는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glycol-based solvent include ethylene glycol monoalkyl ether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and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di Diethylene glycol dialkyl ethers such as ethyl ether, diethylene glycol dipropyl ether or diethylene glycol dibutyl ether, ethylene glycol alkyl ether acetates such as methyl cellosolve acetate or ethyl cellosolve acetate, or propylene glycol mono And alkylene glycol alkyl ether acetates such as methyl ether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and prop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acetate, and mixtures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상기 용제의 함량은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40 중량%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57 중량%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도료 조성물의 점도 상승으로 도장시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료 조성물의 점도 하락으로 도료의 흐름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solvent may be used i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in an amount of 40 wt% to 85 wt%, preferably 57 wt% to 8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composition, respectively. If 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rease, and the workabil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may deteriorate. If the content of the solv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may de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제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각각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증류수 40 중량% 내지 50 중량%, 알코올계 용제 7 중량% 내지 15 중량%, 및 글리콜계 용제 10 중량%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 최적의 도장의 작업성 및 점도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is added to the first basecoat composition and the second basecoat composition in an amount of 40 wt% to 50 wt% of distilled water, 7 wt% to 15 wt% of alcohol solvent, , And glycol solvent in an amount of 10% by weight to 15% by weight, the optimum workability and viscosity of the coating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도층(10), 베이스코트층(20) 및 클리어코트층(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forming the intermediate layer 10, the base coat layer 20, and the clear coat layer 30, as shown in FI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에 있어서, 중도층(10)은 평활성과 내칩핑성 및 광차단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베이스층(20) 및 제2 베이스층(25)을 포함하는 이중층의 베이스코트층은 자동차의 색상, 층분리감 및 입자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어코트층(30)은 평활성, 광택, 내후성 및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In the coating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layer 10 may impart smoothness, chipping resistance, and light diffusing property, and may include the first base layer 20 and the second base layer 25 The base coat layer of the double layer can impart color, layer separation feeling and particle feel to the automobile. Further, the clear coat layer 30 can impart smoothness, gloss, weather resistance, and durability.

구체적으로, 상기 중도층(10)은 본 발명에서 클리어코트층(30)과 베이스코트층(20, 25)을 투과한 적외선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도층에 도포되는 도료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성분들은 특별한 제한 없이 종류 및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layer 10 may serve to reflect infrared rays transmitted through the clear coat layer 30 and the base coat layers 20 and 2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composition to be applied to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a mid-coat composition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each component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by controlling the type and content thereof.

중도 도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료인 카본블랙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도층의 반사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굴절률이 높은 루타일 타입의 산화지단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루타일 타입의 산화지단은 중도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30 중량%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지단 안료로서 적용 가능한 제품의 예로는 DuPont사의 Ti-Pure R706, Ti-Pure R900, Kronos사의 Kronos1000 또는 Kronos1001 등을 들 수 있다. The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may contain, for example, carbon black, which is a conventionally used pigment, and a rutile type oxidation pigment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may be used to enhance the reflection effect of the intermediate layer. The rutile type oxidative branch is used in an amount of 5 to 30% by weight, preferably 10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Examples of products applicable as the oxidized pig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i-Pure R706, Ti-Pure R900 manufactured by DuPont, Kronos 1000 and Kronos 1001 manufactured by Kronos.

또한, 본 발명의 클리어코트층(30)은 베이스코트 도막면을 보호하며, 평활감 또는 광택감 등의 외관효과와 내후성, 내수성 또는 내화학성 등의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리어코트층에 도포되는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성분들은 특별한 제한 없이 종류 및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r coat lay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surface of the base coat film and can provide a durability such as an appearance effect such as smoothness or glossiness, weather resistance, water resistance, or chemical resistance. The clearcoat paint composition applied to the clearcoat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learcoat paint composition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and each component may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by controlling the kind and content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리어코트층의 태양광 반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알루미늄 입자 또는 마이카 입자 등의 광휘제를 더 사용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은 0.1~8 중량%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5~2 중량%가 적당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ightener such as aluminum particles or mica particles can be further used to maximize the sunlight reflecting effect of the clear coat layer. The content thereof is used in an amount of 0.1 to 8% by weight, preferably 0.5 To 2% by weight is suitable.

본 발명의 광휘제로서 적용 가능한 제품의 예로는 Eckart사의 STAPA30, Hydrolan 2192, Silberline사의 Sparkle Silver E2141, E 2992 또는 Merck사의 Iriodin 121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products applicable as the brighten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TAPA30, Hydrolan 2192 from Eckart, Sparkle Silver E2141 and E2992 from Silberline, and Iriodin 121 from Merck.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의 제조방법은, 중도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중도층 상에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제1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제2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클리어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ating film, comprising: coating a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black pigment on a center layer formed by coating a center coating composition to form a first base layer; Coating a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to form a second base layer; And coating a clear coat paint composition on the second base layer to form a clear coat layer.

또한, 상기 각 층은 도료 조성물을 도장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layers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ating and then drying the coating composition.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산화지단, 체질안료, 카본블랙, 광휘안료,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중도 도료 조성물을 전착 도막 위에 건조 도막의 두께가 25~35 ㎛이 되도록 도장(도장조건: 20℃ 상대습도 80%, 25℃ 상대습도 70%, 28℃ 상대습도 60%)한 후, 일반오븐에서 약 150℃에서 약 30분간 경화시켜 중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중도층 상에 상기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두께가 7 내지 12 ㎛가 되도록 도장(도장 조건: 20℃ 상대습도 80%, 25℃ 상대습도 70%, 28℃ 상대습도 60%)하여 제1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상기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두께가 2 내지 5㎛가 되도록 도장(도장 조건: 20℃ 상대습도 80%, 25℃ 상대습도 70%, 28℃ 상대습도 60%)하여 제2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온 조건에서 1~5분 방치한 후,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을 건조 도막의 두께가 25~ 35 ㎛이 되도록 도장(도장조건: 20℃ 상대습도 80%, 25℃ 상대습도 70%, 28℃ 상대습도 60%)한 후 일반 오븐에서 150℃에서 약 30분간 경화시켜 다층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oxidized lipid, extender pigment, carbon black, luminous pigment, resin and solvent is first applied on the electrodeposited coating film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dried coating film is 25 to 35 μm (coating condition: 20 ° C. relative Humidity of 80%, relative humidity of 25 DEG C of 70%, relative humidity of 28 DEG C of 60%) and then cured in a general oven at about 150 DEG C for about 30 minutes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was applied on the formed intermediate layer to a thickness of 7 to 12 占 퐉 (coating condition: 20 占 폚 relative humidity 80%, 25 占 폚 relative humidity 70%, 28 占 폚 relative humidity 60% Thereby forming a base layer. Then,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first base layer to a thickness of 2 to 5 占 퐉 (coating condition: 20 占 폚 relative humidity 80%, 25 占 폚 relative humidity 70%, 28 占 폚 relative humidity 60% ) To form a second base layer. Then, after leaving for 1 to 5 minutes under normal temperature conditions, the clearcoat paint composition was coated (coating condition: 20 DEG C, relative humidity 80%, 25 DEG C, relative humidity 70%, 28 Lt; 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0%) and then cured in a general oven at 150 DEG C for about 30 minutes to form a multilayer coating film.

상기 각 측의 도장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스핀 도장, 롤 도장, 딥도장 또는 스프레이 도장 등일 수 있다.The coating method on each s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spin coating, roll coating, dip coating, spray coating,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막은 상기 흑색도를 Lippok-Lohmer가 정립한 Mf값으로 표시하는 경우, 흑색도가 약 180 내지 200일 수 있다. 또한 입자감(SG)은 JIS Z8729(1994)에 규정된 수치에 근거하여 4 내지 5일 수 있다(측정 장비 : BYK사 BYK-MAC).The blackness of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bout 180 to 200 when the blackness is represented by the Mf value established by Lippok-Lohmer. Also, the SG may be 4 to 5 based on the numerical value defined in JIS Z8729 (1994) (Measuring equipment: BYK-MAC by BYK).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제1 베이스층 및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이중층의 도막 제조> <Preparation of the first coating film double layer comprising a base layer and second base layer>

실시예Example 1 :  One :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제조>&Lt; Preparation of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

하기 표 1과 같이,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안료로서 카본블랙 1.8 중량%, 수지로서 아크릴 주수지 16.2 중량%, 폴리에스터 보조수지 5.4 중량%,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경화제 3.6 중량%, 핀홀 방지제로서 아크릴코폴리머 1.82 중량%, 표면 조정제로서 실리콘 변성 아크릴 1.2 중량%, 흐름 방지제로서 아크릴 유도체 0.2 중량%, 용제로서 증류수, 알코올계 용매, 글리콜계 용매를 각각 47.2 중량%, 9.18 중량% 및 13.4 중량%를 상온에서 약 10분 동안 500 rpm으로 고속 교반시켜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1.8% by weight of carbon black, 16.2% by weight of acrylic main resin, 5.4% by weight of polyester auxiliary resin, 3.6% by weight of melamine formaldehyde curing agent, , 1.2% by weight of a silicone-modified acrylic as a surface modifier, 0.2% by weight of an acrylic derivative as a flow inhibitor, 47.2% by weight, 9.18% by weight and 13.4% by weight of a glycol- %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10 minutes at 500 rpm to obtain a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 제조>&Lt; Preparation of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

하기 표 1과 같이,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안료로서 글래스 플레이크 0.12 중량%, 수지로서 아크릴 주수지 15.4 중량%, 폴리에스터 보조수지 6.6 중량%,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경화제 3.1 중량%, 핀홀 방지제로서 아크릴코폴리머 1.74 중량%, 표면 조정제로서 실리콘 변성 아크릴 1.2 중량%, 흐름 방지제로서 아크릴 유도체 0.2 중량%, 용제로서 증류수, 알코올계 용매, 글리콜계 용매를 각각 47.1 중량%, 11.18 중량% 및 13.36 중량%를 상온에서 약 10분 동안 500 rpm으로 고속 교반시켜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0.12% by weight of glass flake, 15.4% by weight of acrylic main resin, 6.6% by weight of polyester auxiliary resin, 3.1% by weight of melamine formaldehyde curing agent, , 1.2% by weight of silicone-modified acrylic as a surface modifier, 0.2% by weight of an acrylic derivative as a flow inhibitor, 47.1% by weight, 11.18% by weight and 13.36% by weight of a glycol- %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10 minutes at 500 rpm to obtain a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상기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SPC 철판에 인산아연 전처리된 양이온 전착과 중도를 도장하여 경화 건조된 시편 상에 스프레이 건(Manual spray Gun)으로 두께가 약 7 ㎛이 되도록 도장하여 제1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약 1~3분 후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동일한 방법으로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두께가 약 3 ㎛이 되도록 도장하여 제2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약 50~80℃ (Flash off/on) 냉각을 거쳐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클리어코트층을 형성한 후, 상온에서 약 10분 동안 방치하고, 약 150℃ 에서 30분 동안 열경화시켜 블랙 베이스 도막을 제조하였다.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was coated on an SPC steel plate with a zinc phosphate pretreated cation electrodeposition and a moderate coating to form a first base layer on a cured and dried specimen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7 μm by a spray gun Respectively. After about 1 to 3 minutes,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first base coating layer to a thickness of about 3 μm to form a second base coating layer. After cooling to about 50 to 80 ° C (Flash off / on) After the clearcoat layer was formed by applying the clearcoat paint composition, it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10 minutes and thermally cured at about 150 ° C for 30 minutes to prepare a black base coat.

실시예Example 2 내지 7 2 to 7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카본블랙 함량을 2 중량%로 함유하고,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글래스 플레이크를 0.01 중량%, 0.05 중량%, 0.09 중량%, 0.13 중량%, 0.17 중량% 및 0. 21 중량%로 함유한 베이스코트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도막을 얻었다.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contains 2% by weight of carbon black, and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ntains 0.01% by weight, 0.05% by weight, 0.09% by weight, 0.13% by weight, 0.17% by weight and 0.12% by weight % Was used instead of the base coat layer in Example 1, to obtain a coating fil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 카본블랙을 포함한 단층  1: Single layer including carbon black 베이스코트층을The base coat layer 포함하는  Included 도막제조Coating Production

<카본블랙 도료 조성물 제조><Preparation of Carbon Black Coating Composition>

하기 표 1과 같이,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안료로서 카본블랙 1.8 중량%, 수지로서 아크릴 주수지 16.2 중량%, 폴리에스터 보조수지 5.4 중량%,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경화제 3.6 중량%, 핀홀 방지제로서 아크릴코폴리머 1.82 중량%, 표면 조정제로서 실리콘 변성 아크릴 1.2 중량%, 흐름 방지제로서 아크릴 유도체 0.2 중량%, 용제로서 증류수, 알코올계 용매, 글리콜계 용매를 각각 47.2 중량%, 9.18 중량% 및 13.4 중량%를 상온에서 약 10분 동안 500 rpm으로 고속 교반시켜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it was found that when 1.8% by weight of carbon black, 16.2% by weight of acrylic main resin, 5.4% by weight of polyester auxiliary resin, 3.6% by weight of melamine formaldehyde curing agent, , 1.2% by weight of a polymer, 1.2% by weight of a silicone-modified acrylic as a surface modifier, 0.2% by weight of an acrylic derivative as a flow inhibitor, 47.2% by weight, 9.18% by weight and 13.4% by weight of a distilled water, an alcohol- At 500 rpm for about 10 minutes to obtain a base coating composition.

상기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SPC 철판에 인산아연 전처리된 양이온 전착과 중도를 도장하여 경화 건조된 시편 상에 스프레이 건(Manual spray Gun)으로 도장하여 제1 베이스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약 1~3분 후 약 50~80℃ (Flash off/on) 냉각을 거쳐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클리어코트층을 형성한 후, 상온에서 약 10분 동안 방치하고, 약 150℃ 에서 30분 동안 열경화시켜 블랙 베이스 도막을 제조하였다.The base coating composition was coated on a SPC steel plate with a zinc phosphate pretreated cation electrodeposition and a moderate coating to form a first base layer on a cured and dried specimen with a spray gun. After about 1 to 3 minutes, the clearcoat coating composition is applied by cooling at about 50 to 80 ° C (Flash off / on) to form a clearcoat layer, then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10 minutes, And then thermally cured for 30 minutes to prepare a black base coating film.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 카본블랙 및 MICA(입자감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단층  2: Monolayer containing carbon black and MICA (particulate black pigment) 베이스코트층을The base coat layer 포함하는  Included 도막제조Coating Production

하기 표 1과 같이, 안료로서 카본블랙 1.2 중량% 및 MICA 0.4 중량%, 수지로서 아크릴 주수지 15.8 중량%, 폴리에스터 보조수지 6.7 중량%,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경화제 3.2 중량%, 핀홀 방지제로서 아크릴코폴리머 1.75 중량%, 표면 조정제로서 실리콘 변성 아크릴 1.2 중량%, 흐름 방지제로서 아크릴 유도체 0.2 중량%, 용제로서 증류수, 알코올계 용매, 글리콜계 용매를 각각 46.4 중량%, 10.21 중량% 및 13.14 중량%를 상온에서 약 10분 동안 500 rpm으로 고속 교반시켜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a mixture of 1.2% by weight of carbon black and 0.4% by weight of MICA as a pigment, 15.8% by weight of main acrylic resin, 6.7% by weight of polyester auxiliary resin, 3.2% by weight of melamine formaldehyde curing agent, , 1.2% by weight of silicone-modified acrylic as a surface conditioner, 0.2% by weight of an acrylic derivative as a flow inhibitor, 46.4% by weight, 10.21% by weight and 13.14% by weight of a distilled water, an alcohol-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500 rpm for about 10 minutes to obtain a base coating composition.

상기 제조된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블랙 베이스 도막을 제조하였다.A black base coat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base coating composition prepared above was used.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블랙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첨가된 원료성분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ingredients and contents of the raw materials added to the black base coating compositions of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  3: 이중층의Bilayer 도막 제조 Coating Production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안료로서 카본블랙을 첨가하고,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에 안료로서 MICA를 첨가하여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한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및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중층의 블렉 베이스 도막을 제조하였다.MICA was added as a pigment to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as a pigment in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a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and a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following Table 1 were prepared and used , A double-layered black base coat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성분ingredien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Example 1 제1베이스 도료 조성물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제2베이스 도료 조성물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안료Pigment 카본블랙(중량(%))Carbon black (% by weight) 1.81.8 1.21.2 1.81.8 -- MICA(중량(%))MICA (% by weight) -- 0.40.4 -- -- 글래스 플레이크(중량(%))
NSG社 TITANIA COAT RS1030
Glass flakes (weight%)
NSG TITANIA COAT RS1030
-- -- -- 0.120.12
수지Suzy 아크릴계 수지(중량(%))Acrylic resin (% by weight) 16.216.2 15.815.8 16.216.2 15.415.4 폴리에스터계 수지(중량(%))Polyester resin (% by weight) 5.45.4 6.76.7 5.45.4 6.66.6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경화제) (중량(%))Melamine formaldehyde (curing agent) (% by weight) 3.63.6 3.23.2 3.63.6 3.13.1 첨가제additive 핀홀 방지제 (아크릴코폴리머 ) (중량(%))Pinhole inhibitor (acrylic copolymer) (% by weight) 1.821.82 1.751.75 1.821.82 1.741.74 표면조정제 (실리콘변성아크릴) (중량(%))Surface modifier (silicone modified acrylic) (% by weight) 1.21.2 1.21.2 1.21.2 1.21.2 흐름방지제 (아크릴 유도체) (중량(%))Flow inhibitor (acrylic derivative) (% by weight) 0.20.2 0.20.2 0.20.2 0.20.2 용제solvent 증류수(중량(%))Distilled water (% by weight) 47.247.2 46.446.4 47.247.2 47.147.1 알코올계(중량(%))Alcohol-based (weight (%)) 9.189.18 10.2110.21 9.189.18 11.1811.18 글리콜계(중량(%))Glycol system (weight (%)) 13.413.4 13.1413.14 13.413.4 13.3613.36 총 중량(%)Gross weight (%) 100100 100.2100.2 100100 100100

실험예 1: 흑색도 측정Experimental Example 1: Measurement of blackness

카본블랙만을 포함한 도막, 및 카본블랙 함량을 2 중량%로 하고, 글래스 플레이크를 0.01 중량% 내지 0.21 중량%로 변화시켜 제조한 실시예 2 내지 7의 도막의 안료함량에 따른 흑색도(Mf) X-RITE사 MA68II기기를 이용하고, ISO 7724에 준거하여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The blackness (Mf) X of the coating films containing only carbon black and the pigment contents of the coating films of Examples 2 to 7 prepared by changing the content of carbon black to 2 wt% and the glass flakes to 0.01 wt% to 0.21 wt% -RITE MA68II device, and evaluated according to ISO 7724,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and FIG.

상기 흑색도는 Lippok-Lohmer가 정립한 Mf값으로 표시하는데, Mf값은 스펙 트로포토메터로 측정된 광원의 3자극치((Xn, Yn, Zn))와 반사광의 3자극치(X, Y, Z)를 다음 식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The blackness is represented by the Mf value established by Lippok-Lohmer. The Mf value is calculated from the tristimulus values (Xn, Yn, Zn) of the light source measured by the spectrophotometer and the tristimulus values (X, Y, Z )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Mf= 100[log(Xn/X)-log(Zn/Z)+log(Yn/Y)]Mf = 100 [log (Xn / X) -log (Zn / Z) + log (Yn / Y)]

범례 : ◎ (190~200)- 우수, ○ (180~189)- 양호, △ (179 이하)- 열세Legend: ◎ (190 ~ 200) - Excellent, ○ (180 ~ 189) - Good, △ (179 or less) - Inferiority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본블랙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흑색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본블랙을 0.8 중량% 함유한 경우, 흑색도는 172 정도에 불과하였지만, 1.2 중량% 내지 2.8 중량%인 경우 흑색도가 약 190 이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카본블랙이 2.4 중량% 이상인 경우 흑색도 증가 정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6, the blackness increases as the content of carbon black increases. Specifically, when 0.8 wt% of carbon black is contained, the degree of blackness was only about 172, but when the amount of carbon black was 1.2 wt% to 2.8 wt%, the degree of blackness was about 190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bon black is 2.4 wt% or more, the degree of increase in blackness is decreased.

또한,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본블랙 함량 2 중량%를 기준으로, 글래스 플레이크 함량을 0.01 중량% 내지 0.21 중량%로 변화시킨 결과, 글래스 플레이크 함량이 증가할수록 흑색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7, when the glass flake content was changed from 0.01 wt% to 0.21 wt% based on the carbon black content of 2 wt%, it was found that the blackness decreased as the glass flake content increased .

구체적으로, 글래스 플레이크 함량이 0.01 중량% 내지 0.17 중량%인 경우 흑색도가 서서히 감소하나, 0.21 중량%인 경우 0.17 중량%에 비해 흑색도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범위의 글래스 플레이크를 함유하는 경우, 즉 카본블랙 2 중량%를 기준으로 0.05 중량% 내지 0.17 중량%인 경우 우수한 흑색도를 유지하면서 글래스 플레이크로 인한 물성 즉, 입자감 및 층분리감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glass flake content is 0.01 wt% to 0.17 wt%, the blackness gradually decreases, but when the glass flake content is 0.21 wt%, the blackness sharply decreases as compared with 0.17 wt%. Therefore, when the glass flakes are contained in a specific range, that is, 0.05 to 0.17% by weight based on 2% by weight of carbon black, the properties of glass flakes, i.e., Can be expected to improve.

실험예 2: 입자감(SG)Experimental Example 2: Particle Sense (SG)

입자감은 BYK-GARDNER사의 BYK-mac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YK-mac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측색계로 L*, a*, b*를 측정하며, 이 측정 DATA를 이용하여 BYK-GARDNER사에서 개발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SG (SPARKLE GRADE)를 산출한다. SG는 도막내 입자의 반짝임의 정도를 수치화한 값이다. 도막에 빛을 입사하는 각도를 15도, 45도, 75도로 하여 측정한 SG값을 평균하여 결과치로 표시하였다.The graininess was measured using BYK-GARDNER BYK-mac equipment. BYK-mac measures L *, a *, b * with a commonly used colorimeter and calculates SG (SPARKLE GRADE) using the calculation formula developed by BYK-GARDNER using this measurement data. SG is a value obtained by quantifying the degree of glitter of particles in a coating film. The SG values obtained by measuring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on the coating film at 15 degrees, 45 degrees, and 75 degrees were averaged and expressed as a result.

또한 입자감(SG값)은 각 도장판의 도막면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In addition, the particle feel (SG value) was evaluated by visually observing the coating film surface of each coated plat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육안 평가 기준: Visual Evaluation Criteria:

◎ (4.5~5)◎ (4.5 ~ 5)

○(2~3.9): 입자감이 우수하고, 발색이 선명함 ○ (2 to 3.9): Excellent in particle feel and clear color

△(1.5~1.9): 입자감이 떨어지고, 발색이 약간 탁함△ (1.5 to 1.9): The feeling of the particle is lowered, the color is slightly turbid

×(0~1.4) : 입자감이 둔하고, 발색이 탁함  × (0 to 1.4): The particle feeling is dull and the color is cloudy

구분divis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1(이중층)Example 1 (double layer) 비교예 1(단층)Comparative Example 1 (single layer) 비교예 2(단층)Comparative Example 2 (single layer) 안료Pigment 카본블랙Carbon black OO OO OO MICAMICA OO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 OO 흑색도Blackness ◎(190~200)◎ (190 ~ 200) △(170~180)? (170-180) ○(187)(187) 입자감Particle sensation (없음)(none) ○(2~5)○ (2 ~ 5) ◎(4.7)◎ (4.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본블랙만을 포함한 단층의 베이스코트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 흑색도는 우수하였으나 입자감은 없었다. 비교예 2와 같이 카본블랙 및 입자감을 발현하는 안료로 MICA를 혼합하여 사용한 단층의 베이스코트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 입자감은 양호하였으나 흑색도가 180 미만으로 비교예 1에 비해 저하되었다.As shown in Table 2, in Comparative Example 1 including a single-layer base coat layer containing only carbon black, blackness was excellent, but no particle feeling was observed. As in Comparative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2 including a single-layer base coat layer using MICA mixed with carbon black and a pigment expressing a particulate feel showed good particle feel, but had a blackness lower than 180, which was lower than Comparative Example 1 .

이에 반해, 카본블랙을 제1 베이스층으로 하고, 글래스 플레이크를 제2 베이스층으로 하여 이중층의 베이스코트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흑색도는 양호함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입자감을 보였다.On the other hand, Example 1 containing carbon black as the first base layer and glass flake as the second base layer and including the base coat layer of the double layer exhibited excellent particle feel while maintaining good blackness.

실험예 3 : 기타 물성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other physical properties

(1) 광택(1) glossy

BYK社 GLOSS METER를 이용하여 광택을 측정하였다.Gloss was measured using BYK GLOSS METER.

(2) 경도(2) Hardness

미쓰비시 유니 연필을 사용하여 도막의 경도를 측정하였다.The hardness of the coating was measured using a Mitsubishi Uni pencil.

(3) 내충격성(3) Impact resistance

듀퐁(DuPONT)식 충격테스트기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500g추와 1/2의 굴곡면을 사용하였다. And measured using a DuPont impact tester. 500 g weight and 1/2 curved surface were used.

(4) 부착성(4) Adhesiveness

칼날을 이용하여 도막면에 100개의 격자를 만든 후 테이프를 이용하여 박리 평가를 실시하여 결과가 M-2.5 이상인지 확인하였다. After making 100 lattices on the coated surface using a blade, the peeling test was performed using a tape to confirm that the result was M-2.5 or more.

(5) 샌드은폐력(5) Sand hiding power

#600 스트레이트 샌딩(STRAIGHT SANDING)에 의해 측정하였다.# 600 straight sanding (STRAIGHT SANDING).

(6) 재도장성(6) Re-construction

재도장 부위의 마크(mark) 및 이색현상 여부를 관찰하였다.The mark of the repainted portion and whether or not it was developed were observed.

(7) 내수성 및 내습성(7) Water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외관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부착성 평가 방법과 동일하게 평하여 M-2.5 이상인지 확인하였다.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appearance was abnormal,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M-2.5 or more in the same manner as the adhesion evaluation method.

(8) 내후성(8) Weatherability

제논 아크 웨더로 메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AM 180 1000 hrs에서 광택보유율이 90% 이상 이었다.And measured using a Xenon arc weatherometer. The CAM 180 had a gloss retention of more than 90% at 1000 hrs.

(9) 층분리감(깊이감)(9) Layer separation feeling (depth sense)

각 도막면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Each coating film surface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육안 평가 기준: Visual Evaluation Criteria:

○: 하이라이트에서 쉐이드까지의 명도 변화가 크고 깊이감이 있음○: Large brightness change from highlights to shades

△: 하이라이트에서 쉐이드까지의 명도 변화가 약간 작고 깊이감이 약간 떨어짐 △: The brightness change from the highlight to the shade is slightly smaller and the depth feeling is slightly lowered

×: 하이라이트에서 쉐이드까지의 명도 변화가 작고 깊이감이 없음×: Small change of brightness from highlight to shade, and no depth feeling

물성측정Property measurement 비고
(평가기준)
Remarks
(Evaluation standard)
평가결과Evaluation result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Example 1 제1베이스층The first base layer 제2베이스층The second base layer 베이스코트층Base coat layer 용기내 상태Container state 이물질 등 없고 교반시 고르게 분산No foreign matters and evenly dispersed in stirring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점도Viscosity FORD CUP #4FORD CUP # 4 51초51 seconds 52초52 seconds 51초51 seconds 희석 안정성Dilution stability 현저한 침전 없고, 교반시 고른 분산With no significant precipitation, even dispersion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저장 안정성Storage stability 저장전에 비해 현저한 차이 없을 것There should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before storage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비중importance -- 1.0101.010 1.0121.012 1.0111.011 불휘발분Nonvolatile matter -- 22%22% 23.4%23.4% 19.2%19.2% 도막Coat 광택Polish 고광택 : 20' 법 88↑High gloss: 20 'method 88 ↑ 88.788.7 88.488.4 경도Hardness B 이상일 것B or more HBHB HBHB 내충격성Impact resistance DuPONT식 충격기 20cm 이상일 것DuPONT type impactor should be more than 20cm 50cm50cm 50cm50cm 부착성Attachment M-2.5 이상일 것Should be M-2.5 or higher M-1.0M-1.0 M-1.0M-1.0 샌드은폐력
(㎛)
Sand hiding power
(탆)
#600 스트레이트 스탠딩# 600 Straight Standing 77 77
재도장성Re-construction 1.재도장부위마크( MARK) 및 이색현상 無
2.NO SANDING부 부착성 M-2.5이상
1. Repainted parts mark (MARK)
2.No SANDING attachment M-2.5 or more
양호, M-1Good, M-1 양호, M-1Good, M-1
내수성Water resistance M-2.5급 이상, 외관 이상無M-2.5 or higher, no abnormal appearance M-1M-1 M-1M-1 내습성Moisture resistance M-2.5급 이상, 외관 이상無M-2.5 or higher, no abnormal appearance M-1M-1 M-1M-1 내후성Weatherability 광택유지율 : 90%↑, 부착성 M-2.5↑
변색 (ΔE) = 1.0↓ (WHITE계), 3.0↓ (기타 색상)
Gloss retention: 90% ↑, Adhesion M-2.5 ↑
Discoloration (ΔE) = 1.0 ↓ (WHITE series), 3.0 ↓ (other colors)
96.4% / M-1
ΔE = 0.93
96.4% / M-1
? E = 0.93
96.5% / M-1
ΔE = 0.81
96.5% / M-1
? E = 0.8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은 우수한 흑색도를 유지하면서 입자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제품으로 물성이 우수한 비교예 1과 동등 수준 또는 그 이상의 물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Examp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particle feel while maintaining excellent blackness, but also has properties equivalent or superior to those of Comparative Example 1, which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s a conventional product, as shown in Table 3 Can be achieved.

10: 중도층
20: 제1 베이스층
25: 제2 베이스층
30: 클리어코트층
10: middle floor
20: first base layer
25: second base layer
30: Clear coat layer

Claims (15)

중도층, 베이스코트층 및 클리어코트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층도막으로서,
상기 베이스코트층은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glass flake)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층은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글래스 플래이크 0.05 중량% 내지 0.17 중량%, 고분자 수지 1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계 첨가제 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4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A base coat layer, and a clearcoat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a substrate,
Wherein the base coat layer comprises a first base layer comprising a black pigment and a second base layer compris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The second base layer comprises 0.05 to 0.17% by weight of a glass paste, 10 to 50% by weight of a polymer resin, 0.5 to 5% by weight of an acrylic additive and 40% by weight of a solv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To 85% by weight of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플레이크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lass flake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 to 50 占 퐉.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층은 카본블랙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base layer does not comprise carbon bl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랙 안료는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ack pigment comprises carbon bl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은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블랙 안료 0.5 중량% 내지 10 중량%, 고분자 수지 1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계 첨가제 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4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comprises from 0.5% to 10%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from 10% to 50% by weight of a polymeric resin, from 0.5% to 5% by weight of an acrylic additive and from 40% &Lt; / RTI &gt; 85% by weight of the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랙 안료 : 글래스 플레이크의 함량비는 중량비로서 1:0.02 내지 0.9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ratio of the black pigment to the glass flake is 1: 0.02 to 0.9 weight rati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두께는 7 내지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is 7 to 12 占 퐉.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두께는 2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is 2 to 5 占 퐉.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및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ymer resi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ic resin, a polyester resin, and melamine formaldehyd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첨가제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실리콘 변성 아크릴계 화합물 및 아크릴계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crylic additive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ic copolymer, a silicone-modified acrylic compound and an acrylic derivativ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계 용제 및 글리콜계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lven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lcohol-based solvent, and a glycol-based solvent,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중도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중도층 상에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제1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제1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글래스 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제2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클리어코트 도료 조성물을 도장하여 클리어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은 제2 베이스 도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글래스 플래이크 0.05 중량% 내지 0.17 중량%, 고분자 수지 1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계 첨가제 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용제 40 중량%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도막의 제조방법.
Coating a first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black pigment on the intermediate layer formed by coating the intermediate coating composition to form a first base layer;
Coating a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glass flake on the first base layer to form a second base layer; And
Coating a clear coat coating composition on the second base layer to form a clear coat layer,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comprises 0.05 to 0.17% by weight of a glass paste, 10 to 50% by weight of a polymer resin, 0.5 to 5% by weight of an acrylic additive and 40 to 40% by weight of a solv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base coating composition % To 85%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두께는 7 내지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is 7 to 12 占 퐉.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두께는 2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is 2 to 5 占 퐉.
KR1020160055267A 2016-05-04 2016-05-04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16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267A KR101816398B1 (en) 2016-05-04 2016-05-04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267A KR101816398B1 (en) 2016-05-04 2016-05-04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13A KR20170125213A (en) 2017-11-14
KR101816398B1 true KR101816398B1 (en) 2018-01-08

Family

ID=6038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267A KR101816398B1 (en) 2016-05-04 2016-05-04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39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213A (en)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8836C2 (en) Coatings to increase detection distance to object detected by means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near infrared range
CN103003342B (en) Polymer composition having heat-absorbent properties and improved dyeing properties
US10174213B2 (en) Coating system
US20100242793A1 (en) Dark pigments reflecting ir radi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N104144991B (en) Absorb article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of infra-red radiation
CN102165023A (en) Coat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olar reflectivity and UV protection
JP7075713B2 (en) Dispersions, colored layers, colored films, colored substrates, colored combined substrates, and inks
TW201430071A (en) Dispersion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and colored article
JP6612128B2 (en)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forming method
KR101816398B1 (en)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automob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070673A1 (en) Coating composition
EP2778204B1 (en) Infrared reflective film, infrared reflective paint, and infrared reflector
JP5986834B2 (en) Colored reflective coating film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H06316683A (en) Opalescent coating material containing foamed metal oxide
JP5278587B1 (en) Dispersion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film, and colored product
EP0439112B1 (en) Subtle patina metallic coatings containing guanine
WO2020209029A1 (en) Heat shielding paint
KR101432024B1 (en) Heat reflection multilayered coating film for coating automobile
WO2021206062A1 (en) Infrared reflective pigment, paint composition, paint film and article
CN116472124B (en) Laminated coating film and coated article
KR101417355B1 (en) Base coating paint composition containing aluminium flake of silver color
CN116457209A (en) Laminated coating film and coated article
CN111744745A (en)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with retroreflection property
KR20130021287A (en) Paint coat for reflecting solar light comprising infrared-reflecting pigments
CN116376345A (en) Use of titanium yellow pigments in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