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788B1 -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 Google Patents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788B1
KR101815788B1 KR1020160116186A KR20160116186A KR101815788B1 KR 101815788 B1 KR101815788 B1 KR 101815788B1 KR 1020160116186 A KR1020160116186 A KR 1020160116186A KR 20160116186 A KR20160116186 A KR 20160116186A KR 101815788 B1 KR101815788 B1 KR 10181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ensors
pair
sound insulat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2Analysing fluids
    • G01N29/022Fluid sensors based on microsensors, e.g. quartz crystal-microbalance [QCM],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tuning forks, cantilevers, flexural plate wave [FPW]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24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treaming fluid on the properties of a detecting acoustical wa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는, 측정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형성된 발진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의 탄성파를 감지하는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상기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의 센싱 효율을 저해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접촉 센서들 중 발진원 측에 가깝게 위치한 어느 하나의 비접촉 센서와 그 발진원 사이의 일 지점에서, 상기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메인 접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이 탑재되고, 상기 메인 접촉부재가 설치되는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Air-Coupled Sensor Unit for Continuous Surface-Wave Tests}
본 발명은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체의 구조 안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가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면파를 시험하는 경우에, 외란에 의한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정밀하고 신속하게 표면파 시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고형매질로 구성된 구조체의 깊이별 탄성계수 변화를 비파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면파 시험이다. 표면파 시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구조물 표면에 가해진 충격파의 전파 속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이 때 측정되는 파동의 주성분은 표면파가 된다.
두 개의 센서로 측정되는 표면파는 다양한 스펙트럼의 주파수로 분해하여 각 주파수의 파동에 대해 별도로 전파속도를 평가하게 된다. 이렇게 다양한 주파수 또는 파장에 대하여 평가된 전파속도를 이용하여 역학적 해석을 수행하면, 구조물 속으로 들어 갈수록 그 단단한 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서, 구조물 비파괴 평가, 지반조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표면파 시험에 사용하는 센서는, 매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매질의 경우에는 가속도계가 사용되고, 토사나 암반인 경우에는 속도계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표면파 시험에 있어서 가속도계나 속도계를 측정대상 표면에 고정하여 구조물 표면의 진동을 측정하였다. 따라서, 센서의 고정 여부, 센서와 측정매질과의 접촉 상태 등에 따라서 측정 결과가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마이크로폰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를 표면에 부착하지 않고 구조물 표면의 진동을 측정하는 기술이, 특허 제10-1425748호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특허청에 등록된 바 있다.
이 기술은, 구조물 표면에 부착하지 않은 채 표면파를 측정할 수 있어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장점을 가진다.
즉, 마이크로폰 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표면파 시험을 하게 되면, 측정매질 표면에 센서를 부착하는 문제점은 원천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측정 자료의 품질의 향상, 측정 속도의 개선, 시험에 요구되는 인력의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산업화의 가속화에 따라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시기적절한 유지관리는 원활한 교통흐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하이웨이에 대한 도입과 더불어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성능, 품질에 대한 비파괴 평가를 교통흐름의 통제없이 실시간으로 진행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폰 센서를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품질, 유지관리에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더욱 개선된 상용화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폰 센서에 전달되는 노이즈를 최대한 줄여서 더욱 정밀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나아가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신속하게 표면파 시험을 할 수 있게 하는 제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도로와 같은 구조물의 성능, 품질 평가를 비파괴적으로 수행하는 표면파 시험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파 측정을 위해 멈추지 않고도 이동하면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표면파 시험을 실시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는, 측정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형성된 발진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의 탄성파를 감지하는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상기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의 센싱 효율을 저해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접촉 센서들 중 발진원 측에 가깝게 위치한 어느 하나의 비접촉 센서와 그 발진원 사이의 일 지점에서, 상기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메인 접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이 탑재되고, 상기 메인 접촉부재가 설치되는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접촉부재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서브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접촉부재와 서브 접촉부재는, 각각 상기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면에 구름 접촉되는 회전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는, 표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의 탄성파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들과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발진원 사이에, 충격 소음 차단을 위한 메인 접촉부재가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되게 함으로써, 그 충격에 의한 소음을 포함한 노이즈가 비접촉 센서들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조물의 탄성파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비접촉 센서들과 발진원 사이 및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부재들의 일례로 회전롤러가 채용된 실시예에 의하면, 비접촉 센서들을 플랫폼에 탑재시킨 상태에서, 회전롤러가 구조물의 표면에 구름접촉되면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연속적으로 표면파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표면파 시험의 구조물 진단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는, 한 쌍의 비접촉 센서(미도시; 센서용 지그(3) 내부에 설치)들과 메인 접촉부재(1)와 플랫폼(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접촉 센서들은, 종래기술의 고정식 측정방법인 속도계, 가속도계 등의 센서를 측정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하여 측정하는 방법과는 달리, 표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구조물의 탄성파를 감지하여 그 구조물의 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구조물은, 도로 노상, 도로포장, 활주로 노반, 활주로 포장, 철도노반 등과 같은 지반 구조물의 시공관리 및 유지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생산품의 특성(경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비접촉 센서들은, 구조물의 표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형성된 발진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비접촉 센서들은, 상기 표면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구조물의 탄성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족하다. 예컨대, 상기 비접촉 센서로는 탄성파를 공기의 진동으로 감지하는 일종의 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채용된 상기 비접촉 센서로는, 마이크로폰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는 보급형 음성용 마이크로폰 센서일 수 있고, 주파수 대역이 20~20000Hz 정도로 광범위한 주파수 신호에 대해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으나, 외란에 의한 노이즈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40~50Hz 정도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뢰성 있게 측정할 있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접촉부재(1)는, 상기 비접촉 센서들과는 달리, 상기 구조물의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비접촉 센서들 중 발진원 측에 가깝게 위치한 어느 하나의 비접촉 센서와 상기 발진원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의 센싱 효율을 저해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발진원에 가해진 충격에 의한 소음은, 상기 발진원과 비접촉 센서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매질로 하여 그 비접촉 센서에 전달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진원과 비접촉 센서 사이에 차단벽 역할을 하는 메인 접촉부재(1)를 배치함으로써, 소음이 비접촉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이러한 메인 접촉부재(1)는, 상기 발진원과 비접촉 센서 사이를 구획하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이면 족하기 때문에, 표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패드(미도시) 타입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연속적인 표면파 시험을 위하여 표면에 구름접촉되는 회전롤러 타입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2)은, 상기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이 탑재되고, 상기 메인 접촉부재(1)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의 상측에서 그 마이크로폰 센서 측으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흡음 또는 차음을 가능하게 하는 차단재와 강도 보강을 위한 경질의 플라스틱 재료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는, 표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의 탄성파를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들과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발진원 사이에, 충격 소음 차단을 위한 메인 접촉부재(1)가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되게 함으로써, 그 충격에 의한 소음을 포함한 노이즈가 비접촉 센서들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조물의 탄성파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서는, 상기 메인 접촉부재(1) 이외에 서브 접촉부재(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브 접촉부재(1')는, 상기 메인 접촉부재(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서브 접촉부재(1')는, 상기 메인 접촉부재(1)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 중 다른 하나(발진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위치한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메인 접촉부재(1)와 서브 접촉부재(1')는, 각각 표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패드 타입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연속적인 표면파 시험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할 수 있도록, 표면에 구름 접촉되는 회전롤러 타입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메인 접촉부재(1)와 서브 접촉부재(1')를 회전롤러라 통칭하기로 한다.
결국, 이러한 회전롤러(1)(1')가 채용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접촉 센서들을 플랫폼(2)에 탑재시킨 상태에서, 회전롤러(1)(1')가 구조물의 표면에 구름접촉되면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 연속적으로 표면파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회전롤러(1)(1')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12)과 차음부재(1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프레임(12)은,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롤러(1)(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된다. 상기 차음부재(14)는, 상기 회전 프레임(12)과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발진원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음부재(14)는, 발진원과 비접촉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롤러(1)(1')에 채용됨으로써, 발진원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비접촉 센서들에 전달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족하나, 완충성이 있는 연질 재질의 연질 차음재(14b)와 강도가 우수한 경질 재질의 경질 차음재(14a)가 교번하여 마련됨으로써 차음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접촉 센서로 마이크로폰 센서가 채용되었다. 이러한 마이크로폰 센서(미도시)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용 지그(3)의 내측에 마련된다.
상기 센서용 지그(3)는,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가 내부에 탑재된 상태로 상기 플랫폼(2)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롤러(1)(1')의 차음부재(14)와 마찬가지로, 노이즈를 차단시키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노이즈가 마이크로폰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센서용 지그(3)는, 완충성이 있는 연질 재질의 차음재와 강도가 우수한 경질 재질의 차음재가 교번하여 형성됨으로써, 노이즈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용 지그(3)는, 설치용 지그(4)를 통해 상기 플랫폼(2)에 결합된다. 즉, 상기 설치용 지그(4)는, 상기 센서용 지그(3)가 수용될 수 있도록, 대략 절반이 개방된 형태의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용 지그(3)를 플랫폼(2)에 지지시켜 주기 위하여 그 플랫폼(2)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설치용 지그(4)도, 상기 센서용 지그(3)와 마찬가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음 물론이다.
상기 센서용 지그(3)는, 그 내부에 설치된 마이크로폰 센서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개방된 관통공(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용 지그(4)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중심부(41)와, 상기 중심부(41)로부터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열됨으로써 사이사이에 상기 관통공과 소통되는 소통공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리브 형성부(4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센서용 지그(3)와 함께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의 센싱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이나 노이즈가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 측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플랫폼(2)은, 하나의 플레이트(22)(24)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레이트(22)(24)들과 틸팅부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2)(24)에는, 각각 회전롤러(1)(1')가 일대일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틸팅부재(26)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2)(24)들을 상호 틸팅(tilting)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여기서, 틸팅이라 함은 상기 회전롤러(1)(1')의 주행 표면을 XY 평면이라고 가정할 때, Z축을 기준으로 한 XY 평면 상에서의 회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방향전환의 의미와 동일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을 이용한 표면파 시험에서는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종래기술란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상기 센서들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각 센서들로부터 전파속도를 도출할 수 있게 되고, 그 전파속도를 이용하여 역학적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구조물의 단단한 정도의 깊이에 따른 평가, 지반조사 등 다양한 진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부재(26)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2)(24)들을 서로 틸팅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한 쌍의 플레이트(22)(24)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연결해 주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틸팅부재(26)는, 상기 플레이트(22)(24)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고, 각각 고무나 스펀지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신축부재(26a)들과, 상기 신축부재(26a)들 사이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6b)는, 상기 신축부재(26a)들을 연결시키되, 그 신축부재(26a)들의 신축을 허용하기 위한 갭이, 인접한 신축부재(26a)들 사이사이에 형성되게 연결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신축부재(26a)들 사이사이에 갭을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플레이트(22)(24)들의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신축부재(26a)들 사이를 신축이 불가능한 경질의 연결부재(26b)를 통해 연결하여 줌으로써, 상기 비접촉 센서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굴곡진 표면에서도 실시간 연속적으로 표면파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메인 접촉부재(회전롤러)
1':서브 접촉부재(회전롤러)
12:회전 프레임 14:차음부재
14a:경질 차음재 14b:연질 차음재
2:플랫폼 22,24:플레이트
26:틸팅부재 26a:신축부재
26b:연결부재 3:센서용 지그
4:설치용 지그

Claims (10)

  1. 측정대상 구조물의 표면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형성된 발진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표면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구조물의 탄성파를 감지하는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상기 물리적인 충격에 의한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의 센싱 효율을 저해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비접촉 센서들 중 발진원 측에 가깝게 위치한 어느 하나의 비접촉 센서와 그 발진원 사이의 일 지점에서, 상기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메인 접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이 탑재되고, 상기 메인 접촉부재가 설치되는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비접촉 센서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접촉부재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면에 접촉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 중 다른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서브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접촉부재와 서브 접촉부재는, 각각 상기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면에 구름 접촉되는 회전롤러이고,
    상기 각 회전롤러는, 그 회전롤러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발진원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상기 비접촉 센서들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프레임과 표면 사이에 마련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부재는, 완충성이 있는 연질 재질의 연질 차음재와 강도가 우수한 경질 재질의 경질 차음재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접촉 센서는, 마이크로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마이크로폰 센서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노이즈가 상기 각 마이크로폰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이즈를 차단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센서용 지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파 시험을 이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용 지그는, 완충성이 있는 연질 재질의 차음재와 강도가 우수한 경질 재질의 차음재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각 회전롤러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플레이트들을 상호 틸팅(tilting)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틸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재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고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복수의 신축부재들과, 상기 신축부재들을 연결시키되, 그 신축부재들의 신축을 허용하기 위한 갭이, 인접한 신축부재들 사이사이에 형성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KR1020160116186A 2016-09-09 2016-09-09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KR10181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186A KR101815788B1 (ko) 2016-09-09 2016-09-09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186A KR101815788B1 (ko) 2016-09-09 2016-09-09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788B1 true KR101815788B1 (ko) 2018-01-08

Family

ID=6100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186A KR101815788B1 (ko) 2016-09-09 2016-09-09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328A (ko) * 2018-11-09 2020-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측정대상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를 위한 표면파시험용 원격 가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217A (ja) * 2001-08-21 2003-02-26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の健全度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114485A (ja) * 2003-10-06 2005-04-28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牽引式多チャンネル表面波探査装置
JP2010286358A (ja) * 2009-06-11 2010-12-24 Toshiba Corp こわさ検出装置、こわさ検出方法、及びこわさ検出装置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KR101425748B1 (ko) * 2013-03-06 2014-08-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탄성파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탄성파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217A (ja) * 2001-08-21 2003-02-26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の健全度評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5114485A (ja) * 2003-10-06 2005-04-28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牽引式多チャンネル表面波探査装置
JP2010286358A (ja) * 2009-06-11 2010-12-24 Toshiba Corp こわさ検出装置、こわさ検出方法、及びこわさ検出装置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KR101425748B1 (ko) * 2013-03-06 2014-08-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접촉식 탄성파 측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탄성파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328A (ko) * 2018-11-09 2020-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측정대상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를 위한 표면파시험용 원격 가진 시스템
KR102130221B1 (ko) * 2018-11-09 2020-07-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측정대상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를 위한 표면파시험용 원격 가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657B1 (ko) 탄성파 속도를 이용한 성토지반 다짐특성 측정장치와 이를 활용한 다짐관리 방법
US113386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deformation of a surface
JP2001193011A (ja) 振動式ロードローラ
KR101815788B1 (ko) 표면파 시험을 위한 비접촉식 센서 유니트
CN105203420B (zh) 落锤式水稳基层压实度快速测定装置及测定方法
Johnsson et al. Methods for road texture estimation using vehicle measurements
Ferne et al. Development of a calibration procedure for the UK highways agency traffic-speed deflectometer
Van Poel Dynamic testing of road constructions
US20220381742A1 (en) Contact elements for acoustic excitation attached via a compliant material
Zhang et al. Dynamic responses of asphalt concrete slab under cyclic wheel loading using acceleration spectrum analysis
CN205157356U (zh) 落锤式水稳基层压实度快速测定装置
KR102130221B1 (ko) 측정대상 구조물의 건전도 평가를 위한 표면파시험용 원격 가진 시스템
Li et al. Mechanical impedance measurement on thin layer surface with impedance hammer device
KR101745838B1 (ko) 탄성파 기반 지반물리탐사를 위한 드라이 컨텍 지오폰 센싱장치
CN104359603A (zh) 轮轨移动垂直力连续测试方法
Lee et al. Evaluation of healing effect by rest periods on asphalt concrete slab using MMLS3 and NDE techniques
CN207703694U (zh) 水稳基层压实度快速测定仪
Clem Evaluation of impulse response & ground-penetrating radar as a means of non-destructive testing of concrete bridge decks
JP2000046807A (ja) 道床噴泥状態検査装置とその方法
Simonin et al. Dynamic Investigation of Pavements
Lenngren Some experience using a rolling weight deflectometer on airport pavements
RU2498254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остояния элементов нежестких дорож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спектральным анализом волновых полей на стадии эксплуатации
Barreda et al. Use of fiber optic sensors for measurement of railway vibrations
Bahrani et al. Continuous remote monitoring of a motorway section using geophones
Wersäll et al. Localization of Vibration Sources along Railway T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