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781B1 - 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 Google Patents

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781B1
KR101815781B1 KR1020160100638A KR20160100638A KR101815781B1 KR 101815781 B1 KR101815781 B1 KR 101815781B1 KR 1020160100638 A KR1020160100638 A KR 1020160100638A KR 20160100638 A KR20160100638 A KR 20160100638A KR 101815781 B1 KR101815781 B1 KR 10181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user
sound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수진
Original Assignee
조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진 filed Critical 조수진
Priority to KR102016010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7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7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duct location guide system using a functional indoor store map includes: a product management module including a product of interest-setting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products of interest from a user; a location checking module including an indoor location recognition unit which recogniz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communicating with a beacon and a mobile terminal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 movement path guide module including a map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n in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from an external map server and a path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movement path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of the products of interest; and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ncluding a guide display unit for providing customized guide map synthesizing the movement path with the indoor map for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서 유저가 목표하는 특정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유저가 보유한 휴대단말을 활용하여 이동 동선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guiding a goods movement through a functional shop indoor m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guiding mobile movement using a portable terminal held by a user to move to a specific location targeted by a user in an indoor space .

과거에는 관광지나 특정 목적지 등의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함께 동행하는 안내자 또는 미리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해당 관광지에 대한 정보나 도달 방법을 안내받았다. 그러나 안내자가 동행하지 않는 경우나 특정 위치의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미리 습득한 안내정보가 무의미한 경우가 많았다.In the past, if you are traveling to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 tourist destination or a specific destination, you will be informed of information about and access to the tourist destination through a guide or a web search.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where guide information is not accompanied by a guidance information, or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pecific location is very complicated.

이러한 경우를 돕기 위해 관광지나 매장 등의 시설에서는 RFID, 바코드 등을 특정한 위치마다 부착하는 것으로 유저가 보유중인 휴대단말에 부착된 RFID 리더 또는 바코드 리더를 촬영하는 것으로서 유저가 현재 실내공간 중 어떠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RFID 및 바코드의 경우 휴대단말에 해당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단말을 추가하여야 하므로 휴대단말의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이며, 다른 유사한 기술이 발전함과 동시에 점차 그 활용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help such a case, an RFID reader or a barcode reader attached to a mobile terminal held by a user is attached by attaching an RFID, a barcode, or the like to a certain location in a facility such as a tourist or a store, So that they can understand whether or not they are located. However, in the case of RFID and bar code, a terminal for adding a corresponding function to a portable terminal must be added, which causes a rise in the unit pr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ther similar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and the use thereof is gradually decreasing.

최근에는 휴대단말의 카메라만 있으면 쉽게 인식이 가능한 QR코드나 간단한 태그 입력을 활용하는 NFC 태깅방식이 더욱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기술의 개발이 점차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NFC tagging method utilizing a QR code or a simple tag input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a camera of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further utilized, and development of a corresponding technology is progressing gradually.

따라서, 이러한 불편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technique is disclosed as a solution to such inconveniences.

한국 등록특허 제 10-1342932호 “안내 장치”에는 정보 제공의 대상이 되는 안내 대상의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 대상의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제1 NFC(Near Field Communication)부; 및 상기 제1 NFC부와 통신하는 제2 NFC부가 탑재되며 상기 제1 NFC부와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1 NFC부로부터 받은 상기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NFC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내 대상에 대한 문자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제1 NFC부에 전송된 상기 문자 데이터를 상기 제1 NFC부의 커버리지 내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문자 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NFC부를 통신 중계 수단으로 하여 상기 제1 NFC부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통신망을 형성하는 안내 대상의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고 획득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342932 entitled " guide device " includes a first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in an area of a guide object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nd providing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objec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cond NFC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NFC unit and displaying the gui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NFC unit when the first NFC un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FC unit, Wherein the first NFC unit transmits character data to the first NFC unit and transmits the character data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verage of the first NFC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character data can easily provide and acquire information of a guide object form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within the coverage range of the first NFC unit by using the first NFC unit as a communication relay unit .

그러나 상기한 기술은 NFC 태깅을 통해 안내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나, NFC태깅 기술은 그 전송거리가 50cm에도 못 미쳐 유저가 조금이라도 밀집되지 못하면 안내를 전송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guidance is transmitted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NFC tagging, but the NFC tagging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ransmission distance is less than 50 cm and the guide is not received if the user is not crowded.

또, 국내공개특허 제 10-2012-0049058호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에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아이콘(또는 위젯)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대방(또는 callee)에게 전달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읽어와 그 상대방의 목적지까지 증강현실 기술과 접목하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위치에 이르렀을 때, 특정 메시지 또는 알람 등이 표시 내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 terminal thereof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49058, which includes a user interface including icons (or widgets) (Or callee),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by combining it with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o the destination of the other party. When the user reaches a specific location, A method and a terminal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an augmented reality in which a specific message or an alarm or the like is displayed or operated so as to provide a user with convenience of using the terminal.

상기한 기술의 경우 상대편(목적지)와 음성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이후 상대편이 위치하는 곳으로 안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방법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since a method of guiding the user to a place where the other party is located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party (destination) through the voice communication network is used, the method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method of moving to a specific location in the room, .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유저가 목표하는 특정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유저가 보유한 휴대단말을 활용하여 이동 동선을 안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for guiding mobile moving lines utilizing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in order to move to a specific location targeted by a user in an indoor space.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장내부에서 유저가 관심상품으로 지정한 위치까지 이동을 돕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for assisting a user to move to a position designated as a product of interest within a sto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의 이동을 돕기 위해 유저가 보유한 휴대단말을 통해 음성안내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안내를 수행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guidance using a voice guidance and augmented reality through a portable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to assist a user's mov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저에게 안내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저의 주변에 위치한 다른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to a user and to provide advertisement for another produ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은, 유저로부터 관심상품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관심상품설정부를 포함하는 상품관리모듈; 비콘과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통해 상기 유저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실내위치파악부를 포함하는 위치확인모듈;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실내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관심상품이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를 포함하는 이동경로생성모듈; 상기 실내지도에 상기 이동경로를 합성한 맞춤안내지도를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안내표시부를 포함하는 안내정보제공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rchandise location guiding system comprising: a merchandise management module including an interested merchandise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merchandise item of interest from a user; A location determining module that determines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 and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A map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map from the map information to the location where the item of interest is located; And a guidance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customized guidance map in which the moving route is synthesized to the indoor map to the portable terminal.

더하여, 상기 이동경로생성모듈은,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에서 표시할 방향안내를 생성하는 방향안내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은,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방향선택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휴대단말로 더 제공하는 방향안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ement route gener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gui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direction guidance to be displayed at a direction selection point such as a corner or a fork of the movement route, And a direction guide display unit for providing the direction guid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election point corresponds to the selection point.

추가적으로,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은, 상기 휴대단말에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감지하는 이어폰감지파트와, 상기 휴대단말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된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소음측정파트와,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유저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저장한 사운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소음의 크기보다 큰 40dB 내지 120dB의 크기를 가진 사운드로 변환하는 사운드변조파트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도록 제공하는 사운드제공파트로 구성되는 외부사운드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may include an earphone detecting part for detecting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noise measuring part for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ambient noise received through the voice inputting part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sound modulation part for converting the sound guidance data into a sound having a size of 40 dB to 120 dB larger than the noise level; And an external sound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provide the sound guide data to be output from the earphone.

덧붙여,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은, 10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샘플사운드를 저장한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샘플사운드를 출력하는 샘플사운드 출력파트와, 상기 유저로부터 하나 이상의 샘플사운드를 선택받아 맞춤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는 샘플사운드 선택파트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 및 저장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와, 상기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에서 저장된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제공하는 변환사운드제공파트로 구성된 맞춤 사운드 안내 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may include a sample sound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sample sound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within a frequency band of 10 kHz to 20 kHz and a sample sound output part for outputting the sample sounds from the sample sound database. A sample sound selection part for selecting one or more sample sounds from the user and selecting a custom frequency band, a frequency band setting part for converting and storing the sound guide data into the custom frequency band, And a converted sound providing part configured to provide the sound guide data in a stored custom frequency band.

더욱, 상기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은, 상기 휴대단말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내영상을 상기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표시부를 포함하는 공간인식모듈; 상기 위치정보가 생성된 주변영역의 상품위치를 수신하는 상품위치수신부와, 상기 상품위치를 상기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상품위치합성부를 포함하는 증강안내생성모듈; 상기 실내영상에 상기 이동경로 및 상기 상품위치를 합성한 가상안내영상을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안내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안내영상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the functional store indoor map may further include: a video display unit that displays an indoor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 space recognition module including a movement path display unit; A product position receiver for receiving a product position of the peripheral area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product position synthesis module for synthesizing the product position with the indoor image and displaying the product position; And a guide image display module that provides a virtual guid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movement route and the product position to the indoor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1 표시영역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제2 표시영역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공간인식모듈은, 상기 맞춤안내지도를 상기 제1 표시영역으로, 상기 가상안내영상을 상기 제2 표시영역으로 위치시키는 화면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display area, wherein the space recognition module is configured to divide the customized guidance map into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screen division unit for positioning the virtual guide image in the second display area.

또한, 상기 증강안내생성모듈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상품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관심상품으로 지정받는 추가관심상품설정부와, 상기 이동경로에 상기 추가관심상품을 경유하는 수정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수정경로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영상제공모듈은, 상기 수정이동경로를 상기 휴대단말로 더 제공하는 수정안내영상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ugmentation guide gener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interest goods setting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goods position from the user as an additional interest item; and a correction unit that generates a correction movement path via the additional interest item Wherein the guide image provid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correction guide image display unit for further providing the correction movement route to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상기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은, 상기 상품위치마다 상품표식부가 위치하되, 상기 상품표식부는, 안내문구가 인쇄된 안내지가 보관되는 투명재질의 인식커버를 포함하는 제1 표식보드와, 상기 제1 표식보드를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을 둘러싼 이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벽의 일 측에는 칩 구조로 이루어진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2 표식보드와, 상기 제2 표식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 표식보드를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콘 및 기 지정된 시간마다 점멸하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타이머LED를 포함하는 제3 표식보드로 구성되는 표식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rchandise position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rchandise marking unit is positioned at each merchandise position, and the merchandise marking unit includes a first marking unit including a transparent material recognition cover And a controller having a chip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spacer wall, the spacer comprising a board and a first marking board stacked thereon, the spacer including an inner space and a spacing wall surrounding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A second marking board into which the filling material is injected and a second marking board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arking board and which supports the beacon, And a third indicating board including a timer LED for displaying the second marking board.

또한, 상기 이격벽은, 상기 내부공간의 둘레 면을 둘러싼 폐곡면으로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절연 처리된 절연벽을 상호 마주보는 영역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절연벽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차폐되되, 상기 제3 표식보드의 상기 비콘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1 둘레벽과, 상기 제3 표식보드의 상기 타이머LED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2 둘레벽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spacing wall may be formed as a closed curved surfac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pace, and electrically insulated insulating walls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areas facing each other, and electrically shielded by the insulating wall, A first circumferential wal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acon of the third marking board and a second circumferential wal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r LED of the third marking board.

또한, 상기 제2 표식보드(920) 및 상기 제3 표식보드(93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품표식부는, 상기 제1 표식보드(9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식보드(920) 및 상기 제3 표식보드(930)의 외부로 노출된 면을 둘러싸고,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함입홈이 형성된 고정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ndmark board 920 and the third landmark board 930, and the goods landmark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landmark board 910, And a fixed cover which surrounds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and the third marking board 930 and has an engag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또한, 상기 증강안내생성모듈은, 상기 실내영상 중 상기 관심상품 및 상기 추가관심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품표식부가 촬영된 것을 인식하는 관심상품인식부와, 상기 실내영상에서 상기 타이머LED가 촬영된 것을 인식하는 타이머LED인식부와, 인식된 상기 타이머LED가 점멸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유저가 상기 상품위치에 머문 시간인 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확인시간정보를 기 지정된 기준확인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확인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관심상품 및 상기 추가관심상품을 상기 이동경로에서 제거하는 이동경로정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ugmented guiding cre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terest goods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that at least one of the goods of interest and the additional interest items of the indoor image has been photographed; A time measur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recognized timer LED is blinked and generating confirmation time information that is a time spent by the user staying at the product 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ath organizing unit for removing the desired goods and the additional interested goods from the moving path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confirmation time.

마지막으로, 상기 공간인식모듈은, 상기 실내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안내유닛을 제공하는 가상안내유닛생성부와, 상기 유저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의 안내유닛을 통해 상기 방향안내를 제공하는 안내제공부와, 상기 실내영상 중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해당 영역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환경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분석부를 포함하는 안내유닛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space recognition module includes a virtual guide unit generation unit for providing a virtual guide unit displayed on the indoor image, and a virtual guidance uni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virtual guidance unit through the virtual guide unit so that the user moves along the movement route. And a feature analyzing unit for extracting a specific area from the indoor image and analyzing the feature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generate environmental featur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goods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the functional store indoor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매장내부에 비치된 복수의 비콘을 통해 유저의 위치를 파악하고, 유저가 지정한 관심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매장실내지도에 합성하여 유저가 보유한 휴대단말로 제공 하고,1) The location of the user is identified through a plurality of beacons provided inside the store, and the route is combined with the store indoor map so that the user can move to the item of interest designated by the user,

2) 휴대단말에 이어폰이 장착되면 방향안내를 음성으로 제공하며, 휴대단말에서 실내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촬영된 실내영상에 가상 도우미 및 경로를 합성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서 유저가 관심상품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우며,2) When an earphone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direction guidance is provided as a voice, and when a portable terminal captures an indoor image, a virtual assistant and a route are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a photographed indoor imag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o a desired product Help,

3) 실내영상에 유저 주변에 위치한 다른 상품들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다른 상품을 확인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광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3) It is possible to display other produc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in the indoor image, so that the user can be notified of another product and can be interested in the advertisement.

도 1은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상품위치 안내의 예.
도 4는 상품표식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상품위치 안내에 가상 안내유닛을 적용한 예.
도 6은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전체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a functional store indoor map.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goods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a functional store indoor map.
3 is an example of a product location guidance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oods marking portion;
5 is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guide unit is applied to a product location guidance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FIG. 6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goods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a functional store indoor map.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이다.FIG.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a functional shop indoor map, and FIG. 2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a functional shop indoor map.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은 휴대단말을 보유한 유저(10)와, 매장 실내에 비치된 비콘(20), 시스템을 총괄하는 중앙서버(30)로 구성된다. 유저(10)는 휴대단말을 통해 중앙서버(30)와 통신하여 관심상품을 지정하면 중앙서버(30)에서는 해당 관심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인 안내정보를 제공한다. 비콘(20)은 휴대단말과 통신하여 휴대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은 후술할 상품표식부(900)의 구성으로서, 비콘(20) 주변에 위치한 타이머LED(931)를 통해 해당 상품에서 머문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1, a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using a functional store indoor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10 having a portable terminal, a beacon 20 provided in a store room, a central server 30 ). When the user 10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server 30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designates an interested item, the central server 30 provides the guide information, which is a route to the interested item. The beacon 20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as a configuration of a goods marking unit 9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timer LED 931 located around the beacon 20 You can use the timer function to count the time spent on the product.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은 설명하면, 유저(10)로부터 관심상품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관심상품설정부(110)를 포함하는 상품관리모듈(100); 상기 비콘(20)과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통해 상기 유저(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실내위치파악부(210)를 포함하는 위치확인모듈(200);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실내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310)와,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관심상품이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320)를 포함하는 이동경로생성모듈(300); 상기 실내지도에 상기 이동경로를 합성한 맞춤안내지도를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안내표시부(410)를 포함하는 안내정보제공모듈(4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merchandise location gu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rchandise management module 100 including an interested merchandise setting unit 110 for receiving and storing goods of interest from the user 10, ; A location determination module (200) for determin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10)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10); A map reception unit (310) for receiving an in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map server, and a route generation unit (320) for generating a travel rout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location where the goods of interest are arranged, Generating module 300; And a guide display unit (410) for providing a customized guidance map in which the moving route is synthesized to the indoor map to the portable terminal.

먼저 상품관리모듈(100)은 유저(10)의 관심상품을 시스템에 등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유저(10)는 보유한 휴대단말의 고유번호(MAC값이나 IMEI값, IP주소값 등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에서 단말을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고유번호를 활용한 것)를 시스템에 추가로 등록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관심상품설정부(110)를 통해 유저(10)가 이동 또는 구매하기 원하는 관심상품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이 때 관심상품설정부(110)는 일반적으로 회원가입 등에서 사용되는 상품 리스트를 활용할 수도 있고, 미리 이동하기 원하는 장소의 지도를 외부 지도서버부터 전달받아 이동을 원하는 특정 위치 주변을 선택하여 관심상품으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product management module 100 registers a product of interest of the user 10 in the system. At this time, the user 10 can additionally register in the system a unique number (MAC number, IMEI value, IP address value, etc.) of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utilizing the unique number used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in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The system receives and stores a desired product that the user 10 wants to move or purchase through the interested product setting unit 110. At this time, the interested merchandise setting unit 110 may utilize the merchandise list used in membership registration or the like, or may receive a map of a place to be moved in advance from the external map server, It is also possible to specify.

다음으로 위치확인모듈(200)은 실내에 입장한 유저(10)가 보유한 유저(10)단말이자 앞서 시스템에 등록된 단말을 통해 유저(10)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유저(10)가 설정한 관심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합한 경로를 생성하는 것이다. 즉, 위치확인모듈(200)은 실내에 비치된 비콘(20)과 휴대단말간의 통신을 통해 유저(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실내위치파악부(210)로 구성된다. 실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20)이 비치되되,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비콘(20)을 비치하여 각 비콘(20)별로 특정한 관리 영역을 부여한다. 복수개의 비콘(20)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비콘(20)에서 인식된 사용자단말의 고유번호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나 이동 중인 동선을 파악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Next, the location confirmation module 200 determin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10 through the terminal registered in the system, which is the terminal of the user 10 possessed by the user 10 who entered the room, To create an appropriate path to move to the product of interest. That is, the location confirmation module 200 includes an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unit 210 for obta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10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 20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t least one or more beacons 20 are provided in the room, and preferably a plurality of beacons 20 are provided to give a specific management area to each beacon 20. When a plurality of beacons 20 are use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or the moving copper line through the uniqu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recognized in the specific beacon 20, which is effective.

이동경로생성모듈(300)은 앞서 파악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실내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310)와, 위치정보로부터 관심상품이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외부 지도서버는 미리 실내 전체의 지도를 저장해둔 것이며, 경로생성부(320)는 이 지도에서 유저(10)가 기 저장한 관심상품이 위치하는 지점을 파악하고, 실내에 위치한 비콘(20)과 유저(10)가 보유한 휴대단말간의 통신을 통해 파악된 위치정보로부터 관심상품이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이동경로를 생성한다.The movement route generation module 300 includes a map reception unit 310 for receiving an in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map server based on the previously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path generation unit 320 for generating a path. That is, the external map server previously stores the map of the entire indoor space. The route generating unit 320 determines a point where the user's favorite goods stored by the user 10 are located on the map, ) And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the user 10 to the point where the goods of interest are located.

마지막으로 안내정보제공모듈(400)은 실내지도에 이동경로를 합성한 맞춤안내지도를 유저(10)가 보유한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안내표시부(4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순한 실내지도만 제공되는 것이 아닌, 실내지도에 유저(10)가 기 설정한 관심상품까지 도달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화살표 등의 표시/유도수단으로 함께 표시하여 제공하므로 유저(10)의 입장에서는 보다 쉽게 원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게 된다.Finally,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includes a guide display unit 410 for providing a customized guide map in which the movement route is synthesized to the indoor map to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the user 10, The user can easily find a desired product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10 because the travel route that the user 10 can reach to the desired goods set on the indoor map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isplay / .

여기에 추가적으로 유저(10)가 이동경로가 표시된 지도를 보고 이동하더라도 모서리나 복잡한 갈림길 등에 위치하게 되면 당황하여 제대로 된 방향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경로생성모듈(300)은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에서 표시할 방향안내를 생성하는 방향안내생성부(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400)은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방향선택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휴대단말로 더 제공하는 방향안내표시부(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10 sees the map on which the movement route is displayed, if the user 10 is positioned at an edge or a complex road, the user may be perplexed and unable to perceive a proper direct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a situation, the movement path generation module 300 further includes a direction guide generation unit 330 for generating a direction guidance to be displayed at a direction selection point, such as an edge or a fork of the movement path,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guide display unit 420 for providing the direction guid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selection point.

방향선택지점는 모서리나 갈림길 등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을 결정하여야 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유저(10)가 이러한 모서리나 갈림길에 다다르게 되면 앞서 실내위치파악부(21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를 통해 방향선택지점에 위치한 것을 인식하고, 방향안내표시부(420)에서 미리 설정해둔 방향안내를 휴대단말로 더 제공함으로써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원하는 위치로 바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rection selection point means an area where a movement in a specific direction such as an edge or a branch road should be determined. When the user 10 reaches such an edge or a forklift, it recognizes that the user 10 is located at the direction selection point thr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door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10 and carries the direction guide previously set by the direction guide display unit 420 It is provided to the terminal so that it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without moving in another direction.

다음으로, 유저(10)가 방향안내를 더욱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에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감지하는 이어폰감지파트(431)와, 상기 휴대단말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된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소음측정파트(432)와,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유저(10)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저장한 사운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소음의 크기보다 큰 40dB 내지 120dB의 크기를 가진 사운드로 변환하는 사운드변조파트(433)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도록 제공하는 사운드제공파트(434)로 구성되는 외부사운드인식부(4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 configur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user 10 can more effectively recognize the direction guidance. That is, an earphone detecting part 431 for detecting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noise measuring part 432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ambient noise received through the voice inputting part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sound database storing sound guide data so as to provide guidance to the user (10) audibly; and a sound modulation part for converting the sound guide data into a sound having a size of 40 dB to 120 dB larger than the noise, And a sound providing part 434 for providing the sound guidance data to be output from the earphone.

방향안내의 경우 휴대단말에서 다양한 데이터가 복잡하게 분포된 화면을 통해 인식하는 것 보다 사운드를 통해 방향안내만을 따로 제공받는 경우 유저(10)가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사운드는 휴대단말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되어도 되지만 별도의 유선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이어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외부의 소음이 매우 큰 경우, 이어폰을 한쪽만 장착한 경우는 물론이며, 양쪽 모두 장착하고 있더라도 외부 소음에 의해 안내가 잘 들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운드의 효과적인 제공을 위해 외부사운드인식부(4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direction guidance, the user 10 can recognize the direction more easily when the directional guidance is provided separately through the sound rather than the various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complex distributed screen in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sound may be output directly through a speaker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separate wired earphone or a Bluetooth earphone. However, when the external noise is very larg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earphone is mounted on only one side, and the guidance is not audible due to the external noise even if both are mounted. Accordingly, an external sound recognition unit 430 is further included to effectively provide sound.

먼저 이어폰감지파트(431)는 이어폰이 휴대단말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것이며, 소음측정파트(432)는 휴대단말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예를 들어 마이크)을 통해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것이다. 사운드 데이터베이스에는 방향안내를 유저(10)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방향을 표현하는 음성데이터나 특정 위치의 이름을 표현하는 음성데이터, 비프음, 경고음, 안내음 등이 포함된 사운드 안내데이터가 저장된다. 앞선 소음측정파트(432)를 통해 주변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여 이보다 큰 크기로 이어폰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면 유저(10)는 안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보통의 사람은 40dB에서 120dB사이의 소리 크기를 인식할 수 있고, 40dB에 못미치는 소리나 120dB를 넘는 소리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한다. 즉,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의 소리 크기 중 주변 환경에서 발생중인 소음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출력한다면, 소음과 상관없이 유저(10)가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First, the earphone sensing part 431 senses that the earphone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noise measuring part 432 senses the size of the ambient noise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for example, a microphon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In the sound database, sound guide data including voice data representing a direction, voice data expressing a name of a specific position, a beep sound, a warning sound, a guidance sound, and the like are provided so that the direction guide can be presented to the user 10 audibly .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guidance if the magnitude of the ambient noise is measured through the preceding noise measurement part 432 and outputted through the earphone with a size larger than this. The average person can recognize sounds between 40dB and 120dB and can not recognize sounds below 40dB or sounds above 120dB. That is, if the sound guide data is outputted in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noise that i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mong the sound sizes of the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the user 10 easily recognizes the sound guide data, .

다만, 사운드를 크게 출력하여 안내한다고 하더라도, 유저(10)가 듣는 음악이나 주변 소음과 동일한 주파수로 안내를 제공하는 경우 소리가 섞여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내정보제공모듈(400)은 10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샘플사운드를 저장한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샘플사운드를 출력하는 샘플사운드 출력파트(441)와, 상기 유저(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샘플사운드를 선택받아 맞춤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는 샘플사운드 선택파트(442)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 및 저장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443)와, 상기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443)에서 저장된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제공하는 변환사운드제공파트(444)로 구성된 맞춤 사운드 안내 생성부(44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한다.However, even if the sound is outputted by a large amou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und is mixed when the user 10 provides guidance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music heard by the user or ambient nois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00 includes a sample sound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sample sound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within a frequency band of 10 kHz to 20 kHz, A sample sound selection part 442 for selecting one or more sample sounds from the user 10 and selecting a customized frequency band, a sample sound selection part 442 for outputting the sound guide data to the custom frequency band And a converted sound providing part 444 for providing the sound guidance data in a custom frequency band stored in the frequency band setting part 443. The customized sound guide generating part 440 ).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에는 인체가 인식할 수 있는 10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샘플사운드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10kHz 내지 20kHz는 보통의 사람이 청취할 수 있는 일반적인 주파수대역의 범위이다.The sample sound database stores a plurality of sample sound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within the human-recognizable range of the frequency band of 10 kHz to 20 kHz. Where 10kHz to 20kHz is the range of common frequency bands that a normal person can hear.

샘플사운드 출력파트(441)에서는 유저(10)가 보유한 휴대단말로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샘플사운드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출력된 샘플사운드를 유저(10)가 청음하여 하나 이상의 샘플사운드를 선택하면 샘플사운드 선택파트(442)에서는 이를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선정한다.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443)에서는 이렇게 선정된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변환시킴으로서 유저(10)가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으로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The sample sound output part 441 serves to output a sample sound stored in the sample sound database to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the user 10. [ When the user 10 listens to the outputted sample sound and selects one or more sample sounds, the sample sound selection part 442 selects this as a custom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band setting part 443 allows the user 10 to output the sound guide data in a frequency band that the user 10 can easily hear by converting the sound guide data into the selected custom frequency band.

다만, 최근 기술발전을 통해 앞선 지도를 활용한 안내와 음성안내보다 진화한 실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안내하는 AR(Augmented Reality : 증강현실) 등의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AR기술은 실제 현실에 부가적인 내용을 가상으로 제공함으로서 유저(10)는 보다 실감나는 안내를 통해 쉽게 목표하는 특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technology that crosses reality and imagination such as guidance using an advanced map and AR (Augmented Reality) guiding through actually photographed images evolving from voice guidance is utilized. This AR technology provides additional contents virtually to the real world, so that the user 10 can easily move to a target specific location through more realistic guidance.

이러한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서,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에는 상기 휴대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내영상을 상기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510)와,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표시부(520)를 포함하는 공간인식모듈(500); 상기 위치정보가 생성된 주변영역의 상품위치를 수신하는 상품위치수신부(610)와, 상기 상품위치를 상기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상품위치합성부(620)를 포함하는 증강안내생성모듈(600); 상기 실내영상에 상기 이동경로 및 상기 상품위치를 합성한 가상안내영상을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안내영상표시부(710)를 포함하는 안내영상제공모듈(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the functional store indoor map includes the image display unit 510 for displaying the indoor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s a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 space recognition module (500) including a movement path display part (520) for compositing and displaying an indoor image; A product position receiving unit 610 for receiving a product position of the peripheral region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product position synthesizing unit 620 for displaying the product position in combination with the indoor image, ); And a guide image display unit 710 for providing a virtual guid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movement route and the product position to the indoor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먼저 공간인식모듈(500)은 실내를 휴대단말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로 그대로 띄우는 영상표시부(510)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실제의 영상이 그대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경로를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표시부(520)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제의 영상에 가상의 안내가 추가되는 것이며, 따라서 유저(10)는 보다 익숙하게 안내를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space recognition module 500 includes a video display unit 510 for photographing the room through a camera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room as a display. In this way, the actual image is provided as is. In addition, a moving route display unit 520 for displaying a moving route in combination with the indoor image is included. By virtue of this configuration, a virtual guide is added to an actual image, and therefore,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position.

다음으로 증강안내생성모듈(600)은 유저(10)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 주변에 위치한 상품들의 위치를 수신하여 이를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유저(10)의 주변에 위치한 상품들을 표시하게 된다면, 유저(10)는 보다 쉽게 위치를 인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추가적으로 표시된 상품들을 유저(10)가 확인할 수 있어 다른 상품들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내영상에 이동경로와 상품위치를 합성한 가상안내영상은 안내영상제공모듈(700)의 영상표시부(510)를 통해 휴대단말로 제공된다.Next, the enhancement guide generation module 600 grasps the position of the user 10, receives the positions of the products located around the position, and displays the combined images on the indoor images. If the goods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10 are displayed, the user 10 can recognize the position more easily, and further, the user 10 can confirm the displayed goods, thereby causing interest in other goods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he virtual guid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movement route and the product position in the indoor image is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510 of the guide image providing module 700. [

도 3은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상품위치 안내의 예이다.3 is an example of a product location guidance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이 때, 디스플레이는, 제1 표시영역(951)과, 상기 제1 표시영역(951)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제2 표시영역(952)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또한, PIP(Picture in Picture)방식으로서, 제2 표시영역(952) 안에 제1 표시영역(951)을 배치시킬 수도 있는 것이며, 제1 표시영역(951)은 일반적으로는 디스플레이의 4분의 1 가량의 크기를 차지하는 것이 미관상 아름다우며, 유저(10)가 인지하기에도 좋으나, 그 외 다른 크기로도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play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951 and a second display area 952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display area 951. [ As a PIP (Picture in Picture) system, a first display area 951 may be arranged in a second display area 952, and the first display area 951 is generally a quarter of the display It is good for the user 10 to be perceived, but it can be applied any other size.

이렇게 나누어진 표시영역을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인식모듈(500)은 상기 맞춤안내지도를 상기 제1 표시영역(951)으로, 상기 가상안내영상을 상기 제2 표시영역(952)으로 위치시키는 화면분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도가 표시되는 제1 표시영역(951)의 경우, 지도라는 특성상 축척을 줄여 표시하더라도 유저(10)가 이를 확인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실제 영상이 표시되고, 해당 영상에 안내정보가 합성된 가상안내영상의 경우 작은 화면에서 확인하는 것은 식별이 어렵다. 따라서 맞춤안내지도는 비교적 작은 영역인 제1 표시영역(951)에, 가상안내영상은 비교적 큰 영역인 제2 표시영역(952)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 이와 반대되는 구성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order to utilize the divided display area, the spatial recognition module 500 displays the customized guidance map as the first display area 951 and the virtual guidance image as the second display area 952 And a division unit. In the case of the first display area 951 in which the map is displayed, even if the scale is reduced due to the nature of the map, the user 10 does not have a big problem in confirming it. However, when the actual image is displayed, In the case of a virtual guide image, identification on a small screen is difficult to identif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stomized guidance map is placed in the first display area 951 which is a relatively small area and the virtual guidance image is plac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952 which is a relatively large area. Of course it is possible.

유저(10)가 실제 실내를 찍은 영상과 주변의 상품들이 함께 나타나는 가상안내영상을 확인하면서 관심상품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주변에 표시되는 상품들에 대해 추가적인 흥미를 가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유저(10)의 추가적인 요청에 대응되도록 상기 증강안내생성모듈(600)은 상기 유저(10)로부터 상기 상품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관심상품으로 지정받는 추가관심상품설정부(630)와, 상기 이동경로에 상기 추가관심상품을 경유하는 수정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수정경로생성부(6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영상제공모듈(700)은 상기 수정이동경로를 상기 휴대단말로 더 제공하는 수정안내영상표시부(7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When the user 10 moves toward the item of interest while confirming the virtual guide image in which the image of the actual indoor room and the surrounding goods are displayed together, the user may have additional interest in the products displayed in the vicinity. Accordingly, the augmented guidence creation module 6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interest item setting unit 630 for assigning at least one of the commodity positions from the user 10 to an additional interested commodity so as to correspond to the additional request of the user 10, And a correction path generation unit (640) for generating a correction movement path via the additional interest goods to the movement path, wherein the guide image providing module (700) And a correction guide image display unit 720 for providing the correction guide image.

즉, 화면에 표시된 주변의 상품들에 대하여 유저(10)가 추가적으로 방문하고자 원하는 경우, 유저(10)가 화면에 표시된 상품을 누르면 이를 인식하여 추가관심상품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기존의 이동경로에 추가관심상품으로 향하는 경로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이를 포함하여 수정이동경로를 재 생성하는 수정경로생성부(640)를 더 포함한다. 생성된 수정이동경로는 안내영상제공모듈(700)의 수정안내영상표시부(720)를 통해 휴대단말에 제공됨으로써 유저(10)가 새로운 상품위치를 추가관심상품위치로 더 설정하더라도 기존의 관심상품 및 추가관심상품으로 향하는 이동경로에 추가되어 반영된다.That is, when the user 10 desires to visit the surrounding product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10 can recognize the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and designate it as an additional item of interest. At this time, since a route to an additional item of interest should be added to the existing movement route, the correction route generation unit 640 for regenerating the correction movement route includes the modified route. The generated correction movement path is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rrection guide image display part 720 of the guide image providing module 700 so that even if the user 10 further sets the new product position as the additional interested goods position, It is added to and reflected in the route to additional goods of interest.

도 4는 상품표식부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oods marking portion;

앞선 구성에 추가적으로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은 상품위치마다 상품표식부(900)가 위치한다. 이 상품표식부(900)는, 안내문구가 인쇄된 안내지(912)가 보관되는 투명재질의 인식커버(911)를 포함하는 제1 표식보드(910)와, 상기 제1 표식보드(910)를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을 둘러싼 이격벽(924)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벽(924)의 일 측에는 칩 구조로 이루어진 컨트롤러(925)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충진재(927)가 주입되는 제2 표식보드(920)와, 상기 제2 표식보드(9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 표식보드(920)를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콘(20) 및 기 지정된 시간마다 점멸하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타이머LED(931)를 포함하는 제3 표식보드(930)로 구성되는 표식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o the foregoing configuration, in the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the functional store indoor map, the product marking unit 900 is located for each product position. The goods marking unit 900 includes a first marking board 910 including a transparent cover 911 for storing a guide sheet 912 on which a message is printed, (924) surrounding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wherein the one side of the spacing wall (924) includes a controller (925) in the form of a chip structure, A second marking board 920 into which the filling material 927 is injected and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And a third marking board 930 including a beacon 20 and a timer LED 931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blinking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먼저 인식커버(911)는 상품표식부(900)의 가장 외측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인식커버(911)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되, 안내커버에는 내측에 안내문구가 인쇄된 안내지(9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안내지(912)는 예를 들면 물품의 이름이 적힌 이름표이거나 물품의 가격 등이 적힌 가격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안내지(912)는 활용의 편의성을 추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안내문구를 변경할 때에 안내지(912)의 일 측에 바코드나 QR코드 등의 광학리더로 인식 가능한 고유 마크를 추가하고, 관리자가 중앙 서버에 해당 마크와 대응되는 안내문구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유저(10)가 이 마크를 휴대단말로 촬영하여 해당하는 정보를 쉽게 중앙서버(3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First, the recognition cover 911 constitutes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goods marking unit 900. The recognition cover 91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guide cover 912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aper 912 printed on the inside thereof with a guide pap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guide sheet 912 may be, for example, a name tag bearing the name of the article or a price tag in which the price of the article is written. This guide sheet 912 is a structure for seeking convenience in use. When a guide letter is changed, a unique mark recognizable by an optical reader such as a bar code or QR code is added to one side of the guide sheet 912,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user 10 captures the mark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be easily received from the central server 30 by inputting a guidan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mark on the server.

안내커버의 일 측이자 제1 표식보드(910)를 적층 지지하는 제2 표식보드(920)에는 내부공간과 내부공간을 둘러싼 이격벽(924)으로 구성된다. 이 때 이격벽(924)의 일 측에는 칩 구조로 이루어진 컨트롤러(925)가 포함되고 내부공간에는 충진재(927)가 주입된다. 컨트롤러(925)는 후술할 제3 표식보드(930)에 위치한 비콘(20) 또는 타이머LED(931)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때 이격벽(924)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에 충진재(927)를 충진함으로써 가장 후방에 위치한 비콘(2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다른 전자기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자파의 영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marking board 920, which is one side of the guide cover and supports the first marking board 910, comprises an inner space and a spacing wall 924 surrounding the inner space. At this time, a controller 925 having a chip structure is included at one side of the spacing wall 924, and a filler 927 is injected into the internal space. The controller 925 controls the beacon 20 or the timer LED 931 located on the third marking board 9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filler 927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spacing wall 924, thereby blocking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the beacon 20 positioned at the rearmost most do not affect other electronic mechanisms.

이 제2 표식보드(920)의 이격벽(924)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격벽(924)은 상기 내부공간의 둘레 면을 둘러싼 폐곡면으로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절연 처리된 절연벽(922)을 상호 마주보는 영역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절연벽(922)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차폐되되, 상기 제3 표식보드(930)의 상기 비콘(20)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1 둘레벽(921)과, 상기 제3 표식보드(930)의 상기 타이머LED(931)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2 둘레벽(923)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3 표식보드(930)의 비콘(20) 및 타이머LED(931)와 각각 대응되도록 절연벽(922)을 형성하여 각각의 상부를 전기적으로 차폐시킴으로서 비콘(20) 또는 타이머LED(931)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 등의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때, 제1 둘레벽(921)과 제2 둘레벽(923)의 형상은 비콘(20) 및 타이머LED(931)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의해 가변될 수 있으며, 제1 둘레벽(921) 및 제2 둘레벽(923)이 제2 표식보드(92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면적을 나누는 방법 등이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pacing wall 924 of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pacing wall 924 is formed as a closed curved surfac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pace, and an electrically insulated insulating wall 922 is formed. A first peripheral wall 9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acon 20 of the third landmark board 930 and a second peripheral wall 9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acon 20 of the third landmark board 930, And a second circumferential wall 92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r LED 931 of the third marking board 930. That is, the beacon 20 or the timer LED 931 may be form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each upper portion by forming an insulating wall 922 so as to correspond to the beacon 20 and the timer LED 931 of the third landmark board 930,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or the like generated from the antenna can be minimized. The shape of the first peripheral wall 921 and the second peripheral wall 923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beacon 20 and the timer LED 931. The first peripheral wall 921,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method of dividing the area of the second circumferential wall 923 across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can be utilized.

다음으로 제2 표식보드(9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2 표식보드(920)를 적층지지하는 제3 표식보드(930)는 위치상 의 후방에 위치한 비콘(20)과 타이머LED(931)로 구성된다. 비콘(20)은 상품표식부(900)에 부착되어 상품위치마다 위치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의 위치나 근접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타이머LED(931)는 앞선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지정된 시간마다 점멸하는 일종의 카운터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타이머LED(931)는 하나의 LED가 매 1초마다 점멸을 반복하는 것일 수도 있고, 둘 이상의 LED가 번갈아가면서 점멸을 반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품표식부(900) 자체가 비콘(20)을 포함하는 안내판이자 시간 카운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third marking board 930 for stack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includes a beacon 20 positioned behind the position and a timer LED 931, . The beacon 20 can be attached to the goods marking unit 900 and positioned for each commodity location, and can grasp the position and proximit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timer LED 931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functioning as a kind of counter that flickers every predetermined time 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timer LED 931 may be one LED repeating flashing every second, or two or more LEDs repeating flashing alternately. As a result, the goods marking unit 900 itself is configured to serve as a guide plate including the beacon 20 and a time counter.

또한, 상품표식부(900)가 제1 표식보드(910)와 제2 표식보드(920), 제3 표식보드(930)의 3개 표식보드로 나누어져 있는 것은 각 표식보드별로 목적과 구성이 다르기 때문이며, 특히 비콘(20)의 경우 외부의 다른 비콘(20)이나 신호를 수신하는 객체와 수시로 통신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이들 전기기구들 간의 신호간섭 등의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표식보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고무나 비닐 등의 막으로 덮어 혼선을 제거하거나 제2 표식보드(920)에 적용된 것과 같이 각 표식보드간의 공간을 충진재(927)로 채우고 충진재(927)가 불필요한 전파를 흡수토록 하는 구성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oduct marking unit 900 is divided into a first marking board 910, a second marking board 920, and a third marking board 930. That i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eacon 20, communication signals are frequently generated with an external beacon 20 or an object receiving a signal.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rosstalk such as signal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ic devices, A space between each landing boards is filled with a filler material 927, and the filler material 927 absorbs unnecessary radio waves,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lander board 920, Of course, can be formed.

여기에 더하여 상기 제2 표식보드(920) 및 상기 제3 표식보드(93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926)가 형성되고, 상기 상품표식부(900)는 상기 제1 표식보드(9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식보드(920) 및 상기 제3 표식보드(930)의 외부로 노출된 면을 둘러싸고, 상기 결합돌기(926)와 대응되는 함입홈(941)이 형성된 고정커버(9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926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landmark board 920 and the third landmark board 930, and the goods landmark 900 is connected to the first landmark board 910 A fixed cover (not shown) having a recessed groove 94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926 and surround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and the third marking board 930 from one side thereof, 940) may be further included.

고정커버(940)는 제1 표식보드(910), 제2 표식보드(920) 및 제3 표식보드(930)의 3개 파트로 구성된 상품표식부(900)가 적층된 상태에서 각각 분리되지 않도록 외주면을 고정하는 고정커버(940)가 더 포함된다. 이 고정커버(940)를 구성할 때에 제2 표식보드(920)와 제3 표식보드(93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926)가 형성된다. 제1 표식보드(910)는 안내문구가 인쇄된 안내지(912)가 보관되는 것이며, 이 안내지(912)는 수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물리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별도의 결합돌기(926)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표식보드(9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제2 표식보드(920), 제3 표식보드(930)의 외부로 노출된 면을 모두 둘러싸되 결합돌기(926)와 대응되는 함입홈(941)이 형성된 고정커버(940)를 덮음으로서 상품표식부(900)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외부의 충격을 버틸 수 있도록 한다.The fixed cover 940 is formed so that the product markers 900 composed of the three parts of the first marking board 910, the second marking board 920 and the third marking board 93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cked state And a fixed cover 940 for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926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and third marking boards 920 and 930 when constructing the fixed cover 940. The first marking board 910 is for storing the guide papers 912 on which the guidance text is printed so that the guide papers 912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so that they can be inserted in a form No separate engaging projections 926 are formed. Therefore, the exposed surfaces of the second and third marking boards 920 and 930 from the one side of the first marking board 910 are all surrounded by the engaging projections 926 and the corresponding recessed grooves 941 So that the product marking unit 900 is not easily separated and can hold the external impact.

상기 증강안내생성모듈(600)은 상기 실내영상 중 상기 관심상품 및 상기 추가관심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품표식부(900)가 촬영된 것을 인식하는 관심상품인식부(650)와, 상기 실내영상에서 상기 타이머LED(931)가 촬영된 것을 인식하는 타이머LED인식부(660)와, 인식된 상기 타이머LED(931)가 점멸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유저(10)가 상기 상품위치에 머문 시간인 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측정부(670)와, 상기 확인시간정보를 기 지정된 기준확인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확인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관심상품 및 상기 추가관심상품을 상기 이동경로에서 제거하는 이동경로정리부(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nhancement guide generation module 600 includes an interest product recognition unit 650 that recognizes that at least one of the goods of interest and the additional interest items among the indoor images is photographed, A timer LED recognizing unit 660 for recognizing that the timer LED 931 is photographed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 number of times the recognized timer LED 931 is blinking, A time measurement unit 670 for generating confirmation time information and comparing the confirmation time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confirmation time and removing the interest goods and the additional interest goods from the movement path when the comparison time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confirmation time And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path organizing unit 680.

상품표식부(900)는 일종의 안내판이나 가격표 등과 같은 표식의 역할을 하는 판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상품표식부(900)는 기 지정된 시간에 따라 점멸하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는 타이머LED(931)가 내장된 상품표식부(900)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product marking unit 900 means a plate serving as a kind of signboard such as a signboard or a price tag. The product marking unit 900 includes a timer LED 931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flickering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 built-in goods marking unit 900.

유저(10)는 앞서 실내영상을 촬영하여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되는데, 이 때 실내영상을 촬영하면서 상품표식부(900)에 위치한 타이머LED(931)가 함께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관심상품인식부(650)는 촬영된 실내영상 중 관심상품 및 추가관심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표식부(900)가 촬영된 것을 인식하는 것이며, 다음으로 타이머LED인식부(660)는 관심상품 및 추가관심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표식부(900)가 촬영된 경우 타이머LED(931)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렇게 인식된 타이머LED(931)는 기 지정된 시간(바람직하게는 1초)마다 점멸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점멸 횟수를 카운트하여 유저(10)가 상품위치에 머문 시간인 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 확인시간정보를 통해 충분한 시간(기준확인시간) 이상 상품위치에 머무른 경우 유저(10)가 해당 상품을 충분히 확인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이동경로에서 해당 관심상품 또는 추가관심상품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도록 이동경로정리부(680)에서 제거하는 것이다.The user 10 photographs the indoor image and displays the indoor image on the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the timer LED 931 located in the product marking unit 900 can be photographed while photographing the indoor image. Accordingly, the interested goods recognizing unit 650 recognizes that at least one merchandise marking unit 900 of the interested merchandise and the additional interested merchandise of the taken indoor image is photographed. Next, the timer LED recognizing unit 660 recognizes And recognizes the timer LED 931 when at least one merchandise marking section 900 among the merchandise and the additional interested merchandise is photographed. The timer LED 931 thus recognized repeats flashing every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referably 1 second), and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blinking to generate confirmation time information that is the time the user 10 has stayed at the goods location . If the user 10 remains at the position of the commodity longer than the sufficient time (the reference confirmation time) through the confirmation time information, the user 10 can consider that the commodity is sufficiently confirmed, so that the interested commodity or the additional interested commodity is no longer displayed The moving path organizing unit 680 removes it from the moving path organizing unit 680.

도 5는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상품위치 안내에 가상 안내유닛을 적용한 예이다.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guide unit is applied to a product location guidance displayed on a portable terminal.

마지막으로, 공간인식모듈(500)에는 상기 실내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안내유닛(953)을 제공하는 가상안내유닛생성부(810)와, 상기 유저(10)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의 안내유닛(953)을 통해 상기 방향안내를 제공하는 안내제공부(820)와 상기 실내영상 중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해당 영역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환경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분석부(830)를 포함하는 안내유닛생성모듈(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가상의 안내유닛(953)은 일종의 아바타로서,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을 대표하여 유저(10)에게 안내를 전달할 가상의 캐릭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상의 안내유닛(953)은 예를 들면 해당 실내공간의 대표적인 캐릭터를 활용하거나 안내원 복장을 한 캐릭터를 활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 동물이나 물건 등 다양한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즉, 가상의 안내유닛(953)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실내영상에 합성되어 표시되는 것으로서, 특징분석부(830)에서는 실내영상을 인식하여 특정 영역(예를 들면 특정 가구의 뒤편이나 다른 사람의 뒤편)로 이동할 수 있어 마치 실제 존재한다고 느낄 수 있는 캐릭터를 형성한 것이다. Finally, the spatial recognition module 500 includes a virtual guide unit generation unit 810 for providing a virtual guidance unit 953 displayed on the indoor image, A guide providing unit 820 for providing the direction guidance through a virtual guide unit 953 and a feature analyzing unit 830 for extracting a specific area from the indoor image and analyzing the feature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generate environmental feature information And a guide unit generation module 800 including the guidance unit generation module 800. [ The virtual guide unit 953 is a kind of avatar, which means a virtual character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10 on behalf of the goods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the functional shop indoor map. For example, the virtual guide unit 953 may utilize a typical character of the indoor space or utilize a character wearing a guide dress, and various other means such as an animal or an object may be utilized. That is, the virtual guide unit 953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indoor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characteristic analyzing unit 830 recognizes the indoor image and displays it i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behind the specific furniture, ), So that a character can be felt as if it actually existed.

가상의 안내유닛(953)이 먼저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되면, 유저(10)는 안내유닛(953)의 이동을 그대로 따라 움직이면 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안내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안내유닛(953)의 부가적인 기능으로서 유저(10)에게 주변에 위치한 상품에 대한 짤막한 설명이나 방문 권유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 부가적인 광고효과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If the virtual guide unit 953 moves along the movement path first on the display, the user 10 can move the guide unit 953 as it is, so that the guide system can be utilized more conveniently do. In addi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as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guide unit 953, if the user 10 performs a function of briefly describing the merchandis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

도 6은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전체 순서도이다.6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goods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a functional store indoor map.

도 6을 참조하여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 먼저 유저(10)가 관심상품을 설정하고, 유저(10)의 실내위치를 비콘(20)을 통해 확인한다. 이후 유저(10)가 보유한 휴대단말로 방향안내가 합성된 지도를 제공한다. 이 때 휴대단말에 이어폰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어폰이 삽입된 경우라면 음성안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단말이 실내영상을 촬영 중인 경우 실내영상에 방향안내 및 다른 물품 정보나 이벤트 등을 합성한 안내영상을 추가로 휴대단말에 제공하는 증강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 가상 안내유닛(953)을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유저(10)가 보다 편리하게 관심상품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the merchandise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the functional store indoor map will be described. First, the user 10 sets an item of interest and confirms the indoor location of the user 10 through the beacon 20. And provides a map in which navigation guidance is synthesized to the portable terminal held by the user 10 thereafter.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rmed, and if the earphone is inserted, the voice guidance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Nex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hotographing indoor images, it provides an augmentation service that further provides a guid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direction information, other article information, and events in the indoor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virtual guide unit 953 is additionally provided here to help the user 10 to reach the goods of interest more conveniently.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goods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the functional shop indoor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유저 20: 비콘
30: 중앙서버 100: 상품관리모듈
110: 관심상품설정부 200: 위치확인모듈
210: 실내위치파악부 300: 이동경로생성모듈
310: 지도수신부 320: 경로생성부
330: 방향안내생성부 400: 안내정보제공모듈
410: 안내표시부 420: 방향안내표시부
430: 외부사운드인식부 431: 이어폰감지파트
432: 소음측정파트 433: 사운드변조파트
434: 사운드제공파트 440: 맞춤 사운드 안내 생성부
441: 샘플사운드 출력파트 442: 샘플사운드 선택파트
443: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 444: 변환사운드제공파트
500: 공간인식모듈 510: 영상표시부
520: 이동경로표시부 600: 증강안내생성모듈
610: 상품위치수신부 620: 상품위치합성부
630: 추가관심상품설정부 640: 수정경로생성부
650: 관심상품인식부 660: 타이머LED인식부
670: 시간측정부 680: 이동경로정리부
700: 안내영상제공모듈 710: 안내영상표시부
720: 수정안내영상표시부 800: 안내유닛생성모듈
810: 가상안내유닛생성부 820: 안내제공부
830: 특징분석부 900: 상품표식부
910: 제1 표식보드 911: 인식커버
912: 안내지 920: 제2 표식보드
921: 제1 둘레벽 922: 절연벽
923: 제2 둘레벽 924: 이격벽
925: 컨트롤러 926: 결합돌기
927: 충진재 930: 제3 표식보드
931: 타이머LED 940: 고정커버
941: 함입홈 951: 제1 표시영역
952: 제2 표시영역 953: 안내유닛
10: User 20: Beacon
30: central server 100: commodity management module
110: interested goods setting unit 200: positioning module
210: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unit 300: movement route generation module
310: Map receiving unit 320: Path generating unit
330: direction guide generating unit 400: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410: guide display section 420: direction guide display section
430: external sound recognition unit 431: earphone detection unit
432: Noise Measurement Part 433: Sound Modulation Part
434: sound providing part 440: custom sound guide generating part
441: Sample sound output part 442: Sample sound selection part
443: Frequency band setting part 444: Transform sound providing part
500: Space recognition module 510:
520: moving path display unit 600:
610: commodity position receiving section 620: commodity position combining section
630: additional interest product setting unit 640: correction path generating unit
650: Interested goods recognition unit 660: Timer LED recognition unit
670: time measuring unit 680:
700: guide image providing module 710: guide image display section
720: correction guide image display 800: guide unit creation module
810: virtual guide unit generating unit 820:
830: Feature analysis unit 900: Product marking unit
910: first marking board 911: recognition cover
912: guide 920: second marking board
921: first circumferential wall 922: insulating wall
923: second circumferential wall 924:
925: controller 926: engaging projection
927: Filler 930: Third marking board
931: Timer LED 940: Fixed cover
941: embedded groove 951: first display area
952: second display area 953: guide unit

Claims (12)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 위치 안내 시스템으로서,
유저로부터 관심상품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관심상품설정부를 포함하는 상품관리모듈;
비콘과 휴대단말의 통신을 통해 상기 유저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실내위치파악부를 포함하는 위치확인모듈;
외부 지도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실내지도를 수신하는 지도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관심상품이 배치된 위치까지 이동경로를 생성하는 경로생성부를 포함하는 이동경로생성모듈;
상기 실내지도에 상기 이동경로를 합성한 맞춤안내지도를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안내표시부를 포함하는 안내정보제공모듈;
상기 휴대단말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내영상을 상기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이동경로를 상기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이동경로표시부를 포함하는 공간인식모듈;
상기 위치정보가 생성된 주변영역의 상품위치를 수신하는 상품위치수신부와, 상기 상품위치를 상기 실내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상품위치합성부를 포함하는 증강안내생성모듈;
상기 실내영상에 상기 이동경로 및 상기 상품위치를 합성한 가상안내영상을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안내영상표시부를 구비한 안내영상제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증강안내생성모듈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상품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관심상품으로 지정받는 추가관심상품설정부와, 상기 이동경로에 상기 추가관심상품을 경유하는 수정이동경로를 생성하는 수정경로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영상제공모듈은, 상기 수정이동경로를 상기 휴대단말로 제공하는 수정안내영상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위치마다 설치된 것으로서,
안내문구가 인쇄된 안내지가 보관되는 투명재질의 인식커버를 포함하는 제1 표식보드와,
상기 제 1 표식보드를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을 둘러싼 이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이격벽의 일 측에는 칩 구조로 이루어진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 2 표식보드 및,
상기 제 2 표식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표식보드를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콘 및 기 지정된 시간마다 점멸하는 복수개의 LED로 이루어진 타이머LED를 구비한 제3 표식보드로 구성된 상품표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격벽은,
상기 내부공간의 둘레 면을 둘러싼 폐곡면으로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절연 처리된 절연벽을 상호 마주보는 영역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절연벽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표식보드의 상기 비콘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 1 둘레벽과, 상기 제3 표식보드의 상기 타이머LED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 2 둘레벽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A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a functional store indoor map,
A goods management module including an interest goods setting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nterested goods from the user;
A location determining module for determin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 and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A map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map from the map information to the location where the item of interest is located;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ncluding a guide display unit for providing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customized guidance map in which the moving route is synthesized on the indoor map;
A spatial display module including an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ndoor image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 displa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ravel path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oving path by combining the indoor image with the indoor image;
A product position receiver for receiving a product position of the peripheral area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 product position synthesis module for synthesizing the product position with the indoor image and displaying the product position;
And a guide image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virtual guide image obtained by combining the movement route and the product position to the indoor i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augmented guideline generation module includes: an additional interest goods setting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goods positions from the user as an additional item of interest; a correction path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correction path for generating a correction movement path via the additional interest item ≪ / RTI >
Wherein the guide image providing module includes a correction guide image display unit for providing the correction movement route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provided for each merchandise position,
A first marking board including a transparent cover on which a guide sheet printed with a guide letter is stored,
And a spacer having a chip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spacer wall, the spacer including a first spacer and a second spacer on the first spacer, A second marking board into which a filling material is injected,
And a third marking board having a timer LED including a plurality of LEDs that are stacked and supported by the second marking board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arking board, ; ≪ / RTI >
The spacer
A closed curved surface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A first peripheral wal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eacon of the third marking board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ally insulated insulating walls are respectively formed in mutually opposing areas and are electrically shielded by the insulating wall, And a second circumferential wal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r LED of the three-marking boa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생성모듈은,
상기 이동경로 중 모서리나 갈림길 등의 방향선택지점에서 표시할 방향안내를 생성하는 방향안내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은,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방향선택지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휴대단말로 더 제공하는 방향안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ement path generation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direction guid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direction guidance to be displayed at a direction selection point such as an edge or a crossing of the movement path,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direction guide display unit for providing the direction guide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selection poin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은,
상기 휴대단말에 이어폰이 연결된 것을 감지하는 이어폰감지파트와,
상기 휴대단말에 포함된 음성입력수단을 통해 수신된 주변 소음의 크기를 파악하는 소음측정파트와,
상기 방향안내를 상기 유저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저장한 사운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소음의 크기보다 큰 40dB 내지 120dB의 크기를 가진 사운드로 변환하는 사운드변조파트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도록 제공하는 사운드제공파트로 구성되는 외부사운드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ncludes:
An earphone sensing part for sensing that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noise measuring part for measuring a magnitude of ambient noise received through voice input mean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sound database storing sound guide data so that the direction guide can be audibly provided to the user;
A sound modulation part for converting the sound guidance data into a sound having a size of 40 dB to 120 dB larger than the noise,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sound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provide the sound guide data to be output from the earphon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제공모듈은,
10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샘플사운드를 저장한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샘플사운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샘플사운드를 출력하는 샘플사운드 출력파트와,
상기 유저로부터 하나 이상의 샘플사운드를 선택받아 맞춤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는 샘플사운드 선택파트와,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상기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 및 저장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와,
상기 주파수 대역 설정파트에서 저장된 맞춤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사운드 안내데이터를 제공하는 변환사운드제공파트로 구성된 맞춤 사운드 안내 생성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includes:
A sample sound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sample sound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within a frequency band of 10 kHz to 20 kHz,
A sample sound output part for outputting the sample sound from the sample sound database,
A sample sound selection part for selecting one or more sample sounds from the user and selecting a customized frequency band,
A frequency band setting part for converting and storing the sound guide data into the custom frequency band,
And a converted sound providing part configured to provide the sound guide data in a custom frequency band stored in the frequency band setting pa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표시영역과,
상기 제1 표시영역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제2 표시영역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공간인식모듈은,
상기 맞춤안내지도를 상기 제1 표시영역으로, 상기 가상안내영상을 상기 제2 표시영역으로 위치시키는 화면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comprises: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display area,
Wherein the spatial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creen division unit for positioning the customized guidance map as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virtual guidance image as the second display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식보드 및 상기 제3 표식보드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품표식부는,
상기 제1 표식보드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식보드 및 상기 제3 표식보드의 외부로 노출된 면을 둘러싸고,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함입홈이 형성된 고정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arking board and the third marking board,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The goods mark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fixed cover which surrounds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cond marking board and the third marking bo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marking board and has an engag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Product location guidance system through in - store indoor m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안내생성모듈은,
상기 실내영상 중 상기 관심상품 및 상기 추가관심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품표식부가 촬영된 것을 인식하는 관심상품인식부와,
상기 실내영상에서 상기 타이머LED가 촬영된 것을 인식하는 타이머LED인식부와,
인식된 상기 타이머LED가 점멸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유저가 상기 상품위치에 머문 시간인 확인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측정부와,
상기 확인시간정보를 기 지정된 기준확인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확인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관심상품 및 상기 추가관심상품을 상기 이동경로에서 제거하는 이동경로정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gmentation guide generation module comprises:
An interest goods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at at least one of the goods of interest and the additional interest items of the indoor image is photographed;
A timer LED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that the timer LED is photographed in the indoor image;
A time measur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timer LED is blinked and generating confirmation time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ath organizing unit for removing the desired goods and the additional interested goods from the moving path when the checking time information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checking time by comparing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hecking time, Product location system through indoor map.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인식모듈은,
상기 실내영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안내유닛을 제공하는 가상안내유닛생성부와,
상기 유저가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가상의 안내유닛을 통해 방향안내를 제공하는 안내제공부와,
상기 실내영상 중 특정 영역을 추출하고 해당 영역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환경특징정보를 생성하는 특징분석부를 포함하는 안내유닛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매장실내지도를 통한 상품위치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atial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A virtual guide unit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a virtual guide unit displayed on the indoor video;
A guide providing unit for guiding navigation through the virtual guide unit so that the user moves along the movement route;
And a feature analyzing unit for extracting a specific area from the indoor image and analyzing the feature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generate environmental feature information. Guidance system.
KR1020160100638A 2016-08-08 2016-08-08 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KR1018157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38A KR101815781B1 (en) 2016-08-08 2016-08-08 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38A KR101815781B1 (en) 2016-08-08 2016-08-08 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781B1 true KR101815781B1 (en) 2018-01-05

Family

ID=6100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638A KR101815781B1 (en) 2016-08-08 2016-08-08 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78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670B1 (en) * 2018-03-09 2019-04-17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MR Based Book Location System Linked To Bookstore
KR102122974B1 (en) * 2018-12-14 2020-06-15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vehicles in a power plant
CN117387627A (en) * 2023-12-11 2024-01-1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宁海县供电公司 Indoor personnel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WO2024063231A1 (en) * 2022-09-22 2024-03-28 주식회사 다비오 Route guidance terminal, route guidance system, and route guidance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568A (en) * 2007-01-18 2008-07-31 Sharp Corp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JP2014191033A (en) * 2013-03-26 2014-10-06 Nec Access Technica Ltd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JP2015230236A (en)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ecbeing Merchandise guidance device, terminal equipment, merchandise guidance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568A (en) * 2007-01-18 2008-07-31 Sharp Corp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JP2014191033A (en) * 2013-03-26 2014-10-06 Nec Access Technica Ltd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JP2015230236A (en) * 2014-06-05 2015-12-21 株式会社ecbeing Merchandise guidance device, terminal equipment, merchandise guidance method, and progra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670B1 (en) * 2018-03-09 2019-04-17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MR Based Book Location System Linked To Bookstore
KR102122974B1 (en) * 2018-12-14 2020-06-15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vehicles in a power plant
US11619698B2 (en) 2018-12-14 2023-04-04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power plant
WO2024063231A1 (en) * 2022-09-22 2024-03-28 주식회사 다비오 Route guidance terminal, route guidance system, and route guidance method
CN117387627A (en) * 2023-12-11 2024-01-1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宁海县供电公司 Indoor personnel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CN117387627B (en) * 2023-12-11 2024-04-1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宁海县供电公司 Indoor personnel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781B1 (en) Indoor Moving Route Information System
KR101510623B1 (en) An exhibition guide system in an exhibition center and the method thereof
CN103229192B (en) Rfid system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JP4605384B2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CN108562869B (en) Indoor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Abu Doush et al. ISAB: integrated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US10054448B2 (en) Guiding method and guiding system
US10902633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virtual sound image localization processing
CN103890603B (en) A kind of method of map for reconstructing wireless device surrounding and realize the wireless device of the method
JP4053462B2 (en)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050045058A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location sensing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N103475689B (en) For providing the device and method of augmented reality service
KR101661058B1 (en) System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KR1014136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CN109640246B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17050739A (en) Portable apparatus, transmitter, and guide system
US20160140592A1 (en) Benefit awarding system, server device, and benefit awarding method
US20140164122A1 (en) Smart Device Location in Retail Environments
KR20080088434A (en) Search system, management serv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earch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thereof
JP2006118998A (en) Ic tag reader locating apparatus and ic tag reader locating method
KR100704777B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using wireless tag and terminal therefor
JP2006101013A (en) Guide information display
CN106028448A (en) Position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server and system
KR102073551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 point,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30020060A (e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