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561B1 -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561B1
KR101815561B1 KR1020160070668A KR20160070668A KR101815561B1 KR 101815561 B1 KR101815561 B1 KR 101815561B1 KR 1020160070668 A KR1020160070668 A KR 1020160070668A KR 20160070668 A KR20160070668 A KR 20160070668A KR 101815561 B1 KR101815561 B1 KR 10181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l
module
setting
grid
clien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643A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비젠트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젠트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젠트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5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7/3038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시스템 개발자가 아닌 개발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End User)가 이미 구축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업무화면에 대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및 업무 프로세스의 추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종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업무 프로세스를 직접 반영할 수 있고, 소스코드 레벨의 코딩없이 필요에 맞는 화면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IENT PROGRAM OF ERP SYSTEM}
본 발명은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개발자가 아닌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End User)가 이미 구축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업무화면에 대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및 업무 프로세스의 추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술(IT)의 급속적인 발전에 따라, 이를 기업경영 전반에 적용함으로써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실무자들에 의한 실수(Human Error)를 최소화하여 기업의 경영혁신을 달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 대표적인 정보기술 솔루션으로는 전사적 자원관리(EP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이 있다.
전술한 ERP 시스템은, 기업의 모든 영역에서 업무와 관련된 활동을 정보기술과 결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으로서, 기업의 비즈니스와 관련된 모든 업무에 관한 정보를 전사적으로 통합관리하고, 경영정보에 기초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인사, 영업, 구매, 판매, 외주, 회계, 물류 및 생산 등의 기업의 전체적인 업무를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수행할 수 있어,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최적의 상태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현재, ERP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업의 주요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연계함으로써 전사적인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신뢰를 높이고자 하는 기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ERP 시스템의 도입은 ERP 구축 컨설턴트와 기업의 각 분야의 실무자간 ERP 컨설팅을 통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입 후에도 해당 기업에 맞도록 수정 및 보완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현대의 기업환경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 또한 수시로 변경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목표나 조직구성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ERP 시스템은 도입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보완 및 재구성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ERP 시스템의 보완 또는 재구성 작업은 통상적으로 ERP 시스템 구축 SI 업체에 속한 개발자들의 주도하에 진행되었으나, 기업의 각 실무자, 즉 최종 사용자(End User)의 의견이 정확하게 반영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052742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화면등록 마법사 같은 솔루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ERP 사용자 화면 등을 스스로 편집하여 자신의 업무에 맞게 변경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기술들이 개시하고 있는 방식은 ERP 시스템내에 이미 구축된 모듈들을 조합하여 단순히 화면만을 구성하는 것으로, 변경된 업무 프로세스에 맞추어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을 불가능하며,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개발자가 개발환경이 구축된 단말기를 통해 직접 데이터를 추가해야만 한다.
즉, 기존의 ERP 시스템의 보완은 사용자가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여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부분만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업무 프로세스 추가에 따라, 기존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부분을 수정, 변경 및 갱신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업에서 ERP 시스템의 도입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RP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은 외부의 전문 SI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자사 기업의 업무를 정의하고 이를 전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은 통상적으로, 분석단계(S10), 설계단계(S11), 구축단계(S12), 구현단계(S13) 및 도입단계(S14)로 구분될 수 있다.
분석단계(S10)에서는 해당 기업에서 현재 사업의 행위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대하여 분석 및 파악하고, 설계단계(S11)에서는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업무 프로세스와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정의하게 된다. 그리고 구축단계(S12)에서는 실제 개발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및 ERP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어서, 구현단계(S13)에서는 해당 기업의 실무자 즉, 최종 사용자선에서 구축된 ERP 시스템을 테스트 운영하여 문제점 도출, 보완 및 개선 등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테스트가 완료되면, 도입단계(S14)로서 실제 기업에서 ERP 시스템을 업무에 적용하게 된다.
전술한 ERP 도입과정에서, 대부분의 경우 개발자들은 구현단계(S13)에서 테스트시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보완을 완료하면 프로젝트를 종료하게 되며, 도입단계(S14)에서는 시스템 운영시 발생하는 예외적인 치명적 오류에 대한 관리보수작업만을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도입단계(S14)에서는 이미 정의된 업무 프로세스의 추가 및 변경 등의 작업을 재 수행하는 것은 어려우며, 이를 위해 다시 개발자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상당한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ERP 시스템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기업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스템 개발환경이 구축된 단말기가 아닌, 최종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사용자가 간단하게 제공되는 메뉴를 이용하여 새로운 화면과 원하는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무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스 레벨의 수정 없이 간편하게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프로젝트 구축 또는 기존 고객의 추가 화면 요청 사항에 대하여 단기간내 신속하게 화면을 설정함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및 ERP 운용부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SQL 정보를 설정하는 SQL 입력모듈과, 상기 SQL 정보에 대한 조회 조건값의 입력을 위한 하나이상의 콘트롤 속성을 설정하는 조회조건 설정모듈과, 상기 데이터의 수신시, 화면상에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받는 그리드 설정모듈, 그리고 상기 SQL 정보, 콘트롤 속성 및 그리드 설정값에 대응하여 하나의 독립적인 설정모듈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등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QL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SQL 정보는, SQL 식별자 및 SQL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은, 상기 콤보박스, 텍스트박스, 팝업 폼, 날짜박스, 숫자박스 및 라디오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드 폼은,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 폼은, 적어도 하나가 팝업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등록모듈은 상기 ERP 운용부에 요청하여, 상기 설정모듈을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업무모듈로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은, 최종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변경된 업무 프로세스를 직접 반영할 수 있고, 소스코드 레벨의 코딩없이 필요에 맞는 화면 제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개발자 또는 사용자가 간단하게 제공되는 메뉴를 이용하여 새로운 화면과 원하는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화면에서 정의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조회조건 및 조회 모델 등을 수정 및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소스 레벨의 수정 없이 이후 ERP 시스템 전체에서 제공하는 화면 변경 또는 유사 화면의 개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프로젝트 구축 또는 기존 고객의 추가 화면 요청 사항에 대하여 단기간내 신속하게 화면을 개발함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업에서 ERP 시스템의 도입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조 및 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설정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작업화면을 변경하고,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위한 사용자 정의모듈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이 설치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ERP 운용부(210) 및 업무 프로세스 진행시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20)를 포함하는 ERP 서버(200)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기업의 임직원들 즉, 최종 사용자들에 할당되어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통상의 OS(Operating System)가 설치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정보 통신망을 통해 ERP 서버(20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조회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ERP 서버(200)와 연동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에 설치되며, 이를 통해 ERP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 작업 뿐만 아니라, 최종 사용자가 업무 진행에 필요한 신규한 업무 프로세스를 설정 및 등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직접 설정하고, 이에 입력값을 콤보박스, 텍스트 박스, 및 라디오 박스 등의 GUI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모듈들이 제공하는 항목들 중,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업무에 따른 데이터 조회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은 설정된 조회방식과 관련된 화면을 자동 생성하는 동시에, 이를 모듈화하여 ERP 운용부(210)에 기 정의된 업무 프로세스에 추가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ERP 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사용자 단말기(100)들로부터 요청되는 업무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ERP 서버(200)는 그 기능에 따라, 다수의 업무모듈로 구성되어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ERP 운용부(210)와, 업무관련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0)로 구분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별도의 웹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의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ERP서버(20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과 연동하여 각종 작업요청을 실시간으로 지연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물리적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술한 ERP 운용부(210)는 기업업무에 따른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ERP 운용부(210)는 회계모듈, 물류모듈, 인사모듈, 구매모듈, 주문처리모듈 및 생산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계모듈은 기업내에서 발생하는 수익 및 비용과 같은 돈과 관련된 회계업무에 대한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물류모듈은 제품의 입고, 출고, 수송, 재고 창고 관리 등의 물류와 관련된 업무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인사모듈은 근태상태, 봉급 및 상여금, 채용, 교육과 관련된 훈련, 평가 및 진로계획 등의 인사와 관련된 생산성 및 능력향상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구매모듈은 제품생산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자재소요량의 계획시 요구되는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주문처리모듈은 고객에 의한 주문, 구매결정 및 발송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생산모듈은 자재소요계획, 생산지시, 외주관리, 물품관리, LOT 관리 및 현장통제 등의 업무 프로세스 처리한다.
또한, ERP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가 설정된 설정모듈을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모듈들에 반영하는 프로그램 적용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으로부터 신규한 생성모듈이 입력되면, 이와 관련된 모듈에 반영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에서 최종 사용자는 시스템 개발자와 같이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전문지식이 없이도 손쉽게 현재 구현된ERP 시스템을 보완하고,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을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은, 시스템의 구축단계(도 1의 S13)뿐만 아니라, 도입단계(도 1의 S14)이후에도 SI 업체 또는 개발자가 아닌 최종 사용자들에 의한 업무 프로세스의 추가 등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기업환경 변화에 요구되는 업무 프로세스를 실무자들이 직접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조 및 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10)은, 데이터베이스(220) 및 ERP 운용부(210)를 포함하는 ERP 시스템과 연동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SQL 정보를 입력받는 SQL 입력모듈(111)과, SQL 정보에 대한 조회 조건값의 입력을 위한 하나이상의 콘트롤 속성을 설정하는 조회조건 설정모듈(112)과, 데이터의 수신시, 화면상에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받는 그리드 설정모듈(113)과, SQL 정보, 콘트롤 및 그리드 설정값에 대응하여 하나의 독립적인 설정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설정모듈을 상기 ERP 운용부에 등록하는 프로그램 등록모듈(114)을 포함한다.
SQL 입력모듈(111)은, 소정의 업무 프로세스의 진행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업무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쿼리(Query) 명령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DBMS는 특정 문법에 따른 SQL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함에 따라, SQL 입력모듈(111)은 등록설정화면을 제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SQL ID, SQL 유형, SQL 설명 및 SQL 내용을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아 SQL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최종 사용자는 미리 작성된 SQL의 초기값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SQL 구문을 통해, 테이블 (Table) 생성 및 필드(Field) 추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조회조건 설정모듈(112)은, SQL 정보에 대입하여 실제 데이터를 요청하는 조회 조건값을 입력받기 위한 콘트롤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회 조건값은 SQL 정보에 대한 입력되는 변수 등의 값이며, 이러한 조회 조건값을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나이상의 콘트롤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조회조건 설정모듈(112)은 데이터 조회시 사용자 단말기에서 조회 조건값을 질의하기 위한 콘트롤들의 화면상 위치, 너비, 입력유형을 정의하는 속성을 설정하고, 해당 화면이 초기 호출되었을 때 표시되는 기본값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조회조건 설정모듈(112)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조회화면에서 조회 조건값의 입력부분에 대한 디자인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조회조건 설정모듈(112)은 텍스트 박스(Text box) 이외에도, 콤보 박스(Combo box), 팝업 폼(Popup form), 날짜박스(Date box), 숫자 박스(Number box), 체크 버튼(Check button) 및 라디오 버튼(Radio button) 등의 다양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드 설정모듈(113)은, 조회된 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될 모델, 즉 그리드(Grid)의 레코드(Record) 및 필드(field) 속성(Attribute)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ERP 시스템에서 조회된 각 데이터들은 그리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리드 설정모듈(113)은 데이터 조회화면에서 데이터의 표시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받게 된다. 일예로서, 입력된 설정값은 SQL 정보에 포함된 SQL 구문의 SELECT 절의 레코드들에 대한 필드들을 매핑시키며 각 필드에 대한 속성을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그리드 설정모듈(113)에서 제공하는 GUI로는 텍스트 박스를 비롯하여, 숫자 박스, 날짜 박스 및 체크박스 등이 있다.
특히, 조회결과화면에서 그리드는 복수개로 구분되어 하나의 화면상에서 각 그리드가 두 개의 윈도우 폼(Window form)으로 나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는 하나의 윈도우 폼에 포함되는 것이 아닌 별도의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속성을 그리드 설정모듈(113)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조회결과 화면내 윈도우 폼은 XML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등록모듈(114)은 전술한 모듈들을 통해 입력받은 SQL 정보, 조회 조건값 및 그리드 설정값에 대응하여 독립적인 하나의 설정모듈을 생성하고 이를 ERP 운용부(210)에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 ERP 운용부(210)의 프로그램 등록모듈(215)은 수신한 설정모듈을 업무처리모듈(211)에 등록요청하여 기 설정된 다수의 업무모듈들과 같이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데 이용되도록 한다. 등록된 설정모듈은 SQL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실행시 타 업무모듈과 동일하게 데이터베이스(22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타 업무모듈들과 동일한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업무수행시 생성된 설정모듈을 호출하여 자신이 설정한 업무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ERP 서버에 기 정의된 업무처리모듈들과 연계되어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설정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구동방법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 기업에 속한 최종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업무추가 기능을 실행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편집을 위한 등록설정화면을 표시하게 된다(S100).
다음으로,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SQL 등록모듈은 등록설정화면(300)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SQL 정보를 입력받는다(S110). 이때, 등록설정화면(300) 상에는 기 작성된 SQL 예문이 텍스트 박스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SQL를 수정하는 형태로 SQL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QL 정보 등록을 위한 등록설정화면(300)에는 SQL ID, SQL 유형, SQL 설명 및 SQL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는 UI박스(310 ~ 340)가 배치되어 있다. SQL ID 입력박스(310)에는 사용자가 등록한 복수의 SQL 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를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SQL 유형박스(320)는 리스트 박스형태로 기 정의된 SQL 유형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SQL 설명박스(330)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등록하고자 하는 SQL에 대한 설명을 기재할 수 있다.
그리고, SQL 내용박스(340)에는 기본 SQL 구문이 텍스트 박스내에 텍스트 형태로 기재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기본 SQL 구문을 수정하여 업무에 필요한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SQL 정보입력이 완료되면,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회조건 모듈은 등록설정화면상에 복수의 GUI 콘트롤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조회 조건값을 입력받기 위한 하나이상의 콘트롤을 등록한다(S120).
조회 조건값의 콘트롤 등록과 관련된 등록설정화면(400)은 모델ID 및 모델명을 입력 받는 텍스트 박스(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이상의 콘트롤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속성 입력창(4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의 속성 입력창(420)의 필드로는 콘트롤 ID, 유형, 위치속성, 기본값, 및 텍스트 속성 등이 있으며, 데이터의 조회화면에서 이러한 콘트롤의 속성의 기초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SQL 정보에 입력하게 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c를 참조하면, 그리드 설정모듈은 조회된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사용자는 그리드를 복수개 설정할 수도 있고, 조회결과 화면 상에서 팝업 형태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S130).
이러한 그리드 설정단계(S130)에서 등록설정화면(500)은 그리드 모델ID 및 모델명을 입력받기 위한 텍스트 박스(510)와, 그리드의 그룹 및 컬럼(레코드)의 이동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라디오 버튼(5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리드 모델ID 별로 각각의 순서, 유형, 너비 및 정렬 등에 대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속성입력창(5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속성입력창(530)의 필드값을 변경하여 화면환경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으며 조회결과 화면에서 그리드는 하나이상의 폼으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등록설정화면(500)에는 조회결과 화면에서 데이터의 각 행에 대한 색상과, 필드들의 표시순서를 변경하는 설정창(540)을 더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d를 참조하면, 프로그램 등록모듈은 등록설정화면상에 각 설정모듈이 입력받은 SQL 정보, 조회 조건 및 그리드 설정값을 취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설정모듈을 생성하고, ERP 서버에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S140).
도 5d는 프로그램 등록모듈이 설정모듈을 프로그램 등록하는 단계에서 제공하는 등록설정화면(60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는 설정모듈의 유형, 메뉴속성 및 팝업유무 선택박스(610)를 통해 설정모듈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등록설정화면(600)은 설정모듈의 실행시 조회결과 화면에서 표시되는 그리드의 종류, 메뉴ID, 조회 조건 입력을 위한 콘트롤, 대응되는 SQL ID, 그리드에 대한 Master 모델, Master-Detail 모델 및 Detail 모델에 대한 크기 및 정렬방식 등에 대한 속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6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설정화면(600)에는 데이터 조회시 표시되는 숫자들에 대한 자리수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정의 숫자 포맷창(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설정창을 통해 조회 및 결과 화면에 대하여 자신의 업무에 적절한 업무환경을 설정할 수 있고, 이는 프로그램 모듈화되어 EPR 시스템에 등록됨에 따라 새로운 업무 프로세스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10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110 : SQL 등록모듈
112 : 조건설정모듈 113 : 그리드 설정모듈
114 : 프로그램 설정모듈 210 : ERP 운용부
211 : 업무처리모듈 215 : 프로그램 등록모듈
220 :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데이터베이스 및 ERP 운용부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과 연동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나이상의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텍스트 형태인 SQL ID, SQL 유형, SQL 설명, 및 SQL 내용을 포함하는 SQL 정보를 설정하는 SQL 입력모듈;
    상기 SQL 정보에 대한 조회 조건값의 입력을 위한 하나이상의 콘트롤을 설정하기 위하여, 화면상에 콘트롤 ID, 유형, 위치, 기본값, 텍스트 속성 필드를 포함하는 콘트롤 속성을 설정하도록 하는 속성 입력창을 표시하는 조회조건 설정모듈;
    상기 데이터의 수신시, 그리드 폼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리드 설정값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화면상에 그리드 모델 ID 및 모델명 입력을 위한 텍스트 박스, 그리드 그룹 및 컬럼의 이동 속성을 설정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 및 상기 그리드 모델별로 각각의 순서, 유형, 너비, 및 정렬에 대한 속성을 설정하기 위한 속성 입력창을 표시하는 그리드 설정모듈; 및
    상기 SQL 정보, 설정된 콘트롤 및 그리드 설정값에 대응하여 하나의 독립적인 설정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설정모듈을 기 등록된 업무모듈에 추가적인 업무모듈로 등록하는 프로그램 등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QL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SQL 정보는,
    SQL 식별자 및 SQL 코드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은,
    콤보박스, 텍스트박스, 팝업 폼, 날짜박스, 숫자박스 및 라디오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폼은,
    두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폼은, 적어도 하나가 팝업 형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등록모듈은,
    상기 ERP 운용부에 요청하여 상기 설정모듈을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업무모듈로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60070668A 2016-06-08 2016-06-08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KR10181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668A KR101815561B1 (ko) 2016-06-08 2016-06-08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668A KR101815561B1 (ko) 2016-06-08 2016-06-08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781A Division KR101855251B1 (ko) 2017-12-29 2017-12-29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643A KR20170138643A (ko) 2017-12-18
KR101815561B1 true KR101815561B1 (ko) 2018-01-08

Family

ID=6092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668A KR101815561B1 (ko) 2016-06-08 2016-06-08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050B1 (ko) 2019-11-13 2021-05-12 주식회사 팩앤롤 스마트 공장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자동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686B1 (ko) * 2018-12-28 2021-01-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업무 화면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393A (ja) * 2001-01-19 2002-08-02 Reed Rex:Kk 業務アプリケーション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5393A (ja) * 2001-01-19 2002-08-02 Reed Rex:Kk 業務アプリケーション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050B1 (ko) 2019-11-13 2021-05-12 주식회사 팩앤롤 스마트 공장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자동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643A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7777B2 (en) Common semantic model of management of a supply chain
CN103593174B (zh) 用于可修改的业务对象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介质
US20090319544A1 (en) Facilitating integration of different computer data systems
US20080208661A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n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Stefanović et al. Supply chain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based on scorecards and web portals
Nogués et al. Business Intelligence Tools for Small Companies
US20100262557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s in process-driven environments
US8645431B2 (en) Multi-level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CN107578217B (zh) 一种工作电子流自主生成方法、装置及办公管理系统
US20170076305A1 (en) Extensibility for sales predictor (spe)
KR101815561B1 (ko)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KR101855251B1 (ko)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JP2005310175A (ja) 基幹業務統合型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基幹業務支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1657218B2 (en) Custom template generation using universal code
US20140149186A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KR100743150B1 (ko) 작성 목적에 따른 기술 로드맵 자동 생성 시스템
KR20150065292A (ko)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erp 프로그램 자동변환방법
Fletcher et al. Workflow Management with SAP® WebFlow®: A Practical Manual
US11113322B2 (en) Dynamically generating strategic planning datasets based on collecting, aggregating, and filtering distributed data collections
Kepczynski et al. Enable IBP with SAP integrated business planning
Hoffman Management of enterprise-wide systems integration programs
Peksa Autonomous Data-Driven Integration into ERP Systems
MacPherson Information Technology Analysts’ Perspectives
KRISHNAN et al.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Implementation, technical issues, causes and impacts
Liepold et al. SAP ERP HCM: Technical Principles and Program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