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104B1 -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104B1
KR101815104B1 KR1020160103170A KR20160103170A KR101815104B1 KR 101815104 B1 KR101815104 B1 KR 101815104B1 KR 1020160103170 A KR1020160103170 A KR 1020160103170A KR 20160103170 A KR20160103170 A KR 20160103170A KR 101815104 B1 KR101815104 B1 KR 10181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k
link capacitor
switch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1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Measuring mean values of current or voltage during a given time inter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C link capacitor for smoothing AC power inputted from the outside; a switch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DC link capacitor and a power source and connects the DC link capacitor to the power source if a user input is received;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a DC link voltag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DC link capacitor; and a control unit which detects the change of the DC link voltage sensed in the first sens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based on the detected change, and turns on or of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whether a power button is applied by using the voltage change of both ends of the DC link capacitor even if an AC pulse is not applied through a relay.

Description

전원 구동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0001]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전원 구동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전원을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키위한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특히,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를 때마다 전자기기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킨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driving device for turning on or off a power source of an electronic device. Particularly, the analog power source driving device turns on or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는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교류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전원을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Generally, the analog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can determine whether the power button is applied or not according to whether the AC power is applied using the photocoupler, and turn on or off the pow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특히, 소정 값 이상의 대기 전력이 요구되는 전자기기에 구비된 전원 구동 장치는, 포토 커플러와 교류전원 사이에 릴레이를 구비하며, 릴레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만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Particularly,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provided in an electronic apparatus requiring a standby power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has a relay between a photocoupler and an AC power source, and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power button is applied only when the relay is closed.

한편, 전원 구동 장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평활화하기 위해 직류 링크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를 구비한다. 전자기기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인가되어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 전자기기는 일정 시간동안 직류 링크 커패시터에 인가된 전압을 소비한 후에 비로소 완전히 턴 오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drive apparatus includes a DC link capacitor for smoothing the AC power to DC. When the power butt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n and the power button is turned of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mpletely turned off after consum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DC link capacit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즉, 전자기기는 전원 버튼이 인가된 후 릴레이가 오픈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에 걸린 전압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can gradually decrease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relay is opened after the power button is applied.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에 걸린 전압이 감소 중인 때에는, 전원 버튼이 인가되더라도 릴레이가 오픈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전자기기가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is being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not detect whether or not the power button is applied, because the relay is open even if the power button is applied.

즉, 전자기기의 턴온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인가되어 턴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재차 인가하더라도 전자기기가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검출할 수 없는 무감 구간이 발생된다.That is, during the turn-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while the power button is turned on and turned off, a non-response period occurs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can not detect whether or not the power button is applied even if the user again applies the power button.

특히, 전자기기에 구비된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용량이 클수록,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에 걸린 전압을 모두 소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므로, 상기 무감 영역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한다.Particularly, the larger the capacity of the DC link capacitor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the longer the time taken to consume the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DC link capacitor, so that the non-sensitive area increases and inconveniences the us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에 구비되어, 전자기기에 교류전원을 전달하는 릴레이가 오픈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원 구동 장치의 전원 버튼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전원 구동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alog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power button of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is applied even when a relay for transmitting AC power to an electronic apparatus is open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전원 버튼이 인가되어도, 상기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감지할 수 없는 무감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 구동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an unappealing period in which it is im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ower button is applied even when a power butt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alog typ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is applied,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가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 변화를 이용하여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전원 구동 장치 및, 상기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power button is applied by using a voltage change across a DC link capacitor of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alog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nd to provide a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원을 평활화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는 스위치,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에 인가되는 직류 링크 전압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전자기기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including: a DC link capacitor for smoothing an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a power supply unit disposed between the DC link capacitor and the power supply,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a DC link voltage applied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and a second sensing unit sensing a change in the DC link voltag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and turning on or of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동안 기준 값 이상 증가하면,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DC link voltage increases by a reference value or mor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방전이 시작되면,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중에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이 상승하면,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onitors the DC link voltage when the DC link capacitor starts discharging, and determines that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DC link voltage rises during monitoring.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 감지부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값을 감지하고, 상기 기 설정된 주기마다 현재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과, 이전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 현재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 값과 이전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senses the value of the DC link voltage using the first sensing unit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detects the DC link voltage sensed in the current period every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DC link voltage sensed in the previous period The average value of the link voltage is calculated,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current period is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period, and whether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로부터 압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도록 기계식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witch is formed of a mechanical switch to connect the power source to the DC link capacitor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와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와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witch further includes a rela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for connecting the DC link capacitor to the power source, and a second sens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relay and the DC link capacitor for sensing whether the power source is applied or not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가 턴오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턴온 상태로 전환되고, 턴온 상태로 전환된 제어부는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is turned on when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while the controller is turned off, and the controller, which is turned on, turns on the relay to connect the DC link capacitor to the power source. Is turned 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전원이 전기적으로 차단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릴레이를 오프시키고, 턴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ower source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and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ower source are disconnected, The relay is turned off, and the relay is turned off.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검출하고, 이후에 상기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cts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ower source are disconnected, and then turns off the relay.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가 오프된 후,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방전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after the relay is turned off, the discharge of the DC link capacitor is started.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가 오픈된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인가되어 상기 릴레이를 통해 AC 펄스가 인가되지 않더라도, 전원 구동 장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 변화를 이용하여,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ower button is applied while the relay is open so that no AC pulse is applied through the relay, the power supply drive detects whether the power button is applied or not by using the voltage chan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별도의 센서나 모듈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검출할 수 없는 무감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alog type power supply driving device, without adding a separate sensor or module, Can be minimized.

이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alog typ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nd to improve the user convenienc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전원 버튼이 인가되었음에도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지 않는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malfunction that is not turned on or turned off even though the power button is appli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alog power supp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전원 버튼이 인가될 때,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양단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when the power button of th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a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 Also,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ly disclosed subject matter belo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broader sense, or interpreted in an oversimplifi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which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Also,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mea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전원 구동 장치(100)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electronic apparatuses having a DC link capacitor.

전원 구동 장치(100)는 스위치부(110), 릴레이부(120), 평활부(130), 전원부(140), 제1 감지부(150), 제2 감지부(160) 및 제어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witch unit 110, a relay unit 120, a smoothing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 first sensing unit 150, a second sensing unit 160, Or the like.

전원부(140)는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교류(AC) 전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40)는 정류부(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정류부는 전원부로부터 인가받은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may be formed of an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a rectification unit (not shown), and the rectification unit may rectify the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convert it into a DC voltage.

스위치부(110)는 전원부(140)와 평활부(1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10)는 전자기기의 전원 버튼에 대응될 수 있다.The switch unit 11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smoothing unit 130. The switch unit 110 may correspond to a power button of the electronic device.

즉,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부(110)는 소정의 압력을 인가받으면, 전원부(140)와 평활부(130)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기계식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110)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부(110)는 개방될 수 있다.2, when the switch unit 110 receives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switch unit 110 may be formed of a mechanical switch so as to connect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smoothing unit 130 together. When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the switch unit 110 can be opened.

릴레이부(120)는 상기 스위치부(110)와 병렬로 배치되어, 전원부(140)와 평활부(1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릴레이부(120)는 제어부(18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신호에 의해 오픈 또는 쇼트될 수 있다.The relay unit 12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unit 110 to connect the power unit 140 and the smoothing unit 130. The relay unit 120 can receive a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and can be opened or shorted by the driving signal.

평활부(130)는 스위치부(110) 또는 릴레이부(120)를 통해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평활부(130)는 인가받은 전원을 평활화하고 저장할 수 있다.The smoothing unit 13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unit 140 through the switch unit 110 or the relay unit 120. [ The smoothing unit 130 may smooth and store the supplied power.

일 실시예에서, 평활부(130)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일 수 있다. 직류 링크 커패시터에 의해 평활된 직류전압은 전자기기의 모터(미도시) 또는 인버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oothing unit 130 may be a DC Link Capacitor. The DC voltage smoothed by the DC link capacitor can be transmitted to a motor (not shown) or an inverter (not shown) of the electronic device.

제1 감지부(150)는 평활부(130)에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거나, 평활부(130)에 인가된 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부(150)는 복수의 저항을 구비하는 전압분배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150 may detect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moothing unit 130 or may sense a magnitude of a voltage applied to the smoothing unit 130. 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unit 150 may be formed of a voltage divider having a plurality of resistors.

제1 감지부(150)는 평활부(130)에 포함된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150 sense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included in the smoothing unit 130 and may transmit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80.

제2 감지부(160)는 릴레이부(120)를 통해 전원부(140)의 입력전원이 평활부(130)로 전달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160 may sense whether the input power of the power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smoothing unit 130 through the relay unit 120. [

예를 들어, 제2 감지부(160)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이다. 이 경우, 제2 감지부(160)는 릴레이부(120)가 폐쇄됨으로써 전원부(140)와 제2 감지부(1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2 감지부(160)는 전원부(14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광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ensing unit 160 is a photocoupler.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unit 160 by closing the relay unit 120, the second sensing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unit 140 Converts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180.

제어부(180)는 제1 감지부(150)로부터 수신한 신호와, 제2 감지부(160)로부터 수신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턴온되거나 턴오프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be turned on or off using at least on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150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16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turn on or off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ignal.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턴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부(110)에 일정한 압력은 인가하면, 스위치부(110)는 폐쇄되어 전원부(140)와 직류 링크 커패시터를 연결시키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applies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switch unit 110 in the turn-off stat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switch unit 110 is closed to connect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DC link capacitor.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연결된 제1 감지부(150)는 감지된 전압 값을 제어부(180)에 전달하며, 이때 오프 상태인 제어부(180)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The first sensing unit 150 connected to the DC link capacitor transmits the sensed voltage value to the controller 180, and the controller 180 in the off state is turned on.

온 상태로 전환된 제어부(180)는 개방 상태인 릴레이부(120)가 폐쇄되도록, 상기 릴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부(110)에 인가하던 압력을 해제하더라도, 직류 링크 커패시터는 상기 릴레이부(120)를 통해 전원부(14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부(110)를 누르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전원부(140)와 직류 링크 커패시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which has been turned on, can control the relay unit 120 so that the relay unit 120 in an open state is closed. Therefore, even if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the DC link capacitor can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40 through the relay unit 120. That is, even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switch unit 110,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DC link capacito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아울러, 릴레이부(120)가 폐쇄되면, 제2 감지부(160)는 전원부(140)로부터 교류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교류 신호를 소정의 광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변환된 광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원부(140)가 정상적으로 직류 링크 커패시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lay unit 120 is closed, the second sensing unit 160 receives the AC signal from the power unit 140 and converts the received AC signal into a predetermined optical signal. The control unit 180 can determine that the power supply unit 140 normally supplies power to the DC link capacitor by receiving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제어부(180)는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에 근거하여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전자기기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detects a change in the DC link voltag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determines whether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based on the detected change, It can be turned on or off.

또한,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동안 기준 값 이상 증가하면,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DC link voltage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캐패시터의 방전이 시작되면,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중에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이 상승하면,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monitor the DC link voltage when the DC link capacitor starts discharging, and may determine that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DC link voltage rises during monitoring .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의 턴오프 상태에서,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턴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턴온 상태로 전환된 제어부는 직류 링크 캐패시터와 전원부(140)를 연결시키도록 릴레이부(120)를 온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n a turned off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180 may be turned on when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 The control unit turned on may turn on the relay unit 120 to connect the DC link capacitor and the power supply unit 140. [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의 턴온 상태에서,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제2 감지부(160)와 전원부(140)가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감지부(160)와 상기 전원부(140)가 차단되면, 릴레이부(120)를 오프시키고, 턴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감지부(160)와 상기 전원부(140)가 차단되면,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검출하고, 이후에 상기 릴레이부(120)를 오프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unit 160 and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when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in a turned-on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ler 180 turns off the relay unit 120 and can be turned off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160 and the power unit 140 are disconnected.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160 and the power supply unit 140 are disconnected, the control unit 180 may detect the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n turn off the relay unit 120. [

한편,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전원 버튼이 인가될 때,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양단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된다.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voltage across a DC link capacitor when the power button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 또는 제어부(180)의 턴온 상태에서, 스위치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전자기기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3, when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control unit 180 is turned on, the switch unit 110 receives a user input. When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The device can be turned off.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턴온 상태인 제1 시점(t0)에서 스위치부(110)의 전원버튼은 전자기기를 턴오프 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button of the switch unit 110 may be supplied with a user input for turning off the electronic device at a first time point t0, which is the turn-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1 시점(t0)에서 스위치부(110)가 쇼트되면, 릴레이부(120)가 온 상태이더라도, 릴레이부(120) 내부의 저항 때문에, 전원부(120)와 제2 감지부(16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스위치부(110)와 릴레이부(120)가 동시에 쇼트되면, 릴레이부(120)의 내부 저항 때문에, 릴레이부(12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스위치부(110)에만 전류가 흐를 수 있다.If the switch unit 110 is short-circuited at the first time point t0, even if the relay unit 120 is in the ON state, the resistance between the power source unit 12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160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an be cut off. That is, when the switch unit 110 and the relay unit 120 are simultaneously short-circuited,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relay unit 120 due to internal resistance of the relay unit 120, and current can flow only through the switch unit 110 .

이 경우, 제어부(180)는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됨으로써 릴레이부(120)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면, 제2 감지부(160)의 출력 신호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제2 감지부(160)의 출력 신호가 변화하면, 전자기기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스위치부(110)에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 can detect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unit 160 whe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lay unit 120 is cut off by applying a user input to the switch unit 110. In addition,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sensing unit 160 changes,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a user input for turning off the electronic device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제어부(180)는 턴오프 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제1 시점(t0) 이후인 제2 시점(t1)에 릴레이부(12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시점(t0)으로부터 제1 시간간격(I1)이 경과한 후인 제2 시점(t1)에 릴레이부(120)를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turn off the relay unit 120 at a second time point t1 after the first time point t0 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turn off the relay unit 120 at the second time point t1 after the first time interval I1 elapses from the first time point t0.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시점(t1) 이후 상기 제1 시간간격(I1) 동안,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 값을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measure the standby power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during the first time interval I1 after the first time point t1.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릴레이부(120)가 오프된 이후,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은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감소하는 도중에, 스위치부(110)의 전원버튼에 전자기기를 다시 턴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전원부(140)와 직류 링크 커패시터가 연결되므로,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다시 상승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fter the relay unit 120 is turned off,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may gradually decrease. When a user input for turning on the electronic device again is applied to the power button of the switch unit 110 during the decrease of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since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DC link capacitor are connected, The voltage may rise again.

즉,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감소하는 제3 시점(t2)에서, 전자기기의 다시 턴온 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동안 상승할 수 있다.That is, at a third time point t2 when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decreases, when a user input for turning the electronic device on again is applied,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may rise while the user input is applied .

참고로, 이하에서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정의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can be defined as a DC link voltage.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부(180)는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전자기기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of th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hange in the DC link voltag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and determines whether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based on the detected chang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동안 기준 값 이상 증가하면, 상기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기기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DC link voltage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the control unit 180 may turn the electronic device on or off.

즉,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방전이 시작되면,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방전이 시작되는 제2 시점(t1) 이후부터 직류 링크 전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ler 180 can monitor the DC link voltage when the discharge of the DC link capacitor starts.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80 may monitor the DC link voltage from a second time point t1 at which the discharge of the DC link capacitor starts.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중에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이 상승하면,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DC link voltage rises while monitoring the DC link voltage.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시점(t1) 이후에, 직류 링크 전압을 검출하는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80 may decrease the period for detecting the DC link voltage after the second time point t1.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시점(t1) 이후에, 직류 링크 전압을 기 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주기마다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을 버퍼(Buffer, 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주기마다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sense the DC link voltag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second time point t1, and may detect the DC link voltage for each period in a buffer (not shown) Can be stored. The control unit 180 can calculate the rate of change of the DC link voltage every period.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제1 감지부(150)을 이용하여 직류 링크 전압의 값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현재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과, 이전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현재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 값과 이전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스위치부(110)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sense the value of the DC link voltage using the first sensing unit 150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controller 180 may calculate the average value of the DC link voltage sensed in the current period and the DC link voltage sensed in the previous period every predetermined period. Also, the controller 180 compares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current period with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period,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unit 11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이하의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In the following FIG. 4, an embodiment related to a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어부(180)는 전자기기의 턴온 상태에서, 스위치부(110)의 전원버튼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전자기기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S401).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power button of the switch unit 110 in the turned-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180 can start the operation to turn off the electronic device (S401).

즉, 상기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직후, 제어부(180)에 구비된 LED는 오프될 수 있다(S402). 또한, 제어부(180)는 전자기기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후 소정의 시간 간격동안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That is, immediately after the user input is applied, the LED provided in the controller 180 may be turned off (S402). Also, the controller 180 may measure the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user input for turning off the electronic device is applied.

또한, 제어부(180)는 릴레이부(120)를 오프시킬 수 있다(S403). 즉, 제어부(180)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후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하면, 쇼트 상태인 릴레이부(120)가 오픈되도록 상기 릴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80 can turn off the relay unit 120 (S403).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relay unit 120 to open the relay unit 120, which is in a short state,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has elapsed after the user input for turning off the device is applied.

아울러,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 전압의 방전이 시작될 수 있다(S404).In addition, discharge of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can be started (S404).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 전압의 방전이 시작된 이후,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 전압이 상승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5).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rises after the discharge of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is started (S405).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 전압이 상승하지 않으면, 전자기기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S406).If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does not rise, the control unit 180 can turn off the electronic device (S406).

반면,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 전압이 상승하면, 전자기기를 턴온시킬 수 있다(S407).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ta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rises, the controller 180 can turn on the electronic device (S407).

이하의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구동 장치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직류 링크 전압의 상승 여부를 판단하는 상세한 방법에 대해 설명된다.5, another embodiment related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upply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pecifically, in FIG. 5, a detailed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DC link voltage rises is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전압의 방전이 개시된 후 직류 링크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S501).As shown in FIG. 5, the controller 180 may sense the DC link voltage after the discharge of the DC link voltage is started (S501).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 감지부(150)를 이용하여 직류 링크 전압의 크기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주기마다 전원 공급 장치의 메모리부(미도시) 또는 버퍼에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 값을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may sense the magnitude of the DC link voltage at predetermined intervals using the first sensing unit 150. The control unit 180 may store the detected DC link voltage value in the memory unit (not shown) of the power supply unit or the buffer every period.

또한, 제어부(180)는 이전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 값과, 현재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 값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S502).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alculate an average of the DC link voltage sensed at the previous period and the DC link voltage sensed at the current period (S502).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복수의 주기 동안 감지된 복수의 직류 링크 전압 값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고, 평균값이 산출될 때마다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may calculate an average of a plurality of DC link voltage values sensed for a plurality of periods, and may store the DC link voltage values in the buffer every time the average value is calculated.

아울러, 제어부(180)는 이전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과 현재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S503).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mpare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cycle with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current cycle (S503).

제어부(180)는 현재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이 이전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보다 작으면, 현재 산출된 평균값을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S504).If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current period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period, the controller 180 may store the currently calculated average value in the buffer (S504).

반면, 제어부(180)는 현재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이 이전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보다 크면, 전자기기를 턴온시킬 수 있다(S505).On the other hand, if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current period is larger than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period, the controller 180 can turn on the electronic device (S505).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503)를 복수회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현재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이 이전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값보다 큰 것으로 소정 횟수 이상 판단되면, 전자기기를 턴온시키도록 릴레이부(120)를 쇼트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the step S503 of comparing the magnitudes of the average values a plurality of times.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current period is larger than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cycle, the controller 180 may short the relay unit 120 to turn on the electronic device.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직류 링크 전압을 감지하는 단계(S501), 직류 링크 전압 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S502), 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503)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repeatedly performs step S501 of sensing the DC link voltage,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DC link voltage values (S502), and comparing the magnitudes of the average values (S503) .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평균값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503)를 수행하여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값을 초과하면, 전자기기를 턴온시키도록 릴레이부(120)를 쇼트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calculate the rate of change of the DC link voltage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average value (S503). If the calculated rate of change exceeds the reference rate of change value, the controller 180 turns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relay unit 120 can be short-circuited.

본 발명에 따르면, 릴레이가 오픈된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인가되어 상기 릴레이를 통해 AC 펄스가 인가되지 않더라도, 전원 구동 장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 변화를 이용하여,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ower button is applied while the relay is open so that no AC pulse is applied through the relay, the power supply drive detects whether the power button is applied or not by using the voltage change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The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별도의 센서나 모듈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전원 버튼의 인가 여부를 검출할 수 없는 무감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nalog type power supply driving device, without adding a separate sensor or module, Can be minimized.

이에 따라,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alog type power supply driving apparatus, and to improve the user convenienc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방식의 전원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가 전원 버튼이 인가되었음에도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지 않는 오작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malfunction that is not turned on or turned off even though the power button is applied to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alog power supply.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원을 평활화하는 직류 링크 커패시터;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는 스위치;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 양단에 인가되는 직류 링크 전압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스위치와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는 릴레이;
상기 전원의 인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전자기기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저항을 구비하는 전압분배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릴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포토 커플러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광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소정의 주기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방전이 개시되면,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주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시간간격 동안 기준 값 이상 증가하면,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구동 장치.
A DC link capacitor for smoothing an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A switch disposed between the DC link capacitor and the power supply for connecting the DC link capacitor to the power supply 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thereto;
A first sensing unit sensing a DC link voltage applied across the DC link capacitor;
A rela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for connecting the DC link capacitor to the power supply;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power source is applied or not; And
Detecting a change in the DC link voltag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Determining whether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based on the detected change, and turning on or of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Wherein the first sensing unit is formed of a voltage divider having a plurality of resistors disposed between the DC link capacitor and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second sensing unit is formed of a photocoupler disposed between the DC link capacitor, the controller, and the relay, and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power source into an optical signal when th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Monitoring the DC link voltage at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discharge of the DC link capacitor is started, a period for monitoring the DC link voltage is reduced,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DC link voltage increases by more than a reference valu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제1 감지부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 링크 전압의 값을 감지하고,
상기 기 설정된 주기마다 현재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과, 이전 주기에서 감지된 직류 링크 전압의 평균 값을 산출하고,
현재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 값과 이전 주기에서 산출된 평균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etecting the value of the DC link voltage by using the first sensing unit every predetermined period,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the DC link voltage sensed in the current period and the DC link voltage sensed in the previous period every predetermined period,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current cycle is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cycle,
And determines whether a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로부터 압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도록 기계식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nd a mechanical switch for connecting the DC link capacitor to the power supply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us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턴오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턴온 상태로 전환되고,
턴온 상태로 전환된 제어부는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와 전원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릴레이를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while the control unit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is turned on,
And the control unit turned to the on-state turns on the relay to connect the DC link capacitor to the power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턴온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에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전원이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릴레이를 오프시키고, 턴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구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 uni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is applied to the switch,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ower source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Wherein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relay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ower source are disconnected, and is turned of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검출하고, 이후에 상기 릴레이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구동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ower source are disconnected, and then turns off the rela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가 오프된 후, 상기 직류 링크 커패시터의 방전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구동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discharge of the DC link capacitor is started after the relay is turned off.
KR1020160103170A 2016-08-12 2016-08-12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15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70A KR101815104B1 (en) 2016-08-12 2016-08-12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70A KR101815104B1 (en) 2016-08-12 2016-08-12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104B1 true KR101815104B1 (en) 2018-01-05

Family

ID=6100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70A KR101815104B1 (en) 2016-08-12 2016-08-12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10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479A (en) * 1998-07-02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ash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479A (en) * 1998-07-02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4891B2 (en) Driving device
KR101936220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f insulation resistance
KR101689993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malfuction of relay
KR101764735B1 (en) Driving circuit for leak detecting sensor
US848833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US9559597B2 (en) Detecting open connection of auxiliary winding in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O2019021479A1 (en) Inverter device and inverter device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EP30368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oltage threshold for battery by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sensor circuit for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KR20070106912A (en)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KR202001091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Of Pre-Charging Relay Of Inverter
CN110677056A (en) Power supply device with electrolytic capacitor
CN109792391B (en) MPS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15104B1 (en) Power dr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725521B2 (en) Power sav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nsing standby current
KR200431523Y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KR20080017157A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US6535405B2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two AC power inputs
JP2011188627A (en) Inverter apparatus
CN107528460B (en) Frequency converter soft start circuit and frequency converter comprising same
CN111342559B (en) Wireless power supply voltage control method and device
JP2972653B2 (en)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JP6773372B2 (en) Interface circuit
JP2020145809A (en) Power converter
JP6699394B2 (en) Control device
KR20160118445A (en) Apparatus for detec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abnorm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