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376B1 - 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376B1
KR101814376B1 KR1020170019784A KR20170019784A KR101814376B1 KR 101814376 B1 KR101814376 B1 KR 101814376B1 KR 1020170019784 A KR1020170019784 A KR 1020170019784A KR 20170019784 A KR20170019784 A KR 20170019784A KR 101814376 B1 KR101814376 B1 KR 10181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reducer
head
support portion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순미
Original Assignee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김순 filed Critical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3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3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prinkler having an elevating device for adjustment of the height of a head. The sprinkl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an interlayer wall and a finishing ceiling and has an eleva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head that sprays fire-fighting water supplied from a main water supply pipe, comprises: a reducer for firefight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a height adjusting pipe coup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ducer for firefighting and the sprinkler hea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reducer for firefighting to fix the reducer to the interlayer wall; a height adjusting unit coupled to a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and moving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nd a second bracket having one end fastened to the reducer for firefighting to support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Description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g cooler having a lift height adjustment head for a head,

본 발명(Disclosure)은,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소방용 레듀사와 주급수관 사이에 별도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중간이음관 없이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 관한 것이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ink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h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rinkler having a head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nd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the sprinkler.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in, the background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y are not necessarily referred to as known arts.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 진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비록 소방차가 신속하게 출동하여 고가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고 하더라도, 화재가 번지기 전에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가 발생한 층까지 고가 사다리차를 운행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As the building becomes bigger and bigger,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suppressing the fire when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Even if a fire truck is dispatched quickly and the fire is suppressed by using a high-priced ladder, it takes a long time before a fire breaks out and a high-priced ladder car runs to the fire floor.

더욱이, 건물의 내부 깊숙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불길을 진화하기가 쉽지 않다.Furthermore, it is not easy to evacuate the flames if a fire occurs in a place deep inside the building.

이에 따라 새로운 화재진압기구가 실용화되고 대중화되고 있다. 특히,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천장패널의 소정위치에 스프링쿨러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As a result, new fire suppression devices are put into practical use and popularized. Especially, in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a sprinkler is mandator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ceiling panel.

천장패널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스프링쿨러는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 발생으로 설정된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되어 건물 각 층의 천장에서 바닥 방향으로 높은 수압의 물을 살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는 역할을 한다. The sprinkl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eiling panel is automatically operated when a temperature set as a fire occurrence is sensed by a temperature sensor and sprayed with water having a high water pressure in the ceiling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the world.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프링쿨러 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conventional sprinkler connect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1은 종래의 일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sprinkl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nd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sprinkler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method.

먼저, 종래의 일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설치를 위해 주급수관(11), 분지급수관(12), 고정파이프(13), 및 연결파이프(14)가 층간 벽체(W)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급수관(11)은 외부로부터 천장(P) 내부로 급수를 공급하고, 분지급수관(12)은 주급수관(11)으로 부터 공급된 급수를 이송한다. 고정파이프(13)는 분지급수관(12)의 하단에 연결파이프(14)를 결합시키며, 연결파이프(14)는 고정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스프링쿨러 헤드(15)가 마감 천장(P)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연결파이프(14)는 상단의 외주면과 하단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단에는 고정파이프(3)가 나사결합 되도록 하고 하단에는 스프링쿨러 헤드(15)가 나사결합 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파이프(14)는 건축설계도에 따른 분지급수관(12)의 하단과 마감 천장(P) 사이의 높이(h)에 맞추어 이미 제작이 완료되어 있어, 현장에서 그대로 시공되는 것이 통상적이다.First, as shown in FIG. 1, a sprinkl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cludes a main water pipe 11, a branch water pipe 12, a fixed pipe 13, and a connecting pipe 14, (W) and the closing ceiling (P). The main water supply pipe 11 supplies water from the outside into the ceiling P and the branched water supply pipe 12 transfer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11. [ The fixed pipe 13 connects the connecting pipe 14 to the lower end of the branched water supply pipe 12 and the connecting pipe 14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fixed length so that the sprinkler head 15 is connected to the exterior of the closing ceiling P .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ipe 14 is formed with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so that the fixing pipe 3 is screwed to the upper end and the spring cooler head 15 is screwed to the lower end. The connection pipe 14 is alread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height 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ranch water supply pipe 12 and the finishing ceiling P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design,

그러나, 실제 건축 현장에서는 분지급수관(12)의 하단과 마감 천장(P) 사이의 높이(h)가 건축설계도와 동일하지 않고 50mm 내외의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이때마다 공차범위에 맞추어 새로운 연결파이프를 절단한 후 나사 가공하여 재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actual construction sites, the height 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ranch water supply pipe 12 and the finishing ceiling P is not the same as the architectural design diagram, and a tolerance of about 50 mm is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new connecting pipe is cut and then threaded and recombined.

또한,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입주자가 마감 천장(P)에 인테리어 작업을 위해 판재(미도시) 등을 덧대는 경우, 이미 설치된 스프링쿨러 헤드(15)는 판재 등의 내측으로 묻혀버려 소방안전점검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이때마다 판재 등의 일부를 천공하고 새로운 연결파이프를 사용하여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resident pads a plate material (not shown) for interior work on the finished ceiling P after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the already installed sprinkler head 15 is buried inside the plate material, .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art of the plate material or the like is punctured every time and a new connecting pipe is used for reworking.

더욱이, 이러한 반복적인 재시공에 의해 분지급수관(12)에 나사결합된 고정파이프(13)와 연결파이프(14)는 유격 및 마모가 생기기 쉬우며, 그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the fixed pipe 13 and the connecting pipe 14, which are screwed to the branched water supply pipe 12 by such repetitive re-work, are liable to cause clearance and abrasion, thereby causing leakage.

다음에, 시공회사에 따라 건물의 천장높이가 상이하여 스프링쿨러의 헤드를 마감 천장 높이에 맞추기 위한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급수관(21), 중간이음관(22)과 소방용 레듀샤(23)를 층간 벽체(W)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차례로 연결 설치한다. Next,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sprinkler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method for adjusting the ceiling height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mpany to match the ceiling height of the ceiling of the sprinkler includes a main water pipe 21 The intermediate ear pipe 22 and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23 are sequentially connected between the interlayer wall W and the finish ceiling P.

이때, 주급수관(21)과 소방용 레듀샤(23)의 사이에 연결된 중간이음관(22)은 주름관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중간이음관(22)의 양단은 소방용 레듀샤(23) 및 주급수관(21)의 내부에 각각 본드로 본딩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middle dewatering pipe 22,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water supply pipe 21 and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23, is bent in a corrugated pipe shape and controls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eccentric pipe 22 are bonded to the interior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23 and the main water supply pipe 21, respectively.

그러나, 이와 같이 중간이음관(22)을 주름관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하여 스프링쿨러의 헤드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주급수관(21)과 중간이음관(22)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경우 본드 성분이 높은 수압으로 인해서 벗겨져서 그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기도 하고, 차후에 중간이음관(22)을 교체하고자 할 때 본드로 본딩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middle damping pipe 22 is bent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 of the sprinkler, when drainage is performed through the main water pipe 21 and the middle damping pipe 22,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since it is bonded with a bond when the middle pipe is to be replaced later.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91035호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91035

본 발명(Disclosure)은, 소방용 레듀샤와 주급수관 사이에 본딩처리된 별도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중간이음관 없이 구성함으로써,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Disclosure of the Invention Disclosure of the Invention Disclosure of the Invention Disclosure of the Invention Disclosure of the Invention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rinkler Provid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또한, 본 발명은 소방용 레듀샤와 스프링쿨러 헤드 사이에 높낮이 조절관을 구성하여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rinkler having a lift height adjustment head for a head which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a sprinkler head by forming a height adjustment pipe between a fire suppression reducer and a sprinkler head.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ul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와 마감 천장 사이에 설치되며, 주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 있어서, 상기 주급수관과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관과, 상기 레듀샤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와 결합된 제1브라켓과,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 및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에 체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spring coo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 hea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an interlayer wall and a finishing ceiling, and has a head for spraying digested water supplied from a main water supply pipe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being controlled by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which is fasten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and the sprinkler head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to fix the reducti to the interlayer wall, a height adjuste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er pip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nd one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fire safety reducer, and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It consists of a second bracket that is.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들에는 각각 패킹이 배치된다.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along the outer surface, and the packing is disposed in each of the grooves.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패킹들이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패킹들 사이 및 상기 높이 조절관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들을 고정 시켜주기 위한 패킹 고정체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packings are arrang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along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packing fixtures for fixing the packings are disposed between the packings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와 상기 높낮이 조절관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높낮이 조절관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The sprinkler head and the height adjusting pipe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first bol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kler head and a first nu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상기 주급수관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다. The main water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하부 지지부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는 조절너트와, 일단이 상기 조절너트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헤드 높낮이 걸이로 구성된다.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cludes an adjustment bolt inserted through a hole formed in one area of the lower support part of the second bracket, an adjustment nut fastened to the adjustment bolt so as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adjustment nut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hooked on a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vation control tube, and has a head height hanger.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1상부 지지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가 일체로 구성된다.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a first upper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interlayer wall body, and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The first pillar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가 일체로 구성된다.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to which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fixed,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safety reducer, and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that connects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The two pillars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상부 단면은 다각형 모양으로 구성한다.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has a polygonal shape.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상부 지지부에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단면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홀이 형성된다. A polygonal hole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용 레듀샤와 주급수관 사이에 본딩 처리된 별도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중간이음관이 없으므로, 소화수 급수시 중간이음관의 본딩 부분이 벗겨져서 이 부분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intermediate reed pipe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the main water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pipe due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

또한, 소방용 레듀샤와 스프링쿨러 헤드 사이에 높낮이 조절관을 삽입하고, 높낮이 조절관에 체결된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Also,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can be easily adjusted by inserting the height adjusting tube between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and the sprinkler head, and the height adjusting part fastened to the height adjusting tube.

도 1은 종래의 일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방법에 따른 스프링쿨러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의 단면도.
도 5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및 소방용 레듀샤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도.
도 6은 높낮이 조절부의 개략적인 분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sprinkl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IG.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sprinkler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metho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rink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 h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rink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 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racket, the second bracket, and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6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a height adjust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rior meaning, but should be properly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a sprinkler having a lift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 he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미도시)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30)과, 상기 주급수관(30)에서 공급된 소화수를 살수하도록 마감 천장(P)에 고정된 스프링쿨러 헤드(33)와, 상기 주급수관(30)과 일단이 직접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관(32)과,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결합된 제1브라켓(40)과,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54)와,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sprink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n interlayer wall (not shown) and a finishing ceiling P, A sprinkler head 33 fixed to the finishing ceiling P for sprinkling the digested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and a sprinkler head 33 fix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A height adjusting pipe 32 coup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sprinkler head 33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A first bracket 4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to fix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to the interlayer wall body and a second bracket 40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control pipe 32, Moving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oler head (33) And a second bracket 50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e-fighting reducer 31 and has one end thereof supporting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54. [

상기에서 주급수관(30)은 소방용 레듀샤(31)와 연통되도록 소방용 레듀샤(3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주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을 통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에 전달되어 분사된다.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is transmitted to the sprinkler head 33 throug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height regulating pipe 32 to be sprayed.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와 높낮이 조절관(32)은 스프링쿨러 헤드(33)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37)와 이에 대응되는 높낮이 조절관(32)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36)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The sprinkler head 33 and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lt portion 37 formed on the sprinkler head 33 and the first nut portion 36 As shown in Fig.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들에는 각각 패킹(34)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패킹(34)들은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을 통해 스프링쿨러 헤드(33)로 전달되는 소화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높낮이 조절관(32)과 소방용 레듀샤(31)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관(32)은 스테인리스강(STS:Stainless steel)이나 황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and a packing 34 is disposed in each of the grooves. At this time, the packings 34 are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and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o that the fire water to be delivered to the sprinkler head 33 throug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height control pipe 32 is not leaked. It enhances adhesion.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STS) or brass.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은 시공회사에 따라 건물의 천장높이가 상이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를 마감 천장 높이에 맞추려고 할 때,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성한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절관(32)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은 높낮이 조절부(54)에서 수행한다.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when the height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diff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mpan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to the finish ceiling heigh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상기 높낮이 조절부(54)는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볼트(51)와 조절너트(52) 및 헤드 높낮이 걸이(53)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볼트(51)는 제2브라켓(50)의 하부 지지부(50a)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55)을 통해 삽입되어 있고, 조절너트(52)는 조절볼트(51)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고, 헤드 높낮이 걸이(53)는 일단이 조절너트(52)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height adjusting unit 54 includes an adjusting bolt 51, an adjusting nut 52, and a head lowering hook 53. The adjustment bolt 51 is inserted through a hole 55 formed in one reg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50a of the second bracket 50 so that the adjustment nut 52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adjustment bolt 51 And the head lowering hook 53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djusting nut 52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hooked in a groov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

그리고 도 3과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40)은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40a)와,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40b)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1상부 지지부(40b)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3, 5 and 6A, the first bracket 40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1 upper support portion 40b and a first pillar portion 50c connecting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and one end of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40b.

이때, 상기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of the first bracket 40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lt portion 42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has a hexagonal shape The hexagonal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s 40a of the first bracket 40 are formed.

그리고, 제1브라켓(40)은 제1, 제2고정볼트(60, 61)에 의해서 층간 벽체에 고정된다. Then, the first bracket 40 is fixed to the interlayer wall body b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olts 60, 61.

그리고 도 3과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50)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50a)와, 소방용 레듀샤(31)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50b)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50a)와 제2상부 지지부(50b)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3 and 5 and 6B, the second bracket 50 includes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50a to which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54 is fixed,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50b,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post 50c connecting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50a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are integrally formed.

이때, 상기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 즉 소방용 레듀샤(31)와 제2너트부(41) 사이에 마련되는 돌기(43)는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lt portion 42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ince the protrusion 43 provided between the reducer 31 and the second nut 41 has a hexagonal section in cross section,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is provided with a hexagonal hole Respectively.

이에 의해, 제1브라켓(40)에 대해 소방용 레듀샤(31)의 결합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브라켓(40)이 층간 벽체에 결합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소방용 레듀샤(31)와 주급수관(3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소방용 레듀샤(31)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제1브라켓(4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with respect to the first bracket 40 can be adjusted. That is,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racket 40 is engaged with the interlayer wall, the fire extinguisher 31 rotates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31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31 and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can be easily engaged. 1 bracket 40 as shown in Fig.

한편,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서로 대면하는 상태로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of the first bracket 40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o as to face each other.

여기서,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 즉 돌기(43)의 단면을 육각형 모양으로 구성한 것은 일 예일 뿐, 이에 국한 되지 않고 체결이 잘되는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소방용 레듀샤(3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that is, the end surface of the projection 43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can be constituted by a polygon having good fastening. A polygonal hol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may be formed in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of the second bracket 50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

그리고 소방용 레듀샤(31)는 상부에 돌출된 제2볼트부(42)와 이에 대응되는 제2너트부(41)의 상호 나사결합으로 제1브라켓(40)에 고정된다.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40 by the mutual screwing of the second bolt portion 42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nut portion 41.

상기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높낮이 조절부(54)의 조절너트(52)를 조절볼트(5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행되는 것으로, 조절너트(52)가 이동할 때 조절너트(52)의 일단과 높낮이 조절관(32)에 체결되어 있는 헤드 높낮이 걸이(53)가 함께 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관(3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the spring cooler having the lift height adjustment head for the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djusts the adjustment nut 52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54, When the adjusting nut 52 is moved, the one end of the adjusting nut 52 and the head height hanger 53 fastened to the height adjusting tube 32 move together while being moved upwardly and downwardly, The control tube 32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sprink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 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와 비교할 때, 높낮이 조절관(32a) 상부의 패킹 및 그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부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를 포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shown in FIG. 4, the sprink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ft height adjustment height for the head. In comparison with the sprinkler having the height adjustment height for the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acking on the upper and lower height adjusting pipes 32a and the parts for fixing the packing.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층간 벽체(미도시)와 마감 천장(P)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30)과, 상기 주급수관(30)에서 공급된 소화수를 살수하도록 마감 천장(P)에 고정된 스프링쿨러 헤드(33)와, 상기 주급수관(30)과 일단이 직접 이음 연결되고 제1브라켓(40)에 고정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관(32a)과, 상기 소방용 레듀샤(31)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결합된 제1브라켓(40)과,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54)와,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a spring coo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 he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n interlayer wall (not shown) and a finishing ceiling P, A sprinkler head 33 fixed to the finishing ceiling P for sprinkling the digested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and a sprinkler head 33 fixed to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And a sprinkler head 33 which is coup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sprinkler head 33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 A first bracket 4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to fix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to the interlayer wall body, 32a to tighten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And a second bracket 50 whose one end is engag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which supports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54 .

상기에서 주급수관(30)은 소방용 레듀샤(31)와 연통되도록 소방용 레듀샤(3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급수관(30)을 통해 공급된 소화수는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a)을 통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에 전달되어 분사된다.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is transmitted to the sprinkler head 33 throug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and is injected.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33)와 높낮이 조절관(32a)은 스프링쿨러 헤드(33)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37)와 이에 대응되는 높낮이 조절관(32a)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36)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The sprinkler head 33 and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lt portion 37 formed on the sprinkler head 33 and the first nut portion 36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height adjusting pipe 32a corresponding thereto As shown in Fig.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패킹(34a)들이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패킹(34a)들 사이 및 높이 조절관(32a) 상단 외주면에는 패킹(34a)들을 고정 시켜주기 위한 패킹 고정체(35)들이 배치되어 있다. At least one packing 34a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along the outer surface and a packing 34a is formed between the packing 34a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A packing fixture 35 for fixing the packing fixtures 35 are disposed.

이때, 패킹(34a)들은 소방용 레듀샤(31)와 높낮이 조절관(32a)을 통해 스프링쿨러 헤드(33)로 전달되는 소화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높낮이 조절관(32a)과 소방용 레듀샤(31)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높낮이 조절관(32)은 스테인리스강(STS:Stainless steel)이나 황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cking 34a is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and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o that the fire water to be delivered to the sprinkler head 33 throug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is not leaked. It enhances adhesion.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STS) or brass.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은 시공회사에 따라 건물의 천장높이가 상이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3)를 마감 천장 높이에 맞추려고 할 때,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성한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절관(32a)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은 높낮이 조절부(54)에서 수행한다. The height adjustable pipe 32a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when the height of the ceiling of the building differ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mpan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to the finish ceiling heigh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54. [

상기 높낮이 조절부(54)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볼트(51)와 조절너트(52) 및 헤드 높낮이 걸이(53)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볼트(51)는 제2브라켓(50)의 하부 지지부(50a)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55)을 통해 삽입되어 있고, 조절너트(52)는 조절볼트(51)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고, 헤드 높낮이 걸이(53)는 일단이 조절너트(52)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32a)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54 includes an adjusting bolt 51, an adjusting nut 52, and a head lowering hook 53. The adjustment bolt 51 is inserted through a hole 55 formed in one region of the lower support portion 50a of the second bracket 50 so that the adjustment nut 52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adjustment bolt 51 And the head lowering hook 53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adjusting nut 52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hooked in a groov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

그리고 도 4와 도 5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40)은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40a)와,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40b)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1상부 지지부(40b)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4, 5 and 6A, the first bracket 40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1 upper support portion 40b and a first pillar portion 50c connecting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and one end of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40b.

이때, 상기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of the first bracket 40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lt portion 42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has a hexagonal shape The hexagonal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s 40a of the first bracket 40 are formed.

그리고, 제1브라켓(40)은 제1, 제2고정볼트(60, 61)에 의해서 층간 벽체에 고정된다. Then, the first bracket 40 is fixed to the interlayer wall body by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olts 60, 61.

그리고 도 4와 도 5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50)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54)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50a)와, 소방용 레듀샤(31)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50b)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50a)와 제2상부 지지부(50b)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50c)가 일체로 구성된다. 4 and 5 and 6B, the second bracket 50 includes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50a to which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54 is fixed,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50b,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post 50c connecting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50a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are integrally formed.

이때, 상기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제2볼트부(42)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며,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이 육각형 모양이므로,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이에 대응되는 육각형 모양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lt portion 42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is formed into a hexagonal shape The hexagonal hol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s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는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에 서로 대면하고 있다.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40a of the first bracket 40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

이때, 소방용 레듀샤(31)의 상부 단면을 육각형 모양으로 구성한 것은 일예일 뿐, 이에 국한 되지 않고 체결이 잘되는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1브라켓(40)의 제1하부 지지부(40a)와 제2브라켓(50)의 제2상부 지지부(50b)에는 소방용 레듀샤(31)의 단면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pper end 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 polygonal hol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50b of the second bracket 50. [

그리고 소방용 레듀샤(31)는 상부에 돌출된 제2볼트부(42)와 이에 대응되는 제2너트부(41)의 상호 나사결합으로 제1브라켓(40)에 고정된다.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40 by the mutual screwing of the second bolt portion 42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nut portion 41.

상기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스프링쿨러 헤드(33)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높낮이 조절부(54)의 조절너트(52)를 조절볼트(5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진행되는 것으로, 조절너트(52)가 이동할 때 조절너트(52)의 일단과 높낮이 조절관(32a)에 체결되어 있는 헤드 높낮이 걸이(53)가 함께 이동하면서 높낮이 조절관(32a)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33, the sprue cooler having the lift height adjustment height of the he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ving the above- When the adjusting nut 52 moves, the one end of the adjusting nut 52 and the head lowering hook 53 fastened to the height adjusting pipe 32a move together while being moved upwardly and downwardly, The control tube 32a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prinkl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differences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높낮이 조절관(32) 상부에 적어도 1개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패킹(34)들을 배치하여 고정시켰는데 비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높낮이 조절관(32a) 외측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패킹(34a)들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홈에 패킹(34)들을 배치하였으므로 별도로 패킹(34)을 고정하는 구성이 없었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패킹(34a)들 사이에 패킹 고정체(35)들을 배치하여 패킹(34a)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ipe 32, and the packing 34 is disposed and fixed to the groove. In contras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cking 34a was arranged so as to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tube 32a.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cking 34 is arranged in the groove,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packing 34 separatel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ing fixing body 34a 35 are arranged to fix the packings 34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는 상기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높이 조절방법이 동일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pring cooler having the lift height adjustment height of the hea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height adjustment method except for the difference.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서, 소방용 레듀샤(31)에 구비되며, 주급수관(30)이 결합되는 결합구(31a)는 주급수관(30)을 향하여 단면이 확장되는 확관부(31b)를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sprinkler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re-fighting reducer 31, and the coupling hole 31a to which the main water pipe 30 is coupled has a cross- And an expanding tube portion 31b.

이에 의하면, 소방용 레듀샤(31)와 주급수관(30)의 결합을 위해, 소방용 레듀샤(31)의 내면에 도포하는 접착제가 높낮이 조절관(32) 측으로 유입되어 높낮이 조절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is prevents the adhesiv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from flowing into th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pipe 32 for the purpose of engaging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and the main water supply pipe 30, .

구체적으로, 소방용 레듀샤(31)의 내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주급수관(30)의 삽입과정에서 소방용 레듀샤(31)의 내측으로 밀리더라도 확관부(31b)에 의해 소방용 레듀샤(3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Specifically, even if the adhesiv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is pushed to the insid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main water pipe 30, the expansion part 31b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더하여, 본 개시에 따른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서, 조절볼트(51)가 제2브라켓(50)과 소방용 레듀샤(3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므로, 층간 벽체(w)와 마감 천장(p)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물에 의해 조절볼트(51)의 승강이 방해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prink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bolt 51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bracket 50 and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31, so that the interlayer wall body w and the finis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elevation of the control bolt 51 is obstructed by the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ceilings p.

Claims (10)

층간 벽체와 마감 천장 사이에 설치되며, 주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살수시키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에 있어서,
상기 주급수관과 일단이 이음 연결되는 소방용 레듀샤;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타단과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관;
상기 소방용 레듀샤를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소방용 레듀샤와 결합된 제1브라켓;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하 이동하는 높낮이 조절부; 및
일단이 상기 소방용 레듀샤에 체결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일부를 지지하고 있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상부와 체결되어 있는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층간 벽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1상부 지지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기둥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높낮이 조절부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는 제2하부 지지부와, 상기 소방용 레듀샤 상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2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2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를 연결하는 제2기둥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의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브라켓의 상기 제2상부 지지부에는 동일한 크기의 다각형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 지지부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에 동시에 체결되는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상부는 단면이 상기 다각형의 홀과 대응되는 다각형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A sprinkle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head installed between an interlayer wall and a finishing ceiling to spray digested water supplied from a main supply pipe,
A fire suppressor connected to the main water pipe at one end;
A height adjusting pipe coup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and the sprinkler head to adjust a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 first bracket coupled to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so as to fix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to the interlayer wall;
A height adjuste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to move up and down to adjust a height of the sprinkler head; And
And a second bracket, one end of which is fastened to the fire safety reducer and supports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first lower support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a first upper support portion fixed to the interlayer wall body, and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upper support portion Wherein the first post is integrally formed,
The second bracket includes a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to which a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fixed,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e safety reducer, and a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that connects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ortion The two pillars ar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lower support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of the second bracket are formed with polygonal holes of the same size,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fastened to the first lower support part and the second upper support part has a polygonal shape in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of the polygon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들에는 상기 소방용 레듀사의 내면에 밀착되는 패킹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groove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and a packing,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e reducing radyer, is disposed in each of the groove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의 패킹들이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패킹들 사이 및 상기 높낮이 조절관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들을 고정 시켜주기 위한 패킹 고정체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r more packings are arrang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tub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tube, and packing fixtures for fixing the packings are disposed between the packings 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And the height of the head of the head is controlled by the sprink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와 상기 높낮이 조절관은 상기 스프링쿨러 헤드 상부에 형성된 제1볼트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높낮이 조절관 하부 내주면의 제1너트부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kler head and the height adjusting tube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first bol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prinkler head and a first nut on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ight adjustable tube, A sprinkler with elevator lift height adjus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급수관은 상기 소방용 레듀샤와 연통되도록 상기 소방용 레듀샤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water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e suppression reduc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하부 지지부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체결되어 있는 조절너트와, 일단이 상기 조절너트에 접속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높낮이 조절관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도록 집게 형상의 구조를 갖고 헤드 높낮이 걸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높낮이 조절용 승강장치를 가지는 스프링쿨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cludes an adjustment bolt inserted through a hole formed in one area of the lower support part of the second bracket, an adjustment nut fastened to the adjustment bolt so as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adjustment nut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s configured to be hooked on a groov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elevation control tube, and has a head height hang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19784A 2017-02-14 2017-02-14 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 KR1018143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84A KR101814376B1 (en) 2017-02-14 2017-02-14 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784A KR101814376B1 (en) 2017-02-14 2017-02-14 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376B1 true KR101814376B1 (en) 2018-01-30

Family

ID=6107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784A KR101814376B1 (en) 2017-02-14 2017-02-14 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37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606B1 (en) 2019-07-23 2020-12-14 김원겸 Height-adjustment device for valve connector of Spring cooler
KR102286566B1 (en) * 2020-12-28 2021-08-05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Fire spring cooler
KR102396843B1 (en) 2021-05-20 2022-05-10 김준상 Height-adjusrment device for valve connector of spring cooler
CN114570549A (en) * 2022-03-16 2022-06-03 天津恒昌茂建筑工程有限公司 Brick portable watering device for building
KR20230114606A (en) 2022-01-25 2023-08-01 박해균 defence head wren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6Y1 (en) * 2002-09-17 2003-01-14 오승일 Fixing bracket for springkler head
KR101366225B1 (en) * 2012-09-26 2014-02-21 주식회사 알파티엔씨 Apparatus for connecting water supply pipe and water sprinkler hea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6Y1 (en) * 2002-09-17 2003-01-14 오승일 Fixing bracket for springkler head
KR101366225B1 (en) * 2012-09-26 2014-02-21 주식회사 알파티엔씨 Apparatus for connecting water supply pipe and water sprinkler hea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606B1 (en) 2019-07-23 2020-12-14 김원겸 Height-adjustment device for valve connector of Spring cooler
KR102286566B1 (en) * 2020-12-28 2021-08-05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Fire spring cooler
KR102396843B1 (en) 2021-05-20 2022-05-10 김준상 Height-adjusrment device for valve connector of spring cooler
KR20230114606A (en) 2022-01-25 2023-08-01 박해균 defence head wrench
CN114570549A (en) * 2022-03-16 2022-06-03 天津恒昌茂建筑工程有限公司 Brick portable watering device for building
CN114570549B (en) * 2022-03-16 2024-04-16 上海锵玫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Brick convenient sprinkler for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376B1 (en) Spring cooler having height-adjustment device for head of the same
KR101098882B1 (en) Piping coupling device of sprinkler head
US10016644B2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KR101055583B1 (en) Fire Sprinkler
KR100705046B1 (en) Connection device for sprinkler
KR100791035B1 (en) Sprinkler assembly being able to adjust length
US3847392A (en) Adjustable drop or riser nipple
KR102117113B1 (en) Fire fighting equipment for buildings
KR102286566B1 (en) Fire spring cooler
KR20200016446A (en) Sleeve structure with refractory and eccentric adjustment
KR101994299B1 (en) Connecting Device of Sprinkler Head
KR200488385Y1 (en) fire water spurting apparatus
KR20210001980U (en) Connector for Height Adjustment of Standpipes
KR200402042Y1 (en) Height Adjustor for Sprinkler Flexible Joint
KR101107493B1 (en) Sprinkler head assembly for adjusting length of top and bottom direction
KR100769237B1 (en) Device for setting the fireproof glass of balcony handrail
WO2009054689A1 (en) Pipe coupling device for use in sprinkler head
KR200350019Y1 (en) The system control level Connection nine of springkler
KR20110018932A (en) Auto sprinkler head
KR20090003176U (en) Spring cooler head high and low control junction tube
KR20080005767U (en) Up and down device of connecting pipe of sprinkler
KR20100052169A (en) The balcony balustrade with fireprevention system
KR10216392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fire-fighting equipment
WO2012081757A1 (en) Sprinkler head assembly for vertical length adjustment
KR102006768B1 (en) Preventing deflection of Ceiling panel for water sprinkler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