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144B1 -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 Google Patents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44B1
KR101813144B1 KR1020160167978A KR20160167978A KR101813144B1 KR 101813144 B1 KR101813144 B1 KR 101813144B1 KR 1020160167978 A KR1020160167978 A KR 1020160167978A KR 20160167978 A KR20160167978 A KR 20160167978A KR 101813144 B1 KR101813144 B1 KR 10181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ber grating
light
optic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택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7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interferome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15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 G01B9/02023Indirect probing of object, e.g. via influence on cavity or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바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뒤틀림이 허용될 수 있게 판형상으로 형성된 뒤틀림 유도판과, 외력에 의해 스윙될 수 있게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된 스윙부재와,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에서 제1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선상에 결합된 제1광섬유격자와, 제1광섬유격자와 이격되어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에서 제1방사방향과 다른 제2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선상에 결합된 제2광섬유격자와, 광원과,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전송선을 통해 제1광섬유격자와 제2광섬유격자로 전송하고, 제1광섬유격자 및 제2광섬유격자로부터 반사되어 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광중계부와, 광중계부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와, 광검출부에서 검출된 광으로부터 스윙부재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한 물리량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에 의하면, 광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영향을 받지 않아 설치 환경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며 외력에 의한 뒤트림 변형 감도를 높일 수 있어 측정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2-dimensional displacement measuring sensor using FBG}
본 발명은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장치로 풍차형의 풍향 풍속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풍차형 풍향 풍속계는 풍차의 회전속도가 풍속에 비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풍차를 수직꼬리 날개를 가진 유선형 동체의 선단에 붙인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풍차형 풍향 풍속계는 풍차의 회전축에 직류 또는 교류의 소형발전기를 장착하고, 소형 발전기에서 생성되는 기전력을 통해 풍속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풍차형 풍향 풍속계는 풍향에 따른 풍향 풍속계의 회전위치를 검출하여 풍향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한편, 풍차를 이용하는 방식과 다르게 탄성플레이트가 바람의 세기 및 방향에 따라 변형될 때 연동되는 전기적 저항값을 검출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의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가 국내 등록특허 제10-1168568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풍향 및 풍속 측정방식은 모두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식으로서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야 하는 특성상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노이즈의 영향을 받아 측정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고, 특히 낙뢰 또는 빗물 등에 의해 전기적인 부품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광신호를 이용하여 외력에 의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측정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뒤틀림이 허용될 수 있게 판형상으로 형성된 뒤틀림 유도판과; 외력에 의해 스윙될 수 있게 상기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된 스윙부재와; 광섬유에 제1격자가 형성되어 상기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에서 제1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선상에 결합된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이격되어 상기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에서 상기 제1방사방향과 다른 제2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선상에 결합되며 광섬유에 제2격자가 형성된 제2광섬유격자와;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전송선을 통해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2광섬유격자로 전송하고, 상기 제1광섬유격자 및 상기 제2광섬유격자로부터 반사되어 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광중계부와; 상기 광중계부의 상기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광검출부에서 검출된 광으로부터 상기 스윙부재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한 물리량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2광섬유격자는 상기 튀트림 유도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90도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각각 상기 튀틀림 유도판에 접합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뒤트림 유도판은 상기 스윙부재가 결합되며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연장살과; 상기 연장살의 종단과 결합되며 원형으로 형성된 외측 링부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뒤트림 유도판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윙부재가 결합되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동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호형형상으로 관통되게 호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에 의하면, 광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영향을 받지 않아 설치 환경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며 외력에 의한 뒤트림 변형 감도를 높일 수 있어 측정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뒤틀림 유도판에 제1 및 제2 광섬유격자가 결합된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뒤틀림 유도판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뒤틀림 유도판이 스윙부재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뒤틀린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부를 적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뒤틀림 유도판에 제1 및 제2 광섬유격자가 결합된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2차원 변위 측정센서(100)는 광원(110), 광써큘레이터(130), 제1광섬유격자(FGB1)(141), 제2광섬유격자(FGB2)(142), 탄성 변형체(150), 광검출부(170), 산출부(181)를 구비한다.
광원(110)은 넓은 파장범위의 광을 출사하는 광대역 광원을 적용한다.
광써큘레이터(130)는 광중계부로서 적용된 것으로서, 광원(110)에서 출사된 광을 제1입력단(130a)을 통해 입력받아 제1중계단(130b)에 접속된 전송선(135)을 통해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광섬유격자(142)로 전송하고, 제1광섬유격자(141) 및 제2광섬유격자(142)로부터 반사되어 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수신하여 제1출력단(130c)을 통해 출력한다.
제1광섬유격자(141)는 광섬유에 제1격자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후술되는 뒤틀림 유도판(160)에 방사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있다.
제2광섬유격자(142)는 스윙부재(153)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광섬유격자(141)의 결합방향과 다른 각도에서 제1광섬유격자(141)와 이격되어 스윙부재(153)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광섬유에 제2격자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광섬유격자(142)는 중계 광섬유부분(136)을 통해 직렬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광섬유격자(142)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사되는 광의 중심파장이 상호 다르게 제1격자들의 이격간격과 제2격자들의 이격 간격이 다르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광섬유격자(142)는 뒤틀림 유도판(160)의 중앙을 기준으로 90도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각각 연장되게 접합되어 있다.
탄성 변형체(150)는 외풍과 같은 외력에 대응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체(150)는 베이스 플레이트(151), 지지바(153), 뒤틀림 유도판(160) 및 스윙부재(155)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51)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면 또는 그 밖의 지지대상체에 안착시키거나 고정시켜 이용하면 된다.
지지바(153)는 베이스 플레이트(151)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뒤틀림 유도판(160)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바(153)는 하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되면 상면에 하방으로 인입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홈을 갖는 몸통부분(153a)과, 몸통부분(153a)의 나사홈에 결합되는 고정캡(153b)을 갖는다.
지지바(153)는 4개가 적용되어 있고, 적용개수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뒤틀림 유도판(160)은 베이스 플레이트(151)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바(153)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뒤틀림이 허용될 수 있게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뒤틀림 유도판(16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두께는 요구되는 뒤틀림 변형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적용하면된다.
뒤틀림 유도판(161)을 구분하면, 중앙부분(162), 연장살(164) 및 외측 링부분(166)을 구비한다.
중앙부분(162)은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며 중앙에 스윙부재(155)가 결합된다.
연장살(164)은 중앙 부분(162)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8개가 적용되었다.
연장살(164)의 적용개수는 풍향 및 풍속 측정용으로 적용시 90도 간격으로 최소 4개를 적용하고, 8개를 초과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장살(164) 중 직교되는 위치에 있는 연장살(164)에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광섬유격자(141)(142)가 접합되어 있다.
외측 링부분(166)은 연장살(164)들의 종단과 결합되며 원형으로 형성되며 지지바(153)와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외측 링부분(166)에는 지지바(153)의 고정캡(153b)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스윙부재(155)는 튀트림 유도판(160)의 중앙에서 원기둥형상으로 수직상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있다.
스윙부재(155)는 뒤틀림 유도판(160)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각각 스윙부재(155)를 관통상태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고정부재(156a)(156b)에 의해 뒤틀림 유도판((16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고정부재(156a)(156b)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구조로 형성되고, 스윙부재(155)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광검출부(170)는 광써큘레이터(130)의 제1출력단(130c)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여 산출부(181)에 제공한다.
산출부(181)는 광원(110)의 구동을 제어하고, 광검출부(170)에서 검출된 광으로부터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광섬유격자(142)의 격자 간격변화에 의한 중심파장의 이동을 검출하고, 이로부터 스윙부재(155)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한 물리량을 산출한다.
일 예로서, 산출부(181)는 스윙부재(155)의 움직임 속도 및 움직임 방향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산출부(181)는 스윙부재(155)에 인가되는 외풍의 풍속과 풍향을 산출하도록 구축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를 기준으로 제1광섬유격자(141)가 서쪽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2광섬유격자(142)가 남쪽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외풍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1광섬유격자(141)에서 반사되는 기준 중심파장이 λ1이고, 제2광섬유격자(142)에서 반사되는 기준 중심파장은 λ2인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남쪽에서 북쪽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 스윙부재(155)가 북쪽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그에 따라 뒤틀림 유도판(160)이 북쪽 방향으로 뒤틀리며, 제2광섬유격자(142)의 격자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제2광섬유격자(141)가 신장되어 휘어지게 되고, 그에 대응되어 파장이 기준중심파장(λ2)보다 장파장쪽으로 이동된 반사신호가 광검출부(170)에 인가된다. 또한, 제1광섬유격자(141)도 제2광섬유격자(142)보다는 덜 휘어지며 스윙부재(155)의 경사짐에 대응되어 기준중심파장(λ1)보다 장파장쪽으로 이동된 반사신호가 광검출부(170)에 인가된다.
이러한 제1광섬유격자(141)의 반사 파장이동과 제2광섬유격자(142)의 반사파장 이동의 조합정보로부터 풍향 및 풍속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광섬유격자(141)의 반사 파장이동과 제2광섬유격자(142)의 반사파장 이동의 조합에 대응되는 풍향 및 풍속은 실험에 의해 미리 산출된 후 신출부(l81)의 룩업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산출부(181)는 광검출부(170)에서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섬유격자(142)의 파장이동정보를 룩업데이블에 기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풍향 및 풍속을 산출한다.
통신부(185)는 산출부(181)에 제어되어 산출된 풍속 및 풍향 정보를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설정된 관리서버(미도시)의 통신주소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무선 인터넷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부(183)는 산출부(181)에 제어되어 산출된 풍향 및 풍속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뒤틀림 유도판(160)은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뒤트림 유도판(260)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스윙부재(155)가 결합되는 중앙부분(262)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동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호형형상으로 관통되게 호형홈(264)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호형홈(264)은 고정캡(156b)가 결합되는 외측 링부분(266)과 중앙부분(262) 사이에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위치마다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되어 있고, 호형홈(264) 사이영역이 연장살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뒤트림 유도판(260)의 호형홈(264)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직교되게 배치되는 연장살 영역에 제1 및 제2광섬유격자(141)(142)가 접합되어 있다.
한편, 광중계부는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광섬유격자(142)를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예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위 측정 센서는 광원(110), 광분배기(120), 제1 및 제2 광써큘레이터(131)(132), 제1 광섬유격자(FGB1)(141), 제2광섬유격자(FGB2)(142), 스윙부재(155), 튀틀림 유도판(260), 제1 및 제2 광검출부(171)(172), 산출부(181)를 구비한다.
광분배기(120)는 광원(110)에서 출사되는 광을 제1분기라인(121)과 제2분기라인(122)으로 분기시켜 출력한다.
광분배기(120)는 광커플러가 적용될 수 있다.
제1광써큘레이터(131)는 제1분기라인(121)을 통해 전송되어 제1입력단(131a)을 통해 수신된 광을 제1중계단(131b)에 접속된 제1전송선(135a)을 통해 제1광섬유격자(141)로 전송하고, 제1광섬유격자(141)에서 역으로 진행되는 광을 제1출력단(131c)을 통해 제1광검출부(171)로 출력한다.
제2광써큘레이터(132)는 제2분기라인(122)을 통해 전송되어 제2입력단(132a)을 통해 수신된 광을 제2중계단(132b)에 접속된 제2전송선(135b)을 통해 제2광섬유격자(142)로 전송하고, 제2광섬유격자(142)에서 역으로 진행되는 광을 제2출력단(132c)을 통해 제2검출부(172)로 출력한다.
제1광검출부(171)는 제1출력단(131c)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여 산출부(181)에 제공한다.
제2광검출부(172)는 제2출력단(132c)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여 산출부(181)로 제공한다.
산출부(181)는 제1 및 제2광검출부(171)(17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풍속 및 풍향을 산출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광섬유격자(141)(142) 분리방식은 구조가 복잡해지는 반면, 제1광섬유격자(141)와 제2광섬유격자(142) 상호간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격자 간격 설정에 대한 제약이 완화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뒤틀림 유도판(160)(260)상에 방사상으로 직교되는 방향에 2개의 광섬유격자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고, 감도 및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90간격으로 3개의 광섬유격자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3번째의 광섬유격자는 온도 보상용으로 이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에 의하면, 광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영향을 받지 않아 설치 환경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며 구조가 단순화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산출부는 스윙부재(155)를 통해 인가되는 외풍에 대한 풍속 및 풍향을 측정하는 것을 적용하였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외풍 이외의 외력이 스윙부재를 통해 인가되게 하면서 외력에 대한 스윙부재(155)의 변위 또는 움직임 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광원 130: 광써큘레이터
141: 제1광섬유격자 142: 제2광섬유격자
155: 스윙부재 160, 260: 뒤틀림 유도판
170: 광검출부 181: 산출부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호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뒤틀림이 허용될 수 있게 판형상으로 형성된 뒤틀림 유도판과;
    외력에 의해 스윙될 수 있게 상기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을 통해 상방으로 연장된 스윙부재와;
    광섬유에 제1격자가 형성되어 상기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에서 제1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연장선상에 결합된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이격되어 상기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에서 상기 제1방사방향과 다른 제2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연장선상에 결합되며 광섬유에 제2격자가 형성된 제2광섬유격자와;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전송선을 통해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2광섬유격자로 전송하고, 상기 제1광섬유격자 및 상기 제2광섬유격자로부터 반사되어 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광중계부와;
    상기 광중계부의 상기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부와;
    상기 광검출부에서 검출된 광으로부터 상기 스윙부재에 인가되는 외력에 대응한 물리량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2광섬유격자는 직렬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광중계부는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수신받아 제1중계단을 통해 상기 제1광섬유격자로부터 상기 제2광섬유격자로 이어지는 광전송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광섬유격자 및 상기 제2광섬유격자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광을 제1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광써큘레이터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2광섬유격자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사되는 광의 중심파장이 상호 다르게 상기 제1격자들의 이격간격과 상기 제2격자들의 이격 간격이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계부는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제1분기라인과 제2분기라인으로 분기시키는 광분배기와;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해 전송된 광을 제1전송선을 통해 상기 제1광섬유격자로 전송하고, 상기 제1광섬유격자에서 역으로 진행되는 광을 제1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1광써큘레이터와;
    상기 제2분기라인을 통해 전송된 광을 제2전송선을 통해 상기 제2광섬유격자로 전송하고, 상기 제2광섬유격자에서 역으로 진행되는 광을 제2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2광써큘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광검출부는
    상기 제1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여 상기 산출부로 제공하는 제1광검출부와;
    상기 제2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광을 검출하여 상기 산출부로 제공하는 제2광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격자와 상기 제2광섬유격자는 상기 뒤틀림 유도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90도 각도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각각 상기 뒤틀림 유도판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틀림 유도판은
    상기 스윙부재가 결합되며 원형형상으로 형성된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연장살과;
    상기 연장살의 종단과 결합되며 원형으로 형성된 외측 링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틀림 유도판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윙부재가 결합되는 중앙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동심상으로 상호 이격되게 호형형상으로 관통되게 호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KR1020160167978A 2016-12-09 2016-12-09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KR10181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978A KR101813144B1 (ko) 2016-12-09 2016-12-09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978A KR101813144B1 (ko) 2016-12-09 2016-12-09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144B1 true KR101813144B1 (ko) 2018-01-30

Family

ID=6107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978A KR101813144B1 (ko) 2016-12-09 2016-12-09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350B1 (ko) * 2019-03-28 2020-09-21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일체형 광섬유 센서
KR102191525B1 (ko) * 2019-11-29 2020-12-15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지진 센서
KR102377271B1 (ko) * 2020-11-05 2022-03-22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3차원 변위센서
CN114440786A (zh) * 2022-03-02 2022-05-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校正式光纤光栅二维应变传感器
KR20220082238A (ko) * 2020-12-10 2022-06-17 한국광기술원 광섬유격자 기반 지진감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79B1 (ko) 2004-04-08 2007-01-10 박현수 광섬유격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10122443A (ko) * 2010-05-04 2011-11-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축 변형률 측정이 가능한 필름형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패키지
KR101253288B1 (ko) * 2012-01-10 2013-04-10 한국광기술원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 변화량 감지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KR101600573B1 (ko) 2014-09-30 2016-03-07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광섬유 브래그 격자 기반 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관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79B1 (ko) 2004-04-08 2007-01-10 박현수 광섬유격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10122443A (ko) * 2010-05-04 2011-11-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축 변형률 측정이 가능한 필름형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패키지
KR101253288B1 (ko) * 2012-01-10 2013-04-10 한국광기술원 광섬유 격자 센서를 이용한 변화량 감지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KR101600573B1 (ko) 2014-09-30 2016-03-07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광섬유 브래그 격자 기반 센서 및 이를 이용하는 관측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350B1 (ko) * 2019-03-28 2020-09-21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일체형 광섬유 센서
KR102191525B1 (ko) * 2019-11-29 2020-12-15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지진 센서
KR102377271B1 (ko) * 2020-11-05 2022-03-22 에스제이포토닉스 주식회사 3차원 변위센서
KR20220082238A (ko) * 2020-12-10 2022-06-17 한국광기술원 광섬유격자 기반 지진감지장치
KR102493100B1 (ko) * 2020-12-10 2023-01-30 한국광기술원 광섬유격자 기반 지진감지장치
CN114440786A (zh) * 2022-03-02 2022-05-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校正式光纤光栅二维应变传感器
CN114440786B (zh) * 2022-03-02 2024-05-17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可校正式光纤光栅二维应变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144B1 (ko)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2차원 변위 측정센서
KR20170021583A (ko) 광섬유격자를 이용한 풍속 및 풍향 센서
US8895911B2 (en) Optical encoder with misalignment detection and adjustment method associated therewith
CN102822645B (zh) 光纤和纤维光学感测
US10151626B2 (en) Fibre optic distributed sensing
EP0983486A1 (en) Distributed sensing system
US10697440B2 (en) Method of detecting damage of wind turbine blade, and wind turbine
JP6301963B2 (ja) 歪みセンサ及び歪みセンサの設置方法
CN102506916B (zh) 采用弱反射fbg的分布式传感网络及其各fbg的精确定位方法
KR20180134253A (ko) 코히런트 otdr법을 이용한 광섬유 음향센서 시스템 및 모듈 장치
KR101481814B1 (ko) 변위 측정 광섬유 센서
CN108168467B (zh) 一种fp干涉测量角量传感器
Marković et al. Application of fiber-optic curvature sensor in deformation measurement process
EP2990755A1 (en) Strain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train sensor
JP6392862B2 (ja) 圧力センサ
CN202547602U (zh) 一种防爆式光栅位移传感器
CN101975867A (zh) 一种基于光纤光栅的转速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JP2011191076A (ja) たわみ計測装置、ならびにたわみおよび軸ねじれ計測装置
KR20220063779A (ko) Fbg 센서를 이용한 풍향 및 풍속 측정장치
WO2007043716A1 (e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unit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deformation of structure having the same
RU2681663C1 (ru) Торсиометр
RU2515339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линейных перемещений
KR20050099087A (ko) 광섬유격자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구조물 변형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08089554A (ja) 光ファイバセンサ
WO2015070870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wind turb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