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766B1 - Rotation table - Google Patents

Rotation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766B1
KR101812766B1 KR1020160025920A KR20160025920A KR101812766B1 KR 101812766 B1 KR101812766 B1 KR 101812766B1 KR 1020160025920 A KR1020160025920 A KR 1020160025920A KR 20160025920 A KR20160025920 A KR 20160025920A KR 101812766 B1 KR101812766 B1 KR 10181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table
wire
wrist
ro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3308A (en
Inventor
박봉서
Original Assignee
박봉서
박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서, 박찬우 filed Critical 박봉서
Priority to KR102016002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766B1/en
Publication of KR2017010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44B3/065Wor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1/00Tables with tops revolvable on vertical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36Table tops pivo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각작업시 작업대상물을 고정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손쉽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서작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이 중심측 함몰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와; 상기 지지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 및 상기 회전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table for western-style wor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table for a workpiece, which is configured to support a workpiece while wristwatching and to be easily rotated as need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ry table, comprising: a rotary table supporting a wrist and having a bearing mounted on a lower central side thereof so as to be rotatable; A bearing assembly mounted on a lower center side of the rotary table and received in a center side recessed groov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ry table; A rotation shaking portion provided on the support assembly and configured to brak or release rotation of the rotary table as the wire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wrist strap fix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table so as to be elastically projected from the rotary table and fixing the wrist strap seated on the rotary table.

Description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ROTATION TABLE}Rotating Table for Angle Work {ROTATION TABLE}

본 발명은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각작업시 작업대상물을 고정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손쉽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서작작업용 회전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table for western-style wor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table for a workpiece, which is configured to support a workpiece while wristwatching and to be easily rotated as needed.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역사는 대략 60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문자로써 지금까지 발굴된 유물 가운데 최초의 것은 중국 은상(殷商) 시대의 갑골문이다. 그러나 서각의 뿌리를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선사시대에 이미 새김질의 문화는 시작되었다(대한민국서각인 연감, 2004).History of mankind's use of letters is estimated to be about 6,000 years. The first of the artifacts discovered so far is the Chinese Era of the Era. However, dating back to the roots of the western part of the prehistoric age, the culture of the cuddling began already (Korean Society of the West, 2004).

이 시대에는 문자가 발달되기 이전이므로 새기는 대상이 주로 생활 및 주술적 행위를 나타내는 그림이나 기호 등이었는데, 이것이 발전되어 문자의 원류로 이어진다. 이때는 새김질의 재료가 대부분 돌이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경상남도 울주군 언양면 대곡리와 천전리 강가에서 발견된 반구대 암각화이다. 이 반구대 암각화를 살펴보면, 이때도 이미 음각, 양각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후 청동기 및 철기시대를 거쳐 오면서 다뉴세문경 및 농경문청동기와 같이 종교의식에 쓰이는 도구에다 새김질을 하였다. 이후,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는 불교문화의 유입으로 이전과는 달리 문자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됨에 따라 문자와 결합한 형태로 변화하여 주로 돌에다 비문을 새기거나 불상, 탑, 종, 사리용구 등에 새김질을 하였다. 이시대의 대표적인 서각작품으로 광개토대왕비와 남한산성비를 꼽을 수 있다.In this era, before letters were developed, the objects to be engraved were mainly paintings or symbols representing life and magical act, which developed and led to the origin of the characters. At this time, most of the materials of the cuddly crust were stone. Typical examples of the cuddly material are the monumental petroglyphs found at Daegok-ri, Eonyang-myeon, Ulju-gun, Gyeongsangnam-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mbossing and embossing techniques were used at the same time. Since then, it has roamed the tools used in religious rituals, such as the bronze bellies of the northeastern and agricultural munitions, through the Bronze Age and the Iron Age. Since then, in the Three Kingdoms era and Unified Silla period, Buddhist culture has been influenced by the influx of Buddhist culture. As the use of letters gradually became more and more common, it changed into a form that combines with letters and is mainly used to engrave inscriptions on stone, Respectively. One of the typical western works of this era is the Gwanggaeto to Queen and the Namhansanseong tomb.

고려시대의 서각을 살펴보면, 이전의 금석문뿐만이 아니라 불교경전 및 문집의 출판 등으로까지 이어지는 새김질 문화가 확산되어갔음을 알 수 있다. 이 시대의 대표적 서각작품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 해인사고려대장경판을 들 수 있다.Looking at the western part of the Goryeo Dynasty, it can be seen that the culture of cuddling that extended to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and literary works as well as the previous Mt.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era in this era are the Haein Temple, Korea University, Changgyeongpan, which is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조선시대로 넘어가서는 숭유 억물 정책으로 인하여 불교에 관련된 새김질 문화는 쇠퇴하고 주로 유교와 관련된 문집용 목판과 궁궐, 향교, 서원, 누대, 정자 등의 현판, 주련을 제작하는 새김질 문화가 발달되었다. 이시대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5대문(경복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창덕궁)의 현판을 들 수 있다.The Buddhist culture related to Buddhism has declined due to the monotheism of the Buddhist monks who passed on to the Chosun Dynasty. The culture of cuddly gourmets for the production of lyric plates, palaces, oriental religions, Typical examples of this era are the five editions (Gyeongbokgung, Changgyeonggung, Deoksugung, Gyeonghui, Changdeokgung).

근대에 와서 새김질 문화는 금속 활자의 목활자 발명의 영향을 입어 주로 문집 출판용으로 발전되어 갔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훈민정음 목판본과 대동여지도, 수선전도 등의 목판본이 있다.In recent years, the culture of cuddling has been developed mainly for the publishing of literature by the influence of the inventor of metal type letterpress. Typical examples are woodblocks of Hunminjeongeum woodblock, Daedongjaeji, and repairing evangelism.

그런데 현대에 와서는 새김질 문화에 사용되는 서각용 재료는 돌과 나무에 국한되지 않고 나무, 돌, 쇠, 폴리코트, 테라코타, 지점토, 석고, 우드락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작품의 다양성과 특색있는 도흔(刀痕)의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목적도 있지만, 작품제작이 용이한 나무재료의 구입이 쉽지 않고, 특히 광폭의 재료는 더더욱 얻기가 어려워진 탓도 있다. In modern times, however,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iron, polycoat, terracotta, clay, gypsum and woodrock have begun to be used in the cuneiform material used in the culture of cuddling. This is because of the diversity of works and the purpose of pursuing the aesthetic beauty of distinctive sword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urchase wood materials that are easy to produce, and it is also difficult to obtain especially wide-width materials.

이외에도 하나의 작품제작을 위해 다양한 각도로 조각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난이도가 높아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because the work is difficult because the pieces are formed at various angles to produce one work.

이에 따라 작업자는 서각작업을 할 대상이 안치되는 테이블 상에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니며 목적하는 위치에 서각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불편과 작업 시간이 증대되어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된 위치에 서서 서각작업을 할 대상을 원하는 위치로 고정시켜 서각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Accordingly, the operator moves around the table on which the object to be wobbled is placed, and performs a wobbling operation at a desired position. This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work inconvenience and the work time of the worker are increased, .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wedge operation by fixing an object to be wedged at a desired position in a fixed position by an operato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서각판재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지지가능하며 서각판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table table rotatably rotatable selectively and independently of a size of a wing plat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wing plat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이 중심측 함몰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와; 상기 지지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 및 상기 회전테이블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tary table comprising: a rotary table which supports a wrist and is rotatably mounted on a lower center side of the bearing; A bearing assembly mounted on a lower center side of the rotary table and received in a center side recessed groov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ry table; A rotation shaking portion provided on the support assembly and configured to brak or release rotation of the rotary table as the wire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wrist strap fix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table so as to be elastically projected from the rotary table and fixing the wrist strap seated on the rotary table.

여기서 상기 지지어셈블리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이 압입되어 수용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봉체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봉체를 수용하되 봉체가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용봉체와, 상기 수용봉체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수용봉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Wherein the support assembly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including a rotation support portion press-fitted and received by a bearing mounted on a lower center side of the rotary table and a rod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of a base member for supporting the water-absorbing member and being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water-absorbent member, wherein the first support member is slidable upward and downwar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회전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는 페달부와, 상기 페달부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페달부의 접힘에 따라 하강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하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면측에 원호상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제동홈에 최상단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회전테이블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rotation braking unit may include a pedal unit that is elastically restored on the base unit, a wire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edal unit and descends according to the folding of the pedal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a fuselage which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rotary support part and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brak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orm of an arc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rotary table so that the rotary table is braked and released.

아울러 상기 제동체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와, 상기 제동돌기 하부측에 연결되는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 하부측으로 형성되며 플렌지부 보다 직경이 작은 수용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수용관부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와이어의 하강에 따라 동반 하강되되, 상기 회전지지부 상에 제동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의 상부측은 플렌지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의 하부측으로 수용관부 외연을 따라 관통공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가 더 포함됨에 따라 와이어의 하강시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이 상부측으로 작용한다. The braking body further includes a braking protrusion form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braking protrusion, a flange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braking protrusion, and a receiving tube portion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lange portion, And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bogie body on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so that the outer edge of the receiving tub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Accordingl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acts on the upper side when the wire is lowered.

아울러 상기 서각고정부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양측 각각에서 2개소로 타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천공된 홀더수용홈에 일정부분 삽입되는 'ㄴ'형상의 홀더브라켓과, 상기 양측에 2개소로 구성되는 홀더브라켓 중 일측 2개소의 홀더브라켓 간을 결합하는 결합봉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탄성지지봉과, 상기 홀더브라켓의 저면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더지지봉과 상기 탄성지지봉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이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wrist-fixing part includes a holder bracket having a shape of 'a' which is inserted into a holder receiving groove formed horizontally horizontally toward the other side at two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rotary table, and a holder bracket A holder support rod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and a holder support ba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astically connecting the ends.

또한 상기 서각고정부는 결합봉을 외측으로 푸싱하여 홀더브라켓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한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정부는 봉체의 일정 위치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링체를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결합봉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싱체와, 상기 푸싱체의 타측 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홀더브라켓 간 간격을 조절하는 가압나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urther, the wrist fix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gap adjusting portion capable of pushing the connecting rod outwardly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holder brackets, wherein the gap adjusting portion has a pair of ring- And a pressing screw body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lder brackets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서각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서각의 폭에 다양하게 호환가능하도록 서각고정부가 구성되며, 지지어셈블리가 높이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각의 높이 또한 조절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st can be rotated and fixed to a desired position, the wrist fixe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variously compatible with the wrist, and the height of the wrist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r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동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table for a wrist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rotary table for a wrist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rotary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otary bra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western-style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wrist-and-wrist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table for a wristw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somewhat.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의 분해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ry table for a wrist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rotary table for a wrist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제동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고정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rotary bra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wrist-and-arrow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wrist-fixing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은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B)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10)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중심측 함몰홈(21aa)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20)와, 상기 지지어셈블리(20)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32)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10)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30) 및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10)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40)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rotary table 10 for a wrist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table 10 supporting a wrist and having a bearing B mounted on a lower center side thereof, A support assembly 20 mounted on the support assembly 20 to receive the bearing B mounted on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rotary table 10 and received in the center side recess 21aa to support the rotary table 10, (30) configured to brak or release the rotation of the rotary table (10) as the wire (32) is pulled by the rotary table (10) And a wrist strap fixing part 40 for fixing a wrist strap that is seated on the body 10.

여기서 상기 회전테이블(10)은 서각작업시 서각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회전테이블(10)은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특정 회전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rotary table 10 is provided to support a wrist while the wristwatch is working. The rotary tab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otate about a center and can be fixed at a specific rotation posi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테이블(10)은 서각작업시 서각을 고정시킴은 물론 다양한 방향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해당 방향으로 계속하여 위치 이동을 하여야 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해 필요한 위치로 서각을 돌려 고정시킨 후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tab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wristwatch at the time of wristwatching, as well as works in various directions, so that the wristwatch is positioned at a necessary position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the operator continuously moving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urn it on and let it work.

아울러 회전테이블(10)에 서각을 고정시키되 다양한 크기의 서각을 고정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간격 이동이 가능한 서각고정부(40)를 구비하여 사용가능한 서각의 호환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rotary table 10 is provided with a wedge fixing part 40 which is fixed to the rotary table 10 and can be flexibly moved so as to fix wedges of various sizes.

이러한 회전테이블(10)은 상기 지지어셈블리(20) 및 회전제동부(30)에 의해 회전가능함과 동시에 특정 회전위치로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지지어셈블리(2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압입되어 수용하는 회전지지부(21a)와,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봉체(21b)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21)와, 상기 제1지지부(21)의 봉체(21b)를 수용하되 봉체(21b)가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지지부(2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용봉체(22a)와, 상기 수용봉체(22a)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수용봉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2b)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22)로 이루어진다. The rotary table 10 is rotatable by the support assembly 20 and the rotary braking unit 30 and can be fixed at a specific rotation position. A first support portion 21 composed of a rotary support portion 21a which is press-fitted and received by the bearing B mounted on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rotary support portion 21a and a rod body 21b which extends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support portion 21a, A water receiving member 22a for receiving the rod 21b of the support 21 and allowing the rod 21b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21,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22 formed of a base portion 22b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collecting rod body 22a.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21)는 회전지지부(21a)와 봉체(21b)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1지지부(21)와 후술할 제2지지부(22)는 슬라이딩 결합하여 회전테이블(10)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된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is composed of a rotation support portion 21a and a rod 21b.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to be described later are slidably engaged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도면에서는 별도의 높이 고정수단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슬라이딩을 통해 위치이동한 후 볼트부재 등을 통해 해당 높이로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Although no separate height fixing means is shown in the drawing, the height fix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fixed at a corresponding height through a bolt member or the like after being moved through sliding.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상부측에는 회전테이블(10)의 저면측에 장착되는 베어링(B)이 압입되는 함몰홈(21aa)이 형성되어 회전테이블(10)과 결합된다. A depressed recess 21aa into which a bearing B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table 1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ry support portion 21a and is coupled to the rotary table 10. [

아울러 상기 제2지지부(22)는 수용봉체(22a)와 베이스부(22b)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용봉체(22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21)의 봉체(21b)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수용한다.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 is composed of a water-absorbing member 22a and a base portion 22b. The water-absorbing member 22a has a hollow portion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slider 21b is slidably received.

또한 상기 베이스부(22b)는 상기 수용봉체(22a)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베이스부(22b)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base portion 22b is provided to support the water-containing ball body 22a, and the shape of the base portion 22b may be variously configured.

한편 상기 회전제동부(30)는 회전테이블(10)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 후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회전제동부(30)는 상기 베이스부(22b) 상에 탄력적으로 복원되록 이루어지는 페달부(31)와, 상기 페달부(31)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페달부(31)의 접힘에 따라 하강하는 와이어(32)와, 상기 와이어(32)의 타단이 하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측에 원호상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제동홈(10a)에 최상단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회전테이블(10)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동체(33)로 구성된다. The rotary braking unit 30 is provided to rotate and fix the rotary table 10 to a desired position. The rotary braking unit 30 includes a pedal unit 30, which is elastically restored on the base unit 22b, A wire 32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edal part 31 and descends in accordance with the folding of the pedal part 31; The upper end of the bending groove 10a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groove 10a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orm of an arc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rotary table 10 through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1a, And a braking member 33 for allowing the braking member 33 to be operated.

상기 페달부(31)는 일측에 힌지결합방식으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스프링복원수단을 통해 폴딩을 위한 가압 후 가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The pedal portion 31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on one side in a hinged manner,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after pressing for folding through the spring restoring means.

이에 따라 페달부(31)의 단부에 결합된 와이어(32)가 페달부(31)의 폴딩에 따라 하부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러한 와이어(32)의 당김력은 상기 제동체(33)를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시키게 된다. The wire 32 coupled to the end of the pedal portion 31 is pulled to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folding of the pedal portion 31 and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32 is transmitted to the lower side .

상기 제동체(33)가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동체(33)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33a)가 회전테이블(10)의 제동홈(10a)에서 이탈하여 자유롭게 회전테이블(10)이 회전가능해지고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대로 페달부(31)의 가압력을 해제하여 제동체(33)를 상부측으로 위치이동시켜 상기 제동돌기(33a)가 제동홈(10a)에 끼워지도록 한다. The braking protrusion 33a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raking body 33 is released from the braking groove 10a of the rotary table 10 and freely rotatable about the rotary table 10 when the braking body 33 is moved to the lower side. The braking body 33a is moved to the upper side by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edal portion 31 and the braking projection 33a is inserted into the braking groove 10a Respectively.

따라서 회전 위치 고정을 위한 제동체(33)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33a)와, 상기 제동돌기(33a) 하부측에 연결되는 플렌지부(33b)와, 상기 플렌지부(33b) 하부측으로 형성되며 플렌지부(33b) 보다 직경이 작은 수용관부(33c)로 이루어진다. The braking member 33 for fixing the rotational position is provided with a braking projection 33a formed at the uppermost end thereof, a flange portion 33b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raking projection 33a, And a receiving tube portion 33c whose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lange portion 33b.

상기 와이어(32)는 상기 수용관부(33c)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와이어(32)의 하강에 따라 동반 하강되되, 상기 회전지지부(21a) 상에 제동체(33)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21ab)의 상부측은 플렌지부(33b)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33b)의 하부측으로 수용관부(33c) 외연을 따라 관통공(21ab)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21c)가 구성된다. The wire 32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tube portion 33c and is descended according to the descent of the wire 32. The wire 3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3c formed on the rotation supporting portion 21a,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33ab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33b so that the spring member 21c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21ab along the outer edge of the receiving tube portion 33c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33b do.

이와 같은 스프링부재(21c)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32)의 상승시 제동체(33)가 상부측으로 위치이동될 수 있다.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21c, the braking member 33 can be moved to the upper side when the wire 32 rises.

한편 상기 서각고정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에 위치되는 서각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서각고정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 각각에서 2개소로 타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천공된 홀더수용홈(10b)에 일정부분 삽입되는 'ㄴ'형상의 홀더브라켓(51)과, 상기 양측에 2개소로 구성되는 홀더브라켓(51) 중 일측 2개소의 홀더브라켓(51) 간을 결합하는 결합봉(52)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탄성지지봉(54)과, 상기 홀더브라켓(51)의 저면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더지지봉(51a)과 상기 탄성지지봉(54)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이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53)로 이루어진다. The wrist-fixing part 40 is provided to press and fix the wristwatch located on the rotary table 10 on both sides of the rotary table 10, Shaped holder bracket 51 inserted in a holder receiving groove 10b horizontally drilled horizontally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bracket 51 and two holder brackets 5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bracket 51, An elastic support rod 54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table 10 so as to protrude downwardly and a fixing bracket 54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51, And a resilient member 53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rods 54 and elastically connecting the ends thereof.

또한 상기 서각고정부(40)는 결합봉(52)을 외측으로 푸싱하여 홀더브라켓(51)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한 간격조정부(40a)를 포함한다.Further, the wrist fixing part 40 includes a gap adjusting part 40a that pushes the connecting rod 52 outwar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older brackets 51. [

여기서 상기 간격조정부(40a)는 봉체(21b)의 일정 위치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링체(21ba)를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결합봉(52)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싱체(56)와, 상기 푸싱체(56)의 타측 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홀더브라켓(51) 간 간격을 조절하는 가압나사체(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pacing adjusting unit 40a includes a pushing body 56 passing through a pair of ring members 21ba coupled to the fixed body 21b at both ends thereof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ring body 21ba, And a pressing screw body 55 for pressing or releasing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body 56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holder brackets 51.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C-C' 단면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table for a wristw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8,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테이블(10)은 봉체(21b)에 각도조절부(60)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 용이한 각도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otary tab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portion 60 in a rod body 21b,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an operator at an easy angle.

이와 같이 각도조절부(60)는 봉체(21b)의 어느 일정 지점에 서로 분리되되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상부봉체(21ba) 및 하부봉체(21bb)와, 상기 상부봉체(21ba)의 힌지결합공(21bc) 하부측에 형성되는 고정결합공(21bd)과 핀 결합되어 고정가능하도록 핀결합공(21be)을 가지며 상기 하부봉체(21bb)의 외측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판부(21bf)로 이루어진다. The angular adjustment unit 60 includes an upper bar member 21ba and a lower bar member 21bb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point of the bar 21b and hinged to be rotatable, And an extension plate portion 21bf having a pin engagement hole 21be and fixed to the fixed engagement hole 21bd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hook body 21bc and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hook body 21bb.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봉체(21ba)를 목적하는 위치로 회전한 후 핀(P)을 상기 연장판부(21bf)의 핀결합공(21be) 및 이에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고정결합공(21bd) 모두 관통하여 상기 상부봉체(21ba)와 하부봉체(21bb) 간 힌지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10, after rotating the upper rod 21ba to a desired position, the pin P is inserted into the pin coupling hole 21be of the extension plate portion 21bf and the pin coupling hole 21be of the fixed plate 21b, The hinge ang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ods 21ba and 21bb can be fixed by passing through the holes 21bd.

물론 상기 연장판부(21bf)의 핀결합공(21be)은 상부봉체(21ba)의 회동에 따라 고정결합공(21bd)이 회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하여야 하며 복수개의 고정결합공(21bd) 개수가 많을수록 보다 세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Of course, the pin coupling hole 21be of the extension plate portion 21bf should be positioned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fixed coupling hole 21bd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pper hook body 21ba, and a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xed coupling holes 21bd increases More precise angle adjustment becomes possible.

이에 따라 작업자가 서각작업을 앉은 상태에서 할 수 있게 되며, 가장 편한 상태로 회전테이블(10)을 설정하여 작업함에 따라 작업피로도가 감소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worker can work while sitting on the wristwatch, and the work table is reduced and the work table is set in the most comfortable state.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 : 회전테이블 20 : 지지어셈블리
30 : 회전제동부 40 : 서각고정부
10: rotating table 20: support assembly
30: rotation shaking portion 40:

Claims (6)

서각을 지지하며 하부 중심측에 베어링(B)이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회전테이블(10)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중심측 함몰홈(21aa)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을 회전지지하는 지지어셈블리(20)와;
상기 지지어셈블리(20)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와이어(32)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테이블(10)의 회전을 제동 또는 제동해제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제동부(30); 및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에 각각 탄력적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테이블(10) 상에 안착되는 서각을 고정하는 서각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어셈블리(2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하부 중심측에 장착된 베어링(B)이 압입되어 수용하는 회전지지부(21a)와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봉체(21b)로 이루어지는 제1지지부(21)와,
상기 제1지지부(21)의 봉체(21b)를 수용하되 봉체(21b)가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제1지지부(2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수용봉체(22a)와, 상기 수용봉체(22a)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수용봉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2b)로 이루어지는 제2지지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제동부(30)는
상기 베이스부(22b) 상에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지는 페달부(31)와, 상기 페달부(31)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페달부(31)의 접힘에 따라 하강하는 와이어(32)와, 상기 와이어(32)의 타단이 하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지지부(21a)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측에 원호상으로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제동홈(10a)에 최상단이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회전테이블(10)의 제동 및 제동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동체(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A rotary table (10) supporting the wrist and having a bearing (B) mounted on the lower center side and rotatable;
A bearing assembly B mounted on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rotary table 10 is received in the center side recess 21aa and rotatably supports the rotary table 10;
A rotary braking unit 30 installed on the support assembly 20 and configured to brak or release the rotation of the rotary table 10 as the wire 32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And
And a wrist-fixing part 40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table 10 so as to be elastically protruded and fixes a wrist rest on the rotary table 10,
The support assembly (20)
A first support portion 21a including a rotary support portion 21a which is press-fitted and received by the bearing B mounted on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rotary table 10 and a rod body 21b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support portion 21a, )Wow,
A water supply rod body 22a for receiving the rod body 21b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allowing the rod body 21b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22 formed of a base portion 22b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22a and supporting the water-
The rotation shaking part (30)
A wire 32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edal part 31 and descends according to the folding of the pedal part 31, The other end of the wire 32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wire 32 is inserted into the braking groove 10a which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hape of an arc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rotary table 10 through one side of the rotary support portion 21a And a braking body (33) for selectively bracing and unblocking the rotary tabl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체(33)는
최상단에 형성되는 제동돌기(33a)와, 상기 제동돌기(33a) 하부측에 연결되는 플렌지부(33b)와, 상기 플렌지부(33b) 하부측으로 형성되며 플렌지부(33b) 보다 직경이 작은 수용관부(33c)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32)는 상기 수용관부(33c)의 하부측과 연결되어 와이어(32)의 하강에 따라 동반 하강되되,
상기 회전지지부(21a) 상에 제동체(33)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21ab)의 상부측은 플렌지부(33b)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렌지부(33b)의 하부측으로 수용관부(33c) 외연을 따라 관통공(21ab)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21c)가 더 포함됨에 따라 와이어(32)의 하강시 스프링부재(21c)의 복원력이 상부측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selage (33)
A flange portion 33b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raking protrusion 33a and a receiving portion 33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33b a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lange portion 33b, And the wire 32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pipe portion 33c and descended according to the descent of the wire 32,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21ab formed in the rotating support portion 21a through which the fuselage 33 passes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33b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33b Wherein the resilient force of the spring member (21c) acts on the upper side when the wire (32) is lowered because the spring member (21c)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21ab) along the outer edge of the wir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각고정부(40)는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양측 각각에서 2개소로 타측방향을 향해 수평하게 천공된 홀더수용홈(10b)에 일정부분 삽입되는 'ㄴ'형상의 홀더브라켓(51)과, 상기 양측에 2개소로 구성되는 홀더브라켓(51) 중 일측 2개소의 홀더브라켓(51) 간을 결합하는 결합봉(52)과, 상기 회전테이블(10)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탄성지지봉(54)과, 상기 홀더브라켓(51)의 저면 일측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더지지봉(51a)과 상기 탄성지지봉(54)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어 이들 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재(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rist-fixing part 40
Shaped holder bracket 51 inserted at certain positions in the holder receiving grooves 10b horizontally drilled horizontally toward the other side in two places on each side of the rotary table 10 and two ' An engaging rod 52 for engaging the two holder brackets 51 at one side among the holder brackets 51 constituted by the holding brackets 51 and an elastic supporting rod 54 project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table 10, A holder support rod 51a protruding downwar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bracket 51 and an elastic member 53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support rod 54 and elastically connecting the ends thereof, Wherein the rotary table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ry ta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각고정부(40)는
결합봉(52)을 외측으로 푸싱하여 홀더브라켓(51) 간의 간격을 조절가능한 간격조정부(40a)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정부(40a)는
봉체(21b)의 일정 위치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한쌍의 링체(21ba)를 관통하여 일측 단부가 결합봉(52)에 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싱체(56)와, 상기 푸싱체(56)의 타측 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홀더브라켓(51) 간 간격을 조절하는 가압나사체(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업용 회전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3,
The wrist-fixing part 40
Further comprising a gap adjusting unit (40a) for pushing the connecting rod (52) outwar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older brackets (51)
The interval adjusting unit 40a
A pushing body 56 passing through a pair of ring bodies 21ba to be projected on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ok body 21b so that one end of the pushing body 56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rod 52; And a pressing screw body (55)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lder brackets (51)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end portions of the pressing brackets (51).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25920A 2016-03-03 2016-03-03 Rotation table KR101812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20A KR101812766B1 (en) 2016-03-03 2016-03-03 Rotation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20A KR101812766B1 (en) 2016-03-03 2016-03-03 Rotation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08A KR20170103308A (en) 2017-09-13
KR101812766B1 true KR101812766B1 (en) 2017-12-28

Family

ID=5996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920A KR101812766B1 (en) 2016-03-03 2016-03-03 Rotation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7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230A (en) 2020-08-20 2022-03-02 (주)파버나인 Turn table apparatus
KR102534588B1 (en) * 2022-04-01 2023-05-26 김천도 Workbench for dom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08A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60995A (en) Mounting for vises
KR101812766B1 (en) Rotation table
JPS5850816B2 (en) tightening device
BRPI0709423A2 (en) manual ceramic counter
JP2006198868A5 (en)
CN105415451A (en) Location-fixation mechanism for wood plate drilling
US3896744A (en) Height-adjustable desk
ATE374563T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KR100743935B1 (en) Adjusting apparatus of chair arm rest
US2888759A (en) Ironing board with built-in midget board
US6017089A (en) Arrangement in a chair, especially for regulating the level of the seat, etc.
KR101400683B1 (en) Device height adjustable desks and chairs
US709612A (en) Adjustable camera-stand.
TWD200722S (en) Adjustable pedestal
JP4856464B2 (en) Mannequin doll stand
US1357825A (en) Adjustable stool or chair
US1128240A (en) Arbor-press.
CN208821856U (en) Lifting device and tables and chairs
KR100954505B1 (en) The table
US1863457A (en) Walking stick seat
JP3214656U (en) Back support mechanism for nursing walker
KR20080003591A (en) Height adjustable device for a desk
JP2001104514A (en) Saddle height adjusting device
KR101676540B1 (en) A chair having a variable desk and table
JP2000263502A5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