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870B1 -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 Google Patents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870B1
KR101811870B1 KR1020170093811A KR20170093811A KR101811870B1 KR 101811870 B1 KR101811870 B1 KR 101811870B1 KR 1020170093811 A KR1020170093811 A KR 1020170093811A KR 20170093811 A KR20170093811 A KR 20170093811A KR 101811870 B1 KR101811870 B1 KR 10181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ide wall
compressed
cor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박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수 filed Critical 박문수
Priority to KR1020170093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 B65D21/068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the movable parts consisting of walls or parts thereof, i.e. deform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컵을 이용한 뒤 쓰레기 처리하는 경우 상기 컵을 압축시켜 버림으로써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한편, 컵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도 컵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을 수 있도록 설계된,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COMPRESSED CUP HAVING A SMALL VOLUME}
본 발명은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컵을 이용한 뒤 쓰레기 처리하는 경우 상기 컵을 압축시켜 버림으로써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한편, 컵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도 컵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을 수 있도록 설계된,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컵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간식이나 음료를 수용하고, 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 물건이다. 최초의 컵은, 도자기나 유리 등으로 제작되어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디자인 등의 위주로 개발되어 외관의 심미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근래 이르러 사용자들이 컵을 소지하고 다니는 일이 많아짐에 따라 휴대성을 확보하거나 수용된 내용물의 신선도 또는 온도 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간편하게 소지하고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방향으로도 개발되어,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컵으로 개발 되어졌다.
이러한 종이컵에서 1회성을 유지하는 한편, 컵의 내구성을 다소 확보한 것도 있는데, 이는 커피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컵이다.
그러나 이러한 1회성 컵들은, 환경적인 문제로 자주 대두되고 있다. 그 이유는 1회성이고,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들이 쉽게 쓰레기 처리하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종이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인 이 1회성 컵들은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서, 토지오염 등 환경문제의 주범이 되기도 한다.
또한, 쓰레기 처리되는데 있어서도 종이 재질의 컵은 구겨서 버릴 여지가 있긴 하지만 제대로 실천되지 않는 실정이고, 이마저도 종이컵용 회수기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사무실이 아닌 이상 제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커피용 1회성 컵의 경우에는, 구겨짐이나 부피 축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더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컵의 재질을 막론하고 컵을 압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상술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러한 컵을 압축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다음의 선행기술들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01725호에는 휴대용 주름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액체 음료를 저장하는 주름상자로 형성된 본체부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으로 형성된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힘을 가하여 본체부를 확대 또는 축소할 경우 주름상자 및 지지대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본체부 내부에 저장된 음료의 무게로 인하여 주름상자가 자동으로 축소 또는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구조와 같은 주름형 용기의 경우에는 용기의 압축이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용기가 사용자 의도에 관계없이 축소 또는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려면 용기의 강도를 높여야 하지만, 이는 재료의 증가에 따라 1회성 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464307호에는 유체 공급 조립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일반적으로 유체 도포기를 위한 유체 공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일회용 컵 및 뚜껑(lid)과, 재활용 외피(shell) 및 외부 뚜껑을 갖는 유체 공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의 경우, 용기나 컵 등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는 있다. 외피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을 더 부가하는 경우 잘못하면 외피의 쓰레기 처리가 곤란해져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술에만 기재된 외피로는 쓰레기 처리의 부피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11415호에는 휴대용 압력식 음료 추출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내부에 내용물과 함께 물이 담기며, 상기 내용물을 가압하여 음료추출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에 안착되는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 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 역시, 본 출원인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다.
또 다른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1999-0036516호에는 일회용 봉지 음료를 넣는 압축컵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기존의 1회용 봉지 커피 및 국산차를 마시기 위해서는 1회용 커피봉지를 절취후 다시 1회용 종이컵이나 일반컵으로 내용물을 이동시켜 사용함으로써 야외나 사무실에서 종이컵과 봉지커피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 시키기 위해 1회용 압축컵에 봉지음료의 내용물을 바로넣고 밀봉하여 사용시 압축컵 상부의 밀봉지를 떼어낸후 압축컵 상·하부를 양손으로 가볍게 잡아 늘려 주면 컵 형태가 복원되고 떼어낸 밀봉지를 접어 내용물을 젖는 막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 역시, 컵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01725호(2016.03.09.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464307호(2014.11.21.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11415호(2017.03.02.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1999-0036516호(1999.09.27.)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이용한 뒤 쓰레기 처리하는 경우 상기 컵을 압축시켜 버림으로써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한편, 컵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도 컵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을 수 있도록 설계된,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은, 상부(上)와 하부(下)로 구분되고, 상부는 복수의 주름부(11)가 형성되어 주름부(11)가 접힘으로써 압축될 수 있고, 하부는 간격이 넓은 주름으로 구성된 다단부(12)가 형성됨으로써 압출될 수 있는 컵부(10); 및 이의 헤드(h)의 직경이 상기 컵부(10)의 헤드(h) 직경보다 자게 구성되어, 상기 컵부(10)가 걸쳐질 수 있고, 이의 하면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헤드와 측벽(21)으로 구성된 받침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20)는 이의 헤드(h)에 홈(h')이 구성되고, 상기 홈(h')에 측벽(2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20)는,
- 이의 단부 일측에 홈부(22)가 형성되며,
- 이의 다른 단부 일측에 끈(30)이 형성되고,
- 상기 측벽(21)이 말렸을 때 내면에 해당되는 일면에는 상기 홈부(22)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피접착면 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21)에 형성된 피접착면 B'은 다른 측벽의 재질보다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끈(30)은 비닐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접착면 B'과 동일한 길이와 높이로 형성되며, 일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단에서부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피접착면 B'에 접착되는 접착면 B가 형성된 끈 커버(31); 및 상기 끈 커버(31)의 중공에 삽입되고,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당김 끈(32);을 포함하되,
상기 당김 끈(32)은,
- 이의 일단에, 상기 끈 커버(31)의 개방된 일단 중 중공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피접착면 A'에 접착되는 접착면 A가 형성되고,
- 이의 다른 일단은, 상기 끈 커버(31)에 삽입되어 개방되지 않은 일단에서 U턴되고 다시 개방된 일단을 초과하여 상기 끈 커버(3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끈 커버(31)로부터 노출된 당김 끈(32)을 당기는 경우, 다른 측벽(21)의 재질에 비해 지지력이 약화된 측벽(21)의 피접착면 B'이 당김 끈(32)이 제거되는 반동에 따라 상기 측벽(21)이 이의 중심방향으로 오므려지게 되고, 인력(人力)을 통해 압축시킴으로써, 받침부(20)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의하면, 컵을 쓰레기 처리할 때 압축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 부피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이에 따라 도출되는 컵의 지지력 약화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력 약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2의 지지체를 사용하더라도, 이 제2의 지지체 역시 간단한 방법으로 부피를 감소시켜 쓰레기 처리할 수 있으므로, 기본 목적을 저해하지 않을 수도 있고, 아울러, 제품화하는데 있어서도 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게 되므로 경제적으로도 우수한 이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받침부를 펼친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받침부에 연결되는 고정과 당김의 기능을 하는 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받침부가 압축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컵을 이용한 뒤 쓰레기 처리하는 경우 상기 컵을 압축시켜 버림으로써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한편, 컵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었을 때도 컵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을 수 있도록 설계된,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컵부(10)와 받침부(20)를 주요하게 포함한다.
컵부(1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그 재질은 종이부터 플라스틱 및 합성수지 등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컵부(10)는 도 1과 같이 상부(上)와 하부(下)로 구분되며, 상부는 복수의 주름부(11)가 형성되어 주름부(11)가 접힘으로써 압축될 수 있고, 하부는 상기 주름이되 간격이 넓은 주름으로 구성된 다단부(12)가 형성됨으로써 인력(人力)이 가해지면 접혀 압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컵부(10)는 쓰레기 처리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이와 같이 주름부(11)와 다단부(12)를 구성함에 따라,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지지력이 확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받침부(20)를 더 포함하여 컵부(10)를 고정할 수 있어서 컵부(10)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받침부(20)의 헤드(h) 직경은 컵부(10)의 헤드(h)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컵부(10)의 헤드(h)의 하부측이 받침부(20)의 헤드(h)의 상부측에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부(20)의 헤드(h) 직경은 컵부(10)의 헤드(h)의 작은 직경(내면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부(20)는 하면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그 재질은 소정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합성수지 내지 플라스틱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컵부(1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만 확보된다면 두꺼운 종이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러한 받침부(20)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받침부를 펼친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받침부(20)는,
이의 헤드(h)와 측벽(21)이 분리되는 상태로 구성된다.
이때, 받침부(20)의 헤드(h)는 도 2와 같이 헤드(h)의 하부면에 이중 격벽이 형성된 홈(h')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홈(h')에 측벽(21)이 삽입될 수 있다.
측벽(21)은 원형으로 말리기 전에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벽(21)의 일측 중 측벽(21)이 말렸을 때 내면에 해당되는 일면에는 홈부(22)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피접착면 B'가 형성되는데, 이때 피접착면 B'은 다른 측벽(21)의 재질보다 유연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벽(21)의 단부 일측에는 홈부(22)가 측벽(2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홈부(22)에는 측벽(21)의 다른 단부 일측에 형성된 끈(30)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홈부(22)에 삽입된 끈(30)은 측벽(21)의 외부측에서 홈부(22)에 삽입되어 측벽(21)의 내면 중 피접착면 B'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받침부에 연결되는 고정과 당김의 기능을 하는 끝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끈(30)은 끈 커버(31)와 당김 끈(32)으로 구성되는데,
끈 커버(31)는 비닐과 같은 얇고 매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끈 커버(31)는 단부가 개방되고, 이 개방된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끈 커버(31)의 중공에는 당김 끈(32)이 삽입되는데, 이때 당김 끈(32)은 끈 커버(31)에 비해 비교적 강도가 센 종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끈 커버(31)의 일면은 접착면 B가 형성되며, 상기 접착면 B는 측벽(21)의 피접착면 B'에 접착되도록 한다.
즉, 끈 커버(31)와 당김 끈(32)은 측벽(21)의 피접착면 B'와 동일한 길이 및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측벽(21)의 피접착면 B'이 다른 측벽(21)에 비해 강도가 약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측벽(21)의 피접착면 B'에 당김 끈(32)이 삽입된 끈 커버(31)가 부착되면다면 측벽(21)이 무너질 염려가 없다.
또한, 끈 커버(31)의 개방된 단부의 내면 일측에는 피접착면 A'이 마련되며, 당김 끈(32)은 일단에 접착면 A가 마련되어 상기 피접착면 A'에 접착된다.
이후 당김 끈(32)은 끈 커버(31)의 중공 내의 다른 단부까지 연장되다가 U턴하면서 다시 끈 커버(31)의 개방된 단부까지 연장되어 개방된 단부를 초과하여 당김 끈(32)의 일단이 끈 커버(31)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즉, 당김 끈(32)은 끈 커버(31)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받침부(20)에 컵부(10)를 고정하여 지지력이 확보된 상태에서 즐길 수 있으며, 사용 후 컵부(10)를 분리하여 압축해서 쓰레기 처리하고, 받침부(20)는 당김 끈(32)을 당김으로써, 도 4의 (a)와 같이 받침부(20)의 중심 즉, 피접착면 B'이 형성된 부근이 오므려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피접착면 B'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끈 커버(31)와 당김 끈(32)에 의해 지지력을 확보하고 있었으나, 당김 끈(32)이 당겨져 끈 커버(3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강도가 약한 피접착면 B'과 당김 끈(32) 영역이 반동에 따라 오므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오므라짐을 돕기 위하여, 피접착면 B' 영역에 자바라 형식의 주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a)와 같이 받침부(20)가 오므려지면, 도 4의 (b)와 같이 압착시켜서 부피가 감소된 상태로 쓰레기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당김 끈(32)으로 압착된 받침부(20)를 묶을 수도 있으므로, 압착된 받침부(20)가 펼쳐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의 받침부가 압축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컵부
11 : 주름부
12 : 다단부
20 : 받침부
21 : 측벽
22 : 홈부
30 : 끈
31 : 끈 커버
32 : 당김 끈
h : 헤드
h' : 홈
A, B : 접착면
A', B' : 피접착면

Claims (3)

  1. 상부(上)와 하부(下)로 구분되고, 상부는 복수의 주름부(11)가 형성되어 주름부(11)가 접힘으로써 압축될 수 있고, 하부는 간격이 넓은 주름으로 구성된 다단부(12)가 형성됨으로써 압출될 수 있는 컵부(10); 및
    이의 헤드(h)의 직경이 상기 컵부(10)의 헤드(h)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컵부(10)가 걸쳐질 수 있고, 이의 하면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헤드와 측벽(21)으로 구성된 받침부(20);를 포함하는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20)는,
    - 이의 헤드(h)에 홈(h')이 구성되고, 상기 홈(h')에 측벽(21)이 삽입되며,
    - 상기 측벽(21)의 단부에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홈부(22)가 형성되고,
    - 상기 측벽(21)의 다른 단부에는 상기 홈부(22)에 삽입되는 끈(30)이 형성되며,
    - 상기 측벽(21)의 내면에는 상기 끈(30)이 접착되고, 측벽(21)의 재질보다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비접착면 B'가 형성되며,
    상기 끈(30)은,
    - 상기 비접착면 B'에 접착되는 접착면 B가 일면에 형성되고, 비닐로 이루어지며, 단부가 개방되고, 이 단부에 피접착면 A'이 마련되고, 상기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이 내부에 형성된 끈 커버(31)를 포함하며,
    - 상기 끈 커버(31)의 중공에 삽입되고, 끈 커버(31)보다 상도가 센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피접착면 A'에 접착되는 접착면 A가 마련되고, 상기 끈 커버(31)의 중공 내에서 다른 단부까지 연장되다가 U턴하면서 다시 끈 커버(31)의 개방된 단부까지 연장되어 개방된 단부를 초과하여 일부가 상기 끈 커버(31)로부터 노출되는 당김 끈(32)을 포함하고,
    - 상기 당김 끈(32)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측벽(21)의 비접착면 B'가 오므려져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2. 삭제
  3. 삭제
KR1020170093811A 2017-07-24 2017-07-24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KR10181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11A KR101811870B1 (ko) 2017-07-24 2017-07-24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11A KR101811870B1 (ko) 2017-07-24 2017-07-24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870B1 true KR101811870B1 (ko) 2018-01-25

Family

ID=6109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11A KR101811870B1 (ko) 2017-07-24 2017-07-24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87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75413B (en) Filter device for coffee or the like
US4509570A (en) Elastic top bag
KR101811870B1 (ko) 압축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컵
KR20110010101U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용 쓰레기통
KR102015461B1 (ko) 쓰레기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는 쓰레기통
CN2853660Y (zh) 带折叠提手的一次性饭盒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CN105730922B (zh) 一种设置有垃圾袋收纳盒的垃圾桶
CN201777457U (zh) 纸巾盒
JPS5848243Y2 (ja) ごみ容器
CN211109224U (zh) 折叠悬挂垃圾桶
CN204110691U (zh) 可压缩式卫生垃圾桶
KR200252443Y1 (ko) 쓰레기 봉투용 압착장치
CN212638642U (zh) 一种具有折叠功能的垃圾桶
CN207860818U (zh) 一种可扩展的包装盒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CN220810647U (zh) 可折叠立体便携垃圾桶
KR200492669Y1 (ko)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함용 비닐 쓰레기봉투
CN212972671U (zh) 便携式折叠榨汁机
CN208665771U (zh) 一种杯口带提环的可折叠纸杯
CN201384362Y (zh) 一种伸缩式杂物箱
CN2774959Y (zh) 一种容器
KR200416103Y1 (ko) 압축식 쓰레기통
KR20200041800A (ko) 절첩 가능한 휴대용 컵
KR200218083Y1 (ko) 종이컵 보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