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906B1 - 조명등기구 - Google Patents

조명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906B1
KR101810906B1 KR1020160103142A KR20160103142A KR101810906B1 KR 101810906 B1 KR101810906 B1 KR 101810906B1 KR 1020160103142 A KR1020160103142 A KR 1020160103142A KR 20160103142 A KR20160103142 A KR 20160103142A KR 101810906 B1 KR101810906 B1 KR 10181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etachable
protrusion
engag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조영우
Original Assignee
디비라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라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라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등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등기구는, 케이스에 전원유닛 및 발광유닛이 설치된 조명등기구로서, 케이스는, 구조물에 부착되고, 제2 걸림부 및 제1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케이스; 및 제2 걸림부에 중력방향으로 걸리는 제2 돌출부와, 제1 걸림부에 중력방향으로 걸리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탈착케이스를 포함하며, 제2 돌출부가 제2 걸림부에 걸린 지점을 회전축으로 탈착케이스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제1 돌출부는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명등기구{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照明, Lighting)에는 태양광에 의한 채광인 주광조명과 전등 등의 인공광원에 의한 인공조명이 있다. 태양광은 인간이 느끼는 색, 기타 모든 빛의 근원이지만, 계절이나 시간 그리고 기후에 따라 변동이 크며, 인간생활을 위한 조명의 전부는 아니다. 인공광원은 물체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빛을 조명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명의 요건인 시대상물이 용이하게 식별될 것, 쾌적성이나 분위기를 고려할 것, 사용 장소의 환경에 맞는 조명일 것, 그리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것 등이 중요시된다.
최근에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인공광원의 램프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LED는 저전력, 친환경이라는 기본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지구 에너지 문제와 온난화 문제를 해결해 줄 대체소자로서 다양한 분양에서의 적용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차세대 조명에 활용되는 LED 소자는 저전력으로 큰 밝기를 나타낼 수 있어 전력 효율적이며, 전구 수명이 매우 긴 장점이 있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나라마다 기존의 전력 소모가 큰 소명을 LED 조명으로 교체하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조명등기구에 있어 외부전원이나 센서 그리고 디밍 장치(dimming apparatus) 등을 통해서 들어오는 전선을 조명등기구 내부에서 결선하고자 할 경우에 작업자가 케이스를 열어서 작업을 해야 한다. 또한, 센서나 LED 모듈, 디밍 장치 등을 교체하기 위해서도 작업자가 조명등기구의 케이스를 열어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조명등기구의 설치 및 관리에 지출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쉽게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의 케이스가 요구된다.
그리고 조명등기구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조명등기구의 설치높이가 3미터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이 많으므로, 작업자나 사용자가 케이스를 열거나 닫을 때 조명등기구의 케이스 또는 부품이 낙하하는 경우 파손이나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기 쉬워 이를 방지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LED를 이용한 조명등기구 중 기존 형광등기구를 대체하는 조명등기구의 경우 기존 형광등기구의 케이스를 활용한 제품이 주중을 이루는데, 이들은 대부분 볼트나 후크에 의한 단순한 결합방식이 주종을 이루므로 커버를 비교적 쉽게 개방할 수는 있으나, 작업자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케이스 또는 부품이 쉽게 낙하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106호 (등록일: 2001.11.30)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에 전원유닛 및 발광유닛이 설치된 조명등기구로서, 상기 케이스는, 구조물에 부착되고, 제2 걸림부 및 제1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케이스;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중력방향으로 걸리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걸림부에 중력방향으로 걸리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탈착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린 지점을 회전축으로 상기 탈착케이스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탈착케이스에는 제1 슬라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탈착케이스의 바깥면에 밀착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드홀을 통해 상기 탈착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장부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드홀을 통해 상기 탈착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부의 상대유동을 구속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케이스에는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 연장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의 위쪽으로 미끄러지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스는, 상기 전원유닛이 설치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가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케이스는, 상기 발광유닛이 설치된 탈착몸체와, 상기 탈착몸체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탈착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돌출부가 탈착케이스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림으로써,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에서 고정케이스와 탈착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고정케이스와 탈착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제2 돌출부가 제2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부에 걸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등기구는,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등기구에서 고정케이스와 탈착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고정케이스와 탈착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제2 돌출부가 제2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부에 걸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조명등기구에서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등기구(1)는, 케이스(10)가 폐쇄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케이스(10)의 개폐가 용이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케이스(10), 전원유닛(2) 및 발광유닛(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명등기구(1)는 일반 조명등기구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0)에 전원유닛(2) 및 발광유닛(3)이 설치된다. 전원유닛(2)은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 등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속장치를 의미하고, 발광유닛(3)은 전원유닛(2)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 등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전원유닛(2) 및 발광유닛(3)이 탑재되는 뼈대를 형성하면서 전원유닛(2) 및 발광유닛(3)을 보호하는 구성으로서, 고정케이스(100) 및 탈착케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고정케이스(100)는 구조물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고정몸체(110) 및 고정날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몸체(110)는 하측으로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형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110)의 내측에는 SMPS 등 전원유닛(2)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날개(120)는 고정몸체(110) 하단의 서로 반대쪽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고정날개(120) 중 어느 한쪽 고정날개(이하 '제1 고정날개(121)')에는 제1 걸림부(121A)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고정날개(이하 '제2 고정날개(122)')에는 제2 걸림부(122A)가 형성된다.
탈착케이스(200)는 고정케이스(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탈착몸체(210) 및 탈착날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몸체(210)는 고정몸체(110)의 개방된 하부를 닫는 형태를 이룬다. 탈착몸체(210)에는 LED 모듈 등 발광유닛(3)이 설치된다. 탈착몸체(210)의 하단부에는 LED 모듈의 빛을 아래쪽으로 투과하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커버(C)가 조립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유닛(2)과 발광유닛(3)은 고정케이스(100)와 탈착케이스(200)의 결합 및 분리과정에서 커넥터(미도시)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탈착날개(220)는 탈착몸체(210) 상단의 서로 반대쪽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탈착날개(220) 중 어느 한쪽 탈착날개(이하 '제1 탈착날개(221)')에는 제1 돌출부(221A)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탈착날개(이하 '제2 탈착날개(222)')에는 제2 돌출부(222A)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케이스(200)가 고정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날개(120)는 한 쌍의 탈착날개(2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탈착케이스(200)와 고정케이스(100) 간 결합력은, 탈착날개(220)에 형성된 제1 돌출부(221A) 및 제2 돌출부(222A)가 고정날개(120)에 형성된 제1 걸림부(121A) 및 제2 걸림부(122A)에 중력방향으로 걸리는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고정날개(120)가 한 쌍의 탈착날개(220)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돌출부(221A)는 제1 걸림부(121A)에 중력방향으로 걸리고(도 6 참조) 제2 돌출부(222A)는 제2 걸림부(122A)에 중력방향으로 걸린다.(도 4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122A)는 제2 고정날개(122)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제2 고정날개(122)를 관통하는 홀은 가로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22A)는 제2 고정날개(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2 이상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222A)는 제2 탈착날개(222)에서 제1 탈착날개(221)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돌출부(222A)는 제2 걸림부(122A)에 삽입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222A)는 제2 걸림부(122A)에 삽입된 상태에서 탈착케이스(200)의 자중에 의해 제2 걸림부(122A)에 중력방향으로 걸리게 된다.
탈착케이스(200)는, 제2 돌출부(222A)가 제2 걸림부(122A)에 걸린 지점을 회전축(이하 '기준회전축(X)')으로 일정각도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케이스(100)에 매달릴 수 있다. 작업자는 탈착케이스(200)가 고정케이스(100)에 매달린 상태에서 전원유닛(2)과 발광유닛(3) 간 커넥터 연결과 같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제2 돌출부(222A)는 제2 걸림부(122A)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121A)는 제1 고정날개(121)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된 홈(이하 '삽입홈(121B)')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 걸림부(121A)는 삽입홈(121B)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제1 돌출부(221A)가 중력방향으로 걸릴 수 있는 제1 고정날개(121)의 일부를 의미한다. 제1 걸림부(121A)는 제1 고정날개(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2 이상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21A)는 손잡이(A1), 제1 연장부(A2), 스프링(A3) 및 제2 연장부(A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A1)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으로서, 제1 슬라이드홀(SH1)의 테두리에서 제1 탈착날개(221)의 바깥쪽 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A2)는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탈착케이스(200)의 하중을 제1 걸림부(121A)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손잡이(A1)로부터 제1 슬라이드홀(SH1)을 통해 탈착케이스(200)의 안쪽으로 돌출된다. 제1 슬라이드홀(SH1)은 제1 연장부(A2)의 가로방향 이동구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제1 탈착날개(221)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프링(A3)은 제1 연장부(A2)가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제1 연장부(A2)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양단이 제1 연장부(A2)와 탈착몸체(210)에 결합된 압축스프링 또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A4)는 제1 연장부(A2)가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기준회전축(X)과 직각방향으로 제1 걸림부(121A)의 상대유동을 구속하는 구성으로서, 손잡이(A1)로부터 제1 슬라이드홀(SH1)을 통해 탈착케이스(200)의 안쪽으로 돌출된다. 제2 연장부(A4)는 제1 연장부(A2)와 이격된 형태로 제1 연장부(A2)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제2 연장부(A4)에는 제1 연장부(A2)가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걸림부(121A)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H)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A2)가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연장부(A2)는 제1 걸림부(121A)와 삽입홈(121B)에 의해 상하방향 유동이 구속되고, 제2 연장부(A4)는 걸림홈(H)에 삽입된 제1 걸림부(121A)에 의해 기준회전축(X)과 직각방향(보다 자세하게는, 제2 연장부(A4)가 제1 슬라이드홀(SH1)에 삽입된 방향)으로의 유동이 구속된다.
이때, 제1 연장부(A2)는 스프링(A3)에 의해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1 연장부(A2)가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돌출부(221A)와 제1 걸림부(121A) 간 유동이 안정된 구조로 차단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케이스(200)에는 돌출부재(211)가 형성되고, 제2 연장부(A4)에는 돌출부재(211)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홀(SH2)이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홀(SH2)은 제1 슬라이드홀(SH1)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돌출부(221A)가 제1 걸림부(121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과정에서, 돌출부재(211)는 제1 슬라이드홀(SH1) 내부에서 기준회전축(X)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 연장부(A4)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손잡이(A1)는 제1 탈착날개(221)의 바깥쪽 면에 거의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제1 돌출부(221A)는 기준회전축(X)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외한 이동 및 회전이 차단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121A)에는 제1 경사면(F1) 및 제2 경사면(F2)이 형성된다.
제1 경사면(F1)은 제1 연장부(A2)가 안착되는 제1 걸림부(121A)의 경사진 윗면을 의미하고, 제2 경사면(F2)은 제1 경사면(F1) 아래쪽에서 제1 걸림부(121A)의 경사진 측면을 의미한다.
제1 경사면(F1)은 제1 연장부(A2)가 제1 걸림부(121A)의 위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제1 돌출부(221A)가 제1 걸림부(121A)에 걸린 상태에서 제1 연장부(A2)는 스프링(A3)의 가압력에 의해 제1 경사면(F1)을 따라 미끄러져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으로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삽입홈(121B)과 제1 걸림부(121A) 사이에서 제1 연장부(A2)의 상하방향 유동거리가 최소화된다.
제2 경사면(F2)은 제1 연장부(A2)가 삽입홈(121B)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제1 연장부(A2)와 멀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돌출부(221A)가 제1 걸림부(121A)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연장부(A2)는 스프링(A3)의 가압력에 의해 제2 경사면(F2)을 따라 미끄러져 제1 걸림부(121A)의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케이스(100)와 탈착케이스(200)를 분리할 때 작업자가 손잡이(A1)를 살짝 눌러 제1 연장부(A2)를 제1 걸림부(121A)의 옆쪽으로 위치시킨 후 손잡이(A1)를 놓더라도 제1 연장부(A2)가 스프링(A3)의 가압력에 의해 제2 경사면(F2)을 따라 미끄러져 탈착케이스(200)의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고정케이스(100)와 탈착케이스(20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작업자는 도 4와 같이 제2 돌출부(222A)를 제2 걸림부(122A)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제2 돌출부(222A)는 탈착케이스(200)의 자중에 의해 제2 걸림부(122A)에 중력방향으로 걸리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제1 연장부(A2) 및 제2 연장부(A4)가 삽입홈(121B)으로 삽입되도록 손잡이(A1)를 민 상태에서 탈착케이스(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1 연장부(A2) 및 제2 연장부(A4)가 삽입홈(121B)에 완전히 삽입된 후 작업자가 손잡이(A1)에서 손을 떼면 도 5(c) 및 도 6과 같이 제1 연장부(A2)가 스프링(A3)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1 걸림부(121A)의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케이스(100)와 탈착케이스(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고정케이스(100)와 탈착케이스(200)의 분리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작업자는 도 5(c) 및 도 6의 상태에서 제1 연장부(A2) 및 제2 연장부(A4)가 삽입홈(121B)을 통해 인출되도록 도 5(b)와 같이 손잡이(A1)를 민다. 이후, 작업자는 도 5(a)와 같이 탈착케이스(200)를 회전시켜 제1 연장부(A2) 및 제2 연장부(A4)를 삽입홈(121B)으로부터 인출하고 나서 제2 돌출부(222A)를 제2 걸림부(122A)로부터 인출하여 분리가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돌출부가 탈착케이스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1 돌출부가 제1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림으로써,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면서도 케이스의 개폐가 용이하고, 폐쇄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등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조명등기구 2 : 전원유닛
3 : 발광유닛 10 : 케이스
200 : 탈착케이스 100 : 고정케이스
210 : 탈착몸체 110 : 고정몸체
211 : 돌출부재 120 : 고정날개
C : 커버 121 : 제1 고정날개
220 : 탈착날개 121A : 제1 걸림부
221 : 제1 탈착날개 F1 : 제1 경사면
221A : 제1 돌출부 F2 : 제2 경사면
A1 : 손잡이 121B : 삽입홈
A2 : 제1 연장부 122 : 제2 고정날개
A3 : 스프링 122A : 제2 걸림부
A4 : 제2 연장부 X : 기준회전축
H : 걸림홈
SH2 : 제2 슬라이드홀
222 : 제2 탈착날개
222A : 제2 돌출부
SH1 : 제1 슬라이드홀

Claims (7)

  1. 케이스에 전원유닛 및 발광유닛이 설치된 조명등기구로서,
    상기 케이스는,
    구조물에 부착되고,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케이스; 및
    상기 제1 걸림부에 중력방향으로 걸리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걸림부에 중력방향으로 걸리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 탈착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제2 걸림부에 걸린 지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탈착케이스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탈착케이스에는 제1 슬라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탈착케이스의 바깥면에 밀착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드홀을 통해 상기 탈착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연장부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드홀을 통해 상기 탈착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제1 걸림부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부의 상대유동을 구속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케이스에는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 연장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의 위쪽으로 미끄러지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1 걸림부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는, 상기 전원유닛이 설치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가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케이스는, 상기 발광유닛이 설치된 탈착몸체와, 상기 탈착몸체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탈착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기구.
KR1020160103142A 2016-08-12 2016-08-12 조명등기구 KR10181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42A KR101810906B1 (ko) 2016-08-12 2016-08-12 조명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42A KR101810906B1 (ko) 2016-08-12 2016-08-12 조명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906B1 true KR101810906B1 (ko) 2017-12-26

Family

ID=6093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42A KR101810906B1 (ko) 2016-08-12 2016-08-12 조명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833A (zh) * 2018-10-05 2019-01-11 宁波智正伟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对led灯进行固定的led灯安装机构
CN114963052A (zh) * 2022-06-02 2022-08-30 深圳市巧精灵照明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控制的led灯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06Y1 (ko) * 1999-04-01 2001-12-24 김기영 형광등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06Y1 (ko) * 1999-04-01 2001-12-24 김기영 형광등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833A (zh) * 2018-10-05 2019-01-11 宁波智正伟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对led灯进行固定的led灯安装机构
CN114963052A (zh) * 2022-06-02 2022-08-30 深圳市巧精灵照明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控制的led灯条
CN114963052B (zh) * 2022-06-02 2024-02-23 深圳市巧精灵照明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控制的led灯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536B2 (en) LED light fixture
US9964840B1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that provides both functions of lighting and image projection
KR100976542B1 (ko) 컨버터를 내장시킨 led 등기구에 조립되는 광 확산 커버 프레임의 고정장치
US9599312B2 (en) Portable lamp
MX2007013036A (es) Luces de diodo emisor de luz recargables con el sol.
US20140085876A1 (en) Handheld work light including adjustable light focusing or scattering mechanism
KR101810906B1 (ko) 조명등기구
KR101764216B1 (ko) 천장 고정용 엘이디 등기구의 커버 고정구
KR101114910B1 (ko) 조명등 기구
CN102022621A (zh) 提灯装置
KR101034365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20170113509A (ko) 조명등의 투광판 장착장치
CN208519606U (zh) 可配置和可调节的照明器
JP2018518809A (ja) 灯器具用光源モジュール締結装置
KR20130134778A (ko)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KR101684567B1 (ko) 광원 모듈 체결 장치
US9249956B1 (en) Housing for LED lighting board
KR200478423Y1 (ko) 투광커버용 led 발광판의 구조
CN212511002U (zh) 一种卡扣式点灯安装装置
KR200476041Y1 (ko) 조명기구 조립체
KR200482207Y1 (ko) 등기구용 커버유닛
CN210424634U (zh) 一种灯具墙体装配结构
KR10115137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용 프레임
CN105003832A (zh) 一种角度可以调节的led灯具
KR101028064B1 (ko) 전등갓의 탈부착이 간편한 매입형 엘이디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