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272B1 -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272B1
KR101808272B1 KR1020160060588A KR20160060588A KR101808272B1 KR 101808272 B1 KR101808272 B1 KR 101808272B1 KR 1020160060588 A KR1020160060588 A KR 1020160060588A KR 20160060588 A KR20160060588 A KR 20160060588A KR 101808272 B1 KR101808272 B1 KR 10180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server
shopping terminal
telephone number
security cod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054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오디
Priority to KR102016006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2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1Access to banking information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중에 용이하게 사용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중 물품구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숫자 버튼이 구비된 리모콘에 의해 구매신호가 쇼핑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쇼핑 단말기는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에 의해 구매자의 전화번호가 쇼핑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쇼핑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로 안내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전화기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는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중 구매자는 리모콘 및 휴대전화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주문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쇼핑 단말기에 개인정보가 남지 않고,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보안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Purchasing goods methods using remote controller and mobile phone}
본 발명은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쇼핑 단말기에 용이하게 사용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방송중 물품구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쇼핑 등의 방송을 보면서 물건을 주문하는 경우 티브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주문정보를 입력하거나, 판매처로 전화를 하여 상품주문을 하게 된다.
하지만, 주문이 밀릴 경우 전화가 잘 안 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ARS 자동전화를 이용하게 되는데, 구매자는 기계음에 의한 안내문으로 반복해서 숫자를 눌러야 하므로 구매과정에서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티브이 화면에 리모콘으로 직접 이름, 주소 등을 입력하여 주문하는 방법도 있는데, 티브이 리모콘은 원래 숫자입력을 위주로 제작되어 한글 등의 문자를 입력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낸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616299호에 의하면, 방송매체를 통해 홈쇼핑 방송을 수신하여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셋톱박스(11)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또한, 상품 주문시에는 사용자로부터 주문수량과 배송장소 등 주문용 정보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 식별정보 및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선택정보와 함께 홈쇼핑 주문결제 시스템(30)으로 전송해 준다.
한편, 홈쇼핑 주문결제 시스템(30)은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품선택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주문하고자 하는 상품을 판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물건을 쉽게 주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개인적인 공간에서만 사용하면 별 문제없을 수 있으나, 사용자 식별정보가 셋톱박스에 저장되어 병원이나 호텔같은 공공장소에서는 보안상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해서도 주문수량과 배송장소 등은 리모콘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이러한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구매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물건을 구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안성을 향상시킨 물품구매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숫자 버튼이 구비된 리모콘에 의해 구매신호가 쇼핑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쇼핑 단말기는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에 의해 구매자의 전화번호가 쇼핑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쇼핑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로 안내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전화기는 사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는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쇼핑 단말기는 구매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구매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쇼핑 단말기는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전화번호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물품코드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물품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안내문과 함께 휴대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전화기는 미리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안내문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정보를 대응하는 입력란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구매취향을 저장하고, 상기 쇼핑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물품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물품코드에 해당하는 물품이 상기 사용자의 구매취향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휴대전화기로 알람을 발송할 수 있다.
상기 쇼핑 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수신한 경우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코드를 표시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보안코드를 수신받아 일치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안코드는 해당 물품에 관한 물품코드부 및 임의로 생성된 임의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보안코드로부터 물품코드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제품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핑 단말기는 보안코드발생요청을 수신하면,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쇼핑 단말기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보안코드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보안코드를 안내문과 함께 휴대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중 구매자는 리모콘 및 휴대전화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주문과정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쇼핑 단말기에 개인정보가 남지 않고, 본인인증을 수행하여 보안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홈쇼핑 주문결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쇼핑 단말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문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휴대전화기에 앱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을 때 문자에 의한 안내문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쇼핑 단말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은 쇼핑 단말기(100), 리모콘(200), 휴대전화기(300), 중앙서버(400)를 포함한 물품구매시스템을 이용한다.
상기 쇼핑 단말기(100)는 셋톱박스를 포함한 텔레비전 수상기, IPTV, PC 등의 쇼핑을 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리모콘(2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티브이용 리모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숫자 버튼이 구비된 리모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휴대전화기(300)는 문자입력을 할 수 있는 전화기이면 상관없으나, 전용앱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매자가 방송을 보다가 물건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콘의 구매 버튼을 누르면 구매신호가 쇼핑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쇼핑 단말기는 도 3과 같이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여 준다.
그러면, 구매자는 리모콘의 숫자버튼을 이용하여 본인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쇼핑 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전화번호를 중앙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쇼핑 단말기는 구매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구매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전화번호를 표시하여 줄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서버(400)는 사용자정보DB, 물품정보DB, 카드정보DB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정보DB는 회원들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 등의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상기 물품정보DB는 물품의 명칭, 제조사, 제조날짜 등의 물품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물품정보DB에는 각 물품에 대응하는 고유의 물품코드가 생성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카드정보DB는 구매시 사용되는 카드번호, 유효일자 등의 카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쇼핑 단말기는 현재 방송하고 있는 물품의 물품코드를 저장하며, 구매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면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물품코드를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중앙서버의 안내문처리부에서는 물품정보DB를 참조하여 상기 물품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를 검출하여 도 5와 같이 안내문과 함께 휴대전화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구매자는 방송 때 지나쳤거나 잘 몰랐던 제품정보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휴대전화기에 전용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미리 설치된 디자인에 의해 내용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전용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내용을 문자로 하나씩 대화식으로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에 전용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미리 사용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중앙서버로부터 안내문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정보를 대응하는 입력란에 입력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매자는 더욱 편리하게 구매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휴대전화기로 안내문을 전송받은 구매자는 사용자정보를 입력하여 전송버튼을 누르면 상기 휴대전화기는 중앙서버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중앙서버는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쇼핑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고, 상기 쇼핑 단말기는 도 7과 같이 사용자정보를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구매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확인버튼을 누르게 되면 결제절차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쇼핑 단말기는 구매자의 리모콘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한 경우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쇼핑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고, 상기 보안코드를 전화번호와 함께 중앙서버로 전송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는 안내문을 전송할 때 보안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안내문을 휴대전화기로 전송한다. 구매자는 휴대단말기로 사용자정보와 함께 보안코드를 입력하여 중앙서버로 다시 전송하고, 중앙서버는 쇼핑 단말기에서 전송된 보안코드와 휴대전화기에서 전송된 보안코드가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양 보안코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절차를 진행시키고, 보안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결제절차를 진행시키지 않는다.
상기 보안코드는 해당 물품에 관한 물품코드부 및 임의로 생성된 임의생성부를 포함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어, A1004285714에서 A100428은 해당 물품의 물품코드를 나타내며, 5714는 임의로 생성된 코드이다.
중앙서버에서는 상기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물품코드를 추출하고 검색된 물품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를 안내문과 함께 휴대전화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쇼핑 단말기에서는 이러한 구성의 보안코드를 중앙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하였거나 여타의 경우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간단하게 보안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구매자는 중앙서버에서 전송된 안내문의 진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보안코드발생요청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는 리모콘의 녹색버튼 등을 이용하여 보안코드발생요청을 할 수 있으며, 쇼핑 단말기에서 보안코드발생요청을 수신하면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쇼핑 단말기로 표시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보안코드를 중앙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중앙서버에서는 수신된 보안코드를 다시 휴대전화기로 전송하여 준다. 구매자는 쇼핑 단말기에 표시된 보안코드와 휴대전화기에 표시된 보안코드를 비교하여 안내문이 정상적인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구매자는 보이스피싱 등의 사기성 문자와 정상적인 안내문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의 사용자DB에는 사용자의 구매취향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구매취향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선택되거나 개별 사용자의 구매이력을 검색하여 많은 구매상품 분야를 저장한 것이다, 그리고, 물품정보DB에는 각 물품마다 분야가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패션,식품,가전,자동차,스포츠,여행,화장품 등의 분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더 세분화된 분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사용자의 구매취향은 '자동차'가 될 수 있으며, 'B'사용자의 구매취향은 '패션'이 될 수 있다. 이때, 중앙서버에서는 쇼핑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물품의 물품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물품코드에 해당하는 물품이 사용자의 구매취향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휴대전화기로 알람을 발송한다.
예를 들어, 쇼핑 단말기에서 자동차 액세서리 관련 제품이 송출되고 있을 때, 중앙서버에서는 상기 액세서리 물품코드를 검색하여 '자동차' 분야에 해당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자동차'로 구매취향이 저장된 'A'사용자의 휴대전화로 알람을 발송한다. 이러한 알람을 받은 'A'는 쇼핑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품에 대한 설명을 보고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없이 쇼핑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기존의 리모콘 및 휴대전화기로 편리함과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쇼핑 단말기 200 : 리모콘
300 : 휴대전화기 400 : 중앙서버

Claims (8)

  1. 숫자 버튼이 구비된 리모콘에 의해 구매신호가 쇼핑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쇼핑 단말기는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리모콘에 의해 구매자의 전화번호가 쇼핑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쇼핑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로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안내문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전화기는 상기 안내문에 따라 주소를 포함한 사용자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는 휴대전화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정보를 다시 상기 쇼핑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서버는 수신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며,
    상기 쇼핑 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수신한 경우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코드를 표시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 휴대단말기로부터 보안코드를 수신받아 일치여부를 검사하며,
    상기 보안코드는 해당 물품에 관한 물품코드부 및 임의로 생성된 임의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보안코드로부터 물품코드를 검색하여 대응하는 제품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단말기는 구매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구매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단말기는 상기 휴대전화기로부터 전화번호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전화번호와 함께 물품코드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물품코드에 해당하는 제품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안내문과 함께 휴대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기는 미리 사용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안내문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정보를 대응하는 입력란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사용자의 구매취향을 저장하고, 상기 쇼핑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물품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물품코드에 해당하는 물품이 상기 사용자의 구매취향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휴대전화기로 알람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 단말기는 보안코드발생요청을 수신하면, 보안코드를 생성하여 쇼핑 단말기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보안코드를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보안코드를 안내문과 함께 휴대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KR1020160060588A 2016-05-18 2016-05-18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KR10180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88A KR101808272B1 (ko) 2016-05-18 2016-05-18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88A KR101808272B1 (ko) 2016-05-18 2016-05-18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54A KR20170130054A (ko) 2017-11-28
KR101808272B1 true KR101808272B1 (ko) 2017-12-12

Family

ID=6081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588A KR101808272B1 (ko) 2016-05-18 2016-05-18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2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54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686B1 (ko) 모바일 쿠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46151A (ko) 카드 리더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수신기에서의 결제장치 및 방법
US20130067508A1 (en) Controlling access of a user to media content
KR201300828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수신기에서의 결제 장치 및 방법
JP2003169352A (ja) 携帯端末、番組関連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808272B1 (ko) 리모콘과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물품구매방법
KR20030083968A (ko) 홈서버와 개인정보단말을 이용한 홈쇼핑 시스템 및 방법
CN101480031A (zh) 基于预编程的偏好进行人员匹配的方法和设备
KR101988795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245859B1 (ko) Nfc를 이용한 홈 쇼핑 시스템 및 홈 쇼핑 서비스 방법
KR100667313B1 (ko) 방송 내용 관련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0664A (ko) 데이터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쿠폰 유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WO2001024070A2 (en) Electronic ordering
KR20110073628A (ko) 휴대폰을 이용한 홈쇼핑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휴대폰 및 기록매체
KR100948034B1 (ko) Rfid 태그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31400A (ko)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101693920B1 (ko)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확인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상품 거래 지원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873098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256431B1 (ko) 상품 간편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2300A (ko) 홈쇼핑 결제 방법 및 장치
JP2006304044A (ja) 商品販売用サーバ及び商品販売用システム
KR100239955B1 (ko) 대화형 텔레비젼의 쇼핑방법
KR100571547B1 (ko)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장치
KR2006008120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방법
JP2006304133A (ja) 視聴者管理サーバ及び視聴者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