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195B1 -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95B1
KR101808195B1 KR1020160022359A KR20160022359A KR101808195B1 KR 101808195 B1 KR101808195 B1 KR 101808195B1 KR 1020160022359 A KR1020160022359 A KR 1020160022359A KR 20160022359 A KR20160022359 A KR 20160022359A KR 101808195 B1 KR101808195 B1 KR 10180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message
user
automatically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166A (ko
Inventor
서영훈
박세진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9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장치의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구비된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메시지나 메신저 등을 통해 약속 또는 일정을 전달받은 메시지를 후 해당 정보를 직접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일정관리방법 및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키보드의 여백에 추가된 핫키를 터치하고 특정 메시지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행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 시간 또는 위치 관련 단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캘린더 또는 메모장 등에 해당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및 반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이나 메모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원하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가능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scheduling service using hot-key}
본 발명은 모바일장치의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구비된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빠르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구비된 핫키(hot-key)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핫키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여백에 추가된 핫키(hot-key)를 터치하고 특정 메시지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행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문자열에 포함된 시간 또는 위치 관련 단어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세정보를 기반으로 캘린더 또는 메모장 등의 일정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및 반영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일정이나 메모들을 자동으로 사용자의 스케줄에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이나 메모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핫키를 터치하는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가능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제공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으며, 점차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이 크게 높아지게 되었고, 모바일 기기들의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스마트폰을 통해 업무처리, 스케줄 관리, 정보검색 등 종래 컴퓨터에서만 가능하던 기능들을 스마트폰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는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먼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529호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정된 스케쥴러에 일정관리 정보가 링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스케쥴러에 일정관리 정보가 링크되어 있으면 일정관리 정보에 알람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일정관리 정보에 알람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일정관리 정보에 연동하여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고, 일정관리 정보에 알람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알람정보에 연동하여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수신 되는 문자 메시지에 등록된 일정관리 정보에 연동하여 해당 문자 메시지를 자동으로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5976호에 따르면, 일정관리시점, 음성일정내용, 음성일정내용 전송을 위한 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제 1 과정; 제 1 과정 이후 일정관리 시점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2 과정; 일정관리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주기적으로 제 2 과정을 반복 수행하며, 일정관리 시점이 도래한 경우에는 부재중임이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제 3 과정; 제 3 과정의 판단결과 부재중임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관리 시점의 도래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출력한 후 음성일정 내용을 출력하는 제 4 과정; 제 3 과정의 판단 결과 부재중임이 설정된 경우 음성내용 전송을 위한 통신 단말기로 호연결을 시도한 후 음성일정 내용을 전송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여, 전화기의 일정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날짜의 일정을 음성으로 녹음한 후 해당 일자에 음성을 출력하거나, 음성신호 또는 음성메시지 형태로 외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전화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음성에 의한 일정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통신단말기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는 종래기술의 또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8382호에 따르면, 시간에 따른 일정을 설정하고, 시간이 카운트됨에 따른 기설정된 시간에 매칭된 일정 내용을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 및 위치기반 서비스 서버로부터 송출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지역 또는 일정 목록을 위치정보와 자동 연계하여 사용자 지정일시(日時)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위치와 연관된 조건 설정에 따른 일정정보를 생성시켜 소정의 SMS 서버, MMS 서버 또는 ARS 서버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일정관리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징인 위치정보와 연계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지역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업무목록이 위치정보와 자동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일시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 위치와 연동하여 관련 일정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위치기반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는 종래기술의 또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4684호에 따르면, 현재시각이 일정알람시각인지 판단하는 제 1 과정; 일정알람시각, 일시, 일정내용을 표시하는 제 2 과정; 표시한 일정이 일정시각이 경과된 일정인지 판단하는 제 3 과정; 경과된 일정일시 일정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제 4 과정; 중요도가 소정의 중요도 미만일 경우 일정 내용을 삭제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 일정의 중요도에 따라 빈도를 달리하여 그 날의 일정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일정을 잊지 않고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정관리 방법에 관한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일정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내용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그 특성상 화면의 크기가 작고, PC와는 달리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입력수단이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지 않고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일정관리를 위해 스케줄 내용을 입력하는 데 있어 여러 가지 제약이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는 메시지에 일정과 관련된 내용, 중요한 메모 사항들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나, 종래의 일정관리 방법은, 이러한 내용을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해당 날짜에 일정내용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스케줄 입력과정은 기본적으로 키보드와 마우스 없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입력이 불편할뿐만 아니라 오타의 발생도 빈번하여 여러 번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입력하게 되는 등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나 메신저 등을 통해 송수신된 일정내용을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입력해야 하고, 입력과정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및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핫키(hot-key)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행하면 자동으로 메시지에 포함된 일정내용이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일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529호 (2012.01.03.)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5976호 (2010.12.28.)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8382호 (2007.01.08.)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4684호 (2005.02.2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메시지나 메신저 등을 통해 약속 또는 일정을 전달받은 메시지를 후 해당 정보를 직접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일정관리방법 및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구비된 핫키(hot-key)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핫키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여백에 추가된 핫키(hot-key)를 터치하고 특정 메시지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행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문자열에 포함된 시간 또는 위치 관련 단어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세정보를 기반으로 캘린더 또는 메모장 등의 일정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및 반영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일정이나 메모들을 자동으로 사용자의 스케줄에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이나 메모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핫키를 터치하는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가능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키보드의 여백에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인 색상이나 모양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표시되는 핫키에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각각 할당하는 핫키 설정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중에 상기 터치스크린 키보드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핫키가 함께 표시되는 핫키 표시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핫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핫키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기능 중 하나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상기 핫키 실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핫키 실행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핫키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제스처를 입력하면, 해당 입력에 대응하여 일정추가, 메모추가, 번역기능, 맞춤법 검사, 인터넷 검색, 메시지 전송, 클립보드에 저장을 포함하는 동작 중 하나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핫키 실행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일정추가 기능이 설정된 핫키를 손가락으로 누른 후 드래그하여 상기 핫키 설정단계에서 미리 설정해 둔 기능이 수행되기를 원하는 메시지(텍스트, 멀티미디어, 링크) 위에 드랍(Drop)을 행하면, 문자열 파싱(Parsing) 기능을 통해 상기 메시지 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날짜, 장소,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캘린더(Calendar)나 알람(Alarm)을 포함하는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일정을 자동으로 추가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모추가 기능이 설정된 핫키를 손가락으로 누른 후 드래그하여 상기 핫키 설정단계에서 미리 설정해 둔 기능이 수행되기를 원하는 메시지(텍스트, 멀티미디어, 링크) 위에 드랍(Drop)을 행하면, 해당 메시지가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이나 클립보드에 자동으로 추가 및 저장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핫키 실행단계는, 상기 일정추가 기능 수행시, 상기 메시지의 문자열을 검색하여 처음에 숫자가 나타난 후 오늘, 내일 주말 또는 공휴일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내용이 검색되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단어의 날짜를 계산하여 일정이 시작될 날짜를 결정하여 일정을 추가하고, 상기 메시지의 내용에 "시", "분", "초"를 포함하는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글자가 추가로 나타나면 해당 날짜에 시간을 포함한 일정을 추가하며, 상기 메시지의 내용에 "~에서", "~서", "~역"을 포함하는 문자열이나 지명 및 관공서를 나타내는 단어가 존재하면 상기 일정에 해당 내용을 추가하여 저장하고, 상기 메모추가 기능 수행시, 미리 지정된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이름(제목)" + "시간"으로 제목을 지정하고, 드랍된 메시지 박스의 레이아웃(Layout) 전체 영역, 또는,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을 드래그 기능을 통해 지정할 경우 해당 영역의 문자만을 읽어들여 추가 및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구비된 핫키(hot-key)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핫키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이나 메모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핫키를 터치하는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가능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여백에 추가된 핫키(hot-key)를 터치하고 특정 메시지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행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문자열에 포함된 시간 또는 위치 관련 단어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세정보를 기반으로 캘린더 또는 메모장 등의 일정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및 반영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일정이나 메모들을 자동으로 사용자의 스케줄에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문자메시지나 메신저 등을 통해 약속 또는 일정을 전달받은 후 해당 정보를 직접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일정관리방법 및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제 터치스크린 키보드 및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나 메신저 등을 통해 약속 또는 일정을 전달받은 메시지를 후 해당 정보를 직접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일정관리방법 및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구비된 핫키(hot-key)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핫키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여백에 추가된 핫키(hot-key)를 터치하고 특정 메시지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행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문자열에 포함된 시간 또는 위치 관련 단어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세정보를 기반으로 캘린더 또는 메모장 등의 일정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및 반영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일정이나 메모들을 자동으로 사용자의 스케줄에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이나 메모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핫키를 터치하는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가능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메시지 문자열 분석을 통해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메시지에 대한 분석이 요청되면, 요청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에 적어도 하나의 시간 또는 위치와 관련된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시간 또는 위치와 관련된 단어가 포함되어 있으면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캘린더 및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토큰단위로 파싱하여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맞는 일정 입력방식 및 저장방식에 맞추어 일정을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기능을 지원하는 태블릿 PC(Table PC), 노트북(Notebook), 터치스크린 모니터(Touch Screen Monitor), 모바일(Mobile) 단말기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념해야 한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나누어, 먼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표시되는 핫키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핫키 설정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중에 터치스크린 키보드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면 핫키가 함께 표시되는 핫키 표시단계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중에 사용자가 핫키를 터치하여 미리 지정된 동작을 입력하면 핫키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핫키 실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핫키 실행단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등의 동작을 행하면, 해당 입력에 대응하여 일정추가, 메모추가, 번역기능, 맞춤법 검사기능에 더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터넷 검색, 메시지 전송, 클립보드에 저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핫키는,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 키보드 화면의 여백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인 색상이나 모양 등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표시되어, 각각의 핫키를 통해 터치스크린 상에 특정 제스처를 입력하는 것으로 원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한 핫키 이외에, 예를 들면, 키보드에 준비되어 있는 특수키나 임의의 특정 키에 원하는 기능을 할당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핫키의 구성 및 개수와 자동실행되는 동작에 특별히 제한은 없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제 터치스크린 키보드 및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구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핫키는 키보드의 여백 부분에 적색 점과 청색 점으로 각각 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핫키를 통해 특정 제스처가 입력되면 일정관리 시스템, 메모저장, 인터넷 검색, 메시지 전송, 번역, 클립보드에 저장 등의 기능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핫키를 손가락으로 누른 후 드래그하여 미리 설정해 둔 기능이 수행되길 원하는 메시지(텍스트, 멀티미디어, 링크) 위에 드랍(Drop)을 행하면, 해당 핫키에 설정된 일정관리 기능이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메시지 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날짜, 장소, 시간 등의 내용을 수집하고, 캘린더(Calendar)나 알람(Alarm) 등의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해당 일정이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추가됨으로써, 사용자는 일일이 일정을 입력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자신의 일정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핫키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기능은 모바일 단말기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여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의 전환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핫키를 이용해 드랍된 메시지의 선택 범위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레이아웃(Layout)의 한 칸을 차지하는 메시지박스(MessageBox)를 의미하고, 추가적인 문자열 파싱(Parsing) 기능을 통해 핵심 메시지 추출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 일정추가 동작을 위한 메시지(message)는, 예를 들면, 네이버(Naver), 구글(Google), 네이트(nate) 등에서 제공하는 메일박스(MailBox) 서비스와, 모바일 단말기의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시지, 라인 등과 같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Message Application) 및 문자메시지 서비스(Text message service),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서비스의 상태 업데이트(State Update)와 같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른 사용자가 보낸 메시지에 상기한 바와 같이 핫키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랍을 행하면, 해당 메시지가 자신의 메모장이나 클립보드에 자동으로 추가 및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자동으로 추가 및 저장되는 메시지는, 이메일(Email),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인스턴트 메시지(IM, Instant Message), 쪽지, 인터넷 브라우저(Internet Browser)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적어도 하나의 핫키를 표시하고, 핫키로부터 특정 기능에 대한 요청(제스처)이 입력되면 해당 요청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메시지에 핫키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 입력을 통해 일정관리, 메모, 검색 등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장소, 내용 순으로 일정에 관한 상세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내용을 기반으로 일정이 자동으로 추가되며, 또한, 다른 사용자가 보낸 메시지에 핫키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랍 입력을 행하면 해당 메시지가 자신의 메모장이나 클립보드에 자동으로 추가 및 저장된다.
이러한 자동 일정추가 기능은, 선택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장소, 내용 순으로 상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메시지의 결과가 별도의 추가 화면전환 없이 등록될 수 있도록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자동 추가 및 저장되는 메시지는, 이메일(Email),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인스턴트 메시지(IM, Instant Message), 쪽지, 인터넷 브라우저(Internet Browser)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보여지는 메시지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핫키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일정에 자동으로 추가하는 기능은, 먼저, 문자열을 검색하여 처음에 숫자가 나타난 후 오늘, 내일 주말 또는 공휴일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내용이 검색되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단어의 날짜를 계산하여 일정이 시작될 날짜를 결정한다.
그 후, '시', '분', '초' 등의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글자가 추가로 나타나면 해당 날짜에 시간을 포함한 일정기능을 추가한다.
또한, 일정추가시 상기한 바와 같이 날짜를 인식하고, 예를 들면, "~에서", "~서", 지명, "~역", 관공서 등의 단어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검색하여, 해당 단어가 존재하면 일정의 위치 필드에 해당 단어를 저장한다.
아울러, 일정추가시 날짜,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난 뒤에 나오는 단어는 제목으로 지정하며, 날짜, 위치, 제목 중 하나 이상을 추가하여 대화창에 전송시에는 기본 사용자로 사용자 자신을 추가하고, 대화창에 내보낸 일정은 메시지 뒤에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붙여서 다른 사용자가 바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핫키를 이용하여 메모를 추가할 경우에는, 지정된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이름(제목)" + "시간"으로 제목을 지정하고, 드랍된 메시지 박스의 레이아웃(Layout) 전체 영역, 또는,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을 드래그 기능을 통해 지정할 경우 해당 영역의 문자만을 읽어온다.
또한, 번역기능과 맞춤법 기능은 드랍된 위치에 선택된 메시지 박스를 각자의 기능에 맞추어 번역과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며, 번역기능은 키보드의 메시지 입력창에 출력하고, 맞춤법 검사는 메시지 입력창 하단에 추천 단어를 나열해 보여주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에 지정된 기능들은 사용자 설정을 통해 서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협소한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화면 내에서 일정관리나 메모 등을 간편하게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입력된 일정이나 메모를 간단하게 공유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핫키를 이용하여 일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다른 기능과 핫키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구비된 핫키(hot-key)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임의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핫키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이나 메모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핫키를 터치하는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가능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여백에 추가된 핫키(hot-key)를 터치하고 특정 메시지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행하여 기능을 활성화하면, 해당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문자열에 포함된 시간 또는 위치 관련 단어에 대한 상세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상세정보를 기반으로 캘린더 또는 메모장 등의 일정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및 반영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일정이나 메모들을 자동으로 사용자의 스케줄에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문자메시지나 메신저 등을 통해 약속 또는 일정을 전달받은 메시지를 후 해당 정보를 직접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일정관리방법 및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Claims (3)

  1.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키보드의 여백에 상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인 색상이나 모양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표시되는 핫키에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각각 할당하는 핫키 설정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중에 상기 터치스크린 키보드가 표시되는 기능이 수행되면 상기 핫키가 함께 표시되는 핫키 표시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핫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 또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제스처가 입력되면, 해당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핫키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기능 중 하나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핫키 실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핫키 실행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핫키를 통하여 미리 지정된 제스처를 입력하면, 해당 입력에 대응하여 일정추가, 메모추가, 번역기능, 맞춤법 검사, 인터넷 검색, 메시지 전송, 클립보드에 저장을 포함하는 동작 중 하나가 자동으로 수행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일정추가 기능이 설정된 핫키를 손가락으로 누른 후 드래그하여 상기 핫키 설정단계에서 미리 설정해 둔 기능이 수행되기를 원하는 메시지(텍스트, 멀티미디어, 링크) 위에 드랍(Drop)을 행하면, 문자열 파싱(Parsing) 기능을 통해 상기 메시지 내용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날짜, 장소,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캘린더(Calendar)나 알람(Alarm)을 포함하는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일정을 자동으로 추가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모추가 기능이 설정된 핫키를 손가락으로 누른 후 드래그하여 상기 핫키 설정단계에서 미리 설정해 둔 기능이 수행되기를 원하는 메시지(텍스트, 멀티미디어, 링크) 위에 드랍(Drop)을 행하면, 해당 메시지가 메모장 어플리케이션이나 클립보드에 자동으로 추가 및 저장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며,
    또한, 상기 핫키 실행단계는,
    상기 일정추가 기능 수행시, 상기 메시지의 문자열을 검색하여 처음에 숫자가 나타난 후 오늘, 내일 주말 또는 공휴일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내용이 검색되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단어의 날짜를 계산하여 일정이 시작될 날짜를 결정하여 일정을 추가하고,
    상기 메시지의 내용에 "시", "분", "초"를 포함하는 시간 단위를 나타내는 글자가 추가로 나타나면 해당 날짜에 시간을 포함한 일정을 추가하며,
    상기 메시지의 내용에 "~에서", "~서", "~역"을 포함하는 문자열이나 지명 및 관공서를 나타내는 단어가 존재하면 상기 일정에 해당 내용을 추가하여 저장하고,
    일정추가시 날짜,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고 난 뒤에 나오는 단어는 제목으로 지정하며, 날짜, 위치, 제목 중 하나 이상을 추가하여 대화창에 전송시에는 기본 사용자로 사용자 자신을 추가하고, 대화창에 내보낸 일정은 다른 사용자가 바로 추가할 수 있도록 메시지 뒤에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부가하는 처리가 수행되며,
    상기 메모추가 기능 수행시, 미리 지정된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이름(제목)" + "시간"으로 제목을 지정하고, 드랍된 메시지 박스의 레이아웃(Layout) 전체 영역, 또는,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영역을 드래그 기능을 통해 지정할 경우 해당 영역의 문자만을 읽어들여 추가 및 저장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이나 메모를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핫키를 터치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내용을 자동으로 입력 및 공유 가능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일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22359A 2016-02-25 2016-02-25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80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59A KR101808195B1 (ko) 2016-02-25 2016-02-25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59A KR101808195B1 (ko) 2016-02-25 2016-02-25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66A KR20170100166A (ko) 2017-09-04
KR101808195B1 true KR101808195B1 (ko) 2017-12-12

Family

ID=5992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59A KR101808195B1 (ko) 2016-02-25 2016-02-25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6901A (zh) * 2020-09-03 2020-12-01 深圳市大数据研究院 一种智能生成日程时间表信息的方法及系统
CN112908327A (zh) * 2021-02-02 2021-06-04 上海市胸科医院 应用程序的语音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3249206A1 (ko) * 2022-06-20 2023-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66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0590B1 (en) Techniques for enhancing group communication on a mobile device
US11232409B2 (en) Presenting entity profile information to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US97923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natural language queries and requests against a user's personal data cloud
EP3362882B1 (en) Multi-window software keyboard
EP26990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essage function
CN108604152B (zh) 未读消息提示方法和终端
KR102339296B1 (ko) 선택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링크들을 퍼스널 어시스턴트 모듈과의 대화에 통합하기
US8726171B1 (en) Communication initiation control
US10515325B1 (en) Message-based keyword, phrase, and object processor and resource allocator
CN113268498A (zh) 业务推荐方法和具有智能助手的装置
WO2018171453A1 (zh) 通讯方法及装置
CN103530039A (zh) 切换应用的方法和终端
US112886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tics integration into electronic applications
US202001929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relevant links
KR101808195B1 (ko) 핫키를 이용한 자동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EP3610376B1 (en) Automatic context passing between applications
US100553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and performing actions based on social updates in social networks
WO2016014322A1 (en) Taking in-line contextual actions on a unified display
CN112346806A (zh) 显示信息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3533176A (zh) 开启应用的方法和终端
US10990914B2 (en) Filtering records on a unified display
CN105874874A (zh) 一种处理信息的方法及装置
EP2833276A1 (en) Data search system and data search method
EP3440536A1 (en) Multi-window virtual keyboard
KR102329768B1 (ko) 메시지 정보 통합 관리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장치, 메시지 정보 통합 관리 제공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