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104B1 - Handling Jig for Drum - Google Patents

Handling Jig for Dr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04B1
KR101808104B1 KR1020160064310A KR20160064310A KR101808104B1 KR 101808104 B1 KR101808104 B1 KR 101808104B1 KR 1020160064310 A KR1020160064310 A KR 1020160064310A KR 20160064310 A KR20160064310 A KR 20160064310A KR 101808104 B1 KR101808104 B1 KR 10180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ixing pin
main body
forklift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3171A (en
Inventor
심성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04B1/en
Publication of KR20170133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7Drum lif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드럼 핸들링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100)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장착되고, 양측부에 고정핀(12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삽입되어 본체부(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고정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단부에는 송곳구조의 돌출결속부(121)가 형성된 고정핀(120); 및 상기 고정핀(120)에 장착되고, 고정핀(120)이 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드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고정핀 및 고정핀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을 수납하는 드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는 드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A drum handling jig is disclosed. The drum handling jig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for wrapping the fork of the forklift and is mounted on the fork of the forklift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120 can be inserted A main body 110; The protruding coupling part 121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is protruded and fix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part of the main body part 110. At one end of the protruded part, A fixing pin 120 formed with a fixing pin 120; And a fixing pin fixing member 130 mounted on the fixing pin 120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120 so that the fixing pin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To be a point of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rum hand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um handling jig capable of easily handling a drum storing a heavy article can be provided by having the main body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the fixing pin, and the fixing pin fixing member.

Description

드럼 핸들링 지그 {Handling Jig for Drum}Handling Jig for Drum}

본 발명은 드럼 핸들링을 위한 지그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수납하는 드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는 드럼 핸들링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for drum hand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m handling jig capable of easily handling a drum containing a heavy article.

합금철량 준비 작업 시 전동 지게차를 주로 사용한다.Electric Forklift is mainly used for preparation of alloy steel.

일반적으로 합금철을 빈 드럼에 수납한 후,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드럼을 핸들링하고 있다.Generally, iron alloy is stored in an empty drum, and the fork of the forklift is used to handle the drum.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은 지게차 운용자의 고도의 숙련도가 필요하다.Howeve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quires a high degree of skill of the forklift operator.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지게차 초심자가 드럼을 핸들링 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orklift beginner handles the drum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따라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2468호 (2007년 09월 13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92468 (published on September 13, 2007)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수납하는 드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는 드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m handling jig capable of easily handling a drum containing a heavy articl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장착되고, 양측부에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삽입되어 본체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고정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단부에는 송곳구조의 돌출결속부가 형성된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에 장착되고, 고정핀이 본체부에 형성된 관통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drum handling jig comprising: a fork lifting jig formed to surround a fork of a forklift and mounted on a fork of a forklift, A body portion; A fixing pin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protruding and fix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 protruding coupl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protruding part; And a fixing pin fixing member mounted on the fixing pin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so that the fixing pin is not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포크리프트의 양 포크에 각각 장착되고, 양 포크에 장착된 본체부에 고정된 고정핀의 돌출결속부의 돌출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mounted on both forks of the forklift,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of the fixing pin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mounted on both forks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단면형상은 'ㅁ'자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in the shape of a letter "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속부의 돌출길이는, 포크리프트의 포크의 폭 대비 50 내지 100 %의 길이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may be 50 to 100% of the width of the fork of the forklif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에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fixing pin may be formed with a bent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고정부재는, 고정핀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이 형성되고, 고정핀의 외경에 결속되는 링 구조의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의 일측부에 볼팅 체결되어 볼팅 동작에 의해 결속부와 고정핀을 서로 결속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fixing member may include a binding portion of a ring structure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in and bound to an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in;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by bolting to faste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in to each other by a bolting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포크리프트의 포크 외부면과 접촉되는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자력을 해제할 수 있는 자력발생부재; 및 본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자력발생부재의 자력 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k outer surface of the forklift and capable of generating a magnetic force or releasing a magnetic force by a switch operation; And a switch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on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근접하는 드럼의 외부면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드럼의 외부면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의 최종 데이터를 선별한 후, 최종 데이터를 경보음 발생장치에 전달하는 거리 검출장치; 및 상기 거리 검출장치로부터 획득한 최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거리 검출장치와 드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ar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detects the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djacent drum using a laser or an ultrasonic wave, A distance detecting device for selecting final data at a close distance and transmitting the final data to 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n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and the drum is closest, based on the final data acquired from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이 경우, 상기 경보음 발생장치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시간만큼 경보음을 반복해서 발생시키되, 거리 검출장치와 드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경보음을 끊김없는 지속적인 음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거리 검출장치와 드럼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경보음의 발생 시간 간격을 점차 길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repeatedly generates an alarm soun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and the drum is closest,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as a continuous soun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and the drum is increased, the time interval for generating the alarm sound can be gradually increas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드럼 핸들링 지그를 포함하는 포크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forklift including the drum handling j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고정핀 및 고정핀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을 수납하는 드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는 드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um hand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um handling jig capable of easily handling a drum accommodating a heavy object by having a body portion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 fixing pin, and a fixing pin fixing member have.

또한, 본 발명의 드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자력발생부재 및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서, 지그를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손쉽게 장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드럼 핸들링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um hand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and the switch having a specific structure, the jig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fork of the forklift and can be stably fixed, .

또한, 본 발명의 드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거리 검출장치 및 경보음 발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드럼의 직경과 대응되는 부분을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드럼을 핸들링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잘못된 드럼 파지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rum hand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and 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having a specific configuration, the drum can be stably handled by gripp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dru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ue to a wrong drum gri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를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장착한 후 드럼을 핸들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drum handling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jig shown i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jig shown i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drum handling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drum handling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um handling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ork of a forklift and then the drum is handl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on "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drum handling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jig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jig shown in FIG. A side view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100)는, 본체부(110), 고정핀(120) 및 고정핀 고정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drum handling ji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110, a fixing pin 120, and a fixing pin fixing member 130.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장착되고, 양측부에 고정핀(12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ork of the forklift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fork and mounted on the fork of the forklift,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120 can be inserted.

또한, 본체부(110)의 측단면형상은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ㅁ'자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may be in the shape of a letter 'U' so as to be stably mounted on the fork of the forklift.

고정핀(120)은, 본체부(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삽입되어 본체부(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고정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단부에는 송곳구조의 돌출결속부(12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fixing pin 120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is fixedly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At one end of the protruded portion,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is formed.

또한, 고정핀(120)의 일단부에는 절곡부(122)가 형성되어, 고정핀(120)이 관통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정핀(1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1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pin 120 to prevent the fixing pin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120 can be stably fixed have.

또한, 고정핀 고정부재(130)는, 고정핀(120)에 장착되고, 고정핀(120)이 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The fixing pin fixing member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in 120 is fixed so that the fixing pin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Lt; / RTI >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핀 고정부재(130)는, 고정핀(12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이 형성되고, 고정핀(120)의 외경에 결속되는 링 구조의 결속부(131); 및 결속부(131)의 일측부에 볼팅 체결되어 볼팅 동작에 의해 결속부(131)와 고정핀(120)을 서로 결속시키는 체결부재(13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in fixing member 130 has a ring-shaped coupling portion 131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in 120 and bou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in 120; And a fastening member 132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131 and fastening the fastening part 131 and the fastening pin 120 to each other by a bolting opera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의 양 포크에 각각 장착되어 드럼(10)을 핸들링 할 수 있다.The drum handling ji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on both forks of the forklift and handle the drum 1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돌출결속부(121)는 드럼의 외부를 관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어 드럼과 결속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drum through the outside of the drum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be engaged with the drum.

이때, 포크리프트의 포크는 폭 조절이 가능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즉, 포크리프트 운용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드럼 핸들링 지그(100)를 장착한 후, 포크리프트를 조종하여 포크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드럼 핸들링 지그(100)의 돌출결속부(121)가 드럼의 외부를 관통하여 드럼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rk of the forklift is preferably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width. That is, after the forklift operator mounts the drum handling jig 100 on the forklift, the fork lift is controlled to adjust the width of the fork so that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of the drum handling jig 100 is mov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drum by a predetermined length.

이후, 포크리프트 운용자는 포크의 상하 높이를 조종하여 드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다.Afterwards, the forklift operator can easily handle the drum by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fork.

따라서, 본체부(110)는 포크리프트의 양 포크에 각각 장착되고, 양 포크에 장착된 본체부(110)에 고정된 고정핀(120)의 돌출결속부(121)의 돌출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임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main body 110 is mounted on both forks of the forklift, and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121 of the fixing pins 120 fixed to the main body 110 mounted on the both forks are opposed to each other Direction.

또한, 드럼의 안정적인 파지를 위해, 돌출결속부(121)의 돌출길이(L1)는, 포크리프트의 포크의 폭(L2) 대비 50 내지 100 %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tably grip the drum, the protruding length L1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is preferably 50 to 100% of the width L2 of the fork of the forklift.

돌출결속부(121)의 돌출길이(L1)를 과도하게 길게 할 경우, 포크리프트의 포크의 폭 조절 조작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반면, 돌출결속부(121)의 돌출길이(L1)를 과도하게 짧게 할 경우, 드럼과의 안정적인 결속관계를 보장할 수 없다.If the protruding length L1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is made excessively long, a problem that the fork width adjusting operation of the forklift takes a long time is caused. On the other hand, if the projecting length L1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is made excessively short, a stable binding relationship with the drum can not be guaranteed.

또한, 드럼 핸들링 지그(100)가 드럼의 상부와 결속되도록 하면, 드럼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반면, 드럼 핸들링 지그(100)가 드럼의 하부와 결속되도록 하면, 드럼을 뒤집는 동작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drum handling jig 100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rum, the position of the drum can be easily m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um handling jig 100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the operation of reversing the drum can be easily implemented.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front view showing a drum handling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자력발생부재(141) 및 스위치(14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ogether with FIG. 6,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141 and a switch 142.

구체적으로, 자력발생부재(141)는, 포크리프트의 포크 외부면과 접촉되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스위치(142) 조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자력을 해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141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ork outer surface of the forklift, and can generate a magnetic force or release a magnetic force by operating the switch 142. [

이때, 스위치(142)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자력발생부재(141)의 자력 발생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witch 14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control the magnetic force generation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141.

이 경우, 작업자는 드럼 핸들링 지그(100)를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손쉽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easily fix or separate the drum handling jig 100 to the fork of the forklift,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drum handling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100)는, 거리 검출장치(151) 및 경보음 발생장치(15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 6, the drum handling ji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an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152.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100)의 돌출결속부(121)는 드럼의 직경과 대응되는 부분에 결속되어야 드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of the drum handling ji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ust be boun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drum to stably hold the drum.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리 검출장치(151) 및 경보음 발생장치(152)는 돌출결속부(121)의 위치가 드럼의 직경과 대응되는 위치할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켜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drum,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1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 an alarm sound,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거리 검출장치(151)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근접하는 드럼의 외부면과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거리 검출장치(151)는, 드럼의 외부면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의 최종 데이터를 선별한 후, 최종 데이터를 경보음 발생장치(152)에 전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detect the distan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djacent drum by using a laser or an ultrasonic wave. Further,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may select the final data when the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is closest, and then transmit the final data to the alarm sound generator 152.

또한, 경보음 발생장치(152)는, 거리 검출장치(151)로부터 획득한 최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거리 검출장치(151)와 드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152 can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the drum is closest, based on the final data acquired from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

경우에 따라서, 경보음 발생장치(152)로부터 발생되는 경보음의 종류, 경보음 발생 간격 등을 변경하여 작업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The type of alarm sound generated from the alarm sound generator 152, the alarm sound generation interval, and the like can be changed to warn the operator more effectively.

예를 들어, 경보음 발생장치(152)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시간만큼 경보음을 반복해서 발생시키되, 거리 검출장치(151)와 드럼(10)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경보음을 끊김없는 지속적인 음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거리 검출장치(151)와 드럼(1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경보음의 발생 시간 간격을 점차 길게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효과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the drum 10 is the shortest, the alarm sound generator 152 repeatedly generates an alarm soun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 alarm sound can be generated by continuous continuous sound. Furth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the drum 10 is increased, the interval of time for generating the alarm sound is gradually increased, thereby effectively alerting the operato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100)를 포함하는 포크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forklif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drum handling ji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고정핀 및 고정핀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을 수납하는 드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는 드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um hand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um handling jig capable of easily handling a drum accommodating a heavy object by having a body portion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 fixing pin, and a fixing pin fixing member have.

또한, 본 발명의 드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자력발생부재 및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서, 지그를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손쉽게 장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드럼 핸들링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um hand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and the switch having a specific structure, the jig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fork of the forklift and can be stably fixed, .

또한, 본 발명의 드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거리 검출장치 및 경보음 발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드럼의 직경과 대응되는 부분을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드럼을 핸들링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잘못된 드럼 파지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rum handling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and 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having a specific configuration, the drum can be stably handled by gripp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dru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ue to a wrong drum grip.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descrip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드럼
20: 포크리프트의 포크
100: 드럼 핸들링 지그
110: 본체부
120: 고정핀
121: 돌출결속부
122: 절곡부
130: 고정핀 고정부재
131: 결속부
132: 체결부재
141: 자력발생부재
142: 스위치
151: 거리 검출장치
152: 경보음 발생장치
10: Drums
20: Fork lift fork
100: Drum handling jig
110:
120: Fixing pin
121:
122:
130: Fixing pin fixing member
131:
132: fastening member
141: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142: switch
151: Distance detecting device
152: Alarm sound generator

Claims (10)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포크리프트의 포크에 장착되고, 양측부에 고정핀(12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삽입되어 본체부(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관통구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고정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단부에는 송곳구조의 돌출결속부(121)가 형성된 고정핀(120); 및
상기 고정핀(120)에 장착되고, 고정핀(120)이 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고정부재(13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 고정부재(130)는,
고정핀(120)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이 형성되고, 고정핀(120)의 외경에 결속되는 링 구조의 결속부(131); 및
상기 결속부(131)의 일측부에 볼팅 체결되어 볼팅 동작에 의해 결속부(131)와 고정핀(120)을 서로 결속시키는 체결부재(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A main body 110 formed in a structure for wrapping a fork of the forklift and mounted on a fork of the forklift and having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ixing pins 120 can be inserted,
The protruding coupling part 121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10 and is protruded and fix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other side part of the main body part 110. At one end of the protruded part, A fixing pin 120 formed with a fixing pin 120; And
A fixing pin fixing member 130 mounted on the fixing pin 120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120 so that the fixing pin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110;
Lt; / RTI >
The fixing pin fixing member (130)
A binding portion 131 of a ring structure formed with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in 120 and bou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fixing pin 120; And
A fastening member 132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131 to fasten the fastening part 131 and the fastening pin 120 to each other by a bolting operation;
Wherein the jig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포크리프트의 양 포크에 각각 장착되고,
양 포크에 장착된 본체부(110)에 고정된 고정핀(120)의 돌출결속부(121)의 돌출 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10 is mounted on both forks of the forklift,
Wherein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projecting coupling portion (121) of the fixing pin (120) fixed to the main body (110) mounted on both the forks is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측단면형상은 'ㅁ'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id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ain body part (110) is a "U"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결속부(121)의 돌출길이(L1)는, 포크리프트의 포크의 폭(L2) 대비 50 내지 100 %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truding length L1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1 is 50 to 100% of a width L2 of the fork of the forkli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120)의 일단부에는 절곡부(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ending portion (1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pin (12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포크리프트의 포크 외부면과 접촉되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스위치(142) 조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자력을 해제할 수 있는 자력발생부재(141); 및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자력발생부재(141)의 자력 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14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141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fork outer surface of the forklift and capable of generating a magnetic force or releasing a magnetic force by operation of the switch 142; And
A switch 14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on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141;
Further comprising: a tubular member for supporting the dr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레이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근접하는 드럼의 외부면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드럼의 외부면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의 최종 데이터를 선별한 후, 최종 데이터를 경보음 발생장치(152)에 전달하는 거리 검출장치(151); 및
상기 거리 검출장치(151)로부터 획득한 최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거리 검출장치(151)와 드럼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장치(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djacent drum is detected using a laser or an ultrasonic wave and the final data when the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rum is closest is selected A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for transmitting the final data to 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152; And
An alarm sound generator 152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the drum is closest, based on the final data acquired from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Wherein the jig compri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장치(152)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시간만큼 경보음을 반복해서 발생시키되,
거리 검출장치(151)와 드럼(10)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경보음을 끊김없는 지속적인 음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거리 검출장치(151)와 드럼(1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경보음의 발생 시간 간격을 점차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핸들링 지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152,
An alarm sound is repeatedly gener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the drum 10 is the shortest,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as a continuous sound without interruption,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detecting device (151) and the drum (10) is longer, and the interval of generation of the alarm sound is gradually increas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럼 핸들링 지그(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
A forklift comprising a drum handling jig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7 and 9.
KR1020160064310A 2016-05-25 2016-05-25 Handling Jig for Drum KR101808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10A KR101808104B1 (en) 2016-05-25 2016-05-25 Handling Jig for Dr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10A KR101808104B1 (en) 2016-05-25 2016-05-25 Handling Jig for Dr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71A KR20170133171A (en) 2017-12-05
KR101808104B1 true KR101808104B1 (en) 2018-01-18

Family

ID=6092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310A KR101808104B1 (en) 2016-05-25 2016-05-25 Handling Jig for Dr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0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5988B2 (en) * 2011-01-31 2016-10-26 Jnc株式会社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ptical anisotropic bod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5988B2 (en) * 2011-01-31 2016-10-26 Jnc株式会社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ptical anisotropic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71A (en)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6814B1 (en) Welding wire package with lifting strap
JP2013534882A (en) Container suspension
KR101808104B1 (en) Handling Jig for Drum
KR100704236B1 (en) Scrap magnet
JP6455281B2 (en) Construction switch
KR101104790B1 (en) Spring balancer for sensing load change
JP6652945B2 (en) Pallet support for cargo handling
JP5414548B2 (en) Bottle container bundling device
KR101820688B1 (en) Ladle apparatus
JP2017125338A (en) Boom drop prevention device
JP2009196563A (en) Container support base
US1386342A (en) Safety appliance
KR102096381B1 (en) A hole-making system
KR101505561B1 (en) Lifting jig for sling rope
JP2012051721A (en) Fork stopper device
KR200228070Y1 (en) A spool
CN220703150U (en) Fork truck
KR20120065004A (en) Handling jig for heavy weight product
JP2007314265A (en) Stopper
KR20150000069U (en) Frame lifting posture correction handle
US766997A (en) Carrier for target-traps.
KR101947265B1 (en) Washer
JP2007290773A (en) Handling and transporting carrier for cranes
KR20140003278U (en) Impact sensor assembly for cutting apparatus
KR101653552B1 (en) Tongs crane equipped with a slab fall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